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한국어 교사를 위한 문화적 자의식 교육 사례 연구

        박소연(Soyeon Park)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는 예비 한국어 교사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하여 ‘문화적 자의식 교육’의 측면에서 정체성에주목하여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정체성에 대한 성찰적인 접근으로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상호문화인식 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체성에 대한 개념 정의 및 유형을 살펴보고, 정체성의 속성, 그리고 언어와 정체성, 문화 간 의사소통과 정체성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정체성의 복수성, 상대성, 역동성, 가변성을 확인하였으며 문화적 구성 요소로 작용하는 사회적 정체성들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였다. 그리고개인의 발화에서 개인적 정체성과 사회적 정체성이 동시에 나타난다는 것을 바탕으로, 문화 간 의사소통 상황에서의 정체성 고찰이 지닌 필요성과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거의 다루지 않은, 예비 한국어교사를 위한 문화적 자의식 교육 방안을 정체성 측면에서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그에 대한 효과를 실제 수업 사례를 바탕으로 확인하였다는 데 차별점이 있다. 특히 정체성에 대한 성찰이 이론적 측면에 머물지 않고 실천적 의미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theoretically considered the identity in terms of 'cultural self-awareness education' in order to cultivat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of prospective Korean language teachers. Based on this, as a reflective approach to identity, it was intended to seek specific and practical educational measures for mutual culture awareness. To this end, the concept definition and type of identity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identity, language and identity, and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nd identity was confirmed. Through this, the plurality, relativity, dynamics, and variability of identity were confirmed.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identities that act as cultural components were reviewed.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personal identity and social identity appear simultaneously in individual speech,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considering identity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ituations were confirmed. This study specifically presented cultural self-awareness education plans for prospective Korean teachers, which were rarely covered in previous studies, in terms of identity. In addition, there is a difference in that the effect was confirmed based on the actual class case. In particular, it is significant in that reflection on identity is not limited to the theoretical aspect but sought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etween cultures in a practical sense.

      • KCI등재

        간문화능력과 간문화교육에 대한 동향과 함의 :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허영식,김진희 한독사회과학회 2013 한독사회과학논총 Vol.23 No.3

        다문화사회에서의 사회통합문제와 관련하여 최근 독일에서 전개되고 있 는 동향을 살펴볼 때, 간문화능력의 개념이 여러 분야에서 키워드로 사용되 고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 간문화능력과 간문화교육에 관한 질문은 내재적 문제점과 복합성을 안고 있다. 이러한 배경과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이 글 은 간문화능력과 간문화교육에 대한 최근의 동향을 독일의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여기에 기초하여 한국에서의 담론과 실천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본고에서 강조할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적 구성개념으로서의 간문화능력과 관련해서는 여 러 가지 구성요소모형이 존재 하며, 이것은 이론적 엄밀성,일반성과 영역특정성, 보편화가능성의 측면에 서 한계와 문제점을 안고 있다. 둘째, 기존의 개념정의와 모형에서 배울 수 있는 사항으로는 인성적 전제조건과 잠재력의 측면을 강조한다는 점, 간문화적 소통·협력·공존을 위해서는 개인적·인성적 요인과 상황적 조건이 중요하 다는 점, 간문화능력이라는 구성개념은 단순히 기술적인 개념이 아니라는 점을 들 수 있다. 셋째, 간문화교육의 이론적 기초로서는 타자의 인정문제와 상징적 상호작용론을 들 수 있으며, 간문화교육의 과제를 설정하는 데 있어 서는 집단정체성과 개인정체성 사이의 긴장관계와 변증법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넷째, 방법적 접근방안으로는 이야기, 사회적 관점취득의 기법, 그리고 간문화학습과정을 들 수 있다. 다섯째, 앞으로 간문화능력 및 간문화교육에 대한 담론과 토론의 활성화,정책적 과제 설정,구체적인 방법적 접근방안의 탐색 등에 보다 더 많은 관심과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문화 정체성 형성과 문화접변 과정:

        타마라 체르키에스(Tamara Czerkies)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6 동유럽발칸연구 Vol.40 No.3

