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석가탑(釋迦塔)발견 묵서지편(墨書紙片)의 내용을 통해 본 고려시대불국사(高麗時代佛國寺)의 현황과 운영

        최연식(Yeon Shik Choe)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2 佛敎學報 Vol.0 No.61

        불국사 석가탑에서 발견된 묵서지편에서는 고려시대 불국사의 현황과 사찰 운영,승려들의 구성에 관한 중요한 내용들이 나타나고 있다. 먼저 화엄사찰의 성격이 강한 것으로 알려져 온 불국사가 11세기 전반 당시에는 유가업 즉 법상종의 사찰이었다는 사실이 확인되고 있는데, 이는 단순히 불국사의 종파를 알려주는 구체적 자료로서 중요할 뿐 아니라 불국사와 관련된 기존의 자료들을 새롭게 검토할 기반을 제공하는 것으로서도 의미를 갖는다. 이 기록을 토대로 기존의 자료들에 대한 비판적검토를 한다면 불국사의 종파 변천 과정이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묵서지편에는 기존에 알려진 사찰의 三剛(綱)典구성과는 다른 불국사의 삼강전과 다른 자료에는 보이지 않는 大官典, 都色典, 塔寶典등이 보이고 있는데, 이를 통하여 고려시대 불국사의 사찰 운영 조직의 구체적 모습을 확인할 수 있게되었다. 특히 삼강전의 경우는 기존에 알려진 禪宗계열 사찰들과는 구별되는 敎宗사찰의 구체적 사례로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아울러 묵서지편에는 불국사에서의 山神을 위한 說經법회와 功德天을 모시는 법회 등이 보이고 있는데, 고려시대 사찰 의례의 구체적 자료로서 특별한 의미를 갖는 것이다. 한편 묵서지편에는 1024년과 1038년 당시 불국사에 머물면서 석탑 중수 작업에 참여하였던 3백여 명의 승려들의 명단을 기록하고 있는데, 이는 지금까지 알려진 고려시대 승려들의 명단 중 가장 많은 분량이다. 묵서지편에 기록된 불국사승려들 중 약 20퍼센트는 僧職을 가진 고급 승려로 나타나고 있으며, 승직을 갖지 않은 일반 승려들 중 일부는 和尙(上)이라는 존칭으로 불리고 있었다. 묵서지편에 기록된 승려들의 신분과 중수 작업에의 참여 내용 등을 보다 면밀하게 분석하면 당시 승려들의 존재양태 및 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documents found at Shakamuni stupa in Bulguk-sa we can find some important informations about the temple in early Goryeo period; the organization of the monks, the administration of the temple, and the sect to which it belonged. At first, the documents show that Bulguk-sa was a Yogacara temple in the early 11th century. Up to now Bulguk-sa has been thought to have belonged to Huayan school in early Goryeo period because it was listed among the temples where Huayan Master Nakjin(1045~1114) had resided in his stele. As the information of the new documents is much more believable the contents of the stele should be re-understood. It is probable that Master Nakjin did not reside at Bulguk-sa but stayed there shortly for a special business. Bulguk-sa must have been a Yogacara temple as it was also an permanent residence for Yogacara Master Hyeyeong (1228~1294). Secondly, the adminstration system of the bulguk-sa is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temples. It is the only case of the academic temple in Goryeo period. The Daegwan-jeon(大官典), the Dosaek-jeon(都色典), and the Tappo-jeon(塔寶典) which consisted the three cords(三綱), the adminstration system of the temple, never seen in othe materials. They must have been the posts located only in the academic temples. Thirdly, there are listed about 300 monks who resided in Bulguk-sa and participated in the restoration of the stupa. It outnumbers the monks whose name is known before. Among the monks listed in the documents only less than 20 percents hold the priest posts. The proportion of the high-lanking and ordinary monks might have been the same in other temples. In the documents very few monks called as Whasang(和尙or 和上) took the most important roles in the temple. The Whasang might have been the honorific title given to the highest monks in the temple. Lastly, we can find some special Buddhist masses such as mass for Mountain spirit and mass for Srimahadevi(=Rakshimi). They are important cases in understanding Buddhist beliefs and rituals practiced in Goryeo temples.

      • KCI등재

        2011년도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 불국사(佛國寺) 제영시(題詠詩) 연구(硏究)

