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산업국가에서의 제2차 인구변천

        정성호(Sung-Ho Chung) 한국인구학회 2009 한국인구학 Vol.32 No.1

        이 글은 유럽을 중심으로 진행된 제2차 인구변천에 관한 논의를 검토하고, 이러한 논의가 한국 사회의 출산력 변천에 어떤 함의를 지니고 있는가를 제시하고자 한다. 제2차 인구변천에 관한 논의는 기본적으로 산업국가에서 출산력 수준이 대체수준 이하로 감소되고 있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노력에서 출발하였다. 제1차 인구변천과 달리 제2차 인구변천은 종착점으로 인구의 균형상태를 상정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새로운 변화는 대체수준 이하의 출산력, 결혼이 아닌 다양한 형태의 삶의 양식, 결혼과 출산의 무관계성, 안정된 인구의 부재 등을 가져올 것으로 전망한다. 또한 제2차 인구변천은 이민자의 유입이 없으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며, 저출산과 평균수명의 연장의 결과로 인해 제1차 인구변천이론에 의해 예측된 인구보다 고령화될 것으로 전망한다. 제2차 인구변천에 대한 논의는 인구변천을 겪고 있는 유럽 국가들의 인구학적 변화를 밝히는데 중요할 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의 인구학적 변화를 설명하는데 중요한 근거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국의 제2차 인구변천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상황은 저출산이다. 저출산 현상은 다양한 요인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나타난 것이다. 이 중 결혼율의 감소, 초혼 연령의 상승, 이혼율의 상승, 소자녀 가치관 등 가족형성과 관련된 변수들은 저출산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이들은 제2차 인구변천 내용에 포함된 인구학적 변수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이러한 변인들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이 유럽 사회와 다르게 작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인구학적 변인 이외에 양성평등의 관념, 노동시장의 불안정성, 자녀 양육 및 교육 비용 등은 한국 사회의 저출산을 이해하는데 상대적으로 설명력이 큰 변인으로 볼 수 있다. The first demographic transition refers to the historical decline in mortality and fertility, as shown from the 18th Century in several European populations, and continuing present in most developing countries. The end point of the first demographic transition(FDT) was supposed to be a stationary and stable population corresponding with replacement fertility and zero population growth. In addition, households in all parts of the world would converge toward the nuclear and conjugal types, composed of married couples and their offspring. The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SDT), on the other hand, sees no such equilibrium as the end-point. Rather, new developments bring sub-replacement fertility, a multitude of living arrangements other than marriage, and the disconnection between marriage and procreation. Populations would face declining sizes if not complemented by new migrants. Over the last decades birth rates have been on the decline in all countries of the world, and it is estimated that already more than half of he world's population has below replacement level fertility. Measured in terms of the Total Fertility Rate (TFR), currently 34 countries have fertility levels of 1.5 or less. Similarly, Korea has been below lowest-low fertility for eight consecutive years since 2001 and below the replacement level for more than twenty years. In explaining the low fertility in Korea, some researchers explain the low fertility as revenge against a male-dominated society and institution, while others focus the impact of the employment instability. These studies share the basic ideas (spread of individualism, delayed marriage and childbearing, high divorce rate etc.) of a second demographic transition in order to explain the low fertility in Korea.

      • KCI등재

        언어변이와 언어변천

        소만섭(So, Man-Seob)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인문과학연구 Vol.0 No.42

        이 연구는 구조변천을 중심으로 기술한 “역사언어학”의 시각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언어사회사적 또는 “언어화용론적” 입장에서 ‘언어변이’와 ‘언어변천’의 관계성에 우선 주목한다. 언어층위별 언어변천의 구체적인 사례 가운데 음성변천을 중심으로 논의하면서 독일어의 언어사회사적 연구에 기여코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2장에서는 언어변천의 근본적인 요인을 폴렌츠에 기대어 “언어 경제성”, “언어 혁신”, “언어 변이성”, “언어 진화”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3장에서는 언어층위별로 변이의 유형과 변이체 예들을 살펴보면서 언어변이의 언어내적인 요인과 언어외적인 요인으로 우선 구분한 뒤, 언어사회사적인 설명이 요구되는 언어외적인 변이 영역을 독일어의 해당 변이체 및 변이성의 예들과 함께 살펴본다. 개인어 변이체, 지방어 변이체, 지역 변이체, 국가변이체, 정치적 변이체, 사회어 변이체, 기능 변이체, 역사-문체적 변이체 등이다. 4장은 독일의 역사언어학 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사회화용론적 입장에서 음성변천에 대해 논의한다. 독일어의 음운체계는 구조주의 역사언어학의 “음성법칙”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동질적인 단위’가 아님을 강조하고, 15세기 이후 독일의 ‘문자언어적 사회’라는 상황에서 “문자발음” 체계로 변천하게 된 언어사회사적인 논의를 전개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음성구조, 조어구조, 문장구조 등 언어변천은 여러 변이체 가운데 언어사용자가 선택하는 규범의 변천이지 시스템의 변천이 아니라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인간의 역사와는 거리가 먼 구조주의 언어학의 언어변천 이론을 극복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언어사는 ‘내재적’ 언어사가 아니라 ‘외재적’ 언어사 기술이 선행되는 언어화용론적인 언어사회사가 되어야 하는 것이다.

