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文法研究の現状と展望

        이경수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This paper examines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in 2017 and 2018, on Japanese grammar and explores their current trends, clarifies special features, and provides insight into the prospect of future studies on Japanese grammar. I tried to divide Japanese grammar into several categories. This paper will examine research articles on Japanese grammar that have been published in papers. Descriptive grammar studies, Contrast research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 research applying contrast studies, Application t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r research, Research using corpus, Cognitive semantics and cognitive grammar, Politeness and discourse,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besides, The trends of the Japanese grammar research which is found in the Japanese Linguistic Society was clarifi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being done in the book seems to have not changed much in the way of research in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in Korea is carried out similarly to international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There are not many announcements, postings, or research findings by Korean researchers at Japanese academic conferences, seminars, etc. This is because Japanese academic societies do not acknowledge much in the field of research in Korea. It is because research articles highly evaluates academic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 think that such phenomenon will prevail for the time being. I think research articles will change positively as the standard of evaluation in Korea changes. In spite of such bad conditions, Korean researchers should positively announce a lot in Japan. 본고에서는 2017~2018년에 걸친 일본어문법 연구의 현황 및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본다. 검토 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10종의 학술지에 수록되어 있는 일본어문법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일본어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일본어문법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 논문을 살펴본 결과, 기술 문법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 연구 ․ 대조 연구를 이용한 번역 연구 ․ 문법 연구 결과의 일본어교육 응용․ 코퍼스를 이용한 문법연구 ․ 인지언어학과 인지 문법 ․ 경어와 담화 등등 주제가 다양하였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의 일본어학회, 일본어문법학회, 일본어교육학회, 언어학회에서 발표되는 일본어문법 연구 경향도 확인한 바, 한일 양국의 일본어문법 연구 흐름은 유사하지만, 일본에서는 일본어교육문법이라는 새로운 형태와 방법론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볼 때, 앞으로 한국에서도 일본어교육문법연구라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최근 몇 년간 일본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 및 세미나, 학술지 등에 한국인 연구자의 발표나 논문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점은 아쉽다. 이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이나 각 대학에서 일본에서의 학술 발표나 논문보다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더 인정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기현상일 것이다.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지 않는 한,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거나, 평가와 상관없이 순수하게 학문의 발전만을 위해 애쓰는 연구자들이 많이 나와야겠지만 현실적으로 쉽지않은 일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위에서 열거한 다양한 연구들을 문법교육과 일본어교육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 즉, 교육현장에서 문법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일 것이다.