        본고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뉜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는 문화 정체성 개념과 문화접변(acculturation)의 개념을 제시하면서 자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와 민족상대주의(ethnorelativism)에 대해 설명하였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폴란드어를 학습하고 있는 한국 학생들의 간문화능력 향상과 이해 및 습득을 도모하고 자국문화 정체성 강화와 비교에 도움을 주고자 만든 폴란드 문학 텍스트 선집 교과서에 대한 아이디어를 소개하였다. 언어 수업을 계획하고 진행하는 과정에서 있어서 학습자들이 어떤 텍스트를 읽을 것인지, 이것으로써 어떻게 또는 무엇을 대화/토론을 해야 할 것인지, 이것이 독해 및 개념 습득을 하는데 도움이 될 것인지에 대한 교육자의 판단만큼이나 정체성과 문화접변의 개념 또한 중요하다. 베로니카 빌췬스카(Weronika Wilczynska)는 자신의 책(2005)에서 교사들이 특히 주목해야 하는 이 문화 정체성 개념은 우리가 ‘우리’ 안에 있을 때가 아닌 ‘이방인들’ 속에 있을 때 발현되는 것이라고 이야기한다. 공동체에서부터 어느 정도 떨어져있거나 자연스러운 것으로 간주했던 무엇인가가 결핍되었다고 느끼는 바로 그 때 집단의 정체성이 더 강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따라서 문화간 접촉은 자신의 정체성을 지키기 위한 일종의 모험과 도전이며 상호 존중과 존엄성에 대한 인정이 필요하다. 그러므로 문화적 교두보 형성은 현대의 간문화/문화간 능력 발달 과정의 목표가 되어야만 한다. 문화접변 개념은 문화 정체성과 연관되어있다. 크쉬슈토프 폴로크(Krzysztof Polok)는 문화접변 개념을 상술하면서 이 현상에 대해 규규정한 바 있다(2006). 그는 문화접변이 새로운 문화, 새로운 환경에서 자신의 위치를 찾는 성숙형태의 문화적 정체성이라고 규정한다. 본고에서는 교육자가 학습자의 개인, 집단적 정체성이 어떻게 변화하는가를 관찰하면서 볼 수 있는 자민족중심주의(ethnocentrism)부터 민족상대주의(ethnorelativism)에 이르는 문화 접변 과정 단계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최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한국 학생들을 대상으로 발간된 교재 󰡔텍스트에 가까이(B1.2-B2.2 수준의 한국 학생들을 위한 폴란드 문학 텍스트 선집과 과제)󰡕 (Bliżej tekstów (wybór polskich tekstów literackich z zadaniami dla studentów koreańskich – poziom B1.2–B2.2) 대하여 간략히 서술하였다. 이 교재에는 폴란드 문학 텍스트 선집과 과제가 포함되어 있다. 이질적인 문화를 접하고 자국의 문화 정체성과 그 힘, 가치를 함양하고 인지하는 데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것으로 여겨진다. 이 책은 학생들에게 문학을 통해서 자신을 외부에서 볼 수 있도록 하며 폴란드처럼 멀고도 가까운 나라의 문화를 조망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article consists of two parts: the first is characterized by the notion of cultural identity and acculturation described by some researchers, it also clarifies what ethnocentrism and ethnorelativism are. The second describes the concept of the manual, which includes a selection of Polish literary texts, and aims to help Korean students in learning Polish language and developing intercultural competence. It also strives to facilitate the process of building, accepting and strengthening their own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comparisons.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문화간 감수성과의 관계에서 문화정체성의 매개효과

        김수영(Sooyoung Kim)테레사편(Teresa P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7

        다문화사회로의 빠른 진입에 따라 대학생의 문화간 감수성 향상의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학생의 문화간 감수성에 자아존중감과 문화정체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문화정체성이 자아존중감과 문화간 감수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수집을 위하여 서울 소재 4년제 여자대학교를 선정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2015년 2학기부터 2016년 1학기에 교양과목 및 전공 선택 과목(8개반)을 수강중인 416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완료된 설문지 374개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자아존중감이 문화정체성과 문화간 감수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 정체성이 자아존중감과 문화간 감수성과의 관계에서 부분적인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컨대,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문화정체성도 높으며, 문화간 감수성도 높은 것을 의미한다.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문화간 감수성에 직접 영향을 주고, 문화정체성을 매개하여 간접적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 그리고 추후 연구과제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their perceived intercultural sensitivity. In particular,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mechanism beyond the 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their perceived intercultural sensitivity by investigating the mediating role of cultural identity. We collected data between fall 2015 and spring 2016 from 416 students at a private college based in Seoul, and 374 responses were includ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has shown the results that college students self-esteem is positively related to their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cultural identity. In addition, the cultural identity was found as a partial mediator between college students self-esteem and their perceived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re discussed,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proposed.

