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박재삼 시조의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 연구

        손진은(Son, Jin-Eun) 한국시조학회 2016 시조학논총 Vol.44 No.-

        이 논문은 현대시조사에서 박재삼 시조의 위치와 중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쓰여졌다. 박재삼은 ‘형식미와 내용미의 행복한 일치’를 그 시조 창작의 지향점으로 삼아 시조 쓰기를 진행해 왔다. 박재삼은 이를 위해 여러 시도를 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글이 주목하는 부분이 바로 그 점이다. 이 글에서는 박재삼 시조 창작방법론의 키워드라 판단되는 이미지의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을, 한의 정서와 영원성의 결합, 양가성의 정서를 통한 초월, 병렬 형식의 은유로 이루어진 언술구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에서 드러나는 박재삼 시조 미학의 차별성의 첫 번째 특징은 한의 정서와 우주적 무한과 시간적 영원을 본질로 하는 범주인 ‘영원성’이 결합하는 양상이다. 그동안 박재삼의 시조에서 이 영원성의 문제는 간과된 측면이 있다. 이 영원성은 사랑하는 사람과의 이루지 못한 사랑의 한으로 인해 나타난다. 진정한 사랑을 위해 또 다른 세계, 즉 ‘저승’이라는 공간과의 소통을 시도하며, 슬픔에서 생산된 아름다운 가치인 ‘한’이 영원성과 결합됨으로써 자아의 정체성을 찾고 죽음에 대한 두려움을 이겨낼 수 있다. 이 영원성은 상당히 내면화되어 있으며 변신 모티브 역시 쉽게 찾을 수 없을 정도로 시의 구조 안에 내밀하게 설정되어 있다. 이런 이미지 구성방식이 그동안 논자들로 하여금 시조에서 영원성을 언급하지 못한 요인이 되었지만, 이 점이 박재삼의 시조가 한국시조에서 새로운 의미를 가지는 부분이다. 두 번째 특징은 상반되는 이미지를 병치하고 통합함으로써 초월에 이르는 의미화 방식이다. 박재삼은 어떤 정서가 단일한 이미지로 환원되는 것을 거절하는 전략을 가지고 시작에 임했다. 그의 시의 밑바탕을 이루는 한의 정서 자체가 삶의 기본적인 구조를 내포하며 인생과 자연의 온갖 바람을 담고 있는 본질적 요소이다. 이 양가적 정서는 한 시 안에서 존재해도 어긋나지 않는다. 이 의식의 근저에는 삶에 대한 너그러운 인식과 세상사에 대해 거리를 두고 관조하는 삶의 자세가 깔려 있다. 미학적 측면으로 드러나는 이런 양가적 감정은 인생관, 세계관으로까지 확산된다. 그의 시에 드러나는 정서가 복합적이라는 것이 다른 서정 시인들과의 또 하나의 차별성이다. 그 결과 이런 양가성의 인식과 종합이라는 시학을 만들어낸 것이다. 이미지 구현방식과 의미화 과정의 세 번째 특징은 언술구조가 은유구조 즉,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병렬 형태로 연결되어 시의 전개에 관여한다는 점이다. 이는 주로 「내 사랑은」이라는 시의 ‘울음’의 미학을 그려내는 이미지가 어떻게 구현되어 있으며, 그것은 어떻게 의미화에 기여하고 있는가를 고찰하는 과정에서 도출되었다. 원관념과 보조관념의 병렬형식의 이런 언술구조는 특별한 주목을 요한다. 무엇보다 직유가 사용되지 않고 예측하지 못하는 은유로 된 언술구조가 의미작용을 일으키며 시가 진행되기 때문이다. 박재삼의 토속적 서정이 체질적인 것인 동시에 그 바탕에는 민족정서와 긴밀히 결부되어 있고, 그 호흡도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전통적 호흡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에 이는 앞으로 더 깊은 고찰을 요한다. 박재삼은 현대시조사에서 순정하고 서정적인 시인으로서 한국 전통의 정서와 특징을 자신의 창작방법론에 담아냄으로써 여타 시인들과 차별화된 가치 있는 시인으로 평가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hed light on the position and the importance of sijo (Korean traditional poetic form of Three-Line Stanzas) of the Korean poet Park Jae-sam among Korean sijo writers. Even though Park Jae-sam started his career as a poet writing two sijos and a poem, he began to write more poems than sijos later on. Anyway his interest in sijo writing has continued and he has served as a judge of sijo writing contests ever since. Especially in 1985, he published a collection of sijo. And each sijo writing in this collection are composed of three-line stanzas and each stanza of three lines. And each line has a rhythmic sound with a formal word formation. This article reveals that Park Jae-sam has pursued a happy unity of form and content in his sijo writings from the collection and that he has tried his hardest to realize this goal. This article notes that for this goal he puts stress on some methods of creating poetic images and the process of creating new ideas, the unity of Koreans’s unique emotion of han(恨) and a sense of eternity, transcendence through ambivalent emotions, and the structure of statement mainly made of juxtaposed metaphors. And this articles also notes that as a most sincere lyric poet in the history of sijo he is much distinguished from other Korean poets in that he depicts mainly Koreans’s unique emotions and their characteristics.

