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수학에서 문장제의 수학적 구조 파악을 통한 문장제 이해 지도 방안

        라우성,백석윤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주어진 문장제의 이해에 초점을 두고 그 문제를 구성하고 있는 수학적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 및 그 요소들 사이의 구조를 바탕으로 수학학습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 군이 보이는 문장제 이해의 특징을 살펴보고, 일반 학생들의 문장제 이해를 돕는 지도 방안을 구안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 연구 목적을 위하여 수학교과서 및 수학익힘책 총 24권에 제시되어 있는 문장제를 수학적 구성요소에 의거 수학적 구조를 유형화하고, 3학년 1개 학급의 수학학습 성취도가 높은 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보여주는 문장제의 수학적 구조 파악의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문장제의 수학적 구조 파악을 강조하는 일반적인 지도 방안 구안에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첫째, 문장제는 문장제를 구성하고 있는 수학적 구성요소가 이루고 있는 구조를 총 9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둘째, 수학학습 성취도가 높은 학습자는 문장제를 이해할 때, 4가지의 특징을 보였다. 셋째, 문장제의 수학적 구조 파악을 강조하는 지도 방안을 4가지 도출해 내어 수정?보완하였다.

      • KCI등재

        한문문법(漢文文法)의 통사론교육론연구(統辭論敎育論硏究)

