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브랜드 광고 모델 신뢰도와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태도, 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등야,백승엽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브랜드 광고 모델 신뢰도와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태도, 신뢰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 중국의 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생 총 465명(중국 261명 ,한국 204명)을 연구대상으로 기술통계와 구조 모형의 가설검증 및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브랜드 광고 모델 신뢰도는 구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과 중국 대학생의 광고 모델 신뢰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국 대학생의 스포츠브 랜드 광고 모델 신뢰도만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 대학생의 광고 모델 신뢰도에서 브랜드 충성도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와 행위적 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 브랜드 구매 만족도는 브랜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중국 대학생의 스포츠브랜드 구매 만족도는 브랜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한국 대학생의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충성도의 하위요인인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대학생의 구매 만족도가 브랜드 충성도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브랜드 태도가 브랜드 충성도의 하위요인 인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한국 대학생의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 하위요인인 행동적 충성도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대학생의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 의 하위요인인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has been empiricall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credibility and purchase satisfaction provided from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on brand attitude,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464 college students(204 in Korea and 261 in China) hav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brand attitude, trust and loyalty on sports advertising model credibility and purchase satisfa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urchase satisfaction. Second,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Third,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Fourth,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a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inal loyalty and behavioral loyalty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reliability of the sports brand advertising model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any brand loyalty. Fifth,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attitude. Sixth,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Seventh,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not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inal loyalty, but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loyalty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purchase satisfaction has a signifiant effect on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Eighth,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China, the brand attitude has a signifiant effect on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Lastly, college students in Korea, the brand trust has not significant effect on attitudinal loyalty, but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loyalty whereas college students in China, the brand trust has a signifiant effect on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 KCI등재

        명품-비명품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이태민(Lee, ThaeMin)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가치-브랜드 신뢰-브랜드 충성도로 이어지는 인지적 경로와 상징적 가치-브랜드 감정-브랜드 충성도로 이어지는 감정적 경로의 이중적 경로로 구성된 브랜드 충성도 형성모형을 제시하여,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을 인지적 관점과 감정적 관점을 모두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설명해보고자 하였으며 , 이러한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 명품과 비명품 간에 어떠한 구조적 차이점이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실증결과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서 인지적 경로와 감정적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전통적인 인지적 관점뿐만 아니라 감정적 관점을 같이 고려하여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를 설명할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명품여부에 의한 조절효과 검증결과는 명품 브랜드의 경우에는 비명품 브랜드에 비해 상징적 가치-브랜드감정-브랜드 충성도로 이어지는 감정적 경로계수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능적 가치-브랜드 신뢰-브랜드 충성도로 연결되는 인지적 경로계수의 경우는 명품 브랜드와 비명품 브랜드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을 기능적 가치에 기초한 인지적 경로와 상징적 가치에 기반한 감정적 경로의 이중경로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의 구조적 관계가 명품 브랜드와 비명품 브랜드에 따라 차별화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luxury in the brand loyalty formation proces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oth the cognitive path (functional value→brand trust →brand loyalty) and the affective path (symbolic value →brand affect →brand loyalty) are significant. Thus, brand loyalty is best described by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the two paths are included.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ffective path coefficient (symbolic value→brand affect →brand loyalty) were greater for luxury brand than for non-luxury bran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path (functional value → brand trust → brand loyalty) between luxury brand and non-luxury bran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luxury brandmarketing strategy are discussed.

      • KCI등재

        명품-비명품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 대한 비교연구: 인지적 경로와 감정적 경로의 영향력 비교를 중심으로

