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7世紀 後半의 長安과 慶州, 佛敎思想 交流의 樣相

        석길암 동국대학교 불교사회문화연구원 2013 불교문화연구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장안불교와 경주불교 상호간의 긴밀성을 확연히 보여주는 사례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外延의 문제가 아니라 內包의 문제, 곧 사상사적 관점에서 7세기 후반의 중국불교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長安佛敎와 新羅佛敎 간의 사상적 교류에 대한 사례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리 언급해두지만, 이 사례들은 특별히 새로운 사료들을 포함하고 있지는 않다. 다만, 하나의 흐름 내에서 長安佛敎와 新羅佛敎를 동시에 捕捉함으로써, 그 7세기 후반의 長安佛敎와 新羅佛敎의 交流樣相에 대한 좀더 일관된 視點 을 얻고자 하였다. 장안불교와 경주불교의 관계가 시작된 것은 600년 원광의 귀국 으로부터이다. 그러나 장안불교와 경주불교의 사상적 긴밀성과 상호보완성이 강화된 것은, 玄奘이 인도로부터 귀국하여 신역경론을 번역하면서부터이다. 경주불교계는 현장의 신역 경론 특히 新唯識 學의 발흥에 대단한 관심을 기울였던 것으로 보이며, 신라 출신 유학승인 圓測 역시 그러했다. 원측은 현장의 영향을 받으면서 西 明唯識이라는 새로운 조류를 형성하였는데, 이는 新羅唯識에도 큰영향을 미쳤다. 한편 7세기 중후반 장안과 종남산 일대를 기반으로 삼았던 삼계교의 영향 역시 중대의 대중불교를 대표하던 인물 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대안과 원효는 그 대표적인 인물이며, 특히 삼계교의 전적으로 추정되는 금강삼매경 에 대한 주석이 원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그렇다. 하지만 양자의 직접적인 관계를 보여주는 사료는 아직 발견되지 않는 다. 반대로 원효의 저술들은 7세기 말 장안에 전해지면서 화엄종 제3조인 법장의 사상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처럼 장안불교와 경주불교 간에는 신라 출신 승려들의 장안 에서의 활동이라는 직접적인 관계와 신역 경론 및 저술의 상호 전파라는 간접적인 관계에 의해서 활발한 사상적 교류가 이루어 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동아시아 불교사상사 연구의 한 반성 - 개념의 이미지와 역사적 현실 사이의 간극 -

        석길암 한국불교학회 2018 韓國佛敎學 Vol.87 No.-

        In this paper, I clarified how thoroughly existing research of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in East Asia have explicated their relation with the historical reality. Studying the history of Buddhist thoughts, we cannot always find the representative ideas or the period images represented by the idea out of the specific time coincident with the historical reality. I focused my examination on two examples in this paper. The first example is the image of Buddhist ‘filial duty’ emphasized in many different ways in the history of Chinese Buddhism. The idea of Buddhist filial duty is generally thought and described to be coincident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idea of filial duty. However, we feel the image of the Chinese idea is the base for ruling idea and social order. So, I pointed out that the idea of Buddhist filial duty, different from the Chinese traditional, was accepted as the ethical, universal, and individual idea. For the second illustration, I examined if the idea of Buddha Nature and Tathāgatagarbha, or representative thoughts in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were accepted as their original idea of equality in those days. Unfortunately, it was the late time of the Period of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that these thoughts began to be understood as their original ideas of equality, and it must be the late 7th century to find them spread to the whole society of China. In conclusion, I explicated that the images of major ideas and the historical images of the ideas described by the research of the history of thoughts do not always coincide with the historical reality, and thus, that many things about the study of the history of thoughts and the descriptions through the research need to be re-examined. 본 논문은 동아시아 불교사상사 연구에 있어서, 기존의 연구 성과가 사상사와 현실 사이의 관계를 충분히 해명해주고 있는가 하는 점을 검토한 것이다. 불교사상사 연구에서 특정된 시점을 대표하는 개념 혹은 특정된 개념이 보여주는 특정된 시대의 이미지는 반드시 역사적 현실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본 논문에서는 그러한 사례 두 가지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첫째는 중국불교에서 여러 가지 방식으로 강조했던 불교의 효 개념이 가지는 이미지이다. 일반적으로는 중국불교의 효 개념은 중국 전통의 유교적 효 개념에 부합하는 것으로서 상정되고 서술된다. 중국 전통의 효 개념은 통치이념과 사회질서의 기반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불교의 중국화 과정에서 부각된 불교의 효 개념 역시, 중국 전통의 효 개념과는 다른 보편적이고 개인적 윤리가치로서의 효 개념으로서 수용된 것임을 지적하였다. 둘째는 남북조 시대의 대표적인 불교사상으로 주목되는 불성ㆍ여래장 사상이, 그 사상이 본래 의도하고 있는 평등의 정신으로서 동시대에 대중적으로도 받아들여지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하지만 불성ㆍ여래장 사상이 평등의 정신으로서 대중적으로 받아들여지기 시작한 것은 남북조의 마지막 무렵이며,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것은 7세기 말 무렵임을 지적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사상사 연구의 성과로서 서술되는 사상사의 주요 개념이 가지는 이미지와 역사적 현실이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며, 사상사적 이미지가 동시대의 역사적 현실과 반드시 부합되는 것도 아님을 유의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한 것이다. 그리고 그런 측면을 고려하여, 사상사 연구와 서술의 많은 부분들이 재검토될 필요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 KCI등재