      • KCI등재

        박재삼 문학의 자연관과 전통주의 : 춘향이 마음 (신구출판사, 1962)을 중심으로

        김윤경(Kim Yunkyung)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12

        이 글은 1950년대의 박재삼 초기시인 춘향이 마음 에 드러난 ‘전통’과 ‘자연’이라는 이질적 소재를 전후 전통론의 민족주의 담론과의 관련성 속에서 분석해보고자 한다. 서정주와 조지훈의 전통시론 계보를 잇고 있던 박재삼은 슬픔과 한을 주된 정서로 하여 춘향전과 심청전 등 전통적 서사를 활용한 시적 세계를 그려냄으로써 개성적인 정조를 주조해내었다. 박재삼이 그려내는 슬픔에는 소망의 대상과 그것을 소망하는 자와의 좁혀지지 않는 거리를 한 편의 시 속에 배치함으로써 소재나 주제가 지니는 슬픔의 동기들을 언어의 긴장 속에 용해시킨다. 이런 의미구조를 거치면서 개별체험으로부터 출발한 특정한 슬픔은 한 개인에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누구에게나 잠재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보편적 감정의 형태로까지 전이된다. 박재삼이 주목하는 것은 이런 보편적 감정의 한국적 유형인 ‘한’이라고 할 수 있다. 박재삼의 시는 서정주 이후 현대시의 서정적 전통이 단순히 소재적 차원이 아니라 본질적인 차원에서 계승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가 전통적 정서에 집착하였다는 사실은 50년대적 시대상황을 염두에 둘 때 의미를 찾을 수 있는데, 혼란의 시대, 피폐한 정신의복구를 위해 박재삼의 시는 전통주의적 맥락에서 그 나름의 중요한 위치를 확보하고 있었다. 박재삼 초기작에 나타난‘자연관’은 서정주의 경우처럼 민족주의적 원형의 상상적 세계로 회귀하지 않고, 삶과 죽음이라는 순환론적 생의 인식을보편적 삶의 차원으로 그려내고 있다. 즉 박재삼의 초기작에는 ‘춘향’과 ‘한’으로 상징되는 전통적 정서를 다루면서도 민족주의적 이념으로 수렴하지 않고 삶과 죽음의 문제, 현실적 삶의 고통과 괴로움이라는 문제를 ‘자연’이라는 순환적 세계의 영속성으로 위로하는 보편적 세계의 인식으로 이어지고 있다. 이는 1950년대의 배경에서 전후 피폐한 삶의 현실과 개인적 체험으로 겪게 되는 전후 세대의 불행과 아픔을 위로하고, 삶의 의지를 발견하게 하는 보편적 세계관의 일환인 ‘자연’을 창조하고 전후 전통담론의 계승을 모색한 박재삼의 문학적 성과라 하겠다. This study tried to reveal the traditional image and emotion embodied in the early works of Park Jae-sam, a representative poet of traditionalism in the 1950s. Park Jae-sam, who inherited the genealogy of Seo Jeong-ju and Jo Ji-hoon s traditional poetry, created a unique sense of chastity by drawing a poetic world using traditional narratives such as Chunhyangjeon and Simcheongjeon with sadness and sorrow as the main emotions. The sadness that Park Jae-sam portrays has a unique emotional system. By arranging the inexhaustible distance between the object of hope and the person who desires it in a poem, he dissolves the motives of sadness of the subject matter or subject in the tension of language. Through this semantic structure, the specific sadness that originates from individual experiences is not limited to one individual, but is transferred to the form of universal emotion that is potentially inherent in everyone. What Park Jae-sam pays attention to can be said to be ‘han’, a Korean type of universal emotion. Park Jae-sam s poems show that the lyrical tradition of modern poetry after Seo Jeong-ju has been inherited not only on the material dimension, but on the essential dimension. The fact that he was obsessed with traditional sentiments can be found when considering the circumstances of the 1950s. The ‘view of nature’ that appeared in Park Jae-sam’s early works does not return to the imaginary world of nationalistic archetypes as in the case of Seo Jeong-ju, but depicts the cyclical perception of life and death as a universal life dimension. In other words, Park Jae-sam s early works dealt with the traditional emotions symbolized by Chunhyang and Han , but did not converge to nationalist ideology, but rather the problems of life and death and the pain and suffering of real life in the cyclical world of nature . It leads to the perception of a universal world that is comforting with permanence. In the background of the 1950s, it creates nature , a part of the universal worldview that comforts the misfortunes and pains of the post-war generations, and discovers the will to live, as well as the realities of post-war life and personal experiences. It is a literary achievement of Park Jae-sam who sought succession.

