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부산과 왜관의 음식문화 교류와 변동 분석

        이종수(Lee, Jong-Soo)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6 해항도시문화교섭학 Vol.0 No.14

        본고는 조선시대 한,일간의 다문화 현상과 관련 그 문화 변동과 대응의 역할을 담당했던 부산과 왜관의 음식문화의 유사, 차별성과 그 원인들을 천착하고, 한,일 간 음식문화의 변동과 차별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음식문화의 변동요인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대상과 주요 내용은 국가지역별 음식문화는 어떠한 특성을 띠고 있으며, 그 특성에 영향을 미쳤던 요인은 무엇인가 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들 비교의 내용은 한, 일간 음식문화의 변동과 유지 등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 가를 양 지역의 음식문화의 유사점과 상이점 등의 시사점과 차별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부산과 왜관을 대상으로 음식문화의 특성을 비교 연구하고자 하는 이유는 문화비교 분석을 통하여 비교지역의 음식 문화적 특성을 파악하고, 문화의 차이에 영향을 미친 요인 분석과 시사점을 찾고자 함에 있다. 특히 다문화 세기 이문화의 특성과 지역별로 문화적 특성이 상이한 음식문화 비교를 통해 음식문화의 유사, 상이점 등을 비교 분석하여 비교 지역들에 대한 음식문화 측면의 변동원인과 차별성을 찾아 제시하였다는 점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e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the research on food cultural exchange & acculturation between Busan & Waekwan. The second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food culture. The comparative variables of a characteristic of food culture are international regional ecology, climate, colony policy and religion, so forth. This paper analysed effects among food material, recipe, food manners and food culture. The third presents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research on food cultural exchange & acculturation between Busan & Waekwan. The forth suggests interchange direction for fostering food culture comparison between Busan & Waekwan. The last concluded that there are fundamentally similar on food culture between these sea port cities though there are minor differences of the preparation and display of the food.

