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지의 인식론

        김미덕(Miduk Kim)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7 현상과 인식 Vol.41 No.3

        무지의 개념, 원인, 형태는 다양하고 복잡하다. 이 글은 규범적/적극적/고집스런 무지를 살피는데, 이는 도덕적 판단의 문제로서 정체성, 특권, 지식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특권의 한 역설로서의 무지를 살펴본다. 이때 무지는 지식의 결핍이라기보다 자신의 특권을 자각하지 못하는, 깨닫지 못함의 사치, 생각하지 않음, 무감각, 어리석음 등으로 불리는 것이다. 이 글은 고집스런 무지의 세 특징에 주목한다. 첫째, 무지는 교육, 문화, 미디어 등을 통해 제도화되어 있다. 둘째, 무지는 앎과 마찬가지로 상황적이다. 구조화된 특권 집단의 성원은 자신의 사회화된 특권을 인식하지 못하는 특권을 갖는다. 그리고 그런 특권을 비판받을 때 정당화나 심리적·물리적 저항을 보인다. 능력주의 이데올로기, 피해자 비난하기 등을 포함한다. 셋째, 무지의 극복 문제이다. 이 글에서는 지식 문제에 초점을 두어 피억압자의 인식론적 특권을 확인하고 보편적 지식이라는 서구, 백인, 중산계층 남성 중심의 지식이 그들의 경험에 기반한 주관적 지식이라는 이해가 중요한 과정이라고 설명한다. 대개 무지와 특권은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글은 특권의 한 역설인 고집스런 무지에 대한 이해를 통해 지식, 정체성, 특권 담론의 영역을 확장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The concept, cause, and form of ignorance are varied and complex. The ignorance this article examines is normative/positive/willful ignorance involved with moral judgement. This article shows that ignorance is one paradox of privilege in terms of identity, privilege, and knowledge. Here ignorance is called the luxury of obliviousness, thoughtlessness, insensitivity, and stupidity. Three features I focus on are as follows: first, ignorance is institutionalized through mainstream education, culture, and mass media. Second, ignorance is situated as knowledge is. The structurally privileged don"t recognize their own privilege, which is an essential factor of privilege. When they are questioned their privilege, they justify their world view and show diverse psychological·material forms of resistance such as meritocracy ideology and victim blaming. Third, as one alternative of ignorance, I explain the epistemological privilege of the underprivileged, and show the universal knowledge which has been western, white, male dominated knowledge is also subjective, particular knowledge based on their experiences. It seems that there is no relation between ignorance and privilege. I hope this article can make a contribution to expand the discourse on knowledge, identity and privileg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willful ignorance as one of paradoxes of privilege.

      • KCI등재

        지식사회의 새로운 도전 ‘무지(無知)’:

        김종길(Kim Jong Kil)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1

        근대 이후 사회학은 과학지식을 일반 대중의 무지를 바로잡을 수 있는 교정자이자 사회발전의 열쇠로 보고 이에 적극적인 역할을 주문했다. 반면 무지는 참된 지식으로부터의 일탈 또는 이해관계에 종속된 이데올로기의 변종으로 평가절하되었다. 그런데 계몽주의 이후 광범위하게 확산된 대중의 지식 낙관론과 ‘참된’ 지식에 대한 학계의 갈구가 최근 과학지식의 타당성과 효과성을 둘러싼 논란을 계기로 극적으로 반전되는 양상이다. 오존층파괴, 지구온난화, 유전자조작생명체의 출현과 확산 등에서 보듯 과학적 진보와 과학지식의 유용성에 회의를 품게 하는 생태계 위기의 징후가 뚜렷해지고 있으며, 과학지식이 증가하는 것에 비례하여 무지도 증가하는 역설이 가시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오래전부터 지식사회의 도래를 주창해 온 이들조차도 이 같은 무지 현상의 부상과 확산이 가져올 새로운 도전에 눈을 돌리고 있으며, 더불어, 지식과 길항관계에 있는 무지, 미지, 지식 부재, 불확실성, 비가시성, 프라이버시 등의 가치에 주목하는 이들도 늘어나고 있다. 이 글은 사회학적 무지 연구의 이론적성과와 쟁점을 정리하고 그 현대사회적 의미를 천착하며 향후 논의의 방향을 가늠한다. 연구 결과, 사회학계의 무지 연구는 비밀의 순기능을 발굴한 게오르크 짐멜의 고전적 논의에서부터 현상학적 사회학의 미시적 무지 탐색, 과학사회학과 과학지식사회학 등 분과사회학의 과학적 무지 연구를 거쳐 현재는 이른바 무지의 사회이론 구축이라는 담대한 시도로 나아가고 있다. 이 같은 진화적 궤적을 거치면서 무지는 점차 지식사회학의 새로운 지평을 여는 열쇠 아젠다이자 패러다임 전환을 이끄는 선도 개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Since the beginning of modernity, sociology has constantly emphasized active roles of the scientific knowledge, as a key for social development and progress, in correcting the ignorance of the public. On the other hand, ignorance or non-knowledge has been devalued as deviation from the true knowledge or a variant of ideology dependent on the individual interests. The knowledge optimism of the general public, which has spreaded extensively since the Enlightenment era, and the demand for true knowledge of the academia have recently shown a sign of dramatic reversal largely due to controversy on the validity and effectiveness of the scientific knowledge. It is likely to be associated with that signs of ecological crisis that can aggravate the skepticism on the scientific progress and effectiveness of scientific knowledge, such as depletion of the ozone layer, global warming, the emergence and spread of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and the like, has been clearer over time and that the paradox of increasing non-knowledge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scientific knowledge is becoming visible. Thus, even those who have advocated the emergence of the knowledge society for long are turning to the proliferation of the non-knowledge phenomenon and new challenges that it would bring about. Furthermore, attention to the value and benefits of ignorance, non-knowledge, the unknown, the knowledge absence, invisibility, privacy, which are in antagonistic relations with knowledge, has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article attempts to review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issues on the non-knowledge, examines their sociological implications, and propose avenues for future discourses. Results indicated that sociological studies of non-knowledge can be traced back to Georg Zimmel s classical discussion on the functions of the secret, which influenced the phenomenological sociologists microscopic study on the world of everyday life, research on non-knowledge in the sociology of science as well as in sociology of scientific knowledge, and, most recently, the attempts to build a social theory of non-knowledge. Through these evolutionary trajectories, non-knowledge is gradually establishing itself not only as a core agenda that opens new horizons, also a key concept that can lead to a paradigm shift in the sociology of knowledge.

      • KCI등재

        위험사회의 전개와 지식 패러독스

        김종길(Kim, Jongkil) 한국이론사회학회 2016 사회와 이론 Vol.29 No.-

        최근 과학기술이 만개하고 과학지식이 확산되면서 그 효용성과 한계를 둘러싼 논란 역시 뜨겁다. 특히 동시다발적 국지전, 세계경제의 주기적 위기, 지구인구 폭증, 광우병, 중동호흡기증후군과 같은 ‘가공된 불확실성의 세계’가 쏟아내는 새로운 위험 앞에 과학지식의 효용성에 대한 회의의 목소리가 높다. 본고는 위험사회의 전개와 더불어 노정되는 과학지식의 한계를 성찰하고 과학적 무지의 확산이라는 시대적 도전이 낳는 파장을 가늠하며 이로부터 몇 가지 사회학적 함의를 도출한다. 연구 결과에서 보듯, 무지는 지식과 단순 길항관계에 있는 것이 아니라 사회의 역동적 지식구성 및 정의과정과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 즉, 무지는 지식과 마찬가지로 주어진 ‘객관적’ 사실을 단순히 투영하는 것이 아니라 다차원적인 사회구성과 정의 및 인정과정에 심대하게 의존하고 있다. 그런 만큼 무지연구는 명쾌하게 논증되는 현상이나 정확하게 포착되는 대상에 대한 인과적 설명 또는 기능적 분석에만 매몰되어서는 곤란하다. 무지의 사회학은 지식과 무지의 구성, 정의, 귀속, 승인, 축소와 배제, 그리고 그 과정에서 생겨나는 갖가지 현재적·잠재적 결과들에 대한 열린 관찰과 비판적 성찰을 전제한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wide spread of scientific knowledge, the limits and effectiveness of it are increasingly debated. In particular, there are growing skepticism about the efficacy and legitimacy of scientific knowledge with the rising new risks of "artificial world of uncertainty," such as multiple large-scale wars across regions in the world, periodic economic crisis, population explosion, mad cow disease, and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The primary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limitations of the scientific knowledge that result from development of the risk society and to extract some sociological implications by exploring the social impacts of new challenges of the scientific ignorance. Results of analysis indicated that knowledge and ignorance or non-knowledge is not in the simple antagonism, bu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ocess of various configurations and definitions of all kinds of social agent. In other words, ignorance is not intended to reflect the "objective" facts per se, but rely profoundly on the process of various social construction, definition, and recognition. Therefore, sociology of ignorance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sphere of the causal explanation or functional analysis of the phenomenon that can be clearly proven or accurately seized. Sociology of ignorance presupposes an open observation of, and critical reflection on construction, definition, attribution, acknowledgment, reduction, exclusion of ignorance, and all manifestations and latent consequences that occur subsequently.