      • KCI등재

        일반논문 : 약사사지롱(藥師寺知籠)와『문법주석한어연구법(文法註釋韓語硏究法)』

        윤영민 ( Young Min Yun ) 한민족문화학회 2015 한민족문화연구 Vol.50 No.-

        본고는 1909년에 간행된 『文法註釋韓語硏究法』의 구성과 내용을 고찰함으로써 개화기말 일본인의 관점에서 작성된 한국어 문법서의 특징을 관찰하고 ‘언어자료’로서의 『文法註釋韓語硏究法』에 대한 재고의 기반을 마련하여보고자 한 것이다. 『文法註釋韓語硏究法』은 같은 해 먼저 간행된『韓語通』, 『韓語文典』과 같이 ‘大槻文法’에 따른 일본 문법에 기초하였으며 한국어를 10품사 체계로 나누었으나 그 설정과 명명에 나름의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또한, ‘助動詞’의 기술에서는 한국어 조동사를 기능별 범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이는 일견 일본어 조동사에 해당하는 한국어 표현을 대응시킨 『韓語文典』의 영향이 보이는 것이지만 완성된 용언 형태로써 용례를 제시하는 독자적인 방식은 괄목할만하며 이러한 경향은 이후1923년 안확의 『修正朝鮮文法』을 통해 유사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번 연구는 한일 양국어의 근현대 문법의 확립과 완성기에 나타나는 이론과 체계적 상호 영향관계의 면면을 살펴보는 기초연구로서 저자인 야쿠시지 지로(藥師寺知籠)의 행적을 개괄하고 간행 목적, 구성 체제, 내용적 특징, 한일어 대응자료로서의 의의라는 네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文法註釋韓語硏究法』의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근대계몽기와 明治 말기, 현대 한국어와 일본어로의 변화를 준비하는 시기에 산견되는 양언어의 과도기적 양상을 파악하여보는 한편, 일본인의 시각에서 한국어의 문법 범주와 항목을 어떻게 설명하고 기술하였는지 밝혀보았다. This study examines the contents and organization of 『文法註釋韓語硏究法』(1909). By doing so, this paper aims to observe the properties of Korean grammar book which was written from the Japanese viewpoint in the end of Korean enlightenment period and to lay the groundwork for reconsidering 『文法註釋韓語硏究法』as a linguistic material. 『文法註釋韓語硏究法』 is based on the Japanese grammar conforming to ``大槻文法``, just as 『韓語通』 and 『韓語文典』 which were published before 『文法註釋韓語硏究法』 the same year.『文法註釋韓語硏究法』 classified 10 parts of speech of Korean but it had criteria and nomenclature of its own. Especially, in the part of ``auxiliary verb (助動詞)``, it classified the Korean auxiliary verbs by their function. This seems to be influenced from 『韓語文典』 at first sight, but its original way of suggesting examples using complete predicates is remarkable and this tendency is also shown in An-Hwak`s 『修正朝鮮文法』(1923). The research, as a study of theories and their interrelationship in the time of Korean and Japanese grammatical establishment, attempts to recapitulate the Yakushiji`s achievement and analyze 『文法註釋韓語硏究法』 by dividing it in four aspects, which are purpose of publishment, setup of organization, content characteristics, and its importance as Korean-Japanese correspondence data. By this process, it figures out both Korean and Japanese transitional aspect throughout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 late Meiji (明治), and present day, as well as how the grammatical categories of Korean a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Japanese.

      • KCI등재

        文法研究の現状と展望

        李暻洙(이경수) 한국일본어학회 2019 日本語學硏究 Vol.0 No.59

        본고에서는 2017~2018년에 걸친 일본어문법 연구의 현황 및 앞으로의 전망을 살펴본다. 검토 대상은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10종의 학술지에 수록되어 있는 일본어문법 연구 논문으로 한정하였다. 이 연구의 목적은, 최근의 일본어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일본어문법 연구에 대한 새로운 전망을 제공하는 것이다. 대상 논문을 살펴본 결과, 기술 문법 연구 · 한국어와 일본어의 대조 연구 · 대조 연구를 이용한 번역 연구 · 문법 연구 결과의 일본어교육 응용 · 코퍼스를 이용한 문법연구 ․ 인지언어학과 인지 문법 · 경어와 담화 등등 주제가 다양하였다. 한국뿐만 아니라 일본의 일본어학회, 일본어문법학회, 일본어교육학회, 언어학회에서 발표되는 일본어문법 연구 경향도 확인한 바, 한일 양국의 일본어문법 연구 흐름은 유사하지만, 일본에서는 일본어교육문법이라는 새로운 형태와 방법론이 서서히 일어나고 있음을 감지할 수 있었다. 이를 볼 때, 앞으로 한국에서도 일본어교육문법연구라는 새로운 변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최근 몇 년간 일본에서 개최되는 학술대회 및 세미나, 학술지 등에 한국인 연구자의 발표나 논문이 그다지 눈에 띄지 않는 점은 아쉽다. 이는 한국학술진흥재단이나 각 대학에서 일본에서의 학술 발표나 논문보다 한국연구재단에 등재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더 인정하기 때문에 나타나는 기현상일 것이다.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지 않는 한, 이러한 현상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더 우수한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한국의 평가 기준이 바뀌거나, 평가와 상관없이 순수하게 학문의 발전만을 위해 애쓰는 연구자들이 많이 나와야겠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일이다. 앞으로의 과제는, 위에서 열거한 다양한 연구들을 문법교육과 일본어교육이 상호 유기적으로 연계할 수 있는 방안 즉, 교육현장에서 문법교육에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일일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in 2017 and 2018, on Japanese grammar and explores their current trends, clarifies special features, and provides insight into the prospect of future studies on Japanese grammar. I tried to divide Japanese grammar into several categories. This paper will examine research articles on Japanese grammar that have been published in papers. Descriptive grammar studies, Contrast research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 research applying contrast studies, Application to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grammar research, Research using corpus, Cognitive semantics and cognitive grammar, Politeness and discourse, Various research methods were used. besides, The trends of the Japanese grammar research which is found in the Japanese Linguistic Society was clarified. The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research being done in the book seems to have not changed much in the way of research in Korea.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in Korea is carried out similarly to international research on Japanese grammar. There are not many announcements, postings, or research findings by Korean researchers at Japanese academic conferences, seminars, etc. This is because Japanese academic societies do not acknowledge much in the field of research in Korea. It is because research articles highly evaluates academic papers registered in the Korea Research Foundation. I think that such phenomenon will prevail for the time being. I think research articles will change positively as the standard of evaluation in Korea changes. In spite of such bad conditions, Korean researchers should positively announce a lot in Japan.

