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랑타령> 考

        이도현 한국국악학회 2023 한국음악연구 Vol.74 No.-

        본고는 함경도 민요 신민요로 알려진 <어랑타령>을 살펴보고, 그 지역적, 갈래적 정체성에 대해 분석재검토하는 글이다. 알려진 것처럼 <어랑타령>은 20세기 개항 및 철도 건설과 함께 급속도로 발전하였던동해안 지역 근대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음악이다. 이 시기 <어랑타령>의 대중적인 전파가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함경도민요 신민요라는 인식이 형성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현재 확인 가능한 민요자료를 종합하여 볼 때 함경도에서의 <어랑타령> 분포양상이 강원도에인접한 남쪽으로 한정된 채 상대적으로 소략한 반면, 황해도와 강원도에서 유의미한 분포 및 연행양상을보여 ‘함경도민요’라는 기존 인식을 의심케 하는 지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여타 신민요의 향토민요로의수용양상과는 달리 그 시간적 축적이 이루어진 흔적을 통해, ‘신민요’라는 기존의 갈래 인식에 대한 재고의여지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어랑타령>의 노랫말과 음악 분석을 통해 그 지역 갈래적 정체성을 규명하였다. 먼저 <어랑타령>의 노랫말으로 유독 황해도 선소리 계통인 <난봉가>류, <도라지타령>류 민요의 노랫말을 가져와부르는 특징적인 양상을 발견됨을 보았다. 그리고 <어랑타령>에 보이는 선소리패 계열 음악의 특징인 리듬형의 일시적 변화, 내드름의 출현과 함께 메나리토리 전형과 구별되는 음역 및 선율상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진도 고흥에서 전하는 사당패소리 <사랑타령(사랑가)>를 분석 비교하여 <어랑타령>의고형 또는 변형임을 밝혔다. 분석을 종합하면 <어랑타령>은 황해도 사당패소리에서 기원한 선소리 계통음악이라 할 수 있겠다. 황해도 선소리 <어랑타령>으로의 수정을 통해 앞서 보았던 몇 가지 의문점을 해석할 수 있게 되었다. <어랑타령>이 활발하게 보고되는 지역은 황해도 사당패의 주요 활동공간과 일치하며, 여러 현지자료에새겨진 향토민요로의 수용에 따른 시간적 축적의 흔적은 근대 이전 사당패소리로의 전파양상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20세기 예인들은 당대의 변화하는 시대상과 도시민의 정취를 반영한 노래를 생성하였으며, 특히 동해안에 인접한 근대 도시를 배경으로 하는 노래로서 <어랑타령>이 채택되었다. 황해도 선소리패는 기존 자신들의 연주곡목이었던 사당패소리 <어랑타령>을 토대로 근대적, 도시적 주제를 노랫말을 붙여 불렀을 것이고, <신고산타령>이라는 제목과 함께 ‘함경도민요’, ‘신민요’라는 인식은 이러한 맥락 위에서 형성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본고의 고찰에 근거하여 <어랑타령>은 황해도 선소리의 범주에서 이해하는 것이 적절하다고하겠다.

