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문화자본의 생산과 재생산 -거문고 산조를 중심으로-

        송영국 한국국악학회 2006 한국음악연구 Vol.39 No.-

        자본개념으로 거문고 산조의 생산과 재생산을 부르디외의 문화자본론으로 분석하여 보았다. 거문고 산조가 전통사회에서는 전통적인 지식을 바탕으로 혈연과 집단을 중심으로 전승하는 구조를 보이고 있 다. 이러한 전승구조는 계급사회에서 신분적 한계로 인한 전승구조이지만, 문화자본을 생산하는 기능도 수행하고 있었다. 또한 이들 신분집단은 문화자본을 경제 자본화하여 삶의 도구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사회구조 속에서 배타적 독립권을 확보하기 위해 초기 사회화과정을 통해 문화자본을 세습하였다. 또한 18세기 판소리를 통한 신분해방과 사회변화가 새로운 기악 문화를 형성하게 하였고, 초기 미디 어 사회가 거문고 산조 형성에 촉매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이러한 미디어의 영향은 유성기 음반 판매 와 경성방송국의 가야금 산조 방송 송출 횟수 증가로 입증되었다. 따라서 거문고 산조의 문화자본은 새로운 음악소비시장을 개척하고 있는 가야금 산조를 통해 시장 확대에 대한 검증이 확인된 10년 후 미디어 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한다. 물론 거문고 산조의 생산 주체는 가야금 산조와 같이 전문예인집단 출신이나 신청출신이 주도하였다. 근대 사회로 전환되면서 다양한 음악사회의 출현과 전통적 음악집단에 대한 사회적 인식부족으로 인해 새로운 전승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근대 국악교육제도는 새로운 전승구조의 기능을 수행하지만, 여전히 전통적 전승구조는 존재하고 있었다. 따라서 근대 국악교육제도 속으로 유 입되는 산조 명인들은 문화자본을 교육제도 속에서 학교별 집단구조를 통해 세습하지만, 이러한 교육제 도권 안으로 유입되지 못하는 거문고 산조 명인들은 문화자본을 재생산하는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교육제도권 속에서 성장하는 신쾌동 거문고 산조와 한갑득 거문고 산조는 학교를 중심으로 새로운 음악적 지도자들을 양성하고, 소집단들이 형성되면서 암묵적 지식을 통해 문화자본을 생산 및 재생산 한다. 오늘날 거문고 산조는 다양한 인적자본을 통해 집단화되고, 새로운 문화자본을 생산하고 있다. This thesis analyzed the production and reproduction of geomungo sanjo, applying Bourdieu's cultural capitalism, under capital conception. Geomungo sanjo has a structure which hands down, centering on blood ties and groups at the basis of traditional knowledge in traditional society. New musical instrument culture began to be established by status liberation and social change through pansori in 18C, and early media society took a catalytic role in establishing geomungo sanjo. Various musical society appeared and musical groups were recognized in the society, so modern national music education met new transference period in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it's hard to transmit cultural capital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anjo masters accustomed to modern national music education institution transmit cultural capital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rough group structures classified with school in educational institution. But those who are not accustomed to the institution forfeit the function to reproduce cultural capital. Today, Sin Kwae-dong geomungo sanjo and Han Gap-deuk geomungo-sanjo train new music leaders centering on schools. New music leaders establish small groups, and produce or reproduce cultural capital through tacit knowledge of the group. It is why modern national music education takes a role greatly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oday, geomungo sanjo make its groups through human finance, and it produces new cultural finance and prepares for adaptation to change.