      • KCI등재

        한국어 유사 문법 연구 동향 분석

        박근희(Park Keunh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2008년에서 2018년 10월까지의 유사 문법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향 후의 유사 문법 연구 방향을 제안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유사 문법 연구의 범위를 획정(劃定)하고 분석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선정된 학위 및 학 술지 논문 693편의 연도 및 유형별,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유사 문법 연구는 연도별로 꾸준한 상승세를 나타내면서 2017년에 이르러서는 2008년에 비해 약 3배의 양적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학위 논문이 이를 주도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주제 영역에서는 ‘유사 문법 교육 내용’에 관한 연구가 전체 연구의 55.6%로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유사 문법의 변별을 위해 담화 층위의 의사소통에서 구현하고자 한 연구들이 증가하였고, 의미·기능뿐 아니라 음운이나 형태가 유사한 문법항목 간의 비교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유사 문법 교수 학습’ 영역의 연구에서는 유사 문법의 ‘사용 양상’에 주목한 연구들이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새로운 교수 학습 방안을 개발하거나 개발한 교육 방법의 효과를 입증하는 실험 연구의 수는 부족하여 이를 위한 연구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유사 문법 체계’ 영역의 유사 문법의 개념 및 범위 획정에 관한 논의들을 통해서는 유사 문법 연구의 외연이 점차 확대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학습자를 고려한 유사 문법 목록 선정 및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또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여전히 ‘유사 문법의 내용 기술 원리’를 거시적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살피는 연구와 학습자 수준별, 언어권별, 단계별 항목 배열 등에 관한 논의들이 미흡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시급함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future directions of Similar Grammar research by analyzing the trends of Similar Grammar research from 2008 to the end of October 2018.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scope of Similar Grammar research is defined, the analysis procedure is presented, and lastly, the study trends of 693 selected theses and journals are reviewed by year and theme. As a result, Similar Gramma studies showed a steady upward trend by year, and by 2017, it has grown about 3 times as much as in 2008. And theses have been confirmed to lead them. Meanwhile, in the area of theme, it was found that the studies on Education Contents of the Similar Grammar’ were most actively carried out, which accounted for 55.6% of all studies. And it is found that for the discrimination of Similar Gramma, the researches to be implemented in the communications of the Discourse Levels have increased, and the comparative studies of the grammatical items similar in phonemic and morphological forms as well as the meaning and function are actively carried out. It is also confirmed that in studies of Similar Grammar Education areas, studies focusing on the Use Patterns of Similar Gramma have accounted for a high proportion, but the number of experimental studies developing new educational methods or proving the effectiveness of those educational methods is insufficient, which needs further studies. Through the discussions on the concept of Similar Gramma and the definition of the scope of the Similar Gramma System , it is verified that the studies of Similar Gramma are gradually expanding and researches on the selection of lists and type classification of Similar Grammar considering learners are actively carried out. However, researches which examine the Principle of content description of Similar Grammar systematically on the macro level and studies on learner s level, Sprachraum, linguistic level, and etc are still lacking and urgently required.