      • KCI등재

        향토민요 <길군악> 연구 -전라도와 경상도 일부지역에서 전승된 소리를 중심으로-

        손인애 한국국악학회 2007 한국음악연구 Vol.42 No.-

        전라도를 중심으로 경상도 일부 지역에서 전승된 향토민요 <길군악>은 지금까지 주요 지역 분포로 인해 해당 지역의 전래 향토민요로 인식되어왔다. 그러나 본고는 여느 해당지역 향토민요와는 다른 특 징을 통해 기존 설에 강한 의구심을 갖고, <길군악>의 특징을 면밀히 살펴 그 유래를 재검토해 보았다. 향토민요 <길군악>은 곡조 및 사설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이 된다. 이들은 비록 그 특징이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서로 공통되는 특징이 많은 사실이 확인된다. 먼저 사설부터 살펴보면, 후렴구는 대부분 신명이 반영된 구음과 ‘얼씨구나’, 또는 ‘지화자 좋다’를 골조로 한다. 독창은 대부분 풍장소리로 불렸음에도 불구하고, 풍농의 기원 또는 농사의 수고보다는 사랑, 임에 대한 유희적 사설이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면 모두 3소박 3박자의 세마치장단에 경토리 계통으로 되어있고, 밝고 경쾌한 리듬이 많이 나타난다. 즉 이들은 모두 경기음악어법이 주를 이루며, 소위 경쾌 한 입창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요컨대 향토민요 <길군악>은 여느 풍장소리와 달리 농사보다는 사랑 및 임에 대한 유희적 사설이 더 많이 나타나는 점, 후렴구 사설이 현행 입창 <놀량>의 일부사설과 상당히 흡사한 점, 사당패소리의 대표 사설이 나타나는 점(제2형․제3형), 경기 음악어법으로 이루어진 점, 그리고 향토민요에 수용된 사 당패소리들처럼 산재된 지역 분포 양상, 사당패소리가 집중적으로 발견되는 지역에 주로 분포된 점, <길군악>이 본래 향토민요로 발생되지 않은 점, 제주도 사당패 <길군악>과 음악 특징이 흡사한 점 등을 근거로 볼 때, 해당지역의 고유 민요라기보다는 과거 사당패소리였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따라서 향토민요 <길군악>은 과거 사당패가 전파시킨 소리로 판단되며, 여느 사당패소리들처럼 전 국에 거쳐 전파되었겠지만, 전라도와 경상도일부지역에서는 지역 문화의 특수성에 힘입어 기층음악문 화로 깊이 수용되어 근자에까지 잘 전승된 것이라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소리는 사설 및 음악 특징 을 볼 때 사당패소리 중에서 길소리에 해당했던 것으로 보인다. The traditional local folk song Gilgunak, which is discovered mainly in some parts of the Jeonra and Gyeungsang provinces, have thus far been perceived as a traditional local folk song because of its regional distribution. The author noticed that Gilgunak featured the typical musical language of Gyeonggi province and had scattered regional distribution in contrast with that of the typical songs of the working class, thereby raising doubts about the existing hypothesis and re-examined the true genesis of this piece. This song has three distinct versions, based on the melody and text. Even though they have some differing characteristics, they also share the following features: the common refrains, lyrical theme, as well as the time, rhythm and mode of the music. In all three versions, there are common refrains which employ oral sounds such as Eulssigu or Chihwaja (how joyful!). The content of the text usually deals not with the prayer for a good harvest and efforts of labor like the typical folk marching songs, but with love or vulgar immoral talk regarding a lover. The folk marching songs used to be sung by the farmers marching along the road after finishing their work. Also the time and rhythm of these songs consist of three beats and semachi jangdan. The tori, a mode commonly used in folk songs, is composed of Gyeongtori, much like the typical Gyeonggi standing songs for entertainment, a lively and moderately fast tempo is very notable in these songs. They all belong to the Gyeonggi musical style, even though they are distributed in some parts of the Jeonra and Gyeungsang provinces. In this research, given the love centered theme and the playful text as opposed to the typical folk marching songs; the similar refrains to some of the present Gyeonggi standing songs; musical idiom featuring the musical langage of Gyeonggi Province; its scattered regional distribution; its associations with the Sadangpae (the typical performing troupes) songs; the conditions that point away from the Gilgunak’s folk song origins, and the similar musical characteristics to Sadangpae’s Gilgunak found in Jeju Island, we verify that the local folk song Gilgunak was transmitted from Sadangpae’s Gilgunak, a highly popular piece by this group, into a folk song.

      • KCI등재

        제주민요의 문화적 소통 실태와 과제

        양영자 한국민요학회 2011 한국민요학 Vol.31 No.-

        Since folk songs are sociocultural products, we can view those songs from the standpoint of cultural communication. Whereas Jeju folk songs were sung in sunuleum, a kind of work of cooperation, community, they are nowadays being communicated with the public through various performances and festivals. This paper aims to discover how Jeju folk songs are being culturally communicated and handed down in Jeju by looking at the current status of the Jeju folk songs. For meaningful communication of Jeju folk songs, it also seeks to find out how to solve the problems which are being made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is paper focuses on some features that have markedly demonstrated the status of cultural communication:the activities of minyopae, the groups of folk songs, those of Folklore Preservation Society, those of the education of the transmission of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the folk contests like Tamna Culture Festival, a variety of festivals, the performances of a lot of performing art troupes, Sound Pangut (Musical nodongyo, song of work) as a cultural movement, and the productions of the records. In addition, this paper points out that some problems of these activities. People have been trying the transmission and preservation of folk songs and the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However, it has caused the contamination of traditional folk songs and a loss of identity owing to the way of communication that mainly centers on performances and the stage.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Jeju folk songs should be not one-time ‘watch and enjoy’ ones but ‘sing along’ ones in everyday lives for the meaningful and regional communication. To do so, cultural communication is needed for more systematic and desirable ways. 민요는 사회사적 생산물이므로 문화적 의사소통의 한 차원으로 바라볼 수 있다. 과거에는 노동 현장인 수눌음 공동체 속에서 제주민요가 소통해 왔다면, 오늘날에는 각종 공연과 축제를 통해 대중과 소통하고 있다. 이 논문은 제주민요가 제주사회에서 어떻게 문화적으로 소통하면서 전승되고 있는지 현재의 소통 실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소통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고 의미 있는 소통으로 만들어 가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제주 민요의 문화적 소통실태를 현저히 보여주는 것으로 민요패나 민속보존회 활동, 무형문화재 전수교육 활동, <탐라문화제>를 비롯한 민속경연대회, 각종 축제행사, 여러 예술단의 공연 활동, 문화운동으로서 ‘소리판굿’, 음반제작 활동 등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아울러 이들 활동들이 민요의 전승과 보전, 대중과의 소통을 위해 애쓰고 있지만 공연 일변도의 대중 소통과 무대화로 인해 전통 민요의 오염과 정체성 상실을 초래하게 된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제주민요의 의미 있는 지역적 소통을 위해서는 일회성으로 ‘보고 즐기는’ 민요가 아니라 일상생활에서 ‘함께 부르는’ 민요의 생태적 성격을 살려 나갈 수 있도록 좀 더 체계적이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문화적 소통이 실현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 KCI등재