      • KCI등재

        문화콘텐츠의 인식범위 확장과 생산ㆍ소비 메커니즘 진단

        김진형(Kim, Jin-Hyung)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2

        ‘문화를 담은 내용물’이라는 문화콘텐츠의 광의적 개념을 따르면, 문화콘텐츠를 종적 차원으로 인식하는 것이 가능하기에 그 인식영역을 ‘전통사회’로까지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인식범위의 확장에 따라 우리나라 문화콘텐츠의 유형적 확대과정을 보면, 1) 상고시대 이전은 축제콘텐츠가 독자적으로 전승된 시기, 2) 상고시대부터 조선후기까지는 축제콘텐츠와 공연콘텐츠가 양립해서 전승된 시기, 3) 구한말부터 일제강점기 초기까지는 문화콘텐츠의 상품화가 이루어지면서 공연콘텐츠 장르가 확장된 시기, 4) 일제강점기는 문화콘텐츠의 유형적 전승축이 양대축에서 삼각축으로 확장된 시기, 5) 현대사회는 문화콘텐츠 유형이 폭발적으로 증가되는 시기로 파악된다. 이와 같은 인식과 내용을 바탕으로,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대표성을 지닌 문화콘텐츠에 나타나는 생산․소비 메커니즘의 차이점을 파악한 결과, 1) 문화콘텐츠의 생산방식을 볼 때 전통사회는 주로 공동작 형태의 생산방식이었는데, 현대사회는 합작 형태의 생산방식이 많다. 2) 문화콘텐츠의 생산기간을 볼 때 전통사회는 장기간이었는데, 현대사회는 상대적으로 단기간이다. 3) 문화콘텐츠의 소비방식을 볼 때 전통사회는 주로 공동적 소비방식이었는데, 현대사회는 주로 개인적 소비방식이다. 4) 문화콘텐츠의 공유방식을 볼 때 전통사회는 무상공유방식이었는데, 현대사회는 유상공유방식에 가깝다. 5) 문화콘텐츠의 생산과 소비의 상호관계를 볼 때 전통사회는 순환관계였는데, 현대사회는 일반적으로 불순환관계이다. 6) 문화콘텐츠의 기능을 볼 때 전통사회는 공동체적 통합을 이루었는데, 현대사회는 상대적으로 개인의 문화적 소비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사회와 현대사회의 문화콘텐츠 생산․소비 메커니즘의 영역별 비교결과, 전비교영역에서 후자가 전자에 비해 생산․소비 메커니즘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현대사회 문화콘텐츠의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통사회 문화콘텐츠처럼 거시적 차원에서 마을공동체 단위의 축제콘텐츠와 공연콘텐츠가 중점적으로 육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미시적 차원에서 공동작 형태의 생산, 장기간의 생산, 공동소비, 무상공유, 순환, 공동체적 통합의 가치가 적용되어야 한다. According to the broad concept of cultural contents - contents produced with culture - it is allowable to recognize cultural contents in vertical levels, which makes it expanded to the traditional society. Based on such expansion of cognitive range, the expansion process of Korean cultural contents by type is as follows: 1) Before ancient times, festival contents were passed down independently. 2) From ancient times to the late Joseon dynasty, festival contents and performance contents were handed down in a compatible way. 3)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the genre of performance contents was expanded with commercialization of cultural contents. 4)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the type of cultural contents was expanded from two large axes to triangular axes. 5) In the modern society, the types of cultural contents increased explosively. Based on the recognition and contents, the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chanism of cultural contents betwee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e modern society. The result is as follows: 1) When it comes to the production method of cultural contents, the traditional society mostly employed group production method, while the modern society mainly used collaborative production method. 2) As for the production period of cultural contents, the traditional society took a long time, but the modern society spent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3) In terms of consumption method of cultural contents, the traditional society was mostly focused on group consumption method, while the modern society was on individual consumption. 4) For the method of sharing cultural contents, while the traditional society took joint ownership, that of the modern society was close to paid sharing. 5) When it comes to the mutual relationship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cultural contents, the traditional society had a recursive relationship, but the modern society had a non-recursive relationship. 6) As for the function of cultural contents, they provided community integration in the traditional society, whereas they satisfied individual desires to consume culture in the modern society. As a result of comparing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chanism of cultural contents in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he modern society by sector, it was revealed that the former had limitations in production and consumption mechanism compared to the latter in all comparison sectors.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of cultural contents in the modern society, it is necessary to promote focused on festival contents and performance contents by community unit in macroscopic scale as in the traditional society. In addition, joint production, long-term production, group consumption, joint ownership, recursive relationship and the value of community integration need to be applied in microscopic scale.

