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민연금의 전략적자산배분시 Shortfall Risk 척도 및 목표수익률 설정방식의 개선방안 연구

        오세경,이정우 한국재무학회 2015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5 No.05

        본 논문은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체계에서 현행 목표수익률 산출방식과 위험척 도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국 민연금의 현행 목표수익률 설정방식(실질GDP+CPI±조정치)은 자산과 부채의 종합적인 관점인 ALM 차원에서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전략적 자산배분모형과의 유기적인 연 계가 없어 위험과 수익률의 상반관계(risk-return trade-off)가 반영되지 않고 있다. 또한 국민연금이 현재 위험척도로 사용 중인 shortfall risk는 이론적인 근거가 없을 뿐만 아 니라 실제 자산배분을 매우 불안정하게 만드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주식과 채권의 기대수익률이 CPI와 연동되도록 만듦으로써 현행 국민연금 방식에서 나타나고 있는 CPI 전망치의 증가 시 shortfall risk가 급등하는 착시 효과를 제거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러한 결과는 국민연금이 착시효과 문제를 없애기 위 해 shortfall risk의 한도를 15%로 조정한 것은 임의적이며 위험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의미한다. 또한 본 논문은 위험자산에 대한 투자비중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shortfall risk가 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함을 보임으로써 위험척도로서 shortfall risk가 적절하지 않음을 보인다. 둘째, ALM관점에서 재정안정화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조합 (policy mix)의 일환으로 목표수익률이 설정될 뿐만 아니라 전략적 자산배분모형과 연계 되도록 함으로써 위험자산 비중의 증가에 따른 위험과 수익률의 상반관계(risk-return trade-off)가 반영될 수 있음을 보인다. 국민연금의 제3차 재정계산 제도발전위원회에서 재정목표로 제시한 재정추계 최종년도(2082년)의 적립배율 2배수를 달성할 수 있는 보험 료율, 장기목표수익률 조합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기금의 위험자산 비중과 shortfall risk 의 상응관계를 도출한다. 또한 앞서 제시한 보험료율과 장기목표수익률 조합 시 추정한 최대적립금 규모를 현행 보험료율 9% 하에서 계산한 2043년 기금 규모와 비교해 봄으로 써 기금의 과다적립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of target return setting and shortfall risk measure in strategic asset allocation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and suggests the alternative ways to solve the problems. Currently,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sets its target returns in ad-hoc way by (real GDP+CPI±adjustment), which is not reflecting ALM point of view and cannot explain risk-return trade-off because it is not driven by and totally separated from strategic asset allocation process. Also,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uses shortfall risk based on CPI as risk measure when applying strategic asset allocation, which has no theoretical foundations at all and makes asset allocation results very unstable. First, the study shows that by linking the expected returns of stocks and bonds to CPI, “illusion effect” meaning that shortfall risk dramatically increases although there is no change in risk at all when the forecast of CPI rises can be eliminated. This implies that Korean national pension fund’s recent change of shortfall risk limit to 15% from 10% is done simply to eliminate “illusion effect” and not from a risk management perspective. We also show that shortfall risk has a serious problem as a risk measure since it is not suitably reflective of the increase in risk even when the weights of risky assets increase in asset allocation. Second, the study shows not only that target returns can and should be set up in connection with the other variables such as contribution rate in considering various policy mix to achieve financial stabilization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from the perspective of ALM but also that it is capable of reflecting the risk-return trade-off as the weights of risky assets increase through linking it to strategic asset allocation. We propose alternative policy combinations of long-term target returns and contribution rates that can achieve target funded ratio of 2 in 2082 suggested by the third meeting of the committee for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development. Also, we show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excess fund accumulation when we compare the estimated fund size under the above scenarios of long-term returns and contribution rates to 2043 fund size calculated under the assumption of current contribution rate of 9%.

      • 사학연금기금의 ALM 관점에서의 전략적 자산배분 연구

        강형구,이효진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2020 사학연금연구 Vol.5 No.