        이태민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4

        본 연구에서는 기능적 가치-브랜드 신뢰-브랜드 충성도로 이어지는 인지적 경로와 상징적 가치-브랜드 감정-브랜드 충성도로 이어지는 감정적 경로의 이중적 경로로 구성된 브랜드 충성도 형성모형을 제시하여,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을 인지적 관점과 감정적 관점을 모두 고려하여 통합적으로 설명해보고자 하였으며 , 이러한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 명품과 비명품 간에 어떠한 구조적 차이점이 존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실증결과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에서 인지적 경로와 감정적 경로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전통적인 인지적 관점뿐만 아니라 감정적 관점을 같이 고려하여 소비자의 브랜드 충성도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이 밝혀졌다. 명품여부에 의한 조절효과 검증결과는 명품 브랜드의 경우에는 비명품 브랜드에 비해 상징적 가치-브랜드 감정-브랜드 충성도로 이어지는 감정적 경로계수의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기능적 가치-브랜드 신뢰-브랜드 충성도로 연결되는 인지적 경로계수의 경우는 명품 브랜드와 비명품 브랜드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을 기능적 가치에 기초한 인지적 경로와 상징적 가치에 기반한 감정적 경로의 이중경로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브랜드 충성도 형성과정의 구조적 관계가 명품 브랜드와 비명품 브랜드에 따라 차별화된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 of brand luxury in the brand loyalty formation process.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both the cognitive path (functional value → brand trust → brand loyalty) and the affective path (symbolic value → brand affect → brand loyalty) are significant. Thus, brand loyalty is best described by the hypothesized model in which the two paths are included. The empiric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affective path coefficient (symbolic value → brand affect → brand loyalty) were greater for luxury brand than for non-luxury brand.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gnitive path (functional value → brand trust → brand loyalty) between luxury brand and non-luxury brand.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effective luxury brand marketing strategy are discussed.

      • KCI등재

        장수 브랜드의 명성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김흥기 ( Kim Hung-ki ),금진우 ( Keum Jin-woo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5 No.-

        오랫동안 시장 경쟁에서 살아남는 기업은 강한 이미지를 가진 브랜드를 개발하여 소비자로부터 장수 브랜드로 충성도를 만들어 낸 기업이다. 다른 기업이 따라 올 수 없는 브랜드를 기반으로 하여 경쟁에서 지속적인 우위를 이룬 기업은 고객의 마음 속에 브랜드와 관련하여 우호적이고 강력한 명성을 구축하였다. 최근 소비자의 충성도를 결정하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 변수로서 브랜드 명성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브랜드 명성이 고객의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수 브랜드로서 브랜드 명성이 고객의 충성도에 미치는 효과를 살피고자 한다. 대중들이 권위가 있고 신뢰성 있는 메시지를 스스로 받아들이듯이, 제품의 기능에서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높은 명성을 구축한 장수 브랜드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강한 일체감을 형성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는 장수 브랜드로서 브랜드 명성이 고객 충성도에 미치는 상대적 효과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수 브랜드의 명성 요소 중에서 속성과 태도는 고객의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혜택은 태도적 충성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나 행동적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객의 충성도 내에서도 태도적 충성도는 행동적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survive in the severe market competition, company needs to have brand with strong image and high brand loyalty as a longevity brand. To have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brand has build the favorable and strong in the minds of customers. Recently, some studies have been accumulated for relationship among brand reputation and customer loyalty. To expand the past studies for the effects of brand reputation and customer loyal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brand reputation as a longevity brand on the customer loyalty. Brand with higher reputation as a longevity brand may result in stronger brand - self identification compared to brand with lower reputation if there is no different in quality consumers interpreted the brand reputation as being prestigious and reliab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ve effect of brand reputation as a longevity brand on the customer loyal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mong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brand reputation as a longevity brand, the ‘quality’ and ‘attitudinal’ had a positive (+) effect on all of such factors as the condition of same brand, the ‘attitudinal loyalty’ and the ‘behavioral loyalt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while the ‘beneficial’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behavioral loyalty, it did not influence the condition of the same brand and attitudinal loyalty. Second, the attitudinal loyalty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behavioral loyalty.