      • KCI등재

        Rational Ignorance versus Rational Informedness : Perspectives of the Theory of Rational Ignorance

        Sung-Kyu Lee,Sanghack Lee 한국제도경제학회 2019 제도와 경제 Vol.13 No.1

        공공재, 공무(公務)나 공공정책의 특성상 일반 시민들은 이들에 대해 잘 알아보려고 하지 않음으로써 ‘합리적 무지’ 상태에 머물러 있게 된다. 본 논문은 합리적 무지“론”의 관점에서 합리적 무지(無知)와 합리적 유지(有知)를 대비하고, 그 폐해를 지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합리적 무지 현상을 두 가지 방식으로 설명한 후, 합리적 무지의 주요 폐해를 지적하고, 마지막으로 일반 시민들이나 투표자들을 합리적 유지로 이끌기 위한 ‘유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합리적 무지 “현상”을 공공사업의 이익과 비용 분포, 불완전 정보, 투표자들의 합리적 무지 유인, 정치적 성공 등의 관점에서 설명한 다. 둘째, 합리적 무지론을 ‘투표 가치’와 ‘집단행동의 논리’를 바탕으로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합리적 무지의 폐해를 민주주의의 역설, 이념, 이익 강탈 등의 측면에서 설명한다. 일반 시민들의 합리적 무지는 민주주의의 역설인 ‘이익의 불평등’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소수가 다수의 이익을 ‘강탈’하는 현상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일반 시민들은 공무에 대해 합리적으로 유지(有知)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대신 공무 결정시 ‘이념’ 에 의존하게 된다. 본 논문은 민주주의가 잘 작동하려면 일반 시민들이나 투표자들이 정책과 공무에 대한 적절한 정보를 습득하려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Typical citizens fall into the state of rational ignorance as they have no incentive to study the nature of public goods, public affairs or public policies in detail. This paper contrasts ‘rational ignorance’ with ‘rational informednes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eory of rational ignorance, and identifies its negative effects. To this end, we explain the “phenomenon” of rational ignorance by two approaches, and then examine its major negative impacts. Then, based on the analysis, we propose incentives for typical citizens or voters to be rationally informed. First, we explain the phenomenon of rational ignorance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the benefits and costs of public programs, imperfect information, incentives for voters to be rationally ignorant, and political success. Second, we examine the theory of rational ignorance based on both the vote value and the logic of collective action. Finally, we identify the negative effects of rational ignorance in terms of the democratic paradox, ideology, and interest predation. Rational ignorance of typical citizens not only leads to the inequality in benefits distribution, which is the paradox of democracy, but also allows a small number of people to rob many citizens of their interests. In addition, typical citizens tend to rely on the ‘ideology’ that they have adopted when they make decision on public affairs, rather than trying to become rationally informed of them. Thus, the analysis of the present paper suggests that, for democracy to function properly, typical citizens and voters should make due efforts to be rationally informed.

      • KCI등재

        선천성 무지 저형성증의 수술적 치료

        이종서(Jong Seo Lee),안태영(Tae Young Ahn),이태훈(Tae Hoon Lee),김휘택(Hui Taek Kim) 대한정형외과학회 2013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8 No.6

