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변화에 대한 저항과 조직몰입

        정흥준(Heung-Jun Jeong),최용득(Yongduk Choi),이동섭(Dongseop Le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2

        급변하는 환경에 성공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직변화는 조직의 생존과 발전을 위한 하나의 중요한 열쇠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기업들의 변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변화에 대한 구성원들의 이해 부족 또는 부정적인 태도와 그로 인한 저항은 성공적인 조직변화에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조직변화의 중요한 주체인 조직구성원의 변화저항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 본 연구는 조직변화과정에서 구성원의 저항이 초래하는 개인적 차원의 결과에 초점을 두어 조직변화에 대한 저항과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변화저항이 조직몰입에 이르는 과정과 변화저항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완화할 수 있는 상황적인 요인들에 주목하여, 변화에 대한 저항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매개하는 직무스트레스의 역할과 변화저항-직무스트레스-조직몰입으로 이어지는 관계가 노조수단성과 절차적 공정성에 의해 달라질 수 있음을 가설화하였다. 가설검증을 위해 조직변화를 경험한 기업의 구성원들(1,1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직변화에 대한 구성원의 저항은 조직몰입에 부(-)의 관계를, 직무스트레스와는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스트레스는 변화에 대한 저항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였다. 또한, 노조수단성과 절차적 공정성의 수준에 따라 변화에 대한 저항과 직무스트레스 간의 관계가 유의하게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더하여, 조절된 매개모형(moderated mediation model) 분석으로 변화에 대한 저항이 직무스트레스를 통해 조직몰입에 이르는 간접효과가 노조수단성과 절차적 공정성에 의해 조절되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원들의 변화에 대한 저항이 어떤 과정을 통해 조직몰입에 부정적인 효과를 보이는지를 규명함과 동시에, 그 부정적 효과를 줄일 수 있는 제도적 방안이 무엇인지를 보여줌으로써 다양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In today’s turbulent business environment, organizations face constant pressure to change. As a result, organizational adaptability has become a central focus in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survival and sustainable growth. Despite the tremendous amount of time and effort organizations put into managing and implementing change, their efforts often fail to deliver expected results or meet intended objectives. Both management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have acknowledged that employees play a major role in the success or failure of change in an organization. Specifically, prior research proposed that employees’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might be a critical reason for the failure of organizational change initiatives. Although change management literature has increasingly devoted attention to the role of employee resistance, the literature provides only a limited understanding of this phenomenon: it has either focused on conceptual explanations for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employees’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or has explored the antecedents of resistance to change. Therefore, how employees’ resistance to change affects their work attitudes and behaviors and under what conditions the potential negative effects of resistance to change can be mitigated have yet to be explore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ees’ resistance to change and their organizational commitment, focusing on its underlying mechanisms and boundary conditions. Drawing on organizational change, job stress, procedural justice, and union instrumentality literatures, we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processes through which resistance to change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how the negative impac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due to resistance to change is reduced. Specifically, we hypothesize that job stress plays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to 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at procedural justice and union instrumentality function as boundary conditions that moderate the negative effect of resistance to change on job stress. Taken together, the present study proposes an integrative moderated-mediation model that involves both the mediating role of job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to 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moderating role of procedural justice and union instrumentality in that process. We tested the proposed moderated-mediation model using a sample of 1,153 employees from a public enterprise in South Korea who recently experienced considerable organizational change. The results indicate that resistance to organizational change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tress and that job stress is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support our hypothesis that job stress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to 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results also support the hypothesis that union instrumentality and procedural justice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to change and job stress. Furthermore, moderated-mediation analysis reveals that procedural justice and union instrumentality reduce the indirect effects of resistance to chang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via job stress. The findings extend our limited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through which resistance to change affects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significant organizational change. To further understand the impact of resistance to change on employee attitudes and behaviors, future research should examine other intervening psychological mechanisms that mediate the employee-organization relationship under change conditions.