      • KCI등재

        中國 永定河流域 前期 靑銅器時代 文化의 形成과 發展

        박상빈(Park, Sang-Bin) 한국고대학회 2010 先史와 古代 Vol.33 No.-

        永定河洗域은 중국의 수도인 北京이 자리하고 있는 곳으로 河北省 북부지역에 해당하며, 예부터 北方文化園과 中原文化圖의 교접지역이었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일어난 일련의 문화변동은 작게는 인접지역인 遼西地城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고, 크게는 동북아시아 전체 문화변동에 영향을 끼쳤다. 그러므로 필자는 이 지역의 문화변동 양상이 동북아시아의 문화변동과 무관하지 않다고 생각하며, 일련의 문화변동을 이해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전기 청동기시대에 출토된 鬲을 형식분류하고 각 형식이 갖고 있는 시공간적인 분포양상을 중심으로 이 지역의 문화변동 양상을 검토해 보았다. 먼저 영정하유역에서 출토된 력은 鼓腹鬲.折肩鬲.简形鬲.商式鬲.肥袋足鬲 등이 있다. 이 중 鼓腹鬲과 折局鬲은 각각 북경지구 동부와 울현지구에서 출현한 토착기종이다. 그리고 倚形鬲.商式鬲.肥袋足鬲은 주변지역에서 유입된 기종으로 시공간적인 편중현상을 띠고 있어 주변문화의 영향정도와 범위를 이해하는 기준이 된다. 이들 력은 문화변동 양상을 잘 반영하고 있는데, 1기(夏代 前期)에는 북경지구 동부에서 전기 청동기시대를 대표하는 고복력이 등장하였지만 신석기시대 말기 전통이 잔존하고 있어 전환기의 모습을 띠고 있다. 그리고 2기(夏代 後期)에는 주변지역으로부터 각종 력이 유입되는 가운데 절견력이 출현하고 고복력이 확산되는 등 지역차가 뚜렷해지기 시작하였다. 또한 3기(商代 前期 前半)에는 기존 전통이 유지되는 가운데 절견력의 광범위한 확산, 다양한 변형의 발생과 같은 변동이 일어나면서 전기 청동기시대 문화가 전성기에 맞이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의 변동기인 4기(啇代 前期 後半)에는 商文化가 울현지구의 토착문화를 대체하면서 절견력의 동진과 고복력의 퇴조를 가져왔고 중국에는 구연부에 附加堆紋을 한 줄 돌린 력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전기 청동기시대가 끝나게 되었다. 이러한 문화 변동을 겪은 영정하유역은 특히 夏家店下層文化와 商文化의 영향을 많이 받았는데, 하가점하층문화는 2기에 張家遼地區를 통해 유입된 이후 신속하게 확산되었다. 그리고 4기에 이르러 뚜렷해진 상문화는 토착문화가 강한 북경지구를 피하여 울현지구를 중심으로 진출하였다. 이 때 상문화가 등장하게 된 배경은 교통상의 이점을 이용하여 북방에 있는 천연자원을 보다 용이하게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Yongdinghe catchment(永定河流域) refers an area on south Yan mountains(燕山). From ancient times, this area have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ntire northeast Asia in terms of cultural change, since it is geographically between the Eastern cultural area and Central cultural area. Thus this paper examines patterns of cultural changes in this area with focus on the distribution aspects of Li in the early Bronze Age in time and space. 鼓腹鬲.折肩鬲.简形鬲.商式鬲.肥袋足鬲 excavated in the area, highly reflect aspects of cultural changes. The first period(1900 ~1750 BC) started when the full round -Li(鼓順鬲) inherited from the late Neolithic Age, appeared in the Eastern area of Peiking region. In the 2nd period(1750 - 1600 BC), regional differences had become obvious when Li with angled shoulder(折肩鬲) and the full round-Li(鼓腹鬲) were expanded, and various kinds of Li were introduced. In addition, in the 3rd period (1600~1500 BC), Li with angled shoulder(折肩鬲) was spread to neighboring areas but at the same time existing tradition was firmly maintained. At last in the 4th period, so-called period of cultural changes(1500~1400 BC), as Shang Culture replaced aboriginal culture in Yuxian region, Li with angled shoulder(折肩鬲) moved eastwards and the full round-Li(鼓腹鬲) showed downward trend and at the end the Bronze Age ended when Li with thick feet(肥袋足鬲) was massively introduced in the area. The lower level culture of Xiajia dian(夏家店下層文化) had rapidly spread since the 2nd period since Yongjinghe catchment was influenced by mainly both lower level culture of Xiajiadian and Shang culture(商文化) along with these cultural changes. Shang Culture actively appeared in the forth period, launched into Yuxian(蔚縣) region with getting out of the way to Peiking(北京) region where was relatively strong aboriginal culture. Shang Culture is considered to have taken advantage of traffic condition which Yuxian had easier access to natural resources in the Northern region.

      • KCI등재

        조선족 문화변동과 문화정체성

        鄭喜淑(ZHENG XI SHU)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0 역사문화연구 Vol.35 No.-

        “우리는 누구인가?”라는 조선족 민족 정체성에 관한 질문에 대해 필자는 그 답을 문화변동이론으로 접근하여 해석하려 한다. 다시 말해, 조선족 문화변동에 따른 조선족의 황무지개간, 벼농사 등 농경문화의 적응, 조선족의 언어, 문학, 음악, 무용, 조선족의 의식주, 의례와 놀이문화사례 등의 관찰을 통해 조선족문화가 한국이나 조선의 문화도 중국의 문화도 아닌 조선족 그 자체 문화임을 설명하고자 한다. 필자는 조선족사회에서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조선족문화”설을 <일본조선족문화 심포지엄>에서 경험한 바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조선족문화에 대한 이해가 사회에서 수행하는 기능을 서술하고, 조선족의 ‘사과배’ 문화와 조선족 언어문화에 대한 규범화에 따른 사례로 ‘조선족문화’란 바로 “조선족 그 자체 문화”라는 황유복의 이론을 확인했다. 나아가 조선족문화도 21세기에 맞는 정체성 확립을 위해서는 지속가능한 새로운 문화를 창출하여야 하며, 그 발전 대책으로 디지털문화콘텐츠산업의 육성을 제안한다. To the question—“Who are we?”—about Chinese Korean national identity, this essay tries to find out the answer through theory of culture change. That is, the present writer explains that ethnic Korean culture in China is the Chinese Korean culture itself, neither Korean nor Chinese culture, by observing and analyzing ethnic Korean cultural cases such as cultivation, rice farming, language, arts, the necessities of life, rituals, pastime culture and so on. Remembering the experience of the emerging issue of Chinese Korean culture at a symposium in Japan, the writer describes social function of understanding the Chinese Korean culture and confirms Youfu Huang's opinion that the Chinese Korean culture is “Chinese Korean its own culture” as a model case for standardization of the ethnic Korean “apple-pear” culture and language culture. In order to establish its identity for the 21st century, Chinese Korean culture should create a new sustainable culture; and the writer suggests promotion of the digital cultural contents industry as measures for its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한인(韓人) 디아스포라 음식문화 변동 분석 중국(조선족),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을 중심으로