      • KCI등재

        미국의 대학정보 공시와 그 활용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교육정치학연구)

        구건백 한국교육정치학회 2011 敎育政治學硏究 Vol.18 No.1

        본 연구는 해방 이후의 한국사학정책의 역사적 맥락과 시대적 상황, 그리고 각 시기의 주요 사 학정책의 내용과 이러한 정책이 등장한 배경 및 동인을 분석하여, 사학정책변동의 요인과 특징, 문 제점 등을 파악해보고 향후 바람직한 사학정책변동을 위한 시사점과 대안들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문제는 첫째, 시기별로 사학정책의 내용 및 특징이 무엇인가, 둘째, 시기별 로 사학 정책의 동인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사학정책 변천 동인의 역사적 맥 락과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으로, 한국사학정책의 변천 동인에 있어서 가장 큰 요인은 정치의 흐름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정권 교체에 따른 새로운 정부의 출범은 사학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 안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새로운 통치이념에 따라 문제 인식과 정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 른 해결책도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의회 지배세력의 교체나 정치지형 변화는 사학정책변천 동인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검토를 통해 한국사학정책의 변천과정을 시대별로, 사 학 정책의 기조와 특징에 따라 1) 사학 설립이 개방되고 자율화되었던 ‘자유방임기’(1945~1960년), 2) 사학정비와 통제정책이 추진된 ‘통제기’(1961~1980년), 3) 사학 지원과 국가통제가 병행된 ‘통제 조성기’(1980년대), 4) 사학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시작한 ‘조성 자율화기’(1990년대), 5) 각종 교육개 혁 추진을 제시한 ‘신통제기’(2003~2007년), 6) 실용주의, 자유주의, 경쟁, 다양화의 가치를 내세우는 ‘자율통제기’(2008년~현재)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 KCI등재후보

        篆刻의 서체변천에 관한 소고

        이승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21 문화와예술연구 Vol.18 No.-

        篆刻의 역사는 문자의 형태가 온전하게 갖춰지기 전부터 도기에 문양과 부호를 찍으면서부터 시작되었다. 따라서 印材에 새겨지는 주된 문자는 초기 신석기 시대의 부호표기에서 문자 표기로의 이행기를 거쳐 한자의 서체변천 과정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며 형태가 변하여 왔고, 전각의 시대적 요구와 용도의 특징에 따라 내용 또한 변천하여 왔다. 전각이라는 명칭은 印文에 사용되었던 서체가 주로 전서였기 때문에 포괄적으로 붙여진 것이다. 인문의 서체는 당대에 유행하던 전서 서체를 중심으로 갑골문, 금문, 대전, 소전 순으로 변하였고, 이후에는 예서와 해서도 사용되었다. 이는 전각의 용도가 실용에서 신표의 상징, 장식용 및 주술용, 예술적 영역의 표현으로 바뀌면서 인문에 새겨지는 내용 또한 달라졌고, 지역적인 특색의 영향으로 서체형태의 변화와 변형이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각의 서체변천은 실용적으로 사용되었던 관인과 사인, 봉니와 건축물의 와당문에서 후대로 갈수록 자연스럽게 간략화시키고 쉽게 쓰려는 형태로 변천해 왔음을 살펴 볼 수 있었다. 이는 하대에 이미 인문도의 紋飾에서 도기상의 부호를 새기는 과정에 갑골문이 탄생하였으며, 금문의 자형 또한 은대 청동기문식에서 1.2자가 새겨짐과 동시에 <은새삼과> 에서 서체변천을 주도하였고, 대전 또한 주대의 새인에서 변련과 인장의 형식을 갖추어 방정함을 띠게 되었다. 이후 중국이 통일을 이룬 진대에는 이러한 서체변천과정에서 소전으로 문자 통일을 이룸과 동시에 전각의 제도적 관리가 이루어지며, 인문의 자형이 소전체로 변해갔으나 사인에 있어서는 전 시대의 서체들이 동시에 새겨졌다. 이러한 제도를 계승한 한 대에는 백화만방한 인문서체의 시대를 열게 하여 전서와 예서, 그리고 춘추전국시대에 성행하였던 조충서, 수전, 무전 등의 다양한 서체가 사인에서 새겨져 예술적 표현 영역을 확대해 나갔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전각이 서예의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표현영역을 차지 하고 있으며, 印工에 의해 금ㆍ은ㆍ동ㆍ옥에 새기었던 시대와 문인들에 의해 석인재에 스스로 각을 하던 시대의 풍격은 매우 차이가 났으나 전각의 인문과 측관, 봉니, 와당문에서 새겨지는 서체의 변천은 한자의 字體연변을 주도했으며, 또한 유행서체가 그대로 반영되고 있었음이 밝혀졌다고 하겠다. The history of the seal engraving began by imprinting patterns and signs on the pottery before the shape of the letters was fully equipped. Therefore, the main characters engraved on printing material have changed correlated closely with the process of changing the font of Chinese characters through the transition period from the signing to lettering in the early Neolithic Era, and the contents have also change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rpose of seal engraving. The term ‘seal engraving’ was also given a comprehensive name because the typeface, which was mainly used in the letter written on seal, mainly represented Jeonseo. However, among Jeonseo, the font style of the letter written on seal, changed to Gapgolmun(甲骨文), Geummun(金文), Daejeon(大篆), Sojeon(小篆), marking the popular style of the time, and since then, Yeseo and Haeseo appeared. As the use of the seal engraving changed from practical to symbolic, decorative and magical, and artistic expressions of a sign of faith, the contents engraved in the letter written on seal also changed, and it can be said that the font shape was changed and transformed due to the influence of local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hanges in the style of the seal engraving have changed from the practically used Gwanin, Sain, Bongni, and Wadangmun of the building to a form that was naturally simplified and easily used as time goes by. Gapgolmun was already born in the process of engraving pottery signs in the decoration of letters of painting of the letter written on seal, and the shape of the Geum-mun lead the change of style in <Eunsaesamgwa(殷鉨三顆)>, engraving 1.2 letters in bronzeware The decoration of letters. of Shang dynasty at the same time, and Daejeon also took the upright form of a Byun-ryeonand seal in Saein in Zhou dynasty. Since then, in Qin dynasty, when China was unified, text unification was achieved as Sojeon dur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font style, and institutional management of the seal engraving was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Shape of the letter written on seal has changed to Sojeon, but in terms of a Sain(私印), the fonts of the previous erawere engraved at the same time. In the Han Dynasty, which succeeded this system, various fonts such as Jeonseo, Yeseo, and Jochungseo, Sujeon, and Mujeon, which were prevalent in the Spring and Autumn Warring States period, were engraved in the Sain, expanding the area of artistic expression. It can be said that Seal engraving occupies a very important area of expression in the field of calligraphy, and the style of the era when engraved on gold, silver, copper, and jade by seal engraver(印 工) and engraving stones by writers themselves were very different, but the changes in the font style engraving on the letter written on seal, Cheukgwan(側款), Bongni(封泥) and Wadangmun(瓦當文)of seal engraving led the transition of Chinese character font style, and it was also revealed that the popular font was reflected.