        목적: 선천성 무지 기형에 대한 수술적 치료의 결과와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2년부터 2011년까지 부산대학교병원에서 9예의 무지를 수술적 치료하였다. 남아가 5예, 여아가 4예였다. 수술 당시 나이는 평균 4.7세로 5세 이하가 7예, 10세 이상이 2예였다. 5예의 Blauth 제5형 저형성증(무형성증)은 무지 형성술(Buck-Gramcko technique)로 치료하였고 4예의 제1, 2형 저형성증에 대해서는 무지 대립 성형술(opponensplasty)과 건이전술(신전력 및 외전력 보강)로 치료하였다. 치료 결과 평가는 Mehta의 점수 체계를 사용하였다. 결과: 9예 중 우수 5예, 양호 3예, 불량 1예의 결과를 보였다. 무지 무형성증 중 3예, 저형성증 중 1예 등 총 4예에서 근력 약화, 중수지 관절(metacarpo-phalangeal joint)의 아탈구로 인해 대립근 성형술, 중수골 단축술 등 재수술이 필요했다. 최종 운동범위는 전 예에서 무지 외전이 40o 이상, 집게능력(pinch power)은 정상 측에 비교하여 40% 이상이었다. 결론: 무지 무형성증 및 저형성증에 대해 무지 형성술, 무지 대립 성형술과 근력 약화에 대한 추가 수술로 기능 및 외관상 양호한 결과를 얻었다. Purpose: We evaluated the results and complications of surgical treatment for congenital thumb abnormaliti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2 and 2011, nine thumbs were surgically treated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usan, Korea). There were five males and four females. The mean age of patients at the time of operation was 4.7 years (seven patients were under five years old and two patients were over 10). Five cases of Blauth type V hypoplasia (aplasia) were treated by pollicization (using the Buck-Gramcko technique). Four cases of type I or II hypoplasia were treated by opponensplasty and tendon transfer (for extensor and abductor augmentation). The Mehta scoring system was used for analysis of outcomes. Results: Among nine cases, outcomes were good in five cases, fair in three cases, and poor in one case. Second operations were required due to muscle weakness and metacarpo-phalangeal joint subluxation in three cases of aplasia and one case of hypoplasia. In all cases, the range of active abduction of the thumb was more than 40° and pinch power was at least 40% of that on the normal side at the latest follow up. Conclusion: Surgical reconstruction using pollicization and opponensplasty for congenital thumb aplasia and hypoplasia, with additional surgery for muscle weakness, provided good results both functionally and cosmetically.

      • KCI등재

        미디어 이용행태가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다원적 무지 논의를 중심으로

        최민욱 한국PR학회 2010 홍보학연구 Vol.14 No.2

        This study examined the existence of pluralistic ignorance in estimating diet issue and the influence of the media use and involvement on the perception of diet. The data of female college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Findings indicate that (1) pluralistic ignorance occurs in estimating diet issue, namely that respondents tended to estimate other people’s attitude about diet more favorably than real attitude; (2) the internet use time predicts pluralistic ignorance positively, the use time of news and current event genre in TV predicts pluralistic ignorance negatively, and the use time of entertainment genre in internet predicts pluralistic ignorance positively;and (3) the respondent’s involvement on the perception of diet predicts pluralistic ignorance positively. As a conclusion, the process of diet-perception of young women and possible problem about it are discussed in the viewpoint of pluralistic ignorance. Especially, the influence of media in the process of diet-perception is discussed and health communication campaign about diet is proposed. 본 연구는 근래 젊은 여성들의 지나친 다이어트 행동이 사회 내 개인이 다른사람들의 생각을 잘못 인식하는 다원적 무지 현상과 관련이 있을 것이라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여대생을 대상으로 미용 목적의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다원적 무지 현상이 나타나는지 검증해 보고, 다원적 무지 현상에 미치는 미디어 이용행태와 다이어트에 대한 관여도의 영향을파악하여 보았다.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실제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다른 사람들이 더 미용 목적의 다이어트에 긍정적일 것이라고 잘못 생각하는 다원적 무지 현상을보였다. 미디어 이용행태가 다원적 무지 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미디어 이용량과 콘텐츠 장르 이용량이 여대생의 다이어트에 대한 다원적 무지현상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인터넷 이용량이 다원적 무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TV 장르 중 뉴스 및 시사 장르 이용량이 다원적 무지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인터넷 장르 중 오락 장르이용량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용자 변인으로 응답자의 다이어트에 대한 관여도가 다원적 무지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부분에서는 연구 결과를 기초로 다원적 무지 관점에서 젊은여성들의 다이어트에 대한 인식이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이로 인해 야기될수 있는 문제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특히 젊은 여성들의 다이어트에 대한 다원적 무지 현상이 나타나는 과정에서 미디어의 영향에 대해 논의하고, 헬스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모색하여 보았다.