      • KCI등재

        브랜드 충성도 구축에 영향을 미치는 브랜드 커뮤니티 내 커뮤니케이션 차원들 간 관계 구조에 관한 연구

        신종국,박지연 한국경영교육학회 2010 경영교육연구 Vol.60 No.-

        Despite the internet has changed human-to human communication, the previous researches on brand community have focused on the formative factors,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brand community, which has not been closely explored the way to the communication activation among consumers in a brand community.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what communication patterns exists in a brand community and to find out what is the best communication structure in the relationship of several communication patterns to help not only in maintaining brand community, but also in building strong brand loyalty. Researching on-line brand community respondents, we can summarize several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of all, based on previous findings regarding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on in brand community, three major communication patterns - dependence, closeness, and relationship retention - were derived. Especially, dependence pattern of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should be activated in the first step because they want to avoid the losses that can be occurred in evaluating or buying process by sharing information on the particular brand. Secondly, this research provides the relational structure of the communication patterns in a brand community and the enhancement of brand loyalty ; Dependence communication→Closeness communication, Closeness communication→Relationship retention communication, Relationship retention communication→e-loyalty & brand loyalty, e-loyalty→brand loyalty. This study would be a small cornerstone to examine cyber communication using the status of brand community. And we hope that it would spread out and help to understand human communication as well as cyber communication. 오늘날 많은 기업들은 소비자와의 관계 지속에 따른 평생 가치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어떻게 하면 적은 비용으로 효과적으로 고객과의 관계를 유지하고 더불어 강력한 브랜드 충성도를 구축할 수 있을지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실무적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기업들은 소비자의 성향 및 욕구를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인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비정보를 교환하는 소비자들 간 커뮤니케이션 활동이 어떻게 구조적으로 형성되었을 때, 브랜드 커뮤니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이러한 브랜드 커뮤니티 내 커뮤니케이션 구조는 브랜드 충성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커뮤니티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특징적 커뮤니케이션 차원들이 있는데 그 중에서도 우선적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필수적인 차원이 발견되었다. 그것은 구성원-구성원 간의 브랜드 관련 정보를 매개로 한 상호의존적 커뮤니케이션이었는데, 그 이유는 브랜드 커뮤니티에서 활동하는 구성원들은 특정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정보교환을 통해 대안평가나 선택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손실을 회피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둘째, 브랜드 커뮤니티 내 커뮤니케이션 차원들 및 e-충성도와 브랜드 충성도 간의 영향 관계를 살펴보면, 의존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이 친밀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에, 친밀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이 관계유지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에, 그리고 관계유지 차원의 커뮤니케이션이 e-충성도 및 브랜드 충성도에, e-충성도는 브랜드 충성도에 대해 각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상의 세 가지 커뮤니케이션 차원 - 의존차원 커뮤니케이션, 친밀차원 커뮤니케이션, 관계유지차원의 커뮤니케이션 - 이 순차적으로 발전하게 되었을 때, 브랜드 커뮤니티 구성원들의 e-충성도뿐만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브랜드 커뮤니티에서의 커뮤니케이션을 전략적으로 관리·활용함으로써 브랜드 커뮤니티에 대한 충성도뿐만 아니라 브랜드 충성도 강화를 위한 중요한 마케팅 도구로서 작용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조계해,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온라인 쇼핑 플랫폼의 급속한 확산과 코로나 19의 충격은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에 큰 도전을 가져왔다. 그리고 개인화된 소비의 배경에서 고객의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 경험에 대한 요구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브랜드 또는 기업의 오프라인 공간 개발은 브랜드 발전의 핵심 전략이 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핵심요소들을 도출하고 도출된 요소들과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의 상관성을 분석하고 어떤 요소가 고객의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유의한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개념 및 핵심요소들을 도출하고 브랜드 만족도와 브랜드 충성도의 개념을 정의한다. 둘째, 본 연구의 독립변수, 매개변수, 종속변수를 선정하고 연구모형을 만들어 제시한다. 셋째, 연구가설을 제시하고 24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수집하며, SPSS 26.0과 AMOS 26.0을 이용하여 측정항목의 신뢰도, 타당도, 확인적 요인,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한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에서 브랜드 만족도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추출하고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디자인 전략을 제시한다. (결과) 가설검증 결과, 첫째,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4가지 핵심요소(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문화,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는 만족도와 충성도에 모두 유의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브랜드 만족도가 충성도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 만족도의 매개효과와 관련된 부분에서는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핵심요소들과 브랜드 충성도의 영향 관계에서 만족도의 부분적인 매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셋째, 브랜드 만족도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 직간접적 효과가 모두 유의했으나, 브랜드 문화와 브랜드 충성도의 관계에서는 직접효과의 유의성만 발견되고 간접효과의 유의성은 부재했다. (결론)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의 핵심요소로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문화,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는 모두 만족도와 충성도를 높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는 충성도를 직접적으로 높이는 동시에 만족도에 영향을 주어 간접적으로 브랜드 충성도를 이끌어 내고 있음을 확인했다. 결국 브랜드 문화는 브랜드 충성도에 직접적 영향효과가 더 뚜렷한 것으로, 향후 브랜드 오프라인 공간 디자인에서 4가지 핵심요소에 초점을 두고 종합적인 요소 활용을 통해 브랜드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캠퍼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캠퍼스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지우,하미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2

