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김세권(Kim, Sei-Gwon) 한국재산법학회 2013 재산법연구 Vol.30 No.1

        한국 현행민법과 일본 현행민법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하여 비슷한 체계를 두고 있다. 한국 현행민법은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제766조 제1항이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의 청구권은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간 이를 행사하지 않으면 시효로 인하여 소멸한다.", 동조 제2항은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 10년을 경과한 때에도 전항과 같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그리고 일본 현행민법 제724조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은 피해자 또는 그 법정대리인이 손해 및 가해를 안 때부터 3년간 행사하지 않은 때에는 시효로 소멸한다. 불법행위시부터 20년을 경과한 때에도 같다."고 규정하여 주관적 기산점과 객관적 기산점을 규정하고 있어서 주관적 시효체계와 객관적 시효체계라는 이중적 규정구조체계를 취하고 있다는 점이 동일하다. 한편, 동일한 이중적 규정구조체계를 가지고 있는 한국 현행민법과 일본 현행민법의 권리행사기간제한, 특히 장기 권리행사기간제한에 있어서 차이점만을 보이고 있을 뿐이다. 즉,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의 단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은 3년으로 동일하지만, 장기 권리행사기간제한에 있어서 우리 현행민법은 10년임에 반하여 일본 현행민법은 20년으로 다르다는 점이다. 그런데, 한국 현행민법과 일본 현행민법에 대하여 민법개정안이 제시되었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관하여 한국의 민법개정위원회의 민법개정안은 다음과 같다.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단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을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그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을 '5년'으로 변경(개정안 제766조 제1항)하였고, 장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을 그 기산점을 '불법행위를 한 날로부터'에서 '손해발생일'로, 그 기간을 '10년'에서 '20년'으로 연장하였다(개정안 제766조 제2항). 한편 일본민법개정에 관해서는 민법개정연구회, 민법(채권법)개정검토위원회, 특히 시효제도 전반에 대하여 시효연구회 등에 의한 민법개정안을 제안하기에 이르렀다. 본고에서는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대한 한국의 민법개정안과 일본 민법개정안들을 검토한다. 이어서 불법행위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제기될 수 있는 쟁점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민법관의 전환과 인격권의 중시, 불법행위법의 기능 변화 등을 검토함으로써 소멸시효제도의 존재이유에 대한 재검토 배경을 고찰한다. 그리고 한국의 민법개정안과 일본의 민법개정안들을 검토함으로써 불법행위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에 있어서 제기될 수 있는 쟁점들(①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권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규정체계 문제, ②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단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의 연장문제, ③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장기 권리행사기간제한의 법적 성질에 관한 문제, ④ 계속적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의 소멸시효 기산점에 관한 문제, ⑤ 인격권 침해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에 대한 권리행사기간제한에 관한 규정의 필요성 문제)에 대하여 고찰한 뒤에 한국의 민법개정안에 대하여 수정안을 제시하는 것을 본고의 목적으로 한다. The current Civil Act of Korea and the current Japanese Civil Act has a similar system for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Article 766.1 of the current Civil Act of Korea provides that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shall lapse by prescription if not exercised within thre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f his agent by law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Also, paragraph 2 of this provision provides that 'the provisions of paragraph (1) shall also apply if ten years have 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unlawful act was committed'. In addition, Article 724 of the current Japanese Civil Act provides that 'the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shall lapse by prescription if not exercised within thre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f his agent by law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The same rule shall apply if twenty years have lapsed from the time when the unlawful act was committed'. Based on those provisions, they share dual-provision systems, such as subjective prescription system and objective prescription system, because each of them stipulates both subjective starting point of counting and objective starting point of counting. Meanwhile,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 current Civil Act of Korea and the current Japanese Civil Act, which have the same dual-provision systems, is the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in particular, the long-term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In other words, the short-term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for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is 3 years for both the Korean and Japanese Civil Acts, while the short-term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is 10 years for the Korean Civil Act but 20 years for the Japanese Civil Act. However, a proposed amendment to the current Korean and Japanese Civil Acts was suggested. The draft of amendments to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suggested by the Korea Civil Act Amendment Committee, are as follows: amending 'thre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f his agent by law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to 'five years commencing from the date on which the injured party of his agent by law becomes aware of such damage and of the identity of the person who caused it (Article 766.1 of the Proposed Amendment); and changing the starting point of counting from 'the date when the unlawful act was committed' to 'the date when the damage was occurred' and expanding '10 years' of the starting point of counting (as the long-term restriction on exercising a right) to '20 years' (Article 766.2 of the Proposed Amendment) Meanwhile, with respect to the amendment to the Civil Act of Japan, the Civil Act Amendment Committee, the Civil Act (Law of Obligations) Amendment Review Committee, and, in particular, the Prescription Research Institute on overall prescription have suggested the amendment to the Civil Act of Japan. This study examines the drafts of amendment to the Korean Civil Act and that of the Japanese Civil Act in connection with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Also, it examines the conversion of the philosophy of civil act, emphasis on personality right and change in function of the tort law in order to consider and focus on any possible issues on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In addition,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following issues, which may occur in connection with extinctive prescription of a right to claim for damages resulting from an unlawful act and then to propose a revision