        대한제국시대 통속민요 생성에 대한 연구

        이보형 한국음악사학회 2010 한국음악사학보 Vol.45 No.-

        This paper researches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called t'ongsok minyo 通俗民謠 in the context of the birth of popular culture and the transformation into an industrial society since the late Chosŏn dynasty. It is presumed that the formation of popular folksong (t'ongsok minyo) increased since the period of Great Korean Empire (1897-1910), however, with scant documents left to prove this hypothesis. For instance, the examples of t'ongsok minyo can be found only in the collection of lyrics called Singu chapgajip 『新舊雜歌集』(Collection of Old and New Songs). Based on this book, it is plausible to assume that they were formed during the Great Korean Empire. In this paper, I examined the origins and the performing groups of t'ongsok minyo and the changes of t'ongsok minyo culture when the performing groups and the functions of music underwent tremendous transformations. I illustrated that the changes in the function of music revealed variations according to the origins of t'ongsok minyo. Firstly, t'ongsok minyo such as Ch‘angbu t’aryŏng 창부타령, Norae karak 노래가락, Paettaragi 배따라기, Sanyŏmbul 산염불, Sŏngju p'uri 성주푸리, Sŏuje sori 서우제소리 were originated from shaman's songs which were performed by shamans in rituals and were gradually developed into the form of popular entertainment. Secondly, t'ongsok minyo such as Arirang 아리랑, Kinari 긴아리, Nongbuga 농부가, Panga t'aryŏng 방아타령, Yukchabaegi 육자배기, Pet'ŭlga 베틀가, Mulle t'aryŏng 물레타령, Paennorae 뱃노래 were originated from work songs of worker groups and transformed into popular entertainment. Finally, t'ongsok minyo such as Kil Kunak 길군악, Odol ttogi 오돌또기, Kalkka poda 갈까보다, Panga t'aryŏng 방아타령, Kyŏnggi Kaeguri taryŏng 경기개구리타령, Paekkot t'aryŏng 배꽃타령, Maehwa t'aryŏng 매화태령, Yukcha paegi 육자백이, Namdo Hŭngt'aryŏng 남도흥타령, Namdo kaeguri t'aryŏng 남도개구리타령 were originated from play songs of playing groups such as Norip‘ae 놀이패 and were transformed to popular entertainment. Moreover, I found that performing groups arranged t'ongsok minyo such as Kin Arirang 긴아리랑, Kinari 긴아리, Panga t'aryŏng 방아타령, Susimga 수심가 and created new kinds of t'ongsok minyo; therefore the performing groups immensely contributed to the creation of t'ongsok minyo genre as popular entertainment. In this regard, various kinds of songs originally performed by different performing groups for specific functions were secularized and popular folksongs called as t'ongsok minyo were created as a distinct genre. 조선후기부터 일기 시작한 산업사회의 변동으로 대중문화가 흥하게 되고 이에 따라서 대중이 즐기는 민요인 이른바 ‘통속민요’가 생성되었을 것으로 보고 이를 살핀 것이다. 이런 조선 말기 통속민요의 생성문화는 대한제국시대에도 가속되어진 것으로 보이나 이를 살필 수 있는 문헌을 찾기는 어렵다. 그러나 대한제국시대 직후에 발매되기 시작한 이른바 『신구잡가집』이라는 노랫말 책에 많은 통속민요가 보이는 것으로 봐서 이것들이 이미 대한제국시대에 생성에 되었다고 보고 이들의 그 원천과 공연집단을 살피므로 해서 대한제국시대에 통속민요 생성에 따른 공연집단의 변화, 음악기능의 변화 등 통속민요의 문화에 대한 변화를 살펴봤다. 여기에서 밝혀진 것은 통속민요의 원천에 따라 공연집단의 변화가 음악기능의 변화 등이 여러 가지 다르게 나타났다. 창부타령, 노래가락, 배따라기, 산염불, 성주풀이, 서우제소리와 같은 것들은 무당집단이 무의식에서 부르던 무가가 대중집단이 대중의 오락으로 부르는 통속민요화 된 것이라는 것을 밝혔다. 아리랑, 긴아리, 농부가, 방아타령, 육자배기, 베틀가, 물래타령, 뱃노래와 같은 것들은 본디 노동집단이 부르던 노동요가 대중집단이 대중의 오락으로 부르는 통속민요화된 것이라는 것을 밝혔다. 길군악, 오돌또기, 갈까보다, 방아타령, 경기개구리타령, 배꽃타령, 매화타령, 육자배기, 남도흥타령, 남도개구리타령과 같은 것들은 본디 놀이패라는 연희집단이 부르던 유희요가 대중집단이 대중의 오락으로 부르는 통속민요화된 것이라는 것을 밝혔다. 한편 통속민요 소리꾼집단이 기왕에 나온 긴아리랑, 긴아리, 방아타령, 수심가와 같은 통속민요들을 편곡하여 수많은 새로운 통속민요를 만들므로 해서 전문적인 소리꾼 집단의 소리가 대중집단이 대중의 오락으로 부르는 통속민요 생성에 기여하였다는 것을 밝혔다. 이로 봐서 대한제국시대에 여러 공연집단의 전문적인 노래가 세속화되어 이른바 통속민요라 이르는 대중민요들이 생성되어 활발한 대중민요 생성문화가 있었다는 것을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향토민요 양산도타령 연구 -전라도의 양산도타령을 중심으로-