        강석근 ( Seog Keun Kang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8

        본고는 불국사를 노래한 한시 즉 불국사 제영시의 문학적 성격을 연구한 글이다. 불국사와 관련된 대표 기록은 최치원이 지은 <佛像讚> 3편과 『삼국유사』의 「大城孝二世父母 神文代」조이고, 또한 조선후기에 편집된 불국사 寺誌인 『華嚴佛國寺古今歷代諸賢繼創記』이다. 그리고 조선의 여러 문인들이 남긴 수십 편의 불국사 관련 시문들이다. 최치원의 글은 <大華嚴宗佛國寺阿彌陀佛像讚幷序> 외 2편이다, 최치원의 이 작품들은 불국사와 관련된 가장 오래된 문학적 기록들이다. <대화엄종불국사아미타불상찬 병서>와 그 <讚詩>는 불국사 창건자인 김대성, 화엄사상과 아미타사상으로 대표되는 불국사의 종파적 특성을 확인시켜 주었고, <大華嚴宗佛國寺毘盧遮那文殊普賢像讚幷序>와 그 <찬시>는 헌강왕의 왕비 脩媛 權氏가 죽은 夫王에 대한 지고한 貞烈을 드러낸 작품으로, 죽음을 초월한 헌강왕 부부의 아름다운 사랑을 담고 있다. 일연의 「대성효이세부모」조와 그 <찬시>는 석굴암과 불국사의 창건 과정과 김대성의 삶을 간명하게 정리한 내용이다. 김시습의 불국사 시는 과도한 불사로 민중들을 고달프게 한 사실을 비판하고, 이제는 그 자취마저 사라진 불국사에서 느낀 인생무상의 세계관을 보여주었다. 이만부는 불교에 비판적인 유학자였지만, 불국사의 석조유적이 가진 예술성을 높이 평가하였다. 또한 草衣 意恂의 <佛國寺懷古> 9수는 불국사를 노래한 시들 가운데 가장 다채로운 성격의 작품으로, 무영탑, 헌강왕 고사 등 불국사를 심층적으로 노래하였으며, 초의의 시를 보고 쓴 秋史 金正喜의 불국사 시는 禪的 특성이 강한 작품이고, 초의와 김정희는 이 시들을 통해 승려와 유자간의 시적 교류의 한 사례를 잘 보여준다. This study is for a literary traits of Chinese poetry about Bul-guk-sa temple. There are a few typical documents about Bul-guk-sa temple. They can be classfied into four groups. First. There are a record about Bul-guk-sa temple in a three poems to praise Budda of Choi Chi-won. Second record is in Sam-guk-you-sa. Third is in Go-geum-chang-gi which arranged the history of Bul-guk-sa temple in the late of Chosun dynasty. The last, many poets of Chosun recited about Bul-guk-sa temple. The poems of Choi Chi-won supply a valuable information about Bul-guk-sa tmeple. We can find the poems about praising Budda in Sam-guk-yu-sa, which arrange the establishment process of Bul-guk-sa temple and the life of Kim Dae-sung. Kim Si-seup and Lee Man-bu wrote poems about Bul-guk-sa temple with Confucian scholar`s perspective, they criticized excessive construction. There are many poems which recited Bul-guk-sa, However, Buddhist monk Cho-ui Ui-soon`s nine poems <Bul-guk-sa Hui-go> are most outstanding works. He dealt Bul-guk-sa temple with many aspects like the legend of Mu-young-tap and King Hun-gang. Chu-sa Kim Jung-hi respond for Ui-soon with poems, which show a literary exchange and friendship with Buddhist and Confucian.

      • KCI등재

        성림월산과 불국사 선원- 불국사 선원 개설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를 중심으로 -

        석길암 대각사상연구원 2019 大覺思想 Vol.32 No.-

        Bulguksa Temple has changed into what we can see today through the restoration between May 1969 and July 1973. However, if one wants to recognize Bulguksa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of modern Korean Buddhism -- not as a temple representing the Buddhist culture of Silla, one needs to pay attention to establishing and developing process of the Seon Center of the Bulguksa Temple. A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Ven. Wolsan who worked hard to open the center and teach monks, and kn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enter. Taking note of this point, this paper expounded that the ‘Bulguksa Restoration Project’ and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Center’ were based on different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It is noted that the ideological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Center was different from that for constructing the Temple, from the time of founding the Temple to the restoration completed in 1973. And this point, the meaning of Ven. Wolsan’s establishing and operating the Center is clearly able to be understood. Despite its short history, the Seon Center was sensational and famous owing to many great masters like Ven. Beomryong, Ven. Songdam, Ven. Il-ta, Ven. Jeong-il, and Ven. Hyejeong. Most of all, the Cenetr began to flourish thanks to the guidance and teachings of Ven. Wolsan who following the Mt. Deoksung Linage that led from Ven. Gyong-heo to Ven. Man-gong, Ven. Bo-wol, and Ven, Geumo. The Center’s settling in spite of a short period of time could be seen as the result of a guiding teacher of the Center, Ven. Wolsan’s efforts to focus on teaching monks. 불국사가 오늘날 우리가 볼 수 있는 모습으로 변화하게 되는 것은 1969년 5월∼1973년 7월까지 진행된 불국사 복원공사를 통해서이다. 하지만 신라의 불교문화를 대표하는 사찰로서의 불국사가 아니라, 현대 한국 불교를 대표하는 사찰 중의 하나로서 불국사를 인식하고자 한다면 불국사 선원의 개설과 그 전개과정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불국사 선원의 개설과 수좌양성에 전력을 다했던 월산스님의 가풍과 불국사 선원의 특징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점에 주목하여 ‘불국사 복원공사’와 ‘불국사 선원의 개설 및 운영’이 서로 다른 역사문화적 배경 위에 서 있는 것임을 해명하였다. 곧 창건 이후부터 1973년에 마무리되는 불국사복원공사에 이르기까지 불국사 가람 조영에 중심이 된 사상적 토대와 불국사 선원 건립의 사상적 토대가 서로 다른 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이 지점으로부터 월산큰스님의 불국사 선원 불사와 운영의 의미를 명확히 짚을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불국선원은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범룡스님, 송담스님, 일타스님, 정일스님, 혜정 스님 등 여러 명안종사가 거쳐 가면서 선풍을 떨쳤다. 무엇보다 경허 만공 보월 금오스님으로 이어지는 덕숭선맥을 이은 월산스님의 지도와 가르침으로 불국선원은 일시에 번성기에 들었다. 선원이 짧은 기간에도 불구하고 안착한 것은 무엇보다도 불국선원의 조실로서 바깥살림보다 안살림에 치중했던, 그랬기에 찾아드는 납자들의 제접에 소홀하지 않았던 월산스님의 원력이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新羅 石槽 展開와 佛國寺 石槽(石花)의 意味