      • 온라인게임에서의 불법적 채권간섭

        김종일 서울대학교 기술과법센터 2011 Law & technology Vol.7 No.6

        민법상 불법행위에 해당하는 효과로서 사후적인 손해배상청구 외에 사전적 조치로 금지 및 예방을 청구할 수 있다고 한 대법원의 결정으로 인해 부정경쟁방지법에 열거되지 않은 새로운 유형의 부정경쟁행위들에 대한 관심이 깊어지고 있다. 이는 특허청이 부정경쟁방지법 일부개정을 통해“그 밖에 타인의 상당한 투자나 노력에 의해 만들어진 성과 등을 무단으로 사용하여 타인의 경제적 이익을 침해하는 행위”라는 보충적 일반조항을 부정경쟁 행위의 개념에 삽입하는 논의를 본격화 하고 있는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 영미법은 이러한 새로운 유형의 부정경쟁행위들을 Business Torts의 영역에서 다루어 왔으며, 특히 부정경쟁행위들의 유형 중 “침해자가 타인과 제3자의 현재 또는 장래의 계약관계를 침해하는 행위”에 대해서는 이른바‘불법적 채권간섭’이라는 법리를 확립하여 왔다. 즉, 타인의 영업을 방해하는, 실생활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행위들이‘불법적 채권간섭’의 훌륭한 검토 주제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침해행위로 인해 간섭되는 계약의 당사자가 수천만 명에 이르는 온라인게임에서의 불법적 채권간섭 사례는 바로 이런 점에서 흥미로운 검토거리가 되는 것이다. ‘오토프로그램’으로 불리는 온라인게임 자동사냥 프로그램의 배포행위는, 당해 오토프로그램을 사용하는 수만명의 게임이용자가 각각 게임회사와 체결한 약관을 위반하도록 유도하고, 이로 인해 게임회사에 손해를 발생시키게 된다는 점에서 불법적 채권간섭의 요건을 갖춘 것으로 해석된다. 또한 게임아이템 현금거래 중개사이트 운영자의 중개행위는, 당해 중개사이트를 이용하여 현금거래하는 수십만 명의 게임이용자가 각각 게임회사와 체결한 약관을 위반하도록 유도하고, 이로 인해 게임회사에 손해를 발생시키게 된다는 점에서 역시 불법적 채권간섭의 요건을 갖춘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의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은 이미 오토프로그램 배포행위 및 일부 게임아이템의 현금거래 중개행위를 금지하는 조항을 두고 있다. 게임산업에서의 질서유지를 위한 공법적 대안으로 마련된 동 금지조항에 대해 불법적 채권간섭의 법리는 규제의 사법적 근거를 제시하여 줄 수 있다. The Korean Supreme Court Ruled that on top of the conventional means of claim for damageswhich is a post-facto measure applicable to torts under the Civil Code, a claim for a ex ante, in the formof prohibitive and preventive measures can be claimed, triggering a surge of interest in any new formsof acts of unfair competition that may be added to the list of “acts of unfair competition in the UnfairCompetition Prevention and Trade Secret Protection Act (UCPTSPA). The Korean IntellectualProperty Office (KIPO) has lately initiated a discussion to partially revise the UCPTSPA insert ageneral supplementary provision, “and other acts that infringe on the economic gains of others bymeans of unauthorized use of the outcome of substantial investment or effort of others’”to thedefinition of “acts of unfair competition”, which is not irrelevant to such development. The Anglo-American Law has been treating such new forms of acts of unfair competition within the context ofBusiness Torts. Notably, the Anglo-American Law treats the “acts where the violator infringes on thecurrent or future contractual relationship between the affected party and a third party”among acts ofunfair competition, under the notion of ‘tortuous interference with contract’. As such, common acts ofhinder others’business in our daily lives may be great topics to be reviewed within the context of“tortuous interference with contract”. It will be particularly interesting to review the applicability of thisnotion of tortuous interference with contract to the online gaming industry where the affected parties tocontract as a result of the infringement can reach some dozens of millions in number. One examplemay be the act of distributing on-line game Auto-hunting bot dubbed “auto-programs.”Suchprograms induce their users, usually reaching tens of thousands in number, to violate the EULA forgedwith the game providers, consequentially inflicting financial damage on the game providers. In thisrespect,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defining conditions for tortuous interference with contract isestablished. Another example is the intermediation behaviors of Intermediation web sites of trading ofvirtual game properties with cash, which induce their users, usually numbering tens of thousands, toviolate the EULA forged with the game providers, consequentially inflicting financial damage on thegame providers. Here, the defining conditions for tortuous interference with contract is establishedagain. The provisions of the Game Industry Promotion Act of Korea already fully prohibits the distribution of “auto programs”and partly prohibits the purchase of virtual game items with real worldcash. The legal principle underlying tortuous interference with contract will provide a solid “privatelaw”basis to this provision established as a “public law”solution for the maintenance of order in thegame industry.

      • KCI등재

        부법행위(不法行爲)로 인한 손해배상범위(損害賠償範圍)에 있어 민법 제393조의 적용에 관한 소고(小考)