        손인애 한국국악학회 2006 한국음악연구 Vol.39 No.-

        본고는 전라도 화순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있는 향토민요 양산도타령의 유래를 살펴본 글이다. 이 양 산도타령은 화순에서 생성 및 전래되고 있는 민요로 인식되어 왔다. 그런데 이 곡은 여느 전라도 향토 민요와는 달리 화순에서 경기도에 이르는 넓은 지역에 산재되어 있고, 그 음악의 짜임새도 경기음악어 법으로 되어있다. 그래서 필자는 이 곡이 화순에서 발생했다는 기존의 견해를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위와 같은 이유로 위의 곡을 재검토한 결과, 양산도타령은 여느 노동요와 달리 유희적 성격이 강한 사 설로 된 점, 경기음악어법으로 음악이 이루어진 점, 한반도 서부를 중심으로 산재된 분포 양상, 유희요적 기능이 나타나는 점, 일련의 사당패소리들과 함께 전창된 사실이 확인된 점을 근거로 미루어볼 때, 과거 사당패 레퍼토리 중 하나였던 ‘양산도’가 전파된 소리로 판단된다. 이외에 사당패소리 양산도는 동명의 현행 경기 창민요 양산도와 유사하여 이 두 곡도 음악적으로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본다. The traditional local folk song Yangsando-taryung, which is discovered in Hwasoon, Jeonra Province, has been perceived as the traditional local folk song arised from Jeonra Province because of its regional distribution. The author noticed that the Yangando-taryoung was made of typical musical language of Gyeonggi Province and had scattered regional distribution different from typical working-song's, therefore the author became doubtful about the existing hypothesis and re-examined the true genesis of this piece. In this research, considering the playful text which is different from typical work- song, musical idiom that is made of musical language of Gyeonggi Province, scattered regional distribution whose center is around the western part of Han penninsular, its function as play-song, its association with the Sadangpae sori's, we verified that Yangsando-taryung is transmitted from “Yangsando”, which is one of the favored pieces of the Sadangpae, the typical wandering performer's group. The Sadangpae sori Yangsando is related with Gyeonggi popular folk song Yangsando in the tone of the song. Therefore, it can be maintained that this paper made an genuine opportunity for measuring the chronological order in musical sense of Sadangpae Sori and popular folk song Yangsando.

