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통합적 고찰

        손현미,제민지,이병준 한국문화교육학회 2014 문화예술교육연구 Vol.9 No.4

        This study was to draw the attributes of nursing with cultural competency based on an integrative review and to present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cultural competence promotion programs for nursing. Using combinations of the terms 'multiculture', 'cultural competence', 'nursing', and 'medicine' as key words, the researchers searched relevant studies in three electronic databases. Twelve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full text screeing of related research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from January 2004 to June 2014. Through in-depth discussion and investigation of the relevant literature, four components emerged; 1) cultural awareness, 2) cultural acceptance (attitude), 3) cultural knowledge, 4) cultural skill (practice). This study provide comprehensive prospective and basic standards for cultural competence program of nursing. Future program for improving the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hould included these four compon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continuous effort is needed to integrate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in curriculum of nursing college and continuing nurse education. Repeated study related to cultural competence of nursing should be also necessary. 문화적 역량은 다른 문화적 특성을 이해하고, 편견 없이 다른 문화의 사람들과 적절하고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능력으로, 특히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대상자를 접하는 간호사에게 중요한 핵심역량으로 제시되고 있다. 최근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결혼이주여성의 증가로 다문화 대상자가 증가하면서 국내에서도 이러한 인식이 증가하게 되었다. 문화적 역량을 갖춘 간호사는 다른 문화에 따른 가치나 태도를 이해하고 존중하며, 문화적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개별화된 간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국내에서 문화적 역량과 관련한 간호연구를 통합적 고찰의 방법을 통해 분석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통합함으로써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속성과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분석에 선정된 연구는 총 9편으로 이 중 문화적 역량 증진을 위한 중재연구는 3편에 불과했다. 모두 2010년 이후에 발표되어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국내 연구가 초기단계임을 알 수 있었다.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한 속성은 문화적 지식, 문화적 인식, 문화적 수용성(태도), 문화적 기술(행위)의 4가지로 확인되었다. 국내 간호사의 문화적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해 대학의 교육과정과 간호사 보수교육에 이에 대한 교육이 포함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개발 시 4가지 속성이 고려되어야 한다.

      • KCI등재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특성이 작업치료 전공 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이안나,이수휘,전현정,채명훈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 2020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Vol.10 No.2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 특성이 그들의 문화적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지닌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작업치료를 수행할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역량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전라남도 및 광주광역시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155명의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9년 8월 20일부터 2019년 9월 20일까지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일반적 특성, 문화적 공감태도(SEE), 성격요인 (BFI), 문화적 역량(CCAI) 설문지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 역량의 평균 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성별에 따른 문화적 역량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정을 실시하였 다. 또한 문화적 공감태도, 성격요인, 문화적 역량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본 연구 결과 문화적 역량은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은 문화적 역량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화적 공감태도(β=.357), 성 격요인 중 개방성(β=.253)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본 연구는 작업치료 전공 학생들의 문화적 공감태도와 성격요인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의 문화적 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cultural empathy, and personalities on cultural competence among university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Methods : One-hundred and fifty-five university students of occupational therapy in Jeollanamdo and Gwangju completed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a demographic questionnaire, the Scale of Ethnocultural Empathy(SEE), Big Fie Inventory(BFI), and (CCAI).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among demographic variables, cultural empathy, personalities, and cultural competence,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nalyzed by using SPSS 24.0 for Windows. Results :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differences in neuroticism and conscientiousness by gender. Also,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cultural empathy, person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Lastly, cultural empathy(β=.357), openness(β=.252), and school year(β=-.148)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cultural competence. Conclusion : The results of this study clarified the relationships among cultural empathy, personality, and cultural competence, and will provide data for the education program to enhance the cultural competence of undergraduates of occupational therapy.

