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義士 鄭庸 殉節의 의미

        이군선 동방한문학회 2023 東方漢文學 Vol.- No.97

        This article is intended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death of Jeong Yong, who was martyred in the second Jinjuseong battl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Everyone wants life and no one wants to die. Nevertheless, the significance of reflecting on the death through the characters who threw away their lives like stubble while insisting on righteousness in the face of the country's peril is that it is an effort to properly evaluate that death. Jeong Yong, from Geochang, was a non-government official and had no obligation to die for the country, but he said he could not abandon the national favor because he was a descendant of a noble family who had received national favor for generations, and ended his life with the fall of Jinjuseong Fortress. Jeong Yong's death is significant in that he set an example of fidelity by not caring for his own life in the face of national danger, and that he continued the spirit of fidelity in Geochang that has continued to be maintained and at the same time established a tradition of fidelity. It can be said that it became the driving force to produce a wise man. 본고는 임진왜란 때 2차 진주성 싸움에서 순절한 정용의 죽음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삶을 원하고 죽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라의 위난에 義를 주장하며 자신의 목숨을 초개처럼 버린 인물들을 통해 그 죽음을 되새겨 보는 작업은 그 죽음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한 작업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거창 출신의 義士 정용은 벼슬하지 않은 신분으로 나라를 위해 반드시 죽어야 할 의리는 없지만, 대대로 국은을 입은 사족의 후예이기 때문에 국은을 저버릴 수 없다고 하며 진주성의 함락과 함께 생을 마감하였다. 이러한 정용의 죽음은 국가의 위난 앞에 자신의 목숨을 돌보지 않는 절의의 모범을 보였다는 점과 면면히 이어오는 거창 절의 정신의 단서를 잇는 동시에 절의의 전통을 드리웠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이는 향후 거창이 수많은 節義之士를 배출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조선시대 문인의 문장 학습과 작문 교육

        이군선 동방한문학회 2020 東方漢文學 Vol.0 No.84

        What can I do to write well and compose good writing? It is unlikely that the old ancestors studied with special composition textbooks specifically for writing. It seems that they read a lot of books and learned how to place letters. Imitation may have been the beginning of writing.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write a proper article just by imitating something. Thus, when making etude writing, it must be criticized and reviewed for the writing. If so, how about writing? This article focuses on this issue and divided it into 'What was the beginning of writing?', 'How will you compose your writing?', 'What should I learn from a good example sentence?', and ‘What book should I read and how?’ to examine how old sentence learning and writing education were. The stylistic content of sentence learning frequently appears in the literature, but there are not many materials that can give a glimpse into the reality of writing education. This seems to be due to the fact that basic writing was used in writing by utilizing the knowledge system learned while learning Chinese. There are not many references to writing education by the literary men in the Joseon era. This was simply telling someone who was interested in writing what to do, because it was not thought that writing should be elaborated. On the other hand, the literati in the Joseon era presented a detailed suggestion of good example sentence for writing and what to learn from it, and when it comes to reading, it can be seen that rather than coveting to read many thing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mphasized to read the text with mind and intention even if you read a single book. 어떻게 하면 글을 잘 쓰고 좋은 글을 쓸까? 옛 선인들은 글을 쓰기 위해 특별히 작문 교재를 가지고 공부한 것 같지는 않다. 책을 많이 읽어 글자를 놓는 방법을 터득한 것으로 보인다. 흉내 내기가 글쓰기의 시초였던 것이다. 그러나 흉내 내기만으로는 제대로 된 글을 쓸 수 없다. 이에 습작을 하면 반드시 자신의 글에 대하여 질정하고 평을 받았다. 그렇다면 글짓기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본고는 이 문제에 중점을 두고 ‘글쓰기의 처음은 어떠하였는가?’ ‘어떻게 글을 지을 것인가?’ ‘문장의 전범을 통해 무엇을 배워야 하나?’ ‘어떤 책을 어떻게 읽어야 할 것인가?’로 나누어 옛날 문장 학습과 작문 교육은 어떠했는지 살펴보았다. 문장의 학습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문헌상에 많이 나타나 있는데 작문 교육의 실상을 엿볼 수 있는 자료는 그다지 많지 않다. 이는 기초적인 작문은 한문을 배워가며 배운 지식 체계를 활용하여 글을 짓는데 활용하였기 때문으로 보인다. 조선 시대 문인들에게서 작문 교육에 대한 언급은 많지 않다. 이는 개별적으로 작문에 관심을 갖는 사람에게 어떻게 해야 한다는 것을 말해주었지 작문을 공을 들여 해야 할 것으로 생각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한편 조선시대 문인들은 작문을 위한 전범과 그 전범에서 배워야 할 것에 대하여 소상하게 제시하였으며 독서에 있어서도 많은 것을 읽으려 탐하는 것보다 하나의 책을 읽더라도 마음 씀과 뜻을 두고 글을 읽을 것을 강조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海居 洪顯周의 서화에 대한 관심과 收藏