        안재철 ( Jae Chul Ahn ) 한국한문교육학회 2014 한문교육논집 Vol.42 No.-

        이 논문은 한문문법 통사론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연구 방향을 제시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려 한 것은 한문문법 통사론 지식을 통해, 흥미를 가지고 漢文原典에 다가가 해석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敎授者입장에서 학습자에게 통사론적으로 한문을 교육시키는 것 등이다. 이 논문에서 주로 살펴 보려한 것은 통사론 교육의 목표, 통사론 교육의 내용, 통사론 교육론의 교수법, 통사론 교육론의 평가법 등이다. 1. 統辭論敎育의 目標 1.1 문장의 개념과 유형을 안다. 1.2 문장의 구성 원리를 안다. 1.3 문장 성분을 안다. 1.4 문장의 기본구조와 확장구조를 안다. 1.5 복합문의 구조를 안다. 1.6 문장의 종류(Sentence Form)를 안다. 1.7 문장을 풀이하고 이해한다. 2. 統辭論敎育의 內容 2.1 통사론 : 통사론은 단어(詞)들이 결합하여 문장을 구성하는 원리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2.2 文章構成原理: 문장은 몇 개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이 구성 요소를 文章成分이라 한다. 문장성분에는 必須成分과 附屬成分이 있다. 필수성분은 주어, 서술어, 목적어, 보어이고, 부속 성분은 冠形語, 副詞語, 獨立語등이다. 2.3 漢字語의 生成과 漢文構造를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자어의 구조는 한문문장의 구조와 類似하다. 그러므로 한자어의 구성 방식을 이해하고 한문 문장을 讀解한다면, 쉽고 재미있게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2.4 漢文文章의 構造類型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문 문장의 구조 유형을 익히고, 독해를 하면, 효과적이다. 單文의 경우는 기본구조와 확장구조를 통하여 구조 유형을 익히고, 複合文의 경우는 병렬, 주종, 포유, 혼합 복합문 등의 구조 유형을 통해 다양한 문장을 익힐 수 있다. 2.5 漢文文章類型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현행 2011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문장의 유형을 敍法을 기준으로 ‘平敍文, 疑問文, 命令文, 感歎文’으로만 설정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여러 가지 유형의 문장을 익힐 수 있다. 2.6 漢文文章의 大單元分析을 통한 讀解(統辭論) 敎育: 한문의 대단원의 문장을 실제 분석을 통해, 글의 주제와 전체 의미를 파악하기 위하여서는 두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첫째 방법은 ‘漢字→大單元’으로 한 단계씩 문장을 파악하면서 올라가는 방법이 있을 수 있고, 둘째 방법은 ‘大單元→漢字’로 거슬러 내려오면서, 글의 구조를 파악하고 주제와 전체 의미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3. 統辭論敎育論敎授法 통사론의 교수-학습법은 통사론의 내용들을 학습자들이 쉽고 재미있게 체계적으로 그 원리를 터득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문장에 관한 讀解指導法에 대한 연구는 ‘虛辭지도를 통한 독해지도법’, ‘語順4. 統辭論敎育論評價法漢文(文言文)에 대한 통사론 교육론 평가는 통사론의 교수- 학습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한문과 통사론 교육론의 평가는 통사론의 문법적 원리와 기능과 의미기능, 구조와 결합의 원리들을 실제의 자료를 통해 학습자 스스로 발견하게 하고, 그 과정에서 관찰력, 판단력, 분석력, 종합력 등을 평가하면 좋을 것이다. 한국에서 통사론 교육론 평가법은 현행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에, 현행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漢文科成就基準및 成就水準이 개발이 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중학교 ‘한문지식’ 중 ‘문장’ 영역의 성취 기준 및 성취 수준의 경우만을 살펴보았다. 4.1. 中學校漢文文章領域의 成就基準및 成就水準중학교 한문교과의 ‘문장’영역의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기준 그리고 단위 성취수준은 교육과정 ‘문장’영역에 대한 각각의 내용요소에서 성취기준이 상세하게 記述되었으며, 각 성취기준에 따라 성취수준을 다시 ‘상, 중, 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문장 영역의 성취기준 단위 성취수준을 기술할 경우, 성취수준(상, 중,하)간에 질적인 차이를 구분할 때, ‘상’수준은 ‘설명할 수 있다’, ‘중’수준은 ‘말할 수 있다’, ‘하’수준은 ‘조사할 수 있다’라는 行動動詞를 사용하였다. 또한 ‘상’수준에서는 ‘구별하다’, ‘활용하다’ 등의 어휘를 사용하여 ‘중’ 수준과 도달한 정도에 차이를 두어구별하였다. This thesis suggests the research direction of educating syntax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in Korea. This thesis mainly focuses on two things. First, developing Korean`s interpretation ability to the original text through the knowledge about syntax of Classical Chinese Grammar. Second, studying the way instructors teach Classical Chinese in syntactic methods. In other words, we will look through the objects, contents, instruct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 of educating syntax. The objects of educating syntax 1.1 Know the concept and type of sentence 1.2 Know the constituting principle of sentence 1.3 Know the constituent of sentence 1.4 Know the basic sentence pattern and expanded pattern of sentence 1.5 Know the complex patterns of sentence 1.6 Know the sentence forms 1.7 Interpret and understand the sentence 2. The contents of educating syntax 2.1 Syntax : Syntax is the study of comprising principles of sentences by vocabularies. 2.2 Comprising principles of sentences : Sentence consists of some elements, and we name them components of sentence. There are essential and annex components. The subject, the predicate, the object, and the complement are essential components. The determiner, the adverb, and the independent element are annex components. 2.3 Reading comprehension education through formation of vocabulary and structure of sentence : Sino-Korean words are similar to the structure of Classical Chinese sentence. Therefore, if person understands composition of Sino-Korean words firstly, and reads Classical Chinese sentences, then that person can understand the sentence more easy and interestingly. 2.4 Syntax education through studying structure types of sentences : It is effective when person learns many types of Classical Chinese sentences and then reads them. In the case of simple sentence, people learn structures through basic and expanded structures. And in the case of complex sentence, people learn many sentences through studying types of structures such as parallel, master and servant, containing, and mixed types. 2.5 Syntax education through studying types of sentence : In current revised Classical Chinese subject curriculum, it establishes types of sentence to ‘declarative, interrogative, imperative, exclamatory’. Through this people can learn various types of sentences. 2.6 Syntax education through analysis of chapters : There are two ways to comprehend topic of writing. First, there is the way to go upward through sentence in the level of ‘words’ to ‘chapter’. Second, there is the way to go downward in the level of ‘chapter’ to ‘word’. 3. Instructing method of syntax It is recommended that students learn the principles and contents of syntax, easy and systematically in the point of ‘instructing-learning method’. For the researches of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ere are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pseudo-element’, and ‘Reading instruction method through word order’. For the instructing methods about word order, there are ‘comparison method’, ‘repetition method’, ‘substitution method’ and ‘search-out method’. 4.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syntax Evaluation of instructing syntax about Classical Chinese should be done as an extens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yntax’ Instructing syntax about Classical Chinese can be evaluated by following questions. “Can learners find, by on their own, grammatical functions, meanings and combination principles of syntax through real materials?” And we can evaluate learners abilities of observation, judgement, analysis and synthesis in that process. In Korea, achievement levels and standards are developed, which are based on current curriculum of Classical Chinese subject in middle.high school. So we studied evaluation method of instructing syntax by these criteria.