      • KCI등재

        2008년 촛불집회를 통해 본 광우병 공포와 무지의 위험소통

        노진철(Rho Jin-Chul) 비판사회학회 2009 경제와 사회 Vol.- No.84

        이명박 정부가 광우병 발생국인 미국과 체결했던 30개월 이상 미국산 쇠고기 수입 협상이 청소년ㆍ시민들에 의해 거부되면서 촛불집회가 106일 동안 지속되었다. 인간광우병 공포로 불안해하는 청소년ㆍ시민들은 미국 쇠고기시장에의 완전개방을 결정한 정부의 결정에 대해 무효화를 요구하면서 저항했다. 이 연구는 정부와 청소년ㆍ시민들이 인간광우병의 공포와 불안, 그리고 지식과 무지의 차이를 촛불집회와 인터넷 언론에 의해 구축된 광우병 무지 속에서 어떻게 소통했는지를 위험사회학의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루만의 통찰에 따르면, 지식의 증가는 동시적으로 무지의 증가를 동반한다. 청소년ㆍ시민들의 광우병 공포에서는 특정한 무지와 불특정한 무지의 차이에 대한 사회의 반응이 잘 드러난다. 정부는 과학적 확실성의 기대에서 광우병을 수용 가능한 위험으로 받아들여 위험선호의 형식을 취했다. 그렇지만 청소년ㆍ시민들은 과학적 지식을 부정하는 불특정한 무지의 맥락에서 광우병 수입에 의한 인간광우병의 전염과 확산이라는 재난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고 정부에게 위험회피의 재협상을 요구했다. 정부와 청소년ㆍ시민 간의 위험갈등 속에서 정부에 대한 신뢰는 땅에 떨어졌고 정국은 수습할 수 없는 혼란 상태에 빠졌다. The 2008 Candlelight Vigils were aflame with the debate on importing USA beef that teenager and citizen suspect will expose them to mad cow disease, inthe human form called vCJD. More than a million citizens, anxious about mad cow disease fears, gathered in the candlelight vigils in the 106 days to protest the Lee Myungbak government’s decision to resume beef imports over 30 months old from the USA, demanding nullification of th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that would allow a fully open its market to USA beef.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in the view of risk sociology, which communicate the administration and teenager·citizen a difference between fears and anxiety of vCJD, and a difference between the Known and the Unknown, pressurized into public opinion for the Unknown of mad cow disease that constructed by politics of agora and the internet speech. Based on the Luhmann’s insight that increase of the Known invites too much the Unknown, presents a new prospect of risk sociology in ignorance of the general public called ‘Specified Unknown’. Mad cow disease fear would be good examples of showing the social response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fied Unknown’ and ‘Unspecified Unknown’. The government took the form of danger-defense to accept the mad cow disease as the acceptable risk in expectation of scientifical certainty. But teenager and citizen didn’t exclude some possibility of a disaster in context of ‘Unspecified Unknown’ whose denied scientifical knowledge, and required the government demanding reagreement for the provision against risks of the mad cow disease.

      • KCI등재

        무지로 인한 비도덕적 행위에 대한 평가와 인식적 덕

        한곽희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17 철학논집 Vol.48 No.-

        본 논문은 도덕적으로 비난받을만한 무지에 관한 문제들을 다룬다. 무지 는 대개 바람직하지 않은 것 혹은 극복해야 할 대상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무지가 항상 확실하게 비난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닌 것 같다. 시대의 제한 때문에 무지를 가진 경우 혹은 기만에 의해서 무지를 가진 경우에 그 무지가 비난받아야 하는지 는 분명하지 않다. 이 논문의 목적은 무지가 비난받을만한지 결정하기 위해서 인식 적 덕 개념들을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을 보이는 것이다. 본 논문은 우선 몇 가지 사례들로 시작한다. 행위자가 어떤 행동이 나쁘다는 것을 알고 그 행동을 할 경우 와 그 행동이 나쁘다는 것을 모르고 그 행동을 할 경우 등에 대해 논의한다. 이러 한 논의는 본 논문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어떤 질문들이 대답되어야 한다는 것을 분명하게 한다. 다음으로는 공리주의가 이러한 질문들을 잘 다룰 수 있는지에 관해 논의한다. 논자는 공리주의가 부분적으로는 옳다고 할 수 있지만 그 문제들에 관한 우리의 직관을 충분히 반영하지는 못한다고 주장한다. 이 논의 후에는 비난받 을만한 무지의 원인에 대해서 논의한다. 이 논의는 무지가 비난받을만한지 아닌지 를 답하는 데 인식적 덕들이 도움을 줄 수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드러낸다. 마지 막으로 논자는 행위자의 무지가 비난받을만한지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그 행위자가 인식적 덕을 가지고 있는지 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 망치지 기형을 동반하는 무지 외반증에 대한 수술적 교정치료