        이군선 한국한문교육학회 2008 한문교육논집 Vol.30 No.-

        조선후기 문화사에서 주목할 만한 현상의 하나로 서화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이 시기에는 이미 장서가가 출현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금석·서화를 소장하고 있는 전문 수장가도 있었다. 또한 이들의 서화에 대한 감정 역시 일가를 이루고 있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화현상의 하나인 금석·서화·서적의 수장양상에 대하여 정조의 부마였던 홍현주를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홍현주는 연천 홍석주의 막내 동생으로 경제적인 능력과 부마라는 지위로 많은 서화를 소장하고 있었다. 홍현주가 이렇게 많은 서화와 서적을 수장하게 된 과정을 중국 문인과 주고받은 편지를 통해 고찰하고, 서화에 대한 홍현주의 취미와 이렇게 축적된 서적과 서화가 조선후기 학술사에서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확인해보았다. One of the noticeable condition of the latter part of the Josen cultural history is increased interest about paintings and writings. In these period, there were already book collectors as well as special collectors who had lots of paintings and writings and epigraph and also their special opinion were very high. In this thesis, I am going to examine about collection condition of the epigraph, painting and writing and book to focus on the Honh Hun-Ju who was the son -in-law of the king Junh-jo. Hong Hun-Ju was the youngest brother of the Yunchun Hong Suck-Ju and he has lots of paintings and writings because of the position of the son- in- law and the economical ability. This thesis studies the course about his possession of paintings and writings through the letter which exchanged with Chinese literary man, and to confirm the taste of him about the paintings and writings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se stored paintings and writings in the latter part of the Josen cultual history.

      • KCI등재

        한문과 교과서 방향 탐색

        이군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9 漢字 漢文敎育 Vol.47 No.-

        In the subject education, textbooks are the substance of implementing the curriculum. Academia has constantly studied how textbooks are organized whenever the curriculum changes. Based on the research outcomes, this paper analyzed current textbook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desirable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extbooks. The composition of current textbooks usually consists of the original text, the solution to it, the grammar theorem and other words and stories. In this structure, it is thought that it is very inadequate to teach prose and the whole sentence, and that it is not easy to attract students. Thus, this study proposed focusing on small units in the direction of new textbooks, not suggesting newly learning Chinese characters, but learning the characters in the text, and making and presenting a table of basic Chinese characters for education, selecting the appropriate materials for the student's eye level, in case of long sentences, summarizing the contents back and forth to present the text so that students can see the full context of the sentence, and presenting words, idioms, sentences, and learning terms all in one unit to make effective use of limited space, etc. It is thought that there is no easy and fun way to teach Chinese characters. However, it is important to make it rough for teachers to teach Chinese characters, to make it easy for students to reach out to them, and to attract students' interest. 교과 교육에 있어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구현하고 있는 실체이다. 학계에서는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교과서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지속적으로 연구해 왔다. 본고는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현행 교과서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한문 교과서의 방향을 탐색해 보았다. 현행 교과서 구성은 대체로 원문이 제시되고 이에 대한 풀이 그리고 문법 정리 기타 단어와 이야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산문을 가르치며 문장 전체를 가르치기에 매우 부적합하며 학생들의 흥미를 끌기도 쉽지 않고 생각한다. 이에 본고는 새로운 교과서의 방향으로 소단원 중심으로 할 것, 신습한자를 제시하지 말고 본문에 나오는 글자를 익히도록 하며 교육용 기초한자 표를 잘 만들어 제시할 것, 학생의 눈높이에 맞는 제재를 선택할 것, 길이기 긴 문장의 경우 앞뒤로 내용을 요약해주어 문장의 내용 전체를 알 수 있도록 본문을 제시할 것, 제한된 지면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단어, 성어, 문장, 학습 용어를 한 단원에 모두 제시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한문을 쉽고 재미있게 가르치는 방법은 없다고 생각한다. 다만 교사들이 가르치는데 퍽퍽하지 않고 학생들이 손을 뻗기 쉽고 흥미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안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한문과 교육에서 단문의 수준과 범위

