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하은지,전철민,Ha, Eun Ji,Jun, Chul Mi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2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0 No.5

        최근보행은 교통의 가장 기본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 중심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교통 활성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부각으로 그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이동거리와 공간구문론의 통합도를 대표적인 접근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면상의 네트워크 이동거리는 지형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분석 지역들의 경우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분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들의 이동규모와 이동거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배를 고려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이동거리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논현역, 역삼역, 학동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미국 스포츠의학협회에서 제시하는 대사량 공식을 통해 구배 가중거리 공식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건물 면적 비율에 따라 역 이용객 수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이용자 수를 추정한 뒤 연구 지역의 1인당 평균 이동거리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역세권 200m와 500m에 위치한 건물에 대한 보행자의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에서 구배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 더 나아가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서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Walking is the most basic personal mobility and its importance and concern is ever increasing with the highlighting of a new paradigm, such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green transport. The existing analytical research on pedestrian network is using a pedestrian's moving distance to a destination and integration in space syntax theory as its representative accessibility factors. However, the uniplanar network moving distance fails to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o the moving distance could show a similar result value in case of the regions for analysis that have a similar network structur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analytical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a pedestrian's size. this study, in its analysis of a uniplanar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analyzed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even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a pedestrian's size, and suggested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the methodology us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nalysis which can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pedestrian network analysis, and take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movement into account.

      • KCI등재

        구배 기반 가중 접근성을 이용한 역세권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 관한 연구

        하은지,전철민 대한공간정보학회 2012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0 No.5

        Walking is the most basic personal mobility and its importance and concern is ever increasing with the highlighting of a new paradigm, such as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sustainable development and revitalization of green transport. The existing analytical research on pedestrian network is using a pedestrian's moving distance to a destination and integration in space syntax theory as its representative accessibility factors. However, the uniplanar network moving distance fails to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so the moving distance could show a similar result value in case of the regions for analysis that have a similar network structure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analytical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a pedestrian's size. this study, in its analysis of a uniplanar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analyzed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the grade in pedestrian sections, and even the pedestrian network moving distance in consideration of a pedestrian's size, and suggested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ccessibility analysis in consideration of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characteristics. It is hoped that the methodology used by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methodology on pedestrian network analysis which can reflect top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pedestrian network analysis, and take a more substantive pedestrian's movement into account. 최근보행은 교통의 가장 기본 이동수단으로 대중교통 중심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녹색교통 활성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의 부각으로 그 중요성과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보행 네트워크 분석 연구에서는 보행자의 목적지까지 이동거리와 공간구문론의 통합도를 대표적인 접근성 요소로 사용하고 있지만 단순한 평면상의 네트워크 이동거리는 지형적인 특성이 반영되지 않기 때문에 비슷한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 분석 지역들의 경우 비슷한 결과 값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분석 지역의 특성에 따라 보행자들의 이동규모와 이동거리가 다름에도 불구하고 이를 반영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구배를 고려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이동거리 분석을 통해 새로운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강남구에 위치한 논현역, 역삼역, 학동역을 연구지역으로 선정하고, 미국스포츠의학협회에서 제시하는 대사량 공식을 통해 구배 가중거리 공식을 유도하고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추정하기 위해 건물 면적 비율에 따라 역 이용객 수 데이터를 활용해 건물 이용자 수를 추정한 뒤 연구지역의 1인당 평균 이동거리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더 나아가 역세권 200m와 500m에 위치한 건물에 대한 보행자의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는 보다 연구지역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단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에서 구배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 더 나아가 보행자의 이동규모를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이동거리 분석을 실시하였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특성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접근성 분석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이는 앞으로 보행 네트워크 분석에서 지형적 특성을 반영하고 보다 실질적인 보행자의 움직임을 고려한 보행 네트워크 분석 방법론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도시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를 위한 공간구문론과 Logit 모형의 통합방안