        華嚴宗성립에 있어서 三階敎의 문제

        석길암 韓國佛敎硏究院 2012 불교연구 Vol.37 No.-

        본 논문은 화엄종 형성과정에서 보이는 화엄종과 삼계교의 관계를 검토한 것이다. 주로 종교적 실천의 측면에서 나타나는 유사성에 관심을 두었으며, 사상적 측면의 문제는 종교적 실천의 측면에서의 관계를 보완해주는 부분을 한두 가지 검토하였다. 우선 華嚴宗形成의 前史에 관련되어 있는 至相寺의 지론종 남도파 人物들이 三階敎와 人的으로나 地理的으로나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三階敎의, 餘他의 宗派와는 다른, 개인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대단히 강렬했던 종교적 실천의식이, 至相寺의 지론종 남도파 人物들을 매개로 形成期의 華嚴宗敎團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것은 초기 화엄종의 사상형성의 문제를 해명함에 있어서도 삼계교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할 요소임을 의미한다. 삼계교와 지론종 남도의 지상사 일파는 靈裕(518-605)라고 하는 동일한 근원에서 출발하여, 비슷한 사회적 배경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실천적 성향에 있어서도 궤를 같이한다는 공통점을 가진다. 그러나 양자는 삼계교에서 말하는 三階곧 時·處·人의 문제에 있어서 다른 시각을 가지고 있었고, 그것이 사상과 종교적 실천의 방향성에 있어서 다른 행로를 낳는 계기로 작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d the relation between the Huayan school and the Sanjiejiao school in the process of the formatin of the Huayan school. The main interest is the similarities of the two schools regarding religious practice and, therefore, as for theoretical issues I researched only some complementary parts to religious practice. Firstly, I found out that someone included in so-called Southern group(南道派) of the Dilun school(地論宗) at the Zhi-Xiang temple(至相寺) were very close personaly and geographically with the Sanjiejiao school. The religious practice, such as rituals of the Sanjiejiao school had great effects on the Huayan school during the formative period through the medium of the Southern group of the Dilun school. This means that when we try to figure out the formation of the early Huayan school the Sanjiejiao school must be examined with great importance. The Sanjiejiao school and the Southeren group of the Dilun school have the same origin of Ling-yu(靈裕, 518-605) and are of similar social background and practical nature. These two, however,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three stages(三階, Sanjiejiao), namely time(時)·place(處)·people(人) and this difference seems to have triggered the split of the two schools in religious practice and doctrine.

