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다문화사회 이행기 다문화융합세대를 위한 다문화 정책 방안 고찰

        김홍길,임영언 재외한인학회 2022 在外韓人硏究 Vol.5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cy measures for the social settlement of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in order to minimize social and cultural conflicts in a situation where the transition of Korean society to a multicultural society is inevitable.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olicy considerations for immigrants who have established a foothold in Korean society due to prolonged stays rather than the approach that the introduction of foreign workers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of the Korean multicultural society is a replacement for foreign workers due to a lack of jobs is necessary. Second, if Korean society helps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to form an open attitude that transcends ethnic and racial boundaries in adolescence amid the spread of multiculturalism and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with other ethnic groups and ethnic groups, it will have a great impact on the stability of Korean society. Third, therefore, it is time to develop various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improve the multicultural acceptance of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who will become the leaders of future Korean society, and to develop appropriate measures and scientific verificatio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se programs. In conclusion, in order for the multicultural convergence generation residing in Korea to settle down, it is time for an active policy improvementplan to ensure a happy life by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to overcome the inconvenience or discrimination in occupational and social status in Korean society in economic terms.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사회 내 외국인 인적 구성변화 등 다문화사회로 이행이 불가피한 사회적 상황에 진입함에 따라 이에 따른 사회갈등과 문화충돌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2000년대 이후 다문화융합세대의 사회적 정착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고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한국 내 다문화 현상, 이주민과 주류 한국인사회의사회통합문제, 차세대 다문화주의 정책의 방향 등을 살펴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다문화사회 이행기 외국인력 도입이 단지일자리 부족에 따른 외국인력의 보완 대체라는 측면에서 접근하기보다는 체류의장기화로 한국사회에 터전을 잡은 외국출신 이주자들의 사회정착을 위한 정책적배려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사회가 다문화주의 확산 속에서 미래주역이 될 다문화융합세대들이 가진 특수성을 수용하지 못하고 편견과 차별적인태도를 견지한다면, 향후 한국사회의 집단적 갈등은 더욱 심화 될 가능성이 매우큰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정부가 청소년기 다문화융합세대에게 민족과 인종을 초월한 개방적 태도를 수용하고 다른 민족이나 인종과 포용적인 관계를 형성하도록 도와준다면 그 경험은 성인기 미래 한국사회 발전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이를 위해서는 미래 한국사회의 주역이 될 다문화융합세대의 다문화 수용성을 향상해주는 다양한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이러한 프로그램의효과를 평가할 수 있는 적절한 척도와 과학적 검증이 가능한 다문화 정책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현재 다문화사회 이행기 한국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한국거주 다문화융합세대들이 한국사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삶의 질 개선을 통한 행복한 삶의 보장과 경제적 측면에서 직업적 사회적 지위상의 안정과 차별을 극복할수 있도록 적극적인 다문화 개선방안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문화융합에 의한 창조경제와 지속가능발전

        이혜주(Hyejoo Lee),최은희(Eunheui Choi) 지속가능과학회 2013 지속가능연구 Vol.4 No.3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사회문화 창출을 위한 감성문화융합을 통한 창조성의 접근으로 크게 기술을 통한 융합, 삶의 공간속에서의 융합, 인문?예술을 통한 문화융합,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융합 등으로 분류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기술융합에서는 디지로그라는 말로 대변되듯이 웰빙, 의료, 의류, 식품 등 제반 분야에서 기술과 감성문화가 융합되고 있는 현상이 발견되었다. 삶의 공간 속에서의 융합에서는 다차원적인 감성을 제공하는 창조도시가 관광객을 유치하는 등 고부가가치를 창출함을 인지하였다. 인문예술을 통한 문화융합에서는 한류3.0과같이 문화가 경제성장에도 기여하며, 사회혁신 요소로서 통합적 디자인으로 진화하며, 명품으로의 업사이클(upcycle) 전략 및 엔터테인먼트 융합 요소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주요 요소로 도출되었다. 브랜드커뮤니케이션 융합에서는 대내 구성원을 커넥션으로 연계하여 조직을 운영하고 있으며, 기업의 가치 공유를 위해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에서 CSV(Creating Shared Value)로 변화하고 있으며, 환경융합을 통한 지속가능발전을 지향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문화감성융합이 창조경제 기반인 창조성 발현에 기여하는 주요 요소임을 도출해 내었다.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established a development of a “creative economy” as a new model for Korea in the pursuit of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systematic methods for the new society have not been proposed satisfactorily so far. With this in mind, this paper presents concrete strategies for achieving this goal, based on the analysis of "creative economy" related news reports since the launch of the new Administration. This research proves that convergence of emotion and culture in the whole area of our society is critical to a creative economy. Convergence of culture into high technology, derivation of emotional value through culture, creation of humane life space, and economic growth through brand communication are essential to added value economy and society. In conclusion, the creative economy of Korea can be achieved by converging and circulating culture holistically.

