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리는 왜 미국을 연구하는가?: 한국에서의 미국학 연구에 대한 제언

        이광진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23 현상과 인식 Vol.47 No.4

        본 논문은 한국에서의 미국학의 현주소를 종합적으로 고찰한다. 미국학이 주로 전통적인 분과학문의 접근법에 편중되어 있어 한국 사회의 중요 이슈에서 출발한 학제적 연구의 중요성이 충분히 강조되지 않은 점을 국내 미국학의 근본 문제 중 하나이다. 본 논문은 기존 분과학문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미국을 연구하는 접근법이 미국학 연구를 풍성하게 하는 데 기여하지만, 한국 사회 현대 사회의 중요 이슈를 해결하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본격적인 학제적 연구가 없다면 한국에서 미국학이 지속해서 존재할 수 있을지에 의문을 던진다. 따라서 1960년대부터 시작된 한국의 미국학 연구는 20세기에 세계 초강대국으로서 세계적 영향을 끼친 미국이라는 나라를 국내에 소개하는 데 중점을 두는 연구에서 연구자가 한국 사회의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거기에서 연구 주제를 발견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국내의 미국학 학회와 학술지는 이 분야의 연구를 진흥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paper provides a comprehensive evaluation of the current state of American Studies within the context of South Korea. It identifies a fundamental issue where the discipline primarily focuses on traditional subfield-specific journals, resulting in a lack of emphasis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 that addresses critical issues relevant to South Korean society. While not subjected to quantitative analysis, a close examination of American Studies journals in South Korea reveals that the majority of published papers align with conventional subfield boundaries, offering limited engagement with the local sociocultural and political landscape. The study critically reflects on the challenges faced by the field and highlights the pressing need for transformation. South Korean American Studies should evolve from a conventional approach towards a more active and diversified research agenda. This shift requires a paradigm change in the aims and objectives of American Studies, focusing on the discipline’s role in addressing contemporary South Korean issues. A key recommendation is for American Studies to not only study America but also explore how this knowledge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the betterment of South Korean society. In conclusion, this paper emphasizes the necessity for a shift in perspective within the field of American Studies in South Korea. In the 21st century, the discipline should become a proactive contributor to problem-solving in South Korean society, adapting to changing socio-political dynamics and ensuring its long-term relevance. While the research did not delve into quantitative data, it serves as a significant step towards understanding the unique challenges faced by American Studies in the South Korean context and advocating for a more dynamic and problem-centered approach.

      • KCI등재

        냉전시대 동아시아지역의 미국학(American Studies) 확산과 ‘知的네트워크’ 구축

        허은(Heo, Eun)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7 亞細亞硏究 Vol.60 No.1

        이 글의 목적은 냉전시대 미국학 확산과 관련된 한국의 사례를 분석하여 미국 정부의 주도하에 형성된 동아시아 지역 知的 네트워크의 규명에 일조하는 데 있다. 냉전시대 미국 정부는 문화교류를 통해 상대국이 자발적으로 우호적인 미국관을 유지하는 단계, 이른바 ‘自助 단계’에 도달하기를 원했다. 이 단계에 도달했는가를 판단하는 주요한 척도는 고등교육 과정에 ‘미국학’(American Studies)의 정착 여부였다. 1960년대 주한 미공보원과 주한 미국교육위원단은 미국학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한국의 미국학 연구자들을 일본의 미국학 연구자들이 주도하는 동아시아 지적 네트워크에 참여시켰다. 그러나 이는 ‘미-일-한’ 삼국 간의 위계적인 관계 수립으로 귀결되지 않았다. 한국의 미국학 연구자들은 일본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지적 네트워크에 편입되는데 자족하지 않고 주도적으로 새로운 지역 네트워크를 만들고자 했다. 냉전시대 미국 정부는 미국학 확산을 통해 한국을 미국의 동아시아 지역 문화적 헤게모니 구축에 일익을 담당하는 국가로 배치하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tellectual network in the East Asian region form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U.S. government by analyzing the proliferation of American Studies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During the Cold War era, the U.S. government wanted other countries to reach the so-called self-help stage, whereby these countries would voluntarily establish and maintain a favorable view of the U.S. through cultural exchange. The most important criterion for judging whether a country had reached this stage was the inclusion of an American Studies course in its higher education curriculum. During the 1960s, USIS Korea actively promoted the proliferation of American Studies and had American Studies researchers in Korea participate in the East Asian intellectual network led by American Studies researchers in Japan. However, this did not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 hierarchical relationship among the U.S., Japan, and Korea. This was because Korean researchers did not simply participate passively in the Japan-centered East Asian intellectual network. Instead, they tried to lead the creation of a new network. Therefore, the American Studies policy implemented by the U.S. government in Korea during the Cold War era can be seen as an exemplary successful case of the hegemony policy that the U.S. wanted to establish through cultural exchange.