        이종수 ( Lee Jong-soo ) 한국다문화 디아스포라학회 2016 다문화와 디아스포라연구 Vol.8 No.-

        이 글은 중국(조선족)을 포함한 중앙아시아 한인 디아스포라(Korean diaspora) 음식문화의 유사, 차별성과 그 원인들을 천착하고, 몇 가지 점에서 시사점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 디아스포라 음식문화 비교연구이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음식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전통음식 정체성은 무엇이고, 어떻게 변동되었으며, 정체성을 유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등의 문제와 환경과 기후 등 자연지리적 요인 외에 전통적 제례 유지 등의 문제를 제기하고 그것들에 대한 구체적인 물음의 답을 찾아보기로 한다. 주요 내용은 음식문화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과 사회 문화 요인 간의 관계 분석이 그것이다. 디아스포라의 문화변동 분석 초점은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고유한 민족문화 특성의 변동과 유지 여부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이러한 특성유지는 음식 애착 및 조상숭배와 명절 등의 음식관습을 유지하는 정도 등을 중심으로 분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요 연구문제는 아시아 한인 디아스포라 음식문화에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요인을 주로 현지와의 적응 요인과 문화의례나 제사, 명절 등의 요인을 중심으로 비교대상국의 음식문화 변동과 유지 등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Web 분석, 학술지 분석과 일간지 등을 참조하고, 필자의 선행연구들을 참조하였다. The article is organized as follows. The first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the food cultural comparison among the food culture acculturation of Korean Chinese, Kazakhstan & Uzbekistan's Korean diaspora. The second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diaspora and the food culture of the food culture acculturation of Korean Chinese, Kazakhstan & Uzbekistan's Korean diaspora. The comparative variables of a characteristic of food culture are international regional ecology, climate, globalization and religion, so forth. This paper analysed effects among food material, recipe, food manners and food culture of the food culture acculturation of Korean Chinese, Kazakhstan & Uzbekistan's Korean diaspora. The third presents comparative analysis about food cultures of the food culture acculturation of Korean Chinese, Kazakhstan & Uzbekistan's Korean diaspora. The forth suggests interchange direction for fostering food culture comparison among the food culture acculturation of Korean Chinese, Kazakhstan & Uzbekistan's Korean diaspora. The last concluded the research. There were some suggestion & expectation effect of the study.

