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불황기에서 회계정보에 의한 기업 부실화 예측

        趙盛豹(조성표),柳寅規(류인규),최현돌 한국산업경영학회 2006 한국산업경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

        본 연구는 최근의 불황기에 재무비율을 이용한 기업의 부실화 예측에 관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다양한 경기순환과정을 경험한 1993년 1월부터 1998년 10월 사이에 부실화 된 상장기업 148개를 표본으로 선정하고 이와 비교하기 위해 부실기업과 같은 업종에 속하는 건전기업을 1:3의 비율로 대응시켰다. 재무비율로는 영업활동현금흐름, 차입금의존도, 당기순이익률, 당좌비율, 경영자본회전률, 기업규모를 t-검증, 로짓분석에 적용하였다. 또한 경기시점별로 불황기를 하락기(1996년 1월~1997년 9월), 위기기(1997년 10월~1998년 1월), 지속기(1998년 2월~10월), 그리고 호황기(1993년~1995년)으로 구분하여 기업부실화 예측모형의 요인이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부실화 예측모형에서 부채구조, 현금흐름, 그리고 활동성, 기업규모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부실화 요인은 경기시점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경기 하락기에는 부채구조와 활동성, 수익성이, 위기기에는 부채구조와 기업규모와 현금흐름이, 지속기에는 부채구조와 현금흐름이, 그리고 호황기에는 현금흐름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부실화 시점에 따라 유의적인 변수가 달리 나타난 것은 경기가 가진 특성 중의 하나인 시중의 자금사정여부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예측정확도에서 1종오분류율이 하락기에는 낮게 나타난 반면 위기기와 지속기에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하락기에는 부채비율이나 수익성 등 재무적 정보만으로 부실 예측이 용이한 반면, 경기가 위기 상태로 악화된 경우에는 재무적 정보만으로는 부족하며, 외부환경변수 등 다른 비재무적 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업집단 내 한 계열사사 부실화되면 다른 계열사들도 함께 부실화되는 동반 부실화 현상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부실화 시기를 분석에 명시적으로 도입하였고, 시기를 경기에 따라 구분하여 부실화 원인을 규명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를 찾을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some empirical results of a study predicting corporate failure during a recession using financial ratios. The sample consisted of 148 failed firms and 421 nonfailed firms from listed companies. Logit model was composed of an intercept and the six independent variables: cash flow from operation to total assets, debt to equity, net income to sales, quick ratio, management capital turn over, and firm size. On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is study is that significant factors in the prediction models were estimated across the evolution of recession: initial recession (January 1996 ~ September 1997), panical recession (October 1997 ~ January 1998), sustained recession (February ~ October 1998). The results of recess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economic boom (1993 ~ 1995).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ur factors derived from financial state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urpose of assessing the probability of corporate failure. They were debt to equity, cash flow from operation, turn over ratio, and firm size. In all subperiods, the ratio of debt to equity appeared as an most important factor. Significant factor were different for each subperiod which were: debt to equity, cash flow from operation, turn over, and net income ratio of the firms failed in the initial recession; debt to equity, firm size, and cash flow from operation of those in panical recession; debt to equity, cash flow from operation of those in sustained recession; cash flow from operation of those in economic boom. The difference seemed to be caused due to the currency condition of the period. Prediction error, especially Type I error, was much less in initial recession than panical and sustained recession, which suggested that non-financial data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model predicting the firms failed in the panical and sustained recession. We found domino effect of corporate failures among member companies in large corporation groups.