      • KCI등재

        미국학 교육의 사례 연구: 브라운 대학교의 초기 학부 미국학 교육(1949-1954)

        김남균(Nam Gyun Kim) 한국아메리카학회 2017 美國學論集 Vol.49 No.3

        After the Second World War ended in 1945, many American universities started to provide American Studies as a new educational program. Brown University initiated a graduate American Studies program in 1945 and an undergraduate American Studies program called American Civilization Concentration in 1949. Riding the new wave of American Studies education in the postwar era, the undergraduate American Studies program of Brown University sailed smoothly from the beginning. It received not only enthusiastic administrative support from the president of the university, but also a substantial amount of financial support from Carnegie Corporation of New York for five years from 1949 to 1954. In addition, its success was attributed to increased educational demands, voluntary support from the administration of the school and non-profit organizations, consensus support from the academic world, and new pedagogical approaches. The Brown University case shows what new educational programs of American Studies require to be successful.

      • KCI등재
      • KCI등재

        타자로서 미국 연구하기

        이현송 한국외국어대학교 북미연구소 2003 영미연구 Vol.9 No.-

        미국의 미국학회의 학문 분야를 모델로 하여 1965년에 우리나라에 한국아메리카학회가 결성된 이래 30년 이상의 세월이 흘렀다. 여전히 학문 분과로서의 정체성은 매우 미약한 것이 현실이다. 만들어진지 오래 되지 않은 다학제간 학문 분야가 그렇듯이 미국학의 경우에도 종주국인 미국학계에서 조차 학문의 영역과 방법론을 둘러싸고 여전히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러한 미국의 미국학계의 고민에 덧붙여, 미국이 아닌 외국에서 미국을 연구하는 경우 그들과 연구의 맥락이 다르다는 사실에 기인한 문제를 추가적으로 안고 있다. 본 고에서는 이러한 고민을 지역학에 관한 논의와 연계하여 정리해 본다. 미국이란 우리에게는 타자인데, 이는 미국에서 타자에 대하여 연구하는 학문 분과인 지역 연구와 유사한 맥락에서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논의를 계속 전개하기 전에 혼동을 막기 위해 미국 학계의 하나의 분과 학문인 미국학에서 하는 연구와 일반적으로 미국에 관한 연구를 구분하여 전자는 미국학으로 후자는 미국 지역학으로 지칭한다. 다음에서는 먼저 지역학의 개념을 정리하고, 이러한 지역학의 개념에서 미국에 관한 연구가 어떤 모습을 취할 수 있는지 살핀 뒤, 마지막으로 한국인의 입장에서 본 미국 지역학의 문제점들을 검토한다 The focus of this paper is How the United States can be studied as 'the other'. For this purpose the state of area studies is discussed with regard to the overall and pragmatic approach to less well-known regions to others. The study of US by others is argued to be different from the American Studies by Americans, which tends to be an expression of nationalistic ideas in searching for their own identity. The author argues that studying the US as the other should take a eclectic strategy combined with several independent discipline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keeping a comparative perspective. Finally, the difficulties in studying the US that Korean researchers face are discussed. Because of the substantial gap in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ultural configu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 Korean researchers need to take a double cross-thinking process in order to compare the two societies and cultures. The study of the US as the other should take a stepwise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of the US; the first step is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ajor key aspects of society and culture, and then digging into the particularities of the US from a comparative perspective.

      • KCI등재

        미국 지역학의 개념과 교육 프로그램

        이현송 서울대학교 국제학연구소 2004 국제지역연구 Vol.13 No.1

        본 논문에서는 미국학을 지역학의 한 분야로 이해했을 경우, 어떠한 학문의 성격을 갖게 되며 이에 따른 교육 프로그램은 어떠할지를 검토했다. 먼저 지역학의 영역으로 미국학이 포함된다면 어떠한 개념이 될 수 있는가 하는 점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미국에서 타자를 보는 학문인 지역학과 미국에서의 미국학을 비교해 보면서 만일 외국에서 미국에 대하여 이러한 지역학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어떠한 모습이 될 수 있을지 추론해 보았다. 이러한 추론에서 미국 지역학은 다학제적이며, 실용지향적인 학문의 모습을 띨 것임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개념의 미국 지역학이 대학에서 어떻게 교육될 수 있을지 검토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에서 지역학 프로그램의 교과목 구성과 운영 방식을 검토하였다. 그들의 경우 지역학의 성격에 걸맞게 교육에 있어서도 다학제적이며, 실용 지향적으로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러한 지역학 교육 모델에 따라 미국 지역학의 교육 프로그램을 그려보았다. 이를 위하여 가상적인 교과과정과 운영방식 및 사회적 수요를 검토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한국 대학 상황에서 이러한 교육 모델의 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간단히 논의하였다. This study addresses what the concept and educational program of a discipline will be when American Studies is approached as an academic discipline under the area studies discipline. In order to capture the concept of American Studies as an area studies, I made a comparison of various aspects of area studies and American Studies as practiced in American universities with regard to each universitiesdisciplinary developments, and the contents and methodologies of the program. On the bases of these comparisons, I infer that American Studies as an area studies should have multi-or inter-disciplinary and pragmatic characteristics. Secondly, I drew out a pilot educational program that corresponds to an academic discipline of suggested form. For this purpose, the curricula of area studies in various American universities that were confirmed to be built on the principle of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pragmatic orientation were analyzed. A blueprint of educational curriculum was presented for American Studies as an area studies by referring to that of area studies in U.S. universities. Finally, the possibilities of such a program and related issues were widely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