        김종형,이미영 한국ITS학회 2016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5 No.5

        보행과 차량이 공존하는 교통망에서 보행성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차량과 보행의 상대적인 관계에서 보행성을 판단하는 것은 어려운 문제이다. 우선 보행네트워크의 보행성 평가 기준을 정립하는 체계가 구축되어야한다. 보행성은 보행네트워크에서 경험하는 접근성, 이동성, 편리성과 같은 정량지표로 산출된다. 본 연구는 보행성 평가를 위해 공간구문론과 Logit 경로선택모형을 통합을 제안한다. 공간구문론은 링크 통합도를 산정하여 보행가로 설계의 적정성을 판단한다. Logit 모형은 보행수요의 안전성, 이동성, 접근성을 확률적으로 계산한다. 통합모형은 통행자가 경험하는 통합도, 이동편리성, 접근가능성, 안전성과 같은 평가요소를 확률적으로 정량화하여 현실을 적절하게 반영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연구는 Logit 모형의 해법으로 Dial 알고리즘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보행네트워크의 물리거리와 공간구문론의 시각거리를 일치시키기 위해 네트워크 확장을 통하여 대기시간을 반영하는 방안을 강구하였다. 이에 따라 통합모형에서 도출되는 보행성 평가지표를 검토하고, 모의 네트워크로 모형의 활용성을 측정한다. Ensuring walkability in a city where pedestrians and vehicles coexist is an issue of critical importance.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vehicle transit and walkability improvements complicates the evaluation of walkability, which thus necessitates the formation of a quantitative standard by which a methodological measurement of walkability can be achieved inside the pedestrian network. Therefore, a model is determined whereby quantitative indices such as, but not limited to, experiences of accessibility, mobility, and convenience within the network are estimated. This research proposes the integration of space syntax theory and the logit path choice model in the evaluation of walkability. Space syntax theory assesses adequacy of the constructed pedestrian network through calculation of the link integration value, while the logit model estimates its safety, mobility, and accessibility using probability. The advantage of the integrated model hence lies in its ability to sufficiently reflect such evaluation measures as the integration value, mobility convenience, accessibility potential, and safety experienced by the demand in a quantitative manner through probability computation. In this research, the Dial Algorithm is used to arrive at a solution to the logit model. This process requires that the physical distance of the pedestrian network and the perceptive distance of space syntax theory be made equivalent. In this, the research makes use of network expansion to reflect wait times. The evaluation index calculated through the integrated model is reviewed and using the results of this sample network,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is assessed.

      • KCI등재

        차량용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이용한 보행 네트워크 및 경로 생성 기법

        가칠오(Ga, Chill O),이원희(Lee, Won Hee),유기윤(Yu, Ki Yun) 대한공간정보학회 2011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3

        최근 들어 스마트폰 등 모바일 단말기의 활용이 증대되면서 이동 중인 보행자에게 길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보행자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내비게이션 서비스에서 도로 네트워크는 경로와 안내 정보를 생성하는데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이다. 하지만, 차량을 위한 도로 네트워크에 비하여 보행 네트워크는 더욱 상세하고 방대한 공간에 대한 모델링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기존에 현지 조사와 수동 편집 과정을 통하여 구축하는 방법보다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 구축되어 있는 차량용 내비게이션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행자에게 적합한 보행 네트워크 생성 기법을 제안하였다. 보행 네트워크는 실제 보행자의 이동과 유사한 경로를 생성하기 위하여 보행 공간을 그 특성에 따라 보행 링크(인도, 이면도로, 보행 시설물)와 오픈 스페이스 링크로 구분하고 서로 다른 방법을 적용하여 구축하였다. 이와 같은 기법은 보행 네트워크 생성에 관한 표준 및 방법론이 존재하지 않는 현 시점에서 하나의 효율적인 대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recent years, with increasing utilization of mobile devices such as smartphones, the need for PNS(Pedestrian Navigation Systems) that provide guidance for moving pedestrians is increasing. For the navigation services, road network is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when it comes to creating route and guidance information. In particular, pedestrian network requires modeling methods for more detailed and vast space compared to road network. Therefore, more efficient method is needed to establish pedestrian network that was constructed by existing field survey and manual editing process. This research proposed a pedestrian network creation method appropriate for pedestrians, based on CNS(Car Navigation Systems) data that already has been broadly constructed. Pedestrian network was classified into pedestrian link(sidewalk, side street, walking facility) and openspace link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walking space, and constructed by applying different methodologies in order to create path that similar to the movements of actual pedestrians. The proposed algorithm is expected to become an alternative for reducing the time and cost of pedestrian network creation.