      • KCI등재후보

        정보시스템 구축시 변화에 대한 저항의 원인 연구

        김희웅 ( Hee Woong Kim ),이선영 ( Sun Young Lee ),이동우 ( Dong Woo Lee ),( Cheng Xi ) LGCNS 엔트루정보기술연구소 2006 Entrue Journal of Information Technology Vol.5 No.2

        정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의 70%가 실패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런 높은 실패율의 중대한 이유 중의 하나로 기업 내 직원들의 변화에 대한 저항이 제기되어 왔다. 정보시스템 구축은 기업 내에 기술적인 변화뿐만 아니라 사회적 측면의 변화도 가져온다. 정보시스템의 규모가 부서 차원에서 기업 전체 차원으로 그 영향력을 끼침에 따라 가져오는 변화의 규모가 커지게 되고, 이에 따른 직원들의 변화에 대한 저항의 정도도 심각해지게 된다. 그러나, 이전의 연구는 변화의 저항의 원인을 탐색하거나 IS 구축 환경에서의 실증적 검증이 없이 개념적으로만 토의하는데 그쳐왔다. 더욱이, 더 나은 저항이론으로 더 나은 정보시스템 구축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변화에 대한 저항을 설명하는 이론적 개발은 부족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IT 주도의 조직적인 변화에 대한 사용자 저항을 실증적 테스트와 더불어 이론적 관점에서 연구한 몇 안되는 초기 연구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IT 주도적인 변화에 상응하는 전환비용이 저항의 직접적인 원인임을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전환비용을 절감하는 방안과 변화에 대한 저항을 추가적으로 낮추는 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향후 기업체에서 정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 수행 시, 조직원들의 변화에 대한 저항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결해 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참고가 된다는 점에 그 의의가 있다. 이러한 저항 관리 활동을 통해 정보시스템 구축 프로젝트의 실패율을 낮출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본 연구는 또한 정보시스템 및 IT 주도의 조직 변화에 대한 지식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t has been estimated that up to 70 percent of Information Systems(IS) implementation projects failed. Resistance to change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he most critical reasons for such high failure rate. However, previous research has explored the causes of resistance to change or conceptually discussed resistance to change without empirical testing in the context of IS implementation. Moreover, it has been argued that few theoretical foundations currently exist in the literature for explaining user resistance in IS implementation, even though better theories of resistance will lead to better IS implementation strategies. IS implementation has been known to bring about changes in social as well as technical areas to the organization, which means Information Technology(IT)-driven organizational change. This research is one of the first few researches that examine user resistance to change in IT-driven organizational change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 with empirical test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switching costs increase resistance to change while perceived value of IT-driven change and change support provided by the organization lower resistance to change. This study also identifies colleague opinion and self-efficacy for change as significant factors in decreasing switching costs. Findings of this study offer companies practical insights for managing resistance to change and then decreasing the failure rate in their IS implementation projects. The results also help advance our knowledge on IS implementation and IT-driven organizational change.

      • KCI등재

        대학농구팀에 대한 팀 동일시, 태도 중요성, 변화에 대한 저항, 재관람 의도간의 인과 관계

        하제현 ( Jae Hyun Ha )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10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15 No.2

        본 연구는 팀 동일시, 팀에 대한 태도 중요성, 변화에 대한 저항, 재관람 의도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스포츠 팀에 대한 충성도 발달과정을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바탕으 로 연구모형을 수립하고 검증하였다. 구체적으로 Funk와 James(2004)가 제안한 팬 태도 네트워크 모형에서 팀 동일시로부터 팀에 대한 태도 중요성을 거쳐 팀에 대한 태도적 결과에 이어진다는 충성도 발달과정을 연구모형에 적용하였고, 팀 동일시, 팀에 대한 태도 중요성, 변화에 대한 저항과 재관람 의도간의 관계를 선행연구를 근거로 하여 연구모형에 추가하여 더 발전적 이며 확장된 연구모형을 수립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 농구경기 관람을 한 적이 있는 미국 남동부 지역에 위치한 주립대학 의 학생 320명을 임의표집한 후, 294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 Ver. 13.0 Window Program과 AMOS 7.0을 이용하여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 동일시는 변화에 대한 저항과 팀에 대한 태도 중요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재관람 의도에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팀에 대한 태도 중요성은 변화에 대한 저항과 재관람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 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화에 대한 저항은 재관람 의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team identification, attitude importance to a sports team, resistance to change, and intention to attend future games to a collegiate basketball team.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total 32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tudents at a large public university in the southeastern region of the United States who have attended the collegiate basketball games. Among them, twenty six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not applicable. There were 294 usable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with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SPSSWIN Ver. 13.0 Program and AMOS 7.0.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eam identificat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 importance to the team and resistance to change and attitude importance to the team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esistance to change and intention to attend future games. However, team identification didn``t contribute to intention to attend future games as well as resistance to change didn``t contribute to intention to attend future games. Practical implications of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사의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모델 타당도 검증