      • KCI등재

        불황기에서 회계정보에 의한 기업 부실화 예측

        조성표(Seong-Pyo Cho),류인규(In-Gyu Ryu) 한국산업경영학회 2007 經營硏究 Vol.22 No.1

          기업부실예측에 대한 종전의 연구들은 기업의 내부 변수만 이용할 뿐, 경기변동 등 외부변수를 고려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기업의 부실예측 요인이 경기변동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실증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다양한 경기순환과정을 경험한 1993년 1월부터 1998년 10월 사이에 부실화 된 상장기업 148개를 표본으로 선정하고, 이와 비교하기 위해 부실기업과 같은 업종에 속하는 건전기업을 1:3의 비율로 대응시켰다. 재무비율로는 영업활동현금흐름, 차입금의존도, 당기순이익률, 당좌비율, 경영자본회전률, 기업규모를 t-검증, 로짓분석에 적용하였다. 또한 경기시점별로 불황기를 하락기(1996년 1월~1997년 9월), 위기기(1997년 10월~1998년 1월), 지속기(1998년 2월~10월), 그리고 불황이 시작되기전 호황기(1993년 1월~1995년 12월)로 구분하여 기업부실화 예측모형의 요인이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부실화 예측모형에서 부채비율, 현금흐름, 그리고 활동성, 기업규모가 유의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부실화 요인은 경기시점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경기 하락기에는 부채비율과 활동성, 수익성이, 위기기에는 부채비율과 기업규모와 현금흐름이, 지속기에는 부채비율과 현금흐름이, 그리고 호황기에는 현금흐름이 유의적으로 나타났다. 부실화 시점에 따라 유의적인 변수가 달리 나타난 것은 경기가 가진 특성 중의 하나인 시중의 자금사정여부에 따른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예측정확도에서 1종오분류율이 하락기에는 낮게 나타난 반면 위기기와 지속기에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하락기에는 부채비율이나 수익성 등 재무적 정보만으로 부실 예측이 용이한 반면, 경기가 위기 상태로 악화된 경우에는 재무적 정보만으로는 부족하며, 외부환경변수 등 다른 비재무적 정보가 추가적으로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부실화 시기를 분석에 명시적으로 도입하였고, 경기 상황에 따라 부실화 원인이 다름을 규명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some empirical results of a study predicting corporate failure during a recession using financial ratios. The sample consisted of 148 failed firms and 421 nonfailed firms from listed companies. Logit model was composed of an intercept and the six independent variables: cash flow from operation to total assets, debt to equity, net income to sales, quick ratio, management capital turn over, and firm size. One distinguishing feature of this study is that significant factors in the prediction models were estimated across the evolution of recession: initial recession (January 1996 ~ September 1997), panical recession(October 1997 ~ January 1998), sustained recession(February ~ October 1998). The results of recession were compared with those of economic boom(1993~1995).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four factors derived from financial statement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purpose of assessing the probability of corporate failure. They were debt to equity, cash flow from operation, turn over ratio, and firm size. In all subperiods, the ratio of debt to equity appeared as an most important factor. Significant factor were different for each subperiod which were: debt to equity, cash flow from operation, turn over, and net income ratio of the firms failed in the initial recession; debt to equity, firm size, and cash flow from operation of those in panical recession; debt to equity, cash flow from operation of those in sustained recession; cash flow from operation of those in economic boom. The difference seemed to be caused due to the currency condition of the period. Prediction error, especially Type I error, was much less in initial recession than panical and sustained recession, which suggested that non-financial data need to be supplemented in the model predicting the firms failed in the panical and sustained recession.