      • KCI등재

        한국문화의 특징, `융합(融合)`에 대한 고찰

        정경조 ( Jung Kyeong-jo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6 韓國思想과 文化 Vol.85 No.-

        한국인의 문화와 기질을 두루 아우를 수 있는 말인 `융합`은 `둘 이상이 모여 무언가 새롭고 유익한 형태가 만들어지는 창조적 섞임`의 융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융합은 한국인의 언어와 전통적 생활 저변에 공통분모로 내재되어 있는 핵심 가치이다. 한국어에는 한국인들이 공유하는 생각과 정서, 사고방식과 의식구조 등, 이른바 한국문화 의 전반적인 요소가 그 속에 고스란히 융해되어 있다. 한국어 중에도 특히 한국인들에 의해 생성된 토박이말에서는 더욱 확실하다. 우리말에는 나들이, 빼다지, 여닫이, 승강기 등 반대되는 요소를 하나로 묶은 단어가 수없이 많다. 영어의 `going out`, 한자말의 `외출(外出)`처럼 한 방향만 나타내고 있는 것과는 달리 `나들이`는 쌍방향으로 구성되어 있는 말이다. 조화와 융합을 추구하는 한국인의 특성은 음식에서도 잘 드러난다. 한국 음식의 주된 특징은 `어우러지는` 데 있다. 다양한 맛, 냄새, 질감, 온도의 조화로운 혼합으로 이루어진 밥상이야말로 한국음식을 완벽하게 대표하는 요리라는 것이며, 밥상에 담긴 조화로움을 한식의 매력으로 강조한다. 우리나라 음식은 독립된 개별 음식 맛을 즐기는 서양의 것과는 대조적으로 한데 섞이고 어울려서 어느 것이 어느 맛인지 모르게 융합된 맛이며, 우리는 어떤 하나의 맛을 즐기는 것이 아니라, 맛과 맛의 관계에서 생기는 맛을 느낀다. 각각의 요리를 순차적으로 즐기는 서양이나 중국 등과 다르게 모두 한 상에 차려놓고 함께 먹는 한국 음식은 `관계의 틈새에서만 존재`하는 것이다. 한국 전통 주생활문화를 대표하는 한옥은 한민족의 정서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는 장소다. 한옥의 가장 큰 특징은 두 개의 문화를 한 공간에 구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한옥은 남방문화인 마루와 북방문화인 온돌이 하나의 건축물에서 만난 희귀한 사례다. 이 두 구조는 아주 이질적이지만 이 상극(相剋) 요소가 오랜 세월을 두고 조금씩 절충되면서 적절히 조화하여 공존하는 제도로 정착한 집이 한옥이라면, 한국인의 의생활 문화에서도 융통성과 가변성의 한복 `치마`를 중심으로 관계론적이고 융합적인 한국문화의 특징이 확인된다. 한복은 그때의 정황에 맞춰 입을 수 있는 융통성을 전제로 디자인된 옷이다. 입체적인 양복은 모양이 완성돼 있어 옷에 몸을 맞추는 데 비해 평면구성인 한복은 옷이 몸에 맞추는 사람 중심의 옷이다. 한국인의 융합기질은 우선 두 극단을 조화시키고 모순을 화합시키는 중용의 문화 양단불락(兩端不落), 양자병합(兩者竝合)의 사고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양극단의 선택지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나머지 하나를 포기하는 소위 양자택일적 사고가 아니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이는 두 가지 극단적 성향을 하나로 끌어안는 것이 양단불락 또는 양자병합적 사고이다. 모순을 껴안는 힘은 내면에서 그 모순을 회통시켜 새로운 조화와 균형을 창조해내는 한국의 에너지라고 할 수 있다. 이때 모순은 갈등으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창조의 동인이 된다. 또한, 한국인의 융합기질의 밑바탕에는 삼재사상(三才思想)이 자리하고 있다. 삼재사상(三才思想)이란 하늘과 땅. 사람이 하나이고, 우주가 하나의 공동체라는 천지인합일 사상을 말한다. 이처럼 하늘과 땅과 인간이 하나의 통일체라는 삼재사상(三才思想)이 한국문화의 기층을 이루고 있었고. 이로 인해 한국인의 의식 속에 자연과 인간이 둘이 아닌 하나의 유기체이며, 대립구도가 아닌 공존공생의 구도라는 개념이 자리하게 되었다. 한국 문화의 융합적 특질은 결국 양자병합, 삼재사상과 어울림 관계 문화의 유기적 관계 속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 모순을 동시에 수용하는 한국인의 기질적 특성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독특한 문화를 만들었다. 한국문화는 이러한 통합 혹은 융합의 정신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관용, 나눔, 어울림 등의 글로벌한 가치가 있다. The convergence which contains Korean culture and characteristics can be the creative and mixed convergence with which somethings more than two can put together and then produce something new and useful. This is the vital value that Korean language and tradition have had basically. Most of Korean cultural characteristics, including Korean`s way of thinking and consciousness structure, have converged on Korean language. It`s more certain for Korean native tongues. There are so many Korean words to combine two opposite meanings into one word, such as 나들이, 빼닫이, 여닫이, 승강기. Likewise, `Elevator` in English is coined from `elevate` which means