      • KCI등재후보

        사요의 용어 변천에 대한 연구

        류성태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48 No.-

        사은사요(四恩四要)는 삼학팔조(三學八條)와 더불어 원불교 교강에 속한다. 교강(敎綱)이 원기 5년(1920) 변산 봉래정사에서 구상된 뒤, 사은사요가 형성되기까지 수년이 흐르게 되어 원기 14년(1929)에 이르러 완성된 것이다. 이처럼 사은사요가 정초된 연도는 봉래정사에서 교강초안이 시작된 이래 9년 후의 일이다. 교강으로서의 사요(四要)가 형성되었다고 해도 소태산은 삼학팔조와 사은은 시대나 국가를 막론하여 변할 수 없지만 그밖의 세목은 변경될 수 있다( 『대종경』, 부촉품 16장)고 언급한 것에서 사요와 관련한 본 연구의 논제에 접근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요는 시대와 국가에 적합하게 변경될 수 있다는 점에서 문제 제기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사요의 근본정신마저 변경될 수 있다는 뜻은 아니다. 사요세목의 변천이 가능하다는 추정을 할 수 있지만 그 본질은 균등한 국가와 사회의 건설에 기반하고 있기 때문이다. 아무리 국가 사회가 균형적으로 발전하고 시대가 변천된다고 해도 사요가 추구하는 평등사회의 건설은 인류의 이념이자 과제인 것이다. 다만 사요의 세목(細目)이 변경 가능하다는 소태산의 법어를 재음미함으로써 시대와 국가를 따라 세목의 용어가 실제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가에 대하여 본 연구는 주목하였다. 그것은 지금까지 다른 교강에 비해 사요 세목의 용어들이 시대에 따라 다채롭게 변화되어온 사실(史實)을 점검한다는 것이다. 이에 원불교 사요의 용어들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가, 그리고 변천된 이유는 무엇인가를 초기교서를 중심으로 점검하고자 한다. 이러한 사요의 변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그 의의와 한계는 무엇인가를 밝혀낼 수 있을 것이다. 사요 세목의 용어에 대한 변천과정의 연구는 과거사만이 아니라 앞으로 사요가 어떻게 변천될 것인가의 방향 설정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사요의 용어 변천의 미래적 방향 점검은 본 연구의 핵심 주제가 아니다. 사요의 형성 및 정착과정의 모색을 통해 원불교 교강 형성의 일부분이긴 하지만 교법이 어떻게 정착되어 왔는가에 대한 안목을 넓힐 수 있으리라 본다. 그것이 교리형성사적 의의와 한계를 조망하는데 일익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Four Graces & Four Essentials as well as Threefold Trainings & Eight Articles belong to the central principle of Won-Buddhist Doctrine. Since the principle of Won-Buddhist Doctrine drafted at the Won-Buddhist hermitage in 1920, the Four Graces and Four Essentials completed with time passed by in 1929. The Won Buddhist doctrinal principle completed 9years later when it started to be drafted. Even though Four Essentials are composed, Great Master Sotaesan said that Threefold Trainings, Eight Articles and Four Graces can not be changed except for the Fours. This study suits it’s purpose on the transition of the Four Essentials on demand of the time and the country. However, it is not to change the primary spirit of the Four Essentials. I can presume the changeable possibility of the Four Essentials, but the essense of it is based on the building the equal society of the country. Four Essentials is the human ideals for an equal society as a task of us, though it is changeable. This study focused on how the items of Four Essentials has changed as the times went by, according to Great Master Sotaesan’s Dharma words on the changeability of Four Essentials. It shows the Four Essentials’s varieties of changes when compared with other principle of Won- Buddhist doctrine. I want to check the early-day books of Won Buddhism about the changeable history of Four Essentials, by which it is possible to grasp the significance and limit of Four Essentials. The study on the term changes of Four Essentials is not limited to the past, But it helps to understand the future direction of Four Essentials, even though it is not focussed on the future. Anyway, it helps to have an eye for the settlement of Won-Buddhist doctrine formation by studying the change of Four Essentials. Furthermore, it give us an information to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e Fours.