        이군선 한국한문교육학회 2011 한문교육논집 Vol.36 No.-

        According to the 2007 Revised Sino-Korean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Sino-Korean Curriculum went through many changes. As the frame under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hich consisted of ‘Chinese characters,’ ‘Sino-Korean words’ and ‘Chinese sentences,’ was restructured, the contents were divided into two areas ‘Sino-Korean’ and ‘Sino-Korean knowledge,’ and the ‘Sino-Korean’ area covered the contents of Sino-Korean Curriculum, and the Sino-Korean knowledge’ area presented contents related to grammar to emphasize the education of Sino-Korean grammar in the Sino-Korean Curriculum. Considering the revised curriculum, Sino-Korean short sentences are regarded as the first step in approaching Sino-Korean. As suggested by “Because there are no defined level and scope of texts in consideration of the current level by school level (middle and high schools), the same materials are chosen arbitrarily by textbook editors and cause confusion among Sino-Korean teachers and students, so it is necessary to define the level and scope of texts by school level,” it is absolutely required to discuss hierarchy and level in the education of the Sino-Korean Curriculum. Although textbooks have already been developed, for the long run, it is very crucial for Sino-Korean education to set the level and scope of materials to be included in textbooks.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o set the level and scope of short sentences in consideration of hierarchy among grades and school levels.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라 한문과의 내용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가 일었다. ‘한자’ ‘한자어’ ‘한문’으로 구성되었던 7차 교육과정까지의 틀을 바꿔 ‘한문’ ‘한문지식’ 두 영역으로 나누고, ‘한문’ 영역에서는 한문과의 내용을 다루고 ‘한문지식’ 영역에서는 한문 문법과 관련한 사항을 제시하여 한문 문장의 교육을 한문과의 중심에 둔 것이 그것이다. 한문 단문은 바뀐 교육과정에 비추어 볼 때 한문에 접근하는 첫걸음이 된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중학교, 고등학교 학교급별 수준을 고려한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가 국가 수준에 명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동일한 제재가 교과서 집필진에 따라 자의적으로 취사선택되어 한문 교사와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불러일으키게 되므로 학교급별 텍스트의 수준과 범위를 설정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한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문과 교육에서 위계와 수준에 대한 고민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이미 교과서 개발이 끝난 상태이기는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교과서에 수록될 제재의 수준과 범위를 설정하는 것은 한문과 교육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학년별 학교급별 위계성을 고려하여 단문의 수준과 범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고민해보았다.

      • 한문교육용기초한자 1,800자 허사의 대표훈문제

        李君善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국제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학술대회 Vol.2012 No.1