going upward, but `승강기` in Korean means going up and down. The two opposite actions, going up and coming down, are joined into one word because it is affected by Korean cultural traits to put together the opposite phenomena. Korean languages have grown up in the influence of Chinese characters but they have kept their unique properties. The reason that it is possible to combine two opposite meanings is that Korean language has the power to integrate somethings contradictory. Languages can reveal that the Occident people tend to think by way of separation and Koreans do by way of unification. Korean food also reveals the traits for harmony and convergence. Korean food is oriented to eoullim which means minglement. The table based on the minglement of various tastes, smell, feeling and temperature may be the most perfect Korean food and the harmony on the table is the attraction of Korean food, Hansik. Unlike the western food enjoyed separately, Korean food is the mixed and converged taste. We Koreans not enjoy only one food but the taste made by the relation between foods. Korean food can exist on the gap of the relations. Hanok can represent Korean housing culture and Korean sentiment. It contains the space which may show two cultures. Hanok has the maru of northern culture and the ondol of southern culture. They are very different but they have been put together as time passes and got to co-exist in Hanok. Hanbok by freehand cutting can be a three dimensional clothing when it is dressed. Though the dress of western style by draping cutting is fixed, Chima can be flexible in accordance with one`s body type. It can give us comfort and economical profit. Hanbok can be adaptable according to the size of clothing. It seems not only to be open but also to be close. It is linked with the space or margin of Korean traditional lifestyle. It focuses on adaptability more than fit, which really values the space or margin. Compared with the western dress, Chima is definitely versatile. The trait of Korean convergence originated from Yangjabyeonghab(兩者竝合) which means harmonizing two extremes and mediating contradictories. This philosophy is to merge things that look seemingly contradictive, instead of selecting one and discarding the other. The Korean energy to accept those conflicts can create new harmony and balance. Likewise, the trait of Korean convergence is based on the idea of Samjae(三才思想), which means the heaven(天), the earth(地), and the human(人) are one and the universe is the one community. Korean culture has been based on this Samjae idea, so Koreans tend to think Nature and Human have not the antagonistic relationships but the coexistence relationships. In conclusion, the Characteristic of Convergence in Korean Culture originated from the organic whole of Yangjabyeonghab(兩者竝合), the idea of Samjae(三才思想) and Eeoullim relationships. With these traits, Koreans have produced very unique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creative and mixed convergence in Korean Culture may be the global values.

