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군 범죄피해자에 대한 치료적 개입

        승장래(Seung Jang Lae) 한국범죄심리학회 2015 한국범죄심리연구 Vol.11 No.3

        오늘날 한국사회는 모든 분야에서 인권을 보장하는 분위기가 조성되어 범죄피의자뿐만 아니라 피해자의 인권문제도 중요하게 부각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범죄피해자에 대한 보호 및 지원 제도가 정착되는 계기가 되었으나 군은 범죄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제도와 시스템의 정착이 미흡하다. 본 연구에서는 군 범죄발생과 피해원인을 병영생활과 연계하여 범죄피해이론으로 설명하였고, 현행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제도를 통해 군 범죄피해자 지원 제도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군에서 다발하는 상습폭행, 성폭력 등의 피해자 특성과 군 복무부적응 원인조사 결과와 일반 범죄피해자들이 겪는 부정적 감정 상태와 비교하였다. 그리고 군내 사고발생시 범죄피해를 입은 장병들에 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 대상자 중 유효한 답변자 481명의 자료에서 계급별, 직책별, 학력별로 범죄피해 경험을 토대로 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로 군 범죄피해자들의 특성이 정신건강상 불안장애나 군 복무부적응 현상과 유사하다는 것이 확인되었고, 전문상담관 등을 통해 효율적인 치료적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군에서 범죄피해 장병들이 겪는 정신건강 장애를 해소할 수 있도록 군 범죄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제도를 마련해야 하고, 이를 위해 우선적으로 시행이 가능한 법ㆍ제도 및 시스템의 구축과 민간지원단체 등과 긴밀한 교류협력 체제를 구축하는 정책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ese days, the Korean society has set a mood in which the human rights of every individual needs to be guaranteed. Therefore, the human rights of both the victims of crime and the suspects became the most important issue. These variations in victims of crime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e establishment of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s. However, the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 for the protection of victims was insufficient and lacking in the South Korean military. In this research, I have explained the connections between the military crime incidents and its origins through criminal damage of crime victims. And from the current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 for crime victims I drew the problems of the support system for military crime victims. I also compare the negative emotional states of normal crime victims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victims to abuse and rape. And there was a survey to research the characteristic damage of actual military victims of crime. I analyzed victimization experience according to the ranks, duty, and educational differences in the 481 respondents. Through analysis, we can see that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draftees unit to military service is alike with uneasiness disability. Through professional counselors, we can see how we can effectively intervene with therapeutic treatment. In conclusion, we must establish a support system for military crime victims so that we settle the troubles that crime victim soldiers experience and ways to meet the needs of various psychological troubles. It must be a realistic and applicable system for the military victims of crime. Hence, we need to make an effort to fulfil this urgent need by establishing the laws and systems enforceable in the priorities and a system of cooperation with civilian support groups.

      • KCI등재

        범죄피해자의 인권보호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김길영,김효진 한국경찰연구학회 2017 한국경찰연구 Vol.16 No.2