        박주호 한국성인교육학회 2011 Andragogy Today : International Journal of Adult & Vol.14 No.3

        If teachers do not make sense or agree with why school change or resists implementation, change implementation will not succeed. Therefore, the extent to which they resist to school change or innovation is critical in the implementation of a successful school change (Reimer & McGinn, 1997). However, there has been a paucity of empirical study of measuring teachers' resistance to change in regard to leading a successful school change. In this vein, the current study focused on identifying the validity of a model to measure teachers' resistance to change. The participants were 1152 full-time vocational and academic teachers in 37 vocational high schools in South Korea. The instrument developed by Oreg(2003) was used in this study. To test its validity in CFAs, a hypothesized hierarchial factor model was established based on results of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hypothesized model was tested using bot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and multi-group CFA. Especially, the results of the multi-group CFA revealed tha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actor structure, factor loadings, error variance, and factor variances were not detected across two different teacher groups (Vocational and academic). Strong evidence was provided for the construct validity of the measurement model to measure the extent of resistance to change in Korean vocational high schools. The results also supported the notion that the model to measure resistance to change in organizations, initially developed against the background of American culture, can apply to a Korean school context, reflecting Asian culture. 학교변화나 혁신에 있어 그 핵심 구성원인 교사의 저항정도가 변화를 성공적으로 집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요인이 된다. 한편, 교사 개인의 변화에 대한 인식 정도, 구체적으로 어느 정도 저항적 태도를 보이는 가를 개념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측정도구 개발이나 그 측정모델 검증 연구는 거의 이루어 지지 못해 왔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전국의 37개 전문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1,152명의 정규교사를 대상으로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 모델의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우선 미국에서 기 개발된 저항측정 질문지를 활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한 변화에 대한 저항측정의 위계적 요인모델을 수립하였다. 타당도 검증 결과에 따르면, 첫째, 우리나라 전문계고교 교사들은 가설로 설정한 저항측정의 위계적 요인모델에서와 동일하게 4가지 요인, 즉 1)일상생활 반응, 2)정서적 반응, 3)단기적 사고, 그리고 4)인지적 일관성에 16개 저항측정 항목들을 각각 뚜렷이 구분․반응하고 있음을 확인적 요인분석기법을 통해서 밝혔다. 둘째, 두 그룹 확인적요인 분석 결과는 교사교육 내용, 교직경험 등 여러 면에서 성향과 특성이 다른 전문 교과와 일반교과 교사 집단들 간에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모델 요인의 동일성이 존재함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미국에서 개발된 변화에 대한 저항 측정모델이 우리나라 전문계고교를 배경으로 해서도 강한 구성 타당도가 입증되는 증거들을 제공하였으며, 우리나라 전문계 고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 조직변화와 조직관성

        전수욱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0 No.1

        조직은 변화하는 환경에 맞게 계속 변화되어야 생존할 수 있다. 오늘날 환경은 카오스적으로 변화하고 있고, 조직은 이 환경에 적응해야 생존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연구는조직변화의 내용을 설명하고, 카오스적으로 변화하는 환경에 있는 조직이 자생적 조직변화로 조직을 변화시켰을 때 적응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기존조직 형태에서 자생적 조직변화를 막는 정적인 상태는 변화에 대한 저항, 조직원형, 그리고 조직통제로 보며, 자생적 조직변화의 요건인 동적인 상태는 조직의 의미공유, 개인의 즉흥연기, 일에 대한 몰입으로 보았다. 그리고 결론을 통해 자생적 조직변화를 위한조직 형태를 요약하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혁신적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 반응: 직렬이중매개모형을 중심으로