        When they teach Chinese characters in school, the most popular method to read Chinese characters is to read the meaning and the pronunciation together.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posted 1,800 base characters for Chinese characters’ education but it arranged the characters only without designating the representative meaning. The representative meaning of Chinese characters is necessary not only to understand the character itself but also to interpret sentences. We define shape, pronunciation and meaning as three elements of Chinese characters and teach Chines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elements. Generally speaking, a Chinese character can have many different meaning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eaching Chinese characters to beginners is to teach therepresentative meaning. As people learn Chinese characters focusing on the representative meaning and most of them think it has the defined meaning only, if we can designate the most popular and most widely used meaning as a representative meaning, it will make the most of Chinese characters. In case of notional word(實詞), they are read with representativemeaning anyhow. But form word(虛詞)s are read with Hun showing the function andsometimes part of speech itself becomes the Hun. For example, if ‘er(而)’ is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of a sentence 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To be rich and precious without therighteousness is just like a floating cloud in the sky]’ should be interpreted like ‘What is not righteous and rich and precious is just like a floating cloud in the sky. If not, we need to explain the meaning of ‘connecting speech’ again. It is because ‘connecting speech’ is not the meaning of ‘er(而)’ but the ‘function’ of ‘er(而)’. There is a different case in preposition(介詞). We generally call ‘於’ as ‘EojosaEo’, but ‘Eojosa’ is the name of a part of speech rather than the meaning of ‘於’. Even when considering that ‘Eojosa’ is the name of part of speech, it is not correct because Revised Chinese Characters Educational Curriculum in 2007 classified ‘於’ as ‘preposition(介詞). Additionally, if the above sentence is interpreted just after teaching the letters, they will interpret as 不義而富且貴於我如浮雲[What is not righteous, rich and precious I Eojosa like a floating cloud]’. The same rule applies to similar letters. Accordingly, in this article it was tried to review the issue of representative meaning of 1,800 basic characters focusing on form words such as conjunctions, preposition(介詞) and auxiliary word(語助詞). Among 1,800 basic characters 而, 卽, 且, 則 are used as conjunctions, 於, 與, 于, 由, 以, 因, 自, 從, 乎 are used as preposition and 所, 也, 矣, 耳, 者, 哉, 之, 乎, 耶, 焉, 兮 are used as auxiliary word. Out of conjunctions, in 卽, and 且, meaning is applied during the interpretation so they are excluded from this review and 而and 則 were reviewed. In preposition, 與, 由, 以, 因, 自, 從 use meanings that are applied to the interpretation, 於, 于, and 乎 which use ‘a particle’ as Hun were reviewed. Among particles, excluding 所, 耳 and 者, 也, 矣, 哉, 之, 乎, 耶, 焉, and 兮 were reviewed.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t was tried to identify the most widely used meaning focusing on the texts in 2007 Revised Curriculum and then define the Hun as the most widely used meaning. If the representative Huns are designated in this way and students learn Chinese characters using such Huns, they may be able to approach to the usage of individual Chinese characters and we can teach Chinese characters to students more accurately.

