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민화에나타난캐릭터와 색채상징에 관한 연구

        이정재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05 조형미디어학 Vol.8 No.2

        이 연구는 조선시대의 민화를 중심으로 한다. 민화는 우리 민족의 정신과 미학이 반영된 귀한 유산이다. 따라서 이민화에 나타나는 정신성과 그 미학적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어떻게 익명의 민화 화가들이 민화 속에 우리 민족의 정신성을 투영했으며 민화가 어떻게 민중의 삶 속에서 함께 했고, 그 영향은 무엇이었는지를 보고자 한다. 민화에 나타나는 상징성을 자연주의적, 도교적, 불교적, 유교적, 장식성으로 분류하였고, 민화의 특성을 살펴보았다. 특히 색채를 중심으로 민화의 캐릭터에 나타난 특성의 문제를 정리하고 민화의 현대화를 모색을 하고자 한다. This has been studied centering around the folk paintings(Minwha) of Joseon Dynasty. Minwha is the very important property that has been reflected the spirit and aesthetic of Korean nationality. I like to say that how to Minwha artists had reflected the spirituality of our nationality into their Minwha and how to Minwha had been joined in the life of people and what is the influence to modern Minwha. I divided the symbolic representation of Minwha with nationalism, Tao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ornamental matter in the life of the people. and I tried to find the specific matters of Minwha. Especially, I like to find the way how can I arrange the specific matter which appeared in Minwha such as colors and how can I modernize Minwha.

      • KCI등재후보

        민화(民畵)의 만화(漫畵)적 요소 연구

        이순구(Yi Soon-Gu)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09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15

        민화(民畵)에 대한 논의는 지금까지 여러 방향으로 지속되어왔다. 회화 작가들에 의해 응용되며, 또한 디자인의 기본자료로 활용되기도 한다. 이는 대부분 ‘한국의 미’라는 관점에서 용인되어 시도되는 것들이다. 그만큼 민화는 한국의 대중적인 회화를 상징하고 잊혔던 정신의 한 면으로 통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많은 활용에도 불구하고 민화의 뚜렷한 독창성에 비해 명맥만 유지하는 현상이다. 만화의 특성과 많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과감한 만화의 시도는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과장과 생략, 풍자와 시사성, 대중적인 그림화법, 희화적 요소, 이상향의 세계표현, 작가마다의 다른 이해에 의한 화법 등 민화의 특징에서 독창적인 그림을 분류하고 연구하여 만화적인 화법에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민화의 유형은 대부분 그림 내용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이 민화 속에 만화적인 요소를 찾아내는 것이므로 동물, 식물, 인물, 곤충, 어류, 조류, 자연현상 등 그린 대상으로 크게 묶어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류는 대상의 캐릭터화에 대한 접근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며 적극적인 접근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The discussion on folk painting (minwha) has been continued till recent in various ways. MinWha is applied by painting artists and also utilized as a basic material of design. These are the attempts approved by the viewpoint of the 'Korean beauty'. In saying so, minwha symbolizes for typical types of Korean painting, and is articulated as an aspect of forgotten spirit. However, despite the fact of Minwha's frequent application, and its evident originality, it remains only the thread of the existence. Although minwha has a lot of commonalities and similarit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cartooning, a decisive attempt of cartooning is hardly shown through. Therefore, this paper is aim to classify creative paintings b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inwha, such as exaggeration and abridgment, sarcasm and current affair aspect, common technique of art drawing, caricatured element, expression of an ideal world, various techniques from artist's different comprehension, etcetera and to make opportunity to constructively apply these features in cartoons. The types of minwha are mostly classified by the contents of the painting. However, sinc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find caricatured aspects in minwha, it will be largely classified by the elements of animal, plant, human, insect species, finny tribe, feathered tribe, and nature phenomenon. This classification takes advantage of accessibility to understand the characterization of the object, and leads to take a positive approach.