        이현석 경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19 No.1

        손해배상책임의 성립기초는 민법 제390조의 계약책임과 민법 제750조의 불법행위책임으로 나누어진다. 전자는 고의 또는 과실 · 계약위반 · 인과관계 및 손해의 발생을 후자는 고의 또는 과실·위법성 · 인과관계 및 손해의 발생을 요건으로 한다. 양자사이에는 ``권리침해"라는 요건과 ``위법상"이라는 요건에서 차이가 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손해가 발생한 경우에 어느 범위까지 손해를 배상하여야 하는가의 문제가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문제이다. 즉. 어떤 기준에 의하여 배상의 범위를 정할 것인지가 문제이다. 그런데 제763조는 제393조를 그대로 준용하고 있어 적어도 우리나라에서는 불법행위법과 계약법의 손해배상에 관한 범위가 동일하다. 과연 이와 같은 준용이 타당한지 의문이 든다, 왜냐하면 민법 제393조는 ``예견가능성"이란 기준을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계약상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서의 예견가능상을 전제로 하는 것이지 보통의 불법행위에서는 예견가능상이란 것이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는 것이기 때문이다. 또한, 손해배상의 범위에 관한 규정들을 비교법적으로 살펴보면 독일민법 제249조는 완전배상주의를 기본으로 하고 있고, 일본 민법에서는 채무불이행에 있어서 손해배상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416조가 있으나 불법행위에 대해서는 동 규정을 준용하는 규정을 두고 있지 않다. 민법 제393조에 대한 해석은 입법적 연혁이 된 영미계약법의 원칙을 검토하여야 한다. 영미법에서 손해배상의 구조는 계약법과 불법행위법이 서로 다르다. 채무불이행에 있어서는 민법 제393조와 영국계약법과의 비교검토를 통하여 타당한 해석을 구할 수 있겠으나, 불법행위에 있어서는 만법 제393조를 비교한다는 것이 어렵다, 이는 통장손해와 특별손해의 구분이 우랴 민법의 해석론으로 전개되는 것과 같이 통상의 사정이나 특별한 사정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계약을 통하여 추구하고 획득하게 되는 이익에 관련된 것이기 때문이다. 불법행위법에서 이러한 이익을 기초로 손해를 구분하는 것은 무의미하며, 또한 불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제393조 제2항의 특별손해가 채무불이행에서는 실제로 배상의 범위를 획정하는 기준이 되지만, 불법행위에서는 원고의 청구를 배척하기 위한 이유로 변용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우리 판례가 채무불이행과 불법행위에서 보여주는 차이를 설명할 수 있게 된다. 불법행위법에서 손해배상의 범위를 결정하는 구조는 비록 민법 제393조를 준용하고 있으나, 배상의 범위를 결정하는 구조가 채무불이행과 다르다는 점과 제2항의 "특별한 사장으로 인한 손해"의 요건이 배상의 범위를 결정하는 기준으로 작용하지 않고 원고가 청구한 손해를 배척하기 위하여 활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채무불이행과는 전혀 다른 독특한 구조로 변질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통설과 판례가 따르고 있는 상당인과관계론과 민법 제393조의 구조 사이의 불일치에서 유래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불일치는 민법제정과정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구조적 차이에도 현행 제763조를 유지하는 것은 혼란을 가중할 수 있기 때문에 입법적으로 불법행위에서의 독자적인 손해배상 범위를 신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損害賠償責任の成立基礎は民法第390條のオビリゲ一ションと民法第750條のブルボブへングウィチェックなので分けられる. 電子は故意または過失契約違反因果關係及び損害の發生を後者は故意または過失違法性因果關係及び損害の登生を要件にする. 兩者聞には “權利侵害” という要件と “違法性” という要件で差がある. そしてこれによって損害が登生した場合にどの範圍まで損害を賠償しなければならない問題が損害賠慣の範圍に關する問題だ, すなわち, どんな基準によって賠償の範圍を決めることかが問題だ. ところで第763條は第393條をそのまま準用していて少なくとも我が國では不法行爲法と契約法の損害賠償に閱する範圍が等しい. 果してこのような準用が妥當か疑問が入る. 何故ならば民法第393條は ``予見可能性`` と言う(のは)基準を使っているのにこれは契約上質請けと借方の間での予見可能性を前提にすることであって普通の不法行爲では予見可能性と言うのがそのまま適用されることはできないことだからだ. また, 損害賠償の範圍に關する規定たちを比較法的によく見ればドイツ民法第249條は完全賠償注意を基本にしているし, 日本民法では債務不履行において損害賠償の範圍を制限するために第416條があるが不法行爲に對しては東規定を準用する規定を置いていない. 民法第393條に對する解釋は立法的沿革になった英米契約法の原則を檢討しなければならない, 英米法で損害賠償の構造は契約法と不法行爲法がお互いに遣う. 債務不履行においては民法第393條とイギリス契約法との比較檢討を通じて他當ぎり解釋を求めることができるが, 不法行爲においては民法第393條を比べるということが難しい. これは通常損害と特別損害の仕分けが私たちの民法の解釋論に展開されることのように通常の事情や特別な事情によって仕分けされるのではなく, 契約を通じて追い求めて獲得するようになる利益に係わることだからだ. 不法行爲法でこのような利盆を基礎で損害を區分することは無意味であり, また不可能だ. そうだから第393調劑2項の特別損害が債務不履行では實際に賠償の範圍を區畵設定する基準になるが, 不法行爲では原稿の請求を排斥するための理由に變容きれているのだ. ここで私たちの判例が債務不履行と不法行爲で見せてくれる差を說明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る. 不法行爲法で損害賠償の範圍を決める構造はたとえ民法第393條を準用しているが, 賠償の範圍を決める構遣が債務不履行と違うという点と第2抗議 “特別な事情による慣害” の要件が賠償の範圍を決める基準で作用しないで原稿が請求した損害を排斥するために活用されているという点で債務不履行とは全然遣った拙特の構造で變質されたと言える. これは通說と判例がよっている相當因果關係論と民法第393條の構造の聞の不一致で由來したものと言える. このような不一致は民法制定過程でも現われている. このような構造的差にも現行第763條を維持することは混亂を重〈なることができるから立法的に不法行爲での獨自の損害賠償範圍を新設するのが望ましい.

      • KCI등재후보

        중국 불법행위법 제정의 현황과 전망

        이상욱(Lee Sang-Wook)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論叢 Vol.22 No.-