      • KCI등재후보

        고양 지역 민요의 전승과 기능 연구

        김헌선(Kim, Heon-seon)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2015 民俗硏究 Vol.0 No.30

        이 연구는 경기도 고양시 민요의 전승을 근간으로 그 기능을 규명한 것이다. 경기도 고양시에는 독자적인 민요가 전승되는데 민요의 전승 맥락에 여러 가지 소인들이 작동하고 있다. 특히 세시절기가 개입하고 동시에 농악놀이가 곁들여지는 특별한 의식을 거행한다. 그것이 이 지역의 민요와 세시풍속, 그리고 농사풀이라고 하는 농악이 어우러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한 지역의 민요는 다른 지역과 체계적인 관계를 가지게 된다. 이웃하고 있는 지역에서도 거의 같은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파악을 통해서 전국적인 양상과 판도를 알 수 있다. 더 나아가서 한국과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일본의 민요와 농악이 비교 대상이 된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그러므로 경기도 고양시 민요는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is one that functions as a basis for identifying the folksong traditions of Goyang, Gyeonggi-do. Goyang, Gyeonggi-do, has its own folk traditions are a number of stamps that are working in the context of the folk tradition. In particular, four seasons intervention and held a special ceremony to be served at the same time, Korean play. It has a folk song and seasonal customs and characteristics Nongak the harmonized called pool farming in the region. The folksong of the region will have a structured relationship with other regions. And showed almost the same pattern in the neighboring area, you can see the national landscape patterns and through this understanding. Furthermore, Korean and Japanese folk songs that show a similar pattern is found in Korea and the fact that this comparison. Therefore, Goyang, Gyeonggi folk song has a great significance.

      • KCI등재후보

        전북 진안군 마령면 민요의 음악적 특징과 지리적·장르적 접변양상

        김혜정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9 기전문화연구 Vol.40 No.1

        This paper summarizes musical characteristics based on folk song of Jin-angun malyeongmyeon pyeongjili. First, I want to see 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ultures blend together because this region is a border region of culture. Second, I wanted to see how the folk songs of this area are retained because of the influence of the music of the sadangpae(A kind of gyps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music of sadangpae was localized and changed in musical characteristics. Some songs have been completely changed to Jeolla-do music, and some songs have been changed in terms of cadence and decoration. In the funeral music, the phenomenon of the mixture of Gyeongsang and Jeolla provinces was found. Funeral music is a genre that originally embraced Buddhist music. And many of the Buddhist music in Korea is made of music in Kyongsang area.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 of Gyeongsang province appeared in the sound of the bonus of Cholla. In addition, Jin-angun is close to Gyeongsang Province, so the influence is strong. 이 논문은 진안군 마령면 평지리의 민요를 바탕으로 음악적 특징을 정리해보고 그 안에서 사당패소리와 같은 타장르와의 접변 양상과 경상도와 전라도의 문화가 지리적으로 접변하는 양상을 정리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민요의전승을 통해 역사적 적층성이 어떻게 남겨지는지, 장르적, 지리적 접변의 결과에서 어떤 형태의 지역화가 일어나는지를 살펴보려 하였다. 연구 결과 진안의 논농사소리에는 사당패소리의 영향이 섞여 나타났으며, 상여소리에서는경상도 지역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의 영향이 섞여 나타났다. 이와 같이 장르적 집변과 지리적 접변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진안 마령면 평지리의 농요가 음악학적으로 흥미로운 지역이라 할 수 있다. 논농사소리에서는 사당패라는 유랑집단의 음악이 남겨져 있고, 정도의 차이가 있지만 남도화되어 음악적 변화를 보여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 남도화의 현상으로는 소극적 변화로 하행종지의 상행종지화, 장식음적 시김새가 아닌 떠는 시김새의 강화, 적극적 변화로는 토리의 전체적 변화를 들 수 있다. 상여소리의 경우에는 전라도의 음악어법인 육자배기토리와 경상도 음악어법인 메나리토리의 접변 현상이 나타났다. 이는 진안군이 경상도 문화권과 전라도 문화권이 접변하는 지역임을 보여주는 동시에 ‘염불’을 노래하는 상여소리라는 악곡의 장르적 특성이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마미오시마 섬민요(島唄)와 지역 활성화