      • KCI등재

        박재삼 초기시에 나타난 장소성 고찰

        김원경(Kim, wongyeong) 국어문학회 2018 국어문학 Vol.69 No.-

        시의 공간 의식에 대한 고찰은 시인의 내적 정념과 사유구조, 대상을 열린 존재로 인식하고 형상화하는 방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현상학 토대의 인본주의 지리학에서 생활세계는 ‘장소’라는 공간 범주에서 탐색된다. 즉 인간이 기억하는 장소나 경관, 지리적 명칭 등 형식적 개념을 넘어 인간 실존과 열린 존재의 인지적 사고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시인이 시적 피상물을 대상화하는 방식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으며, 본 논의는 박재삼 초기시의 장소성을 중심으로 시적 주체가 인지하고 있는 공간의 양태들과 장소정체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박재삼에게 ‘장소성’이란 정신적 원형에 가닿아 있는 근원적 기억의 장소에 가까운 것이기 때문이다. 박재삼 시에서는 각인된 추상공간이 체험공간으로 구체화되는 방식을 통해 새로운 장소성이 탄생한다. 이는 ‘산’, ‘별’, ‘바다’, ‘섬’과 같은 자연물을 사유하는 동안 시간적 거리를 압축함으로써 가능해진다. 과거의 기억과 죽음에 관한 체험들이 한 공간에서 동시에 병치됨으로써 시적 정서의 이행과 통로, 공간에서의 기억의 틈 등이 유발된다. 때문에 박재삼이 인지하는 장소는 응축된 장소이며 화자로 하여금 장소애와 장소 내상을 동시에 확보시키는 일상의 범상한 틈이라 할 수 있다. 박재삼 시에서 다수 엿보이는 물 이미지에 대한 변주 또한 현상학적 측면에서 고찰이 가능하다. 물의 공간이 고정, 정지되어 있는 것인지 흐름과 근원적 상상력을 담보하는 것인지에 따라 각각의 다른 관념화가 구상되고 있다. 즉 물의 이동과 운동성을 통해 물 시적 화자는 ‘장소감의 문턱’을 만들고 그 문턱에서 정념의 내부와 외부를 가로지르는 ‘중간의 호흡’을 발현시킨다. 판단을 유보하고 확정짓지 않음으로써 유보된 정념이라 할 수 있는 한국 서정시의 재래적 정체성을 재현시킨다. 공간의 개폐되는 양상을 통해 시적 화자가 품게 되는 슬픔의 깊이 또한 다른 모습으로 형상화된다. 타자(친구)의 이별과 춘향(공동체)의 이별을 통해 박재삼이 가공하는 슬픔의 편린들을 추적하였다. 이를 통해 박재삼 초기시가 가진 슬픔의 육화방식을 구체적으로 살펴볼 수가 있다. 전자가 ‘타자’라는 수평적 관계에서의 공간 구성이라면 후자는 수직적 관계의 공간 구성이다. 때문에 개방과 폐쇄의 장소 양식들이 시편들 속에서 구체화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박재삼 초기시가 가지고 있는 공간 전략과 장소성 고찰을 통해 그간 박재삼 시의 현상학적 연구에 보다 깊은 이해를 더할 것이다. Instead of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 poems of Park Jaesam, the research is tuned to the traditional and distinct quality of Korea’s modern poetry that converges to terms such as ‘han (deep sorrow)’ or ‘traditional lyricism.’ Even recent researches, including those on the imagery or the construction of the formal beauty, overlook the focus of post-war Korean society and the consciousness expressed by the place. As a result, there has been a lack of consideration of the place and space in which poetic emotions occur and of the poems’ consciousness that abundantly expresses the signs of Park’s existential life. The water imagery and its variations that are often present in Park’s poems can be thought of in the phenomenological aspect. The space of water is either fixed/static or guarantees flow and the fundamental imaginations. Each state leads to a different conceptualization. Hence, the persona creates ‘the threshold of the sense of place’ via the movement of water, and generates ‘the middle respiration’ which, from the threshold, crosses the both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pathos. The depth of sadness the persona holds through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pace forms itself into a different imagery. The imageries of parting from the other (friend) and that from Chunhyang (community) make a contrast which allows the shards of sadness to be traced. The pursuit, then, enables one to inspect the ways sadness takes bodily forms in Park’s early poems.