      • KCI등재

        감사인 규모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기업 부실화 이전 표본을 대상으로

        김성환,김태동 한국회계정책학회 2013 회계와 정책연구 Vol.18 No.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effect of auditor size on clients' earnings management before their corporate financial distress. Specifically, it investigates whether Big 4 auditors restrict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before financial distress. And it examines whether auditor changes have an effect on clients' earnings management before corporate financial distress. Auditor change firms are divided into three major categories which are horizontal change(Big 4→Big 4 or Non-Big 4→Non-Big 4), upward change(Non-Big 4→Big 4), downward change(Big 4→Non-Big 4). The empirical results are as follows:(1) The discretionary accruals of the clients audited by Big 4 auditors are lower than other firms before financial distress. That means Big 4 auditors restrict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 before financial distress;(2) Discretionary accruals of downward change firms are higher than other firms. And discretionary accruals of upward change firms are lower than other firms. We can infer that the firms trying to increase income switch from Big 4 auditors to Non-Big 4 auditors and make income-increasing earning management. These results imply that the firms switching from Non-Big 4 auditors to Big 4 auditors experience difficulty making income-increasing earnings managements. 본 연구는 피감사회사의 부실화 이전 기간을 대상으로 감사인의 규모가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형 감사인(Big4)이 중․소규모 감사인(Non-Big4)과는 달리 부실화 이전 기간에 이익의 상향조정을 통제하는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본다. 그리고 기업 부실화 이전 기간에 감사인이 교체된 경우를 상향교체(Non-Big4에서 Big4로 교체), 하향교체(Big4에서 Non-Big4로 교체), 수평교체 등으로 구분하고 감사인의 교체 유형이 이익조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실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Big4 감사인이 부실 이전 기간에 피감사회사의 이익 상향조정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부실 직전 연도와 이전 5차년도에 이익 상향조정이 Big4 감사인에 의해 억제되었다. 둘째, 감사인을 하향교체한 경우 재량적발생액이 상대적으로 크고, 감사인을 상향교체한 경우 재량적발생액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피감사회사는 부실화 이전에 Non-Big4 감사인으로의 교체를 통해 이익을 상향조정하는 경향을 반영한다. 반면 Big4 감사인으로 교체한 경우에는 이익의 상향조정이 상대적으로 어려운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 감사인의 특성까지 고려했다는 측면에서 부실화 이전 기간의 이익조정을 다룬 선행연구와 차별화된다. 부실 기업의 이익조정은 자본시장의 효율적 자원 배분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이익조정을 억제할 수 있는 감사인의 특성을 탐색했다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연구 결과는 부실화가 예상되는 경우 기업의 감사인 선정과 교체에 사회적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그리고 감사인이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는 부실화 이전 기간을 대상으로 감사인 규모와 감사품질 간의 관계를 국내 감사시장에서 확인했다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있다.

      • KCI등재

        A Study of Searching Appropriate Leading Financial Variables Predicting the Delisting Determination to Kosdaq Listed High-tech Ventures

        Young-Seok Yang,Sang-Sup Cho 한국산업경제학회 2010 산업경제연구 Vol.23 No.5

        본 논문은 코스닥상장기업들의 부실화와 퇴출가능성을 사전에 예측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재무변수를 찾아 기업들로 하여금 이 변수관리를 핵심 경영가이드라인으로 삼게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96개 코스닥상장기업을 표본(2009년 이후 상장실질심사를 통해 퇴출된 기업 29개 포함)으로 2006년부터 2009년까지의 재무데이터를 DB화하고 이에 퇴출결정모형인 Logit과 Survival Model을 적용하여 기업의 퇴출과 부실화를 예고해주는 핵심재무변수 추정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코스닥상장기업의 부실화 예측의 경우 2년까지는 유효한 예측치를 도출하였지만 그 이상 즉 3년은 한계를 보였으며 예측모형도 주로 Logit 모형이 타당한 결과를 가져옴을 발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코스닥상장기업의 경우 퇴출 2년전과 1년전 각기 3개의 서로 다른 재무변수들이 기업부실화와 퇴출을 예측하는 설명력을 발견하였다. 우선 퇴출 2년전에 기업의 퇴출과 부실화를 예측하는 주요 재무변수는 자기자본비율, 고정장기적합비, 부채비율이었으며 이들 세변수의 예측력은 76.34%에 달했다. 또한 퇴출 1년전에 기업부실화와 퇴출을 예측하는 주요 재무변수는 총자산회전율, ROIC, 매출원가비 중이었으며 이들의 예측력은 83.8%에 이르렀다. 연구결과, 본 연구는 코스닥상장기업들이 2년치 재무 데이터를 중심으로 이들 6가지 변수 중심의 경영가이드라인을 구축하면 서전에 기업부실화와 퇴출가능성을 차단할 수 있는 성과를 올릴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aim to find the most appropriate financial variables to predict the insolvency or delistings of Kosdaq listed companies in advance. To meet this goal, it constructs data base three year terms - from the year of 2006 to 2008- of financial information over Kosdaq listed companies including delisted one to analyze the process of firm's insolvency. By using Logit and Survival model, this paper investigate the major financial variables to predict firm’s failure three years ahead of firms delisting at annual base. The result applying a Logit model of financial data which is two years ahead of Kosdaq delisting, the year of 2007 shows that three major financial variables ranking in a row - equity capital turnover, fixed assets to stockholders’ equity and long-term liabilities, and debt ratio predict real Kosdaq delistings about 73.64% after the year of 2009. Second, the result of prediction against one year before delisting bring the outcomes that three major financial variables ranking in a row - total assets turnover, ROIC, and cost of sales weight forecast real Kosdaq delistings 83.8%. This research concludes two major points; ⅰ) the existence of valid financial variables predicting Kosdaq Delisting ahead, ⅱ) different set of these variables across years. Hence, the outcomes of this paper provide Kosdaq Listed companies of a solid foundation developing the management guideline about controlling firm's insolvency and delisting from Kosdaq.

