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회불신과 행정부 불신의 상호 연관성

        엄기홍(Kihong Eom)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9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2 No.1

        국회와 행정부 불신은 상호 연관되어 있을까? 나아가 국회와 행정부를 비롯한 정치기관에 대한 불신은 이들 기관의 업적에 근간한 객관적 평가일까 아니면 주관적 평가일까? 본 연구는 정치기관에 대한 불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불신수준이 비교적 높은 국회와 행정부를 대상으로 이들 기관들에 대한 불신의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2003년부터 2007년까지 한국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정치기관에 대한 신뢰수준은 독립적이기 보다는 상호 연관되어 있음이 밝혀졌다. 즉, 응답자가 국회를 신뢰하면 할수록 행정부를 보다 신뢰하며, 행정부를 신뢰하면 할수록 국회 또한 신뢰함이 밝혀졌다. 따라서 국회와 행정부가 서로 대립하여 상대방 기관에 대한 불신을 조장할 경우 불신을 조장한 기관의 신뢰도 또한 추락됨이 밝혀졌다. 또한 이러한 해는 국회 보다는 행정부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왜냐하면 국회의 경우 평가자의 정당선호도 등과 같은 주관적 평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지 않는 반면, 행정부 평가는 이러한 주관적 평가에 의하여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따라서 행정부가 평가자의 비선호정당 출신에 의하여 운영되고, 행정부가 국회불신을 조장할 경우 행정부는 국회보다 더 큰 신뢰도 하락을 겪을 것으로 판단된다. Is the level of trust o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Executive in Korea independent or interrelated? Further, is the evaluation of a citizen on these governments made an objective basis along with their achievements or an subjective basis such as its personal party preference? This paper aims to find out why the level of distrust on Korean governments is so high, especially o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Executive. Using survey data from 2003 to 2007, I found that the level of distrust on governments is not independent but rather interrelated. A citizen who tends to give a low trust on the National Assembly tend to give a low point to the Executive, vice versa. It suggests that if a government takes measures against the other government, the former will be damaged as well. In addition, the magnitude of damage tends to be larger on side of the Executive. Since the subjective evaluation is only found in the Executive, if the Executive incites the people against the National Assembly, the former will be more likely to pay back with the larger damage.

      • KCI등재

        분황 원효 金光明經疏(輯逸) 三身說의 의미

        이인석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2022 불교 철학 Vol.10 No.-

        佛身論이란 붓다의 몸에 관한 論이다. “붓다의 몸은 무엇인가?”에 대한 담론인 것이다. 그런데 “붓다의 몸이란 무엇인가?”라는 담론이 바쁜현대인들에게 과연 무슨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종교적 신념에 기반한경우가 아니라면 이 붓다의 몸에 관한 담론은 매우 종교적이거나 지나치게 학문적인 것으로 일반 대중에게는 들릴 수도 있을 것이다. 만약 그렇다면 어떠한 사상이 아무리 어떤 누군가에게는 중요하다고 할지라도 나에게는 의미가 없는 일로 여겨질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리에게 제시되는 질문인 “붓다의 몸은 무엇인가?” 를 나에 대한 질문으로 바꾸는 것으로부터 이 담론을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다시 말해 “나에게 붓다의 몸이 과연 무슨 의미인가?”라는바로 그 지점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그렇게 하지 않을 경우 일반대중으로서의 우리는 어쩌면 불신론이 궁극적으로 우리에게 말하고자 하는 바를 영영 찾을 수 없을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붓다의 몸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은 사실 이유여하를 떠나서 우리의현실 바로 그 자체의 문제이다. 다만 그 질문이 의도하는 바가 진정 무엇인지를 감지하지 못하는 수가 많은 것 뿐이다. 그런데 이는 복잡한 질문이 아니라 다음과 같은 아주 평범하고 현실적인 질문에서 시작되는 문제이다. “당신은 불자인가? 불자라면 당신은법당에 참배를 하는가? 그렇다면 당신은 법당의 부처님을 무엇으로 보고참배를 하고 있는가?” 또는 “佛身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몸에만 국한되는것인가? 아니면 수많은 부처님들만 불신인가? 그것이 아니라면 저 수많은 사람들도 불신인가? 그렇다면 동물들은? 식물과 광물과 미진은?”으로이어질 것이다. 이인석(청동)_ 분황 원효 『金光明經疏』(輯逸) 三身說의 의미 7 또 이는 한편의 다른 세계의 영역을 포함하는 문제이다. 불신은 오직물질에만 국한되는 문제인가? 깨달음의 理體가 佛身이고 깨달음의 지혜가 佛身이다. 그렇다면 이는 정신적인 세계 또한 佛身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질문은 다음으로 이어진다. “그렇다면 중생들의 망상은佛身인가? 나의 지금 이 생각은 佛身인가?” 등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그리고 이는 다시 “만약 五蘊 十二處 十八界에 이르기까지 물질과정신에 이르기까지 현상계의 모든 것이 佛身아님이 없다면 나는 왜 여전히 苦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가?”라는 궁극적인 질문으로 이어지게된다. 다시 말해 이는 수행론으로 이어지게 되는 문제인 것이다. 이와같이 현실적이고 평범한 질문으로부터 시작해 궁극적 질문으로 이어지는것이 佛身論이다. 그러나 현재 불신론에 대한 접근은 지나치게 높은 장벽으로 인해 일반대중들에게는 아직 접근이 매우 어려워 보인다. 불신론은 교학의 핵심적인 부분인 까닭에 선현들의 다양하고 풍부한 가르침을 많이 소장하고있지만 오히려 너무나 방대한 까닭에 그 속에서 길을 잃어버릴 수 도 있을 정도의 압도적인 분량이기 때문이다. 훌륭한 학자들과 전문가들에 의하여 그 내용이 일반인이 접근할 수 있고 음미할 수 있는 독서재료로 가공이 되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이유이다. 불신론은 二身說에서부터 시작하여 三身說, 四身說, 五身說 및 十身 說, 二十身說에 이르기까지 그 수의 종류도 다양하지만 같은 숫자의 불신론이라고 하더라도 그 내용이 교파의 입장에 ...