      • 傳記資料에 나타난 書名을 중심으로 본 퇴계 학맥의 전개

        이군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본고는 퇴계 문인들의 전기자료에 나오는 서명을 중심으로 퇴계 학맥 전개의 한 단면을 살펴본 것이다. 퇴계 문인의 전기자료를 살펴보면 퇴계가 문인들을 가르칠 적에 사용한 교재는 주로 『심경』『근사록』『주자서절요』등의 책이었으며, 퇴계의 문인들이 학문의 요체로 생각했던 책들 역시 마찬가지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내용은 첫째, 퇴계가 문인들에게 교학하며 가장 중요시한 서적이 『심경』과『근사록』이라는 것이다. 『심경』과『근사록』을 공부하는 것이 당시 학문적 성향이기는 하지만 여타의 문하에서는 퇴계 일문에서처럼 집중적인 강의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퇴계의 학문성향이 心學(理學)을 위주로 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퇴계의 문인들이 중시한 서명 역시 『심경』이 주를 이루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근사록』과 『주자서절요』역시 많은 문인들이 애독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특히 『주자서절요』는 퇴계에 의해 정리되어 퇴계의 학문체계가 녹아 있는 것으로 퇴계의 문인들은 독실하게 공부하게 되는데 이러한 경향은 퇴계의 학맥이 『심경』과『주자서절요』를 중심으로 心學(理學) 위주로 전개되는 사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생각된다. 위에서 정리한 퇴계 문인의 전기 자료에 나오는 서명을 토대로 살펴본 퇴계 학맥은 어디까지나 전기자료에 나오는 것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향후 개별 문집을 통한 정밀한 연구가 요구된다고 하겠다. Through this thesis, a phase of the development of Toegye's scholastic lineage is looked around mainly the titles of books represented on biographic material cf Toegye's disciples Examining biographic material of Toegye's disciples. Toegye used textbooks named 『Simkyung(心經)』『Jujaseojeolyo(朱子書節要』, 『Geunsarok(近思錄)』, etc when taught his disciples, and they regarded the books as the secret of studies, too. The contents of this thesis was argued, above all that Toegye considered 『Simkyung』『Geunsarok』as the most important books while he communicated with his disciples Studying those books was scholastic propensity of those days, but intensive course of lectures as Toegye's family was not accomplished under other instruction. That might show that his scholastic propensity made Simhak(心學)-it is very similar t o psychology- the prime object. Second, the title whose books Toegye's disciples thought to be cardinal was also mainly 『Sixkyung』, Moreover, a lot of disciples were fond of reading 『Geunsarok』. 『Jujaseojeolyo』, as well, 『 Jujaseojeolyo』 was especially organized by Toegye and his disciples learned it enthusiastically because it fused his scholastic system. This propensity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thing which his scholastic lineage was Simhak-centered development like. 『Sixkyung』and『Jujaseojeolyo』. Toegye's scholastic lineage that I previously organized mainly the titles of books stood on just biographic material. Therefore, it needs minute researches through collections of individual works from now on.

      • 冠巖 洪敬謨의 中國文人과의 交遊와 그 樣相 : 2차 연행을 중심으로

        이군선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3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3

        본고는 관암 홍경모가 2차 연행에서 중국인사들과 교유한 내용을 중심으로 교유의 실상을 살펴보고 연행의 성과에 대하여 검토해 보았다. 조선 후기의 중국문인과의 교유가 조선 측에서 일방적으로 갈구한 듯이 보이지만 연행의 자료들을 꼼꼼히 검토할 때 중국측에도 조선인사와 교류에 심혈을 기울였던 인물이 있음을 알 수 있다. 홍경모는 1차 연행에서 기수유, 진등지, 육경이와 교유하고 2차 연행에서 솔방울, 탁병념, 탁병음, 진근광, 섭지선 등과 교유를 한다. 이들은 주로 시문과 예물을 주고받으며 교유관계를 이어 나가는데 그 중에서도 1차 연행에서 만난 기수유가 가장 오래 교유관계를 이어나가게 된다. 이는 1차 연행에서 맺은 인연이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그 배후에 이계와 기효람에서 이어지는 삼대신교가 자리잡고 있기 때문이다. 홍경모는 이들과 교유한 내용을 모두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외사후편』과 『외사속편』에 오고 간 편지가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기록을 중시하는 관암의 사고가 반영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홍경모가 중국인사와의 교유에 열정을 기울인 이유는 첫째, 조부인 이계의 조술을 그 이유로 들 수 있다. 이계는 관암에게 있어 매우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관암의 삶이 이계의 조술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이계의 뒤를 잇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이계와 자신의 가문을 중국 문단에 알리기 위함이다. 관암은 만나는 인물들에게 이계와 기효람의 관계를 말하고 이계집을 건네주는 데에서 이러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숙부인 홍희준의 문집도 함께 중국 문단에 소개하고 있다. 셋째, 자신을 중국 문단에 알리려는 의도에서이다. 이는 자신의 시문집을 중국에서 만난 인물들에게 주며 서문을 받기 위해 노력하는 모습에서 알 수 있다. 중국 인사들의 서문은 조선에 소개되어 자랑거리가 되었던 듯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조선 인사들은 중국 문인들에게 자신의 문집 서문을 받기 위하여 노력한 것으로 보인다.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reality of companionship centering the details that Kwan-am Hong Gyung-mo kept company with Chinese personages in second trip to Beijing and examinated the results of second trip to Beijing. At a glance, companionship with Chinese literary men of the later of Chosun seems to be demanded by side of Chosun, one-sidedly. But As a result of careful examination of the materials about his second trip to Beijing, we can find that there were some chinese persons who devoted themselves to keep company with Chosun's personages too. Hong Gyung-mo associated with Gi Soo-you, Jin Deng-ji and Yuk Gyung-yi in his first trip to Beijing and associated with Sol Bang-ul, Tak Byung-neam, Tak byung-um, Jin Gen-gwang and Sup Ji-sun in his second trip to Beijing. They usually kept a relation of companionship exchanging a poetry, prose and present. Especially, He kipt the longest relation of companionship with Gi Soo-you who had met in his first trip to Beijing. Because that was not only the ties formed in his first trip to Beijing but also the companionship of three generations linked from Yigye and Gi Hyo-ram at the back of it. Hong Gyung-mo recorded every things which he associated with. In 「Ue-Sa-hu-Pyun」 and 「Ue-Sa-Sok-Pyun」, the letters which he sent and received were recorded.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thinking of Kwan-am regarding records as important was reflected. The first reason that Hong Gyung-mo devoted himself into the companionship with chinese personages was the preachment on classics of grandfather Yigye. Yigye affected Kwan-am deeply and Kwan-am regarded the succession to him as important, as much as no exaggeration to say that the life of Kwan-am was the preachment of Yigye itself. The second reason was in order to inform Yigye and his family to chinese literary world. We can be known from his telling the relation between Yigye and Gi hyo-ram to people he met and giving the collection of Yigye. Besides, He introduced the collection of his uncle Hong Hee-jun to chinese literary world. The third reason was in order to inform himself to chinese literary world. we can recognize it from his efforts to give his own collections of poetry and prose to people he met and to take a preface from them. The preface of chinese personages seemed to be prided by being introduced to Chosun. That was why Chosun's personages tried to receive the prefaces of their prose collections from chinese literary men.