        최근 고령화, 저 출산 등으로 인해 학력 인구가 감소하면서 대학 시장이 공급자 위주에서 소비자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 결과 대학 시장은 매우 심각한 경쟁구조에 직면하게 되었고, 이 과정에서 마케팅 개념과 브랜드화가 도입되기 시작했다. 대학 브랜드화를 위해 물리적인 환경 차원에서도 캠퍼스 확장, 랜드마크 건축물 신축, 정문 재정비 등 다양한 계획을 시행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 계획들이 대학의 브랜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서울에 위치한 28개 종합대학에 재학 중인 144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캠퍼스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평가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가 캠퍼스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고자 하였다. 그 구체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들은 캠퍼스 환경에 대해 자랑스럽고 주변 사람들에게 추천하고 싶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었고, 이는 여성보다는 남성이, 2학년과 3학년보다는 1학년과 4학년의 경우 더욱 충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조사대상자를 ‘고-충성도’, ‘저-충성도’ 집단으로 구분하여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평가한 결과, ‘고-충성도’ 집단은 ‘속성’에서는 편의시설, 학교 이념 및 역사 상징물 등이, ‘이득’에서는 분위기, 재미, 안전함, 참여 가능한 활동, 친밀함 등이, ‘가치’에서는 애착심, 이용자의 가치, 캠퍼스의 추억, 문화 등에 대해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브랜드 아이덴티티 요소가 캠퍼스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다. ‘캠퍼스 추천’, ‘캠퍼스 재이용’, ‘캠퍼스 자부심’으로 측정되는 충성도에 ‘가치’, ‘속성’, ‘이득’ 순으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캠퍼스의 충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생들을 위한 편의시설을 확충하고, 학교의 이념 및 역사 등을 상징하는 건축물 및 상징물을 신축하여 시각적인 아이덴티티를 확보하고, 학생들의 다양한 활동을 하고,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장소를 지원하여 흥미로움과 재미를 제공하면, 학생들은 자신이 속해있는 캠퍼스 환경에 대해 애착심을 느끼고, 좋은 추억으로 간직할 수 있다는 것이다. In recent years, aging and low birth rate brought a significant changes in University market. Due to the decreasing population of college students, supplier oriented market has been shifted to the consumer oriented market. In this severe competitive market, the branding was adopted to the campus environ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d the brand identity and loyalty of campus environment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the brand identity elements towards campus loyalty. For the methodology,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1445 students in 28 universities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spondents of this study evaluated their campuses to be proud of and willing to recommend others to visit their campuses. In general, men have higher loyalty than women, and freshmen and seniors have higher loyalty than sophomores and juniors. 2) The respon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loyalty score. 'high-loyalty' group was satisfied with convenience, landmark of 'attributes';, joyful atmosphere, interesting, exciting of 'benefits', and attachment, memory, culture of 'values' than 'low-loyalty' group. 3) It was indicated that 'values' elements of brand identity influence campus loyalty the most and ‘attributes' and ‘benefits' were followed by.