      • KCI등재후보

        部派佛敎의 佛身에 대한 논쟁과 龍樹의 佛身觀 성립에 대한 一考

        원필성(Won, Pil-Sung) 한국불교연구원 2009 불교연구 Vol.31 No.-

        석존입멸 후, 불교는 점점 교화의 영역을 확대하여 인도에서 다른 지역으로 전달되었으며, 또 이러한 과정 속에서 몇 가지 본질적인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 가운데에서 간과할 수 없는 것은 초기불교부터 佛陀觀 내지 佛身觀에 있어서 붓다를 점점 신화적 인물로 만들려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이다. 즉 석존이 열반하고 나서 시간이 점점 흘러감에 따라서 석존의 인격에 대한 생각도 점점 불확실해지게 되었으며, 석존과 관련 있는 몇 가지 신비적인 전설은 급속도로 퍼지게 되었던 것이다. 그래서 어떤 이들은 석존이 神으로서 세상에 내려왔다고 생각하여 각종 신비한 이야기들을 조금씩 첨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야기에 반대하는 이들은 석존의 위대성이 신통력에 있는 것이 아니라 충만한 지혜와 자비에 있다고 생각하였다. 부파불교의 발생 원인에 대해서는 북방과 남방이 서로 다른 이야기를 전하고 있지만 이들의 전설 속에서 다음의 공통점을 찾을 수 있다. 즉 석존의 가르침에 대해 불교교단에서 진보적 경향과 보수적 경향을 가진 세력이 서로 다른 해석으로 인해 충돌이 있었다는 점이다. 그리고 부파들 사이에 발생한 충돌은 비단 교법과 계율의 문제뿐만 아니라, ‘열반 후 더 이상 눈앞에 존재하지 않는 석가모니 부처의 존재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라는 불신관에 대한 문제도 중요한 분열 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다. 특히 說一切有部(Sarvāstivādin)와 大衆部(Mahāsaṇghika) 사이에서 위와 같은 견해 차이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 서로 견해가 나타나는 가장 근본원인은 이 두 분류의 사상적 경향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즉 유부는 전통을 중시하였기에 시종일관 인간적 불타에 그 초점을 맞추는 보수적 경향을 유지하려 하였다. 따라서 불타라 하더라도 식사와 수면 등의 육체적인 활동이 일반 범부와 다를 수 없다고 보았으며, 정신적인 면에서도 어느 정도의 제한이 불가피하다고 본 것이다. 그러나 대중부는 시종일관 이상화 혹은 신앙적으로 승화된 불타에 그 초점을 맞추는 진보적 경향을 유지하려 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진보적 경향이 결국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공간에 존재하며 모든 것을 할 수 있는 초인격적인 神과 같은 절대적 존재로 불타를 승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이러한 두 가지 서로 다른 경향에서 출발하여 돌출된 불신관이 불교교단이 분열의 길로 걸어가게 되는 또 하나의 중요한 원인이 되었음은 분명하다. 그리고 부파불교에서의 불신에 대한 논쟁은 이후 대승불교의 흥기의 문제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게 되며, 특히 용수는 『대지도론』에서 부파불교의 대중부와 유부의 위와 같은 논쟁에서 얻어지는 불신관을 흡수하여 자신의 법신관과 생신관을 전개하였다. 이것은 불신관에 대한 부파불교의 논쟁이 용수의 『대지도론』에서 새로운 방향으로 전환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부파불교의 불신관의 논쟁에 이어서 용수가 시도하고자하는 새로운 방향의 불신관이 어떤 내용을 가지고 있으며, 그 의의가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은 불신관 전체의 전개방향을 파악하는 중요한 관건이 될 것이다. After the demise of the Buddha, Buddhism has spread from the India to the other countries and the spread of Buddhism, it has brought a few of fundamentals changes of views on the bodies of the Buddha. In these changes, we have to consider a tendency which is that deification of the Buddha since the Buddhist communities were established by Śākyamuni's grieving followers. After that time, the view of the Buddha has been getting as well as uncertain because of the Buddha's death and at the same time many of mysterious story of Śākyamuni Buddha have been spread rapidly. According to this influence people who is member of one of the Buddhist communities believed that Śākyamuni Buddha has came to people as God and they also made other mysterious stories. However, people who is not agree this view of Śākyamuni Buddha as God, they believed that Śākyamuni's greatness is not transcendental power but the wisdom and the compassion. There is a common sense of the cause of the School Buddhism, even though Northern and Southern Buddhism does not correspond to each other on the cause of the School Buddhism. In the centuries after the death of the Buddha there arose a number of schools, often their own view on the bodies of the Buddha. In other words, it is true that there is the conflict between conservative trends and progressive trends on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e teachings of the Buddha in Buddhist schools. Futhermore, this conflict does not only concern the teaching of the dharma and the discipline but also the issue is that how to interpret the Buddha, Śākyamuni Buddha, since there is no human being after the Nirvāṇa of the Buddha. This issue is one of the main cause of Buddhist schism in the historical event. There do differ, and their difference indicate past schism and form fruitful fields of minute comparison for modern scholar. Therefore, I will focus on the essential nature of the Buddha,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through both Sarvātsivādin and Mahāsaṇghika as well. In School Buddhism, the debate of Buddhakāya,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has been closed the arose of Mahāyāna Buddhism. One of the famous Buddhist scholar, Nāgārjuna has developed both dharmakāya theory and Sambhogikakāya theory in Mahāprajñapāramitā śastra, one of the important śastra in Mahāyāna Buddhism, because he has used the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which is the debate between Sarvāstivādin and Mahāsaṇghika. It means that the debate of the Buddhakāya in school Buddhism has been interpreted as a new direction in the Mahāprajñapāramitā śastra. Therefore, the examine of both the content of Nāgārjuna's view of on the bodies of the Buddha, what Nāgārjuna wants as a new direction, and the significances of itself will be an important key to understanding of developing of the bodies of the Buddha.