      • KCI등재

        동사 서술어 앞에 위치한 동사성 어구의 성격에 관한 문제

        임명화(Im Myung hwa)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7 동양한문학연구 Vol.46 No.-

        2015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성격’에서 한문 문장의 독해력을 강조하고 있고, ‘내용체계’에서는 ‘핵심개념’의 하나로 한문의 독해를, ‘내용요소’로는 문장의 구조, 문장성분의 생략과 도치 등을 설정하고 있다. 한문의 독해는 문장 구조의 파악, 그리고 문장을 이루는 요소인 문장성분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본고는 문장성분 중 부사어를 대상으로 하여 고찰하였다. 부사어는 부사·형용사·명사·동사· 개사구 등 다양한 품사와 이로 이루어진 어구로 충당된다. 그 중 동사 혹은 동사구가 동사 서술어 앞에 위치한 ‘V₁+(而·以)+V₂’구조의 경우, 그 결합관계 및 의미에 따라 병렬구조, 수식구조, 연동구조의 세 가지 유형을 보인다. 그런데 수식구조와 연동구조의 경우, 문장에 따라서는 양자의 구별이 쉽지 않고, 심지어 학자에 따라 동일한 예문을 달리 분석하기도 한다. 예컨대 ‘子路拱而立’의 ‘拱而立’을 ‘부사어+서술어’의 수식구조라고도 하고, ‘서술어+서술어’의 연동구조라고도 한다. ‘臣與將軍戮力而攻秦’의 ‘戮力而攻秦’은 ‘VO₁+VO₂’ 구조인데, 이 역시 수식과 연동의 두 견해가 존재한다. 본고는 이러한 구조의 문장들을 고찰하여 두 구조에 대한 구별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학교 교육현장과 이에 관심이 있는 학계에도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에 있어서는 같은 한자, 한문을 대상으로 연구하는 중국문법학계의 의견도 함께 살펴보았다. 고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부사어인 V₁은 서술어를 수식한다. 그러므로 V₁과 V₂간에는 의미면에서 主와 次가 있다. V₁이 차, V₂가 주이다. 2. 서술어인 V₁은 V₂와 마찬가지로 진술의 내용이 된다. 그러므로 V₁과 V₂간에는 의미면에서 主와 次가 없다. 3. 부사어인 V₁은 서술어인 V₂와 동시에 일어나거나, 일어나는 시차가 크지 않은 동작·행위이다. V₁은 V₂와 함께 지속되고, V₂의 상태를 묘사한다. 4. 연동구조에서 서술어인 V₁과 V₂는 별개의 동작·행위를 나타내고 분명한 시차를 두고 발생한다. 시차가 크지 않다 해도 두 동작·행위가 별개의 것이라면 V₁은 서술어이다. 5. 연동구조에서 서술어인 V₁은 흔히 V₂의 진행 방식이거나 목적·원인이고, 실제적인 동작·행위를 나타낸다. Reading comprehension of chinese sentences in the 2015 revised Chinese Classics curriculum is emphasized. The Chinese reading in the part of the content system is established as key concepts and so do the sentence structure and the omission and the inversion of the sentence components in the part of the content component. These are based on the idea that the understanding of the sentence structure and the sentence components is essential in the Chinese reading comprehension. This article examines the adverbial phrases among sentence components. The adverbial phrases are adverbs, adjectives, nouns, prepositional phrases, and the phrases consisted of these. In the ‘V₁+(而·以)+V₂’ type that a verb or a verb phrase is located on the front of the verb predicate, there are three types, a parallel structure, a modification structure, and a serializ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relation and the meaning of thos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lassify a modification structure and a serialization structure according to sentences. For an example, the ‘拱而立’ in a ‘子路拱而立’ is classified into a modification structure of ‘adverbial phrase + predicate’ or a serialization structure of ‘adverbial phrase + adverbial phrase’. The ‘戮力而攻秦’ in a ‘臣與將軍戮力而攻秦’ with a ‘VO₁+VO₂’ structure is classified is classified into a modification structure or a serialization structure. In this article, we suggest classification criteria of these structures in sentences. In this study, we considered the study results of Chinese grammar academ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An adverbial phrase, V₁ modifies a predicate, and so V₁ and V₂ have primary and secondary in meaning. 2. V₁and V₂, as a predicate, becomes the content of the statement, and so V₁ and V₂ have not primary and secondary in meaning. 3. An adverbial phrase, V₁ occurs simultaneously or almost simultaneously with a predicate, V₂ in the time of occurrence. The V₁ continues with the V₂ and describes the state of V₂. 4. The V₁ and the V₂ in a serialization structure are predicates occurring sequentially and show distinctive behaviors. Even though occurring almost simultaneously, the V₁ is a predicate if the two actions of the V₁ and the V₂ are separate. 5. The V₁ in a serialization structure is the proceeding, the purpose, or the cause of the V₂, and also is the actual action.