        범죄피해자의 인권보호에 대한 대책은 형사절차에서 피해자가 국가기관, 범죄자, 언론 등으로부터 피해를 입는 것을 방지하고, 범죄피해의 직접적인 당사자로서 혹시나 발생할 다른 범죄자의 공격 등을 회피하고 범죄피해자가 직접 자신의 입장을 말할 수 있는 법적 지위를 마련하여 지금까지 침해된 피해를 형사절차를 통하여 신속히 회복시키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형사절차에서 피해자의 다시 발생할지 모르는 재해 방지와 범죄피해자의 인권 보호제도의 고찰과 개선방안을 연구할 것이다. 범죄피해자의 의식구조에 대한 연구나 현재 일반인의 인식들이 중요하여 본 논문은 세계 주요 국가의 법적 측면의 인권 보호제도를 비교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연구할 것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범죄피해자보호의 인권보호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시민단체와 국민들도 함께 동참 할 때 그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개념과 내용을 위하여 범죄피해자의 인권보호에 관한 논문을 많이 참조하였다. 범죄피해자의 인권에 관한 분야는 피해자의 인격과 피해에 대한 보호 및 피해자의 법적인 지위를 고찰하는 것을 그 중심내용으로 한다. 범죄피해자의 인권보호에 관하여 발전방향을 찾아보기 위해서는 세계 각국의 인권 제도를 비교분석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므로 비교법적 방법을 선택하였으며, 우리나라의 제도도 탐구하기 위해 법해석학적 분석을 하였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study protections of civil’s right of criminal victims. That is, it is to study concrete system and procedure to secure and realize civil’s right of criminal victims approaching the practical problem. The function of basic protections for criminal victims hasn't worked yet. Crime Victims Protection Act obliges yet government to support and protect crime victims. There are various kinds of support programs, such as counseling, medical treatment, employment. To provide the substantial support for victims, organizations must keep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arry out the policy. This study conducted a research on the support policies for crime victims of governments and his limit. Helping activities for crime victims of Korea were started by the police and still led by them. But the helping activities of the police are supposed to the intervention right after when the occurrence of the crime, and the long term support for victims is yet deficient. Way of protection of human right would be realized as soon as possible by the active victim’s protection of government and the policy. However in protecting the victim’s right, the equality with the accused must be appointed and it serves the aim of the equal right and human’s dignity. The first goal of a criminal process is to ensure the perpetrator is given with a punishment that suits his/her crime and the fast and make recovery of the victims from the damages done by the crime. Therefore it needs to give the victims an appropriate status and right as a party in the criminal process to allow them very participate in the process, which will also help them provide the details of the damages and the stand point of them as victims during a criminal process. Also,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allow them to participate in the trial process, which is the final phase of a criminal process. The victims in Korea can participate in the criminal trials by the introduction of a system that will allow them to participate, the reinforcement of the right to make statements for the victims, which is one of the basic rights in out constitution, and provision of the documented right to get help from a legal counsel.

      • KCI등재

        범죄피해자보호,지원 관련 법제의 문제점 및 정비방안

        강동욱 ( Dong Wook Kang ),송귀채 ( Gwi Chai Song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법학논총 Vol.33 No.2

        현행 우리나라 범죄피해자 보호 · 지원 관련 법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법률체계의 ``복잡성`` 과 ``중복성``이라 할 수 있다. 피해자보호 · 지원에 관한 일반법으로 「범죄피해자보호법」이 있으나 마약 및 조직범죄 등에 관하여는 「특정강력범죄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과 「특정범죄 신고자 등 보호법」등이 있고, 여성가족부에서 주관하는 성폭력 · 가정폭력 범죄에 대하여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성매매알선 등 행위의 처벌에 관한 법률」 「성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등에 관한 법률」,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에 피해자 보호 · 지원 규정이 산재하여 있다. 한편, 가정폭력범죄 대응에 관한 법제도 성폭력범죄와 유사한 구조로써 「가정폭력범죄의 처벌등에 관한 특례법」과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있다. 보건복지 부에서 주관하는 아동학대 범죄의 경우도 「아동학대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과 「아동복지법」 등에 피해자 보호규정이 산재되어 있다. 이러한 법률 외에도 피해자보호 · 지원에 관련된 법률은 「아동 · 청소년 성 보호에 관한 법률」, 「소년법」, 「노인복지법」,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법률」, 「소송촉진 등에 관한 특례법」 및 「형사소송법」 등 대략 17개에 이른다. 그런데 이러한 법제는 그 내용면에서도 대응체계가 유사하고 중복된 내용 등이 다수 존재하고 있다. 때문에 수사 기관의 담당자조차 그 내용을 다 알지 못하고, 피해자보호 · 지원 실무를 하는 담당자들도 관련 법 률체계를 다 알지 못한다. 따라서 피해자에 대한 보호 · 지원의 효율성을 위하여 관련 법제를 일부 통합하여 단순화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법률은 형사절차상 특례법으로 규정할만한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고 판단되나 피해자 중심 서비스전달체계 개선과, 정부조직 및 단체 정비를 통하 여 국가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는 법제 정비가 우선되어야 한다. 이에 본고는 피해자보호 · 지원 관련 법률을 통합하여 범죄피해자보호법으로 일원화 하는 방향으로 큰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biggest problems of the current Korean protection and support legislation of crime victims can be said to be the legal system``s complexity and duplication. Although,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is in place as a general law for victims`` protection and support, separate protection regulations are set forth in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Specific Violent Crime Punishment and Protection Act of Specific Crime Reporters regarding drugs and organized crimes. The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regulations on sexual violence and domestic violence manag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re dispersed in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Sexual Violence Punishment, Act on Punishment of Prostitution Arrangement, and Act on Sexual Violence Prevention and Victim Protection. The legislation on coping with domestic violence has a structure similar to that for sexual violence, and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of Domestic Violence and Act on Domestic Violence Prevention and Victim Protection are enacted. The victim protection regulations on child abuse managed by the Ministry of Welfare and Health are also dispersed in t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Child Abuse Punishment and Child Welfare Act. Besides those laws, there are about 17 laws concerning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including the Sexual Protection Act of Children and Adolescents, Juvenile Law, Elderly Welfare Law, Act on School Violence Prevention and Countermeasur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Expedition of Legal Proceedings, and Criminal Procedure Act. In such laws, however, the systems for coping are similar, and many duplicate contents exist. Therefore, even investigators in an investigation agency do not know all the details of those laws, and those who are engaged in the practical work of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do not know all the relevant legal systems. Consequently, there is a need to integrate some relevant laws and simplify them for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efficiency. Even though those laws are judged to have an unavoidable aspect of being defined as laws on special cases in terms of procedure of criminal cases, the reorganization of legislation should be a priority in order to operate the national budget efficiently through the improvement of the victim-centered service delivery system and reorganization of government organization and association. This study presents the framework in the direction that integrates the acts on victim protection and support and unifies them into the Crime Victim Protection Act.