      • 『화엄경』에 나타난 불타관

        진영유(Young-you Jin)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연구원 2009 불교와 사회 Vol.1 No.-

        『화엄경』에는 무수한 불신이 기술되어 있다. 요점을 정리하면, 『화엄경』에서는 여래가 나타내는 여러 신[種種身]과 보살이 나타내는 종종신, 그리고 비구니, 마야부인, 야신 등의 선지식이 나타내는 종종신이 있다. 이러한 종종신이 귀속되는 대상에는 여래, 보살, 선지식 등의 차별이 있지만 종종신이 나타내는 의미에 있어서는 별반 차별이 없다. 모든 신이 다 원융 무애한 의미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화엄경』을 자세히 살피면 비로자나의 명칭은 처음 서론격인 「보현삼매품」과 「화장세계품」에서 많이 볼 수 있고, 마지막 「입법계품」에서 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화엄경』의 대표적 佛의 명칭으로 비로자나불이 강조된 것은 중국의 화엄교학, 특히 징관에 이르러서 두드러진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중국불교의 화엄교학에 있어서는 화엄의 불신을 십신설로 본 것이 특징이며, 특히 지엄이 만년에 이르러서 그의 저서인 『공목장』에서 주장한 2종십신설인 행경십불과 해경십불이 화엄의 불신설로 대표된다. 이는 다시 불신상의 십신과 융삼세간의 십신으로 말하기도 한다. 지엄이 화엄의 불신은 오직 십신만이 있다고 주장한 것에 비하여, 법장과 징관은 삼신즉십신이라고 하여 기존의 삼신사상에 화엄의 십신을 상즉시키고 있다. 그리고 중국의 화엄교학 상에서는 융삼세간의 해경십신이 주가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화엄의 불신을 원융의 의미에서 파악하려고 한 의도이다. 그리고 불신설과 함께 불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행, 삼성원융 등과 같은 화엄의 실천론이 중요시되었다고 본다. 해행을 통하여 불신을 파악하려 하였고, 문수와 보현의 원융을 통하여 비로자나를 구현하려고 하였다. 특히 징관은 그의 화엄교학의 최종 단계인 사종법계의 확립에 앞서서 『화엄경』의 경제(經題)를 통하여 해경의 십불을 중용한 것은 매우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고 본다. 『화엄경』이나 화엄교학의 불신론은 결론적으로 말하면 불신 그 자체에 중요한 의미가 있다고 보기보다는, 화엄교학의 원융무애의 의미를 불신, 내지는 종종신의 용어에 담아내려고 했던 것이다. The Avataṃsaka Sūtra states that there are immeasurable numbers of buddhakāyas. The Avataṃsaka Sūtra describes manifestations of various bodies, such as those of tathāgatas, bodhisattvas and kalyāṇamitras whom many bhikṣuṇīs, the Māyādevī (the Queen Māyā), and the God of Night, etc. belong to. Although these manifestations are divided into diverse categories, such divisions are not significant in itself because all buddhakāyas should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the doctrine of perfect interpenetration without obstruction (Won-yung-mu-ae, 圓融無礙). The name of Virocana appears frequently in the chapter on Concentration of Samantabhadra (Bo-hyeon-sam-mae-pum, 普賢三昧品) and the chapter on Lotus Store World (Hwa-jang-se-kye-pum, 華藏世界品), which serve as the introductory section of the Sūtra. It is in the chapter on Entry into the Realm of Reality (Ip-beop-kye-pum, 入法界品), the last one of the Sūtra that the title of Vairocana is used most frequently. Virocana as the title for the Enlightened One is greatly emphasized by the Huayan(華嚴) doctrine of Chinese Buddhism, especially by Chengguan(澄觀, 738~839). The Huayan school of Chinese Buddhism propagated the doctrine of the Ten Buddhakayas. Zhiyan(智儼) in particular claimed in his later book, Kǒngmù zhāng(孔目章) the doctrine of two kinds of the Ten Buddhakāyas(二種十身說). The first is the Ten Buddhas of Action(行境十 佛), and the other is the Ten Buddhas of Wisdom(解境十佛). The doctrine of two kinds of the Ten Buddhakāyas is accepted as one of the key doctrines of Buddhakāyas. The Ten Buddhakāyas also represent the perfect coalescence of three times(the past, present and future) and three worlds(融 三世間). While Zhiyan strictly limited the presence of the Enlightened Being to the Ten Buddhakāyas, Fazang(法藏, 643~712) and Chengguan compared and equaled the Trikāyas and the Ten Buddhakāyas. Overall, the Chinese Huayan(華嚴) school underlined the Ten Buddhas of Wisdom more than those of 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rfect coalescence of three times and three worlds, in an attempt to view the Buddhakāya within the doctrine of the perfect harmonization. Huayan also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ractice by emphasizing Wisdom and Action and perfect harmonization of the three sages (Sam-sung-won-yung, 三聖圓融) in order to realize the Buddhakāya; Wisdom and Action are needed to become aware of the Buddhakāya, while the harmonization of Mañjuśrī Bodhisattva and Samantabhadra Bodhisattva to realize the Virocana Buddha. There is a deep symbolic meaning in the fact that Chengguan used the doctrine of the Ten Buddhas of Wisdom in the title of the sutra which establishes the doctrine of the Four Dharmadhātu(四 種法界), the final stage of Huayan teachings. In conclusion, the doctrine of Buddhakāya or the term, 'Buddha -manifestation' as appearing in Huayan doctrine or the Avataṃsaka Sūtra is used as a vessel to contain and express the doctrine of perfect harmonization, rather than having a doctrinal importance of its own.

      • KCI등재

        『능가경』의 불신관(佛身觀)에 대한 고찰 - 유가행 유식학파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신돈각 ( Shin Don-gak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21 禪文化硏究 Vol.31 No.-