        오세덕 한국문화사학회 2020 文化史學 Vol.0 No.53

        This study presents a re-review the development of stone vessels in Silla and themeanings of the stone flowers at Bulguk Buddhist temple. Before examining the flowof stone vessels in Silla, the study reviewed the rough flow and development of stonevessels in Baekje that started to make stone vessels first among the Three Kingdoms. The study then divided the stone vessels of Silla into square- and lotus flower-shapedones. It is likely that lotus flower-shaped stone vessels were used as part of the drainagesystem at the royal court rather than Buddhist temples. Square-shaped stone vesselswere used at Buddhist temples of Silla. Those at the site of Heungryun Buddhist Templewere made first, being followed by those at the site of Bomun-dong and those at BulgukBuddhist Temple in the order. The study reviewed again the stone flowers of Bulguk Buddhist Temple, which holdthe most important significance of all of Silla's stone vessels, in terms of form, time ofcreation, and symbolic meaning. The stone flowers of Bulguk Buddhist Temple are ina new and independent form of Silla called the lotus flower-shape stone vessels. Theircreation is estimated to be in the middle and late eight century, which is earlier thanthe old estimation, the middle ninth century.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Silla's stonevessels had no symbolic meanings of Buddhism inherent in them like the Seokyeonji ofBaekje's Beopju Buddhist Temple, but those of Bulguk Buddhist Temple have symbolicmeanings of Buddhism in them as artifacts of grandeur. The stone flowers of Bulguk Buddhist Temple are part of the Paradise Hall and holdtheir value as the only works fitting the belief system of Buddhist temples among Silla's stone works of art. In addition, they are valuable as the only works to have their originallocations traceable among the 12 stone vessels of Silla in the Gyeongju area along withthose at the site of Bomun-dong. 이글에서는 신라 석조의 전개와 불국사 석조의 의미를 재검토 하였다. 신라 석조의 흐름을 파악하기에 앞서 삼국 중 가장 이른 시기에 석조를 제작한 백제 석조의 대략적인 흐름과 전개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신라 석조를 크게 방형 석조와 연화형 석조로 구분하고, 연화형 석조는 불교 사원의 석조가 아닌 왕실 관련 배수시설일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방형 석조가 신라 사찰에서 사용한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대체적인 제작 순서는 흥륜사지 석조를 처음으로 제작하고, 다음으로 보문동 사지 석조, 불국사 방형 석조 등으로 이어진다. 신라 석조에서 가장 중요한 의미가 있는 불국사 석조의 형식과 조성시기, 상징적 의미를 전체적으로 재검토하였다. 불국사 석조의 형식은 연화형이라는 독자적인 신라의 새로운 석조 형식로 볼 필요성이 있으며 제작시기 역시 기존의 9세기 중반보다 빠른 8세기 중후반으로 조정하였다. 신라의 석조는 백제 법주사 석연지처럼 불교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지 않는 것이라는 견해가 일반적이었지만 불국사 석조는 불교의 상징적 의미를 내포하는 장엄물이다. 불국사 석조의 상징적인 의미는 불국사의 청운교ㆍ백운교-자하문-석가탑ㆍ다보탑-금당-강당으로 이어지는 대웅전영역과 연화교ㆍ칠보교-안양문-극락전으로 이어지는 극락전영역으로 2축선의 연장선상에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즉 대웅전영역은 석가탑과 다보탑을 모두 배치하여 『法華經』을 완벽하게 도해하고 있으나 극락전영역 앞쪽에는 별도의 석탑이나 장식물을 배치하고 않고 있어 다소 밋밋한 느낌이 든다. 대웅전영역의 대칭적인 의미를 극락전영역의 경우 연화교ㆍ칠보교 앞쪽에 있는 구품연지까지 확장해서 생각 볼 필요성이 있고. 구품연지와 관련하여 불국사 석조가 연꽃이라는 장엄물로 표현된 것이다. 불국사 극락전영역의 완성이 구품연지-불국사 석조-연화교ㆍ칠보교-안양문-극락전으로 이어지면 완결되는 것이다. 불국사 석조는 극락전영역의 일부분으로 신라의 석조미술품에서 사찰의 신앙체계에 맞는 유일한 작품으로 가치를 지닌다. 아울러 불국사 석조는 경주지역의 신라 석조 12기 중에서 원위치를 알 수 있는 보문동사지 석조와 유이한 작품으로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불국사의 아름다움에 나타난 시간적 DNA

        문정필(Moon Jung P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7 사회사상과 문화 Vol.20 No.1