      • KCI등재

        생산부문의 하위문화 특성과 회계통제시스템간의 관련성이 생산성과에 미치는 영향분석

        임규찬(Lim Kyu-Chan) 한국국제회계학회 2006 국제회계연구 Vol.0 No.16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소제조업 생산부문의 대표적인 하위문화 유형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파악된 생산부문의 하위문화 유형과 회계통제시스템간의 관련성이 생산성과에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해 보고자하였다. 하위문화 유형분류는 Hofstede(1998)의 분류방법인 조직 내에 하위문화가 존재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이용한 문화차원을 이용하였다. 통제시스템은 Anthony 등(1992)이 제시한 행동통제와 결과통제로 분류하였으며, 생산성과는 유연성, 시간, 품질을 이용하였다. 표본기업은 중소제조기업 생산부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에 이용한 기업 수는 304개 기업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니라 중소제조기업 생산부문의 하위문화유형은 전문적 하위문화 유형이 48.7%를 차지하였으며, 관리적 하위문화 유형이 29.9%, 방관적 하위문화 유형이 12.5%, 생산적 하위문화 유형이 8.9%의 비율을 보였다. 전문적 하위문화 유형이 생산부문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관리적 하위문화유형에서는 행동통제시스템을 이용할 때 생산성과는 높게 나타났다. 전문적 하위문화유형에서는 결과통제시스템을 이용할 때 시간성과를 제외하고 유연성과 품질성과는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is to grasp what the types of sub-cultures of SMB's production departments in Korea 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sub-cultures in production departments and control system on production performance. This study use Hofstede's culture contexts(1998)to know whether or not sub-cultures exists in the organization. Control system is divided into behavior control and result control proposed by Anthony et als.(1992). And also flexibility, time and quality is used to measure production performances. This study use production departments of Korea's SMBs as samples and 304 SMBs i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48.7% of the type of sub-cultures in production department of SMBs is a liberalism, 29.9% is administrative, 12.5% is professional and 8.9% is production-related. And so liberal sub-culture is given a great deal of weight on production department. Second, the results of hypotheses analysis are as follows. Under administrative sub-cultures, production performance is high when behavior control is used. On the other hand, under the liberal sub-cultures, flexibility and quality except time performance is high when result control is used.

      • KCI등재

        청동기시대 청동제품의 생산전문화 양상에 대한 일 고찰

        조대연(Cho, Daeyoun),이동희(Lee, Donghee) 한국상고사학회 2012 한국상고사학보 Vol.75 No.-

        청동기시대 한반도에서는 적색마연토기, 마제석검, 옥제품, 청동제품과 같은 생산품들이 기존의 가내수공업 단계를 탈피하여 수공업 전문화(craft specialization) 단계에서 제작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서 본논문에서는 청동기시대 남한에서 출토된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을 대상으로 생산전문화 수준을 비교, 검토하였다. 즉, 남한 출토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 중 계량화가 가능한 자료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통해 시간의 추이에 따른 청동검의 생산전문화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생산전문화가 진행될수록 생산품에 나타나는 변이는 줄어들고 생산품은 상대적으로 표준화된다는‘표준화 가설’(standardization hypothesis)을 채택하였다. 토기 연구와 달리 청동기 연구에 표준화 가설이 적용된 사례는 아직 없는데, 청동기 주조의 특성상 하나의 주형에서 여러 개의 주조품이 생산될 수 있으며 이런 사례가 늘어날수록 표준화 가설을 적용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남한에서 동일 용범에서 생산된 것으로 확인된 청동제품은 확인되지 않으므로 이 문제에 대해 표준화 가설을 적용해 볼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었다. 이번 분석에서는 비파형동검과 세형동검의 표준화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전장, 검신 길이, 검경 길이, 전장 대비 검경비율 등 네 가지 속성을 추출하고, 각 속성의 변이계수(coefficient of variation)를 측정, 평가했다. 일차분석 결과, 비파형동검의 경우 완형 제품과 파손품 및 재가공품 사이의 변이계수에 차이가 커서 파손품 및 재가공품을 제외하고 추가로 분석하였으며, 세형동검의 경우, 전장에 대한 분석결과 소형(23㎝미만), 중형(23~27.5㎝), 대형(27.5㎝초과)으로 구분할 수 있어서 이들 중 다수를 차지하는 대형 세형동검에 대해 추가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비파형동검, 성립기 세형동검, 발전1기 세형동검의 순으로 전장 및 검신 길이, 전장 대비 검경비율의 변이계수 수치가 낮아졌으며, 이를 통해 시간이 지나면서 동검이 표준화되었다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청동기시대 후기에 청동검 생산에 있어서 상대적인 표준화가 이루어졌고 생산전문화가 더욱 진전되었다고 이해하였다. 즉 이 시기에는 청동기에 대한 수요가 어느 정도 확대되었고 지속적으로 제품 생산이 이루어졌으며 이에 따라 제한된 원료를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생산전문화가 진전되고 제품의 표준화가 나타난 것으로 보았다. The Bronze Age of the Korean peninsula witnessed the establishment of farming and the increase in social complexity. As a result, various types of tools, the characteristics of which were entir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came to be made and used. For example, it is believed that products such as red burnished pottery, ground stone daggers, and jade objects were not the result of household production, but were rather produced within a system of craft specialization. In relation to this,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and compare the degree of craft specialization of the slender type bronze daggers which have discovered in southern Korea vis-a-vis the Liaoning type bronze daggers. In other words, we compare the data from slender type and Liaoning type bronze daggers which can be quantified, and based on this analysis, attempt to diachronically trace the nature of the production standardization of bronze daggers. This was done by adopting the standardization hypothesis. As the main attributes, the length of the entire dagger, the dagger, and the hilt were measured and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was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did demonstrate a significant difference, which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standardization between the two types of daggers was not similar. Based on thi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degree of craft specialization of bronze products was increased in the late Bronze Age.