        1978년 중국 정부가 개혁개방 노선으로 기본정책의 전환을 추진한 후 그동안 중국에서는 민사관련 법제의 제정과 정비가 매우 활발하게 추진되었다. 예컨대 민법총칙, 담보법, 계약법, 물권법 등이 제정되어 시행되고 있으며 이제 불법행위법만 정비가 된다면 민법전제정도 조만간 성사될 것으로 기대된다. 아직 중국에는 독립된 불법행위법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민법총칙의 개괄적인 규정과 최고인민법원의 사법해석에 의존하고 있을 뿐이다. 이처럼 불법행위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에 대한 법리나 법제가 빈약함으로써 피해자의 보호에 여러 가지 어려움이 야기될 것이라는 점은 쉽게 예상할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최근 불법행위법 제정에 착수하여 2008년 12월 23일 侵權責任法(불법행위법) 2次審議稿를 발표하였다. 또한 학계에서는 일찍부터 민법전의 독립된 한 편으로 불법행위법을 제정할 것을 주장하면서 민법전 편제 중의 한 내용으로서 불법행위법의 초안을 제시하였다. 梁慧星 敎授가 중심이 되어 기초한 중국사회과학원의 법안과 王利明 敎授가 중심이 되어 기초한 법안이 있고, 최근 중국법학회의 연구과제로서 제출된 楊立新 敎授의 초안 등을 들 수 있다. 중국의 불법행위법 초안은 총 12장 88개 조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장 : 일반규정(제1조 - 제6조) 제2장 : 불법행위 책임요건과 책임내용(제7조 - 제25조) 제3장 : 책임면제와 감면(제26조 - 제30조) 제4장 : 책임주체에 관한 특별규정(제31조 - 제38조) 제5장 : 제조물책임(제39조 - 제45조) 제6장 : 자동차손해배상책임(제46조 - 제52조) 제7장 : 의료사고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제53조 - 제66조) 제8장 : 환경오염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제67조 - 제71조) 제9장 : 위험책임(제72조 ; 제77조) 제10장 : 동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제78조 - 제81조) 제11장 : 공작물로 인한 손해배상책임(제82조 - 제87조) 제12장 부칙 으로 구성되어 있다. 현재 심의가 진행 중인 불법행위법 초안은 그 내용이 구체적이지 못하고 개괄적이라는 비판을 면할 수 없을 것이다. 더구나 행정법적인 성격을 띤 내용은 삭제하는 등 일련의 정비가 필요하다고 보인다. 과연 앞으로 어떠한 내용의 불법행위법이 제정될 것인지 주목해 볼 일이다. 특히 학계에서 주장되고 있는 내용들이 어느 정도 반영될 것이지도 관심의 대상이 된다. Chinese government have selected their national policy as reforming and opening on 1978. Since then, China promotes briskly to reform and maintain the civil legislations. For example, China reformed the general civil provision, guarantee law, contract law and reality of law areas; China is now ready to maintain the tort law area to change and reform the civil code. China still hasn't regulates the tort law up to a recent time; which means China rely only upon general civil provision and private statute interpretation. Thus, when there were illegal acts, there will be occurred several difficulties to protect the injured party, due to poorness of the legislation on the compensation. Chinese government announced the substances of the draft of the tort law on December 23rd, 2008. This essay will introduce the analysis on the draft of the chinese tort law. The draft of the chinese tort law constitutes 12 chapters with 88 articles. Chapter 1 : General provision (§ 1 - § 6) Chapter 2 : Requirement and contents on the tort liability (§ 7 - § 25) Chapter 3 : Exemption and mitigation from liability (§ 26 - § 30) Chapter 4 : Special regulations on the main liability constituent (§ 31 - § 38) Chapter 5 : Product liability (§ 39 - § 45) Chapter 6 : Automobile third party liability (§ 46 - § 52) Chapter 7 : Liability of compensation on the medical mistakes (§ 53 - § 66) Chapter 8 : Liability of compensation on the environmental pollution (§ 67 - § 71) Chapter 9 : Liability on the risk (§ 72 - § 77) Chapter 10: Liability of possessor of animal (§ 78 - § 81) Chapter 11: Liability of possessor, owner of the structure (§ 82 - § 87) Chapter 12: Addenda

      • KCI등재

        불법쟁의행위와 조합원 연대배상책임의 제한

        노병호(ROH, Byoung-ho),김태현(KIM, Tae-hyun)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5 江原法學 Vol.44 No.-

        위법한 쟁의행위가 불법행위를 구성하는 경우에 노동조합, 조합간부 및 근로자들이 배상해야 할 손해의 범위는 그 위법한 쟁의행위와 상당인과관계가 있는 모든 손해이고, 위 각 주체들은 부진정연대책임을 부담하게 된다. 현실적으로 사용자의 손해배상ㆍ가압류는 불법쟁의행위에 적극 가담한 조합원에 대하여 이루어지고 있고, 임금결정, 단체협약 타결 시 노사화합차원에서 취하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사정은 불법쟁의행위자에 대한 손해배상ㆍ가압류가 사용자가 조합원 또는 노동조합을 회유하는 수단으로 악용될 소지가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그리고 가압류는 사용자 일방의 소명에 의해 결정되고, 본안소송 확정시까지 가압류의 효력이 장기간 지속되어 불법쟁의행위에 참가한 근로자(나아가 가족)의 생계유지 및 노동조합의 활동에 심각한 곤란을 가져온다. 근로자들에 대한 손해배상명령의 집행의 경우 현행법 하에서는 임금과 퇴직금 등에 대한 2분의 1 범위 내라는 민사집행법의 입법적 제한을 제외하고는 현행법상 그 외 제한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현재 우리나라의 판례는 개인책임긍정설의 입장에서 공동불법행위가 이루어진 경우, 불법행위자 1인이 발생한 손해 전부에 대한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쟁위행위에 관여한 자의 역할, 행위의 정도, 관여도를 고려하지 않고 파업이 불법쟁의행위로 판단되는 경우 사용자가 특정 몇몇 개인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손해배상 청구ㆍ가압류를 하고, 법원이 기계적인 공동불법행위 연대책임 법리에 따라 그들에게 불법쟁의행위에 따른 손해 ‘전부’의 배상을 명하는 것은 헌법상 권리인 노동3권의 실질적인 보장을 저해하고 노동3권 특히 단체행동권의 행사를 제한하게 만드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연대책임 법리를 완화하여 근로자 개인에 대한 손해배상책임을 일정 한도로 제한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If an illegal strike is per se tort, the Union, its management, and the employees share joint and several liability for all damages considered to be reasonably caused by the illegal strike. In reality, the employer seeks reparation for damages and files for injunction against union members who have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illegal strike only to withdraw said suit and injunction when an agreement is reached in regards to wages or collective agreement on the pretext of goodwill between labor and management. Such practice can be construed as a means for management to abuse in appeasing the union and its members to follow the line. This is especially true in the case of injunction, as an injunction may be ordered on the grounds of the employer"s account alone and the effect stands as long as until the original suit is decided by the court, which is severely detrimental to the livelihood of the union member and their families and activities sought by the union. Under the current law, the only protection for employees is the limitation set by the Civil Enforcement Act, whereby the enforcement of reparation for damages is limited to 1/2 of wages or pension of an employee, while otherwise there are no other constraints to curve the legal pursuits by the employer. In Korea, the court dictates that in the case of joint tort, any of the one person is responsible for the full amount of damages in liability. However, if one does not distinguish and take into account the role that a member had partaken in the strike or the degree of the action and involvement, it enables the employer to selectively file suit and injunction against any member who would become vulnerable to the court"s decision in assigning compensation for all damages to that person by the strict application of the joint and several liability doctrine, which is a serious impediment to the actual protection of labor rights protected by the Constitution as it limits the extent to which a person or union can exercise its right of collective action. Therefore, the need to alleviate the joint liability doctrine and restrict the extent of personal liability for employees is strongly called for and in need of discussion.

