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국어 교사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 연구

        김동욱(Gim, Dong-uk),장은주(Jang, Eun-ju)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5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9 No.2

        이 연구는 중등 국어 교사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을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중등 국어과 교사 129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을 어떻게 실행하였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어떤 어려움을 겪었는지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는 근거 이론을 바탕으로 지속적 비교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범주화한 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 국어과 교사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양상은 1)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있으며, 복합양식 텍스트의 의미를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 유형, 2)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없지만 복합양식 텍스트를 활용하여 표현보다는 이해에 중점을 둔 수업 유형, 3)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관련이 없지만 복합양식 텍스트를 활용하여 이해보다는 표현에 중점을 둔 수업 유형, 4) 수업 목표가 복합양식 문식 능력 신장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복합양식 텍스트를 제작하거나 생산하는 데 중점을 둔 수업 유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둘째, 중등 국어과 교사들이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 중 겪는 어려움은 교수자, 학습자, 수업 실행, 평가, 교수·학습 환경으로 범주화할 수 있었다. 이 논문은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중등 국어과 교사들의 복합양식 문식성 수업 실행을 위해 다양한 지원 방안이 제시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attern of multimodal literacy instruction(hereafter MLI) on Korean language classes at secondary schools. In doing so, 129 korean teachers at secondary schools were asked to explain MLI and teaching difficulties in their Korean language class. The MLI of Korean teachers categorized as followed; A type were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therfore focused on understanding multimodal text; B type aimed were not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but focused on understanding multimodal text; C type aimed were not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but focused on producing multimodal text; D type aimed were aimed explanding of multimodal literacy therfore focused on producing multimodal text. And the difficulties of MLI on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instructor, student, instructing, evaluating,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From the findings, this paper suggest that Korean teachers needs supporting for MLI in various ways.

      • 미래 세대를 위한 문식성의 개념과 교육의 방향

        서현석 全州敎育大學校 初等敎育硏究所 2021 初等敎育硏究 Vol.3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미래의 교육에서 왜 문식성이 중요한지 살펴본 다음, 국어교육 에서 논의되어 온 문식성의 개념을 탐구하고 추후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다. 문식성은 교육 공동체가 지향하는 ‘모두를 위한 평생학습’을 실현하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교육 영역이라 할 수 있다. 2022년 개정을 앞둔 대한민국의 교육과정 총론에서도 ‘미래 변화에 대응하는 역량 및 기초소양 함양 강화’를 가장 먼저 언급하 고 있다. 문식성의 개념은 마치 살아있는 유기체처럼 인간 사회의 발전과 함께 지속 적으로 변화하면서 새로운 지식과 사회적 요구를 반영해 왔다. 그래서 문식성은 그 사회에서 요구하는 기본 지식 혹은 교양에 대한 사고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는 의사소통과 특정 집단의 문화와 가치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능력을 의미하게 되었다. 앞으로 문식성은 사회적 윤리 의식과 책임감 등이 좀 더 깊이 관여된 개념으로 진화하게 될 것이다. 이 연구의 결론에서는 미래 세대를 위한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복합 문식성(Multi-literacy)의 함양, 배려적 사고(Caring Thinking)의 강조, 가족 문식성(Family Literacy)의 중요성 인식과 활용’ 등으로 제 안하였다.

      • KCI등재

        공익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교육에서의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방안 연구