      • KCI등재

        근대 이후 학교 미술교육의 문화 재생산적 담론

        정옥희(Jeong Ok-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2

          근대 산업화 이후의 자본주의 사회는 생활의 전 영역이 문화화되어 문화산업이 중심을 이루고 문화생산물이 자본가의 이윤추구에 이용되고 있는 문화 이데올로기의 사회이다. 후기구조주의 사상을 토대로 하는 포스트모던 사회에서는 계몽주의와 과학주의 사상을 토대로 한 근대의 절대적인 지식관과 모더니즘적인 문화적 시각에 대한 질서를 해체하고 상대적 지식관과 다원적 세계관을 향한 문화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으로의 접근이 요구된다. 따라서 문화 패러다임의 변천과 포스트모던 시각에서 바라보는 미술의 사회적 기능은 어떤 특정 지배문화의 재생산적 도구가 될 수 있으며, 제도적인 교육기관인 학교에서의 미술교육은 이러한 특정 문화의 재생산적인 담론으로 해석될 수 있다. 부르디외의 취향과 안목으로서의 미술과 문화재생산에 대한 이론은 근대적 문화 담론으로 형성된 학교 미술교육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필요성을 일깨워준다. 이러한 자각을 기반으로 본 연구는 근대의 문화적 담론과 문화재생산이론을 고찰하고 문화재생산의 관점에서 미술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대한 통찰과 근대 이후 학교 미술교육의 패러다임에 대한 비판적 분석을 제공한다.   As a way of cultural production, art have greatly influenced human’s life. Unlike pre-modern industrial society, modern capital society has been controlled by new mechanism of cultural power. As a modern production, school education have also functioned as a process of cultural succession. Postmodern societies, seeking cultural differences and plurality, need the notion of the social and cultural functions of art and education. This notion is based on the post-structuralism andpostmodernism suggesting deconstruction of modernity which approaches  to art and education in the universal, ahistorical and acultural views of human, and requires the critical understanding of sociocultural contexts and its power mechanism.<BR>  This paper provides the critical insights of the paradigms of modern school art education, examining the discourses of modernity and cultural reproduction theories suggested by Althusser and Bourdieu. In the light of the cultural reproduction theories, the cultural discourse of modernity, modern art and school art educ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to analyse the mechanism of cultural ideology and power controlling human life and modern society. In the shift from the modern paradigm of school art education to visual culture education, this analysis suggests new direction for school art education toward social equality.