        본고는 『능가경』의 불신관(佛身觀)에 대하여 유가행 유식학파와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능가경』과 유가행 유식학파의 불신관에 대한 상관성을 고찰한 선행 연구는 없다. 『능가경』은 유식사상과 관련하여 세친(世親) 이전의 편찬과 이후의 편찬으로, 주장이 나뉘어 논쟁되고 있는 경전이기도 하다. 유식학파의 주요 논서인 『대승장엄경론』·『섭대승론』·『성유식론』·『섭대승론석』·『불지경론』에 의하면, 유가행 유식학파의 불신관은 자성신이 수용신과 변화신의 의지처로서, 일체법의 평등하고 진실한 성품, 즉 자성(自性)의 법신을 의미한다. 수용신은 법락(法樂)을 받아 수용하는 자리(自利)의 자수용(自受用)과 지상(地上)의 보살들에게 법락(法樂)을 누릴 수 있게 향수(享受)하는 이타(利他)의 타수용(他受用)으로 분리된 형태를 보인다. 수용신은 보신불을 의미한다. 그리고 변화신은 지전(地前)보살과 이승(二乘), 그리고 범부를 교화하는 화신불이다. 이러한 유가행 유식학파의 불신관은 자리이타(自利利他)의 수용(受用)과 향수(享受)의 불신인 수용신에 중점을 둔 불신관이다. 반면, 『능가경』은 법신(法身)이 보신(報身)과 화신(化身)을 통해 직접 광명으로 나투어 교화한다. 법신을 근본으로 보신은 색구경천에서 화신은 색신을 통해 이승과 범부 중생을 교화한다. 그리고 경전상의 많은 부분에서 법신 중심의 불신관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능가경』의 불신관은 법신이 교화의 주체적 불신으로 묘사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능가경』의 불신관에서 유가행 유식학파의 불신관과 상응되는 내용이 다소 보이고 있다. 또한 불신의 명칭도 자성신·수용신·변화신으로 유가행파와 동일하게 호칭하는 게송을 설하고 있기도 하다. This research essay aims to investigate the buddha - body view of the Lengjia jing, focusing on its correlation with that of the Yogâcāra School of Indian Buddhism. It seems that there is no previous study on this topic. The Lengjia jing is a sutra in Chinese which is still debated as to whether it was compiled before Vasubandhu or after Vasubandhu. According to the Yogâcāra school’s major treatises such as the Dasheng zhuangyanjing lun (Mahāyāna - sūtrâlaṃkāra), the She dasheng lun (Mahāyāna - saṃgraha - śāstra), the Cheng weishi lun (Vijñaptimātratāsiddhi - śāstra), the She dashenglun shi (Mahāyāna - saṃgraha - bhāṣya), and the Fodi lun (Buddhabhūmisūtra - śāstra), the school’s buddha - body view is as follows. The self - natured body, serving as the supporting basis that both the reward body and the transformation - body rely on, means the dharma - body of self nature, namely the nondiscriminatory, true, and inherent nature of all things. The enjoyment body is manifested in two separate forms: one is the ‘self enjoyment’(a buddha’s enjoyment of his own enlightenment) indicating the aspect of self - benefit and the other is the ‘other enjoyment’(buddha’s extention of enjoyment to bodhisattvas) indicating the aspect of benefiting others. The enjoyment body means the reward - body buddha, and the transformation body is a buddha incarnated in a human body for the purpose of saving the two kinds of practitioners (śrāvakas and pratyekabuddhas) and the unenlightened ordinary persons. The Yogâcāra school’s view of the buddha - body focuses on the enjoyment body that indicates the buddha - body of self - benefit and other - benefit. But, on the other side, the Lengjia jing states that the dharma - body saves sentient beings by directly manifesting itself in the form of radiance through the reward body and the transformation body. In this buddha - body view, the dharma - body is described as the active element of salvation. For this reason, this buddha - body view can be said to place emphasis on the dharma body. Yet the buddha - body views of the Lengjia jing and the Yogâcāra school correspond to each other in many ways. Also the Lengjia jing and the Yogâcāra school use the same name when they describe the buddha - body in their verses.