      • KCI등재

        비대면 융합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사례 연구

        권현우(Hyunwoo Kw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 19 시대의 비대면 온라인 문화예술교육에서 테크놀로지와 예술이 융합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에 대해 사례를 들어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비대면 문화예술교육의 한계점을극복하고,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을 실천해 나가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목적을 위해 2021년 7 월부터 11월까지 거쳐 온라인으로 진행된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주말예술캠퍼스 “또 다른 i”의 사례를 중점적으로살펴보았다. 당초 대면 교육으로 기획된 프로그램이었으나, 펜데믹으로 인해 비대면으로 전환되어 비대면 온라인교육으로 기획, 설계, 시행, 평가의 4단계를 거쳐 운영되었다. “또 다른 i”는 VR과 스토리텔링이 결합된 융합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현실 세계의 나를 바탕으로 가상현실에서의 나와 만나보며 또 다른 새로운 나를 찾아가는여정을 담은 프로그램이다. 본 사례를 통해 온라인 플랫폼 활용한 소통으로 라포 형성의 가능성을 확인 하였으며 기술과 예술이 융합한문화예술교육의 새로운 개발 및 운영 사례를 제시하였다. 하지만 운영결과에서 나타나는 한계점으로는 온라인 플랫폼의 한계, 참여자 간의 소통 문제, 기술 융합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적정 기술 수준 문제 등이 나타 났으며,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프로그램 준비과정에서 더욱 세밀한 준비와 시큘레이션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통한시사점으로 비대면 온라인교육에 대한 시각의 변화 요구, 비대면 상황에 맞는 라포 형성 활동, 다양한 플랫폼과소프트웨어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노력, 기술과 결합한 문화예술교육의 프로그램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비대면 온라인 융합교육이 대면 수업의 대안이 아닌 새로운 형태의 문화예술교육의 한 축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향후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In this study, we tried to examine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a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technology and art in non-face-to-face online culture and arts education in the era of COVID-1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non-face-to-fa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to seek ways to practice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For this purpose, we focused on the case of “Another i”, the weekend art campus of Dream 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which was conducted online from July to November 2021. The program was originally planned as face-to-face education, but due to the pandemic, it was switched to non-face-toface and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was operated through four stages: planning,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other i” is a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program that combines VR and storytelling.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apport was confirmed through communication using an online platform, and a new development and operation cas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at converges technology and art was presented. However, the limitations of the operation results include the limitations of the online platform, communication problems between participants, and problems with the appropriate skill level in technology convergence culture and arts education. ration is required A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suggested a change in perspective on non-face-to-face online education, rapport formation activities suitable for non-face-to-face situations, continuous efforts to adapt to various platforms and software, and preparation of programs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mbined with technology. Future research should be continued so that non-face-to-face online convergence education can move forward as a new form of cultural arts education rather than an alternative to face-to-face classes.