      • KCI등재

        일본어문법 연구의 현황과 가능성

        정상철(鄭相哲) 한국일본어학회 2010 日本語學硏究 Vol.0 No.28

        본 논문에서는 2000년 이후에 이루어진 현대일본어 문법연구의 동향을 살펴보면서 그 특징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점검하여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본 것이다. 먼저 일반언어학과 일본어학, 그리고 일본어 문법연구를 둘러싼 시대적 배경을 알아보고 그러한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문법연구의 현황과 특징을 1)시대별 연구동향, 2)「이론」과「기술」, 3)2000년 이후의 문법연구, 4)한국에서의 문법연구 등의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2000년 이후의 문법연구는 다양화/다각화의 시대라는 점에서는 많은 연구자들이 공감하고 있는 특징인 것 같다. 그리고 다음으로는 문법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개념 중 하나라고 생각되는「이론적인 문법연구」와 「기술적인 문법연구」에 대한 양측의 입장과 차이점을 알아보았다. 또한 이 시기의 대표적인 이론적 연구로는 문법화와 어휘개념구조에 의한 구문연구 등이 있고, 기술적인 연구로는 총7권으로 구성된 일본어기술연구회편에 의한 일련의 연구들을 대표적인 성과로 들 수 있다. 한편 한국에서의 일본어 문법연구의 특징적인 경향으로는 연구자수의 증가와 더불어 여러분야로 연구범위가 확장되면서 양적인 성장을 이루어진 한편 질적인 수준이 문제가 되고 있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실용성이라는 요인이 관련되어 있어서인지 이론적인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 같다. 마지막으로 다양화/다각화의 시대라는 하나의 전환기에 서있는 현재의 연구 수준을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연구자의 바람직한 연구자세와 연구방법론, 연구의 우선순서 등에 보다 더 많은 관심이 모아질 필요가 있다. 그리고 분석과 종합, 명제와 모달리티 등 문 성립에 필수불가결하면서 기본적인 개념에 대한 심도있고 정확한 이해가 반드시 선행되어지지 않으면 안된다.

