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가와자유형 네트워크의 확산과 상호작용

        이후석(Yi, Huseok) 백산학회 2020 白山學報 Vol.0 No.118

        정가와자유형은 요서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가 요동지역으로 전이되어 형성되었다는 측면에서 십이대영자문화의 하위유형으로 이해되고 있다. 과거부터 주목받았지만, 많은 관심이나중요도에 비해 정가와자유형만을 연구주제로 한 연구성과는 매우 부족하다. 여기서는 이를감안하여 정가와자유형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그 변천 과정을 규명하고 대외 교류및 사회 관계를 중심으로 그 확산 과정을 재검토하였다. 정가와자유형은 처음에는 심양 일대를 거점으로 발전하였으나, 나중에는 요양-본계 접경지대를 중심으로 발전한다. 정가와자유형의 문화요소들은 대개 요서지역과의 교류 과정에서수용되었는데, 높은 기술 수준이 요구되는 청동유물 외에 토기문화와 매장문화까지 전이되는양상으로 보아 단선적인 물적 교류 외에 인적 교류까지 있었다고 생각된다. 정가와자유형관련 유물들이 요동~북한지역은 물론 내몽고와 산동반도까지 확인되고 있어 가장 광범위한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정가와자유형의 발전 과정은 전국시대 이후 심양-요양 일대에서 천산산맥 일대를 거쳐북한 방면으로 점적으로 확산되어 네트워크가 강화되는 양상으로 요약된다. 정가와자유형의시공간성이 전기 고조선과 관련되는 문헌 기록과 부합되며, 문화 내용의 통시적인 계승성과공시적인 확장성이 강한 점을 고려하면 고조선과 관련되는 물질문화로 볼 수 있다. Zhengjiawazi Assemblage is understood as a subtype of Shiertaiyingzi Culture in terms that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Culture in Liaoxi area was formed by the transfer to Liaodong area. Though it has drawn interests from the past, there are few research results on the topic of Zhengjiawazi Assemblage considering the interest and importance. Here, considering these facts, this study finds out how the Zhengjiawazi Assemblage changed based on the general analysis and how it spread focusing on the outside exchange and social relations. Zhengjiawazi Assemblage was first developed around Shenyang but it later developed around the area connecting Liaoyang and Benxhi. Zhengjiawazi Assemblage’s cultural factors were mostly accepted during the exchange with Liaoxi area. In addition to bronze artifacts which require high level of technology, pottery culture and burial culture show that there were interpersonal exchanges in addition to uninterrupted physical exchanges. It may be said that as the relics related to Zhengjiawazi Assemblage are found up to the northern part of Inner Mongolia and down to the southern part of Shandong Peninsula, it can be said to have formed the widest exchange network. It is found that Zhengjiawazi Assemblage has gradually spread from Tianshan Mountains to North Korea area during its development. As the spatial-temporal nature of Zhengjiawazi Assemblage does not greatly conflict with documentary records related to Ancient Joseon and its cultural contents have strong continuity and propagation it may be considered as the material culture related to Ancient Joseon. For this, future research is required.

      • KCI등재

        혼강유역 세형동검문화의 특징과 네트워크의 변천 : 통화 만발발자 유적 출토 청동유물 겸론

        이후석(Yi, Huseok) 중부고고학회 2021 고고학 Vol.20 No.1

        혼강유역의 세형동검문화는 최근 여러 조사성과가 알려짐에 따라 구체적인 연구 토대가 마련되고 있다. 혼강유역의 청동유물은 무덤 외의 매납이나 생활 유구에서 적지 않게 출토된다. 무덤에는 전통적인 석관묘나 개석묘는 물론 토광묘도 다수 보이는데, 토광묘는 만발발자 유적을 중심으로 한 통화 일대에만 집중되는 것이 특징이다. 매납유구에는 중원계통 청동유물이 출토되는 예가 많고, 생산·제사·보관 등의 여러 정황에서 조영되는 것이어서 정치적인 배경 외에 경제적인 배경 또한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주거지에서는 방제석검이나 화폐 등의 일부만이 확인된다. 혼강유역의 세형동검문화에서 ‘동검-동과-동모’의 청동무기와 다뉴동경 등이 확인되는 것은 정치체가 일정 수준으로 성장하였음을 보여준다. 다만 만발발자 유적 등의 통화 일대 유적들을 포함하더라도 청동유물의 종류와 수량이 한정되고 있어 현재로는 처음부터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고 볼 수 없다. 이른 시기(요동 1~2기)에는 혼강유역이 천산산맥 일대와 같은 문화권을 형성하여 두 지역 간의네트워크가 강화된다. 세형동검, 다뉴동경, 선형동부 등의 청동유물이나 점토대토기문화의 토기류가 주목된다. 이후 늦은 시기(요동 3~4기)에는 중국 군현이나 길림지역 및 연해주지역과 네트워크가 증대된다. 중원계통 유물들이 증가하고, 쌍조형병동검이나 재지적인 철제무기가 확인되며, 휘발하유역은 물론 두만강유역과 관련되는 토기류도 전해진다. 이는 고조선의 네트워크 하에 포함되어 있던 정치체가 점차 이탈하여 다변화된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독자적인 성장 전략을 추구했던 역사상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있다. The foundations have been laid for research into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Hun River basin, as numerous study results have been made public. Bronze artifacts from the Hun River basin are often excavated from tombs, as well as buried or cached features and settlement contexts. The tombs include stone tombs as well as a number of pit tombs. One feature of the pit tomb is that it is concentrated in the Tonghua region centering around the Wanfabozi (萬發撥子) site. Of the buried or cached artifacts, Chinesestyle bronze artifacts are the most common found and are estimated to have been used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production, ritual, and storage. Thus, their economic and political background should be considered. In dwelling features, only stone daggers made in imitation of bronze daggers and coins are found. The fact that bronze weapons such as the bronze dagger, the bronze halberd, and the bronze spearhead, as well as the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 were discovered in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of the Hun River basin shows that the political system reached a certain level of development. However, even if artifacts of the Tonghua region, such as the Wanfabozi site, are considered, both the type and number of bronze artifacts are limited. Thus, at present, it is not possible to say with confidence that the site took a central position within the culture. In the early period, the network between the two regions was strengthened by forming a cultural sphere encompassing areas such as the Tian Shan. Bronze artifacts such as the Slender Bronze Dagger, bronze mirror with geometric design, and the fan-typed bronze axe, as well as pottery of the attached-rim pottery culture, are noteworthy. In the later period, the network between the ancient Han Commanderies, Jilin and Primorie Krai increased. The frequency of Chinese-style artifacts increased; bronze daggers with birdpair- shaped pommel fittings or iron weapons were discovered; and pottert from the Huifa River to the Tumen River was unearthed. This may reflect the historical dissolution of the network of Gojoseon into distinct polities, which built a diversified network and pursued their own growth strategy.