      • KCI등재

        외국인 범죄피해자 지원 실태 및 개선방안: 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중심으로

        최영신(Choi, Young-Shin) 한국피해자학회 2019 被害者學硏究 Vol.27 No.2

        외국인은 범죄피해에 매우 취약한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외국인 범죄피해 실태는 물론 외국인 범죄피해자의 지원 및 보호 관련 실태 역시 제대로 파악되어 있지 않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외국인 범죄피해자의 지원 및 보호 관련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범죄피해자지원센터’의 외국인 범죄피해자 지원 사례를 통하여 외국인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 현황을 살펴보고 현행 외국인 범죄피해자 관련 지원 정책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전체 ‘범죄피해자지원센터’ 범죄피해자 신규 접수인원 중에서 외국인 범죄피해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2015년도에는 0.8%(97명), 2016년도에는 0.7%(77명)로써 국내 체류외국인의 비율이 4% 이상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낮은 상태이다. 외국인 범죄피해자 보호 및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범죄피해자지원센터’에 대한 외국인 범죄피해자의 접근성이 확대되어야 하며, 정책적으로는 경찰의 범죄피해자 지원 제도 고지 및 안내의 활성화, 가해자가 외국인인 범죄피해에 대한 지원, 그리고 불법체류 외국인 범죄피해자에 대한 지원 등 외국인 범죄피해자 지원정책의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 Foreigners are particularly vulnerable to victimization by crimes. Despite this fact, in Korea, not much attention has been accorded to the reality of crime victimization of foreigners and the support and protection currently available for foreign victims of crimes. To address this issue, this study looks into the protection and support for foreign victims of crimes that are currently provided by such institutions as Crime Victim Support Centers, and carries out a case study on crime victimization of foreigners to identify the issues with the current support and protection policies for foreign victims of crimes and possible ways to improve them. This study analyed the data on support provided to 87 foreign victims of crimes by 59 Crime Victim Support Centers across Korea for a two-year period(2015 and 2016). In 2015 and 2016, the percentage of victims of foreign crime among all new applicants of Crime Victim Support Centers across Korea were 0.8%(97foreigners) and 0.7%(77foreigners), respectively. This ratio is very low compared with the ratio of foreigners staying at 4% or more. In order to expand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foreign victims of crimes, it is necessary to improve support policies, such as the promotion of notice and guidance of crime victims support system in police investigation, support for foreign victims of crimes committed by foreigners, and support for foreign victims of crimes in illegal staying.