      • KCI등재

        고선웅 창극의 민화적 요소 연구 - <변강쇠 점찍고 옹녀>와 <흥보씨>를 중심으로 -

        곽병창 ( Gwak Byeong-chang ) 판소리학회 2020 판소리연구 Vol.50 No.-

        고선웅이 그 동안 발표한 창극 두 편은 모두 공연계에 적지 않은 충격과 자극을 남겼다. 두 작품은 모두 고전 판소리를 재해석하여 스스로 극본을 쓰고 연출한 것이다. 그의 작품들은 원작의 줄거리와 인물, 사건 등을 독창적으로 비틀어서 그 나름의 세계관과 미학적 관점을 드러내고 있다. 특히 두 편의 창극은 조선 후기 왕성하게 창작, 유통되었던 민화의 여러 요소들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후기의 민화는 새로 등장한 대중적 수용자 층의 욕구를 잘 반영하고 있다. 그런 점에서 민화에 대한 대중적 수요가 커져가던 조선 후기와 창극관객들의 구성과 취향 변화가 일어난 2000년대는 서로 일맥상통한다. 이 글에서는 고선웅의 창극 두 편에 담긴 민화적 요소들을 찾아보고 작가이자 연출가인 그가 추구하고 있는 연극적 지향점과 연출적 의장(意匠)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의 작품에 새로 등장하는 인물(주인공)들은 민화에서와 마찬가지로 인정욕망과 영생에의 욕망을 동시에 지닌 존재들이라 파악하였다. 인정욕망은 주로 ‘장자 노릇(흥보)’과 ‘아내 노릇(옹녀)’에의 강박관념으로 드러난다. 2. 플롯 상으로는 두 작품 모두에서 시공간을 의도적으로 역전, 병치하거나 재배치함으로써 객관적 질서를 교란하는 민화적 기법을 엿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가 즐겨 사용하는 무대화 기법은 사각프레임을 활용한 역원근법, 불필요한 사실적 디테일의 생략, 상징적 이미지의 활용 등 민화적 기법이 즐겨 쓰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판소리의 ‘성음 놀음’과 견주어 이를 창극의 ‘시점 놀음’이라 불러도 좋을 것이다. 3. 인물, 플롯, 시청각 요소들에서의 이와 같은 요소들은 민화에 담긴 고전적이고 복합적인 가치관을 드러내는 데 유효한 장치들이다. 그가 두 편의 창극에서 활용하고 있는 연극적 의장(device)들은, 선악, 시비의 엄정한 분별보다는, 사랑과 평화를 강조하고 과도한 욕망을 절제하여 마음을 비워내는 것이 행복에의 지름길이라는 민화적 주제의식을 드러내는 데 적절하게 쓰이고 있다. Go seon-woong’s Changgeuk(Korean Traditional Opera), 「Madame Ong」(Nat’l Changgeuk Company, premere 2014, 2015~2019 performed annually) and 「Mr. Heungbo」(Nat’l Changgeuk Company, 2017, 2018) remained shock and stimulus in the field of performing arts. Both plays are a kind of parody based on the classic pansori, and reveal the author/director’s unique vision and aesthetic creativity. These works included several elements of ‘Minwha’ (people’s painting) that were vividly created and consumed in the late Cho-seon dynasty. Minhwa reflected the desires of the newly emerged class. The late Cho-seon era has connections to the post- millenium era; after 2000, there is significant change in the components and tastes of a Changgeuk spectator. The main texts of this study are playscript 「Madame Ong」(Yedang version, 2018) and 「Mr. Heungbo」(Myeongdong theater version, 2018) This article tried to scrutinize several elements of Minhwa in two works, and analyzed author’s theatrical vision and directorial devi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Newly shaped characters in the two works desire recognition and immortality. Desire for recognition is expressed as Heungbo’s ‘first son complex’ in 「Mr Heungbo」, and Madame Ong’s ‘ordinary wife complex’ in 「Madame Ong」. 2. In the plot of the two plays, we can find some techniques of Minhwa, such as reversion and juxtaposition. These techniques destroy the objective order of time and space. With his favorite mis-en-scene and character blocking, symbolic images on screen, contra-perspective, and rectangular framing, both works successfully show features of Minhwa. This can be called ‘sijeom-noreum’ (view point game). 3. There is coexistence of classical confucianism and secularism in Minhwa. Go seon-woong’s devices, such as twisted characters, reversed plot, and various audio-visual elements, are well utilized in both works to express Minhwa‘s ambiguous ideas.