      • KCI등재

        문화적 역량과 구성 요소에 대한 프랑스의 담론

        이은적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프랑스에서 '역량'의 용어 사용은 큰 관심 속에 확산되고 있다. 이 용어는 직업 세계의 담론에서 먼저 등장하고, 그 후 교육계에 전해졌다. 역량은 지식, 기능, 기술 등의 단순한 소유가 아니라, 새로운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이들을 가동시키고 융합하는 능력, 즉 특정 과제 수행을 위해 지식, 기능, 태도의 총합을 실행에 옮길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이어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프랑스의 담론을, 문화적 역량이 왜 중요하고 그 구성 요소는 무엇인지에 중점을 두며 검토한다. 문화적 역량은 문화를 공유하는 능력, 문화를 통해 세계를 발견하고 지식과 자신을 구성하는 능력, 열린 의식으로 다양한 문화에 접근하면서 문화적 차이를 판별하고 이를 비평적으로 수용하는 능력으로 논해진다. 예술교과국가 교육과정에서 기대되는 문화적 역량은 ①예술적 감성, 사고 역량, ②문화 이해 역량, ③기술적 역량, ④방법적 역량, ⑤태도적 역량의 다섯 범주로 구분하여 각 하위 요소들을 제시하고 있다. The usage of the term "competency" in France has spread with grand success. This term appeared in the field of professions and has been transmitted in the educational discourse. Competency does not mean the possession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but the capacity to mobilize and combine them in order to solve a task or adapt to the new situations. This study examines the discourse of the cultural competencies, specifically why they are important and what their components are. The cultural competencies refer to the capacity to participate in a culture, the capacity to find a world, and to construct the knowledge and the self through the culture. They also mean the capacity to access to different cultures with an open mind, understanding their differences and accepting them with critical esprit. In the Arts Disciplines Curriculum, the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ies are classified in five broad categories: 1)artistic competencies as a capacity to conceive, project, and make art works, 2)cultural competencies (cultural comprehension) as a capacity to analyze art works, 3)technical competencies as a capacity to utilize materials, tools, media and to put the skill in practice, 4)methodological competencies as a capacity to conduct the documentary research and to master the different steps of the work, 5)attitudinal competencies as attentiveness and participation in the debate with open mind.

      •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

        이강순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는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 요소를 알아보기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은 대중성, 문화 수준 향상, 프로의식, 삶의 질 향상(여가시간 활용), 사회성 등이다. 둘째,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는 아름다움, 다양성, 전통성, 신체표현성, 창의성 등이다. 셋째, 무용현장에서 요구되는 문화적 역량은 전통문화에 대한 교육적 가치, 접근성, 전문 인력 양성, 바른 교육, 재미 등이다. 넷째, 세계화에 요구되는 무용의 문화적 역량은 정체성 찾기, 독창성, 전문성, 무용여건과 제도 조성, 독창성 등이다. 다섯째,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들을 지식, 기술, 태도 등으로 나누면 아래와 같다. 1) 지식 :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중 지식을 대표하는 것으로 전인교육/바른 교육, 사회성, 무용예술교육, 전통성, 아름다움(미적능력), 전문성/전문 프로그램 개발 등이다. 2) 기술 :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중 기술을 대표하는 것으로 신체표현/표현력, 창의성/창작활동, 감성적 능력, 다양성 등이다. 3) 태도 : 무용에서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중 태도를 대표하는 것으로 대중성/사회성, 수용성/포용성, 다양한 교수법, 책임의식, 삶의 질 향상 등이다. The study aims to examine cultural competence in dance using FGI(Focus Group Interview) with 7 people who are dancers and dance educators. According to the results, first, cultural competence in dance is popularity and elevating the standard of culture: Second,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in dance are beauty and variety: Third, cultural competence in dance field is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and easy approach: Forth, cultural competence in dance for globalization is finding identification and originality: Fifth, dividing of cultural competence in dance into three categories are knowledge, skill, and attitude. Education for the whole man and sociality belong to knowledge, expression and creativity belong to skill, and popularity and acceptance belong to attitude.