      • KCI등재후보

        미국의 대학정보 공시와 그 활용분석을 통한 정책적 시사점

        구권백 한국교육정치학회 2011 敎育政治學硏究 Vol.18 No.1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historical context and situation of Korean private school policies after the liberation, the contents of major private school policies in each period and the background and drives for the emergence of such policies, and by doing so, to identify factor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related to the change of private school policies and to find implications and alternatives for the desirable development of private school policies in the future. Specifically,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first, what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private school policies had in each period, and second, what the drives for private school policies were in each perio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characteristics observed in the historical context and development of Korean private school policies and the biggest drives for change in the policies were found in political transitions. That is,the launch of a new government after the change of regi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ople’s perception of private schools and the formation of alternatives. Problems related to private schools may be perceived and defin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overning ideology, and consequently, solutions also change. The shift of the majority party in the National Assembly or the transition of political topography has bee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that induced changes in private school policies. For these objectives, we performed literature review and divided the history of Korean private school policies according to the basic direction and characteristics into: 1) ‘the noninterference period’ (1945~1960) when the opening of private schools was liberalized and autonomous; 2) ‘the control period’(1961~1980) when private school improvement and control policies were promoted; 3) ‘the control and promotion period’(1980s) when the government supported and controlled private schools at the same time; 4) ‘the promotion and autonomy period’(1990s) when private schools began to be diversified; 5) ‘the new control period’(2003~2007) when various educational reforms were promoted; and 6) ‘the autonomous control period’(2008~present) when values such as pragmatism, liberalism, competition and diversity were raised. 본 연구는 해방 이후의 한국사학정책의 역사적 맥락과 시대적 상황, 그리고 각 시기의 주요 사학정책의 내용과 이러한 정책이 등장한 배경 및 동인을 분석하여, 사학정책변동의 요인과 특징, 문제점 등을 파악해보고 향후 바람직한 사학정책변동을 위한 시사점과 대안들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문제는 첫째, 시기별로 사학정책의 내용 및 특징이 무엇인가, 둘째, 시기별로 사학 정책의 동인은 무엇인가를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 사학정책 변천 동인의 역사적 맥락과 변천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으로, 한국사학정책의 변천 동인에 있어서 가장 큰 요인은 정치의 름에서 발견할 수 있었다. 정권 교체에 따른 새로운 정부의 출범은 사학문제에 대한 인식과 대안 형성에 영향을 주었다. 새로운 통치이념에 따라 문제 인식과 정의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에 따른 해결책도 바뀌게 되는 것이다. 의회 지배세력의 교체나 정치지형 변화는 사학정책변천 동인에 있어서 가장 큰 영향 요인이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검토를 통해 한국사학정책의 변천과정을 시대별로, 사학 정책의 기조와 특징에 따라 1) 사학 설립이 개방되고 자율화되었던 ‘자유방임기’(1945~1960년), ) 사학정비와 통제정책이 추진된 ‘통제기’(1961~1980년), 3) 사학 지원과 국가통제가 병행된 ‘통제조성기’(1980년대), 4) 사학의 다양성을 추구하기 시작한 ‘조성 자율화기’(1990년대), 5) 각종 교육개혁 추진을 제시한 ‘신통제기’(2003~2007년), 6) 실용주의, 자유주의, 경쟁, 다양화의 가치를 내세우는 ‘자율통제기’(2008년~현재) 등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 KCI등재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이우재(Lee, Woojae) 한국상고사학회 2021 한국상고사학보 Vol.114 No.114