      • KCI등재

        사회변동에 의한 마을굿 농악의 변화양상

        이용식(Yong-Shik Lee) 한국무속학회 2015 한국무속학 Vol.0 No.31

        음악문화는 살아있는 전통이기 때문에 환경맥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하는 습성을 갖는다. 음악문화는 한 공동체에서 세대를 거쳐 전승되면서 변화하는 가변성을 갖는 것이며, 음악의 문화변동은 내부적?외부적 요인에 의해 발생한다. 이글은 전라남도 보성군 벌교읍 대포리의 마을굿을 대상으로 농촌사회의 문화변동으로 인한 마을굿과 농악의 변화양상을 규명하는 것을 그 연구목적으로 한다. 농촌사회의 인구감소와 고령화라는 사회변동으로 인해 마을굿의 구조와 음악에서 일어나는 문화변동과정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대포리 마을굿인 ‘당산제만굿’은 1985년 남도문화제에 참가하면서 명칭의 변화를 겪는다. 당시 다른 마을 당산제와의 차별성을 위하여 외부인에 의해 명명된 ‘갯귀신제’라는 명칭이 공식용어가 되었다. 그러나 내부인은 여전히 ‘당산제만굿’, ‘12당산제’, ‘매구’ 등의 민속용어로 마을굿을 부른다. 외부인에 의해 고안된 명칭이 내부인에게는 온전하게 선택되어지지 않고, 내부인은 여전히 전통용어를 사용하면서 이중명칭을 갖게 된 것이다. 농촌 인구감소와 노령화라는 사회변동은 대포리 마을굿에도 영향을 미쳤다. 마을인구가 줄어들면서 당산제만굿을 거행하기 전에 거행하던 마당밟이의 문화단절 현상이 일어났다. 마을 인구의 노령화는 마을굿을 전승받을 세대의 단절로 이어진다. 농악패를 구성할 ‘젊은 세대’가 부족하다보니 농악패의 규모가 줄었고 장구는 선택적 배제가 되었다. 남성만으로 농악패를 편성할 수가 없으니 이제는 여성이 농악패에 참여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성은 여전히 농악패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고, 남성이 농악패에 적극적으로 참여한다. 마을굿 농악의 전승에 핵심적 인물은 상쇠이다. 마을 구성원은 1년에 한 번 거행하는 마을굿의 농악 가락을 제대로 전승하기는 쉽지 않다. 대부분의 구성원은 상쇠가 치는 가락을 따라 치면서 마을굿을 진행하기 때문에 상쇠의 위상은 절대적이다. 대포리에서는 이전까지 어린 나이에 농악패에서 농구라는 특별한 역할을 맡으면서 상모놀이와 농악가락을 전승받았던 기예능이 뛰어난 상쇠가 있었기 때문에 마을에 전승되는 농악가락을 온전하게 전승할 수 있었다. 그러나 현재의 상쇠는 음악적 능력이 떨어지기에 농악가락의 단절과 변화가 일어났다. 현재 대포리에서는 12채굿가락은 완전히 단절되었고, 불균등박자의 혼소박 4박 가락이 균등박자의 3소박 4박으로 변화되었다. 상쇠의 음악적 능력에 의해 농악 가락에서 전통적인 음악요소가 전승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음악요소로 대치되는 선택적 배제의 과정이 일어난 것이다. 결국 대포리 마을굿은 외부인의 영향과 사회변동으로 인하여 많은 선택적 배제 과정이 일어났다. 내부적으로는 상쇠의 단절이 음악적 단절과 변화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을굿은 급격한 사회변동이 일어나는 과정에서 전통적인 문화요소가 새로운 문화요소로 대치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Since the musical culture is a living tradition it has a character to becom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social context. The musical change is the result of both inner and outer change.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musical change of a village ritual influenced by the socio-cultural change of the rural area in Korea. I focus on a specific village ritual held in Daepo-ri village, Jeolla-namdo Province. I will delve with the musical and cultural change of a village ritual resulted by the decreasing of population and the aging society. The village ritual had been called ‘dangsan jeman-gut’. Its name was changed to ‘gaet gwisin-je’ by a scholar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village rituals in 1985 when the villagers went to a folk competition. Since then, the new term became the official name of the village ritual. However, villagers still call their ritual with folk terms such as ‘dangsan jeman-gut’, ‘12 dangsan-gut’, and ‘maegu’. In this way, the new term named by an outsider scholar was not accepted by the villagers. The native term and the official name are co-exist to refer to the ritual these days. The social change, that is, the decraesing of population and the aging society, resulted to the change of village ritual in many aspects. One of the most important ritual to prevent bad lucks and to give happiness to households has not been performed anymore. The ‘young generation’ is not enough to make up a village band. The janggu or hourglass-shaped dru, has not been used. Women who had traditionally been excluded in band members has joined the band with minor instruments such as sogo or the hand drum. Men still play important role in the band. The head player, called sangsoe, who plays the small gong, is the essential character in the transmission of music. Since the village members play the music once a year, it is hard for them to learn the music properly. They normally follow the rhythm of the gong player. In this sense, the status of the gong player is most important. There was an excellent gong player in the village that he had performed all kinds of rhythms and movements. However, the present gong player’s musical compentence is not match to the last player that he could not learn all the rhythms. In this way, some of the rhythms has not been transmitted. The asymmetric rhythms which were hard for the members to play have altered to the easy symmetric rhythms. In this way, the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have selectively eleminated by the members due to the musical competence of the head player.