        이윤선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4 No.-

        Shima Uta of Amami Oshima have two contexts, first is tradtional and second is to promote Regional context. I analyzed and broke down that information to nine. First, Shima Uta was preserved and handed down by traditional Uta-Asobi, a play. Second, there are Utashya, specialists traditional singers. Third, In addition to Utaa-Asobi, this was spread in high magnitude as a powerful tradition and handed down by Hazzgazz Odori, the thanksgiving ritual. Fourth, Shima Uta comprises the concept of genre and the sub-category of folk-songs, especially it certainly shows Regional identity of each islands. Fifth, the method of singing a song is highly improvised. It speaks of actual singers the same as impromptu singers. But it is fixed first song and last song. So we give attention to its route of development Sixth, definitely, traditional songs have isolation and solitude, unfairness, and sorrow, so these are commonly recognized by the Japanese. Seventh, common musical instruments used are the Shamisen and Chijin. Through traditional way of ShimaUta play is clear that Singer sings accompanied by the Shamisen as the primary instrument and the secondary is Chijin. It is like the korean Pansory, a traditional drum. Eighth, They are handing down through individual classroom and public school. Particularly, most Shima-Uta education is accomplished through public education. So, we now preserve and continue handing down practices through public schools and individual rooms because they are the most effective. Ninth, They have its own identity with the Shima-Uta of Amami Oshima. It has unique voice and tone. Even a J-pop singer can sing the song using it. They will also be called ShimaUta. It is a good example of its arranged popularity and identity. 아마미오시마의 시마우타가 가진 전통적인 맥락과 지역적 활성화를 꾀해 가는 맥락을 살펴보았다. 이를 아홉 개의 키워드로 나우어 간략하게 정리하겠다. 첫째 시마우타는 전통적인 우타아소비를 통해 보존 전승해왔다. 둘째, 우타샤(歌者)라고 하는 노래 전문가가 존재했다. 셋째, 우타아소비 뿐만이 아니라 실제는 하쯔가쯔 오도리(추석의례)를 통해서 강한 전통과 전승이 확산되어 왔다. 넷째, 시마우타라는 호명방식은 민요의 하위 범주로 인식되는 장르적 개념을 포함하고 있으며, 특히 섬이라는 지역적 정체성을 분명하게 드러내주고 있다. 다섯째, 노래하는 방식은 매우 즉흥적이다. 즉흥적으로 가사를 지어 부르는 사람이 진정한 시마우타 가수라고 말한다. 하지만 처음 시작하는 노래와 마지막 마치는 노래가 정해져, 매우 조직적인 발전의 경로를 가진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여섯째, 본래 섬지역의 고립과 고독, 억울함, 슬픔 등을 담아내던 노래의 정서가 현대 일본인들에게도 공유되고 인정되고 있다. 일곱째, 악기가 사미센과 치진으로 고정화되었다. 이를 통해서 샤미센을 치면서 노래를 하고 치진으로 보조하는 시마우타 공연방식의 전통이 확고해졌다. 마치 우리 판소리와 소리북의 구성에 비유할 수 있다. 여덟째, 전승은 공민관이나 개별적인 시마우타교실을 통해서, 특히 거의 모든 공교육에서 학교교육을 통해 이루어진다. 보존 전승이 효율적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아홉째, 아마미오시마의 시마우타라는 독특한 목청과 음색을 그들의 정체성으로 삼고 있다. J-pop 가요 가수라고 할지라도 시마우타 가수라는 호명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는 바로 이 특성을 살려 노래하기 때문이다. 대중성과 정체성을 매우 현명하게 조율해 낸 사례가 아닌가 생각된다.