        본고는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일차적 목적이 있다. 그리고 지역별로 그 전개 양상을 살펴보고, 나아가 낙랑계토기가 나타나던 시기의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흐름을 분기별로 파악해 보았다. 먼저 변천 양상을 파악하기 위해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북한지역 낙랑토기에서 나타나는 특징들이 점차 옅어지면서 독자적 변화 과정을 거쳤을 것이라 가정하였다. 이에 낙랑토기에서 확인되는 특징적 속성들을 우선적으로 검토하고, 낙랑계토기에서 나타나는 유의미한 속성들을 통해 기종별로 분류 기준을 세워 형식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북한강유역에서 나타나는 물질문화상의 특징적 변화들을 기준으로 단계를 구성하고, 단계별로 낙랑계토기 기종과 형식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낙랑토기 제작기법은 늦은 단계까지 지속되지만 단계적으로 형태·양식적 측면에서 변형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몇몇 기종과 형식은 단계별로 새롭게 출현하거나 낙랑토기의 영향이 강하게 남아 있는데 이는 서북한지역과의 지속적 교류에 따라새롭게 등장한 낙랑계토기로 이해된다. 또한 평저호와 타날문단경호는 형식 변화가 단계적으로 뚜렷하게 나타나기에 이를 중심으로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천안의 큰 틀을 설정하였고, 기타 기종들을 단계 안에 위치시킴으로써 북한강유역 낙랑계토기 변천안을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설정한 변천안을 토대로 지역별 낙랑계토기의 전개 양상을 살펴보았다. 그결과 춘천 지역 취락에서 기원후 1세기 어느 시점에 낙랑계토기가 출현한 이후 2세기에 이르러 주변 지역으로 점차 확산된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 변천 마지막 단계에 이르러 북한강유역 전역에서 낙랑계토기가 확인되는 가운데 가평 대성리 유적, 홍천 태학리 유적 등으로 대표되는 대규모취락들이 각지에서 출현 또는 성장하였던 것으로 보았다. 낙랑계토기의 변천과 전개 양상, 그리고단계 구분에서의 표지자료를 통해 북한강유역 물질문화의 분기를 Ⅰ기와 Ⅱ-1기, Ⅱ-2기로 나누고각 시기별로 그 내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낙랑계토기 단계별 변화 및 전개 과정과 기존 편년연구를 통해 알려진 물질문화상의 변화가 상호 연동되어 나아가는 일련의 흐름을 짚어볼 수 있었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understanding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in settlements in the Bukhan River basin. In addition, I examined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and furthermore, identified the flow of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during the period when the pottery first appeared. First, to understand the aspects of development, I assumed that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ent through its own changes as the characteristics of Lelang pottery in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gradually faded over time. Thus,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 properties identified in Lelang pottery and set up models by establishing classification criteria for each type through the significant properties found in Lelang-type pottery. In addition, I constructed the phases based on characteristic changes in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and looked at the types and models of Lelang-type pottery phase-by-phase. As a result, I could see the making techniques of Lelang-type pottery lasting until late phases, but being transformed in terms of form and style by phase. However, some types and models were newly introduced by phase or strongly influenced by Lelang pottery, which were understood as a newly emerged Lelang-type potteries due to continuous exchanges with the western North Korea region. Also, the changes of the Flat-bottomed Jar and the Beating- Patterned, Short-Necked Jar were more clearly identified than other models. Therefore, I proposed an idea how Lelang-type pottery in the Bukhan River basin was developed by focusing on the changes of the two models and positioning other models within the phase. Next, I looked at th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by region based on the idea set by this study. As a result, it was believed that Lelang-type pottery appeared at some point in the 1st century A.D. in Chuncheon region and gradually spread to neighboring areas in the 2nd century. While Lelang-type pottery was identified throughout the Bukhan River basin at the last phase of the development, I understood that large-scale settlements like Daeseong-ri site in Gapyeong or Taehak-ri site in Hongcheon had appeared or grown in various regions. Through the changes, aspects of development, and markers used for phase division, I divided the divergence of the material culture in the Bukhan river basin into Phase Ⅰ, Phase Ⅱ-1, and Phase Ⅱ-2, and examined it phase-by-phase. As a result, it was possible to point out a series of flows in which the phase-by-phase development of Lelang-type pottery and the changes in material culture known through existing polarization studies are being interconnected.