      • KCI등재

        13세기 고려의 탕湯 음식문화 변동 분석 : 개성, 안동, 탐라 음식문화를 중심으로

        이종수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한국전통문화연구소 2015 한국전통문화연구 Vol.16 No.-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려 후기 수도 개성(개경)과 안동, 탐라 음식문화와 오늘날 향유하는 내용과의 관계를 탕(湯)국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들 세 지역은 원 제국의 군사가 주둔했던 공통점이 있으며, 이를 위한 연구의 문제는 오늘날 우리나 라 탕국문화가 어느 시기에 어떻게 형성되었으며, 숟가락과 탕국, 설렁탕과 곰국, 국밥, 몸국은 어째서 한 뿌리인가 등에 대한 유래를 찾아보고자 한다. 고려 후기 대 원제국 지배하의 문화적 영향과 관련된 주요 선행 연구를 중심으로 고려시대 양고기, 돼지고기, 쇠고기 등의 육식과 그 도살법, 육식 내용을 분석하고, 주요 외부 영향 요인으로 전쟁과 지배세력 등과의 종속관계에 따른 문화변동인가 등을 주로 고려 (개성)과 안동, 탐라를 중심으로 분석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지역년대가설에 따 른 접근과 주요 사료로는 『음선정요(飮膳正要)』,『거가필용(居家必用)』 및 중세사, 원사, 고려사, 탐라사 등의 고문헌 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국가 지역 음식문화연구의 선행 연구 분석과 활용 및 필 자의 음식문화 선행 연구 결합을 통하여 개성의 설렁탕과 안동의 소주, 탐라의 몸국과 고소리술 등의 특성과 음식문화적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The article consists of five sections. The first section clarifies research questions, the purpose of study and methodology about the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 The regions of Koryo selleoung-tang food culture is Yeke Mongghol Ulus(Mongolia) food culture. The contents of culture acculturation was seen Gaesung, Andong, Tamra, Yeke Mongghol Ulus(Mongolia) food culture. The second section deals with methods of study, literature review, previous research and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The comparative variables of a characteristic of food culture are culture acculturation. Those are culture acculturation & adaptation of food culture. This paper analysed effects among food material, recipe and food manners, also. The third section presents identity analysis about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 The forth section suggests direction for fostering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 The last concluded the paper. The findings give us suggestions that it is useful to publicize the origin analysis of Koryo selleoung-tang culture , so forth.

      • KCI등재후보

        북한의 사회문화 변동과 북한 청소년의 변화

        길은배 한국청소년학회 2005 청소년학연구 Vol.1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사회문화 변동에 따른 북한청소년의 변화적 징후를 설명함에 있다. 아울러 이 연구는 제 학자가 주장하는 사회변동이론의 개념 및 기제, 그리고 그 유형을 다루어 북한의 사회문화 변동과 북한청소년층의 변화 정향을 살펴보고, 그 한계를 지적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과 관련한 연구결과는 크게 세 가지로 집약할 수 있다. 첫째, 북한청소년층을 중심으로 혁명성의 약화, 도덕관과 윤리관의 해이, 청소년 범죄 등이 증가하고 있다. 즉, 북한청소년은 북한의 사회문화적 변동의 영향을 받아 조용하지만 의미 있는 변화를 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둘째, 한 사회의 문화가 그 사회구성원들의 학습과 전승에 의해 상당부분 유지·발전된다는 특성을 감안하면 북한의 대중문화와 청소년문화 간에는 밀접한 연결고리가 형성되어 있고, 어떤 형태로든지 일정부분 영향을 주고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다. 셋째, 최근 북한 청소년층을 비롯한 북한 사회의 변동은 ‘결과’보다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그 변동은 ‘전파’와 ‘문화변용’과 같은 사회변동의 유형과 근대화와 산업화 유형이 부분적으로 혼재하면서 나타나고 있으며, 여러 기제가 혼재하여 북한의 사회문화 변동을 유인하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explain interconnection between North Korea's social changes and the youth's culture in the country. To complete this aim, the discourses and theories of social changes will be considered. Through application of theoretical approaches to North Korea's social changes, the characteristics and the patterns of the youth's recent culture will be defined. By doing this research, three vital points can be concluded. Firstly, there is a symptom of changes in the youth's culture since North Korea implemented partial open-door policy. It is known that North Korean authority has suffered from problems such as the weakness of morality in general, infidelity to the Party, and the expansion of the individualism in the youth. Secondly, if we regard the current situation of North Korea as a transition period, the youth's life would also be influenced by the country's changes. Thirdly, the change of the youth's behavior and thought is a crucial factor that would transform the stagnant society to the dynamic one. In short, it implies that there is a clear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country's reforms and the youth's culture.