      • KCI등재

        사회경제적 지위와 정치적 성향이 국가기관 불신에 미치는 영향

        김상돈(Kim Sang-don) 한국사회학회 2009 韓國社會學 Vol.43 No.2

        이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 정치적 성향, 주관적 계층의식, 정책불신, 국가기관 불신에 대해 참여정부 2003년부터 2005년까지를 비교대상으로 하여 경험적 검증을 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04년 자료에서는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사람은 정책불신에 유의미한 부의 인과관계로 나타낸 반면에, 한나라당 지지자들은 정책불신에 유의미한 정의 인과관계로 나타냈다. 2005년 자료에서는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사람은 정책불신에 유의미한 부의 인과관계로 나타낸 반면에, 한나라당 지지자와 보수적 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정책불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3년 자료에서는 정책불신, 한나라당 지지자들은 국가기관 불신에 유의미한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2004년 자료에서는 정책불신, 사회경제적 지위, 주관적 계층의식이 높은 사람은 국가기관 불신에 유의미한 정의 인과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005년 자료에서는 정책불신 변인만이 유의미하게 인과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셋째, 제반 외생변인에 따른 국가기관 불신에 미치는 인과적 영향은 정책불신에 의해 매개된 사실이 2004년 자료에서는 주관적 계층의식, 한나라당 지지자가 구성되었으며, 2005년 자료에서는 주관적 계층의식, 한나라당, 보수성향이 구성되었다는 사실 또한 이 연구에서 밝혀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에서는 참여정부 3년을 비교대상으로 평균차이, 판별수렴타당도, 상관 및 인과관계, 매개효과 등을 분석하여 제시되었으며, 이 연구의 한계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발전적 제언도 설명되었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causal relationships among socioeconomic status, political orientation, policy distrust, distrust in state institutions compared with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for the three years from 2003 to 2005. The analysis results were the followings. First, high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policy distrust while supporter of the Grand National Party had positive effects on policy distrust to the KGSS 2004. On the other hand, high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policy distrust while supporter of the Grand National Party and conservative people had positive effects on policy distrust to the KGSS 2005. Second, policy distrust, supporter of the Grand National Party had positive effects on distrust in state institutions while high subjective identification had negative effect on distrust in state institutions to the KGSS 2003. On the other hand, policy distrust and socioeconomic-status had positive effects on distrust in state institutions while high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distrust in state institutions to the KGSS 2004. While political distrust had positive effects on distrust in state institutions to the KGSS 2005. Third, the mediation effect of policy distrust was partially important in shaping distrust in state institutions to the KGSS 2004 and KGSS 2005. This study are discussed with differences of mean, discriminant-convergent validity, correlation and causation, mediating effects compared with the Participatory Government for the three years from 2003 to 2005. In addition this study are raised with advertising a few limitation and developmental proposal.