      • KCI등재

        러시아어 접미사 -ист 파생어의 조어의미구조 연구

        이용권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4

        본 연구에서는 우샤코프의 <러시아어 해석사전>에 수록된 접미사 -ист 파생어 중에서 명사에서 파생된 명사(R2R2X 구조) 285 단어의 풀어쓰기 문장구조를 통하여 파생어의 조어의미구조를 밝히려 하였다. 이 구조에서 드러나는 조어의미는 ‘각종 이념의 추종자, 지지자’(43.86%), ‘각종 이론 분야의 전문가’(12.28%), ‘직업적 행위의 노동자, 근로자’(11.58%), ‘각종 악기 연주자’(7.02%), ‘저자, 작가’(6.67%), ‘스포츠 종사자’(5.26%), ‘예술가’(4.56%) 순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조어의미 ‘각종 이념의 추종자, 지지자’는 풀어쓰기 문장구조 <<тот, кто следует чему>>와 <<художник, который следует чему>>, ‘각종 분야의 전문가’는 <<специалист, который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 владеет чем>>, ‘직업적 행위의 노동자, 근로자’는 <<рабочий, который занимается чем>>, <<коллекционер, который собирает что>>, <<рабочий, который изготовляет(производит) что>>, <<рабочий, который обслуживает что>>, <<механик, который управляет чем>>, <<тот, кто работает (служит) в(на) чём>>, ‘각종 악기연주자’는 <<музыкант, который играет на чём>>, ‘저자, 작가’는 <<автор, который пишет (составляет) что>>, ‘스포츠 종사자’는 <<спортсмен, который занимается чем>>, <<спортсмен, который участвует в чём>> 그리고 ‘예술가’는 <<художник, который пишет, изображает, рисует, изготовляет что>>, <<художник, который занимается чем>> 등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풀어쓰기 문장구조는 관련 조어의미를 결정할 뿐만 아니라 향후 접미사 -ист를 가진 신어 파생어의 조성기반이 될 수 있다. 이 문장구조와 카텔로바의 <러시아어 신어사전>의 풀어쓰기 문장구조를 대조 분석한 결과 신어 파생어의 조성도 우샤코프의 <러시아어 해석사전>에 나타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과, 어휘의 생산성 정도는 새로운 사회적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된다는 것과, <러시아어 신어사전>에서 나타난 신어의 새로움과 신선함을 풀어쓰기 문장구조로 설명할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접미사 -ист 파생어와 잠재적 동의어를 형성하는데 수많은 다른 ‘잠재적’ 동의 접미사 -ант, -ар, -арь, -ач, -ор(-ёр, -ер), -ец, -ик, -ит, -ник, -нин, -овед(-евед), -овик, -тель, -ун, -щик(-чик), -# 등이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그리고 이 접미사들은 향후 조어적 접미사를 명명할 때 잠재적 동의 접미사의 기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러시아어 접미사 -ник 파생어의 조어의미구조 연구