      • 일본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 문화적 역량에 관한 담론연구를 중심으로 -

        김성숙(Sung-Sook Kim)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에서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담론연구를 중심으로, 일본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구성요소를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와 조사연구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다음의 여러 논의들을 살펴보았다. 1) 문화개념 및 문화적 역량, 2) ‘문화심의회 중간보고’에 대한 각계전문가들의 논의, 3) competency로 대표되는「능력」관 논의, 그리고 4) 일본의 2008년 개정교육과정에서의 역량(competency). 또한, 조사연구에서는 1) 일본의 문화예술․교육행사, 2) 미술관교육, 3) 설문조사에 기초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들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연구 성과로서, 독자적으로 추출해낸 ‘일본의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를 논의별․연구내용별로 종합하여 재정리하고, 이를 다시 1. 다양한 개개인․공동체․혹은 조직에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2. 다양한 개개인, 공동체, 자연 및 사물에 대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 3. 구체적 학문분야에 대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사례―미술과 교육과정)로 세 가지로 범주화하여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일본은 새로운 시대에 어울리는 바람직한 미래의 일본 만들기의 기본적인 사고방식에 기초하여, 양대 목표로 ‘문화예술입국(文化藝術立國)의 실현’과 ‘교육재생’(敎育再生)을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다. 그리고 문화적 역량에 대한 여러 논의도 실천적이며, 전국적 네트워크를 통해 조건이나 환경 등을 새롭게 재정비하며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에 주는 시사점이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tract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ed discourses. The research methodology implemented was literature review and the survey.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researcher has investigated such as 1) the concept of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y, 2) various discourses and responses on the intermediate report of the cultural council , 3) the discussion on the perspectives of the capacity represented as competency, and 4) the competency involved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8 in Japan. Based on the survey, the researcher has discovered the constituent components of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Those elements have been extracted from 1) the art and cultural events in Japan, 2) education in art gallery, and 3) invented questionnaire. As a result, this study has articulated the cultural components of competency in Japan based on the domain of contents and discourses of cultural components. In conclusion, Japan drives forward strongly two aims: actualization of nation based on art and culture, revitalization of education. These policies are implemented to make a desirable nation for the coming new era. The discourses on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is quite practical. Thus the policy to increase cultural competency in Japan is accelerated by nationwide network with a new circumstance and revised system. These findings will give the valuable implications for the cultural policy in Korea.

      • KCI등재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 -다문화훈련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정연 ( Jung Yun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가족복지학 Vol.45 No.-

        본 연구는 다문화실천가의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의 수준을 살펴보고,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해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에 대해 다문화 훈련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연구이다. 다문화 관련기관에 종사하는 실천가 594명을 대상으로 서베이를 실시한 결과, 다문화실천가들의 인종적 편견 및 인종주의에 대한 몰이해의 정도는 우려할만한 정도의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다문화실천가의 문화적 역량의 수준은 문화적 지식과 기술이 문화적 인식과 문화적 태도에 비해 다소 낮게 나타났다. 몰인종적 태도가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은 전체 문화적역량과 문화적 역량 하위요인 대부분에 부(-)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몰인종적 태도와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에 대한 다문화 훈련 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조절효과는 전체 문화적 역량과 문화적 지식과 기술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 실천현장에 기여할 수 있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적 역량을 감소시키거나 증진시키는 주요 영향요인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둘째, 실천가가 어떠한 인종적 태도를 가지느냐에 따라 문화적 역량의 수준이 달리 나타날 수 있다는 의미있는 실증적 결과를 제시하였으며, 다문화 훈련 경험이라는 긍정적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확인함으로써, 문화적 역량 증진 전략을 위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general levels of multicultural service providers` color-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and then to analyze influence of color-blind racial attitudes on cultural competence and how service providers` multicultural training experiences results in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attitude and cultural competence. For this study, data have been collected from surveys on 594 service providers. The result of analyzing levels of service providers`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s turned out to be relatively lower than cultural awareness and cultural attitud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e of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on cultural competence shows that total cultural competence and most of its sub-factors are subjected to the attentive influence. The result of analyzing the moderating effect on the experience in multicultural training in relation between color blind racial attitudes and cultural competence shows the result only in cultural knowledge and cultural skills. This study attempt and its results that may have applicative implications to contribute to the practical field of multicultural social welfare are as follows: First, it offers a basic material for significant factors to promote or to lessen cultural competence. Second, it presents very corroborative results making a point that according to a service provider`s racial attitude, the level of cultural competence will be variable in the field of multicultural practice and offers various experiential bases on the strategies to promote cultural competence by verifying the moderate effect of positive protection factors.