      • 태백산 일대 마을제당의 신격 변천 사례 연구

        박지영(Park, Ji Young) 한국유라시아연구원 2021 유라시아문화 Vol.4 No.-

        본고는 태백산 일대 마을제당의 신격 변천 과정을 사례를 통해 살펴본 연구이다. 동북아 선도제천의 신격은 마고삼신이며 후대로 내려오면서 삼성, 단군, 산신과 서낭으로 변천되어 왔기에 그 변천 과정을 태백산 일대의 마을제당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1980년대 초 중국 동북 요서지역에서 발굴된 수많은 유물·유적과 2000년대 이후 등장한 선도적 역사인식으로 동북아 선도제천의 신격이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으며, 특히 홍산문화 우하량 여신묘에서 발굴된 여신상으로 제천의 신격이 여신, 즉 마고삼신이었음이 밝혀졌다. 이러한 선도제천의 신격인 마고삼신은 후에 제천을 주관하는 사제왕이자 선인인 삼성과 단군에 대한 신앙과 숭배로 이어지게 되고 선도제천의례가 우주의 하늘(天) 자리와 가장 가까운 산에서 행하여졌고 또한 모든 선인들이 산으로 내려와서 후에 다시 산으로 돌아가 산신이 되었다는 기록과 함께 삼성과 단군에 대한 숭배가 산신숭배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리고 산신이 마을로 내려오면서 서낭당을 지어 모심으로써 지금까지 전해져 내려오고 있는 것이다. 필자는 태백산 일대 마을제당의 신격 변천 사례를 연구해 본 결과 선도제천의 신격변천 과정과 똑같은 변천 과정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태백산 마고제천의 영향으로 태백산 일대 마을제당에서도 마고삼신을 모시는 마을제당이 많았으며 지금은 비록 다른 신격으로 변해있다 할지라도 원형의 신격은 마고삼신이었음을 알 수 있었고 그것으로 다시금 선도 제천의 신격 변천의 실제 사례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thesis is a study of the process of the deity of village shrine in Mt.Taebaek area. The deity of the leading heavenly rituals in Northeast Asia was MagoSamSin, and it was transformed into SahmSung, DahnGun, SanShin(mountain-spirits), and Seo Nang in the future, so the process of the change was examined through a case study of village shrine around Mt.Taebaek. Numerous relics and relics excavated in the Liaoxi region of Northeast China in the early 1980s and leading historical recognition since the 2000s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leading heavenly rituals. In particular, it was revealed that the goddess of heavenly rituals was a goddess, or MagoSamSin, discovered at the Niuheliang Shrine in Hongsan culture. MagoSamSin, the deity of the Korean SunDo heavenly rituals, later led to worship and faith in SahmSung and DahnGun, the priests and military kings of heavenly rituals. The worship of SahmSung and DahnGun led to the worship of SanShin(mountain-spirits), along with the record that the SunDo heavenly rituals was held on the mountain closest to the heavenly place of the universe and that all the SunIn came down to the mountain and became SanShin(mountain-spirits). And as the SanShin(mountain-spirits) came down to the village, it was established as SeoNang, which has been handed down until now. As a result of studying the case of the deity change of village shrine in Mt.Taebaek, I confirmed that the same transformation process as the deity change process of SunDo heavenly rituals appeared. Due to the influence of Mt.Taebaek Mago heavenly rituals Stream, many village shrines were dedicated to MagoSamSin in Mt.Taebaek, even if it was changed to a different deity now, it could be seen that the original deity was MagoSamSin, and that again confirmed the actual case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deity of heavenly rituals, the capital.