      • 문화예술분야 협동조합이 문화예술 생산에 미치는 영향 연구

        안인재(Ahn In Jae) 한국문화콘텐츠학회 2013 문화예술콘텐츠 Vol.- No.9·10·11

        본고는 문화예술분야 협동조합이 가지는 문화예술시장 생산 환경에서의 의미를 발견하는데 목적이 있다. 협동조합은 기존의 상법상의 각종회사, 민법상의 사단ㆍ재단 법인과는 다른 새로운 법인격을 갖는 조직이기 때문에, 문화예술시장에서도 협동조합의 등장은 새로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시장경제 중 문화예술시장의 생산 환경에 미치게 될 영향에 주목하였다. 문화예술시장의 생산 환경을 문화산업생태계구조로 나누어 분석한 후, 협동조합의 등장이 가지는 문화예술생산자 측면과 문화산업 생태계 측면에 서의 의미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문화예술시장은 창작의 핵심인 문화예술과, 문화예술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콘텐츠 시장으로 나눌 수 있다. 문화예술분야에서는 경제적 보상이 충분하지 못하고, 안정적인 일자리를 가지기 어려운 현상이 발견되었고,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콘텐츠 시장의 생태계에서 찾아볼 수 있었다. 대기업의 독점현상이 문화산업 생태계에서 그대로 나타나는 것이다. 따라서 조합원의 이익을 향상을 위한 협동조합은 문화예술 생산자에게 자본주의 기업이 가져가는 투자자의 이익을 조합원에게 돌려줄 수 있어 경제적 보상부분에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다양한 창작활동의 증가와 소비자의 구매요인 증가로 이어져 문화예술시장의 선순환 구조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 된다. 또한 문화산업 생태계 내에서 약자의 입장이었던 생산자들이, 협동조합을 통해 정당한 경제적 보상 및 권리를 찾는데 도움이 될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 협동조합도 시장경제 내의 여러 조직 중 하나이기 때문에 완벽할 수는 없다. 따라서 앞으로 생겨날 문화예술분야의 협동조합에 대한 사례분석과 시장 환경 변화에 따른 지속가능한 방법을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meaning of cooperative for culture and arts in a production environment of cultural arts market. Comparing to various companies on the existing commercial law and other organizations on the civil law, cooperative is completely new type of legal entity. It is expected that the emergence of cooperative would affect afresh to our country s cultural arts market. This paper has focused on the effects of cooperatives in the production environment of the culture and art market in our country s economy. Ecosystem structure of cultural industry is evaluated what the emergence of cooperative means in the two aspects, the producer of cultural arts and the ecosystem of the cultural industry. Cultural arts market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of cultural arts and contents market. While the first roles as the core of production process, the second is built up on base of the first. In the field of cultural art, it is found that the job market and economic incentives are not sufficient and stable; These problems are aroused by systemic feature that the content market has. The dominance of large companies was also projected onto the cultural arts market. Thus, cooperative organization based on the interests of members is expected to bring back the benefit of investors to the union from the capitalist enterprise and increase the variety of creative activities and consumer buying factors which affect the virtuous cycle of cultural art market. It is also shown that the potential for bringing back the original right and the financial compensation to producers who are on the side of the weak at the ecosystem of cultural art. A cooperative organization, the one of the various organizations in the capital economy, cannot be perfect. Thus, it is required to study and analyze more specific cases of cooperative for cultural arts and find a way to sustain the cooperatives in the environmental change of market.