      • KCI등재

        SNS, 브랜드 충성도 구축의 새로운 대안인가? -SNS유형에 따른 효과검증을 중심으로-

        김문태 ( Kim Moon Tae ) 한국고객만족경영학회 2016 고객만족경영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전통적 방식의 온라인 브랜드 커뮤니티인 카페, 블로그, 기업홈페이지 내 커뮤니티 등을 페이스북과 함께 SNS에 포함시켜 과거와 현재의 방식을 아울러 SNS 브랜드 페이지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중요한 변수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다. 첫째, 콘텐츠 유용성 및 상호작용성은 SNS 브랜드 페이지 충성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임을 알수 있었다. 결국, 소비자들이 좋아할만한 콘텐츠를 갖추고 이에 의해 회원들 간 상호작용성을 높여 줌으로써 SNS 브랜드 페이지의 충성도를 높이는 노력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둘째, SNS 브랜드 페이지 충성도는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신뢰에 대한 영향이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것 보다 훨씬 높으므로 SNS 브랜드 페이지 충성도가 브랜드 신뢰를 통해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SNS 브랜드 페이지를 통해 결국 브랜드 충성도를 강화할 수 있다는 논리가 타당할 수 있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소비자 주도 SNS가 기업 주도 SNS보다, 가입 시 승인을 받아야하고 회원관리가 엄격한 SNS가 회원 가입이 용이하고 관리가 엄격하지 않은 SNS보다 브랜드 충성도 구축에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도구일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최근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페이스북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는 방식을 바꾸었는데 이러한 SNS의 장점은 실시간으로 모바일을 통해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과 많은 친구들에게 적은 노력으로 브랜드에 대한 정보와 브랜드 관련 활동들을 알릴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브랜드 충성도를 구축하는데 있어서는 보다 전통적인 방식의 카페가 페이스북보다 효과적인 SNS라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testified important variables that influence SNS brand page loyalty and brand loyalty among various kinds of SNSs like cafes, facebook, blogs, communities in company homepages. And research conclusions suggest several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as follow. First, this study shows content usefulness and interactivity among consumers are important variables that affect SNS brand page loyalty. This means marketer should make contents that consumers prefer and enhance the interactivity among consumers and finally build SNS brand page loyalty. Second, this research testified that SNS brand page loyalty affect brand trust and brand loyalty. Because estimate between SNS brand page loyalty and brand trust is much higher than that of SNS brand page and brand loyalty, the facts that SNS brand page loyalty can influence brand loyalty through brand loyalty and finally brand loyalty enhanced by SNS brand page loyalty is proved. And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that consumer made SNS is much effective than company made SNS to build brand loyalty. Further more, SNS that a little bit hard to join and managing member`s levels might be a useful SNS that has not those kinds of things. Recent social media platforms like facebook have simply altered how humans interact with each other. What is powerful about some of the recent social media is the ability to conduct it in a mobile environment on real time. And the ability to announce brand information and brand related activities to a wide network of friends with relatively little effort. In spite of these advantages, a little bit old type of SNS like cafe is much more effective tool to build brand loyalty.

      • KCI등재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핵심요소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몰입경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계해,이정교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4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9 No.1