      • 범죄피해자 보호실태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장승수 한국자치경찰학회 2011 자치경찰연구 Vol.4 No.1

        우리나라는 1980년대부터 범죄피해자보호에 관한 제도가 도입되어 1987년 에 범죄피해자구조법이 제정되었으나 초기에는 지원금에 주력하였다. 그러나 정신,심리치료 문제 등은 미흡하였으며,지원금 자체도 금액이 비현실적으로 운영되어 오다 2004년 범죄피해자지원센터를 설립하고 2005년 범죄피해자보 호법이 제정되어,범죄피해자지원금 증액 등이 이루어져 왔으며2007년 형사 소송법개정 시에 피해자의 권리 삽입 등 최근에서야 본격적으로 제도가 확대되 고 있는 실정이다. 경찰에서도 국민들로부터 절대적인 지지를 받고 있는 피해자에 대한 대책을 심도 있게 추진하면서 인권경찰을 추구하고 있는 전환기적 시점에서 범죄피해 자에 대한 문제를 소홀히 할 수 없는 만큼, 이러한 문제를 경찰실무적인 입장에 서 선진국의 피해자보호제도를 알아보고 인천지방경찰청에서 추진하고 있는 범죄피해자보호실태를 중심으로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시도 하였다. 또한 범죄피해 자에 대한 각종 보호 및 지원책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국 가적 관점에서 범죄피해자에게 실질적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책에는 어떠한 것 들이 있는지 고찰하여 피해자에 대한 신속한 피해회복과 지원책을 강구토록 촉 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 KCI등재

        우리나라의 범죄피해자 지원제도에 관한 연구

        박종렬(Park Jong-Ryeol),노상욱(Noe Sang-Ouk) 한국법학회 2009 법학연구 Vol.33 No.-

        범죄 피해자에 대한 보호는 범죄피해자보호법, 범죄피해자 구조법,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형사소송법, 검찰청법, 형사소송규칙, 사법경찰관직무규칙, 도로교통법, 형법,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아동복지법, 가정폭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에 관한 법률, 소송촉진 등에 관한특례법 등에 규정이 되어있다. 이러한 법령으로 피해자에 대한 보호가 철저히 보장될 것 같지만, 그 대상은 주로 성폭력ㆍ가정폭력ㆍ성매매 등 여성피해자와 관련한 특정범죄에 국한되어 이루어졌으며, 이러한 범죄의 피해자들에 대한 보호ㆍ지원마저도 재정과 전문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하여 한계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향으로 형사절차상 피해자 가해자 조정제도, 피해자 및 증인에게 형사절차의 진행경과 고지제도, 피해자변호인 제도, 피해자의 소송기록 열람등사권 등을 통해 대상범죄의 한정보다는 절차에 초점을 맞추어 보장하는 것이 범죄피해자들의 권리를 보장해줄 수 있는 보완책이라 생각한다. The protection for a crime's victim is specified in the Act to Protect Crime's Victim. Act to Help Crime's Victim, Act on Punishment of Sexual Violent Crime and Protection for Victim, etc., Act on Criminal Procedure. Act on Public Prosecutor's Office. Rule on Criminal Procedure. Rule on Duties of Judicial Police Officer. Act on Road Traffic, Criminal Act,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Special Crime of Violence, Act on Children's Welfare, Special Act on Punishment of Crime of Family Violence, Act on Prevention of Family Violence and Protection of Victim, and Special Act on Lawsuit Facilitation, etc. Although the protection for victims is thought to be thoroughly guaranteed with such laws, the subject is mainly limited to a particular crime relating to female victims from a sexual violence, family violence, and prostitution, etc. And there is a limitation due to an insufficient finance and specialized manpower, etc. regarding the protection and support for victims of such crimes. which is the current reality. With respect to the improvement for such issues, the author finds that to secure, with a focus on a procedure rather than a limitation of an applicable crime, by way of a system of mediation between a victim and an assaulter under the criminal procedure, system to give a notice to a victim and a witness regarding a progress of a criminal procedure, system of counsel for a victim, and right to review and copy a lawsuit record of a victim, etc. can be a supplementary measure to secure rights of crime's victims.