      • KCI등재

        중서부지역 신석기시대 문화 변동과 외래 요소의 수용 방식

        임상택(Lim, Sangtaek) 한국신석기학회 2021 한국신석기연구 Vol.- No.41

        본고는 신석기시대 사회 변동 요인들 가운데 외적 요인, 특히 외부 집단 문화의 영향과 수용방 식을 검토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북한 지역 및 중국 요동반도 일대의 자료를 중서부지역 자료와 비교 검토하여 중서부지역 내 외부 문화 요소를 추출하고, 이것이 어떠한 맥락과 과정으로 중서부 지역 문화 변동에 영향을 주었는지 검토하였다. 중서부지역은 다시 서부와 중부로 대별하여 동일 양식권 내 정보 및 물질문화의 교류가 외부 문화 요소 수용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도 살폈다. 그 결과, 동종 양식권(궁산양식) 내 집단 간 교류는 2기 단계에 가장 밀접하고 3기에는 다소 약화 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이종 양식권 간 집단 간 교류 역시 궁산 2기 단계 병행기에 가장 활발하고 그 이후로는 약화되는 양상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판단은 외부 유입으로 판단되는 물 질문화 요소가 해당 사회에서 안정적인 기종으로 자리 잡고 생업이나 사회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에 따른 것이다. 중서부 사례의 일반성과 특수성을 추출하기 위하여 주변 지역 사례를 검 토하였다. 그 결과 특정 사회의 외부 문화 요소 수용에 따른 변화는 ① 도구조성을 포함한 생업의 변화 ② 토기복합체의 변화, ③ 양자 복합으로 대별 가능하였다. 수용 방식은 Ⓐ 집단의 이주 Ⓑ 정보 유통을 통한 선택적 수용으로 대별 가능하였다. 지역과 시기에 따라 ① 만 나타나거나 ② 만 나타나기도 하고 양자가 결합된 ③ 형태로 나타나기도 한다. 양자가 결합된 문화변동은 주로 Ⓐ 방식을 통한 경우이며 ①의 경우는 Ⓑ 방식을 통해 이루어진다. ② 의 경우는 Ⓐ.Ⓑ 방식 모두 가능한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모식화 내용 중, 서북지역과 관련된 중서부지역 문화변동은 궁산 2기는 ① 도구조성을 포함한 생업의 변화 + Ⓑ 정보 유통이, 궁산 3기 이후는 ② 토기복합체의 변화(절충토기) + Ⓑ 정보 유통이 주요 내용과 방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external factors of Neolithic social changes, especially the influence and acceptance between groups. This paper compares the data of northwest Korea and Liaodong peninsula of China with the data of central-western regi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formation circulation and material culture change in the same stylistic group and the acceptance pattern of external factors i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ra-region interactions within the same stylistic group was peaked at the 2nd phase of Gungshan style, and the 3th phase was weakened. The inter-region interaction between different stylistic groups was also the most active in the second phase, which was later considered to be weakened. In order to extract the generality and particularity of the case, the cases in the surrounding areas are examined. As a result, the material culture changes of certain societies with acceptance of external cultural factors are divided into as follows: ① the change of subsistence, ② the change of ceramic assemblage, ③ the combination of the two. The processes of acceptance can be divided into Ⓐ migration and Ⓑ the selective acceptance of information. According to different regions and periods, there were only ① or ②, and there also be a combination of them(③). The case ③ is mainly carried out through the Ⓐ process, and the case ① is through the Ⓑ. Case ② is possible through both Ⓐ and Ⓑ. Among these models, the cultural changes in the central –western region confirmed that the main contents and process of Gungshan phase 2 are ① + Ⓑ ; ② + Ⓑ after Gongshan phase 3.