      • KCI등재

        도시가계 부채 부실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박범석(Park, Beum-Seok),김형주(Kim, Hyung-Joo) 한국도시행정학회 2014 도시 행정 학보 Vol.27 No.3

        최근 경제의 중요한 화두 중 하나는 가계부채 문제이다.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가계부채는 규모의 증가추세 뿐만 아니라 질적 측면에서 부실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그러나 경제적, 사회적 관심에 비해 객관적 자료의 부족과 가계부문의 비동질성 등의 문제로 가계부채 부실화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거시적 환경변화와 가계부채의 특성을 고려하여 가계부채 부실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영향력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분석결과 사회적, 경제적, 정책적 현황 중 사회적 현황 인식이 가구와 개인, 가계부채 부실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현황 인식의 경우 가구별 특성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개인적 특성과 가계부채 부실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책적 현황 인식의 경우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제시한 정책적 시사점으로는 사회적 현황 인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사회적 여건 개선을 위한 선순환적 정책실행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One of the most important topic of the recent economic is a household debt problem. Since the financial crisis of 2008, as well as an increasing trend of household debt scale, fear of bad debts have been raised in a qualitative aspect. However, problems such as non-homogeneity of the household sector and the lack of objective data, research on unhealthy of household debt can not be found than in the economic interest and social. A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influence factor to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household liability changes in macro environment, affecting the burnt household debt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situation, I found that social situational awareness gives a definition affect the scorching and personal furniture, household debt. Features when household economic situation awareness, while it will affect the definition is indicated, that does not affect the unhealthy of household debt and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fou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o have no effect if the current recognition policy. Since having the greatest impact of social status recognition,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analysis presented in the results presented to a virtuous cycle of policy execution is required for improving social conditions.

      • KCI등재

        거시경제변동 전후 건설기업의 부실화 비교분석 - IMF 외환위기 및 서브프라임 금융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

        최재규,유승규,김재준,Choi, Jae-Kyu,Yoo, Seung-Kyu,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2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3 No.4

        과거 IMF 외환위기와 서브프라임 금융위기는 그 발생의 기원이 다를지라도 거시경제의 변동성에 크게 영향을 주었다. 이는 전체 산업에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뿐 만 아니라, 건설산업을 영위하는 개별 건설기업의 경영환경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많은 부실기업들을 양산하였다. 실제로 거시경제변동 전후 건설기업의 부실화 정도는 급격한 변화과정을 겪게 되며, 충격에 대한 반응 또한 기업별로 차이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과거 IMF 외환위기와 최근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라는 거시경제변동 상황 하에서 건설기업 부실화의 변천과정을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거시경제변동 전후에 건설기업의 부실화 정도를 분석하기 위해 KMV 모형을 사용하여 예상부도확률(Expected Default Frequency)을 추출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건설기업의 표본은 부실기업 20개, 정상기업 20개로 구성하였다. 분석결과 서브프라임 금융위기가 상대적으로 외환위기보다 건설기업에 더 큰 충격을 준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거시경제 충격 이전의 건설시장의 상황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부실기업과 정상기업을 비교해 보았을 때, 정상기업의 회복속도가 더 빠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정상기업과 부실기업의 내부 사업역량차이에 의해 작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KMV 모형을 활용하여 건설기업의 부실화정도를 시간 흐름에 따라 측정하는 것이 가능함에 따라 각 시기별 부실화의 속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개별기업의 재무구조 개선 효과 및 투자자의 투자지표로 활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리스크 매니지먼트 관점에서 의사결정지표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ast IMF foreign exchange crisis and subprime financial crisis had a big influence on variability of macroeconomics, even if the origin of its occurrence might be different. This not only had a significant infrequence on the overall industries, but also produced many insolvent companies by being closely linked with a management environment of an individual construction company leading the construction industry. Actually, the level of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 before and after fluctuation of macroeconomics gets to experience a rapid changing process, and a difference in reaction against shock exists according to each compan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firm the fluctuation process of the default risk of construction companies under the fluctuation of macroeconomics such as the IMF financial crisis and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As an analysis result, it is judged that the subprime financial crisis gave bigger shock to construction companies than the foreign exchange crisis,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ould have a relation with the construction market before shock of macroeconomics.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when comparing insolvent companies with normal companies, the recovery speed of normal companies is faster. It is judged that this was affected by a difference of internal business capacity between insolvent companies and normal companies.