      • KCI등재후보

        한국의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간문화적 접근방안

        허영식(Young Sik Huh),정창화(Chang Hwa Jung)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2 OUGHTOPIA Vol.27 No.2

        이 글은 다문화와 한국의 정체성이라는 의제를 염두에 두면서, 한국의 정체성 재정립을 위한 간문화적 접근방안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집단정체성으로서의 국가정체성과 디아스포라 정체성에 대해 각각 살펴보고, 여기에 기초하여 간문화성의 관점에서 한국의 정체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다문화사회를 향한 사회변동 과정에 비추어볼 때, 한국의 정체성 재정립과 관련된 기본적인 문제와 과제는 다음과 같이 몇 가지 명제로 정식화할 수 있다. 첫째, 자민족중심주의나 국민주의(민족주의)로 흐를 가능성이 많았던 전통적인 국가정체성 개념을 넘어서서, 다중정체성 혹은 조망정체성의 측면을 고려하고, 비판적 성찰·소통·담론을 통하여 유연성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른 시각에서 살펴본 디아스포라 정체성에 대해서도 역시 비판적 성찰이 요청되며, 이를 통하여 더 큰 공동체의 사회통합 및 정체성을 시야에서 놓치지 않으려는 안목이 요구된다. 셋째, 보편적인 인권·민주주의에 지향을 둔 의미에서의 간문화성과 개방적·다원적 국가정체성의 균형과 조화에 기반을 둔 모형을 시의적절한 준거 혹은 대안으로 삼을 만하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are the results of a study that focused on the intercultural approach towards reestablishment of Korean identity. To arrive at this aim, the researcher dealt with the following themes: the concepts of national identity and diaspora identity as forms of collective identity, and Korean identity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culturality. The bottom line of this article can be formulated as follows. Beyond the traditional concepts of national or diaspora identity, which tend to regress to ethnocentrism or nationalism, and to communautarisme or parallel society,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emergent form of multiple or perspective identity, and secure a greater flexibility through the process of critical reflection. We should consider the model based on the balance between interculturality in the sense of orientation towards universal human rights and democracy and an open and pluralistic national identity as an appropriate and alternative reference frame for the reestablishment of Korean identity.

      • KCI등재

        간문화적 성찰과 시민교육 그리고 정체성 문제 고찰

        최치원(Choi, Chi-Won)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0 No.36

        본 연구는 문화의 다양성과 공존을 인정하는 다문화주의적인 전제는 받아들이지만, 다른 한편 이 전제를 가지고는 문화들의 ‘사이’의 의미와 ‘사이’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간문화성’의 입장에서 문화의 문제에 접근한다. 문화는 그 자체로 존재하기보다는 과정적이며 구성적인 존재로서 현상하며, 현상된 문화들은 ‘사이(inter-, 혹은 in-between)’로 일컬어질 수 있는 관계의 망을 만들어 낸다. 본 연구는 우선 문화의 의미가 그 자체로 존재하고 있는 단위로서의 문화가 아니라 서로 관계를 맺는 문화들 ‘사이’에서 찾아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간문화적 능력’과 ‘간문화적 의사소통’ 개념의 맥락에서 ‘사이’의 영역이 문화들의 ‘소통’의 영역임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간문화적 능력’과 ‘간문화적 의사소통’의 외연을 확장시켜 문화의 의미를 정체성형성을 위한 시민교육 내지는 정치교육의 맥락에서 탐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문화는 독자적이고 고립된 실체가 아니라 교육을 통해 뒷받침되어진 정치적행위의 맥락 속에서 ‘사이’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 속성을 가진 하나의 현상이라는 점을 제시한다. In the multicultural preposition of plurality of cultures, there is an idea of the coexistence of cultures. However, the problem in such a preposition is that it has the limit in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between" of cultures and solving problems which appear "between" of cultures. Thus this paper approaches to the question of the culture, based on the concept of "interculturality". Culture is not a reality that exists as it is. It is rather a procedural and constructive phenomenon. Cultures which come into phenomenon form a network of relationship called "inter" or "in-between". This paper explores the meaning of this "inter" or "in-between" of cultures and deepens this subject in the context of "intercultural competenc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ivic education"/ "politische Bilduing" and identity: Culture is not an independent and isolated unit but a phenomenon that can be constructed in-between - in the context of the education combined with political action.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모-자녀 간의 의사소통유형이 아동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이선미,천우영 한국아동교육학회 2013 아동교육 Vol.22 No.1