      • KCI등재

        文法研究の現状と展望

        張根壽(장근수) 한국일본어학회 2021 日本語學硏究 Vol.0 No.67

        이 연구에서는 2019~2020년 한국에서 발행된 일본어 연구 관련 학술지에서 문법 논문을 취합하여 그 내용을 파악한 후 전체적인 현황을 제시하였다. 논문의 유형에 따라 단어의 의미・형태・통어에 관한 연구, 문법범주에 관한 연구, 한일대조연구, 일본에서의 문법 연구의 동향으로 나누어 그 내용과 특징을 기술하였다. 한국에서의 일본어 문법 연구는 이론적 연구와 더불어 문법현상을 기술하는 방법론을 포함해 대조연구나 오용분석, 언어유형론과 같은 응용언어학적인 측면에서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는 모어가 아닌 제2언어로서의 언어연구・외국어교육이라는 측면에서도 타당한 방법론이라 할 수 있다. 이번 조사에서도 한일 간 대조연구의 전통적인 단어의 1:1 대응 형식의 연구에서부터 어휘 레벨의 연구를 포함해 다양한 문법범주에 관한 논문을 찾아볼 수 있었다. 또한 문법의 연구영역인 문 레벨의 연구가 점차 담화 레벨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움직임도 보인다. 이는 문법 현상 자체를 연구하는 방법에서 문법을 활용한 연구로의 이행이라는 흐름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문법교육을 비롯해 오용분석, 언어습득은 물론 커뮤니케이션이나 화용론 등 타 분야에서도 문법은 활용되고 있다. 앞으로도 문법연구는 담화・텍스트를 고려한 문법론, 그리고 다양한 분야에서 문법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발전해 갈 것이라 생각된다. This study collected papers on grammar from Japanese language research journals published in Korea from 2019 to 2020 and examined the papers to explore an overall trend in research. According to topics of the papers, they were divided into research on meanings, forms, and syntax of words; research on grammatical categories; comparative research o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and research on grammar studies in Japan, and summarized their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In Korea, studies of Japanese grammar have been actively conducted especially in the field of applied linguistics that encompasses comparative studies, error analyses, and language typology, as well as in the areas of theoretical research and methodological research for interpreting grammatical phenomena. This is a valid methodological approach to researches on a second language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also found papers on various grammatical categories including comparative stud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languages based on the traditional one-to-one word correspondence and vocabulary level studies. In addition, there is a trend that the sentence level research, which is one of the typical areas of grammar research, is gradually expanding to the discourse level.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movement toward a transition from a research on grammatical phenomena to a research using grammar. Grammar is already used in other fields of research such as grammar education, error analyses, language acquisition, communication, and pragmatics. In the future, it is thought that grammar research will evolve in the direction of discourse and text level studies, and of the application of grammar to various fields.

      • KCI등재

        문법적 연어와 문법화의 관계

        임근석 국어학회 2008 국어학 Vol.0 No.51

        본고는 국어 ‘문법적 연어’가 문법화와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법적 연어는 임근석(2005ㄱ, 2006)에서 다루었던 연어 개념을 비교 기준으로 삼고 문법화의 경우 전형적인 문법화 연구를 문법화 연구Ⅰ, 기능론적ㆍ유형론적 관점의 연구를 문법화 연구Ⅱ로 나누어 비교ㆍ대조한다. 문법적 연어 연구와 문법화 연구는 연구 대상이 겹칠 수도 있으나 도입 동기, 연구 방법 및 연구 초점, 효용성 등에서 커다란 차이를 보인다. 이는 단지 문법적 연어 연구와 문법화 연구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 줄 뿐만 아니라 문법적 연어 연구와 문법화 연구가 상호 보완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하겠다. ‘-ㄴ 뒤에, -기 시작하-’라는 문법적 연어를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문법적 연어 연구의 효용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이소정(Sojeong Lee),구민지(Min Ji Koo) 한국문화융합학회 2022 문화와 융합 Vol.44 No.6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의 나갈 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한국어 교육학의 문법 교육 연구물을주제별 연구 방법별로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술연구정보서비스에서 ‘한국어 문법 교육’이라는 검색어로검색되는 논문 중 2021년 12월까지의 국내 학술지논문 678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참조하여주제는 문법 교육 일반, 문법 체계, 문법 요소, 문법 사용 양상, 문법 교육 방법, 문법 교육 자료, 문법 평가 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연구 유형은 4개의 중분류를 포함하는 1차적 연구과 3개의 중분류를 포함하는 2차적 연구로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문법 교육은 주제 측면에서는 덩어리 형태인 표현에 대한 연구, 화행과 화용적 기능에 대한 연구, 실제 수업을 바탕으로 한 문법 교수법 연구, 학습자 모국어와의 대조 분석 결과에 따른 문법 교육 방안 제시 연구, 현지 맞춤형 문법 교재 개발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유형 측면에서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는 전반적으로 2차적 연구에 편중된 경향이 있으나 문법 양상 연구 영역에서만은 1차적 연구 비율이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한국어 문법 교육 연구의 각 주제에 적합한 연구 방법론 탐색이 필수불가결한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grammar education research of Korean pedagogy to explore the direction of Korean grammar education research. In order to this end, we have selected 678 of the domestic journal paper by the study of the papers retrieved by the keyword “Korean Grammar Education”. Referring to the preceding study, the subject was classified as grammar education general, grammar system, grammar elements, grammar use aspects, grammar teaching methods, grammar teaching materials and grammar evaluation areas. The research type was classified as a primary study including three median and a secondary study including four median. The subject side trends of the Korean grammar education study are as follows; studies on the expression in the form of lumps, studies on the function of the speech act and pragmatics, studies on the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actual class,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localized grammar textbooks were increased. In terms of research types, Korean grammatical education research tends to be devoted to the secondary study, but only the primary research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grammar use aspects area. The Korean Education academics must find what research methods suitable for each subject of Korean grammar education research.