      • KCI등재

        요령(遼寧) 지역(地域)의 청동기(靑銅器),초기(初期) 철기시대(鐵器時代) 복합사회(複合社會)의 형성(形成)과 사회(社會) 변동(變動)

        ( Kangwon Oh ) 한국고대학회 2013 先史와 古代 Vol.38 No.-

        魏營子類型期로부터 戰國燕文化 출현기까지 요령 지역의 각 지역권은 청동기 복합도를 기준으로 할 때, 기원전 12~10세기 大凌河上流域圈과 渤海灣沿岸地域圈이 군장사회 단계에 도달하였고, 기원전 8세기에는 大凌河上流域圈을 중심으로 요서의 거의 모든 지 역권이 군장사회를 이루었으며, 기원전 6~4세기에는 요동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요령 지역이 수준에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군장사회를 이루게 된다. 요령의 각 지역권은 복합사회의 형성을 계기로 몇 차례의 상호 작용 관계망의 변형과 사회 변동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기원전 12~10세기 喀左縣 중심의 魏營子類型에 의해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기원전 8세기 大凌河中流域圈의 十二臺營子文化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세 번째는 기원전 6~4세기 十二臺營子文化 南洞溝類型과 鄭家窪子類型에 의해 이 루어졌고, 네 번째는 기원전 3세기 요령 일부 지역의 戰國燕文化에 의해 이루어졌다. 요령 지역에서 발생한 몇 차례의 문화 및 사회 변동은 뒷 시기로 갈수록 더욱 강열하고 극적인 성격을 띄게된다. 南洞溝類型과 鄭家窪子類型에 의해 형성된 요령 지역-내·지 魏營子類型期로부터 戰國燕文化 출현기까지 요령 지역의 각 지역권은 청동기 복합도를 기준으로 할 때, 기원전 12~10세기 大凌河上流域圈과 渤海灣沿岸地域圈이 군장사회 단계에 도달하였고, 기원전 8세기에는 大凌河上流域圈을 중심으로 요서의 거의 모든 지 역권이 군장사회를 이루었으며, 기원전 6~4세기에는 요동의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요령 지역이 수준에 정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군장사회를 이루게 된다. 요령의 각 지역권은 복합사회의 형성을 계기로 몇 차례의 상호 작용 관계망의 변형과 사회 변동이 이루어졌다. 첫 번째는 기원전 12~10세기 喀左縣 중심의 魏營子類型에 의해 이루어졌고, 두 번째는 기원전 8세기 大凌河中流域圈의 十二臺營子文化에 의해 주도되었으며, 세 번째는 기원전 6~4세기 十二臺營子文化 南洞溝類型과 鄭家窪子類型에 의해 이루어졌고, 네 번째는 기원전 3세기 요령 일부 지역의 戰國燕文化에 의해 이루어졌다. 요령 지역에서 발생한 몇 차례의 문화 및 사회 변동은 뒷 시기로 갈수록 더욱 강열하고 극적인 성격을 띄게된다. 南洞溝類型과 鄭家窪子類型에 의해 형성된 요령 지역-내·지 역-외의 상호 작용 관계망은 각 지역권의 토착 문화가 새로운 수준의 유형으로 전환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기원전 3세기 戰國燕文化의 이식은 요령 일부 지역의 문화 지형 과 사회 변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With the complexity of bronze assemblages as a standard, from the period of the Weiyingzi type culture until the emergence of Warring States Yan culture the individual regions of the Liaoning area reached chiefdom level society as follows: the upper Dalinghe river sphere and Bohai bay coastal area sphere reached chiefdom level society during the 12th to the 10th century B.C., with the exception of parts of Liaodong, almost all the regional spheres of the Liaoxi area with the upper Dalinghe river sphere as the center reached chiefdom level society in the 8th century B.C., and during the 6th to the 4th century B.C., although there were differences in cultural level, a great part of Liaoning reached chiefdom level society. Beginning with the formation of complex societies, the individual regional spheres of the Liaoning area underwent social changes and several changes in mutual interaction spheres. The first occurred during the 12th to the 10th centuries B.C. by the Weiyingzi culture centered in Kezuo prefecture, the second occurred in the 8th century B.C. led by the Shiertaiyingzi culture of the middle reaches of the Dalinghe river sphere, the third occurred during the 6th to the 4th century B.C. with the Nandonggou and Zhengjiawozi types of the Shiertaiyingzi culture, the fourth occurred in the 3rd century B.C. with the Warring States Yan culture of parts of the Liaoning area. The many cultural and social changes which occurred in the Liaoning area in later periods became more intense and drastic in nature. The mutual interaction sphere formed by the Nandonggou and Zhengjiawozi cultures within and without the Liaoning area caused the indigenous cultures of individual regional spheres to be transformed into cultures of higher cultural levels. Also the transplantation of Warring States Yan culture in the 3rd century B.C. had a large influence on the changes in cultural topography and social changes in parts of the Liaoning area.