      • KCI등재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네트워크와 보행통행량의 상호관련성 연구

        한상진,김영욱,오순미 대한교통학회 2008 대한교통학회지 Vol.26 No.1

        It is important to know pedestrian volume to carry out pedestrian safety analysis and pedestrian friendly design. However, it is too difficult to come across research work related to pedestrian volume analysis in the field of transport, due to lack of interests on pedestrian movement. Most transport research has been focused on vehicles and highways rather than pedestrian.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urban studies, there comes an effective tool to estimate pedestrian volumes using Space Syntax theory. This theory twins out to be effective and economic because it only requires network information, which is easy to acquire from maps and field survey. However, this method is different in the way representing networks from the way that is common in the field of transport. To make up for this point, this paper develops a novel measure for estimating pedestrian volume using Dial's algorithm, and applies the model in the two test networks; Insadong and Soongryemoon networks.The application results reveals that developed measure is an effective tool to explain pedestrian volume; a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measure and pedestrian volume is 0.713 in Insadong and 0.492 in Soongryemoon, and the goodness of fit() of regression models are 0.893 in Insadong and 0.671 in Soongryemoon. This estimation method is significantly less complicated to estimate the effect of a pedestrian network change than Space Syntax theory, which requires special softwares not readily available. 보행통행량은 보행안전분석과 보행환경개선에 중요한 요소이나 교통 부문에서 보행통행량 예측에 관한 연구는 많지 않다. 도시계획분야에서는 네트워크 특성만으로 보행량을 예측하는 공간구문론(Space Syntax Theory)이 연구되어져 왔고 많은 연구에서 효과적으로 보행량을 예측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나, Space Syntax 방법론을 이용한 보행량 예측법은 교통 부문의 네트워크 구성 방법이 상이하여 활용에 어려운 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교통의 관점에서 보행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Dial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링크의 상대적인 중요도를 나타내는 연결도 개념을 도입하여 보행량을 예측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인사동 및 숭례문 지역에 적용하였다.분석결과 연결도와 보행통행량의 상관계수가 인사동의 경우 0.713, 숭례문의 경우 0.482로 상당히 높게 나타났고, 연결도 및 도로폭을 종속변수로 한 보행통행량 모형의 결정계수가 인사동의 경우 0.893, 숭례문의 경우 0.671로 모형의 설명력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치는 연결도가 보행통행량 추정에 있어서 충분히 설득력 있는 방법론임을 의미한다. 또한, 연결도를 이용한 보행통행량 추정법은 Space Syntax 이론에 의한 추정법에 비해 그 과정이 간단하고, 특정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으며, 네트워크가 교통네트워크의 구축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구축되므로 연구대상구역의 가로망 체계 변화가 보행통행량에 미치는 영향을 간단히 추정해보는데 유용한 방법론이다.

      • 보행패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고려한 보행성 분석 네트워크 설계에 관한 연구

        남대식(Nam, Dae-Sik),신성일(Sin, Seong-Il),이신해(LEE, Shin-Hae) 대한교통학회 2013 대한교통학회 학술대회지 Vol.69 No.-

        본 연구는 보행의 서비스 수준에 대한 평가 및 분석을 네트워크 차원에서 수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네트워크를 구상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보행환경 및 행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소들을 기존 연구의 고찰을 통해 정립하였고, 도심부의 보행환경을 모사하는 네트 워크를 설계하였다. 보행은 걸을 수 있는 모든 영역으로 보행하며 보행가능영역은 차로 옆 인도, 이면도로, 골목길, 공원, 운동장 등의 오픈스페이스 내 도로, 보행시설물 등이 있으며 도심부에서는 차량의 네트워크보다 복잡하고 그 총 연장 또한 길다. 또한 보행자는 보 행에 필요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동일한 길이의 경로가 주어진다면 언덕길이나 횡단보도, 육교, 지하보도 등의 보행시설물 을 회피한다. 특히 보행시설물 중 계단, 에스컬레이터, 엘리베이터 등의 보행 장애물 및 편의시설이 경로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마 지막으로 스페이스신택스 이론적인 관점에서 보행자는 이동시 회전을 최소화 하려한다. 이러한 설계요소를 고려하여 서울시내 도심부 네트워크를 시범적으로 구축하고 이를 평가하였다.