      • KCI등재

        罷業과 企業不實化 : 韓國과 美國의 比較硏究 A Comparative Analysis of U.S. and Korea

        조준모 한국국제통상학회 2004 국제통상연구 Vol.9 No.3

        미국의 노사관계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로서 대표적인 연구로서 Freeman and Kleiner(1999)를 들 수 있다. 그들의 연구에 의하면 미국 기업에서 노동조합은, 항간의 의혹과 달리, 기업의 부실화를 촉진시키지 않는다는 실증분석결과를 제시하였다. 이미 부실화된 기업에서 과도한 임금요구를 자제하고 고용안정을 추구하는 양보교섭(concession bargaining)에 임하기 때문에 합리적 노조가 존재하는 기업은 비노조기업에 비하여 갱생확률이 적어도 낮지는 않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식 합리주의가 한국의 노사관계에 그대로 적용된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본 연구는 Freeman and Kleiner의 합리적 노동조합론이 한국에 적용되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1997년에서 2002년까지 노동부에서 작성한 『노사분규 백서』와 『전국 노동조합 조직 현황』 및 『매일경제 회사연감자료』를 이용하여 패널 자료를 구축 한다. 이렇게 구축된 패널자료를 통하여, 본 연구는 분규발생여부, 분규참가자 수, 근로손실일 수, 분규지속일수, 불법분규여부, 가입상급단체 등 변수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시도한다. 본 연구에서 대립적 노사관계는 파업의 빈도수, 건당 파업일수, 불법파업여부 등의 대리변수를 통해 포착되며, 파업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효과는 다음의 2단계 실증분석을 통해 진행된다. 파업발생은 해당연도 기업 경영진의 태도, 경영성과, 노동조합의 정책 등에 의해 결정되는 내생적인(endogeneous) 변수로서 이를 외생적으로 간주하고 계량모형을 적합 시킬 경우 연립방정식 편의(simultaneous bias)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치유하기 위해 파업발생과 기업부실화의 2단계 모형을 설정하여 파업발생을 외생적으로 간주한 단순 회귀분석 결과와의 차이점을 살펴본다. 만일 파업이 기업 성과 감소→기업 부실화 촉진→도산 가능성 증가→노사관계의 대립성 증폭의 악순환에 유의적으로 기여하고 있다면 미국식 합리주의를 한국의 노사관계에 접목시키는 데는 무리가 있음을 시사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이는 한국의 대립적 노사관계가 국가 경쟁력을 약화시킬 뿐만 아니라 일자리 파괴로 이어져 한국 노사관계의 전반적인 기능 제고가 필요하다는 정책함의를 시사 받을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panel data to assess the impact of Korean labor unions on worsening corporate performance to gauge whether unions maintain rational behavior in the process of insolvency and recovery in the context of the hostile industrial relations in Korea. Freeman and Kleiner(1999), who studied the weakening of performance at US companies and the function of the labor union, lay out empirical evidence that, in contrast to previous thought, the union does not aggravate a company's ailments. They argue that in an already weak enterprise, the union would engage in concession bargaining by refraining from demanding excessive wages and emphasizing job stability; thus, a company with such a rational union would be at least as likely as a non-unionized firm to recover its financial soundness. However, the empirical study in this paper did not support the rational union behavior in Korea. If labor unions are a significant factor in worsening corporate performance leading to financial distress and, ultimately, rising odds of bankruptcy, the unions are in fact weakening company competitiveness and destroying jobs to the detriment of the union organization as a whole. The policy implication would thus be that policies are needed to bring the positive functions of the unions into play.