        이용권(Lee, Yong Kwon)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4

        본 연구에서는 우샤코프(Д.Н. Ушаков)의 해석사전에 수록된 접미사 -ник 파생어 464 단어를 풀어쓰기 문장구조를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R2R1X 구조를 가진 어휘가 전체의 28.23%(131단어)를 차지하고, R2R2X 구조를 가진 어휘가 전체의 71.77%(333단어)를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리고 R2R2X 그룹에서는 63.96%(213 단어)가 행위자 자질을 나타내고 36.04%(120 단어)가 대상 자질을 나타내고, 그리고 R2R1X 그룹에서는 85.5%(112단어)가 행위자 자질을 나타내고, 14.5%(19단어)가 대상 자질을 나타내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에서는 파생어의 통사구조체인 풀어쓰기 문장구조가 조어의미 그룹을 결정하고, 풀어쓰기 문장구조의 하부유형에 따라서 조어의미의 구체적인 유형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려 하였다. 명사에서 파생된 -ник 파생명사 중 행위자 의미그룹에서는 ‘직업적 행위에 따른 행위자’ 의미 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의미그룹이고, 이 의미그룹은 P1(v)ad, P1(v)o, P1(vo)ad 등으로 표현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고; 대상의 의미그룹에서는 ‘숲, 관목, 나무’의 의미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의미그룹이고, 이 의미그룹은 P1(v)s로 표현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그리고 동사에서 파생된 파생명사 중 행위자 그룹에서는 일반적 행위에 따른 행위자 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의미그룹이고, 이 의미그룹은 P1v, P2v 등으로 표현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고, 대상의 의미그룹에서는 ‘도구 또는 기구’의 의미그룹이 가장 두드러진 의미그룹이고, 이 의미그룹은 P2v(o)으로 표현된 풀어쓰기 문장구조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그리고 -ник과 -щик의 두 접미사 파생어의 풀어쓰기 문장구조의 대조를 통하여 두 파생어의 직업군 종사자의 풀어쓰기 문장구조와 의미영역을 파악할 수 있었고, 특히 두 접미사 공히 ‘기능원’, ‘장치, 기계조작 그룹’, ‘단순노동자 그룹’ 영역에서 유사의미를 조성하는데 생산적으로 사용되고 있고, 《мастер, который занимается чем》, 《рабочий, который производит что》, 《тот, кто изготовляет что》, 《тот, кто делает что》 등과 같은 풀어쓰기 문장구조가 공통적인 조어구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접미사 -ник 파생어의 다의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해당 접미사의 다의어 의미확장 원리에도 신체화의 원리에 따라 진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다의어의 기본 어휘가 행위자이면 또 다른 행위자로 의미가 확장되고, 다의어의 기본 어휘가 대상인 경우에도 행위자의 영역으로 확장이 두드러지게 실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자연어이해 영역에서의 관계성 학습을 통한 유사구조 문장 벡터 학습방법

        서혜인(Hyein Seo),정상근(Sangkeun Jung),김현지(Hyunji Kim),황태욱(Taewook Hwang),권오욱(Ohwoog Kwon) 한국정보과학회 2021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Vol.27 No.4