      • KCI등재

        정가와자유형 형성 전후 요동지역의 문화변동과 그 의미

        이후석(Yi Huseok)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2

        요동지역에는 요서계통의 물질문화가 요중지역으로 확산되는 기원전 7세기경부터 정가와자유형의 형성 기반이 마련된다. 이후 기원전 6~5세기경에는 요중지역을 중심으로 요서계통 비파형동검문화의 중심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문화변동은 결국 정가와자유형의 정착 과정으로 귀결된다. 기원전 4세기경에는 세형동검문화로의 전환 과정에서 주변 지역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강화된다. 정가와자유형 형성 전야에는 요서지역에서 요동지역으로 대개 청동유물 등의 일부 청동유물만이 전이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토기문화까지 전이되며 다양하게 복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정가와자유형의 확산 과정은 요서 계통 물질문화의 기술-이념 요소들이 요동지역의 토착문화 속에 수용되어 다양하게 변형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정가와자유형은 비파형동검문화에 속한 1기문화와 세형동검문화 단계에 속한 2기문화로 구분된다. 1기문화는 요서계통 물질문화가 정착되는 정가와 자유형의 전형이며, 2기문화는 전국연계 물질문화 요소가 유입되고, 정가와자유형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시기이다. 처음에는 심양 일대의 정가와자 유적군이 거점이었으나, 나중에는 요양-본계 접경지대의 탑만촌-금가보 유적군이 거점으로 부상한다. 정가와자유형은 요중지역에서 북한 서부지역까지 교통로를 따라 확산되었는데, 지역별로 거점 유적군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사회 분화가 더욱 진척되어 연맹체적 정치체가 형성된다. 요동지역에서 이와 같은 문화변동을 주도했던 집단들은 고대 중국에도 전해져서 ‘조선’으로 인식됐을 가능성이 높다. Zhengjiawazi Assemblage is Liaoxi style’s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culture was formed by the transfer to Liaodong area. The center of Zhengjiawazi Assemblage is formed at Liaozhong area, and In the phase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is further strengthened. Before the formation of Zhengjiawazi Assemblage, only some bronze artifacts, such as bronze daggers and its parts, were spread, but after that, pottery culture was passed down and combined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preading process of Zhengjiawazi Assemblage is a process in which the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elements of Liaoxi style’s the material culture are accepted into the indigenous culture of the Liaodong area and transformed in various ways. On the other hand, the remains are divided into the first culture (the phase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and the second culture (the phase of Slender Bronze Dagger). The first culture is a time when the Liaoxi style’s material culture is settled and the Zhengjiawazi Assemblage develop, and the second culture is a time when some elements of Yan’s material culture in the Warring State Period are introduced, and Zhengjiawazi Assemblage are variously transformed. At first, the Zhengjiawazi site group in the Shenyang district was the base, but later, the Tawanchun-Jinjiabao site group in the area connecting Liaoyang and Benxhi emerged as the base. It is found that Zhengjiawazi Assemblage has gradually spread from Liaozhong area of China to the western part of North Korea during its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base historical groups by region, the network was strengthened, and social differentiation was further advanced. As a result, a coalitional polity was formed in the Liaodong area. As the spatial-temporal nature of Zhengjiawazi Assemblage does not greatly conflict with documentary records of ancient China related to Gojoseon and its cultural contents have strong continuity and propagation it may be considered as the material culture of Go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