      • KCI등재

        ‘가치이전형’ 공동불법행위에서 주모자가 피해자에게 전액을 배상한 후에 그 불법행위로 인한 이득을 모두 보유하고 있는 가담자에게 구상청구할 수 있는가?

        정태윤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4 法學論集 Vol.18 No.4

        The generally accepted theory in Korea requires that in determining the apportionment of each of the joint tortfeasors, consideration be given to, among other factors, the degree of intent and negligence of each joint tortfeasor, degree of liability, causation between the tort and the damage incurred, and the ability to make payment. Also I do not deny that the tactors above should be considered in allocating damages among joint tortfeasors. However, I should note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is analysis, which is that there are two types of torts. One is called a “value reduction or extinction tort”, in which as in traffic accidents or medical accidents, the tortfeasor obtains no economic gain as a result of the tort and the physical or economic value of the injured party is permanently impaired. The other type is called a “value transfer tort”, in which, as in torts under fraud or duress, the property or economic value of the injured party is transferred to the tortfeasor as a result of the tort. What is important is that the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determination of compensation differ depending upon the type of the tort. It is unquestionable that the equitable apportionment of liability should be the basis for the right of reimbursement between joint tortfeasors. This right of reimbursement is not a vague right that is granted on an exceptional or dispensational basis but rather a specific property right protected by law. Further, where a tort has generated benefit for the joint tortfeasors, the benefit obtained through the tort should be regarded as the critical factor in apporting liability. Otherwise, (ⅰ) a party will be permitted to enjoy benefits to which it is not entitled, and (ⅱ) this distorts the purpose of the right if reimbursement. If a joint tortfeasor has profited from committing a tortious act, that profit must serve as the decisive criterion in apportioning liability for purposes of reimbursement between joint tortfeasors unless the context otherwise requires. This conclusion follows naturally from an understanding of the legal grounds for the right of reimbursement and also corresponds to the position taken by Korean courts. Supreme Court Judgement dated June 13, 2013, reestablished the legal principle that when a tortious act is an act of taking possession, such as fraud, embezzlement and mal practice, allowing the tortfeasor to ultimately retain the profit earned from the tort goes against the concept of equity or the principle of good faith with respect to comparative negligence. This legal principle should also be applied when determining the apportionment of liability between joint tortfeasors. 공동불법행위자 중의 1인이 피해자에 대하여 자신의 부담부분 이상을 변제하여 공동면책을 얻게 하였을 때는 다른 공동불법행위자에 대하여 그 부담부분의 비율에 따라 구상권을 행사할 수 있는데, 이때 그 부담부분의 비율을 판단함에 있어서 대법원은 원칙적으로 각 공동불법행위자의 과실의 정도 내지는 기여도를 참작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기준을 내세우는 판결의 사안은 대체로 교통사고의 경우와 같이 불법행위로 인하여 가해자가 얻은 경제적 이득은 전혀 없고 오로지 피해자의 신체적 법익 또는 경제적 가치만이 영구적으로 소실하는 불법행위 - 이른바 ‘가치감소 내지 소멸형’ 불법행위 - 이다. 그러나 사기나 횡령 등의 경우와 같이 불법행위로 인하여 피해자의 재산 내지 경제적 이익이 가해자에게 이전되는 불법행위 - 이른바 ‘가치이전형’ 불법행위 – 의 경우에는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의 부담부분의 일차적인 결정기준은 그 불법행위로 취득한 이익이 되어야 할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발생한다. 물론 ‘가치이전형’ 공동불법행위에서의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의 이익의 배분은 대부분의 경우 각자가 그 불법행위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서 행하여지겠지만, 그러나 예외적으로 공동불법행위자의 주모자는 전혀 그 이익을 가지지 않은 반면에, 그 지시에 따른 단순가담자가 그 이익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도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그 주모자가 피해자에 대하여 손해 전부를 배상하였다면, 그는 그 이익을 보유하고 있는 단순가담자에게 배상액 전부(또는 상당한 부분)에 대하여 구상 청구할 수 있는가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만약 이를 인정하지 않는다면 불법행위자 가 불법행위로 취득한 이익을 최종적으로 보유하는 것을 용인하는 결과가 되어 부당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의 구상과 관련하여 각자의 부담부분을 결정함에 있어서 그 이익을 결정적인 기준으로 삼는 것이 타당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문제의식하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공동불법행위에서의 구상권의 근거 및 그 법적 성질에 관하여 검토한 다음, 이를 기초로 하여, 가치이전형 공동불법행위자의 부담부분의 비율을 판단함에 있어서 그 불법행위로 취득한 이익이 결정적인 기준이 되는가에 관하여 법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나아가 우리의 실무의 입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치이전형 공동불법행위에서는 공동불법행위자 상호간의 구상과 관련하여 각자의 부담부분을 결정함에 있어서 특별한 사정이 없으면 그 이익이 결정적인 기준이 되어야 한다고 하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

        독일민법에 있어서 불법행위법의 발전과 위험책임

        박규용 ( Park¸ Kyu-yong ),김종현 ( Kim¸ Jong-hyun )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원 2021 국제법무 Vol.13 No.2