      • KCI등재

        Social path를 반영한 보행 접근성 평가에 관한 연구

        최성택,이향숙,추상호,김수재 대한교통학회 2015 대한교통학회지 Vol.33 No.1

        Pedestrians not only walk along roads, but also pass through buildings or across open spaces. This study defines theseunusual walk routes as social path. Social path is an informal pedestrian route that is not considered in a pedestriannetwork, even though it should be regarded as pedestrian route considering the fact that many people actually use this path. In response, current study related to travel behavior cannot evaluate properly due to lack of consideration for realistic travelbehavior such as social path. In order to deal with this situ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social path at two complexcenters in Seoul. Evaluation indices are service area analysis and urban network analysis which is one of the spatialnetwork analysis. In particular, we subdivide the network into three steps by the level of network building and analyze eachstep. As a result, it is revealed that step three which includes social path shows the greatest improvement in pedestrianaccessibility. In this regard, we confirm that social path should be considered when evaluating pedestrian accessibility infurther studies. Furthermore, a lot of undervalued facilities will be re-appraised in the field of travel behavior. 보행자는 일반적인 보행로를 따라 이동할 뿐만이 아니라 건물을 통과하거나 넓은 공간을 가로지르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이동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일반적이지 않은 보행 경로를 social path로 정의하여 보행 네트워크 중 하나로 정의하였다. Social path는 일반적인 보행 네트워크상에서는 구현되지 않지만 현실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해 통행하는 경로를 의미한다. 기존의 보행 접근성 연구에서는 이러한 현실적인 통행 패턴을 구현하지 못함으로 인해 보행로 및 시설의 보행 접근성을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하였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의 코엑스와 고속터미널 지역을 대상지로 선정하여 socialpath의 효과 분석을 수행하였다. 효과 분석을 위해서는 서비스 권역 분석과 UNA기법을 활용하였다. 특히, 네트워크의 구현정도를 3step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social path가 추가된 step3에서 보행 접근성 개선 효과가가장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향후 관련 연구에서 보행 접근성을 평가하는데 있어 social path를 고려해야 한다는필요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social path로 인해 현재 보행 접근성 평가 측면에서 저평가를 받는 다양한 시설물들이 주목받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공간구문론(Space Syntax)을 고려한 통합보행네트워크 통행배정모형

        이미영,김종형,김은정 한국ITS학회 2015 한국ITS학회논문지 Vol.14 No.6

        Space Syntax에서 개별링크의 통합도가 크면 네트워크에서 접근이 편리함을 나타낸다. 보행자가 통합도가 높은 링크들의 연결성을 경험하도록 보행로를 설계하거나 집적도가 높은 토지이용을 유도하는 것이 타당하다.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은 보행수요(보행자)의 불편 도(통행거리 및 시간) 등을 최소화하는 경로선택을 반영한다. 이는 보행자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실제 통행패턴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Space Syntax와 보행자 통행배정모형을 통합하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인천시 부평역을 대상으로 통합모형의 유효성을 검증 하는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부평역 주변은 통합도가 매우 높게 나타나나 보행전용구역인 역 북부지역은 상대적으로 통합도 가 낮게 나타났다. 모형의 구조는 통합도가 높은 지역에 실제 이동수요를 반영하여 통합도가 적합하게 유지되는지 설명이 가능하다. 통합모형은 Space Syntax의 네트워크에 대한 가시거리를 나타내는 축선도와 건물과 도로로 구획된 링크를 결합하는 방식과 보행자 통행 배정모형의 기종점의 유사경로를 파악하여 균일 배정하는 방안을 도입한다. 제안된 모형은 보행개선지역 및 사업의 사전/사후평가 등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In Space Syntax, the greater the degree of integration between separate links, the greater the links' accessibility from the target network. As such, planning pedestrian walks so that links with high degrees of integration are connected, or else inducing high integration value land use are both valid options. The travel distribution model reflects how walking demand, or more specifically, the pedestrian, partakes in route choosing behavior that minimizes select criteria, notably level of discomfort, as measured using travel distance and time. The model thus demonstrates travel patterns associated with demand pertaining to minimization of discomfort experienced by the pedestrian. This research introduces a method that integrates Space Syntax and the pedestrian travel distribution model. The integrated model will determine whether regions with high degrees of integration are actually being used as pivots for pedestrian demand movement, as well as to explain whether the degree of integration is sus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while considering actual movement demand. As a means to develop the integrated model, a method that combines display of the visibility of the space syntax network and road-divided links is proposed. The pedestrian travel distribution model also includes an alternative path finding mechanism between origin and destination, which allows for uniform allocation of demand.