        불국사는 한국 전통의 불사건축물 임에도 불구하고, 서구의 객관적인 형식미의 기준을 들이대어도 독자적 비례의 미적 논리를 충족한다. 여기에 더해, 불국사는 수차례 답사해도 항상 친근감이 있다. 이는 우리민족의 다양한 역사적 사건이 내재된 유전자적 전통건축물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불국사에 저장된 역사적 유전자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가? 불국사의 아름다움에도 DNA와 같은 나선구조로 의미화 할 수 있는 유전적 정보가 존재한다. 불국사의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나선형태의 DNA적 버팀목은 한민족의 용틀임이며, 창건 이전부터 가르침으로 작용했던 유․도가 사상일 것이다. 그리고 그 사닥다리를 잇는 4가지 요소는 건축의 전통과 역사의 시간과 함께 물질, 공간, 역동성일 것이다. 이에 본고는 불국사의 아름다움을 DNA구조가 갖는 조합적 의미로 해석하고자 한다. DNA가 생명체에 내재된 과거의 정보를 품어 유전적 특성으로 나타나듯이, 불국사도 우리민족의 역사와 전통을 저장하는 유전자적 특성으로 승화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대의 사회․예술적 입장에서 불국사의 물질, 공간, 역동성이 시간과 함께하는 풍요로움과 같이한 유·불·선 가르침을 통해, 서구의 미가 아닌 우리만이 갖는 역사와 전통의 아름다움을 사상적으로 논의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lthough Bulguksa is a traditional Korean architecture of Buddhism, it satisfies the aesthetic logic of independent portion even though with the standard of western objective beauty of form. In addition to this, Bulguksa is always familiar how many times we visit it. It’s because it’s a traditional genetic architecture inherent in Korea’s diverse historical events. How much do we know about the historical DNA stored in Bulguksa? In the beauty of Bulguksa does genetic information exist which can be signified through a spiral structure, such as DNA. The DNA support to expose the beauty of Bulguksa can be said to be Confucianism and Taoism that worked as lesson before its foundation. And the foothold organizing the four elements connecting the ladder is mostly likely material, space and dynamics along with time of architecture. As the synthesis to which time of history and tradition has been added, the genes of Bulguksa as DNA can be created meaningfully. Accordingly, this paper intends to interpret the beauty of Bulguksa in a comprehensive meaning that the structure of DNA has. It’s because as DNA appears through the characters of a living thing with the information about the past inherent in it, Bulguksa also appears sublimated into genetic features storing Korean history and tradition.

      • KCI등재

        불국사의 강학 전통

        한상길 대각사상연구원 2021 大覺思想 Vol.36 No.-

        불국사는 우리나라 사찰 가운데 가장 유명한 곳 중의 하나이다. 찬란한 신라불교 문화의 정수를 간직하여 신라의 역사와 전통, 나아가 한민족의 문화를 대표하는 으 뜸가는 문화유산이다. 불국사의 이러한 위상은 외적인 가람의 중창과 더불어 내적으 로 수행과 교육을 조화시킨 결과라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사찰의 역사와 문화 는 일상의 예경과 수행을 통해 끊임없이 정진하는 수행자의 노력으로 만들어지기 마 련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 글은 수행공간으로서의 불국사에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 적으로는 절의 교학 연찬에 관한 역사를 찾아보고자 강학 전통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교학 연찬은 강원에서 이루어진다. 즉 강원은 승가교육을 대표하는 곳이다. 불교수 용과 함께 강원이 존재하였지만, 이 ‘강원’이라는 정식명칭이 확인된 사례는 지금까 지 9세기 말의 불국사 기록이 최초이다. 처음이 갖는 의미는 매우 크다. 그만큼 불국 사의 강학전통이 오래되었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근대 불국사의 강원교육은 1913년 부터 확인된다. 현대들어 강원은 1975년부터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1973년까지의 대대적인 중창을 토대로 도제 양성의 중요성을 강조한 월산의 발원에서 비롯되었다. 이보다 앞선 1960년에도 행자와 사미를 망라한 강원교육을 진행하였고, 많은 수행자 들이 몰려들었다. 1975년 ‘불국사승가학원’으로 다시 개원하였다. 이후 대한불교조계 종의 교육체계에 따라 승가대학으로 재편성하면서 1976년 제1회 졸업생을 시작으로 2020년까지 모두 45회에 걸쳐 수백 명의 젊은 승가를 배출하였다. 이러한 강학 전통의 중심에는 강주와 강사가 있었다. 선지식을 찾아 배움을 청하 는 전통은 교학도 다를 바 없어 빼어난 강사를 찾아 많은 이들이 불국사 강원에서 경을 펼쳤다. 통일신라의 표훈과 유가, 1913년의 송설우, 1960년의 진용, 1961년의 설 봉, 1966년의 김철수, 1975년의 법공, 1978년의 범룡, 1979년의 운기, 1982년의 재선, 1984년의 상묵, 1994년의 용문, 1996년의 지욱, 2002년의 응각, 그리고 현재의 승가대 학원 원장 덕민, 승가대학 학장 정수, 학감 성화, 교수 상락, 일선 등이다. 불국사의 강학 전통은 이들의 강석에서 면면히 계승되고 있다. The Bulguksa Temple is one of the most famous temples in Korea. It is the le ading cultural heritage representing the history and tradition of Silla, and further more, the culture of the Korean people, keeping the essence of the brilliant Silla Buddhist culture. It should not be forgotten that this status of Bulguksa Temple i s the result of harmonizing internal performance and education along with the rec onstruction of an external pavili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the temple are created by the efforts of the saṅgha’ s who constantly devotes himself through the foresight and practice of daily life. In this sense, this article focuses on Bulguksa Temple as a practice space. The p ractice of teaching takes place in Gangwon. In other words, Gangwon is a repres entative place for saṅgha education. This official name "Gangwon" has been confi rmed for the first time so far, with Bulguksa records at the end of the 9th centur y. The meaning of the beginning is very significant. This is because it means th at Bulguksa Temple has a long tradition of teaching. Gangwon education of modern Bulguksa Temple has been confirmed since 1913. In 1960, Gangwon education covering pedestrians and sāmaṇera was conducted, a nd many practitioners flocked. In 1975, it was reopened as Bulguksa Saṅgha Univ ersity in 1975 according to the origin of Zen master Wolsan, who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pprentices. After that, it was reorganized into Saṅgha Un iversity according to the educational system of the Jogye Order of Korean Buddhi sm, starting with the first graduate in 1976, it produced hundreds of young saṅgh a’s 45 times until 2020. At the center of this tradition were Gangju and the instructor. The tradition of asking for learning in search of an outstanding saṅgha is no different from teaching, so many people visited Bulguksa Temple Gangwon in search of a good instru ctor. Master Pyohoon, Yuga of Unified Silla, Master Seolwoo in 1913, as the curr ent saṅgha graduate school president, Master Deokmin, the tradition of education Bulguksa Temple has been steadily inherited.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건축과 중심불전의 주존불상에 관한 화엄교의적 고찰