        자연어 이해는 정보 추출, 문서 요약 등에 활용되는 핵심 기술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문장과 문장의 문법구조 사이의 연관성 학습방법을 통해, 유사한 문장구조를 가지는 문장들이 벡터공간 상의 비슷한 공간 안에 배치되도록 하는 벡터형태의 문장구조를 반영한 문장표현 방법을 제시한다. 문장구조의 학습은 자연어 이해 분야에서 단어 순서나 문장구조 파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문법적 구조로서, 의존구문 트리를 문장형태로 변형하여 활용하였으며, 문장의 표출 및 의존구문 정보를 인코딩 하는 과정에서 선학습 트랜스포머를 활용하였다. 한국어 말뭉치 Weather와 영어 말뭉치 ATIS, SNIPS, Sim-Movie, Sim-Restaurant, NLU-Evaluation을 이용하여 제안하는 방법론의 효과성을 검증하였으며, 학습된 벡터공간 위에 유사 문법구조를 가지는 문장들이 응집되어 배치됨을 실험적으로 확인하였다. Natural language understanding (NLU) is a core technique for extracting information and summarizing documents. In this study, we propose a sentence expression method for a vector-formed structure by placing similar sentence structures in related vector spaces. Learning the syntax struct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meaning of a sentence through the identification of the sequence of words or sentence structure in NLU. As a syntax structure, we used the dependency tree by transforming it into a sentence form. The text to vector and the syntax to vector projection methods using the pre-trained transformer are proposed in the present work.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ology was verified using the Korean corpora, Weather and the English corpora, ATIS, SNIPS, Simulated Dialogue-Movie, Simulated Dialogue-Restaurant and NLU-Evaluation. With the proposed framework, we demonstrate the organized placing of the sentences with similar syntax in the vector space.

      • KCI등재

        『조선어문장론』의 문장 유형 분류 연구 - 『표준국어문법론』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윤정원 ( Yoon Jung-wo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1 국제어문 Vol.52 No.-

        본고는 북한의 문법서인 『조선어문장론』에 나타난 문장 유형의 종류와 그 구조에 관한 논의를 『표준국어문법론』에 나타난 남한의 문장 유형 분류 체계와 대비하여 살핌으로써, 『조선어문장론』의 문장 유형 분류 체계를 검토하고 그것으로 인하여 나타난 문법 기술상의 특징을 논의하였다. 논의의 결과, 『조선어문장론』과 『표준국어문법론』은 유사한문법 항목을 다루고 있으나 『조선어문장론』은 『표준국어문법론』에 비하여 기능 중심적인 시각에서 문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각각의 구조를 분석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조선어문장론』은 구조 외에도 기능 또한 기준으로 삼아 문장 유형을 분류하고 있는 반면 『표준국어문법론』은 구조적인 측면에서만 문장의 유형을 분류하고 있는 점, 『조선어문장론』이 문장 구성 단위 `부` 및 `구`를 설정하는 기준으로 기능을 제시하는 데 반해 『표준국어문법론』에서 문장 구성 단위 `구`를 설정하는 근거는 기능이 아니라는 점 등에서 『조선어문장론』의 문법 기술은 『표준국어문법론』보다 상대적으로 기능 중심적인 성격을 보인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feature of sentence classification of the Syntax of Korean, compared with that of the Standard Korean Grammar. Chapter 1 suggests the necessity of discuss and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Chapter 2 discusses the table of contents on the Syntax of Korean and the Standard Korean Grammar. As a result, there is the system based on sentences in the Syntax of Korean. Chapter 3 discusses classification for sentences in the Syntax of Korean, dividing two sides, function and structure. And it discusses the speech sentence as an extra type. The functional sentence type classification implements by criteria of speaker`s intention, negation, voice. The structural sentence type classification implements by whether it has the core constituents or not, and whether it has the combination of the core constituents and the higher constituents. So sentences classified to non-subject sentence, incomplete sentence, independent constituent sentence, simple sentence, developing sentence, implication sentence, complex sentence. For speech sentence, it is uncertain that it is included to syntax in a categorical point of view. Chapter 4 summarizes arguments in this study and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Syntax of Korean and the Standard Korean Grammar. Chapter 5 explains directions of follow-up research.