      • KCI등재후보

        역대 필법의 변천 고찰

        양용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3 No.-

        서예는 문자의 조형미를 표현하는 예술이며, 문자의 뜻과 자형을 통하여 작가의 성정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서예의 주요 성분은 필법 ㆍ필세ㆍ필의의 3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필법은 서예에서 가장 기본 적 요소로 입문하는 사람들이 반드시 익혀야 할 규범이다. 필세와 필 의는 필법의 기초에서 작가의 성정을 표현하는 것이다. 따라서 필법 에 대한 연구와 고찰은 서예에서 가장 중요하고, 또한 우선적으로 해 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에 대한 체계적 연구가 없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연구 목적은 서예의 기본적 표현 기법인 필법에 대한 역대 변천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는 필법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창작을 모색하는 데에도 필수적 연구대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연구는 필 법에 대한 정확한 기초를 마련하고, 또한 이러한 기초에서 올바른 창 작을 모색하는 데에 밑거름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연구의 의의가 있 을 것이다. 연구 방법은 먼저 필법의 의의와 형성을 살펴본 다음 역대 필법의 변천을 위진남북조ㆍ당나라ㆍ당나라 이후로 나누어 분석한 이후 필 법의 가치와 영향을 기술하고 여기에서 얻은 결과를 정리하여 결론 으로 삼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기본 필법은 선에 대한 인식으로부터 점과 획으로 변화하였고, 진나라 문자통일을 거쳐 한나라 예서에서 기틀을 마련하여 삼절필의 기교가 보편적으로 응용됨으로써 형성되 었다. 필법의 변천 과정을 보면, 위진남북조는 주로 해서ㆍ행서ㆍ초 서에서 완성을 이루었고, 한나라 예서의 필법이 점차 사라졌으며, 전 절을 겸하여 삼절필에 대한 기법을 완성하는 시기였다. 당나라는 초 당 삼대가를 통하여 남북의 필법 및 해서ㆍ행서ㆍ초서 등의 체계를 갖추었고, 중기 이후는 안진경을 통하여 필법의 극치를 이루었다. 이 후 송나라에 이르러 황실의 기호, 제도의 영향, 예술사상의 변화 등 으로 분명하게 다원화된 ‘상의’서풍을 나타냈고, 이후 조맹부의 시대 서풍을 거쳐 명나라의 전람문화와 청나라의 비학 등의 발전으로 시 대별 다양한 변천이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변천 과정을 통 하여 필법의 가치는 본래의 법을 바탕으로 하여야만 알맞게 취할 수 있고, 변화할 수 있으며, 심미가치 또한 높게 구현할 수 있다고 분석 하였다. 이는 역대 서예가들이 끊임없이 필법을 탐구하는 이유이고, 이를 통하여 필법의 전승은 서예를 예술의 한 분야로써 탄탄하게 만 드는 기반이며, 서예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된다는 것임을 알 수 있 었다. 서예는 3,000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장구한 세월 동안 서예가 지속적 발전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각 시대별 변천 과정에 서 끊임없는 창신이 있었기 때문임을 알 수 있다. 어느 시대를 막론 하고 뛰어난 서예가들은 우수한 전통을 지키고, 낡은 전통을 버리며,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면서 창신을 하였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과정은 반드시 필법을 바탕으로 이루었고, 끊임없이 필법의 비결을 얻고자 노력한 결과에 따른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서예의 공통적 규범을 습 득하고, 득심응수(得心應手)의 경지에 이르고자 함을 의미한다. 이런 의미에서 필법의 연구는 중요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서예의 실천에서 필법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서예의 건전한 미래 발전을 위해서는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필법에 대한 고찰은 바로 서예 발전의 원동력이 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연구는 분명히 현실적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书法是表现文字造型美的艺术,是能够通过文字的含义与字形展 现出作家性情的艺术。书法主要是由笔法、笔势、笔意三要素构 成。书法最基本的因素是笔法,是入门者必须学习的规范。 在笔法的基础之上,笔势和笔意会表现出作家的性情。因此,针 对笔法的研究和考察就是最为重要且首要的任务。不过,让人甚 感遗憾的是目前还没有关于笔法的系统化研究。 本文的研究目的是考察关于书法的基本表现笔法的历代演变。因 为对于正确地理解和探索创作笔法而言,笔法的演变是必须的研 究对象。此研究可以奠定正确的笔法基础,并在此基础上,能够 有助于探索正确的创作模式,因此,它具有研究的价值。 本文的研究方法,首先探索笔法的意义和形成,接下来在对魏晋 南北朝、唐朝、唐朝以后的历代笔法进行分析后,最后阐述笔法 的价值及影响,并将由此所得出的结果经过整理后作为研究的结 论。 研究结果如下: 基本笔法从对线条的认识演变到点画,是经由秦朝文字统一、汉 朝隶书的巩固、三折笔技巧的普遍应用之后形成的。 从笔法的演变过程来看,魏晋南北朝主要构建完成了楷书、行 书、草书,逐渐减少了汉朝隶书的笔法,成为兼具转折及三折笔 技法的时代。 唐朝的笔法特点。通过初唐三大家,完成南北的笔法及楷书、行书、草书体系的构建。盛唐以后,通过颜真卿的笔法达到笔法的 极致。 最后,唐朝以后的笔法特点。到了宋朝,表现为受皇室嗜好、制 度影响、艺术思想变化等的多元化“尚意”书风,经过赵孟頫时代 的书风,明朝的展览文化以及清朝的碑学,每个时代都有多样化 的演变。 根据上述演变过程,本人做出如下分析。笔法的价值只要尊从其 本来的原则,才能适当的获取并赋以变化,才能分析出、体现出 较高的审美价值。 如同大家所了解的,这就是历代书法家们不断地探求笔法的理 由。书法家对笔法的传承,是使书法成为一门艺术的结实基础, 也是书法发展的原动力。 书法拥有三千年的历史。在这漫长的岁月中,书法之所以能够持 续发展的理由是,在每个时代演变的过程中都在不断地创新。 不论处于什么样的时代,伟大的书法家都在继承优良传统、敢于 接受新鲜事物中而创作。这一的过程必定形成笔法的依据,也是 不断追寻笔法秘诀的获得者努力的结果。 这样的努力是学习书法的共同准则,意味着想要达到得心应手的 境地。在此意义上,笔法的研究具有重要的意义。 对于书法的实践,笔法的重要性不可否认。为了书法的健康的发 展更加如此。所以,作为书法发展的原动力——笔法的考察研究 具有现实的价值。

      • KCI등재

        현행(現行) 고등학교(高等學校) 한문교과서(漢文敎科書)의 변천(變遷) 연구(硏究) -<한자(漢字),한자어(漢字語)>영역(領域)을 중심으로-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7 漢字 漢文敎育 Vol.18 No.-