      • KCI등재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정보권 인식에 관한 연구

        박정환(Junghwan Park),장은지(Eunji Ja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3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정보권 보장의 한계를 분석하고, 현시점에서 적용 가능한 방안 가운데 정보권 인식 개선을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범죄피해자 권리 보호를 주제로 연구를 수행한 기존의 연구들은 권리 보호 법령 및 정책의 문제점에서 시작하여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까지 활발한 연구를 수행해왔다. 이러한 성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현장에서는 실효성 있는 대안이 되지 못하는 것이 아직까지 풀리지 않는 난제이다. 특히, 범죄피해자의 권리 가운데 ‘정보권’은 다양한 권리 가운데 가장 기본적인 권리라고 할 수 있다. 정보권을 충분히 보장받지 못한다면 다른 권리(가령 진술권, 참여권 등)를 보장받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범죄와 관련한 당사자들의 입장에서도, 범죄사건을 처리하는 형사사법기관의 입장에서도 매우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범죄피해자의 권리보호가 실제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발휘되기 위한 방안으로 ‘정보권 인식’에 초점을 둔다. 이를 위해 범죄피해자 정보권 보장과 관련하여 국내 법적 근거 및 지원정책의 한계를 지적하고 범죄피해자 정보권 보장을 위한 구체적이면서도 실현 가능한 인식 개선 방안을 모색하였다. 이 연구의 문제는 다음의 내용과 같다. 첫째, 현시점에서의 범죄피해자 정보권과 관련한 국내 법적 한계점은 무엇인가? 둘째, 범죄피해자 정보권 보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이면서도 실현 가능한 인식 개선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결과, 범죄피해자 정보권과 관련된 여러 쟁점 가운데 논쟁이 되고 있는 한계점은 1. 사건기록 등에 대한 열람·등사 신청 문제, 2. 사건의 통지 문제, 3. 사건의 피해자 배제 문제, 4. 형사사법기관의 인식 부재 문제로 정리할 수 있다. 그리고 범죄피해자 정보권 보장을 위한 인식 개선 방안으로는 1. 형사사법기관 담당자 대상 범죄피해자 정보권 인식 개선 교육, 2. 잠재적 범죄피해자 대상 범죄피해자 정보권 인식 개선 교육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guaranteeing information rights of crime victims in criminal proceedings and to find ways to focus on improving awareness of information rights among the measures applicable at this point. Existing studies on the subject of protecting the rights of crime victims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from problems with the Rights Protection Act and policies to deriving improvement measures. Despite these achievements, there is still no effective alternative in the field. It is an unresolved conundrum. In particular, among the rights of crime victims, 'information rights' can be said to be the most basic right among various rights. This is because if the right to information is not sufficiently guaranteed, there may be limitations in securing other rights (e.g., the right to state, participate, etc.).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a very important part of the parties related to crime and the judicial institution dealing with criminal cases. Therefore, this study focuses on 'recognition of information rights' as a way to effectively exercise the rights of crime victims in the actual field. To this end, it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domestic legal grounds and support policies related to the guarantee of information rights for crime victims, and sought specific and feasible ways to improve awareness for guaranteeing information rights for crime victims. The problem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domestic legal issues related to the information rights of crime victims at this point?, Second, what are specific and feasible measures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crime victims' information rights guarantees? As a result of the study, among the various issues related to the information rights of crime victims, the controversial limitations can be summarized as 1. the problem of reading and copying case records, 2. the problem of notification of case, 3. the exclusion of case victims, and 4. the lack of awareness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In addition, as a way to improve awareness of crime victim information rights, 1. Training to improve awareness of crime victim information rights for persons in charge of criminal justice agencies. 2. Education to improve awareness of crime victim information rights for potential crime victims has been proposed.