        김도연 한국국어교육학회 2023 새국어교육 Vol.- No.136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공익 광고를 활용하여 한국어 학습자의 복합양식 문식성 역량을 신장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방법: 공익 광고를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방안을 제시함에 있어 복합양식 문식성의 개념과 복합양식 문식성 역량의 구성 요소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후 국가에서 고시한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과 <한국어(KSL) 교육과정>, 그리고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한국어교육에서의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내용 체계를 도출하였다. 결과: 지식과 기술, 태도를 융합할 수 있는 복합양식 문식성 함양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공익 광고를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방안을 구안하였다. 결론: 공익 광고를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은 매체 문식성에서 요구하는 중핵적인 능력을 길러 줄 수 있으며 나아가 복합양식을 사용하여 학교 안팎에서 효율적으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 plans based o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to enhance multimodal literacy among Korean language learners. Methods: To propose education plans for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concept of multimodal literacy and its components. Then, the study analyzed the <Korean Standard Curriculum>, <Korean as a Second Language(KSL) Curriculum>, and <International Standard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mandated by the governmen to derive a framework for multimodal literacy conte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ults: This study proposed a class model to improve multimodal literacy, which can integrat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 Based on this model, this study came up with a teaching learning method for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Conclusio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public service announcements would help students to develop the core skills required for media literacy, and ultimately, students may use multimodality and develop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effectively inside and outside school.

      • KCI등재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경화(KyoungHwa Kim),석혜은(HyeEun Seo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308편의 연구들을 발표된 시기별로 양적 변화추이를 살펴본 후 토픽모델링을 활용하여 연구 동향을 분석하였다. 국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 연구는1990년부터 발표되었고, 본격적으로 논의가 시작된 것은 2005년부터였다. 특히 2009, 2013, 2016, 2021년에는 연구의 양적인 증가가 확인되었다. 토픽모델은 계량적 지표와 정성적 기법을 종합하여 4개의 토픽으로 구성된 모델을 선정하였으며, ‘매체 교육’, ‘교육 내용 및 영역’,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의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한편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에서 강조되고 있는 비판적 사고와 관련된 연구는 양적으로 매우 적어, 본 연구가 관련된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by analyzing research trends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To this goal, we examined the quantitative change trends in 308 studies by publication period and then analyzed research trends using Topic Modeling. Domestic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research has been published since 1990, and discussions began in earnest in 2005. In particular, a quantitative increase in research was confirmed in 2009, 2013, 2016, and 2021. For the Topic Model, a model consisting of four topics was selected by combining quantitative indicators and qualitative techniques, and was categorized into the areas of 'media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 and area',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did. Meanwhile, research related to critical thinking, which is emphasized in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is quantitatively very small, and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basic data for related research.

      • KCI등재후보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정현선(Jeong Hyeon s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4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8 No.2

        이 논문에서는 문식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인 대면, 지면, 화면에서 일어나는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에 대해 논의하였다. 첫 번째로는 학생들 스스로 문식 활동에 대해 되돌아보는 성찰을 위해, 문식 활동 일지 작성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는 지면 공간을 기반으로 한 복합양식 텍스트인 그림책에 대해 행동유도성에 초점을 두어 독자로서 반응하고 감상하는 읽기 활동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사진을 찍거나 그림을 그리는 등 학생이 직접 시각적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복합양식 텍스트를 표현하고 소통하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자신의 문식 활동에 대해 기록하는 일지 작성은 학생들로 하여금 청소년들의 평균적인 매체 이용 통계 결과와 비교하여 자신의 매체 문식 활동에 대해 되돌아볼 수 있도록 하는 기초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중요한 활동이 될 수 있다. 또한 그림책 읽기 활동은 지면 위에 펼쳐진 글과 그림이 서로 관계를 맺으며 독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방식을 학생들이 자연스럽고 즐겁게 경험하도록 한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활동이 될 수 있으며, 이는 그림책에 대한 반응과 감상을 이끌어내기 위한 교사의 전략적 질문과 활동을 중심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한편, 학생들이 쓰기를 위해 직접 시각적 이미지를 생산하는 활동은 쓰기의 내용 생성을 촉진할 수 있으며, 자신이 생성한 내용과 표현인 사진이나 그림을 글에 포함하여 복합양식 텍스트로 표현하도록 하는 것은 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학생의 쓰기 표현의 향상은 시각화 전략과 더불어, 학생의 글에 대한 교사의 구두 반응이 더해질 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the meanings and methods of multimodal literacy education occurring face-to-face, on the page, and on the screen are discussed, as the spaces where literacy activities take place. First, students were presented with the suggestion of writing literacy activity journals to provide introspection enabling them to look back on their own literacy activities. Second, focusing on affordances, kinds of reading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interact through reaction and appreciation processes were presented, with implementation of picture books containing multimodal text based on the page space. Finally,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reate visual images on their own via taking pictures or drawing objects and expressing multimodal text with them were presented. Writing activity journals, wherein children and teenagers make a record about their literacy activities, can be an important activity in that it would provide basic data enabling the students to reflect on their media literacy activities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statistics on the average use of the media. In addition,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can be meaningful in that they enable students to enjoy experiencing the way the text and pictures stretched across the papers create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induce the reader's behavior. These activities need to be carried out with a focus on strategic questions and activities to derive reactions about and appreciation of the picture books from the students.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ies wherein the students produce visual images for their writing on their own can promote the creation of content for the associated writing, and would be helpful in the students' transporting of their thoughts and emotions to better express multimodal texts by way of including pictures and drawings, the contents and expressions they created by themselves, inside of their writing.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mprovement in students' writing ability can only be achieved with the teacher's oral response on top of the visualization strategy.