        서지민(Seo Jimin)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불국사는 통일신라시대, 더 나아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사찰로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 보존되고 있는 곳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불국사는 화엄불국토를 구현한 사찰임이 밝혀졌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현존하는 통일신라시대의 석조건축물들이 화엄불국토의 어떤 부분에 해당하는지 좀 더 구체적으로 파악하고자 했으며, 또 불국사의 중심불전에는 어떤불상들이 봉안되었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서도 고찰하였다. 불국사는 사바세계와 연화장세계의 경계인 석단 위에 자리한다. 석단의 아래쪽에는 연화장세계를 떠받치는 향수해가 있는데, 향수해를 건너 大梯(백운교, 청운교, 칠보교, 연화교)를올라야 연화장세계로 진입하게 된다. 대제는 모두 52단의 계단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화엄경』에서 깨달음을 얻기 위한 52단계의 보살도를 상징한다. 부처의 세계로 진입한다는 뜻의佛門(자하문)의 양 옆에는 누각 형태의 주초로 된 누각(범영루, 좌경루)이 있는데, 이는 연화장 세계의 세계해를 상징한다. 그리고 『법화경』 「견보탑품」에 근거한다고 알려진 두 석탑(석가탑, 다보탑)은 해인삼매를 통해 드러난 연화장세계를 조형화한 것으로 생각된다. 『불국사고금창기』 등 관련 문헌자료들을 검토해보면, 불국사의 중심불전에 봉안된 주존불상은 사찰의 역사성을 대변하는 가장 중요한 예배존상이므로 통일신라시대의 주존불상의 도상적 전통에 따라 조성되었다고 추정된다. 즉 현재 대웅전에 주존으로 봉안된 석가오존불상중에서 제화갈라보살상, 미륵보살상, 가섭존자상, 아난존자상은 조선 후기 도상체계를 따르는새로운 도상을 나타낸 것이지만 같은 시기에 조성된 불상과는 달리 주존 석가모니불상을 설법인을 결한 모습으로 표현한 것은 조선 후기에 불상을 조성하면서 통일신라시대의 주존불상과같은 모습으로 재현하였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극락전의 주존불상과 함께 조합을 이루어 불국사 중심불전(대웅전, 극락전) 구역은중생들이 직접 접할 수 있는 佛外向의 화엄불국토를 상징적으로 나타내었을 것이다. 이는석가모니의 근원적인 깨달음의 세계인 佛內證의 화엄불국토를 구현한 석굴암 본존불상과 대비되는 것으로 결국 불국사와 석굴암은 국토해와 세계해로 구성되는 화엄불국토를 유기적으로구현했다고 이해된다. Bulguksa Temple sits on a stone platform that symbolizes the Saha-loka-dhatu an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which is a paradiea of Avatamska. Below the stone platform is a Buddhist world that supports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To enter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one must first cross the Buddhist world and thereafter go up the big stairways (Baegun-gyo, Cheong-un-gyo and Chilbo-gyo, Yeonhwa-gyo). The big stairways are composed of a total of 52 stairs, which symbolize the 52-steps of Bodhisattva s Way to find enlightenment in 『Avatamsaka sutra』. On the two sides of the gate to Buddhism(Jahamun), which means entering the world of Buddha, are a bell tower (Bumyeongru) and a sutra tower (Jwagyeongru), which are orlos in the form of towers symbolizing the Buddhist world of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In addition, the two stone pagodas (Sakyamuni Pagoda and Dabo Pagoda), which are known to be based on 『The Lotus Sutra』 and 「The Chapter Apparition of a Stupa」, respectively, are thought to have shaped the World of the Lotus Sanctuary revealed through Sāgara-mudṛa Samādhi. On reviewing related literature, the main Buddha statue enshrined in the central Buddhist hall of Bulguksa Temple is assumed to have been formed according to the iconic tradition of the main Buddha statu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worship Buddha statue representing the historicality of the temple. That is, among the five Sakyamuni Buddha statues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as the main Buddha statues, Dipamkara Bodhiasattva statue, Maitreya Bodhiasattva statue, Mahakassapa Buddha statue, and Ānanda Buddha statue are highly likely to have been transformed according to the iconic system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among the Buddha statues created in the same period, the Sakyamuni Buddha image statue with preaching hands with no example of the same iconic image is in the same shape as the main Buddha statue of the central Buddhist hall of Bulguksa Temple in the Unified Silla period probably because it was newly crea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period. In addition, the Sakyamuni Buddha image statue should have been enshrined in the Geuknakjeon to symbolically represent the paradiea of Avatamska of senlightenment of the enlightenment of a high-quality Buddha to a Bodhisattva(佛外向) in the area of the central Buddha halls (Daeungjeon, Geuknakjeon) to which people can firsthand access. This is in contrast to the main Buddha statue at Seokguram that embodied the paradiea of Avatamska of the enlightenment of a lowlevel Buddha to preach to the public(佛內證), a world of fundamental enlightenment of Sakyamuni. In the end, it is understood that the paradiea of Avatamska was implemented in three dimensions by combining Bulguksa Temple and Seokguram.