      • KCI등재후보

        박재삼의 시와 서정의 문법

        여태천(Yeo Tae Chon)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2 No.-

        이 논문은 박재삼의 시가 보여준 다양한 서정의 문법을 유비적 사유, 언어의 반복, 소통의 주체라는 형식적 특징을 통해 발견하고 그것들이 형상화하는 의미를 감정의 물질화, 삶의 리듬, 존재의 영원성이라는 측면에서 검토하였다. 첫째, 박재삼의 시에서 유비적 사유는 자연과 인간의 일체감을 보여주는 동시에 정서적 효과를 특별하게 형상화한다. 그때 일체감은 매우 명징한 이미지로 형상화되는데, 이를 감정의 물질화라고 할 수 있다. 감정의 물질화는 세계에 대한 주체의 능동적 자기화의 방식이 아니라 주체와 객체의 상호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문법이다. 둘째, 박재삼의 시에서 반복과 리듬은 시의 형식만을 구성하는 게 아니라 형식과 내용을 동시에 아우르는 것이다. 이는 그의 시가 형상화하는 삶이 결국에는 우주적 질서에 근거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박재삼의 시에서 반복은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삶의 리듬을 충실히 재현하는 방식이다. 셋째, 박재삼 시에서 주체는 고정된 의미로 존재하지 않고 항상 객체와의 관계 속에서 그 존재의 의미를 얻는다. 주체와 객체의 이분법적 구도는 사라지고 하나의 세계 안에서 우주의 생명과 개개의 생명은 총체적인 관계를 맺는다. 이러한 소통의 주체를 통해 그는 모든 존재의 영원성을 자연스럽게 형상화하였다. 주체의 분열과 세계의 해체를 공공연하게 여기는 지금 이 시대에 박재삼의 시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박재삼의 시에서 확인되는 서정의 문법은 우리로 하여금 세계를 동일한 리듬으로 인식하게 하여 모든 존재가 지니는 어떤 궁극적인 의미를 다시 묻게 한다는 점에서 한국현대시에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This essay is that the study for knowing the lyric properties indwelled in Park Jae-Sam’s poems, through looking into ⅰ)analogous thought ⅱ)reiteration ⅲ)the subject of mutual understanding. And also investigate the meanings of those from ⅰ)materialization of emotion ⅱ)rhythm of life ⅲ)eternity of existence. The first, analogous thought in Park Jae-Sam’s poems, shows harmony of man and nature. The harmony is configurated obvious image, it could be called materialization of emotion. Materialization of emotion is not make the subject to self in positive method but helps to understand each other. The second, reiteration and rhythm in Park Jae-Sam’s poems, are not formal characteristic but put together form and matter. Besides reiteration shows rhythm of our life in this world. The third, the subject in Park Jae-Sam’s poems, are not a only single meaning but are surely relate to objects. Composition of dichotomy is disappeared but man an nature get related by generally in Park Jae-Sam’s poems. Now openly everyone knows the subject is disrupted and the world is disorganized, Park Jae-Sam’s poems have important meanings in various kinds. The lyric properties indwelled in Park Jae-Sam’s poems, make us to recognize this world is not separated but a whole one which made of rhythm. And ask us the ultimate meanings of all lives. Therefore Park Jae-Sam’s poems are should be acknowledged those importance in the korean modern poetry history.