        (연구배경 및 목적) 경험 경제가 발전함에 따라 사람들의 초개인화 경험 요구와 정신적 경험 요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람들은 소비 과정에서 깊은 경험을 하고 만족감과 즐거움을 얻기를 더욱 원한다. 이에 따라 소비 경험 장소인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은 소비자의 요구에 직면하여 소비자에게 최적의 경험을 제공하는 몰입 공간을 구축하는 전략을 채택해야 하므로, 본 연구는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을 연구대상으로 핵심요소가 브랜드 충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몰입경험이 어떤 조절효과를 수행하는지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첫째,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과 브랜드 충성도와 몰입경험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하였다. 둘째,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핵심요소를 독립변수로, 브랜드 충성도를 종속변수로, 몰입경험을 조절변수로 설정하여 연구가설과 모형을 제시하였다. 셋째, 설문 조사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수집하고 SPSS 26.0을 이용하여 설문지의 신뢰도, 타당도, 각 변수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다중 선형 회귀 분석으로 가설들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검증 결과를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고 도출된 자료를 기반으로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몰입경험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과) 가설검증 결과, 첫째, 회귀 분석을 통해서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핵심요소 중에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문화, 브랜드 이미지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계층적 회귀 분석을 통해 몰입경험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문화, 브랜드 이미지, 브랜드 가치의 상호작용항은 모두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니 몰입경험의 조절효과가 발생한다고 판단할 수 있었다. 또 조절효과의 단순기울기를 보면, 몰입경험의 수준이 높을수록 브랜드 충성도가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에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브랜드 문화, 브랜드 이미지는 고객의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브랜드 가치는 브랜드 충성도를 직접적으로 높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몰입경험의 조절 작용에 의하여 브랜드 충성도에 대한 4가지 요소의 영향이 크게 향상되었다. 몰입경험은 고객의 브랜드 충성도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앞으로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을 디자인할 때 고객의 몰입경험감을 고려하고 매장공간에서 몰입적 요소의 활용을 중시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항공사의 브랜드 충성도 향상을 위한 문화마케팅에 관한 연구

        방장규(Bang, Jang-Kyu)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4

        최근 들어 각 기업은 경쟁우위를 확보하려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항공사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니다. 최근 들어 저비용 항공사의 출현으로 인해 항공업계의 경쟁은 매우 치열해졌다. 항공사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항공사의 브랜드 충성도는 매우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항공사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충성도 향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의 모형은 문화마케팅과 브랜드 품격 및 브랜드 신뢰와의 관계, 브랜드 품격과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항공사의 문화마케팅은 브랜드 품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브랜드 신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브랜드 품격과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브랜드 충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브랜드 애착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In recent years, most of companies around globe have been trying to change in order to boost up competitiveness. Airline companies are not except. Airline industry was very competitive due to the presence of low cost carrier. Competitions among airline companies has started. Brand loyalty was to be important for airline companies.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how cultural marketing of airline could affect the increase in brand loyalty. At the research model,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marketing and brand dignity, also brand trust. There were some tests about relationships among brand dignity, brand trust,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Finally we tes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In the research results, airlines’ cultural marketing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dignity. But it did not affect brand trust. Brand dignity and bran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and also they positively affected brand loyalty. And brand attach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최근 들어 각 기업은 경쟁우위를 확보하려고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이는 항공사의 경우에도 예외가 아니다. 최근 들어 저비용 항공사의 출현으로 인해 항공업계의 경쟁은 매우 치열해졌다. 항공사의 본격적인 경쟁이 시작되었다. 이에 따라 항공사의 브랜드 충성도는 매우 중요해졌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항공사의 문화마케팅이 브랜드 충성도 향상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의 모형은 문화마케팅과 브랜드 품격 및 브랜드 신뢰와의 관계, 브랜드 품격과 브랜드 신뢰와 브랜드 애착 및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 브랜드 애착과 브랜드 충성도와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항공사의 문화마케팅은 브랜드 품격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브랜드 신뢰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브랜드 품격과 브랜드 신뢰는 브랜드 애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브랜드 충성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브랜드 애착은 브랜드 충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In recent years, most of companies around globe have been trying to change in order to boost up competitiveness. Airline companies are not except. Airline industry was very competitive due to the presence of low cost carrier. Competitions among airline companies has started. Brand loyalty was to be important for airline companies.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how cultural marketing of airline could affect the increase in brand loyalty. At the research model, the authors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marketing and brand dignity, also brand trust. There were some tests about relationships among brand dignity, brand trust,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Finally we tested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brand attachment and brand loyalty. In the research results, airlines’ cultural marketing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dignity. But it did not affect brand trust. Brand dignity and brand trust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achment, and also they positively affected brand loyalty. And brand attachment had a positive impact on brand loyal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