      • KCI등재

        루트 번스타인의 이론에 기초한 문화예술교육 분야 융합교육 수업방안 연구

        이보림 한국문화교육학회 2022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ximize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art on a broader basis by preparing convergent educational goals and educational methods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first, the Root-Bernstein couple's '8 Basic Goals for Integrated Education Orientation' and the '13 Tools of Thinking' discussed to enhance integrated understanding were reviewed, and then reorganized to be suitable for culture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n addition, the founda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was laid by considering the goals within the educational standards for each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developed by the Korea Arts & Culture Education Service in 2011 and setting the core common goals of art education to a total of six. In addition, by examining the projects of the Kumdarak Saturday Culture School supported by the Sufficient Cultural Foundation in 2021, the current aspect of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 was confirmed. Finally, by synthesizing these contents, a convergence class plan for culture and arts education was proposed. Accordingly, the 13 Tools of thought proposed by the Root-Bernstein couple are suitable as strategies for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have high similarity between educational goals in 10 fields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rough this study, it is hoped that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can be implemented more effec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문화예술교육 분야 융합교육을 위한 융합적 교육목표와 교육방법을 마련함으로써 학습자로 하여금 더욱 폭넓은 토대에서 예술의 종합적 이해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루트 번스타인 부부의‘통합교육 지향을 위한 8가지 기본 목표’와 함께 통합적 이해를 높인다고 논의된‘13가지 생각의 도구’를 고찰한 후, 이를 문화예술 융합교육에 적합할 수 있게끔 재구성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진흥원에서 2011년 개발한 문화예술교육 분야별 교육표준 내 목표를 10개 분야에 대해 고찰한 후 예술교육의 핵심적 공통 목표를 총 6개로 공통되게 설정해봄에 따라 융합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충분문화재단에서 2021년 지원한 청주지역 꿈다락 토요문화학교 사업들을 살펴봄으로써 현재 현장의 융합교육적 양태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내용을 종합하여 문화예술교육 융합 수업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루트 번스타인 부부가 제안한 13가지 생각의 도구는 문화예술교육 분야 내에서 융합교육 방안의 전략으로 적합하며, 문화예술교육 10개 분야의 교육목표간 유사성이 높다는 것과, 현재 현장 교육프로그램 사례에서 융합교육적 양태를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과, 문화예술교육 10개 분야 내에서 융합교육을 실시할 때 각각의 차시에 적절한 교육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사실과, 문화예술교육에서의 융합교육 실행 시 다양한 분야 중 어떠한 분야에 중점을 둘 것인지 고려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에서의 문화예술 분야의 융합교육이 더욱 실효적으로 실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

      • KCI등재

        청소년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개발 연구

        조정은(Jeoung-eun Cho) 문학과언어연구회 2018 문화와 융합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문화예술지원 사업의 활성화로 인하여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에서 각 기관에서 운영하고 수행할 수 있는 청소년의 문화예술교육을 위하여 융합프로그램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융합프로그램의 설계를 논의 하였고, 교수과정에서는 기능 중심의 실기연습 보다는 학생들의 문화예술적 소양을 높일 수 있는 진로와 체험 중심의 탐구학습을 적용하였다. 학생들이 현재 진행되고 있는 다양한 융합프로그램에 참여하더라도 본질적인 미적 체험이 없다면 이를 생활에서 적극적이고 지속적으로 참여를 이끌어 갈 수 없기 때문이다. 융합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하여 일반적인 프로그램이론과 함께 모형에 필요한 요소를 추출하여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융합프로그램 개발모형을 제시하였다. 학교문화예술교육을 위해서는 자유학기제에 적용할 수 있는 융합프로그램과, 사회문화예술교육을 위해서는 시설에서 적용할 수 있는 융합프로그램으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학교 융합프로그램의 개발의 요소는 학습목표, 교수과정으로 학습활동과 학습내용 그리고 평가 등의 요소이며, 사회 융합프로그램의 개발 요소에서는 학습대상자의 구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교수과정에서 나이 차, 학년 차를 고려하여 협력적인 융합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예술교육을 위한 융합프로그램의 적용에서 유의점과 제언을 논하였다. As support for cultural and art projects grows, various programs have been implemented according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 convergence program for the youth that can be used at related institutions. To this end, we discussed how to design a convergence program, and regarding teaching aspect, we applied an exploratory learning centered on career search and experience, instead of focusing on convergenceal practice, so that students can acquire more artistic knowledge and refinement. The reason for this approach is that even if people participate in various convergence programs, it is hard to continue convergence activities in daily life without going through a fundamental aesthetic experience. We proposed a dual program: a convergence program for schools to apply during the free semester, and a convergence program for other social institutions. Development of the school convergence program involves considerations for the goal of the program, and for teaching aspect, learning activities and contents and student evaluation.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program for other institutions involves considerations for difference in learners age and grade as participants vary in age unlike at school. Lastly, we identified what needs to be considered in applying the proposed convergence program for art and cultural education.