      • KCI등재

        건설경기와 건설업체 부실화 간의 관계성 분석

        서정범,이상효,김재준,Seo, Jeong-Bum,Lee, Sang-Hyo,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3

        건설경기의 악화에 따른 건설업체 경영상태의 악화는 단순히 건설업체만의 문제가 아니다. 즉, 건설산업은 건설업체뿐만 아니라 공공기관, 금융기관, 가계 등 다양한 시장참여자가 공동으로 관계하고 있기 때문에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건설경기 변동과 건설업체 부실화 변화 과정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건설업체 부실화 정도와 건설경기 간의 관계성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KMV 모형을 활용하여 예상부도확률을 측정하고 이를 건설업체 부실화의 대리변수로 활용하였다. 건설경기 변수들의 경우 공사종류별로 세분화하였다. 즉 주거용, 비주거용, 토목용 건설투자액을 공종별 건설경기를 대리하는 변수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변수들을 활용하여 본 논문에서는 벡터오차수정모형(VECM)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살펴본 바, 건설업체들은 먼저 사업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건설업체의 경영상태가 악화되게 되면 시장상황이 좋아지더라도 이를 원래 상태로 회복하는 것은 상당히 힘든 것으로 판단된다. 즉 건설업체의 경영상태가 양호해지기 위해서는 시장상황즉, 외부환경의 변화도 매우 중요하겠지만 그보다 더 기업내부적인 역량강화가 절실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changes in construction business have impact on overall opera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Poor business of construction companies following a s low industrial cycle could have broader implications and influences on the industry. Since a construction project involves various stakeholders including public organizations, financial institutions and households, a downturn in construction industry might lead to significant economic loss. In this regard, it is meaningful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construction business cycles and insolvency of construction companies. This study conduc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ruction business cycles and how much they affect opera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To this end, KMV model was used to estimate probability of bankruptcy, which represents business condition of a construction company. To examine construction business cycles, investment amount for different construction types-residential, non-residential, and construction work-was used as a variable. Based on the investment amount, VECM was applied and the analysis results suggested that construction companies should put priority on diversifying project portfolio. In addition, it was shown that once a construction company becomes unstable in business operation, it is hard to recover even when the market condition turns for the better. This suggests that, to improve business operation of a construction company, internal capacity-building is as important as the market condition and other external circumstances.

      • KCI등재

        베이지안 확률적 접근법을 이용한 건설업체 부도 예측에 관한 연구

        홍성문,황재연,권태환,김주형,김재준,Hong, Sungmoon,Hwang, Jaeyeon,Kwon, Taewhan,Kim, Juhyung,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17 No.5