      • KCI등재

        初期大乘經典에 나타난 佛身說

        廉点子(松雲) 한국불교학회 2008 韓國佛敎學 Vol.50 No.-

        This article has attempted to examine briefly about the Buddha-kāya(Buddha's Body) theory in early Mahāyāna Sūtras. As each school has it's own unique formation and system, it is observe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emphasized phases by each scripture in the theory of Buddha-kāya. The theory of Buddha-kāya had been existing before Mahāyāna buddhist texts. But in early texts, it emphasizes on the admiring greatness of spiritually awake Śakyamuni-Buddha being one with truth of immortality. Even though Dharma oriented thought is unsatisfactory for an object of faith, because Dharma that Śakyamuni realized was heard and accepted through personality as Śakyamuni it is regarded that comprehension about Dharma-kāya had been included. Therefore, There is no Dharma-kāya oriented view of the Buddha's body as in Mahāyāna Sūtras, but it could be seen that Rūpa-kāya oriented view of the Buddha's body was strong. Through Surveying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theory of Buddha- kāya from the time of fundamental Buddhism to Abhidharma Buddhism as coming to 18 schools. The latter propositions to emphasizing a historical source rather than realistic standpoint, had recognized a boundary by strict distinguishing between Dharma-kāya and Rūpa-kāya. In the Abhidharma Buddhism, the Theravāda and Sarvāstivāda had their theory of Buddha-kāya that is to the real embracement place based on highlighting Dharma-kāya, in contrast to the Mahāsaṃghika had emphasizing on religious idealized Dharma-kāya. Finally, through various improvement of Mahāsaṃghika more emphasizing on idealized Buddha as a super-historic existence, it became Dharma-oriented theory of Dharma-kāya, it is established as the early Mahāyāna buddhism's Buddha-kāya. However, the Buddha-kāya concept improved along with development of dogmatic theology was Buddha's rūpa-kāya who existed historically, but we can't say that there was no comprehension about Buddha-kāya. And when 18 schools, as we make comment on Rūpa-kāya and Buddha-kāya, it was mainly rūpa-kāya. This study has shown that we observed that theory of Buddha-kāya regarding Dharma-kāya and Rūpa-kāya, as entering to Mahāyāna Buddhism period, was moved to Dharma-kāya oriented. 初期大乘經典에 나타난 佛身說은 法身중심의 二身說이다. 法身중심의 二身說은 원시경전에서는 不滅의 진리와 일체가 된 깨달은 석존에 대한 위대성을 찬탄하는 데에 역점을 두고 있다. 이러한 法중심의 사고는 신앙의 대상으로서 만족되지 못하였지만 석존이라는 인격을 통하여 석존이 깨달은 법을 듣고 받아 들였기 때문에 법신에 대한 이해는 포함되어 있었다고 보나 대승경전에서와 같은 法身중심의 佛身觀에는 이르지 못한 色身 중심의 佛身說의 성격이 강했다고 볼 수 있다. 大乘初期經典에서는 法身중심으로 나타나는데 諸佛의 本質論으로서 佛身說 내지 法 그 자체를 佛身으로 보려는 法身사상은 강조되지 않았으며 諸佛의 통일체로서 久遠釋迦佛의 本佛사상과 자비방편으로 大悲誓願의 救濟佛사상을 『無量壽經』과 『法華經』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眞如法身을 강조하는 것이 분명하게 나타나는 『金剛經』을 살펴보면 본질적인 불타와 현상적인 불타를 구별하여 肉身의 불타였던 석존을 숭배하는 것에서부터 佛塔에 모셔진 석존의 유골을 불타의 신체라고 생각했던 불탑 숭배자의 불탑 신앙을 비판하고, 불타의 지혜를 나타내는 般若波羅蜜이야말로 진실한 佛身이라고 말하고 있다. 『維摩經』에서는 菩提의 法을 중심으로 佛身을 생각하고 있으며, 法身의 세계로 가려면 阿耨多羅三藐三菩提心을 일으켜야 하는데 小乘的 生身佛身說을 보다 넓은 차원으로 이끌어 내어 大乘佛敎의 성숙한 佛身說을 수립하게 된다. 十方遍滿의 佛身說로서 『華嚴經』의 佛身說은 十佛世界ㆍ十身具足의 佛身說로서 法身佛과 應化佛이 圓融自在한 佛身說로 나타난다.