      • KCI등재

        문식성 후원자의 작용 양상에 대한 사례 연구 -초등학교 1학년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을 중심으로-

        서수현,옥현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2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8 No.-

        이 연구에서는 Brandt의 문식성 후원자라는 개념을 토대로,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서 나타나는 문식성 후원 양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문식성 후원자는 문식성 발달에 미치는 주변 환경의 역할이 조명되면서 등장한 개념으로,문식성에 접근하는 길을 열어주고 문식성을 후원하고 가르치며 문식자(the literate)의모델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특정한 문식성 또는 문식 활동을 통제하고 억누르기도하는, 그리고 이러한 행위를 통해 어떤 형태로든 이익을 얻는 주체(agent)를 가리킨다. 이 연구에는 모두 다섯 명의 초등학교 1학년 학생들이 참여하였으며, 학생들이작성한 그림일기, 교사와 학생들의 면담, 연구자와 학생·학부모와의 면담을 통해자료가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학생들의 그림일기 표현 활동에는 부모, 책, 영화,만화 등이 주요한 문식성 후원자로 등장하였으며 그 지원 양상도 서로 다르게 나타났다. 또한 후원자의 판단에 따라 장려되는 문식 활동도 있는 반면 제한되는 문식 활동도 있었다. 이 연구는 그림일기 표현 활동의 실체를 들여다보는 연구라는 점에서,그리고 후원자와 후원 받는 이 사이의 구체적인 상호작용을 기술하고 있다는 점에서의의가 있다. This study, based on the concept of literacy sponsorship coined by Deborah Brandt, aims to analyze the patterns of literacy sponsorship in the first graders’ picture diary composition. According to Brandt, literacy sponsor refers to any agents, local or distant, concrete or abstract, who enable,support, teach, or model, as well as recruit, regulate, suppress, or withhold literacy. Five first grad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data, including the students’ picture diaries,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their parents, and their classroom teacher. Parents, books, movies, and comics were found as the most dominant literacy sponsors in their picture diary practices and the patterns of their sponsoring were shown differently. Also found was the fact that some of the sponsoring were shown as support or teaching while the others were shown as regulation or restriction.