      • 자료 : 범죄피해자의 인권보호

        최병문 ( Byung Moon Choe ) 한국경찰이론과실무학회 2008 경찰연구논집 Vol.3 No.-

        범죄피해자는 타인의 범죄행위로 피해를 당한 사람과 그 배우자, 직계친족 및 형제자매, 범죄피해 방지 및 범죄피해자 구조 활동으로 피해를 당한 사람을 말한다. 이 글은 우리나라의 범죄피해자 인권보호 제도를 문헌검색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그 목차는 Ⅰ. 서론, Ⅱ. 피해자보호 관계법, Ⅲ. 우리나라의 피해자인권 보호제도 (1. 피해자 보호기관, 2. 「범죄피해자보호법」의 내용, 3. 「범죄피해자 보호?지원에 관한 기본계획」의 내용), Ⅳ. 결론의 순서로 되어 있다. 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우리나라 실정법에는 「범죄피해자보호법」을 비롯하여 「헌법」, 「범죄피해자구조법」, 「성폭력범죄의 처벌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가정폭력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가정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성매매방지 및 피해자보호 등에 관한 법률」, 「특정강력범죄의 처벌에 관한 특례법」등이 있다. 범죄피해자 보호기관에는 「법무부 인권국 구조지원과」, 「국가인권위원회」, 「검찰청 피해자 지원실」, 「범죄피해자지원센터」가 있다. 유관 「중앙행정기관」에는 경찰청,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노동부, 여성부, 국토해양부가 있고, 각 「지방자치 단체」가 지방행정을 분담하고 있다. 형사사법 영역에서 피해자와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다. 범죄피해자에 대한 상담, 의료 및 보호시설 제공, 수사기관 및 법정 동행, 구조금 신청 및 법률 구조 안내, 취업알선 등 원스톱 지원체제가 구축되고, 범죄피해자신고 콜센터 및 인터넷 홈페이지 개설, 범죄피해자 주간 설정 등 범죄피해자에 대한 인권옹호가 대폭 강화되는 것은 바람직한 움직임이다. 범죄로부터의 1차 피해 방지와 수사·재판과정에서의 2차, 3차 피해를 방지하는 것은 국가기관이 수행해야 할 중요한 인권 사안이다. 그리고 국가예산이 허용한다면 이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할 수 있는 범죄피해자 변호인제도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the pressing issues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human rights in South Korea. The main outline is as follows: Chap. 1. Introduction / Chap. 2. The Legal System of Victim Protection / Chap. 3. The Protection System of Victim`s Human Rights in South Korea / Chap. 4. Concluding Remarks. There are several Acts related to victim protection, e.g., the Constitution of South Korea, the Victim Relief Act, the Victim Protection Act,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Sexual Violence and Victim Protection,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Family Violence and Victim Protection,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Family Violence, the Act on the Prevention of Prostitution and Victim Protection, the Special Act on the Punishment of Specific Felony. Such agencies as the Ministry of Justice,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he Public Prosecutor`s Office and the Center for Victim Relief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tection of victim, and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s well. Concern on victim of crime and minority group are now growing. Legal assistance by public counselor could be really helpful for the victim.

      • KCI등재

        범죄피해자의 헌법상 기본권보호

        이효원 ( Hyo Won Lee )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서울대학교 法學 Vol.50 No.4