      • KCI등재

        문화예술 융합교육을 통한 창의성 함양 가능성 모색

        홍병선(Hong, Byung-S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17 문화와 융합 Vol.39 No.5

        문화예술은 이제 디지털 기술과 접목되면서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어 언제 어디서나 곧바로 접근할 수 있다. 또한 누구든 원하기만 하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기도 한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은 이전과는 전혀 다른 모습으로 우리의 삶 곳곳에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인간의 정서를 계발하고 삶을 풍요롭게 변화시키는 주된 요인은 문화예술교육에서 비롯된다고 했을 때, 그 교육 역시 현대 문화예술이 갖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해야만 할 것이다. 문화예술이 융합인재교육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최근 들어 그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문화예술교육을 통해 현대의 복잡한 문제에 대한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과 함께 의사소통 능력의 함양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말하자면, 이질성의 수용, 긍정적 자아개념, 권위와 타성의 극복이라는 관점에 비추어 현대 과학 및 테크놀로지 등과 접목된 미래 융합형 인재교육이 절실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문화예술 융합교육을 통해 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양성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이 융합교육을 위한 실질적인 대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 Culture and art is now accessible anytime and anywhere when culture and art integrated with digital technology beyond time and space. Also opportunities can be provided with anyone who wants to take part. To wit, we can take opportunities to live differently from where we used to every corner and nook. When we mention initially that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is the fundamental element to develop human s emotion and change the way of life productive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s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culture and art in education. Culture and art play an important role not only fusion and human education but also proportion that is increased recently. As a result, to forster the skill of creatively solving problem and communication to the complex issues is important above all through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in this tim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in perspective of the acceptance of heterogeneity, the affirmation of self-concept, and the overcome of authority and inertia, the convergence human education in future should be related to the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 on. Therefore, we have to realize that it is system for the personnel training which we have to set through the education of culture and art as a alternative way practically.