      • KCI등재

        경기 통속민요 <양산도>에 대한 사적 고찰 -사당패소리 <양산도>와 음악적 관련성을 토대로-

        손인애 한국국악학회 2010 한국음악연구 Vol.48 No.-

        Gyeonggi popular folk song Yangsando has thus far been assumed to have been formed in the Seodo province based on the text, or have the musical relationship with Yangsanga 陽山道, which was formed in the early Joseon Dynasty on the ground of the title of a song. However, Gyeonggi popular folk song Yangsando is related with Sadangpae sori Yangsandong, which was one of Gyeunggi-Sadangpae(typical wandering troupes) songs in traditional society, in the text and the tone of the song. This study argues that in terms of text and music, Sadangpae sori Yangsandong is the prototype of Gyeonggi popular folk song Yangsando, which was recreated as a more refined form in regular triple 5beats on the basis of Sadangpae Yangsando in the late 19th or the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also explains the evolution of Gyeonggi popular folk song Yangsando. In the early 20th, Gyeonggi popular folk song Yangsando was more connected with Sadangpae Yangsando than these days in terms of text and music, and influenced by Seodo singers,who played a vital role in the theater at this time. However, since the late 20th, only song composed of the typical Gyeoung-tori, has come to be transmitted. Gyeonggi popular folk song Yangsando is considered to have been made by the Sadangpae successors when they went into the theater, seeking repertoires in order to succeed in their public performances in the late 19th or the early 20th. There is a similarity in the name of the Sadangpae sori recorded in the ancient literature and the recent popular folk songs, which led to the assumption that there is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two kinds of genres.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e close relationships between the Sadangpae sori and the recent popular folk songs 경기 통속민요 <양산도>는 신라 <陽山歌> 또는 조선 개국의 위업을 송축하는 <陽山道>와 관련이 있다는 설과 평양 발생설 등 그 유래에 대한 이견이 분분하였다. 그런데 근자에 필자에 의해 밝혀진 사당패소리 <양산도>와 사설 및 음악에서 연계되는 점이 많아, 서로 밀접한 관련성이 있어 보인다. 이에본고는 두 장르 <양산도>의 특징을 면밀히 파악하고 비교 고찰하여, 경기 <양산도>의 음악적 유래와그 역사적 변모양상을 살펴보았다. 경기 <양산도>와 사당패 <양산도>는 공통점이 많지만 전자가 후자에 비해 후렴 사설이 훨씬 길고다양하며, 독창은 한자 투의 다양한 사설이 많다. 음악적으로도 경기 <양산도>는 규칙적인 세마치 5小장단으로 구성되며 불규칙한 리듬통사구조의 사당패 <양산도>에 비해 양식화되어있고, 후렴과 독창 선율이 서로 연계되며 더 기교적이다. 즉, 사당패 <양산도>는 경기 <양산도>보다 사설 및 음악면에서 古型이라 그 前身에 해당한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가장 초기 음원인 한인오 최홍매 창이 여느 <양산도>에 비해 고형의 특징이 있어 이를 대상으로 사당패 <양산도>와 비교해 본 결과, 본래 경기 <양산도>는 사당패 <양산도>처럼 후렴 사설이하나인 전형적인 선후창으로 형성되었지만, 이내 사설 종류가 교환창처럼 다양화되었다. 그리고 대중성 을 지향하면서 상대적으로 소박한 선율 형태의 사당패 <양산도> 후렴구를 탈락시키고, 독창 선율을 변주하여 좀 더 세련된 형태의 후렴 선율을 새로이 짰다. 그 과정에서 유사한 선율인 독창과 나름대로구분하며 분위기를 돋우는 질러내는 형의 악구(3小장단)가 후렴 뒷부분에 삽입된다. 그리고 세마치 4,5, 6小장단이 불규칙하게 섞인 리듬통사구조에서 규칙적인 세마치 5小장단으로 변화된다. 즉, 경기민요<양산도>는 19세기 말, 20세기 초 상업적 성공을 지향하며 사당패 <양산도>를 토대로 한층 세련되고양식화된 형태로 거듭난 소리라 하겠다. 한편 이 시기에는 서도 출신 창자들이 경기 <양산도>를 자신들의 레퍼토리로 수용하면서 서도음악어법이나 서도 지명 및 <난봉가>계통 소리에서 많이 나오는 사설을섞어 부르기도 한 사실이 확인된다. 그런데 20세기 후반에 이르러서는 더 이상 사당패 <양산도>나 <난봉가>계통의 주요사설은 보이지 않는다. 또한 수심가토리의 특징이 나타나는 소리도 전승되지 않고, 음역이 좀 더 넓어지면서 선율이 상대적으로 더 기교적이다. 즉, 20세기 후반 이후의 <양산도>는 경기민요 및 예술음악으로 수용되면서 전반적으로 더 기교적이고 전형적인 경기소리의 형태만이 전승되고 있다. 이러한 경기민요 <양산도>의 창출은 사당패 계승집단 출신 창자들이 20세기 벽두 극장무대에 진출할때 흥행의 성공을 위한 레퍼토리 확보 과정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를 뒷받침해주는 근거는 첫째, 미국 콜롬비아사에서 <양산도>의 가장 초기 음원(1907)을 취입한 한인오가 과천방아다리 선소리패에서 활동한 사당패 계승집단 출신이고, 그가 부른 소리가 사당패 <양산도>와 가장 연계되는 특징을지니고 있는 점이다. 둘째, 新舊流行雜歌集(1915)의 평양 날탕패 선소리부 에 수록되는 등 사당패소리를 근거로 형성된 대표적인 <방아타령>, <놀량>, <뒷산타령> 등과 SP음반 및 20세기 초 편찬된 잡가집에 함께 수록되어있는 경우가 많은 점이다. 요컨대 경기 <양산도>는 그 유래에 대해 이견이 분분하지만, 사당패의 주요 레 ...