      • KCI등재

        박재삼 시의 존재론적 인식 연구 ― 후기시를 중심으로 ―

        박주택 ( Park Ju-taek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1

        박재삼은 1955년 『현대문학』으로 등단한 이래 1997년 작고하기까지 모두 15권의 시집을 출간하였다. 전통적인 서정에 뿌리를 두고 인간의 근원적인 정서인 허무와 죽음, 이별과 재생이라는 생의 방식을 노래하였다. 박재삼에서 보이는 타자는 대체로 자연이며 이 자연을 통해 주체는 자신의 존재를 인식한다. 즉 자연의 속성과 이치를 통해 ‘나’에 대한 주체의 성찰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박재삼 시의 후기시를 중심으로 자연의 본질적 속성에 주체의 시선을 일치시키고자 한 주체의 존재 인식을 살피고자 하였다. 후기시는 주체의 진술에 의지하여 타자인 자연과 동일성을 이루며 자연 자체의 본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미적 형상화 측면에서 형식의 완결성보다는 성찰적 사유와 관조의 미학 그리고 시간과의 상관성이 주조를 이룬다. 이 관점에서 주체는 밝음과 순수한 고요, 분열과 자기부정, 허무와 죽음, 부활과 영원과 같은 시적 세계를 보여준다. 박재삼의 후기시는 자연과 주체 사이의 성찰적 인식을 활성화시키는 한편 조화로운 질서를 발견하고자 하였으며 허무를 인식하지만 보다 큰 완전성으로 향하는 재생을 꿈꾸었다. 자연과 인간을 참된 것으로 인식하는 박재삼의 시는 이 점에서 무한에 이르는 긍정의 시학이라 할 수 있다. Since starting literary career at 『Contemporary Literature』 in 1955, Park Jae-sam published fifteen books of poetry until he passed away in 1997. Rooted in a traditional lyricism, Park Jae-sam wrote about fundamental emotions through the nihilism, death, separation and regeneration. In most of Park Jae-sam’s poems, the object is the nature, and through this nature the subject gains self-recognition. In other words, The subject makes self-examination through attributes and logic of the nature. This study on Park Jae-sam’s later poems deals with the self-recognition of the subject that tries to correspond its sight to intrinsic attributes of the nature. Park Jae-sam’s later poems try to grasp true essence of the nature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 nature, based on the subject’s statements. Also, themes of introspective self-reflection, aesthetics of contemplation, and relationship with time predominate over the completion of the form as aesthetic formation. In this point of view, The subject shows a poetic world that is filled with brightness, innocent silence, division, and self-denial, nihilism, death, resurrection and eternity. Park Jae-sam’s later poems facilitate reflective thoughts between nature and the subject, and attempt to find a harmonious order. Also, while recognizing nihilism, they dream of regeneration that looks forward to a greater completion. Therefore Park Jae-sam’s poem that recognizes nature and human as true is a poetry that reaches to infinity.