      • KCI등재

        ‘문장’영역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 내용 분석

        이군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2 漢字 漢文敎育 Vol.29 No.-

        This paper reviews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levels in the ‘Sentence’ part of the area of the ‘Knowledge of Classic Chinese’ in the Classic Chinese curriculum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s for the ‘Sentence’ area in the Curriculum, there are two achieve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Classic Chinese, ‘Basic Sentential Structure’ and ‘Types of Sentences,’ three in high school Classic Chinese I, ‘Using Sentential Structure for Sentential Interpretation with Knowledge of It,’ ‘Conversion of Sentential Constituents,’ and ‘Sentential Stylistics,’ and two in high school Classic Chinese II, ‘Omission of Sentential Constituents’ and ‘Various Types of Stylistics.’ Building on these achievement standards, this paper proposes 3 achievement standards in middle school Classic Chinese, which consist of 2 standards with respect to ‘Basic Sentential Structure’ and 1 in relation with ‘Types of Sentences,’ and 4 in high school Classic Chinese I, which include 2 standards concerning ‘Sentential Structure,’ 1 in relation with ‘Conversion of Sentential Constituents,’and 1 with respect to ‘Sentential Stylistics.’ Also, we have 5 achievement standards in Chinese Classic II by establishing 4 standards concerning ‘Omission of Sentential Constituents,’ and 1 for ‘Various Types of Stylistics.’In addition, this paper tries to give help in the creation of question items in actual educational scenes by establishing the achievement standards by means of terms like ‘able to investigate,’ ‘able to speak,’ and ‘able to explain,’and presenting exemplary questions for each standard. 본고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개발된 한문과 교육과정 ‘한문지식 영역’ ‘문장’ 부분을 성취기준과 성취수준을 살펴본 것이다. 교육과정 ‘문장’ 영역은 중학교 한문에 ‘문장의 기본 구조.’ ‘문장의 종류’의 2가지 성취기준이 있고, 고등학교 한문Ⅰ에는 ‘문장의 구조 알고 문장 풀이에 활용하기.’ ‘문장 성분의 도치’ ‘문장의 수사법.’의 3가지 성취기준이 있으며, 한문Ⅱ에 ‘문장 성분의 생략.’과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의 2가지 성취기준이 있다. 이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대하여 중학교 한문에서는 ‘문장의 기본 구조’와 관련하여 2개의 성취기준, ‘문장의 종류’와 관련하여 1개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3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고, 고등학교 한문Ⅰ에서는 ’문장의 구조‘와 관련하여 2가지, ‘문장 성분의 도치’와 관련하여 1가지, ‘문장의 수사’와 관련하여 1가지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4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한문Ⅱ에서는 ‘문장 성분의 생략’과 관련하여 4가지, ‘다양한 종류의 수사법’과 관련하여 1가지의 성취기준을 정하여 5개의 성취기준으로 하였다. 그리고 ‘조사할 수 있다’ ‘말할 수 있다’ ‘설명할 수 있다’라는 용어를 사용하여 성취수준의 단계를 설정하고, 각 성취 기준에 대하여 예시문항을 제시하여 실제 현장에서 문항 제작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KCI등재