      • KCI등재

        『대승기신론』을 읽어온 문헌학과 교학의 시선들 - 『대승기신론』의 성립을 둘러싼 논의의 진전 혹은 성립논쟁의 탈피를 위한 -

        석길암 한국불교학회 2020 韓國佛敎學 Vol.93 No.-

        This article purport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research about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with reference to the discussions about the composition of the work, mainly in order to clarify the necessity of a new perspective and methodological approach. The history of research about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can be divided into two trends, one being the former traditional doctrinal approach focused upon the history of commentaries and the other being the later textual criticism, on the basis of the period when the Japanese academia introduced the methodology of research-based upon modern textual criticism. While the two approaches have been mixed generally in actual researches, they can be distinguished by the priority of one approach. Between the two, the traditional doctrinal approach in East Asian Buddhism is mainly informed by commentary works, mostly limited by reading the work on the basis of the doctrinal frame of each sect. Textual criticism, however, is also limited by overemphasizing the similarity of terms and usages to the extent that the identification of doctrinal trends is judged by the similarity. Recently, new methodologies are being proposed in studying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basing itself on both of the two approaches and suggesting a uniquely new perspective. Firstly, Tae-won Park’s approach is noteworthy in developing Wonhyo’s methodology of reading, which is visible in his Separate Commentary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applying it to reading not only the work itself but also other Buddhist scriptures in general. He argues for the reading of the work by the frame of so-called ‘gates’ or dependent arising in the line of conditioned causality. Oda Akihiro interprets the causality in the scriptures preceding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n the frame of thinking structure by causality, by which he points out that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is based upon the Nirvana Sutra and the Srimala Sutra as well as upon the Yogacara thought, yet its thinking structure of causality overcoming that of the Tathagatagarbha thought and the Yogacara thought. This article suggests a balance between philosophical and doctrinal reading, in that Tae-won Park’s approach can be applied to reading the conceptual levels inside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nd in that the doctrinal identification of it with other preceding scriptures can be investigated by reading the core thinking structure on the basis of causality according to Oda Akihiro. And the discussion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can be settled only when the purposes of disputants’ writings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are premised. In order to present the standpoint of this article, the section on positing the meaning ( ⽴義分 ) is dealt with at the end of it. 본 논문은 『대승기신론』 연구사를 성립논쟁을 중심으로 검토하고, 새로운 접근 방법론과 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밝히는데 주된 목적을 두었다. 『기신론』 연구사는 일본학계가 근대 시기 문헌학적 연구방법론을 도입한 시기를 기점으로 삼아, 이전의 전통적인 주석사를 중심으로 하는 교학사상사적 접근과 이후의 문헌학적 접근의 두 가지 흐름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다. 실제의 연구에 있어서는 두 가지가 혼용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어느 쪽이 더 우선적인 순위를 가지는가에 따라 두 가지 흐름으로 대별한 것이다. 이 중 동아시아 불교의 전통적인 교학사상적 접근은 주석서를 통한 접근이 그 대강이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종파의 교학적 프레임에 의거한 『기신론』 읽기가 이루어진다는 한계를 지닌다. 반면 문헌학적 접근은 지나치게 용어와 어법(語法)의 유사성을 강조하여 오히려 사상적 흐름의 일치 여부까지, 용어와 어법의 유사성 일치 여부에 의해 판단한다는 한계를 지닌다. 최근 『기신론』 연구의 새로운 방법론이 제안되었는데, 이들은 어느 쪽이든 교학 사상사적 접근과 문헌학적 접근의 양자를 모두 기반으로 삼되, 전혀 새로운 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기신론소』 『별기』에 보이는 원효의 읽기 방법론을 발전시켜 『기신론』 은 물론 불전 읽기의 전반에 적용시키고 있는 박태원의 접근 론이 그 첫 번째이다. 이른바 ‘조건인과의 계열로서의 연기’ 곧 ‘문(門)’의 플레임에 의한 『기신론』 읽기를 주장한다. 오다 아키히로는 『기신론』에 선행하는 경론들의 연기를 인과에 의한 사유구조라는 프레임으로 읽고, 이것에 의해 『기신론』이 『열반경』, 『승만경』과 유식사상을 기반으로 하되, 그 연기인과의 사유구조가 여래장 사상과 유식사상의 그것을 탈피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논자는 박태원의 접근론을 『기신론』 내부의 개념층위 읽기에 적용하고, 여타 선행 경론과의 사상적 일치 여부를 오다 아키히로의 연기인과에 의한 핵심 사유구조 읽기에 따라 그 일치 여부를 검토해나가는 철학적 읽기와 사상사적 읽기가 병행되 어야 한다는 관점을 제안한다. 그리고 『기신론』 논자가 가진 서술의 목적의식을 전제한 읽기라야만, 『기신론』 성립을 둘러싼 논의가 일단락된다는 관점에 서 있다. 논문 말미에서 「입의분」 읽기는 그 점에 대한 논자의 관점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 KCI등재

        균여전 다시 읽기 : 고려 광종의 불교정책에 대한 화엄행자 균여의 협력 그리고 갈등

        석길암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2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94 No.-