      • KCI등재후보

        관계절 두어(head noun)의 정보와 조사의 정보를 이용한 한국어 문장의 재분석과정

        권유안(Youan Kwon),김영진(Youngjin Kim),남기춘(Kichun Na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03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8 No.1

        이 연구는 한국어 문장의 관계절 재분석에 관한 것이다. 한국어는 핵-말언어(head final language)로 그 특징이 영어와 다르다. 따라서 한국어는 특징적인 문장처리 과정이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중의적인 관계절 명사구의 구조적 해결과정을 적용하여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결과정을 추론하였다. 이를 위해 영어를 바탕으로 형성된 수정모형과 진단모형을 각각 한국어 문장에 적용하여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소에 적절한 문장모형을 찾고 더 나아가 한국어 문장의 중의성 해소에 보다 적절한 모형을 수정 및 제시하고자 하였다. 실험 1은 설문지 연구를 통해 구조중의적 문장과 관계절 두어의 논제적 역할(thematic role) 및 중의적 문장간에 난이도를 평정하였다. 실험 1의 결과, 구조적 중의성이 높은 문장이 보다 어려운 문장으로 평정되었지만 두어의 논제적 역할중의성은 조건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실험 2는 실시간 과제인 자기조절읽기과제(self-paced reading task)를 통해 구조적, 논제적 역할중의성이 탈중의지역(disambiguation region)에서 반영되는지를 측정하였다. 실험 2의 결과, 논제적 역할의 중의성이 탈중의지역인 관계절 두어에서 나타났다. 실험 3은 주격조사 ‘-가/-이’와 주제표지 ‘-는/-은’이 재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주격조사의 경우 주절의 주어 및 관계절의 주어 모두 가능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주제표지의 경우 관계절의 주어로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조적 중의성이 다소 적은 주제표지가 있는 문장의 탈중의지역에서 더 짧은 읽기시간이 나타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러나 실험 3의 결과, 주제표지가 있는 문장의 탈중의지역이 주격조사가 있는 문장의 그것 보다 읽기시간이 더 짧지 않았다. 그러나 초기분석과정에서 주제표지의 영향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어 문장의 재분석과정은 어휘적 정보를 재분석 과정에 적용한다고 가정하는 진단모형이 보다 적절하며 또한 문장에 사용된 어휘적 정보(예를 들어 명사의 논제적 역할)와 문장의 구조적 정보가 상호작용하는 모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Head-final languages are different from head-initial languages in many respects. Korean is a head-final language. A number of sentence re-parsing models have been proposed for English, which is a head-initial language. The thematic roles of both head-nouns and case markers are characteristic of Korean sentenc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hematic roles in Korean that affect the sentence re-parsing. Thre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he first off-line experiment was conducted in order to define the type of sentences that entail higher processing cost. It was found that the double displacement condition(D-D)brought about the highest degree of difficulty. In the second experiment, we manipulated the thematic roles of head-nouns in such a way that we could detect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thematic roles on the re-parsing of head-nouns. The condition thus created was D-E, that is, the double displacements in the initial parsing with a single thematic role of “theme” in the head-nouns, which is contrasted with the D-D condition, which contains two thematic roles of “agent” and “theme” in the head-nouns. The result of the second experiment was that the reading time of the re-parsing region of the D-D condition was longer than that of the D-E condition. A third experimen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 of the topic marker “-nun,” which is used only in the matrix sentence in Korean, in reducing the cost of sentence re-parsing. It was found that the topic marker didn’t affect re-parsing; it affects only the initial parsing, which is in conflict with other studies advocating the role of the topic marker in sentence re-parsing in Korean. We could tentatively conclude that there seems to be interactions between lexical and syntactic modules.