        본 연구는 서울시,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 지역에 위치한 17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아동 4, 5, 6학년 240명을 대상으로 아동이 지각하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 및 아동의 자아정체성 수준이 배경변인에 따라 어떠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지를 살펴보고, 나아가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유형에 따른 아동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는 데 연구의 주된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수집된 자료는 t검정(t-test), 분산분석(one-way ANOVA),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아동의 한국어 실력, 경제수준, 가정 분위기, 어머니의 한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부, 모-자녀 간 의사소통유형은 아버지, 어머니와의 개방적인 의사소통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의 한국어 실력, 경제수준, 가정 분위기, 어머니의 한국어 실력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아정체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다문화가정 아동이 지각한 부, 모-자녀간의 의사소통 유형이 아동의 자아정체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 모-자녀간의 의사소통유형 중 부 개방형 의사소통, 모 개방형 의사소통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정체성 전체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부문 제형 의사소통이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정체성 전체에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아동의 자아정체성 전체에 유의한 예측 변 인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자아정체성 전체를 68.2%로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people perceive the importance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in a multicultural family and then provide basic data on child's formation of positive ego-identity in a multicultural family. Study subjects were 240 4-, 5-, 6-yea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t 17 elementary schools. For analysing the collected data, frequency percentage, I-test and one-way and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mputed using SPSS.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when child's Korean language skill, economic background and familial atmosphere, and mother's Korean language skill were higher, parent-child communication and child's ego-identity were more frequently carried out by the pattern of child's open communication with mother and father. Second, as for the influence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patterns perceived by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upon children's ego-identity, father's and mother's open communication had positive influence upon the total ego-ident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On the other hand, father's problematic communication had negative influence upon the total ego-identity of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간문화적 성찰과 시민교육 그리고 정체성 문제 고찰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3 인문과학연구 Vol.36 No.-

        <P>&nbsp;&nbsp;본 연구는 문화의 다양성과 공존을 인정하는 다문화주의적인 전제는 받아들이지만, 다른 한편 이 전제를 가지고는 문화들의 ‘사이’의 의미와 ‘사이’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간문화성’의 입장에서 문화의 문제에 접근한다. 문화는 그 자체로 존재하기보다는 과정적이며 구성적인 존재로서 현상하며, 현상된 문화들은 ‘사이(inter-, 혹은 in-between)’로 일컬어질 수 있는 관계의 망을 만들어 낸다. 본 연구는 우선 문화의 의미가 그 자체로 존재하고 있는 단위로서의 문화가 아니라 서로 관계를 맺는 문화들 ‘사이’에서 찾아진다는 것을 제시한다. 그리고 ‘간문화적 능력’과 ‘간문화적 의사소통’ 개념의 맥락에서 ‘사이’의 영역이 문화들의 ‘소통’의 영역임을 밝힌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는 ‘간문화적 능력’과 ‘간문화적 의사소통’의 외연을 확장시켜 문화의 의미를 정체성형성을 위한 시민교육 내지는 정치교육의 맥락에서 탐구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문화는 독자적이고 고립된 실체가 아니라 교육을 통해 뒷받침되어진 정치적행위의 맥락 속에서 ‘사이’에서 재구성될 수 있는 속성을 가진 하나의 현상이라는 점을 제시한다.</P>