        전략적 자산배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목표를 결정하는 것이다. 여기서 목표는 자산운용에서 발생하는 향후 포트폴리오의 예상되는 분포와 이에 영향을 받는 조직의 기대효용을 극대화하는 것으로 정의하는 것이 과학적이고 학술적인 방식이다. 실무는 대체로 이러한 방식과 다르다. 예를 들어 기금운용평가의 가이드라인에서는 목표 수익률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히 기금운용평가에서는 ALM 기반의 목표 수익률 산출을 제안한다. 하지만, 비현실적인 목표 수익률의 산출과 그 의미의 모호성으로 많은 기금들은 이를 적용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ALM 기반의 목표수익률 설정 및 자산배분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ALM 기반 자산배분에 대한 두 가지 대안을 제시한다. 첫 번째, 기금 자산운용의 목표 설정에 대해서는 Doran(1981)의 SMART (Specific, Measurable, Achievable, Relevant, Time-limited) 기준에 따른 목표수립을 제안한다. 두 번째, 목표 수익률 산출에서는 목표기반투자 (Goal based Investing, GBI) 에 따른 목표 수익률 산출 방법을 제시한다.

      • 국민연금 재정계산 기금투자수익률 가정에 관한 연구

        이호선 한국재무학회 2013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3 No.05

        2013년 제3차 국민연금 재정계산 결과가 발표되었다. 그 결과는 2008년 재정계산과 유사하게 2060년경 기금고갈이 예상된다는 것이었다. 국민연금 재정계산 결과가 발표 될 때마다 기금고갈, 보험료율 인상과 같은 이슈들이 뉴스를 장식하는 것은 이전과 다 름없는 모습이지만, 2008년 제2차 재정계산 이후 국민연금과 관련하여 제기되었던 중 요 사안들, 특히 장기재정목표 설정과 그에 따른 기금의 목표투자수익률 설정과 같은 사안들은 2013년 제3차 재정계산 과정에서도 별다른 진전이 없었다는 것은 아쉬운 점 으로 남는다. 본 연구에서는 2008년 재정계산 결과를 바탕으로 기금투자수익률 가정을 변화시킬 때 기금규모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살펴보고 기금투자수익률 가정과 관련 한 몇몇 이슈들에 대해 다룬다. 먼저 기금투자수익률 가정은 기금규모가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볼 때 기금투자수익의 확대를 통해 기금고갈시기에 작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있다. 실제 2008년 재정계산결과에 대해 7% 명목투자수익률 가정을 적용하거나 4.75% 실질투자수익률 가정을 적용한 결과 재정추계기 간인 2078년까지 기금고갈이 일어나지 않는 등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기금투자수 익률 가정을 1% 더 높이는 경우에도 기금고갈시점이 약 9년 정도 늦춰지는 효과가 나타나 는 것을 볼 수 있다. 한편 기금투자수익률 가정은 결국 장기재정목표에서 출발하여 도출되 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장기재정목표 설정에 대해 어느 누구도 심각하 게 접근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는 기금투자수익률 가정의 도출과정을 기금운용과 보다 밀접하게 만들 필요성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중기자산배분결과와 기금투자수익률 도출 과정을 연계시키는 것을 한 가지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금투자수익률 가정을 기 금의 최소목표투자수익률로 삼아 자산배분을 하고 기금운용 전반에 영향을 미치도록 기금 운용 프로세스에 영향을 미친다면 향후 장기재정목표가 결정되고 그에 따라 기금투자수익 률 목표가 결정되며 이를 기금운용에 반영하는 과정을 수립하는 것이 더욱 쉽게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 시 목표수익률 설정방식 및 허용위험한도 지표의 개선방안 연구