        주수급자 역할을 하는 건설기업의 부실화는 발주자에게 공사계약 미이행에 따른 피해를 초래할 수 있고, 전문건설업체 및 자재공급업체의 재무건전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건설업은 프로젝트를 수주하고 진도에 따라 기성을 받는 현금흐름의 재무적 특성이 존재하고, 사업 진행 중의 부실화는 투입한 자금의 손실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건설업체의 부실화 예측은 중요하다. 국내 건설업체의 부실화 예측은 90년도 초 미국에서 개발된 KMV (Kealhofer McQuown and Vasicek)사의 KMV모형으로 수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이 모형은 일반적인 기업 및 은행의 신용위험 평가에 개발되어져 건설기업 예측력에는 부족함이 있다. 또한, KMV값의 부도확률 예측력에 대해서는 분석대상의 기업수 및 데이터의 부족으로 의문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의문점을 해결하기 위해 기존 부도예측확률모형에 베이지안 확률적 접근법(Bayesian Probabilistic Approach)을 접목하고자 한다. 베이즈 통계학의 사전확률(Prior Probability)만 적절하게 예측가능하다면 적은 정보라도 증거에 대한 조건부 획득으로 신뢰성 있는 사후확률(Posterior Probability)을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존 부도예측확률모형에 베이지안 확률적 접근법을 활용하여 예상부도확률(Expected Default Frequency, EDF)을 측정하고, 기존 모형의 예상부도확률과 비교하여 정확성을 예측하고자 한다. Insolvency of construction companies that play the role of main contractors can lead to clients' losses due to non-fulfillment of construction contracts, and it can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soundness of construction companies and supplier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the cash flow financial characteristic of receiving a project and getting payment based on the progress of the construction. As such, insolvency during project progress can lead to financial losses, which is why the prediction of construction companies is so important. The prediction of insolvency of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re often made through the KMV model from the KMV (Kealhofer McQuown and Vasicek) Company developed in the U.S. during the early 90s, but this model is insufficient in predicting construction companies because it was developed based on credit risk assessment of general companies and banks. In addition, the predictive performance of KMV value's insolvency probability is continuously being questioned due to lack of number of analyzed companies and data. Therefore, in order to resolve such issues, the Bayesian Probabilistic Approach is to be combined with the existing insolvency predictive probability model. This is because if the Prior Probability of Bayesian statistics can be appropriately predicted, reliable Posterior Probability can be predicted through ensured conditionality on the evidence despite the lack of data. Thus,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Expected Default Frequency (EDF) by utilizing the Bayesian Probabilistic Approach with the existing insolvency predictive probability model and predict the accuracy by comparing the result with the EDF of the existing model.

      • KCI등재

        Causes of Savings Bank Insolvency: A Korean Puzzle

        정진영(Jin-young Jung),이은태(Eun-tae Lee) 한국증권학회 2016 한국증권학회지 Vol.45 No.4

        최근 저축은행 사태의 원인은 PF 등 부동산 관련 대출의 부실화와 100%에 가까운 지분을 보유한 저축은행의 대주주가 경영에 적극 관여하여 불법대출행위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등 소유지배구조의 문제점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여전히 풀리지 않은 퍼즐은 ‘왜 자산규모 업계상위의 저축은행들이 부실화 되었는가’이다. 저축은행 사태가 발생하기 직전 자산규모로 상위에 속해 있던 저축은행들은 거의 저축은행 그룹 형태로 존재하여 왔다. 저축은행 사태가 발생했을 때 그룹에 속해 있었던 저축은행들이 더 쉽게 부실화의 영향을 받았다. 왜 위험분산 효과 (Diversification effect)가 저축은행 그룹에는 적용되지 않은 것일까? 우리는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저축은행 그룹 내의 동조화 현상을 살펴보았다. 2000년부터 2012년 사이의 상위 8개저축은행 그룹의 재무자료를 이용하여 그랜저 인과관계 분석, 공적분 검정, 벡터자기회귀(VAR)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그룹 내 저축은행간 재무지표 동조화 현상이 뚜렷이 존재함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저축은행 그룹 내의 동조화 현상 때문에 위험분산효과가 제대로 실행되지 못하여 저축은행의 부실화를 초래한 원인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The recent savings bank crisis was caused by increased exposure to real estate financing loans and a bad governance system that connived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illegal loans. However, the question of why top savings banks became bankrupt remains an unsolved puzzle. Because most of the top savings banks were grouped as conglomerates, this paper examines whether there was a financial synchronization phenomenon within the savings bank group. The paper analyzes data sets from eight savings bank groups from 2000 to 2012 in Korea and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ynchronization and insolvency risk within financial institutions. The results of a Granger causality test and the vector autoregression (VAR) model show that savings bank groups exhibit Granger causality with their financial indicators. For most groups, financial indicators of parent firms affect those of subsidiaries, thereby increasing the insolvency risk of those groups. Savings bank groups showing synchronization in two or more indices based on the VAR test became insolvent as a result of a deterioration in their financial soundness after 2011 and were eventually dissol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level of synchronization for indices can indicate the potential business risk of savings banks to some ext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