      • KCI등재

        국어교육의 융복합적 특성과 문식성

        윤여탁 ( Yoon Yeotak ) 국어교육학회 2018 國語敎育學硏究 Vol.53 No.1

        이 글은 ‘4차 산업혁명’이라는 발상의 전환을 요구하는 시기에 국어교육은 어떤 지향을 해야 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융복합 교과로서의 국어교육의 특성을 설명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국어교육의 지향과 방법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논의 내용을 문식성(文識性, literacy) 교육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설명하였다. 즉 국어교육에서 중시했던 기능적 문식성을 넘어 문식성의 개념을 확장해야 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융복합적인 교과로서의 국어교육은 의사소통 차원의 언어교육이라는 관점에서 ‘신 문식성’ 능력의 함양이라는 맥락에서 멀티미디어를 운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라는 점을 주목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국어교육의 내용이자 제재가 되는 예술로서의 문학 작품을 이해하거나 표현하는 능력에 주목하는 ‘문학 문식성’의 위상과 역할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의 특성을 설명하였다. 끝으로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미래 사회에서 새롭게 추구해야 할 문식성 교육의 방향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의 지향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the period calling for a transformation of the ide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do thi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convergence curriculum are discussed along with the direction and the method of it’s practice. Explained in terms of changes in literacy education, it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oncept of literacy should be extended beyond functional literacy, which is important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particular,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convergence curriculum should focus on the learners’ ability to operate multimedia as a “new literacy” ability from the viewpoint of communicative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status and role of “literary literacy” are discussed focusing on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literary works as contents and materials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inally, the orienta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the direction of literacy education to be pursued in future is clarified.

      • KCI등재

        만 5세 유아의 주말지낸 이야기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내용 및 의미구성관계, 복합양식 문식성 특성

        조주희,김유미 미래유아교육학회 202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7 No.2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how children use multimodal literacies and investigate characteristics of multimodal literacies in children’s own represent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purpose, we collected 471 weekend story representations from 16 children aged 5 years for 1 year. The collected children’s weekend stories were qualitatively analyzed through constant comparison method. And the frequency was calculat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ression of the multimodal literacies for each chil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 such as people, events, and backgrounds children’s weekend story representation showed that writing and drawing play an independent role and have complementary relationships. Moreover, the content construction skills of children developed as time passed. Second, in terms of meaning construction the writing had more information than the drawing. Third, children used various types of multimodal literacies for effective content delivery. The findings showed that children were capable of being a multimodal meaning-maker and children’s representations should be understood as a whole based on the relevance of text and pictures. This meant that it is an effective start of respect for children’s individuality and multimodal literacies education in the field of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본 연구는 유아가 자신의 일상 경험과 느낌을 글과 그림으로 구성하여 타인과 의사소통한 주말지낸 이야기를 분석하여 유아의 표상물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관계를 통해 인물, 사건, 배경의 내용구성과 의미구성 방식을 고찰하여 유아기 복합양식 문식성 특성과 발달경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1년에 걸쳐 만 5세 유아가 쓴 그림일기 형식의 주말지낸 이야기 471편을 수집하여 복합양식 문식성 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유아의 표상물에 나타난 인물, 사건, 배경의 구성요소 표현에는 글과 그림이 독자적인 역할을 하며 서로 보충하는 총체적인 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유아의 이야기 내용 구성 기술과 문식성 표현이 발달하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유아의 주말지낸 이야기에 나타난 글과 그림의 의미구성관계는 그림보다 글에 더 정보가 많고, 유아는 다양한 복합양식 문식성 유형을 사용하여 내용을 전달하였다. 이는 유아가 글과 그림의 관계를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며, 유아의 표상물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글과 그림의 관련성을 기반으로 총체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유아 교육 및 보육 현장에서 유아의 표현 양식의 다양성을 인정하는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는 각 유아의 개별성을 존중하고 유아를 복합문식 상징의 능동적인 소비자이며 적극적 창조자로 바라볼 수 있는 교육을 실행하는 토대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개별논문 : 복합 문서 처리 전략 검사 도구의 타당도 검증 및 전략 수행 양상 분석 -학생의 복합 문서 요약 과제 수행을 중심으로