        홍장수, 김동호, 조병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14 忠北醫大學術誌 Vol.24 No.1

        연구목적: 무지 외반증에 대한 수술 전 계획시 동반된 망치지 기형을 어떻게 치료할지를 결정해야 하 나, 교정수술의 필요성이나 치료 결과 등에 대해서는 현재까지 명확한 지침이 제시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무지 외반증 및 동반된 망치지 기형에 대한 수술적 교정치료 후의 임상 결과를 분석하여, 망 치지 교정 수술의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무지 외반증 및 동반된 망치지 기형으로 수술적 교정치료를 받은 환자들 중 최소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28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임상적 결과의 평가는 미국족부정형외과학회 (AOFAS)의 전족부 점수를 이용하였고, 무지와 소족지를 분리하여 각각의 통증 점수,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를 측정하였다. 방사선학적 평가로 제1-2 중족골간 각 및 무지 외반각의 변화, 소족지의 정렬상 태, 술 후 골유합까지의 기간을 측정하였다. 또한 망치지 기형에 대한 술 전의 환자관심도, 수술 만족 도에서 차지하는 비중, 합병증 발생율 등을 분석하였다. 결과: AOFAS 점수는 술 후 최종 추시 시 93.2점으로 유의하게 호전되었으며, 무지 및 소족지의 통 증 점수도 1.1점, 0.6점으로 각각 호전되었다. 방사선 검사상 무지외반각 및 제1-2 중족골간 각은 술 후 최종 추시 시 14.6도, 10.2도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절골부 골유합까지의 기간은 평균 7.8주 였 으며 모든 예에서 골유합을 얻었다. 망치지 기형에 대한 술 전의 환자관심도는 무지의 통증, 무지 기형 의 교정에 이어 3번째 희망 사항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종 추시 시 환자의 주관적 만족도는 평균 93.4점 이었고, 이 중 망치지 교정수술에 대한 만족도가 차지하는 비중은 평균 29.8% 였다. 결론: 망치지 기형과 동반된 무지 외반증에 대한 교정수술은 양호한 임상 결과를 보였다. 망치지 기형 의 교정에 대한 환자 관심도와 만족도가 높은 편이며, 한번의 교정수술을 통해 전족부의 정렬상태를 효 과적으로 교정함으로써 효율적인 체중분산 및 통증완화, 보행 기능의 향상, 미용적인 만족도를 최대화 하는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플라톤의 『변명』에 나오는 소크라테스의 무지주장의 문제

        강철웅 서강대학교 철학연구소 2006 철학논집 Vol.12 No.-

        소크라테스는 포괄적으로 자신의 무지를 주장한다. 그렇다면 그가 앎 주장을 하는 몇몇 대목들은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또 그런 그가 어떻게 지혜로운 자요 훌륭한 스승으로 간주 될 수 있는가? 소크라테스 혹은 초기 플라톤 철학 이해의 관건 가운데 하나인 이 물음을 '앎 부인'의 문제라기보다 오히려 적극적으로 '무지 주장'의 문제로 설정되어야 한다. 이 글은 『변명』의 신탁 관련 회고담 부분 (20c-23c)의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첫째, 그의 무지 주장은 무지의 믿음 주장이 아니라 무지의 지 주장이다. 둘째, 그는 앎의 문제에 있어서 인식의 성공 자체(즉 결과)보다 자기 인식 상태의 반성(즉 과정)이 중요하다는데 주목하고 있다. 셋째, 소크라테스의 인식론에서 이차 앎은 참인 이차 믿음과 거의 차이가 없지만 일차 앎은 참인 일차 믿음과의 간격이 크다. 나아가 이차 앎이 일차 앎의 필요 조건 혹은 필수적 구성 요소로 설정되어 있다. 일차 앎의 조건이 까다로운 이런 논의 구도에서 지의 무지는 성립할 수 없다. 넷째, 그렇기 때문에 그는 훗날 스토아 철학자들을 괴롭힌 '지의 무지에 관한 딜레마'를 피할 수 있다. 다섯째, 무지의 지라는 그의 철학적 기획은 앎과 삶(행함)의 불가분성, 과정으로서의 철학함이라는 그 자신의 통찰에 깊이 뿌리박고 있지만, 이전 철학자들의 인식론적, 영혼론적 기획을 계승, 발전시킨 것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