      • 중국에서의 조선어문법 연구의 현황과 과제 - 《중국조선어문》에 실린 론문을 중심으로

        강은국(姜??)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2019 중국조선어문 Vol.223 No.-

        중국에서 조선어문법이 독자적인 언어학의 한 분과로 자리매김하고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한 지도 이미 60여년의 력사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유감스러운 것은 우리 학계에서는 아직까지 이에 대한 전면적인 총화가 없었다는 것이다. 이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통시적 연구와 공시적 연구를 결합하는 연구방법으로 주로 《중국조선어문》 (창간호-2018년 제6호)에 실린 180편의 문법 관련 연구 론문에 대한 고찰을 통해 중국에서의 조선어문법 연구력사를 총화하고 동시에 조선어문법 연구에서 아직까지 미해결로 남아있는 몇몇 주요한 문제들에 대한 필자의 견해도 나름 대로 지적해보았다.

      • KCI등재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교육 현황 연구

        응웬 티 프엉 투,양명희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23 다문화콘텐츠연구 Vol.- No.43

        Recently, many exchange activities have been promoted in various fields between Viet Nam and Korea with the aim to comprehend as well as deepen the partnership of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in the aspect of education. Viet Nam ranks second in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in South Korea after China. During the process of studying Korean, there is no room for doubt that grammar plays an important role, that's why I started this study with curiosity about how Korean grammar education and research are conducted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while there are many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Vietnamese grammar. analyzing data searched by Korea's "Academic Information Research Service"(RISS) and papers contained in Vietnam's "HAN QUOC"(Korean magazine), and investigating data about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at 9 Vietnamese universities, I found that there are several problems remain. The research topics of Korean grammar education are not diverse enough.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o find high-quality studies such as developing a new teaching model or verifying the practical effects of teaching methods. Although teaching methods have improved a lot, there are no localized Korean grammar textbooks for Vietnamese learners and teacher-centered classes are dominated due to educational conditions. In this study, several improvement measures are also proposed in anticipation of the developed future of Korean grammar education for Vietnamese Korean learners. 한국과 베트남이 우호 관계를 수립한 지 30여 년, 한국 내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는 중국인 학습자의 뒤를 이어 그 수가 급증하였다. 고급의 한국어 학습자에 대한 수요 역시 늘어나 한국어 문법교육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문법적 차이가 큰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문법교육 연구 성과에 대한 검토와 베트남에서의 한국어교육 현황에 대한 비판적 연구는 한국어 문법교육의 과제와 방향을 제시하는 데 필수적이다.한국의 ‘학술정보연구서비스’(RISS)에서 검색한 자료와 베트남의 베트남한국학술연구회(KRAV)의 학술지 ‘HAN QUOC’(한국 잡지)에 수록된 논문들을 분석하고, 베트남 주요 대학 9곳의 한국어 문법교육 현황을 조사한 결과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 연구와 교육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나타났다. 한국어 문법교육의 연구 주제가 다양하지 않고, 새로운 교수 모형을 개발하거나 교수 방법에 따른 실질적 효과를 검증하는 등 수준 높은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다. 또한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현지화된 한국어 문법 교재가 없고 교수 방법도 많이 개선되었다고는 하나 교육 여건상 교사 중심의 수업이 주를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 베트남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문법교육의 발전된 미래를 기대하면서 공동 연구 등 몇 가지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