      • KCI등재

        민예론에 나타난 일본 근대미술인식의 가치 전도

        김백균(Kim Baik-Gyun) 동서미술문화학회 2020 미술문화연구 Vol.17 No.17

        민화에 대한 보편적 이해는 민족 전통적 방식에 의해 제작된 대중적이고 실용적인 그림이다. 역설적인 것은 ‘실용적’ 목적의 민화를 다루는 대다수 연구자들의 주된 관심이 대부분 심미적 가치나 예술적 의미, 또는 문화사적 의의를 소명하는데 있다는 사실이다. 다시 말하면 실용적인 대상을 비실용의 관점에서 바라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태도는 민화가 조선 후기에 갑자기 나타난 근대의 산물이기 보다는 고구려에서 조선까지 면면히 이어져온 조형과 상징의 보고라고 여기는 관점으로 이어져, 민화에 담긴 전통을 배운다면 한국 미술이 나아갈 방향성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으로까지 나아간다. 민화라는 용어는 야나기 무네요시가 처음 사용하였다. 그는 주체가 드러나지 않는 민간의 공예를 예술 형식의 완성으로 이해했다. 본문은 순수하게 미적 이상만을 추구하고자했던 그의 민예론이 사실은 근대민족 국가 이상과 관련되어 어떻게 정치적 의미를 지니는지 추적하고 그와 관련된 한국에서의 민화 담론이 어떻게 의도와 다른 왜곡된 결과를 낳을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일본을 통해 도입된 근대 초기 한국의 미술 인식을 반성해 보고자 한다.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folk painting is the popular and practical painting, with ethnic themes and traditional techniques. However, the main concerns of most art theorists in writing about folk painting paradoxically focus on aesthetic values, artistic meanings, or cultural significances rather than about the utility of the painting. That is to say that the practical objects are reduced to very impractical aesthetic objects. This way of understanding the painting go forward to repository for images and symbols from Kogurye to Chosun, unceasingly rather than made an abrupt appearance on outcome of late Chosun. The theorists even insist, if we discover the artistic value in the tradition of the painting, we can find a better path for artistic development in Korea. This theoretical ground first comes from a Japanese theorist, Yanagi Muneyoshi. He grasps craft, especially folk craft made by nameless craftsmen, as the perfect form of art. In the paper, I will track Yanagi’s argument on the folk art, pursing his purely artistic ideal down to how his craft theory reflects the political significations of the ideals of the modern Japanese nation state. Afterwards I will consider how fork painting in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his theory. In the end, I will revisit the conceptualization of early modern Korean Art via Japan, and examine closely the essence and the significance of ar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조선시대 민화의 상징성에 관한연구-화조화를 중심으로-

        정연주 한국화예디자인학회 2018 한국화예디자인학 연구 Vol.38 No.-

        Today, flowers and plants are closely related to everybody life as mediators of emotional expression and communication of people’s happiness. Especially, as the life is getting richer and the demand for leisure and hobby has increased, interest has also increased and it has developed into a professional field. However, since the creation activities for flower intermediate flowers is too focused on Western flower design, Korean traditional flower is lacking in our traditional and national background, so, through this research, we will learn about Minwha most closely related to traditional emotion of our nation, I will especially focus on paintings and birds which contain many flower paintings. The reason for this is that because the painting is a flow of our cultural genes. I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our mind can see the living artistic value. I believ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further expend of our flower culture by studying aesthetic characteristics such as intrinsic superior symbolism, Unstructured form of time and space, natural harmony bases on painting birds and flowers. 오늘날 꽃과 식물은 사람들의 희노애락 감정표현과 소통의 매개체로일상생활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특히 생활이 윤택해지고 여가와취미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관심도 높아지고 전문적인 분야로 까지발달하게 되었다. 그러나 화훼를 매개로 한 화예 창작활동이 서양플라워디자인에 너무편중되어 한국적 화예는 우리의 전통과 민족의 바탕이 부족하기 때문에본문에서는 우리민족의 전통적인 정서와 가장 밀접한 민화에 대해 알아볼 것이며 특히 꽃그림이 많은 화조화를 중점으로 살펴볼 것이다. 그 이유는 화조화는 우리의 문화유전자가 흐르는 그림이기 때문에 우리의 정신이 살아있는 예술적 가치를 살펴 볼 수 있겠다는 판단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화조화 속에 내재된 우의의 상징성, 시.공간 초월의 무형식 조형, 자연과의 합일 등 미학적 특징을 살핌으로서 이것을 바탕으로우리의 화예문화를 더욱더 확장시켜 나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본다.