      • KCI등재

        신라 사찰의 진입방식 변화와 불국사 靑雲橋·白雲橋의 의미

        오세덕(Oh Se-deok) 신라사학회 2020 新羅史學報 Vol.0 No.49

        신라 사찰의 진입방식 변화와 불국사 청운교・백운교의 의미라는 주제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 먼저 신라 사찰의 입지를 평지, 구릉, 산지로 구분하여 각 입지에 따른 진입방식을 검토하였다. 신라 사찰이 평지에서 구릉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새롭게 등장하는 진입로는 다리와 계단형식 두 가지이다. 다리형식의 진입로는 기존에 불국사 청운교·백운교가 최초의 사례로 알려져 있으나 이 글을 통해서 사천왕사가 새로운 시작점이라는 사실을 밝혀냈다. 다리형식의 진입로는 사천왕사 이후 토함산 지역에 창건되는 숭복사와 원원사 등으로 이어진다. 계단형식 진입로는 감은사가 최초의 사례이며, 이후 구릉과 산지에 입지하는 많은 사찰로 계승된다. 불국사 청운교・백운교는 독창적인 건축기법과 의장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독창적인 건축기법은 신라의 일반적인 사찰 기단이 지대석+면석+갑석의 결합을 통해 구성하고 있는 반면 불국사 기단은 몸체의 3중 감석 구조로 인해 면석의 이탈방지 효과가 탁월하다. 특히, 모서리 부분의 ‘亞’자형 귀틀 감석 구조는 신라의 여타의 건축물에서 찾아 볼 수 없는 독창적인 구조기법으로 주목된다. 불국사 청운교・백운교는 의장까지도 완벽하게 고려하여 조성하고 있다. 청운교와 백운교의 규모 차이, 정면 기둥의 배열에서 1단의 기둥 높이에 비해 2, 3단의 기둥을 낮게 조성하여 균형을 맞추고 있다. 청운교 기둥의 주경 보다 백운교 기둥의 주경을 더 적게 조성하는 등 시각적 안정성을 고려하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처마골의 표현, 기단 동·서면의 시선차단벽 부재의 차용, 서까래석과 눈썹지붕 석재 등은 목조건물의 건축적 요소를 완벽하게 도해한 것이다. 신라인이 만든 불국사는 당시 신라인이 꿈꾸던 불국토를 가장 잘 표현한 사찰이며, 진입로인 청운교·백운교까지도 불교적 교리를 바탕으로 탄생시킨 조영물이다. 다만 그 명칭에 대해서는 통일신라시대 창건 당시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고, 고려시대 일연이 찬한 『삼국유사』에는 雲梯, 梯磴으로 불리고 조선시대 불국사 고금창기 이후 본격적으로 청운교·백운교라는 명칭이 확립된 것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reached its conclusions in four aspects including the realization of an ideal access way, completion of function, structure, and design, perfect illust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and the biggest remaining single structure from Unified Silla. In the aspect of realization of an ideal access way, they introduced a new access way in the forms of bridges and stairs to overcome height differences by the section in the process of Silla"s Buddhist temples moving from plains to hills and mountains. The bridge form was considered as a high-end technique applied to access ways at Silla"s Buddhist temples.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an access way in the bridge form and another access way in the stair form was realized in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at the Bulguk Buddhist Temple. They are the greatest access ways among Buddhist temples built in Silla.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boast completion of function, structure, and design. Their main function is to help visiting Buddhists to the Bulguk Buddhist Temple enter the zone of the main building. They have played their role fully until recently. There is an emphasis on the structural rigidity of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since they are bigger and higher than the old post-lintel stylobates. Elements of wooden architecture were adapted in them such as the expression of Cheomagol at the connection of banister stones and stairs in the southern, eastern, and western section of the bridges, the borrowing of gaze shield walls between three-row columns in the eastern and western parts, and the use of rafters at the top. The people of Silla expressed their idea of an ideal Buddha land at the Bulguk Buddhist Temple.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offer a great embodiment of such an ideal land in the scriptures. One, for instance, has to go over into the world of nirvana far from the real world in order to enter Buddha Land. Here,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can serve as media for one"s entry into Buddha Land where the Seokga and Dabo Pagodas are. The perimeter of Buddha Land is wrapped by the banisters in seven layers and nets, and it is expressed by the banisters of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and the Dolnandae connecting the banisters. Cheongwoongyo and Baekwoongyo are the biggest stone structures whose original forms are kept intact perfectly in the nation. Damage was found at several places of the bridges in photographs taken during the Japanese rule, but the basic form of Hongyegyo is kept intact. The original forms have been maintained almost perfectly since their construction.