      • KCI등재후보

        박재삼의 시에 나타난 가난 인식 고찰

        맹문재(Maeng, Mun-jae) 한국비평문학회 2013 批評文學 Vol.- No.48

        이 논문은 박재삼의 시에 나타난 가난 인식을 그의 어머니와 아버지, 형과 두 누이동생, 아내와 아이들 등의 가족을 통해 살펴본 것이다. 가족을 사회를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전제하고 그의 가난 문제를 고찰한 것이다. 지금까지 박재삼의 시 세계에 대한 지배적인 평가는 한(恨)의 정서를 바탕으로 전통적인 서정시를 계승시켰다는 것이다. 시인이 자연과 인간 세계의 면들을 아름답고도 섬세한 시어와 운율로써 그려냈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그의 시 세계에 대한 연구는 주로 작품의 운율, 이미지, 문체, 상징, 사랑, 죽음 등에 대해서였다. 그렇지만 박재삼의 시 세계를 전통 서정시의 영역으로 국한시킨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의 시작품 전체가 아니라 부분적인 면만을 고찰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 세계에서 사회의식이 없다거나 심지어 반사회적이라고 평가한 것은 재고되어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기존의 연구들을 극복하기 위해 박재삼의 전체 작품을 대상으로 삼고, 그의 시 세계에 나타난 가난의 문제를 현실 인식 차원에서 조명했다. 박재삼의 가난 인식은 격동적인 한국의 현대사가 요구한 기준에 비추어보면 다소 약하다고 볼 수 있지만, 그 나름대로 사회 인식을 갖는 것으로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Park Jae-Sam is a well known poet, but he has lived in poverty through his lifetime. This is deeply due to the situation of his hometown, Samchoenpo, where he spent his childhood. Furthermore he has suffered from severe pains and diseases because of his high blood pressure, which made him become to have a desperate and alienated character. Being written from these painful experiences, his poems are full of sorrow and sadness towards life. Nevertheless, he tries to overcome all of these pains and sadness through his will to write poems. Park Jae-Sam is valued as a poet who succeed lyricism of Korean tradition poems. But this paper aims at the studying on social consciousness of Park, Jae―Sam’s poems. In order to this purpose, this article is concentrated on analysis of poverty consciousness resulted from the poor state of family members, including his mother and father, an older brother and two sisters, and his wife and sons as well as daughters. This article considers his whole poetic books and his whole essay books from the First Poetic Book, 「Choonhyangee’s mind」 (1962) to 15th Poetic Book 「Again to yearning」(1996) including the First Essay Book, 「Beautiful tales by sadness」(1977) to the 7th Essay Book, 「A beautiful present other name」(1994). After this last book, he passed away in 1997. In 1950s, when he started his career as a poet, this nation was desolated and disordered and poor because of the Korean War. A great number of contemporary poets wrote both lyric and modernistic poems. After the 4·19 Revolution(1960) and the 5·16 Military Coup(1961) cast the nation into confusion, a lot of poets also wrote both kind of poems. But after the 1970s and 1980s, many contemporary poets wrote poems on people and labour with the hope of achieving the political democrat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Nevertheless, this poet, Park Jae-Sam, consistently had been written lyric poems. His concern for the social circumstances is expressed with his poverty consciousness.

      • KCI등재

        박재삼 시에 나타난 유년 체험 연구― 놀이 행위를 중심으로

        송현지 ( Hyun Ji So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8

        이 글은 박재삼의 시에 나타난 화자의 유년 체험 중 놀이 행위에 주목함으로써 박재삼의 시세계를 보다 심도 있게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박재삼의 시에서 시인과 구분되지 않는 화자는 자신의 유년시절을 회상하며 이를 서술하는 작업을 꾸준히 이어간다. 특히 놀이를 통해 세상과 조우하고 세상의 이치를 체득하며 성장했던 기억은 그의 유년 체험에서 매우 비중 있게 다루어진다. 박재삼에게 있어 놀이란 단순히 동심의 세계를 대변하거나 즐거움을 주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그의 태도를 형성하고 이를 공고하게 하는 데에 기여한 행위였다. 놀이를 통해 그는 존재의 한계를 반복적으로 자각하는 한편, 자신의 인식 너머에 존재하는 세계에 대한 상상을 이어가며 현실과 구분되는 자신만의 세계를 구축한다. 놀이를 하며 겪은 이러한 경험은 유년을 통과한 후 허무적인 인식에 빠진 그에게 위안을 줄 뿐만 아니라, 그러한 무상감을 극복할 방법 또한 알려준다. 유년에 대한 회상과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서술이 그것이다. 박재삼이 허무주의로만 침잠하지 않고 타계하기 전까지 활발하게 시를 쓸 수 있었던 원동력은 바로 여기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explain the weighty meaning of Park, Jae sam``s childhood experience to provide an overview of Park`s poetry. In his poems, he continues to recollect his childhood days which are represented by two distinctive experiences. One is related to his poor family history and the other is involved in doing play activities. Although his play activities have had a major impact on Park`s inside consciousness, previous researchers have not concerned about it. Only the former experience has been focused in terms of tracing back his grief. Based on these results and the limits,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the importance of his play activities in his youth. While playing various activities, he repeatedly experienced the finite nature of human being. Not only that, those activities also intrigued him about the world beyond his understanding and encouraged him to create his own world. On the basis of those experiences, he found out the way of overcoming transitory. It is to bring back the memory of the past and describe it persistently.