      • KCI등재

        부르디외의 문화재생산이론을 통해 본 한국 학교 미술교육의 제도적 관행

        정옥희(Jeong, Ok Hee) 한국미술교육학회 2009 美術敎育論叢 Vol.23 No.2

        피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1977, 1984/2005, 1992, 1993)는 포괄적인 삶의 방식의 총체인 일상생활의 내면화된 의식과 가치체계로서 문화에 관심을 집중하면서 다양한 문화적 취향이 생산되고 배제되는 사회 계층 간의 제도적 불평등 구조의 원인을 프랑스의 고등교육제도의 관행 속에서 파헤치고자 한 교육사회학자이다. 그는 문화적 취향과 안목은 역사적 산물이며, 특정한 장(場)에서의 아비투스(habitus)를 통해 문화자본이 생성되고 학교와 같은 제도적 이데올로기 기구를 통해 기존에 사회적 권력을 쥐고 있는 특정 계층의 문화가 지속적으로 재생산된다고 주장한다. 그의 문화재생산이론을 통해 학교라는 제도적 교육 장치 속에서 미술을 가르치고 배운다는 것은 그 제도를 만들어내는 사회구성원의 특정한 기질과 성향 속에서 이루어지는 문화적 관행의 하나로 간주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연구는 한국 학교교육의 제도적 맥락 안에서 미술이라는 교과가 어떤 기능을 해왔으며, 이를 통해 어떻게 이데올로기의 내면화로서 문화재생산 기능을 해왔는가를 부르디외의 문화재생산 이론을 통해 비판적으로 고찰한다. 한국 근대화 과정의 역사 속에서 이루어진 제도적 미술교육의 관행에 대한 반성적 고찰은 근대화 이후 빠른 경제 성장과 급변하는 한국의 특수한 자본주의 사회제도 속에서 다양성과 차이를 존중하는 평등한 사회 실현을 위해 학교 미술교육이 어떻게 나아가야 하는가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School art education in the institutional context can be considered as cultural practices producing people’s dispositions and attitudes. Pierre Bourdieu(1977, 1984/2005, 1992, 1993) argues that cultural attitudes and dispositions are historically produced by institutional ideological apparatuses such as school education. This study critically exams the institutional practices of Korean school art education in the light of Bourdieu’s theory of cultural reproduction. This provides critical insights to the function of the Korean institutional art education constructed within the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context of the process of Korean modernization. The reflective insights to the institutional practices of Korean school art education as a means of political ideologies implicate the notion of politics of inclusion and exclusion in the practices reforming the National Curriculum for Art and their effects on constructing cultural identity. It can also be an opportunity of exam how Korean school art education can contribute to constructing cultural identity toward equality, diversity and differences of culture.

      • KCI등재

        중국 문화산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 분석

        란희,단가루,배기형 한국문화산업학회 2022 문화산업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문화산업 산업연관표를 작성, 이를 이용하여 중국 문화산업의 경제적 효용을 정량적으로 분석 분석하여 중국 문화산업의 정책 수립 촉진에 기여하고 있다. 이를 위해 중국 통계국에서 2018년 산업연관표 153개 부문 중 사무용 기계, 신문과 출판, 라디오·텔레비전·영화·영상녹음 제작 등 12개 산업으로선정,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화산업의 생산유발계수는 대부분 제조업에 비해 낮은 생산유발효과를 보여 문화산업을 재미와 관심의 대상으로 인식하면서도 간과하고 있다. 둘째, 문화산업이 다른 산업의 발전을 위해 없어서는 안 될 중간재 역할을 하지 못하며, 문화산업의 수요변화가 제조업의 수요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지않는다는 것을 뜻한다. 셋째, 문화산업은 32개 산업 중 제조업보다 높으나 서비스산업에서는 부동산사업을 제외하고는 제일 낮은 소득유발효과를 나타나며, 32개부분 중 19위를 차지하고 있다. 넷째, 중국 문화산업이 생산활동을 수행함에 있어 제조업과 건설업보다 필요한 노동력을 유도하는 일자리 창출 산업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이다. 끝으로 문화산업의 최종수요액 24,210.4 억 위안을 국가경제에 투입할 경우 문화산업의 생산유발액은 39,817억위안, 세금유발액은 1,009억위안, 소득유발액은 6,792억위안, 그리고 부가가치유발액은 12,933억위안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 통계청의 2018년 산업연관표를 활용하여 그동안 소홀했던 문화산업의 역할을 거시적 입장에서 계량화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 한류 글로벌 팬덤 현상을 통해 본 문화소통 및 교류의 전망