      • KCI등재

        불국사의 9세기 神琳系 불교조각

        임영애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9 美術史學 Vol.- No.37

        At present Bulguksa temple does not have Buddhist sculptures that were at the time of its foundation in 742, but there are two kinds of sculptures that are rare in the Korean sculpture history. One is a bronze Buddha statue with a set of ‘Vairocana·Amitabha bronze Buddha statue’ and the other is the ‘Vairocana Triad of the lion/elephant pedestal’. ‘Vairocana·Amitabha bronze Buddha statue’ is a masterpiece that is better than any other pieces in its imposing body, proportion, and superior sculpture tactics. In addition, even though it was destroyed and only the pedestal was left, but the ‘Vairocana Triad of the lion/elephant pedestal’ is also a valuable resource for the Silla 9th century Buddha statues study, which has a very special significance. This study started from the curiosity of why these unique combinations of rare Korean sculptures were enshrined here in this Bulguksa temple. Intriguingly, the features that are compressed in the 9th century Bulguksa temple Buddhist sculpture, a combination of ‘Vairocana‐Amitabha’, and the Vairocana Triad of the lion/elephant pedestal are associated with Shinrim (神琳 ?‐?, active 8-9c), a student of a student of Uisang (義湘). Because it seems common in the area of temples associated with it. These two unique iconographies are found only in Virosa temple (毘盧寺) and Beopsusa temple (法水寺) except for Bulguksa temple. Virosa temple has a set of ‘Vairocana·Amitabha Buddha statue’, and in the Beopsusa temple there was the Vairocana Triad of the elephant/lion pedestal. The Virosa temple and the Beopsusa temple were located next to the Buseoksa temple (浮石寺) and the Haeinsa temple (海印寺), which were the main points for lives of Shinrim lineage monk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in the 8th century, the influence of Uisang lineage (義 湘系) Hwaeom school, Pyohun (表訓) would play a great role, but the 9th Century Buddhist sculptures remaining in the Bulguksa temple are linked to Shinrim, which succeeded to the reign of Uisang. Shinrim resided and lived in Bulguksa temple and Buseoksa temple, and his direct student, Sun-eung (順應) established the Haeinsa temple. Unfortunately, there are no statues of the same iconography in Buseok temple and Haeinsa temple, but it is highly likely that it was even formed in the form of a picture. It is not a coincidence that this feature of the 9th century Bulguksa temple Buddha statues is found only in temples around Buseoksa temple and Haeinsa temple, which were in the residential domain of ‘Shinrim and his disciples’. The Buddhist sculptures in Bulguksa temple reveal that the influence of Shinrim continued to the Bulguksa temple here at least until the 9th century. 현재 불국사에는 742년 창건 당시 불교조각은 없지만, 한국조각사에서 유례가 드문 두 종류의 조각이 남아있다. 하나는 ‘비로자나·아미타불상이 한 세트를 이룬 금동불상’이며, 다른 하나는 ‘사자·코끼리 대좌의 비로자나삼존상’이다. ‘비로자나·아미타 금동불상’은 당당한 신체와 비례, 뛰어난 조각 수법에서 그 어떤 조각보다 훌륭한 명작이다. 또 비록 파손되어 대좌만 남았지만, ‘사자·코끼리 대좌의 비로자나삼존상’ 역시 그 의미가 매우 특별한 통일기 신라 9세기 불상연구의 소중한 자료이다. 이 글은 한국 조각사에서 그 유례가 드문 이런 특별한 조합의 불상을 이곳 불국사에서 조성한 이유가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출발했다. 흥미롭게도 9세기에 제작한 이들 불국사 불교조각의 ‘비로자나·아미타’ 조합, ‘사자·코끼리 대좌의 비로자나삼존’으로 압축되는 특징은 의상의 손제자인 ‘神琳’과 연관있다. 그와 관련된 사찰 권역에서 공통적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이 두 가지 특이한 도상은 불국사를 제외하고는 현재 비로사와 법수사에서만 발견된다. 비로사에는 ‘비로자나와 아미타불상’이 한 세트로 마련되었고, 법수사에는 ‘코끼리, 사자 대좌의 비로자나삼존상’이 있었다. 그런데 비로사와 법수사는 신림계 승려의 주된 활동 거점인 부석사와 해인사 바로 옆에 각각 위치했다. 8세기 창건기에는 의상계 화엄학파 표훈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겠지만, 불국사에 남아있는 9세기 불교조각은 이처럼 의상의 적통을 이어받은 ‘신림’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신림은 불국사, 부석사에서 거주하며 활동했고, 그의 직제자 순응은 해인사를 창 건했다. 아쉽게도 현재 부석사와 해인사에는 동일한 도상의 불상이 남아있지 않지만, 최치원의 기록을 통해 보면 비로자나삼존상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크다. 불국사 9세기 불상의 이러한 특징이 ‘신림과 그의 제자’의 활동 범위인 부석사와 해인사 인근의 사찰 에서만 발견되는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니라고 생각한다. 불국사의 불교조각은 적어도 9세기까지는 이곳 불국사에 신림의 영향력이 지속되었음을 알려 준다.