      • 심리학의 영역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모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08 문화예술교육연구 Vol.3 No.2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cultural competencies from psychological perspectives and to indentify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ies. To achieve these aims, this study used following procedures. The study narrowly defined the concept of cultural competence as a specific system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required to create, appreciate, and enjoy arts and culture. Then the study explored presumably related factors such as motivational factors, factors from personality-traits, cognitive factors and psycho-social factors. The study compared these psychological factors of cultural competencies with the ones described in existing studies like the BKJ Project on the key competencies classification. Consequently, many elements were found similar to the ones of existing studiesbut several differences were also observed. Such differences are considered to be based on the gap between the concept of culture and that of cultural competencies. Therefore, the 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ies need to be discussed in consideration of the broad spectrum between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ies. In this regard, interdisciplinary research projects would provide deeper insight into cultural competencies by offering descriptions about culture and cultural competencies from the diverse viewpoints of various domains and analyses of key competencies of cultural competencies based on these observations. 본 논문은 문화적 역량을 심리학적 관점에서 고찰해보고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적 역량의 개념을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고, 감상하고, 향유하는 데 요구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전문화된 체계로 규정하고, 문화적 역량과 관련된 것으로 가정되는 동기적 차원, 성격특성적 차원, 인지적 차원 그리고 심리사회적 차원들을 분석하여, 심리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렇게 분석된 문화적 역량의 심리학적 구성요소들을 BKJ 프로젝트 핵심역량 분류와 같은 기존의 문화적 역량에 관한 연구들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많은 부분에서 기존의 연구들과 유사한 구성요소들이 추출되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서로 다른 차이점들이 나타났다. 이와 같은 차이점들은 문화와 문화적 역량의 개념에 의한 차이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문화적 역량의 구성요소에 대한 논의는 문화와 문화적 역량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다양한 영역에서 문화와 문화적 역량을 기술하고 이를 근거로 문화적 역량의 핵심역량을 분석하는 학제적인 연구 프로젝트는 문화적 역량에 대한 유익한 통찰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개대된다.

      •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cultural competence)에 관한 탐색적 연구

        민선영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08 사회복지 학생연구논총 Vol.1 No.-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에 대해서 국내에서는 실증적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었다. 이 연구는 서울과 경인, 경북 지역에서 19개의 지역사회복지관을 추출하고 이곳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사 9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문화적 역량 수준과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해 분석하였다. 문화적 역량 측정을 위해서는 다문화적 인식, 지식, 기술의 하위 요인을 갖는 Fong, Daniels, D'Andrea(1998)의 척도를 사용하였다.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 수준은 4점을 기준으로 했을 때 2.94로서 비교적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복지사의 역량강화 실천전략, 사회복지 활동의 미시적 가치 인식, 사회복지사의 옹호활동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문화적 역량 제고를 위한 실천적 방향을 논의하였다. Little empirical study has been conducted concerning social worker' cultural competence. Using the sample of 92 social worker selected from 19 community welfare centers,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social workers' cultural competence level and its predictors. This study used the multicultural awareness-Knowledge-and -skills survey developed by Fong, Daniels, D' Andrea(l998) that focuses on measurement of social workers's cultural competence in social work field. This study showed that using 4 points scale, mean of social workers' cultural competence is 294. Using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predictors of the cultural competence, it was found that social workers' empowennent approach, social work micro-idealism and social workers' advocacy practic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s of social workers' cultural competence.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practice for promoting social workers' cultural competence.