        우리 헌법은 국민이 범죄피해자가 된 경우에는 당해 사건의 재판절차에서 진술할 권리와 국가로부터 구조를 받을 권리를 기본권으로 인정하고 있는데, 범죄피해자에 대한 헌법상 기본권은 보호영역의 설정에 따라서 그 규범적 내용과 범위가 달리 평가될 수 있다. 이들 권리의 내용과 한계는 형사소송법과 범죄피해자구조법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형성되는데, 헌법에서 규정하는 내용은 법률에 규정되어 있더라도 헌법상 기본권으로 보호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본권을 침해한 입법작용에 대하여는 위헌법률심판을 통하여 구제될 수 있고, 이를 침해한 모든 공권력의 행사 또는 불행사에 대하여는 헌법소원을 통하여 구제될 수 있다. 한편, 헌법에서 직접 규정하고 있는 범죄피해자의 재판절차진술권과 구조청구권과는 달리 범죄피해자보호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권리는 헌법상 기본권이 아니라 법률에 의하여 보장된 권리이다. 따라서 이러한 권리는 비록 헌법상 근거를 두고 제정된 법률에 의하여 보장된 것이라고 하더라도 위헌법률심판의 기준이 될 수가 없고, 그 권리의 침해에 대하여도 위헌법률심판 또는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인정될 수가 없다고 하겠다. 현행 형사소송법, 범죄피해자보호법, 그리고 범죄피해자구조법은 범죄피해자를 보호하고 지원하는 규정을 두고 있는데, 이들 규정이 국가의 범죄피해자에 대한 기본권보호의무를 위반하였다고 할 수는 없다고 하겠다. 현대 국가에서 범죄피해자는 더 이상 범죄의 객체나 시혜적으로 보호되어야 할 대상이 아니라 실체적 진실을 규명하여 적정한 형사처벌을 실현함으로써 형사사법의 정의를 구현하는 적극적인 권리의 주체로서 인식되고 있다. 범죄피해자의 권리를 실질적으로 보장하기 위해서는 범죄피해자보호법 등에 대한 입법과 그 법률해석을 통한 사법을 비롯한 국가작용을 체계정합적으로 정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범죄피해자의 헌법상 기본권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It is prescribed in the constitutional law that victims of crime have rights to make a statement during the proceeding of the trial of the case involved and to ask for assistance to themselves. The Criminal Procedure Code and the Criminal Indemnity Act give shape to the meanings and limits of these fundamental rights. In order to understand the rights of victims of crime, the concept and protection sphere of these fundamental rights must be preferentially fixed. These fundamental rights can be protected as constitutional rights, even if they are prescribed in the laws. Therefore, the exercise of governmental authority against these rights of victims of crime, including legislation can be reviewed in the constitutional court. On the contrary, the rights of victims of crime protected as rights under law, which are prescribed in the victims of crime act, can not be the object of constitutional complaint. Even though these rights of victims of crime ar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law, they belong not to constitutional fundamental right, only but to right under law. The Criminal Procedure Code, The Victims of Crime Act, and the Criminal Indemnity Act provide victims of crime with various means to keep there rights. In this meaning, It can not be said that the government do not fulfill its responsibility for protection of fundamental right. In the modern society, victims of crime are not so much an object of crime or for compensation as a subject of criminal case to realize criminal justice. So it is necessary to extend and increase the rights of victims of crime.

      • KCI등재후보

        범죄피해자 보호제도에 관한 고찰

        정순형(Joung, Soon-Hyoung),전명길(Jeon, Myung-Gil) 한국법이론실무학회 2021 법률실무연구 Vol.9 No.1

        범죄피해자는 실체진실의 발견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그 결과에 대해 직접적인 이해관계를 가지는 존재이다. 그러나 그동안 형사사법제도의 운영 및 논의과정에서는 주로 피의자나 피고인의 인권문제에 치중되어 있었고 피해자보호에 대한 논의는 매우 부족했다. 하지만 범죄피해자에 대한 재인식의 결과 범죄피해자 보호를 위한 여러 법적 제도들이 마련되고 피해자의 형사절차상 위치도 강하되고 있다. 그러나 범죄피해자보호 및 지원을 위한 여러 가지 제도들은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피해자보호를 위하여 마련된 여러 가지 제도들도 운영과정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 있다. 따라서 범죄피해자 보호 강화를 위해 범죄피해자 보호와 관련된 국가 법체계의 전반적인 정비가 필요하고, 범죄피해자구조금 지급사유 제한을 완화하며, 범죄피해자가 청소년인 경우 피해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조사과정이 필요하다. 더불어 피해자가 형사소송절차에 참가할 수 있는 제도를 도입하고 피해자에 대한 통지를 강화 할 필요성이 있다. Criminal victims are those who provide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discovery of real truth and have a direct interest in the consequences. However, in the process of operation and discussion of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e human rights issues of the accused or the accused were mainly focused on the human rights issues, and the discussion on the protection of victims was very insufficient. However, as a result of the re-recognition of crime victims, various legal systems have been established for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and the victims position in criminal procedure is also decreasing. But various systems for protecting and supporting crime victims are still insufficient, and various systems designed to protect victims also have various problems in the operation process. Therefore,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the overall maintenance of the national legal system related to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is needed, the restriction on the reason for the payment of crime victims is eased, and the investigation proces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victims is need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a system in which victims can participate in the criminal procedure and strengthen notification of victi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