      • KCI우수등재

        태현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의 불신론(佛身論) 분석

        박인석(Park, Inn-suk) 불교학연구회 2015 불교학연구 Vol.45 No.-

        이 글은 신라 태현(太賢)이 지은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에 나오는 불신(佛身)에 대한 논의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태현의 이 책은 『대승기신론』의 요점을 주로 법장과 원효의 『대승기신론』주석서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것이지만, 유독 불신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는 『대승기신론』의 범위를 넘어 중국화엄학과 유식학의 문헌에 의거하여 진행하고 있다. 아마도 태현은 불신에 대한 논의에 있어서는 『대승기신론 』및 그것의 주석서에 나온 설명이 충분하지 못하다고 여긴 것으로 보인다. 태현은 불신에 대한 논의를 모두 8개의 문(門)으로 제시하는데,논의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태현이 불신론을 8문으로 나눈 유래에 대해서는 법장의 『화엄오교장』과 규기의 『대승법원의림장』의 영향이 거의 비슷하게 나타난다. 8문의 명칭 등에 대해 태현은 법장과 규기의 영향을 각각 5가지씩 받고 있다. 둘째, 태현은 이 8문에 있어 화엄종 법장의 오교(五敎) 분류, 곧 소승교․시교․종교․돈교․원교의 체계에 맞추어 내용을 분석하고 있다. 문헌으로 보면, 법장의 『화엄오교장』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다. 이 중 예외는 일곱째 문으로, 여기서는 불신을 크게 소승과 대승으로 분류하고 있는 점에서 다른 문과 다르다. 셋째, 8문을 각각 5교의 체계로 설명함에 있어 특히 시교는 규기의 견해에 입각한곳이 많이 발견된다. 이는 첫째부터 넷째까지의 총 4문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태현이 유식학을 시교로 보았음을 확인할 수 있지만, 시교의 내용에 있어서는 법장보다 는 규기의 견해를 더 존중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대승기신론』의 불신에 대한 논의는 둘째 문인 ‘불신의 형량’ 중 종교에서다뤄졌다. 이를 통해 태현이 『대승기신론』을 화엄종의 관점에 따라 종교로 보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는 불신에 국한하자면, 『대승기신론』의 논의보다 훨씬 다양한 관점에서 불신론에 접근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 책에 나타난 태현의 불신론을 살펴보면, 그가 형식적인 면뿐 아니라 내용적인면에서도 법장의 화엄학의 영향을 크게 받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시교, 곧 유식학의 논의에 있어서는 규기의 견해를 매우 존중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책을 지을 당시의 태현은 화엄학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지만, 동시에 유식학에 있어서는 자신의 관점을 분명히 지니고 있었다고 생각된다. 태현 당시의 신라 불교계에서 태현과 같이 불신론을 화엄오교판의 체계에 따라 8문으로 설명하는 모습은 찾기 힘들다. 태현의 불신론이 당시 신라 불교계에서 차지하는 위상에 대해서는 앞으로 의상계(義相系) 화엄학자들과 비의상계(非義相系) 화엄학자들의 불신론을 함께 고찰함을 통해 더 상세히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his dissertation has the purpose to analyze the discussion about Buddha’s Body(佛身) shown in Daeseung gisil-lon naeui yaktam-gi (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A Brief Record of Investigation of the Implicit Meaning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the Mahayana), which was written by Taehyeon (太賢) in the Silla Dynasty. The book by Taehyeon explains the essential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大乘起信論) mainly depending on the commentaries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by Fazang (法藏) and Wonhyo(元曉), but only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Buddha’s body (佛身), he developed his opinions relying on the literature of the sciences of China’s Huayan and Yogacara (唯識) beyond the range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When it comes to the discussion about the Buddha’s body, it seems that Taehyeon regarded the explanations i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its commentaries were insufficient. He suggested Eight Doors for the discussion about the Buddha’s body, the main features are like the below. First, the reason why Taehyeon divided the discourse of Buddha’s body into the Eight Doors was mostly influenced by Fazang’s Huayan wujiao zhang (華嚴五敎章,A Treatise on the Five Teachings of Huayan), and Kuiji’s Dasheng Fayuan yilin Zhang (大乘法苑義林章). Taehyeon was affected by Fazang (法藏) and Kuiji (窺基) for each of their 5 ideologies when it comes to the names of Eight doors, etc. Second, Taehyeon analyzed its content of this Eight Doors following the category of Five Doctrines (五敎) by Fazang (法藏) in the Huayan School. Literatures show that he was greatly influenced by Fazang (法藏)’s Huayan wujiao zhang. However, for the exception between them, the Seventh door is different from other doors in the fact that he divided the Buddha’s body largely into Mahayana and Hinayana. Third, it is frequently found that the primary stage of Mahayana (始教) was based on Kuiji (窺基)’s point of view to explain each of Eight Doors with the system of Five Doctrines, especially from the first to the fourth door. In this respect, I could find out that Taehyeon considered the science of Yogacara as the primary stage of Mahayana (始教), but in its content, he had rather more highly estimated Kuiji’s point of view than Fazang (法藏)’s. Fourth, the discussion about the Buddha’s body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was dealt with in the second door, the Mahayana in its final stage (終教) among ‘the form of Buddha’s body’. From this, I could find out that Taehyeon considered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s the Mahayana in its final stage(終教) from the Huayan School’s point of view. However, only in the aspect of Buddha’s body, he shows that it is possible to be close to the discourse of Buddha’s body from various points of view rather than to the discussion of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For the discourse of Buddha’s body by Taehyeo shown in this book, we can find out that he was largely influenced by Fazang (法藏)’s the Science of Huayan not only for its formative part, but also for its contents. But his attitude towards Kuiji’s point of view was very respectful in the discussion about the primary stage of Mahayana (始教), i.e., the science of Yogacara. So, I think that Taehyeon was greatly affected by the science of Huayan at the time when he wrote this book, and at the same time, that he had his own view on the science of Yogacara. It’s hard to find out if the discourse of Buddha’s Body was explained as the Eight Doors following the system of the five divisions of Buddhism according to the Huayan School (華嚴五敎) like Taehyeon in the Buddhist world of the Silla Dynasty, when Taehyeon lived. I look forward to having detailed research on the state of how much Taehyeon’s discourse of Buddha’s body gave an influence to the world of Silla Buddhism at that time by studying the discourses of Buddha’s body of the Huayan scholars in U