        고의나 과실로 인한 위법행위로 타인에게 손해를 입히는 행위가 불법행위이고, 우리나라 민법 제750조는 이 경우에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손해를 배상할 책임이 있는 것으로 규정하고 있다. 이것은 누구도 정당한 권한 없이 타인의 권리나 법익을 침해하여 그에게 손해를 입히지 못한다는 점에 근거하고 있으며, 손해의 전보를 타인에게 부담시키기 위해서는 정당화사유로서의 특별한 근거를 필요로 하게 된다. 불법행위책임은 고의 또는 과실에 의하여 타인에게 손해를 가한 경우에만 가해자가 손해배상의 책임을 지는 것으로 하는 과실책임주의를 토대로 하고 있고, 과실책임주의가 불법행위의 원리로 확립된 것은 근대에 이르러서이다. 현대사회로 접어들면서 개인의 권리나 법익이 증대함에 따라 불법행위가 발생하는 사례도 많아지게 되었고, 과실ㆍ위법행위ㆍ손해라는 세 가지의 개념을 불법행위의 성립요건으로 하는 일반규정의 형식을 취하였는데, 이것은 다양한 유형의 불법행위를 포괄하고 개별 사안에 따라 탄력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구체적 타당성을 실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19세기에 전개된 산업화와 함께 시작된 현대적 의미에서의 위험책임의 발전은 현재까지도 중단되지 않고 이어지고 있으며, 이것은 새로운 유형의 위험원인들이 계속해서 책임법적으로 다루어진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기술적 시설이나 설비들이 막대한 피해를 유발할 수 있다는 잠재성은 이미 일반대중에게 알려지게 되었고, 입법자는 새로운 위험 책임요건들의 도입으로 대응해야 하는 필요성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민법이 불법행위에 있어서 일반규정의 형식을 취한 반면, 독일민법은 제823조 제1항에서 “고의 또는 과실로 타인의 생명, 신체, 건강, 자유, 소유권 또는 기타의 권리를 위법하게 침해한 사람은, 그 타인에게 이로 인하여 발생한 손해를 배상할 의무를 진다”고 규정하여, 불법행위법에서 보호받는 객체를 개별적으로 나열하고 있다. 이러한 차이점을 토대로 독일 불법행위법의 발전 및 기본개념 그리고 위험책임에 의한 불법행위법의 보충의 문제를 살펴보고, 독일민법의 형식과 내용을 계수한 우리나라 민법의 입장에서 독일 불법행위법의 발전과정을 비교법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불법행위법의 폭넓은 이해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t is the tort to damage the others with illegal practice by intention or fault and Article 750 of Korean Civil Law stipulates that the offender has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ng the victim for the damage regarding this case. It is based on that it is not allowed for anyone to cause the damage to the others by infringing their rights or legal interests without the legal authority and the special ground is required to burden them with the transfer of the damage as the justifiable cause. It is based on the principle of liability with fault that the offender has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ng for the damage in the case only of causing the damage to the others by intention or fault regarding illegal practice and it is just modern times for the principle of liability with fault to be established as the principle of illegal practice. More cases of illegal practice were generated along the increase of individual right and legal interests as it gets to modern society and three concepts called fault, illegal practice and damage were taken as the form of general regulation that becomes the requirement for establishment of the practice, however, it has the merit that fulfills the specific validity by including the varies types of illegal practices and applying it according to individual case. Meanwhile, the development of strict liability has been keeping continued without interruption as the modern meaning that began with the industrialization in 19<sup>th</sup> century and it suggests that new types of strict liability were treated as the liability continuously. The latency that technical equipment or facilities can the enormous damage is widely known to the public and it is the current status that the necessity that the legislator should respond to it by adopting new requirements for strict liability has been risen gradually. Korean Civil Law takes the form of general regulation regarding illegal practice, on the other hand, German Civil Law arranges the objects protected in Tort Law individually by stipulating “the person who infringes the life, body, health, ownership or other right of the others intentionally or by fault has the responsibility for compensating for the occurred damage” in Clause 1, Article 823. Based on such differences, it is expected to be helpful for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Tort Law by looking into development of Tort Law, basic concept and supplementation of Tort Law by strict liability in Germany and reviewing the developing process of German Tort Law in comparison by the point of Korean Civil Law that took the forms and contents of German Civil Law.