      • KCI등재

        보행우선구역의 주요 보행네트워크 추출방법

        한상진 한국교통연구원 2013 交通硏究 Vol.20 No.4

        Walking accounts for the highest modal share in many cities. Nowadays, it gets more attraction as people recognise walking can be helpful in maintaining good health. To provide better walking environment, government is carrying out pilot projects on Pedestrian Priority Zone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a primary pedestrian road network which need to be managed for pedestrian-friendly environment among various roads within suggested boundaries of PPZ. It is practically important because not all roads in PPZ cannot be transformed into pedestrian priority roads. This study suggests pedestrian volumes, number of accidents involving pedestrians, and connectivity values as main criteria on selecting primary pedestrian road network. Application to a pilot project shows that the suggested criteria can be useful to identify road sections which are important connecting pedestrian attraction facilities directly. This selection methodology can be applied to other urban planning and design studies including Transit Oriented Development, which requires development of efficient and effective pedestrian road networks. 보행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써 많은 도시에서 가장 높은 수단비율을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보행을 통해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차원에서도 큰 관심을 얻고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정부는 보행우선구역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보행우선구역에서 어떤 도로를 우선적으로 보행자 중심의 도로로 설계하고 운영해야 할 지를 결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모든 도로를 보행자 중심으로 바꾸어 나가기는 비용과 효과 면에서 합리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보행량, 보행 관련 교통사고, 연결도 등을 기준으로 어떻게 주요 보행네트워크를 추출할 수 있는지 제시하고, 이를 서귀포시 정방동 일대의 보행우선구역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이중섭거리, 청사로, 명동로가 주요 보행네트워크에 포함되어야 할 주요 도로로 선정되었다. 이들 도로는 보행량, 연결도 측면에서 다른 도로들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구역 내 주요 보행유발시설을 최단경로로 연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주요 보행네트워크 추출 방법론은 비단 보행우선구역 뿐만 아니라 대중교통중심개발 등 보행자 중심의 도시계획 및 설계에서도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보행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도심부 오픈스페이스 연결성 분석

        석수진,김승회 대한건축학회 2023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9 No.1

        Since its self-declaration as a pedestrian-friendly city in 2013, Seoul has been conducting various pedestri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sthroughout the downtown area. The ultimate goal of these efforts to improve the walking environment is to increase the quantity and qualityof walking in the city through the simultaneous installation of a public transport system and a pedestrian network. To encourage pedestrianwalking,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external spaces linked with an open space was set as a guideline during the planning stage; thisurban environment maintenance zone was planned and developed in each zone. This study aims to analyze data focusing on the connectivityof open spaces in an urban environment maintenance area that prioritizes activating a pedestrian network. Open space is an auxiliary basethat enhances interaction between major bases; it is also a space where social activities occur, an everyday place located in the city centerand serves as a key factor in strengthening continuous and well-connected walking. To analyze open space connectivity, three networkconcepts were used: two-dimension, three-dimension and socio-Spatial. The results showed that two-dimension connectivity was high, whereasthree-dimension network and Socio-Spatial network connectivity was low. This was due to a Two-dimension formal plan being appliedwithout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public space, which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contact amongst members of society. Based onour analytical findings, important factors for consideration was suggested when creating an external space for a pedestrian network in an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to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2013년 보행친화도시 선포 이후 서울시는 10년간 도심부 전역에 다양한 보행환경개선 사업들을 진행해왔다. 이러한 보행환경 개선 시도와 노력의 궁극적인 목표는 도심부에 대중교통 활성화와 동시에 보행네트워크를 구축하여 도심부 보행의 양과 질을 높이는 것이다. 특히 구역단위로 계획, 개발되는 도시환경정비구역은 계획단계에서부터 보행활성화를 위해 오픈스페이스와 연계한 외부 공간의 네트워크 구축을 유도지침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이 진행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보행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한 도시환경정비구역 내의 오픈스페이스 연결성에 주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오픈스페이스는 주요 거점 간의 상호작용을 높이는 보조거점인 동시에 도심부에 위치한 일상적인 장소로서 사회적 활동이 일어나는 공간으로 보행의 지속적인 연결을 강화시키는 핵심적인 요소이다. 오픈스페이스의 연결성 분석은 평면, 입체, 사회-공간으로 구분된 세 가지의 네트워크 개념이 사용되었다. 분석 결과 평면적, 입체적 네트워크 연결성은 높은 반면, 사회-공간 네트워크의 연결성은 낮다고 분석되었다. 이는 사회 구성원들 간의 접촉을 기반으로 계획되어야 하는 공공공간의 목적에 관한 고려 없이 평면적이고 형태적인 계획이 적용되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도출된 분석결과를 통해 추후에 진행될 도시 환경 정비 사업시 보행 네트워크를 위한 외부 공간 조성에 고려요소를 제안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