        박신의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2012 문화예술경영 Vol.2 No.-

        최근 한류의 국제적 확산과 관련하여 한류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 고 있다. 이는 한류의 전개가 시기별 단계를 거쳐 진화하는 것을 전제로, 초기의 양상과 같이 문화수출이라는 일방적 형태가 아니라, 한류의 범위가 K-Pop을 중심으로 문화전반으로 이어지고 아시아 지역을 넘어 전 세계적으로 쌍방향 소통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말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글로벌 팬덤 현상이 갖는 문화의 혼종성과 초국가성을 검토하면서 한류를 한국적 문화 정체성의 틀에 한정하지 않고, 또 한국이라는 국가주의적 시각을 벗어나야 함을 주장하였다. 또한 전 세계적인 한류 팬들의 새로운 팬덤 문화 코드가 단순한 공동체적 집합의 의미가 아니라 개인의 자아실현과 문화생산의 지점을 확보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였다. 그들의 문화생산은 궁극적으로 모방이라는 행위를 통해 또 다른 형태의 문화를 계승하고 창조한다는 점에서 이러한 현상을 리차드 도킨스의 용어인 문화적 복제유전자로서의 밈(meme) 개념으로 설명하면서 한류의 문화생산에 대한 사회적 의미를 제기하였다. Recently, the assertion has been arisen that hallyu(The Korean Wave) needs to be approached, newly, in the aspect of international diffusion. It means that hallyu is on the assumption that it evolves itself by the stage so that it is not a culture export, in a unilateral way what happens in an earlier phase but bilateral communication, which has been spread all over the world, not just in Asia, centered around K-pop. Accordingly, this treatise examines cultural hybridity and trans-nationality that global fandom phenomenon has, and asserts that Korea has to over come nationalism by making hallyu unlimited not restricting it with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also, it focuses on the fact that fandom as a cultural code made by international fans of hallyu is not a simple communal gathering, but individual self-realization and culture production. Their culture production is explained as the concept of meme, term of Richard Dawkins, cultural clone gene because it successes and creates another forms of culture by copying, ultimately, and that this article makes a point of social meaning of hallyu’ culture production.

      • KCI등재

        문화자본과 확장된 '문화소비'

        김은미(Eun-mee Kim),권경은(Kyung-eun Kwon)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69 No.1

        이 연구는 문화자본과 문화소비 행위의 연관성을 보았던 기존 연구에서의 ‘문화소비’ 개념이 오늘날에도 타당한가 하는 문제의식으로 시작되었다. 디지털미디어가 등장한 후 문화소비자들은 단순히 ‘소비’라고 지칭하기 어려운 다양한 행위들에 참여한다. 이렇게 다변화된 문화소비의 양상들을 다루기 위해서, 기존의 분석틀, 즉 무엇을 선호하거나 관람하였는가(노출되었는가)라는 문제 중심으로 구성된 ‘문화소비’ 개념을 수정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우리는 문화소비에 있어 ‘무엇’보다는 ‘어떻게’라는 측면에서 나타나는 차이를 보기 위해, 공연관람뿐 아니라 공연 정보를 읽는 행위인 정보소비, 공연 후기를 쓰는 정보생산, 실기학습 및 참여행위인 아마추어 생산, 그리고 동호회 활동인 교류 등을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문화자본인 학력과 청소년기 문화경험과 문예교육이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음악장르 소비에 대한 설문 자료를 분석한 결과, 학력은 공연관람에서만 효과가 나타난 반면, 청소년기 문화경험과 문예교육은 공연관람 뿐 아니라 문화소비 전반에 있어 영향력이 나타난다. 구체적으로, 청소년기 문화경험은 정보소비와 정보생산에서, 문예교육은 아마추어 생산에서 효과가 크게 나타난다. 한편 소득은 공연관람에서만 효과를 보인다. 연구의 결과, 청소년기 문화경험은 공연관람에서보다는 관련 읽기와 쓰기에서, 문예교육은 아마추어 생산에서 영향력이 보다 크게 나타나므로 문화자본에 따라 문화소비 취향이 구별되는 차원을 관련 커뮤니케이션 행위 및 아마추어 생산 활동까지도 포함하여 생각할 필요가 있다는 함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cultural consumption practices are changing with social and media changes and re-conceptualize "cultural consumption" beyond attendance or exposure to high culture genres. We look at four types of musical consumption - news reading, posting a review, amateur participation, interaction with others - as expanded musical consumption. We expect expanded musical consumption to be closely associated with cultural capital than with attendances at musical events since high-culture events gets popularized, musical information abundant and cultural interaction easier. We explore the ques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herited cultural capital and cultural consumption using recent survey data. More evident are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capital and production than attend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