        이 논문은 現行 고등학교 한문교과서의 史的 變遷을 살펴본 논문이다. 주로 제1차 敎育課程期부터 제7차 교육과정기까지 한문교과서의 體制, 單元 配列, 한자 한자어의 主題別 단원 構成 등에 대한 比較 分析 檢討, 바람직한 한문교과서의 방향 등을 연구한 논문이다. 현행 한문교과서의 史的 변천에 대한 內容을 要約 整理하면 다음과 같다. 1. 漢文敎科書의 體制 1) 內的體制의 變遷 : 한문교과서의 編次는 單純 편차 방식에서 多段階 편차 방식으로 增大 擴大 되어 왔다. 2) 外的 體制의 變遷 : 한문교과서의 외적체제(版型, 活字 및 활자 크기, 用紙, 色度 등)도 많은 변천 과정을 가져 왔다. (1) 版型 : 제1차 교육과정기~제6차 교육과정기까지 菊版이 사용되다가, 제7차 교육과정기부터는 4·6배판이 사용되고 있다. (2) 活字 : 교육과정기가 거듭될수록 활자는 輕便 字母 活字에서 원도활자로, 전산식자체에서 CAP시스템으로 발전을 거듭하였으며, 色度도 單色에서 7차 교육시기에는 2도로 발전을 하였다. (3) 用紙(紙質): 본문에 사용된 용지는 갱지→미색 갱지→중질지(서적지)→서적지로 발전을 가져 왔으며, 표지에 사용된 용지는 갱지→모조지→백상지→엠보싱으로 발전을 가져 왔다. 2. 單元 配列 1) 全體 單元 體系 : 제1차 시기에는 교과서에 한자·한자어 영역의 小單元 구성을 하고 있지 않았고, 제2차~제4차 시기에는 전체 교과서 중에 몇 종만이 大單元과 소단원을 구성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었고, 나머지 교과서들은 소단원 구성을 하고 있었다. 제5차~제7차시기까지 거의 모든 교과서가 대단원을 구성하고 있었다. 2) 漢字·漢字語 領域 單元 體系 : 제1차 시기에는 교과서에 한자·한자어 영역의 소단원을 구성한 교과서는 한 군데도 없었으며, 제2차 시기에서 제4차시기까지에는 생활 ``한자어``가 주를 이루었다. 제5차 이후에는 현대에서 만들어진 成語 및 故事成語가 ``한자·한자어`` 영역에 점점 내용이 증가 되었으며, 7차 교육과정 시기에는 ``성어, 고사성어에 관한 내용이 증가되었다. 3) 敎育課程 單位 時間 配當 : 한문과 교육과정 단위 시간에 알맞은 대단원과 소단원의 수는 <한문>이 4단위일 경우에는 68시간 내에 가능한 소단원 수는 29개 미만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대단원 수는 6~8개이며, 1개의 대단원 속에 소단원수는 3~4개 정도가 알맞다. <한문>이 8단위일 경우에는 136시간 내에 가능한 소단원 수는 57개 미만이어야 하고, 바람직한 대단원 수는 10~14개이며, 1개의 대단원 속에 소단원수는 4~5개 정도가 알맞다. 3. 漢字·漢字語의 主題別 單元 構成 제1차시기부터 제7차시기까지 한자·한자어 영역의 내용을 이루는 主題는 入學式, 祖國, 文化, 敎育, 國土, 民族, 科學, 經濟, 民主社會, 環境 등을 포함하여 모두 38개의 주제로 다양하게 구성되고 있다.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changes of high-school Chinese writing textbooks. For this, we mainly compared and analyzed the structure and unit organization of the textbooks and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in the textbooks from the 1st to 7th National Curriculum, and considered directions for desirable Chinese writing textbooks. The details of changes in Chinese writing textbook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1) Change in internal structure: The content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has been expanded from a single-level structure to multiple-level structure. 2) Change in external structure: The outward structure of Chinese writing textbooks (book size, type and type size, paper, colors, etc.) has also been changed significantly. (1) Book size: A5 size was used from the 1st to 6th National Curriculum, and B5 size from the 7th National Curriculum. (2) Type: With the change of curriculums, type evolved from the plain matrix type to the Windows type, from the computer typesetting system to the CAP system, and color was also changed from single-color to two-color in the 7th Curriculum. (3) Paper (quality): Paper used in printing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evolved from groundwood paper→creamish groundwood paper→ fair-quality paper (book paper)→book paper, and cover paper also changed from groundwood paper→woodfree paper→uncoated printing paper→embossing. 2. Unit organization 1) General unit organization: In the 1st Curriculum, the textbooks did not have subunits f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nd in the 2nd~4th Curriculums, only some of the textbooks had the structure of units and subunits and the others were composed with subunits only. In the 5th~7th Curriculum, almost every textbook has units. 2) Unit organization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In the 1st Curriculum, none of the textbooks had subunits for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nd in the 2nd~4th Curriculums, Chinese words in everyday life were main contents. From the 5th Curriculum, idiomatic phrases coined in the present age and old idiomatic phrases increased gradually in the area of ``Chinese characters-Chinese words`` and in the 7th Curriculum, contents related to idiomatic phrases and old idiomatic phrases increased. 3) Allocation of class hours: If <Chinese writing> is a 4-credit subject, the desirable number of subunits is less than 29, which can be covered within 68 hours, and the desirable number of units is 6~8, each of which has 3~4 subunits. If <Chinese writing> is a 8-credit subject, the desirable number of subunits is less than 57, which can be covered within 136 hours, and the desirable number of units is 10~14, each of which has 4~5 subunits. 3.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From the 1st to 7th Curriculum, the cont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Chinese words are composed of 38 themes including entrance ceremony, fatherland, culture, education, national land, people, science, economy, democratic society and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