      • KCI등재

        미디어 이용이 사회적 불신과 정치신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구교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5 No.-

        신뢰는 민주주의에 요구되는 상호 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킬 수 있는 귀중한 사회자본(social capital)이다. 사람들이 사회에 대해 가지는 불신의 정도는 사회변동의 주요 주체인 정치영역 평가에 영향을 미친다. 사회를 불안하게 혹은 불확실하게 생각할수록 정치에 대한 불신은 증대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미디어의 부정적 뉴스 프레임 현상도 사회적 불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평가받고 있다. 본 논문은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정치 신뢰에 영향을 주는 두 요인 즉, 미디어 이용과 사회적 불신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매체 유형별 사회적 불신 정도에 대한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한 구조방정식 분석결과는 미디어 이용량과 사회적 불신에 대한 연구가설을 부분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불신에 대한 전통적 미디어인 신문과 방송의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인터넷 이용은 사회적 불신과 유의미하게 관계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구조방정식을 통한 연구결과는 사회적 불신이 정치(정당, 국회, 정치인)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인임을 보여주었다. 미디어 이용은 사회적 불신을 매개하여 정치에 대한 신뢰 형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사회적 불신과 정치신뢰 사이에는 부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존재하여, 사회적 불신이 높을 때 정치 신뢰를 획득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의 신뢰를 얻고자하는 정치 주체들은 자신이 부여받은 정치적 임무와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생활 속에서 국민들의 불안과 불확실성을 제거하려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Political trust is a valuable social capital which would promote participative democracy. Individual's evaluation of political sphere has been influenced by social distrust. A person who tends to think of society as distrust is more likely to have political distrust. In addition, the negative news frame of political events has been increased and this trend has had a negative impact on political trust. Thus, this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use, social distrust, political trust, based on online survey. The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use of internet and social distrust,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raditional media use and social distrust. The study also revealed that social distrus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Korean politics(political party, national assembly, politician).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dicated that media use influenced a person's perception of political trust through social distrust. This finding might imply that political subjects seeking people's trust have to make an effort to decrease people's social distrust.

      • KCI등재

        B2B 거래에서 신뢰와 불신에 대한 선행변수 및 결과변수에 대한 연구

        김종근,이서구 한국유통학회 2009 流通硏究 Vol.14 No.2

        본 연구는 기존의 신뢰와 관련된 연구들을 토대로 불신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하고자 하였다. 즉 과거 불신에 대한 대부분의 연구들은 신뢰와 불신은 단일연속 상에서 존재하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으로서, 신뢰는 좋은 것이며, 불신은 나쁜 것이라고 보고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신뢰와 불신은 서로 구별이 가능한 독립적인 개념이며, 동시에 동일 관계에서 공존할 수 있는 개념임을 실증적으로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불신도 거래관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전제하에 기존 연구들에서 불신을 부정적인 관계변수로 제안한 것에 대한 반대 견해를 제시하고 이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 입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신뢰 및 불신에 대해 다양한 선행변수들을 동시적으로 또는 차별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신뢰 및 불신의 구별가능성 및 공존가능성을 입증하고자 하였고, 긍정적 관계변수로서의 불신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협력 및 기능적 갈등에 미치는 불신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신뢰의 선행변수들 및 결과변수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도출하였으나, 불신의 선행변수들 및 결과변수들에 대해서는 일부 가설들이 기각되었다. 그러나 불신에 대해서 차별적으로 제시되었던 선행변수들인 거래특유자산과 환경적 불확실성과 함께 동시적으로 제시되었던 명성에 대한 연구가설이 모두 지지됨에 따라 신뢰와 불신의 구별가능성 및 공존가능성에 대해서 어느 정도 실증적으로 규명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기능적 갈등에 대한 불신의 긍정적 영향에 대해서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불신이 거래 관계상 긍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