      • KCI등재후보

        문화예술과 콘텐츠 산업 융합 활성화 방안

        김세훈(Kim, Sehun)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3

        이 논문은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의 융합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주목하여야 하는 부분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 졌다. 근래 들어 문화예술과 타 영역간 융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콘텐츠 산업과 문화예술의 융합에 대한 관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두 영역의 융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환경 및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융합관련 담론이나 정책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융합의 결과나 성과들은 크게 눈에 띄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왜 다양한 담론과 정책적 뒷받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융합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어떠한 부분에 기울여져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과 콘텐츠 산업간 융합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분석의 층위를 세 가지 수준, 곧 미시적 수준(융합의 실천가로서의 행위자, human resources), 중범위 수준(두 분야간 융합을 위한 실천적 활동, activities), 거시적 수준(융합을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 policy environments)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의 수준을 이렇게 구분한 것은 기존의 연구들이 융합과 관련된 문제 및 과제들을 병렬적으로 나열함으로써 융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원인을 다소 혼란스럽게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이 논문에서는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간 융합이 융합인재의 양성, 융합을 위한 분야간 교류협력기회,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이라는 차원 모두에서 취약하게 나타남으로써 기대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두 영역간 융합활성화를 위해서 대학정규교육과정에서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과목 개설, 융합을 위한 사업단계의 결합이 아니라 기획단계부터의 결합, 조성된 법적, 제도적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정책적 실천 노력들이 기울여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fromthe policy perspective. Many researches and policy reports underline the necessities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convergence. Interests in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industr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to widen the attention to the convergence.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current situation of the arts and contents industry convergence and recommending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For the purpose, it classifies social environments for the convergence into three levels; micro, mediumandmacro level. Themicro level is related to the subjects who conduct converging activities. It deals with the subjects as human resources for the convergence. The medium level shows mediating activities through which professionals in arts and contents industries meet and interact each other. The macro level points to policy environments and practices to support the activities in micro and medium levels. The results shows that practices for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ies are quite weak in all levels. Human resources are not properly developed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mediating programs between arts professionals and contents industry professionals don’t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ir interaction. Policy practices are not so active, either. As a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o set up new educational curriculum in universities for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and start planning process for the convergence from the beginning, not in the end, of each area’s long-term development idea. It also suggests more active policy practices in fostering the convergence by supporting activities in micro and mediumlevels. 이 논문은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의 융합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하여 정책적 차원에서 주목하여야 하는 부분을 살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쓰여 졌다. 근래 들어 문화예술과 타 영역간 융합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였다. 같은 맥락에서 콘텐츠 산업과 문화예술의 융합에 대한 관심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 두 영역의 융합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환경 및 실천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융합관련 담론이나 정책의 확대에도 불구하고 융합의 결과나 성과들은 크게 눈에 띄지 않고 있다. 이 논문은 왜 다양한 담론과 정책적 뒷받침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융합의 성과가 나타나지 않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노력은 어떠한 부분에 기울여져야 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문화예술과 콘텐츠 산업간 융합환경을 분석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분석의 층위를 세 가지 수준, 곧 미시적 수준(융합의 실천가로서의 행위자, human resources), 중범위 수준(두 분야간 융합을 위한 실천적 활동, activities), 거시적 수준(융합을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 policy environments)으로 구분하였다. 분석의 수준을 이렇게 구분한 것은 기존의 연구들이 융합과 관련된 문제 및 과제들을 병렬적으로 나열함으로써 융합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원인을 다소 혼란스럽게 제시하고 있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이를 통하여 이 논문에서는 문화예술과 콘텐츠산업간 융합이 융합인재의 양성, 융합을 위한 분야간 교류협력기회, 이를 지원하는 정책적 실천이라는 차원 모두에서 취약하게 나타남으로써 기대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하여, 두 영역간 융합활성화를 위해서 대학정규교육과정에서의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과목 개설, 융합을 위한 사업단계의 결합이 아니라 기획단계부터의 결합, 조성된 법적, 제도적 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정책적 실천 노력들이 기울여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fromthe policy perspective. Many researches and policy reports underline the necessities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convergence. Interests in creative economy and creative industry also play an important role to widen the attention to the convergence. This study aims at analysing current situation of the arts and contents industry convergence and recommending policy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the convergence. For the purpose, it classifies social environments for the convergence into three levels; micro, mediumandmacro level. Themicro level is related to the subjects who conduct converging activities. It deals with the subjects as human resources for the convergence. The medium level shows mediating activities through which professionals in arts and contents industries meet and interact each other. The macro level points to policy environments and practices to support the activities in micro and medium levels. The results shows that practices for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ies are quite weak in all levels. Human resources are not properly developed through university education and the mediating programs between arts professionals and contents industry professionals don’t play an important role for their interaction. Policy practices are not so active, either. As a conclusion, this study recommends to set up new educational curriculum in universities for the convergence of arts and contents industry and start planning process for the convergence from the beginning, not in the end, of each area’s long-term development idea. It also suggests more active policy practices in fostering the convergence by supporting activities in micro and mediumlevels.