      • KCI등재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의 도입

        김인호 대한변호사협회 2024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519

        International business transactions may face concurring claims in tort arising in connection with a contract. The principle of party autonomy has been well developed in a contract. On the other hand, there has been little experience on the operation of party autonomy in the field of t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amine whether party autonomy is to be introduced in tort, and, if it is, it's the extent and limits. It is time to revisit the Private International Law with party autonomy in a limited fashion to expand party autonomy to enhance legal certainty and also to protect weaker parties. In particular, it is necessary to put limits on party autonomy to protect weaker parties. The revision could get a lesson from Rome II Regulation extending party autonomy to a tortious obligation with necessary limits. While article 14 of the Regulation allows an ex ante choice as well as an ex post choice of law to govern a tortious obligation, it limits the freedom of choice to enhance legal certainty and foresseability. According to article 14, an ex ante choice of law is not permitted in a consumer contract or an employment contract to which all the parties are not pursuing a commercial activity. The limits set by article 14 to protect weaker parties should also be observed when the applicable law to a tortious obligation is determined by way of the accessory connection of article 4(3). It remains to be seen whether the operation of article 14 will extend party autonomy to the field of torts beyond the field of contracts. It is noted that for the purpose of consistency Rome II Regulation should be referred to when introducing party autonomy in the PIL because the PIL is based on Rome Convention predecessor to Rome Regulations. First, this paper reviews whether there is need for party autonomy in the field of torts. Then, when doing so, this paper reviews discriminating regulation due to timing of the agreement, express and implied agreements, consent and material validity of the agreement, any permissible content, eligible laws, dépeḉage, and parties to the agreement. On the other hand, this paper examines the rights of third parties and preservation of mandatory provisions to protect conflicting interests when introducing party autonomy. Then, this paper reviews limits on party autonomy by internationally mandatory provisions and public policy. Also the paper reviews whether the conditions set out in article 14 apply to indirect party autonomy by way of the accessory connection mechanism. This paper proposes and interprets a provision introducing party autonomy in torts based on Rome II Regulation. When relying on accessory connection, the question arises as to whether the limits set out by article 14 should also be observed to protect weaker parties. This paper proposes a provision extending party autonomy in torts and suggests interpretation thereof. This research could enhance forseeability of the parties and contribute to the revision of the PIL in the field of torts striking balance between conflicting interests. 국제거래관계에서 계약위반으로 인한 채무가 발생하면서 또한 이와 함께 불법행위에 기한 채무가 발생할 수 있는데 전자에 관한 당사자자치는 널리 인정되는 것으로 확립되어 있으나 후자에 관한 당사자자치의 인정 여부 나아가 인정하는 경우 그 범위와 한계에 관하여는 상대적으로 법리가 확립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에 관한 검토가 필요하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제한적으로 당사자자치를 규정하고 있는 국제사법을 개정하여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확장하여 인정함으로써 당사자의 예견가능성을 제고하고 한편 당사자자치를 확대함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충되는 다른 법익을 보호할 필요가 있다. 특히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를 위하여 당사자자치를 제한할 필요가 있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넓게 인정하면서 필요한 제한을 하고 있는 로마 II 규정의 조항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로마 II 규정 제14조는 불법행위에 관하여 사후 준거법의 합의는 물론 나아가 사전 준거법의 합의를 허용하되 그 한계를 명확히 획정함으로써 불법행위의 준거법에 관하여 법적 안정성과 예견가능성을 제고하고 있다. 로마 II 규정 제14조는 당사자가 영업활동을 영위하지 아니하는 소비자계약이나 근로계약의 경우에는 불법행위에 관하여 사전 준거법의 합의를 허용하지 아니한다. 이 경우 로마 II 규정 제4조 제3항의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결정할 때에도 두 조문 간의 조화로운 해석을 통하여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라는 로마 II 규정 제14조의 취지를 존중하여 종속적 연결을 제한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향후 로마 II 규정 제14조의 합리적 해석을 통하여 당사자자치는 계약의 영역을 넘어 불법행위의 영역에서도 의미 있는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국제사법이 로마규정의 선행체제인 로마협약을 기초로하고 있으므로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도입함에 있어 로마 II 규정을 검토하는 것이 일관성의 측면에서 의미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불법행위에 관하여 당사자자치를 도입할 필요가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았다. 당사자자치를 도입할 경우 당사자자치의 요건으로 준거법 선택의 시기에 따른 차별적 규율의 필요, 준거법의 명시적 선택과 묵시적 선택, 준거법 합의의 존재와 유효성, 허용 범위와 한계, 선택할 수 있는 준거법의 범위, 준거법의 분열, 준거법 합의의 당사자에 관하여 검토하였다. 한편 당사자자치의 도입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상충하는 다른 법익의 보호를 위하여 제3자의 권리 보호와 순수 국내사건에서의 제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당사자자치에 대한 국제적 강행규정과 법정지의 공서에 의한 제한을 검토하였다.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지정하는 경우 불법행위에 관하여 간접적으로 당사자자치를 인정하는 결과가 되므로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에 관한 규율이 종속적 연결에 의하는 경우에도 적용되는지 살펴보았다. 로마 II 규정의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에 관한 규율을 기초로 우리나라 국제사법에 도입될 불법행위에 관한 당사자자치를 규정하는 조항을 제시하고 그 해석을 검토하였다. 특히 종속적 연결에 의하여 불법행위의 준거법을 지정하는 경우 소비자계약과 근로계약에 있어서 사회경제적 약자의 보호를 위한 해석이 필요하다. 국제사법에 불법행위에 관한 당 ...

      • KCI등재

        불법행위법상 금지청구권에 관한 소고

        최민수 ( Choi Min Su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법학논총 Vol.41 No.2

        우리 민법 제750조는 불법행위의 구제수단으로 손해배상만을 인정한다. 해당 규정은 손해라는 침해행위의 결과발생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침해행위에 대한 사전적 구제수단으로 불법행위에 기한 금지청구권은 인정되지 않는다. 불법행위에 기한 금지청구권의 인정 여부에 관한 종래의 통설적 견해는 불법행위제도는 위법행위로 인해 이미 발생한 손해를 전보시키는 것이므로 현재 계속 중인 위법행위의 정지 내지 금지는 불법행위의 효과로부터 직접 생기지는 않는다고 보았다. 그러나 최근의 견해는 물권, 인격권과 같은 절대적 권리 이외의 영업이익이나 채권의 침해에 대해서도 금지청구를 인정하자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으며 더욱이 금지청구를 인정하는 개별규정이 없더라도 전제유추에 의하여 불법행위에 기한 금지청구를 인정할 수 있다는 견해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 판례 역시 절대권의 침해에 대해서만 금지청구를 인정하지만 인격권침해와 환경권침해에 대해서는 법률에 규정이 없더라도 소유권 등의 물권적 청구권 규정을 유추 적용하여 금지청구를 인정한다. 또한 과거의 판례가 영업이익의 침해에 대한 금지청구를 부인하고 있었으나 2010년에 내려진 대법원 결정에서는 물권 등 절대권이 침해되지 않았음에도 금지청구를 인정하고 있다. 불법행위제도의 핵심적이고 본질적인 기능은 손해전보기능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불법행위법은 손해의 전보만을 그 목적으로 하지는 않으며 불법행위의 억제를 통한 손해의 예방기능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손해의 전보 내지 손해의 예방이라는 불법행위법의 목적은 결국 불법행위에 대한 바람직한 구제수단이 무엇인지의 문제와 관계가 있으며 이는 손해의 예방이라는 측면에서 불법행위에 기한 금지청구권을 인정하는 것이다. 일단 손해가 발생하면 손해배상만으로는 불법행위 이전의 상태로 회복하기 어려운 경우 불법행위에 기한 금지청구를 인정한다면 사후적 구제수단으로서 손해배상에 있어서 피해자 보호의 미흡한 점을 보완할 수 있다. 우리 민법상 불법행위의 효과는 손해배상으로 이는 손해를 사후적으로 배상하는 것으로 사전에 불법행위를 억지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인격권 침해나 계속적 불법행위와 같이 일단 손해가 발생하면 이를 도저히 회복할 수 없는 경우에는 불법행위 자체를 사전에 억제하는 것이 불법행위법의 실효성 확보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금지청구권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고 여겨진다. Article 750 of the Korean Civil Act recognizes only compensation for damages as remedies for torts. The provision of Article 750 is premised on the assumption that damages have occurred as a result of an act of infringement, and thus injunctions against torts are not recognized as prior remedies for acts of infringement. The existing common opinion regarding whether to recognize injunctions against torts is that the suspension or injunction of currently on-going torts does not arise directly from the effects of torts. The reason is that the system regarding torts compensates for the damages that have already occurred as a result of torts. However, recently, a new opinion is emerging that injunctions should be recognized as to the infringement on operating profits and bonds, besides the infringement of absolute rights including real rights and personal rights. In addition, some are raising an opinion that injunctions against torts can be recognized by inferring the premise, although there are no specific provisions that recognize injunctions. Korean judicial precedents show that injunctions are recognized only for the infringement of absolute rights. However, injunctions can also be recognized as to the infringement of personal rights and environmental rights, although there are no related provisions in law. This is made possible by making an inference based on the provisions on real rights claim for ownership, etc. and applying such provisions. Past judicial precedents did not recognize injunctions as to the infringement on operating profits. However, recent rulings by the Supreme Court recognize injunctions, although there is no infringement of absolute rights including real rights. It can be said that the essential and fundamental function of the tort system is about compensation of damages. However, tort laws have not only a function of damage compensation, but a function of damage prevention through the suppression of torts. The purposes of tort laws (compensation and prevention of damages) are eventually related with what is a desirable means of remedies for torts. And this leads to injunctions against torts in terms of damage prevention. There are occasions when damage has occurred and a compensation for the damage is insufficient to restore the state before the tort was committed. In such occasions, the recognition of injunction against torts would address the defects that compensation for damages has as a posterior remedy in terms of protecting victims. In the Korean Civil Act, if a tort is established, compensation for damages follows as an effect thereof. Such a posterior compensation for damages has a limitation in suppressing torts in advance. Consequently, when damage cannot be recovered in any way as in personal rights infringement or a continuous tort, it will be necessary to suppress torts themselves in advance for securing the effectiveness of tort laws. To that end, it will be necessary to recognize the right to injunction.