        When King Gwangjong initiated political reforms to reinforce his power, Gyunyeo—who was recruited by the king—was a proactive ally in the king’s new reforms. The split in their collaborative partnership occurred in about 968. Both Gyunyeojeon[Biography of Gyunyeo] and the historical records from King Gwangjong’s reign do not supply any details about the incident. Regarding this incident, preceding studies have offered a few interpretations, including the conflict between Gyunyeo and Tanmun, another Hwaeom monk who did not belong to the Uisang lineage. To these, I want to add a few new elements in interpreting this incident. The first element concerns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olicies implemented by Goryeo’s founder—King Taejo—and King Gwangjong. This reveals that King Gwangjong viewed the Doctrinal School and the Seon School differently. Secondly, in 968 Hyegeo at Yeongguksa Temple on Mt. Dobongsan was appointed state preceptor. Considering that the Beoban Order supported the congruence of the Seon and doctrinal approaches, and if the appointment of Hyegeo as state preceptor revealed King Gwangjong’s intent to integrate Buddhism by harmonizing the Doctrinal and Seon Schools, could this have been the cause of the rift between Gyunyeo and King Gwangjong? Thirdly, is the consideration of recent research findings that suggest beginning from the late 960s, King Gwangjong emphasized the view that “the king equates to the Buddha.” The Hwaeom philosophy is known to pursue harmony and fusion, or integration, and imperial power often applied this characteristic to governance. This strategy was also well known to Kings Taejo and Gwangjong who wanted to establish a state centered on the power of the throne by creating a pivot point to integrate the powerful clans that represented each region. This is further proven by the fact that of the temples established by these two kings, those which supported state policy were mostly Hwaeom temples. However, Hwaeom philosophy itself presupposes the wholeness of each individual because the wholeness of the whole is established based on the wholeness of the individual. Thus, the core philosophy of Hwaeom, represented by the saying “One is many and many are one,” embodies the characteristic pursued by Hwaeom philosophy. Gyunyeo, who was a proactive ally of King Gwangjong in his early efforts to reinforce royal power, seemed to come into conflict with the king who later pursued absolute royal power. Many elements could have contributed to this conflict, but one important reason to consider is the surfacing of differences between the social values pursued by King Gwangjong and those of Gyunyeo based on his Hwaeom philosophy. 본 논문에서는 고려 건국 초기인 10세기 중반의 정치권력과 화엄종의 입장을 대변하는 광종(光宗)과 화엄행자 균여(均如)의 관계를, 국가불교(國家佛敎)와호국불교(護國佛敎)의 관점에서 검토하였다. 광종이 왕권강화를 목적으로 개혁정치를 시작할 때, 광종에 의해 발탁된 균여는 광종의 왕권강화 정책에 있어서적극적인 협력자였다. 그런 두 사람의 협력 관계에 파탄이 생긴 것은 968년 무렵이다. 『균여전(均如傳)』과 광종대의 역사기록은 두 인물의 관계에 파탄을 일으킨 사건의 원인과 경과를 상세히 전해주지 않는다. 선행연구들은 이 부분에대해 의상계 화엄승인 균여와 비의상계 화엄승이었던 탄문(坦文) 간의 갈등 등몇 가지 해석을 제안하고 있다. 논자는 이 부분을 해석하는데 있어서 몇 가지새로운 요소를 고려하였다. 첫째, 고려 태조와 광종의 불교정책의 특징과 관련한 부분이다. 태조와 광종의 교종과 선종에 대한 대응방식이 동일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둘째, 법안종을 계승하고 고려에 전한 혜거국사가 등용되는 시점은, 균여와광종의 갈등이 표면화된 시점과 거의 일치한다. 혜거의 국사 책봉이 광종과 균여의 관계에 갈등을 낳는 계기였는가? 셋째, 960년대 후반을 기점으로 광종이 ‘왕즉불(王卽佛)’의 입장을 강조하였다는 최근의 연구 성과에 대한 고려이다. 전제권력은 화엄의 통합적 성격을 통치에 곧잘 활용하였다. 하지만 화엄사상 자체는 개개 존재의 온전성을 전제로 삼는다. 개개의 온전함을 전제로 해서전체의 온전함이 성립하기 때문이다. 광종의 초기 왕권강화 정책에 적극적인협력자였던 균여가, 전제적이면서 절대적인 왕권을 추구하였던 시기의 광종과는 오히려 갈등을 겪는다. 그 갈등에는 많은 다른 요인들도 있었겠지만, 광종이 추구한 사회적 가치와 균여가 화엄사상에 기반하여 추구하였던 사회적가치가 서로 달랐다는 점이 표면화되었던 것 역시 중요한 하나의 원인으로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