      • KCI등재

        장애인평생교육 문화융합(cultural convergence) 기반의 발달장애 재활 설계 요소 개발 : 재활과학-특수교육 기초 유관 분야 구심점

        김영준,한승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3

        본 연구는 발달장애인의 독립생활 지원을 위한 실천적 지원체제에 있어 핵심 분야라고 할 수 있는 장애인평생 교육과 발달장애재활 간 문화융합을 위한 설계 요소를 개발하는 데 목적를 두었다. 연구 방법은 특수교육, 재활과학 을 전공한 교수들을 대상으로 2개의 팀을 구성하여 FGI를 실시한 절차가 적용되었다. 연구 내용은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설계되어야 할 요소들이 크게 세 가지의 상위 범주(보편적 문화융합 요소,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각 상위 범주별로 하위 범주가 구체적으로 구 성되었다. 먼저, 보편적 문화융합 요소로는 원리적 차원에서 “개방적 창의융합”이 제시되었고, 이는 발달장애재활과 장애인평생교육 간 문화융합을 위해 유관 분야 간 융합 타당성을 탐구 및 실천하는 원리로 설명될 수 있다. 두 번째 로, 현장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재활과학-특수교육 분야 간 공동 실천 모델 개발, 교과교육 지식 및 기술, 교수․학 습방법, 학습 진로 로드맵 구축, 취업․직무경력 개발 로드맵 구축, 독립생활 개발 이력 인증체계 형성이 제시되었다. 세 번째로, 정책 중심 문화융합 요소로는 지역 유관기관 간 교육과정적 통합 구성체계 형성, 코디네이터형-전문교사 형 전문인력의 자격개발경로 구축, 학교 유형-센터 유형 간 조직적 체계화가 제시되었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인의 독 립생활 지원은 성인기의 전체 생애 동안 장기적으로 보장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문화융합을 통하여 장애인평생교육 기반 발달장애재활의 전문적 지원체제가 구축되어야 함을 결론지을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design elements for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which is a key area in the practical support system for independent life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for the research method, a procedure for conducting FGI by forming two teams for professors majoring in special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science was formed. The research was presented in three upper categories (universal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field-centered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and policy-centered cultural convergence elements) that should be designed for cultural convergence between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subcategories were specifically composed for each upper category. First, as a universal cultural element, open creative convergence was presented in principle, which can be explained as a principle of exploring and practicing the validity of convergence between related fields for rehabilitation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Second, field-centered cultural factors included development of joint practice model between fields of rehabilitation science and special education, subject matter education knowledge and skil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learning career roadmaps, employment and job career development roadmaps, and the formation of an independent life development history certification system. Third, as policy-centered cultural elements, the formation of a curriculum integration composition system between local related institutions, the establishment of a qualification development path for coordinator-professional teacher-type personnel, and the organizational systematization between school-center types were presented. The study concluded that independent life support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not only be guaranteed for the entire life of adulthood, but also a lifelong education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 based rehabilitation support system for individual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cultural convergence.

      • KCI등재

        문화융합시대의 학습 생태와 융합 교육

        박인기 국어교육학회(since1969) 2020 국어교육연구 Vol.- No.72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education corresponding to it. In particular, it is to discuss the value and uti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prepare preparations and alternatives for convergence education. Cultural convergence is a concept called for by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vergence paradigm of digital technology revolution such as AI, Internet of Things, and big data is affecting society and culture and calling for big changes in education. This paper explains an element that creates cultural convergence. Its communication of value, communication of knowledge and technology, communication of language meaning(semantic language), communication of art and communication of media. We looked at how they work in cultural convergence and how they are affected by cultural convergence.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individuals experiencing the process of cultural convergence from daily cultural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self-directedness toward the experience and the desire to synthesize the experience approached cultural convergence.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the two directions of education are emphasized. One is to consider the power of language’s convergence more importantly. The other is to help the ecology of cultural convergence and the learner’s learning ecology to respond. In order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develop in the era of cultural convergence, the total language experiences experienced by learners must be linked to cultural experiences. In addition, the mechanism of convergence of experience should be utilized to make meaningful use of the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이 논문은 문화융합시대의 특징을 살펴보고, 이에 호응하는 교육의 방향을 탐구하기 위한 글이다. 특히 융합 교육의 가치와 효용을 논하고, 융합 교육을 향한 준비와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글이다. 문화융합은 제4차산업혁명 시대가 요청하는 개념이다. AI,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등의 디지털 기술 혁명이 이룩한 융합의 패러다임이 사회와 문화에 영향을 주고, 교육에도 큰 변화를 요청하고 있다. 이 논문은 문화융합을 생성하게 하는 요소로, 가치의 소통, 지식․기술의 소통, 언어 의미의 소통, 예술의 소통, 미디어의 소통 등을 들었다. 이들이 문화융합에 어떻게 작용하고, 문화융합으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는지를 살펴보았다. 또 개인이 일상의 문화적 경험에서 문화융합의 프로세스를 경험하는 심리적 과정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경험을 향한 자기 주도성과 그 경험을 종합하여 쓰려는 의욕이 문화융합에 다가가게 함을 발견하였다. 문화융합 시대에 교육이 나아갈 방향으로는 두 가지를 강조하였다. 하나는 언어가 지닌 융합의 힘을 더욱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문화융합의 생태와 학습자의 학습 생태가 호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다. 국어교육이 문화융합 시대에 발전하기 위해서는 학습자가 겪는 언어 경험의 총체를 문화 경험과 연결되도록 해 주어야 한다. 그리고 체험이 가지는 융합의 기제를 잘 살려서 국어교육의 내용과 방법으로 의미 있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