      • KCI등재

        박재삼 시조시집 <내 사랑은> 연구 ―정신분석학적 치유의 관점으로

        오주리 한국시조학회 2023 시조학논총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demonstrate the curative characteristics of Park Jae-sam's sijo (時調, a traditional three-verse Korean poem), by analysing his sijo collection My love is according to psychoanalytic concept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fundamental emotions of his poetry were melancholy, love, and nihilism. His poetry collections before My love is tended to take the form of free verse at the same time to embody melancholy, love, and nihilism by adapting narratives in which women were the main characters from classical Korean literature or Korean anecdotes. On the other hand, in his sijo collection My love is, the fundamental emotions were embodied and the original essence of the lyric genre, such as the first-person confession, the creation of a new self, and the ontological love, was restored at an artistically high level.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fixed meter of sijo makes it impossible to adapt narratives, and the sijo's composition method, which pursues the unity of formal beauty and content beauty, enables an artistic sublimation through the harmony of reason and emotion. The restoration of his first-person confessional poetry, which was made possible by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sijo,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psychoanalytic method of healing, such as the creation of a new self through the writing of the Ego. 이 논문의 목적은 박재삼 시의 근본정서가 한, 사랑, 허무라는 전제 하에, 그의 시조 시집 『내 사랑은』을 정신분석학적 개념을 원용하여 분석함으로써 그 치유적 성격을 논증하는 것이다. 박재삼의 시조 시집 『내 사랑은』 이전의 시집은 자유시의 형식을 띠면서, 고전이나 일화의 여성을 주인공으로 한 서사를 차용하여 그의 시의 근본정서를 형상화하려 하였다. 반면에, 박재삼의 시조 시집 『내 사랑은』에서는 1인칭 고백체, 새로운 자아의 창조, 존재론적인 사랑 등 서정 장르의 본령의 회복되면서 예술적으로 높은 차원에서 한, 사랑, 허무가 형상화되었다. 그러한 이유는 시조의 정형률이 서사의 차용을 차단하였으며, 형식미와 내용미의 일치를 요구하는 시조의 작법이 이성과 감성의 조화를 통해 예술적 승화를 가능하게 했기 때문이다. 시조 장르적 특성이 가능하게 한 박재삼의 1인칭 고백체의 회복은 자아의 글쓰기를 통한 새로운 자아의 창조라는, 새로운 정신분석학적 치유의 방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박재삼 초기 시에서의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 연구

        류순태(Ryu, Sun-tae) 우리말글학회 2019 우리말 글 Vol.80 No.-

        이 글의 목적은 시인 박재삼(1933~1997)이 그의 초기 시에서 보여주었던 ‘슬픔’에 대한 관심을 ‘슬픔’에 대한 시인의 심미적 탐색 활동으로 바라보고 그 방법적 특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박재삼은 야나기 무네요시가 말한 ‘비애미’에 대한 공감을 바탕으로 그의 시에 ‘가장 슬픈 것’을 ‘가장 아름다운 것’으로 담아내려고 하였다. 그런데 시인의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은 방법적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단계들을 통해 이루어졌다. 첫째, ‘한’으로 대표되는 ‘한국적 슬픔’을 심미적 차원에서 관조하는 단계이다. 둘째, ‘슬픔’이 지닌 진실성을 심미적 차원에서 자각하고 그것을 구현해내는 단계이다. 셋째, ‘슬픔’의 본질을 심미적 차원에서 생의 원동력으로 재정립해 내는 단계이다. 박재삼은 이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슬픔’을 심미적 차원에서 탐색함으로써 ‘슬픔’이 ‘아름다움’으로 존재할 수 있는 다양한 가능성들뿐만 아니라 근대적 세계에서도 존재해야만 하는 이유를 분명하게 제시하여 주었다. 그 결과, 박재삼의 초기 시에서 이루어진 ‘슬픔’에 대한 심미적 탐색은 독특한 ‘슬픔 시학’으로서 한국현대시문학사에서 중요한 한 자리를 차지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method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rk Jae-sam’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in his early poems. Based on his sympathy for ‘beauty of sorrow’ mentioned by Yanagi Muneyoshi(柳宗悅, 1889~1961), Park Jae-sam tried to capture ‘the saddest thing’ as ‘the most beautiful thing’ in his early poems. By the way, hi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was made through the following steps in the methodological level. First, it is a stage to contemplate ‘Korean sorrow’ represented by ‘Han’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Second, it is the step of realizing and capturing the embodied aspect of ‘sorrow’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accompanied by the truth. Third, it is a step to redefine the essence of ‘sorrow’ as the driving force of life in line with pursuing the most beautiful thing. Through these steps, Park Jae-sam clearly presented both various possibilities that ‘sorrow’ can exist as a beauty and the reason why it should exist in the modern world. As a result, Park Jae-sam’s aesthetic exploration of ‘sorrow’ in his early poems was able to take a important place as a unique poetics for sorrow in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