        이정우,오세경 한국재무학회 2016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6 No.11

        본 논문은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체계에서 현행 5년 기준 목표수익률 설정방식(실질 GDP+CPI±조정치)과 허용위험한도 지표(shortfall risk)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ALM 관점 에서 다양한 보험료율의 시나리오에 따라 국민연금의 장기목표수익률(70년 기준)과 리스크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제3차 재정계산 제도발전위원회에 의해서 제시 된 재정운영방식과 재정목표에 대한 두 가지 대안의 적정성과 실현가능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ALM관점에서 재정안정화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조합(policy mix)의 일환으로 장기목표수익률이 설정될 뿐만 아니라 전략적 자산배분모형과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위험자산 비중의 증가에 따른 ‘위험과 수익률의 상반관계(risk-return trade-off)’가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민연금의 제3차 재정계산 제도발 전위원회에서 재정목표로 제시한 재정추계 최종년도(2083년)의 적립배율 2배수를 달성(대안 1)할 수 있는 보험료율과 장기목표수익률의 조합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기금의 위험자산 비 중과 shortfall risk의 상응관계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기금의 과다적립 가능성이 존 재함을 보였고, 또한 대안 2의 부과방식(pay as you go)으로 전환될 경우 높은 필요보험료 율로 인해 실현가능성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위험자산에 대한 높은 투자비중의 증가 에도 불구하고 shortfall risk가 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함을 보임으로써 위험지표로서의 한 계를 확인하였는데, 이는 국민연금기금의 투자위험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 미한다. 또한 국민연금이 허용위험한도를 10%에서 15%로 조정한 것은 착시효과 문제 등을 없애기 위한 임의적 조치이며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of current 5 year basis target return setting and shortfall risk measure in strategic asset allocation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and suggests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Currently,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sets its target returns in ad-hoc way by (real GDP+CPI±adjustment), which is not reflecting ALM point of view and cannot explain risk-return trade-off because it is not driven by and also separated from strategic asset allocation process. Also,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uses shortfall risk based on CPI as risk measure when applying strategic asset allocation, which has no theoretical foundations at all and makes asset allocation results very unstable. We show that target returns can and should be set up in connection with the other variables such as contribution rate in considering various policy mix to achieve financial stabilization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from the perspective of ALM and that our method is able to reflect the risk-return trade-off as the weights of risky assets increase in asset allocations since we modify the current method of calculating shortfall risk to be linked to risk-return trade-off. We propose various policy combinations of long term target returns(70 year basis) and contribution rates that can achieve a target funded ratio (reserve multiple) of 2 in 2082 suggested by the third meeting of the committee for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development. Also, we show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excess fund accumulation when we compare the estimated fund size under the above scenarios of long term target returns and contribution rates with the fund size of year 2043 calculated under the assumption of current contribution rate of 9%. Furthermore, we show that by linking the expected returns of stocks and bonds to CPI, ‘illusion effect’ meaning that shortfall risk dramatically increases although there is no change in risk at all when the forecast of CPI rises can be eliminated. This implies that Korean national pension fund’s recent change of shortfall risk limit to 15% from 10% is done simply to eliminate ‘illusion effect’ and not from the risk management perspective. We also show that shortfall risk has a serious problem as a risk measure since it is not suitably reflective of the increase in risk even when the weights of risky assets increase in asset allocations.

      • 시장의 변동성이 펀드의 변동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나 - 주식형 펀드의 성과평가와 목표설정에 활용 방안 -

        신중철 한국재무학회 2018 한국재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05

        초과수익률(excess return)을 추적오차(tracking error)로 나눈 정보비율(information ratio)은 사후적인 성과평가 지표로 널리 이용되며 또 이를 이용하여 사전적으로 목표초 과수익률을 설정하기도 한다. 이 논문에서는 정보비율 계산에 사용되는 추적오차나 초과 수익률의 분포는 기간별로 안정적이지 않지만, 연간단위로 측정한 정보비율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며 t-분포(t-distribution)를 따르므로 상대적인 성과평가에 적합함을 보였다. 또 한 주식형 펀드 수익률의 횡단면 분산도는 평균적인 추적오차를 적절히 잘 설명하며, 투 자대상 주식종목들의 수익률의 횡단면 분산도(cross-sectional dispersion)에 영향을 받 는다. 따라서 주식시장의 횡단면 분산도를 이용하여 액티브 주식형 펀드의 추적오차나 횡 단면 분산도를 추정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상대적인 성과평가나 목표초과수익률 설 정 시에 필요한 추적오차를 추정하는 데에 유용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시장의 크기에 비해 투자규모가 큰 대형 기금의 성과평가와 목표설정에 객관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유가증권 시장의 종목 규모별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 효용성연구