      • KCI등재

        공동불법행위에 있어서 가해자들의 관련 공동성과 특정

        이은영(Lee, Eun-Young)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法學硏究 Vol.46 No.-

        민법 제760조에 따르면 가해자가 직접 실행행위나 모의에 가담하지 않더라도 전체 손해발생에서 관련 공동성이 인정되면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한다. 그에 따라 불법행위에 관여한 가해자는 각자의 불법행위책임이 성립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체 손해에 대해서 책임을 부담할 수 있으며, 또 가해자는 결과발생에 대한 각자의 인과적 기여도를 넘어서 전체 손해에 대해서 책임을 부담할 수 있다. 이처럼 공동불법행위자에게 불법행위책임을 확대하는 이유는 손해의 전보를 통하여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서이다. 직접 불법행위를 하지 않거나 불법행위의 일부에 대해서만 가담하더라도 관련 공동성이 인정되는 경우에는 공동불법행위자로 보아 전체책임을 지우는 것은 불법행위법이 요구하는 피해자구제라는 시정적 정의를 실현하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정당화된다. 이 점에서 관련 공동성은 공동불법행위의 핵심적인 책임기초로 기능한다. 그런데 공동불법행위에서 관련 공동성의 문제는 오랜 논의에도 불구하고 그 개념과 판단기준을 둘러싸고 논란이 남아있다. 특히 우리 민법과 같이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하기 위한 요건으로 객관적 관련 공동성만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공동불법행위의 성립범위가 무한히 확대될 수 있으며, 서로 이질적인 불법행위의 경우도 공동불법행위의 범위 안에 포섭되어 경우에 따라서는 가해자에게 과다한 배상책임을 지우게 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사실 일본을 비롯한 일부 외국에서는 공동불법행위가 성립하기 위해 적어도 가해자의 범위가 특정되어야 한다는 지적이 있었고 오늘날까지 관련논의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공동불법행위에 있어서 가해자특정의 문제에 대한 논의를 찾아보기 어렵다. 이에 이 논문은 공동불법행위의 성립요건 및 책임근거와 관련하여 관련 공동성의 의미에 초점을 맞추어 논의하되, 그에 덧붙여 가해자 특정이라는 문제에 대해 검토한다. In Korea, civil law scholars have argued the meaning of article 760(liability of joint tortfeasors) of the Korean Civil Code for quite a long time. In addition, a large number of Korean scholars and courts have interpreted liability of joint tortfeasors as untrue joint and several liability. The article 760 of the Korean Civil Code prescribes that the full damages of each tortfeasor in joint torts is accepted even though a tortfeasor is not directly involved in actions or conspiracies of committing torts. The reason why even though he is under no individual tort liability, he must take all liabilities for the entire damages regardless of the casual contribution to a consequence of his acts, is to protect victims. The method to consider a party having a substance of tortfeasors as a joint tortfeasor and impose untrue joint and several liability on this party,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party is not directly involved in a tort or partially participates, is a way to realize corrective justice of providing relief for victims, which is required in the torts law. In this regard, the joint relatedness and determination, which are the grounds of a comprehensive liability in a joint tort, are the key concept of the joint torts. The joint relatedness and determination have been discussed for a long time. However, this issue still remains a serious challenge without setting a clear criteria. As South Korea requires the joint relatedness among multiple tortfeasors as a requirement of establishing a joint torts, there have been comments about the possibility of causing an unfair consequence to perpetrators by boundlessly expanding the scope of establishing a joint tort. Nevertheless, there are few arguments on a so-called specificity of perpetrators that is related to whether a scope of perpetrators should be specified for the establishment of a joint tort of unidentified perpetrators. Thus,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nature of tortfeasors’ joint relatedness among multiple tortfeasors and the determination of tortfeasors in a joint tort. Accordingly, the legislation for the joint tort of Germany, Japan and USA as well as the discussions on the determination of tortfeasors in Japa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for Korean legislation for a joint torts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