      • KCI등재후보

        문화적 역량의 가동 : 코뮤니타스와 창조적 노마드

        김소희 한국문화교육학회 200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4 No.2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한국사회에서 문화적 역량의 가동은 근대의 안팎을 동시에 성찰하는 새로운 지평에 서는 것이다. 세계화의 흐름에서 다문화적 흐름으로 요청받는 한국사회는 사회통합을 활성화하는 역사적인 문화적 역량의 기초를 재발견해야 한다. 이러한 문화통합의 시각은 근대의 동화주의 모델로부터, 전지구적 차원의 공동위험으로부터 공동협력하는 새로운 시각이 불가피하게 요청된다. 이질적인 문화간 단절과 갈등을 뛰어넘는 다문화소통이야말로 문화적 역량을 활성화하는 지속적인 기반이다. 이 기반의 폭발핵은 문화적 역량을 가동하는 코뮤니타스의 계기로서 근대에서 잃어버린 집단감흥의 향유세계이다. '함께-하는' 공동체적 열정은 이질적인 문화적 갭을 일순간에 뛰어넘을 뿐만 아니라, 잠재하는 향유세계를 새로운 소통으로 활성화하는 다문화의 가교이다. 문화통합자인 창조적 노마드로서 주사위인간은 유폐된 열정을 새로운 노마디즘의 기회로서 가동하여, 상이한 문화를 포용하고 공동구성하는 통합의 생성력을 높인다. 이 논문은 다문화사회에서 문화적 역량을 바라보는 시각이 근대의 결핍과 경쟁의 매몰로부터, 다문화를 포용하면서도 '공동향유'하는 다문화사회로의 주목해야 할 초점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In Korean society, having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the mobilization of its cultural competence is to stand on a new horizon from which we introspect both the inner and outer aspects of the modern age. In the stream of globalization, the Korean society that is asked for a multi-cultural stream should rediscover the bas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ompetence activating the social unity. This viewpoint of the cultural unity is inevitably demanded from a new viewpoint of cooperating against the common danger on the world-wide level from the modern 'assimilationism' model. The very multi-cultural communication getting over the separation and disagreement between the heterogeneous cultures can be a successive base activating the cultural competence. The explosive core of this basis is the communitas moment mobilizing the cultural competence and the world enjoying the ‘group impression' lost in the modern age. The 'cooperating' community passion can overcome immediately the gap between the heterogeneous cultures and also be the multi-cultural bridge activating the latent enjoyment world as a new communication. The man of a die who is a 'creative nomad' and unites cultures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of unity that will accept and form together different cultures by using the 'confined' passion as an opportunity of new nomadism. This paper has examined closely that the viewpoint of considering the cultural competence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should pay attention to the multi-cultural society that can accept and 'enjoy together' the multi-culture from the abyss of the modern deficiency and competition.

      • KCI등재

        수출업자의 공감능력이 문화적 역량 및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갑연 한국기업경영학회 2021 기업경영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한국 중소기업 수출 담당자들의 공감능력이 문화적 역량을 영향을 미쳐, 문화 간 의사소통역량을 높이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수출업자의 공감능력을 인지적, 정서적 공감능력으로 문화 적 역량을 문화적 인식, 지식, 경험으로 구분하여, 수출업자의 공감능력이 문화적 역량을 통해 문화 간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키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표본은 한국무역협회 회원사 중 212개의 중소제조기 업 수출 업무담당자로 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수출업자의 인지적, 정서적 공감능력은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소 인 문화적 인식, 지식, 경험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수출업자의 문화적 역량의 하위요소 중 문화적 인식과 지식은 문화 간 의사소통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지만, 문화적 경험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수출입업자의 호의적인 관계 증진에 있어 요구 되는 수출업자의 문화 간 의사소통역량을 높이는 공감능력과 문화적 역량을 살펴봄으로써 중소기업이 수출업 자의 이러한 역량들을 증진시키기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Despite the active trade between exporters and importer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in a global environment, research on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the international management field was insufficient. In particular, despite the fact that exporter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in forming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importers in international trade, studies to understand the ability of exporters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are lack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exporter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SMEs) in Korea are able to improve their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thereby enhancing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In other words, this study divides the empathy of exporters into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into 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whether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of exporters improves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through cultural awareness, knowledge, experience. To examine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212 export managers of small and medium-sized manufacturing companies in Daegu and Gyeongbuk.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mpathy of expor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of the sub-elements of cultural competence, such as cultural awareness, knowledge, and experienc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cultural awareness and knowledge among the sub-elements of the cultural competence of expor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but the cultural experience did no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strategic plans for SMEs to enhance competencies of exporters by discovering the empathy and cultural competence required to improve the intercultural communicative competence, which is necessary for improving the friendly relations of exporters and impor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