      • KCI등재

        정가와자유형 형성 전후 요동지역의 문화변동과 그 의미

        이후석(Yi Huseok) 동북아역사재단 2023 東北亞歷史論叢 Vol.- No.82

        요동지역에는 요서계통의 물질문화가 요중지역으로 확산되는 기원전 7세기경부터 정가와자유형의 형성 기반이 마련된다. 이후 기원전 6~5세기경에는 요중지역을 중심으로 요서계통 비파형동검문화의 중심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문화변동은 결국 정가와자유형의 정착 과정으로 귀결된다. 기원전 4세기경에는 세형동검문화로의 전환 과정에서 주변 지역과의 상호작용이 더욱 강화된다. 정가와자유형 형성 전야에는 요서지역에서 요동지역으로 대개 청동유물 등의 일부 청동유물만이 전이되었으나, 그 이후에는 토기문화까지 전이되며 다양하게 복합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정가와자유형의 확산 과정은 요서 계통 물질문화의 기술-이념 요소들이 요동지역의 토착문화 속에 수용되어 다양하게 변형되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한편 정가와자유형은 비파형동검문화에 속한 1기문화와 세형동검문화 단계에 속한 2기문화로 구분된다. 1기문화는 요서계통 물질문화가 정착되는 정가와 자유형의 전형이며, 2기문화는 전국연계 물질문화 요소가 유입되고, 정가와자유형이 다양하게 변형되는 시기이다. 처음에는 심양 일대의 정가와자 유적군이 거점이었으나, 나중에는 요양-본계 접경지대의 탑만촌-금가보 유적군이 거점으로 부상한다. 정가와자유형은 요중지역에서 북한 서부지역까지 교통로를 따라 확산되었는데, 지역별로 거점 유적군이 부상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가 강화되고, 사회 분화가 더욱 진척되어 연맹체적 정치체가 형성된다. 요동지역에서 이와 같은 문화변동을 주도했던 집단들은 고대 중국에도 전해져서 ‘조선’으로 인식됐을 가능성이 높다. Zhengjiawazi Assemblage is Liaoxi style’s the Mandolin-shaped Bronze Daggers culture was formed by the transfer to Liaodong area. The center of Zhengjiawazi Assemblage is formed at Liaozhong area, and In the phase of the Slender Bronze Dagger culture, interaction with the surrounding area is further strengthened. Before the formation of Zhengjiawazi Assemblage, only some bronze artifacts, such as bronze daggers and its parts, were spread, but after that, pottery culture was passed down and combined in various way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spreading process of Zhengjiawazi Assemblage is a process in which the technological and ideological elements of Liaoxi style’s the material culture are accepted into the indigenous culture of the Liaodong area and transformed in various ways. On the other hand, the remains are divided into the first culture (the phase of Mandolin-shaped Bronze Dagger) and the second culture (the phase of Slender Bronze Dagger). The first culture is a time when the Liaoxi style’s material culture is settled and the Zhengjiawazi Assemblage develop, and the second culture is a time when some elements of Yan’s material culture in the Warring State Period are introduced, and Zhengjiawazi Assemblage are variously transformed. At first, the Zhengjiawazi site group in the Shenyang district was the base, but later, the Tawanchun-Jinjiabao site group in the area connecting Liaoyang and Benxhi emerged as the base. It is found that Zhengjiawazi Assemblage has gradually spread from Liaozhong area of China to the western part of North Korea during its development. In the process of forming base historical groups by region, the network was strengthened, and social differentiation was further advanced. As a result, a coalitional polity was formed in the Liaodong area. As the spatial-temporal nature of Zhengjiawazi Assemblage does not greatly conflict with documentary records of ancient China related to Gojoseon and its cultural contents have strong continuity and propagation it may be considered as the material culture of Gojose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