      • KCI우수등재

        佛國寺의 毘盧殿과 觀音殿 영역에 관한 타당성 고찰 : 伽藍配置의 상호관계성을 중심으로

        염중섭(Youm, Jung-seop) 불교학연구회 2010 불교학연구 Vol.25 No.-

        불국사 가람배치에 있어서 가장 두드러지는 특수성은 대웅전과 극락전 영역에 의한 二重軸線 구조가 설시되어 있다는 것이며, 그 다음으로는 대웅전 영역의 후면에 毘盧殿과 觀音殿이 回廊을 통해서 각기 독립된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불국사와 관련해서는 지금까지 총 300종 이상의 단행본 및 논문 등에 의한 해석적인 접근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연구 접근들 속에서도 비로전과 관음전 영역의 가람배치 상에서의 특수성에 관해서는 심도 있는 접근이 개진된 바가 없다. 이는 비로전과 관음전 영역이 1970-1973년에 걸친 불국사의 복원과 관련되어서, 정확한 판단에 의한 것이 아니므로 여기에는 필연적으로 불투명에 관한문제점이 내포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불국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세계문화유산인 동시에 내외국인이 가장 많이 찾는 사찰이라는 점 에서 그 속에 다소간 불투명성의 문제가 내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현상에 대한 합리적인 해석을 더 이상은 미루어 둘 수가 없다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필자는 이 문제의 접근에 있어서 기존에 명확성을 확보하고 있는, 불국사의 전체적인 가람배치의 정합성을 기초로, 비로전과 관음전 영역에 대한 타당한 해법 도출을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불국사가 한꺼번에 가람배치를 일신하는 사찰이라는 점은 불국사 가람배치의 유기적인 측면을 분명하게 드러내주고 있는 바라고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사상적인 입각점과 아울러 우리는 각 전각들 간의 相依相資적인 관점의 상호반향에 대해서도 주목해 보지 않을 수 없게 된다. 이는 비로전과 관음전을 단순히 비로전과 관음전의 이해 도출을 통해서만 파악해서는 안 되며, 이러한 전각들이 상관관계를 확보 할 수 있는 대웅전 및 극락전과의 관제파악이 필연적으로 요청되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본고의 비로전과 관음전 이해에 있어서는 이들에 대한 각각적인 이해와 더불어 네 전각의 관계성에 의한 접근을 시도해 보고자 하였다. 왜냐하면, 이와 같은 방법 모색만이 우리로 하여금 불국사 가람배치에 대한 보다 타당성 있는 인식을 수립해 볼 수가 있도록 한다고 사료되어지기 때문이다. The most peculiar point in the building arrangement of the Bulguksa Temple is the double axial structure by the Main Hall and the Paradise Hall. The next is that the Birojeon and the Gwaneumjeon in the back of the Main Hall create their own precincts in the corridor. Approximately 300 analyses of the Bulguksa have been published in treatises and books. Despite the proliferation of studies , there have been few deep studies on the special character in the building arrangement of the Birojeon and Gwaneumjeon Precincts. This is because the Birojeon and Gwaneumjeon Precincts are related to the restoration of Bulguksa during 1970-1973, which was accomplished using less than clear judgment, and therefore they inevitably contain the judgment problems in them. But, as the Bulguksa is a representative world cultural heritage in Korea and the temple that Korean and foreign tourists are visiting most frequently, rational interpretation of the phenomenon cannot be ignored even if there are some unclear problems. Based on the coherent part of the total building arrangement in the Bulguksa, which have already been verified in the approach to this problem, the author tried to draw out a feasible solution on the Birojeon and Gwaneumjeon Precincts. The Bulguksa is the temple , the building arrangement of which had been restored in a single effort. In this respect, the building arrangement of Bulguksa must have the organic interrelation. Therefore, along with an ideological approach , we have to notice the interaction among the buildings in an interpretative viewpoint. This means that the Birojeon and the Gwaneumjeon should not be understood only by drawing out their separate meanings but by securing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m. Therefore , in this study on the Birojeon and the Gwaneumjeon, not only their separate meanings but also the interrelation among the four buildings were investigated. This approach was chosen because only this kind of investigation enables us to establish more feasible recognition on the building arrangement in Bulguks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