      • KCI등재

        효제문자도의 유래와 조형 분석

        한지연,김경선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2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22 No.67

        의례(義禮)는 오늘날 우리의 일상에서 만나볼 수 있는 크고 작은 경조사를 가리킨다. 이 의례의 저변 에는 다양한 종교적 배경이 복합적으로 교차한 우리 정신 문화의 역사가 담겨 있다. 민화는 우리 전통문 화가 일러스트레이션의 범주에서 현대적으로 발현될 수 있는 지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정신문화적 배경을 분석하고, 오늘날 한국의 의례 문화에서 그 명맥을 찾아볼 수 있는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를 분 석하였다. 문자도(文子道)는 동양의 한자문화권에서 찾아볼 수 있는 그림으로 서예의 글씨를 기반으로 시대와 환 경에 따라 다양한 소재의 그림이 가미되어 전승해 왔 다. 효제문자도(孝悌文字圖)의 경우 효(孝), 제(悌), 충(忠), 신(信), 예(禮), 의(義), 염(廉), 치(恥) 등 여덟 글자를 활용하여 삼강오륜과 관련된 주제의식을 담고 있는데, 이는 한국의 기복(祈福)적 민간신앙 위 에 유교적 정신문화가 발현된 결과물이다. 이러한 효제문자도를 조형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18~20세기 조선시대의 시대별 특징에 따른 분류를 통한 대표적인 효제문제도 유물을 선정하고 소재와 조형의 범주에서 분석했다. 소재 분석에서는 효제문 자도의 여덟 가지 문자 속에 담긴 고사와 내용, 상징 및 의미를 분석했다. 조형 분석에서는 다시 문자, 표 현 방식, 색상 등 세 가지 차원으로 나누어 선정된 유물을 분석했다. 그 결과 효제문자도는 한자가 갖는 표의성(表意性) 으로부터 출발하는 독특한 형식의 그림으로서 그 조 형적 개성을 갖추고 있다. 현대의 시각 예술적 관점 에서 문자도는 동양의 서예에서 출발하여 정보전달의 목적을 가진 일러스트레이션이 결합되는 융합적인 특 색을 보인다. 이를 통해 현대인들에게 전통적인 문자 도의 맥을 잇고, 새로운 양식으로 변화된 문화유산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안할 수 있다. Rituals refer to big and small events that can be seen in our daily lives today. The base of this ritual contains the history of our spiritual culture, in which various religious backgrounds intersect. Minwha is a point where Korean traditional culture can be modernized in the category of illustration.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psycholog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Hyoje Munjado, which can be found in the modern Korean ritual culture. Munjado is a painting found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of the East, and it has been handed down with paintings of various materials depending on the era and environment based on calligraphy. In the case of Hyoje Munjado, it uses eight characters, Hyoje, Je, Chung, Sin, Ye, Ui, Yeom, and Chi, which is the result of the expression of Confucian spiritual culture on top of Korean folk beliefs. In order to analyze the Hyoje Munjado, relics of representative Hyoje Munjado were selected through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ra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8th and 20th centuries and analyzed in the category of materials and shapes. The material analysis analyzed the contents, symbols, and meanings of the eight characters of the Hyoje Munjado. In the formative analysis, the selected artifacts were divided into three dimensions: text, expression, and color. As a result, Hyoje Munjado is a unique form of painting that starts from the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s, and has its formative personality. From a contemporary visual and artistic perspective, text maps exhibit a fusion characteristic that begins with Eastern calligraphy and combines illustrations with information transfer purposes. This allows modern people to inherit the traditional context of writing and to propose new possibilities for cultural heritage that have been changed into a new style.