      • KCI등재

        문화간 감수성 증진 통일교육 방안에 관한 연구

        이인정 한국윤리교육학회 2020 윤리교육연구 Vol.0 No.56

        본 연구는 다문화주의와 상호문화주의를 이론적 배경으로 문화간 감 수성 증진을 위한 통일교육 방안을 모색하려는 연구이다. 다문화주의 와 상호문화주의는 기본적으로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문화 간 공 존을 도모하려는 입장이다. 상호문화성은 상이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사람들 간의 만남에서 서로의 ‘다름’에 대한 수용 능력이자 경향성으로 서의 ‘문화간 감수성’을 함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같은 관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평(형평) 교수법 및 문화 감응 교수법을 살펴 보고 분단 한반도에서의 통일교육 적용 가능성을 모색했다. 특히 뱅크 스의 ‘문화개발 유형 단계’를 한반도에 적용하여 통일을 지향하는 문화 간 감수성 유형 특성을 단계별로 제시하고, 단계별 특성 및 자기 성찰 질문의 형태로 정리했다. This study aims to find ways to promote intercultural sensitivity based on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as a theoretical background. Multiculturalism and interculturalism are basically positions that respect cultural diversity and promote coexistence between cultures. Intercultural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cultivating 'intercultural sensitivity' as a tendency and a capacity to accommodate each other's 'differences' in meetings between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From this point of view, this study looked at the equity teaching and the culturally responsive teaching, and sought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to the peace and unification education on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n particular, by applying Banks' ‘Culture Development Type Stag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characteristics of intercultural sensitivity patterns aimed at peace and reunification were presented in stages, and staged characteristics and self-reflection questions were summarized.

      • KCI등재

        한국 드라마의 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특징 연구 - 중국에서 드라마 <sky캐슬>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

        팡샤오 한국연기예술학회 2019 연기예술연구 Vol.16 No.3

        이 연구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Intercultural Communication)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 드라마가 중국 시장에서 성공한 내적 이유를 제시한다. 다문화 시대와 글로벌 환경에서 한국은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통해 전 세계에 국가 문화를 드러냈으며, 외래문화의 충격은 한국본토 문화에 오히려 발전의 자 양분으로 작용하였다. 서로 다른 국가 사이의 문화 커뮤니케이션은 사회와 문화 배경이라는 거시적 환경 과 밀접하게 연관 되어 있다. 한국 드라마 <sky 캐슬>은 문화 커뮤니케이션에서 문화 심층 구조를 기 반으로 시청자들로 하여금 문화정체성 (Cultural identity), 즉 문화적 동일시 현상을 이끌어내고, 현실 사 회에 존재하는 위선적 현상을 지적하여 중국에서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을 성공적으로 형성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sky 캐슬>은 중국의 사회 현실과 시청자의 심리에 맞게 교육적 주제를 부각시켰다. 둘째 한 국 드라마는 다른 나라 문화의 심층 구조적인 관계를 맺음으로써 시청자들의 문화 정체성을 얻는데 성공 한다. 셋째 체면이론(FTAs)의 드라마 속 표현은 다양한 나라의 문화에 대한 시청자의 이해를 깊게 한다. 본 연구는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학 이론을 토대로 드라마 <sky 캐슬>의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고 한국 드 라마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특징을 연구하여 이를 통해 기타 국가들의 드라마와 영화 작품의 해외 수 출에 참고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사회 및 문화 환경을 토대로 한국 드라마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고, 중국 시청자의 시청 심리와 선호를 알 수 있으므로 실제 상황에 따라 더욱 많은 우수한 국제적 작품들을 창작할 수 있다. Combining with the theory of transcultural communication, the study reveals the internal reasons of the success of Korean TV drama's spreading in Chinese market. In the era of multiculturalism and globalization, Korea demonstrates its national culture through the TV drama's transcultural communication to the whole world. In addition, the impact of foreign cultures has brought infinite chance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local culture. Cultural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countries heavily depends on the sociocultural background. Korean TV drama SKY Castle has achieved its success in transcultural communication in China, which is based on the deep structure of culture, gaining cultural identity of the viewers, and revealing the false face phenomenon in the real society. The results show that, first of all, Sky Castle highlights the educational theme in line with China's social reality and audience psychology. Second, Korean TV dramas can gain the cultural identity of the audience by establishing a deep structure relationship with other countries' cultures. Third, the performance of face theory in TV dramas can deepen the audience's understanding of different countries' cultures. Based on the three theories of transcultural communication, the thesis analyzes the text content of SKY Castle and studies the features of Korean TV drama's transcultural communication, aiming at providing references for the export of television works in other countries. Furthermore, the analysis of Korean TV drama based on postmodern sociocultural background not only helps us know more about the actual communication effects, but also helps us to learn more about psychological demands and preferences of Chinese viewers, promoting the creation of international works based on the market dem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