        주경희,박종철 국제e-비즈니스학회 2022 e-비즈니스 연구 Vol.23 No.2

        This study investigates consumer response to radical rebranding strategy. Regulatory focus tendency was proposed, and serial dual -mediation model was verified for the mechanism (resistance to change -> perceived novelty).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mood was ver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 focus tendency and brand attitud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people with a promotion-focus show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 new brand that were completely inconsistent (different) with the existing brand name than those with a prevention-focus. In addition,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erial dual mediation model using the bootstrapping technique, people with a promotion-focus showed low resistance to change for completely inconsistent new brand,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novelty perception, and this leads to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However, unlike this, people with a prevention-focus tendency showed high resistance to change, which led to a low novelty perception, and this negatively affects new brand attitude. In other words, resistance to change and perceived novelty ser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gulatory-focus tendency and a new brand attitude.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positive mood was found.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consumers' motivational disposition and psychological mechanism toward a radical rebranding for a successful brand management. 본 연구는 기존 브랜드명을 완전히 다르게 변화시키는 혁신적 리브랜딩 전략에 대한 소비자 평가에 대해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개인의 동기적 기질특성 변수인 소비자의 조절초점성향을 제안하고, 이러한 효과가나타나는 메커니즘(변화에 대한 저항 → 지각된 참신성)에 대해 직렬이중매개모형을 통해 검증하였다. 더불어조절초점성향과 브랜드태도 간의 관계에서 긍정적 무드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실험 결과, 향상초점성향을 지닌 소비자는 예방초점성향 소비자보다 브랜드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의 메커니즘을 부스트래핑 기법을 이용하여 직렬이중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향상초점성향을 지닌 사람들은 완전 불일치한 새로운 브랜드에 대해, 변화에 대한 저항감이 낮게 나타나고, 이는 참신성 지각에 긍정적 영향을 미쳐, 최종적으로 브랜드 태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예방초점성향을 지닌 소비자는 완전불일치한 브랜드명의 변화에 대한 저항감이 높게 나타나고, 이는 낮은 참신성 지각으로 연결되어, 브랜드태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변화에 대한 저항감과 지각된 참신성이 연속적으로 조절초점성향과 브랜드태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였다. 또한 긍정적 무드의 조절효과를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혁신적 리브랜딩에 대한 소비자의 동기적 성향과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는 것이 성공적 브랜드관리를 위해 무엇보다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병원조직의 환경적,계획적변화가 구성원의이직의도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정희(Jeong Hee Lee),박기찬(Ki Chan Park),오주연(Ju Yeon Oh) 한국경영학회 2014 經營學硏究 Vol.43 No.4

        This research analyzed a hospital organization to prove and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hanges(natural change and planned change) to the employees’ job attitude(turnover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ed by resistance to change and job stress. The results confirmed, resulting the following research implications in brief, that;1) Natural change is positively related to affective and behavioral resistance to change,2) Planned change is positively related to job stress,3) Natural change is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4) Effective resistance i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and is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5) Job stress is positively related to turnover intention and is nega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commitment,6) Natural change is mediated by the job stress influences significantly 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stress mediates planned chang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also, this study showed us that the role of mediating effects of change resistance and job stress between organizational changes and job attitude. This results imply the significant importance of usual job stress management for an organization in face of changes.

      • KCI등재

        몇 가지 살균제에 대한 콩균핵마름병균 Macrophomina phaseolina의 감수성 변화

        안소현,최지영,김흥태 한국농약과학회 2022 농약과학회지 Vol.26 No.3

        콩 균핵마름병을 일으키는 Macrophomina phaseolina를 시기 별로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그리고 2020년 과 2021년에 각각 분리하여 , benomyl, fluazinam, fludioxonil, tebuconazole, metconazole, prochloraz 등 7종의 살균 제에 대한 감수성 정도를 비교하였다 . 앞의 집단 (2018년까지 채집한 균주 집단 )과 비교하여 뒤의 집단은 benomyl, fludioxonil, metconazole, tebuconazole의 평균 EC50값이 2배 이상 증가하였다 . EC50값이 단봉 분포를 하던 2018년까 지 집단의 M. phaseolina는 2020년 이후 집단에서는 쌍봉 분포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 fludioxonil은 2020년 이후 집단에서 EC50값이 증가하면서 분포도가 고농도 쪽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보였다 . 2021년 9월 제주 지역에서 채 집한 균주를 같은 해 제주 이외 지역에서 채집한 균주 집단의 EC50값을 비교할 때, benomyl과 pyraclostrobin을 제외 한 5종의 살균제에서 제주 지역 집단이 제주 이외 지역 집단보다 낮은 EC50값을 나타내었다 . 각 살균제 간의 결정 계 수를 비교한 결과 , tebuconazole, metconazole, prochloraz 간에 높은 교차 저항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처 럼 살균제가 등록되어 사용되기 이전의 집단과 이후 집단의 살균제에 대한 감수성 변화를 경시적으로 조사한 결과는 , 병 방제를 위해서 우수한 살균제를 선발할 때와 살균제 저항성을 관리할 때에 효과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 로 생각한다 .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