        기윤(紀?)과 조선문인과의 교유와 그 의미

        이군선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한문교육논집 Vol.24 No.-

        This paper was written with a view to call to an aspect of social intercourse and the meanings between Ji-yun and Chosun's literati centering with Xiaolan Ji-yun's poetry. Ji-yun who known as historiographer was a minister of rituals of Qing Dynasty, he frequently contacted with Chosun's envoys and actively interchanged literary-men, writing for prefaces of their poetry. Also, Chosun's literati introduced Qing's brilliant culture through Ji-yun. it would be an evidence to amend a viewpoint that Qing's culture spreaded unilaterally over Chosun. Chosun did not accept Qing's culture passively but prior active stance subjectively. With such a point of view, this paper first searches the contents related Chosun in the Ji-yun's books and watches the aspect of intercourse with Ji-yun among the poetry of Chosun literary-men such as Yu deuk-kong, Park jae-ga, Hong yang-ho, Hong hyi-jun, Seo hyong-su etc. After the trip to Beijing had been done, they used to trade letters for keeping the relation and enable to continuously enjoy Qing's scholarship and a trend of culture. Such a first reason for social relation with them would be concerns of Ji-yun about Chosun's literati but on the other hand, have to be considered the passions of Chosun's literati devoting their best efforts to acceptance of the culture of Qing. In this point, it would be granted the meaning that their relation was a active and subjective acceptance in respect of advanced culture. 본고는 효람 기윤의 시문집을 중심으로 기윤과 조선문인과의 교유양상과 그 의미를 짚어 본 것이다. 기윤은 사고전서편찬관으로 잘 알려진 인물이다. 기윤은 청의 예부상서로 있으면서 조선 사신과 빈번하게 접촉하는 한편 조선 문인의 시문집에 서문을 써주는 등 활발하게 조선문인과 교유하였다. 또한 조선 문인들은 기윤을 통하여 청조의 발달된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입하였는데 이러한 문화수입의 자세는 기존 청조의 문화가 일방적으로 조선에 전파되었다는 시각을 교정하는 하나의 증거가 될 수 있다. 조선은 중국의 문화를 수동적인 입장에서 수용하였던 것이 아니라 보다 능동적인 자세를 가지고 주체적으로 수용하였던 것이다.본고는 선진문화의 능동적이고 주체적 수용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먼저 기윤의 문집에 수록된 조선 관련 내용을 살펴보고 이어 유득공 박제가 홍양호 홍희준 서형수 등 기윤과 교유한 조선 문인들의 문집에서 기윤과의 교유양상을 추적해 보았다. 이들은 연행 이후에도 시문과 서신을 주고받으며 교유를 이어 나가는 한편 기윤을 통하여 청조 학술과 문화의 동향을 지속적으로 호흡하였다. 이들이 이렇게 교유할 수 있었던 원인으로 우선 조선문인에 대한 기윤의 관심을 들 수 있겠지만 그 이면에는 청조 문화의 수용에 열정을 기울였던 조선 문인들의 노력 또한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의미에서 이들의 교유에 대해 선진문화에 대한 능동적이고 주체적 수용이라는 측면에 그 의미를 부여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