        최숙기 ( Sook Ki Choi ) 한국작문학회 2014 작문연구 Vol.0 No.21

        이 연구의 목적은 복합 문서 기반의 정보 요약 과제를 수행하는 중학생들의 복합 문서 처리 전략의 요인을 탐색하고, 전략 수행 양상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 총 497명을 대상으로 하여 지구 온난화를 주제로 한 5편의 글을 읽도록 한 뒤 정보를 요약하는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생들은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복합 문서 처리 전략 검사지를 작성하였고 결과를 토대로 하여 요인 분석을 통해 전략 요인을 추출하고, 학년과 성별에 따른 전략 수행 양상을 탐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중학생의 복합 문서 독해 전략을 구성하는 요인은 ‘텍스트 간 정교화’와 ‘정보 축적’ 의 2개의 전략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정보 축적 전략과 텍스트 간 정보 정교화 전략 간에는 .7이상의 매우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들의 복합 문서 처리 전략 수준은 약 3.6이상으로 보통 수준 이상의 사용 양상을 보였고 성별 차이는 없었으며 1학년이 2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전략 사용 양상을 나타냈다. 그러나 복합 문서의 독해력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정교화 전략 사용 수준이 높아질 필요가 있으므로 이에 유의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constructs of multiple-text comprehension strategies in a sample of 497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ho read 5 texts on a climate change and responded to a Multiple-text strategy inventory(MTSI) developed by Braten & Strømsø(2011) focusing on strategic multiple-text processing in summary writing task.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many findings. 1) Two factors were identified through factor analysis. first factor representing the accumulation of pieces of information from the different texts and first factor representing cross-text elaboration. 2) Correlational analyses indicated that self reported accumulation and cross-text elaboration strategies were correlated highly and positively(r>.07). 3)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used multiple-text processing strategy commonly(M≥3.6) and the multiple-text strategy use level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was above normally. 4)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s and was seen that 7th grade students more used multiple-text strategies than 8th grade students significantly.

      • KCI등재

        문식성(Literacy)의 변화와 기호학적 관점의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

        정혜승 ( Hye Seung Chung ) 한국교육과정학회 2008 교육과정연구 Vol.26 No.4

        정보기술의 발달은 매체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러한 매체 변화는 다시 의사소통 방식과 텍스트에 급격한 변화를 추동하고 있다. 문자 언어 중심의 인쇄 단일양식적 텍스트에서 이미지, 소리, 동작 등 다양한 기호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복합양식적 텍스트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텍스트의 변화는 텍스트를 이해하고 생산하는 능력과 깊이 관련되는 문식성 개념에도 큰 변화를 요구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의사소통 방식과 텍스트의 변화를 반영하고 문식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을 반영할 수 있도록 신문식성(New literacies) 개념을 설정하였다. 신문식성은 `언어를 중심으로 다양한 기호 체계를 이해하고 조작하며, 기호 작용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텍스트를 비판하고 디자인하며 유통하는 실천적 힘`으로 정의된다. 신문식성을 교육하기 위해서는 문자 언어 중심적 사고에서 탈피하여 다양한 기호 체계와 그것의 기호화 작용을 탐구하고 다룰 수 있는 기호학적 관점의 도입이 필요하다.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매체와 텍스트의 변화를 일정 부분 반영하기는 하였으나, 기호학적 관점에서 볼 때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연구자는 이에 대안으로 매체 변환과 메타 기호로서의 언어를 주요 개념으로 끌어들여 기호학에 근거한 국어과 교육과정 모델을 제안하였다.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leaded to alternation of media, and the change of media has provoked that of communication methods and texts. In other words, monomodal texts mainly with written languages is transformed into multimodal texts in which various signs including images, voice and motion work in a complex way. In addition, the change of texts results in a marked alternation in the concept of literacy which is closely related with ability to understand and produce texts. The author used a concept, New literacies, to reflect the change of communication methods and texts and to consider a socio-cultural perspective. The term is defined as `a practical power understanding and making various sign systems mainly with languages, criticizing texts based on recognition on semiosis and designing and circulating them`. To educate it, introduction of a semiotics perspective is needed to avoid a way of thinking focusing on written languages and to investigate and deal with many sign systems and their semiosis. Although Korean Language curriculum revised in 2007 reflected some part of the change of media and texts, it was considered to have some problems in a semiotics perspective. Against this background, the author suggested a model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based on semiotics as an alternative which major concept was language as transmediation and a meta-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