      • KCI등재

        경기 통속민요 <매화타령>의 지속과 변모

        손인애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30 No.-

        Gyeonggi Sadangpae(the typical wandering performers’ group)’s song Maehwa-taryeong, which was one of the various versions of Sadangpae’s Maehwa-taryeong in the traditional society, have common features in text and music with the Gyeonggi popular folk song Maehwa-taryeong. This implies two genres of Maehwa-taryeong ar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usic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songs, and argues that Gyeonggi Sadangpae’s Maehwa-taryeong is the prototype of the Gyeonggi popular folk song Maehwa-taryeong, which was recreated as a more refined form on the basis of Gyeonggi Sadangpae’s Maehwa-taryeong in the late 19th or the early 20th century. This paper also explains the evolution of the Gyeonggi popular folk song Maehwa-taryeong. There were two different versions of Maehwa-taryeong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y: some kinds of old and new ones. In terms of tory(mode), basic tune and structure, two versions had almost the same musical characteristics. However, the former, which shows in the Korean First Recording in 1896, is composed of a simple and artless tune and structure compared to the latter. Whereas the latter is more artful in a musical way than the former. In text and tune, the old version has much in common with Sadangpae song Maehwa-taryeong. However, since the late 20th century, only new version has come to be transmitted and is getting standardized in text and a musical way in recent years. The Gyeonggi popular folk song Maehwa-taryeong is considered to have been made by the Sadangpae successors when they went into the theater, seeking repertoires in order to succeed in their public performances in the late 19th or the early 20th century. However, the Gyeonggi popular folk song Maehwa-taryeong lost it’s popularity since the 20th century, even if it was very popular up until the 19th century. This is assumed to have been caused by the many emerging new songs, but main reason is presumed that it has failed to change it’s music in an up to date way, which appeals to public more effectively. <매화타령>은 과거 사당패들이 여러 지역 버전을 만들어 불렀고, 지금도 일부 노래 장르에서 전승되고 있어, 전통시대에는 그 음악적 위상이 실로 대단했던 사실을 가늠할 수 있다. 현재 전승되고 경기 통속민요 <매화타령>은 경기 사당패들이 불렀던 <매화타령>과 사설 및 음악적으로 깊이 연계되어있어, 음악적 선후 관계를 짐작케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통시대 경기 사당패 <매화타령>부터 현행 경기 통속민요 <매화타령>에 이르기까지 그 역사적 변모 양상과 배경에 대하여 논의해 보았다. 경기 사당패 <매화타령>은 수용 및 전승 과정에서 많이 변화되어 정확한 곡조를 파악하기는 어려웠지만, 독창과 후렴의 마지막 악구를 동일한 사설(에루화 매화로구나) 및 선율로 맞추며 통일성을 추구하는 구조를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굿거리장단에 경토리계통으로 되어있고, 후렴은 세 장단, 독창은 네 장단을 기본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은 1896년에 녹음된 『한민족 최초의 음원』에 수록된 경기민요 <매화타령>에도 매우 흡사하게 나타난다. 그런데 이 소리는 20세기 전반기 및 현행에 비해 선율이 상당히 단순 고졸하며, 이는 상업용으로는 최초로 녹음된 박춘재 창(1912)에서도 확인된다. 즉, 『한민족 최초의 음원』의 <매화타령>은 경기 사당패와 경기 창민요 <매화타령>의 과도기적 양상을 잘 보여주며, 과거에는 지금보다 선율이 훨씬 단순 고졸했던 사실을 알게 한다. 그런데 20세기에 들어와서 경기민요 <매화타령>은 나름대로 많은 변화를 겪게 된다. 독창의 마지막 악구를 가장 먼저 부르면서 분위기를 환기시키며 시작하는 노래방식이 보편화되고, 후렴의 마지막 사설을 다소 변화시켜 독창의 것과 차이를 둔다. 그리고 독창의 기본형이 세 장단으로 후렴과 그 구조를 맞추며, 20년대 이후에는 선율도 한층 기교적여진다. 이러한 변화는 당시 상업화된 극장 무대를 위해 형성된 새로운 많은 창민요들과 치열한 경쟁 아래, 나름대로 음악적 생존을 위한 모색이었다고 생각된다. 20세기 후반에 이르면, 전반기 소리들과 기본적인 특징은 같다. 다만 노래 속도가 좀 느려지고 음역이 더 넓어지면서, 선율진행이 더욱 기교적이고 유려하다. 그리고 독창 마지막 악구부터 후렴으로 간주하는 현상이 보편화되면서 후렴과 독창의 마지막 악구를 동일하게 맞추는 특성이 매우 약화된다. 즉, 20세기 후반 이후의 <매화타령>은 소위 예술음악으로 수용되면서 사설과 선율이 더 다채롭고 기교적이지만, 현재는 몇 가지 형태를 중심으로 획일화되는 경향이 보인다. 그런데 <매화타령>은 19세기 말까지는 상당한 인기를 누린 것으로 보이나, 20세기 전반기에 오면 그 인기의 양상이 확연히 달라진다. 이는 20세기 전반기 대거 형성된 신민요들에 밀리며 그 인기가 한풀 꺾였기 때문일 수도 있지만, 더욱 신선하고 세련된 음악을 요구했던 대중들의 취향에 맞춰 획기적으로 변화하지 못한 면도 있으리라 여겨진다. 비록 그 인기가 예전만은 못하지만, 현재까지 경기민요 <매화타령>은 끊임없이 변화를 도모하며 전승되고 있다. 그러나 21세기 한국 음악인들에게 <매화타령>은 성공적인 지속을 위해서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어떤 변모가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하는 계기를 제공해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