      • KCI등재

        책거리 그림과 器物 硏究

        신미란 한국미술사학회 2010 美術史學硏究 Vol.268 No.268

        Chaekgeori paintings make up a major decorative painting genre of the late Joseon period which originated in China and came to be widely popular both in the royal palace and among ordinary people. The surviving examples of these still-life paintings having books and stationery as main subjects by chabidaeryeong hwawon who were the best painters of their time, temporarily recruited for royal court assignments in the late Joseon period, such as Jang Han-jong (1768-1815), and Yi Hyeong-rok (1808-?), indicate that the genre was practiced after the late eighteenth century, by court painters. Aside from books, objects frequently featured in chaekgeori paintings included ceramics and antique brassware and stationery; in sum, articles found in a tastefullydecorated gentleman’s study. Works by Jang Han-jong and Yi Hyeong-rok show a great deal of similarities in terms of items featured and meticulous pictorial techniques used to render them. This suggests that the genre was perfected by court painters of the late eighteenth century, and court painters of subsequent generations followed the standards set by the former. Meanwhile, chaekgeori paintings found in Unhyeongung and Changdeokgung Palaces hardly differ from works by the two late-eighteenth-century painters mentioned above, both in terms of items shown and pictorial techniques used, indicating that the latter’s influence extended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In the late Joseon era, with the emergence of a new class of wealthy people, as cultural commodities came within the reach of broader population, the demand for chaekgeori paintings grew as well. Chaekgeori themes were treated in folk paintings in a manner quite distinct from their precedents produced by court painters, in many aspects. The bookshelves, rendered irregularly or unevenly, conveyed a liberal impression, and the height of the painting was reduced, resulting in the disappearance of the bookcase and showing only books and stationery items, gathered together at the center. The types of objects featured changed as well, with practical everyday articles replacing refined articles like antiques exhibiting a discerning taste or books and paintings that project a scholarly atmosphere. Less and less room was devoted to books and stationery in favor of luxury articles such as tobacco pipes, hats and timepieces, catering to the taste of the new generation of buyers of chaekgeori paintings, desirous of showing off their wealth. The pictorial techniques were also less formalized or stylized than those of court painters,showing a greater degree of individuality and originality. This paper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ekgeori genre, a new style of painting introduced in the late Joseon period, discussing how works of this genre varied in style depending on the social demand and how techniques changed over time. The paper also looks at imported craft items and commodities of the late Joseon and modern eras such as timepieces, cigarettes, reading glasses, and kerosene lamps that are represented in surviving chaekgeori paintings. Chaekgeori paintings examined in this paper are significant insofar as this genre reveals in telling detail the complex cultural phenomenon in the late Joseon period, in which the so-called minhwa (folk painting) genre, after originating in the royal court, gained currency outside its walls to become part of the popular culture enjoyed by ordinary people. 책거리 그림은 중국에서 연원하여 우리나라로 들어온 후 궁중에서부터 민가에 이르기까지 크게 유행한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장식화이다. 조선 후기 최고 화원 화가들의 시험제도인 差備待令畵員의 祿取才와 張漢宗(1768-1815)·李亨祿(1808-?)과 같은 화원의 現傳하는 그림을 통해 책거리 그림이 18세기 후반부터 화원들에 의해 그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원 제작 책거리 그림의 기물로는 책을 비롯하여 자기와 고동기, 문방류 등 文房淸玩의 고상한 취미를 반영하는 것들이 주를 이룬다. 장한종과 이형록의 그림을 비교해보면 기물의 종류나 표현 방식에서많은 공통점을 보인다. 이를 통해 18세기 후반에 활동한 화원들이 책거리 그림의 정형화된 양식을 완성하였고, 이후 화원들은 이것을 모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운현궁과 창덕궁에서 사용된 책거리 그림들도 기물의 종류와 표현 양식면에서 두 화원의 그림과 큰 차이가 없어 이러한 양식은 20세기 초반에 이르기까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조선 후기 신흥부호 세력의 성장과 문화 확산의 바람을 타고 책거리 그림의 수요자층도 확대되었다. 민화의 책거리 그림은 화원 제작 책거리 그림의 전형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변화를 보인다. 책가를불규칙적으로 구성하여 자유분방한 느낌을 주는가하면, 畵高가 낮아짐에 따라 책가가 사라지고 기물들만 가운데 集積되어 있기도 한다. 기물의 종류도 서화골동품의 감식안을 과시하고 면학적 분위기를 강조하던 것에서 벗어나 소비적, 실용적 성향을 보이는 것들로 채워진다. 책과 문방류의 비중은 줄어들고 담뱃대, 모자, 시계 등 실용적인 사치품이 대거 등장하여 경제력을 과시 하고자하는 책거리 그림의 새로운 수요자의 취향을 보여준다. 그리고 표현 방법에 있어서도 화원 제작 책거리 그림과 달리 그림마다 개성있는 표현을 취하였다. 이 논문은 책거리 그림을 통하여 조선 후기 새로운 회화 양식의 유입과 사용계층에 따른 취향의 다양성과 표현 방법의 변화 등을 고찰하였다. 뿐만 아니라 조선 후기 수입된 공예품과 시계·담배·안경·石油燈등 새로이 전해진 근대적인 기물들도 살펴보았다. 이 논문에서 살펴본 책거리 그림의 변화는 소위 민화라고 하는 종류의 그림이 궁중에서 시작되어 민간으로 전파되어가는 과정과 조선 후기 복잡하고 다양한 문화의 일면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