      • KCI등재

        ‘문장’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내용 분석

        이군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This paper reviews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in the ‘Sentence’ part of the area of the ‘Knowledge of Classic Chinese’ in the Classic Chinese curriculum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for the ‘Sentence’ area in the Curriculum, there are two achieve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Classic Chinese, ‘Basic Sentential Structure’ and ‘Types of Sentences,’ three in high school Classic Chinese I, ‘Using Sentential Structure for Sentential Interpretation with Knowledge of It,’ ‘Conversion of Sentential Constituents,’ and ‘Sentential Stylistics,’ and two in high school Classic Chinese II, ‘Omission of Sentential Constituents’ and ‘Various Types of Stylistics.’ Building on these achievement standards, this paper proposes 3 achieve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Classic Chinese, which consist of 2 standards with respect to ‘Basic Sentential Structure’ and 1 in relation with ‘Types of Sentences,’ and 4 in high school Classic Chinese I, which include 2 standards concerning ‘Sentential Structure,’ 1 in relation with ‘Conversion of Sentential Constituents,’and 1 with respect to ‘Sentential Stylistics.’ Also, we have 5 achievement standards in Chinese Classic II by establishing 4 standards concerning ‘Omission of Sentential Constituents,’ and 1 for ‘Various Types of Stylistics.’In addition, this paper tries to give help in the creation of question items in actual educational scenes by establish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by means of terms like ‘able to investigate,’ ‘able to speak,’ and ‘able to explain,’and presenting exemplary questions for each standard. 본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지식 영역’ ‘문장’ 부분을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살펴본 것이다. 교육과정 ‘문장’ 영역은 중학교 한문에 ‘문장의 기본 구조.’ ‘문장의 종류’의 2가지 성취기준이 있고, 고등학교 한문Ⅰ에는 ‘문장의 구조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하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법.’의 3가지 성취기준이 있으며, 한문Ⅱ에 ‘문장 성분의 생략.’과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의 2가지 성취기준이 있다. 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하여 중학교 한문에서는 ‘문장의 기본 구조’와 관련하여 2개의 성취기준, ‘문장의 종류’와 관련하여 1개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3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고, 고등학교 한문Ⅰ에서는 ’문장의 구조‘와 관련하여 2가지, ‘문장 성분의 도치’와 관련하여 1가지, ‘문장의 수사’와 관련하여 1가지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4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문Ⅱ에서는 ‘문장 성분의 생략’과 관련하여 4가지,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과 관련하여 1가지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5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조사할 수 있다’ ‘말할 수 있다’ ‘설명할 수 있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성취수준의 단계를 설정하고, 각 성취 기준에 대하여 예시문항을 제시하여 실제 현장에서 문항 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

        문장형 데이터 구조를 사용한 토폴로지컬 데이터의 일반화와 처리 방법

        김산(San Kim),주은정(Eunjung Joo),하주성(Jusung Ha),김재광(Jaekwang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0 No.2

        현대 사회에서 개인과 기업, 공공에서 생산해내는 데이터의 양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빅데이터를 단순히 저장할 뿐 아니라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처리하는 연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이러한 데이터 표현/처리방법은 복잡한 관계와 목록을 다루어야 하는 경우가 많다. 기존의 관계형 테이블 데이터 구조로는 복잡한 관계와 목록을 처리하고자 할 때, 매우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밖에 없다. 최근에는 데이터의 각 개체는 노드로, 노드 사이의 관계는 링크로 단순화하여 표현하는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 표현으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그래프 구조의 데이터 표현도 링크에 의미를 담는 복잡한 구조를 표현하는 데에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래프 구조를 보다 일반화된 문장형 데이터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통한 토폴로지컬 데이터의 일반화와 처리의 예를 보인다. 제안 방법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토폴로지컬 데이터를 문장형 데이터 구조로 표현하고, 구현하며, 질의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다양한 예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In these days, a huge amount of data produced by individuals, businesses and publics is exploding.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research which effectively expresses and processes not only storing big data is increasing. In particular, these data representation / processing methods often require complex relationships and lists. When dealing with complex relationships and lists with existing relational table data structures, there is no choice but to use a very complex and inefficient method. Recently, there have been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by expressing data in a graph structure in which each object of data is a nod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odes is simplified by a link. However, the data representation of the graph structure is also limited in expressing the complex structure containing the meaning of the link. This study proposes a more generalized sentence-type data structure with a graph structure, and shows examples of generalization and processing of topological data through this.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roposed method, it describes how to express, implement, and query topological data in a sentence data structure, and shows that it can be applied to various ex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