        서기수,강희건 한국금융공학회 2023 금융공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2012년 1월 1일부터 2023년 1월 31일까지(총 2,729일) 유가 증권시장에 상장된 939개 종목의 개별 종목들에 대한 일별 데이터를 활용하여시가총액을 기준으로 상위 100위(대형주), 100∼300위(중형주), 나머지 종목들(소형주)로 구분하여 분석 기간의 각 그룹별 애널리스트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 발표건수 상위 20개씩을 대상으로 리포트의 효용성에 대해서 분석했다. 효용성 분석의 방법으로는 총 3가지 관점에서 1주일(1W), 1개월(1M), 3개월(3M) 경과 시점에 대해 상위 20개 종목별 도달률의 평균값이 0인지에 대한 단일 표본 t-test와 평균 도달률의 차이가 존재하는 ANOVA를 진행하였고 기준가격대비 목표주가 상승 비율에 따라 도달시간을 분석했고 목표주가 상향 보고서의 동일날짜 발표 개수에 따라 다음 날 수익률 및 순매수들에 변동이 존재하는지 확인하였다. 결과로는 첫 번째로 리포트 발표 날짜를 기준으로 1주, 1개월, 3개월이 지난 후, 목표주가 상향 금액에 근접한 정도를 기간별로 분석하기 위해 목표주가에 근접한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도달률 개념을 적용했고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가 발표되고 시간이 지날수록 대체적으로 목표주가에 근접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일부 종목들은 평균 도달률이 음의 방향으로 더욱더 유의미한 추세를 가지거나, 0의 방향으로 추세를 나타냈다. 이는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가 반드시 해당 종목의 주가를 상승시켰다고 볼 수 없고 오히려 반대로 리포트 발표일 이후 주가가 하락하는 종목들도 다수 있어서 목표주가 상승 리포트에 대한 효용성을 의문시하게 하였다. 두 번째, 현재 주가대비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에서 발표한 목표 주가의 상승비율에 따라 그룹을 나누어, 실제로 도달 할 때까지의 평균 시간을 확인했는데 목표주가를 30% 이하로 올릴 경우, 대형주가 가장 늦게 도달했지만, 30% 이상일 경우 소형주가 가장 늦게 도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셋째, 같은 날짜에 발표되는 리포트의 개수에 따라 다음날 수익률 및 개인, 기관, 외국인 등 투자자별 순매수에 영향을 미치는지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했다.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에 상관없이 일부 종목들에 대해서 목표주가 상향 보고서의 개수가 증가하면 수익률은 증가하는 경향이 존재하며, 순매수 변화량도 투자자별로 목표주가 상향 보고서의 발표 개수에 따라서 일률적으로 상승내지는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고 종목별로 반대의 결과가 나타나서 목표주가 상향 보고서가 투자자별로 매수량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다만 개인투자자의 경우 대형주에서 목표주가 상향 리프트 발표 직후 매수량이 늘어났다. 본 연구는 증권회사의 개별 주식에 대한 목표주가 상향 리포트에 대한 효용성에 대해서 대형주, 중형주, 소형주로 구분해서 분석한 점과 목표주가 상승률에 따른 도달률을 확인한 점에 의의가 있겠고 단순히 목표주가 상승 리포트의 영향과 함께 미국 기준금리 등 국내외 금리와 시장 상황에 따라 개별 종목별 주가변화의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이 상존하기에 연구의 한계가 있어서 추후 이러한 외부 변수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겠다.

      • KCI등재

        투자의사결정을 위한 전략적 목표수익률 설정: 포스코 사례연구

        최현우 한국경영교육학회 2016 경영교육연구 Vol.31 No.5

        [Purpose]Hurdle rates are drawing attention again in making a investment decisions. Many studies have found that the target rate of return and discount rate that are used by companies these days are contrary to a widely accepted fact in academic circles that companies use the weighted average cost of capital. We attempts to narrow the discrepancy between financial theory and practice. [Methodology]This paper analyzes the case of setting target rates of return on investment by POSCO, the fifth largest company in Korea in terms of sales and the world’s most competitive steel company. We examines major challenges POSCO has experienced in setting its target rates of return and solutions to such challenges. [Findings]The results shows, different from what financial economist had expected, corporate executives cares deeply about unsystematic risk of projects. They demanding consistently higher rate of return for the unsystematic risk. We showed that their needs can be answered by sophisticated development of financial theory. [Implications]When company start up a new project, business executives are confronted with the disputes related with setting the target rate of return. We presents a concrete example that some of this issues can be solve by practical guidance based on financial theory. [연구목적]투자의사결정에 사용하는 목표수익률(hurdle rate)이 다시 관심을 모으고 있다. 최근 기업에서 사용하는 목표수익률이 학자들이 믿고 있는 사실과 다르다는 것이 많은 연구에서 확인되고 있다. 이 연구는 목표수익률을 산정할 때 발생하는 문제점과 재무이론과의 간국을 좁히기 위해 작성되었다. [연구방법]국내 5대 매출규모 기업이며 철강업계 경쟁력 1위인 포스코의 목표수익률 설정 사례를 심층분석하는 방법으로 목표수익률을 둘러싼 문제점과 논란, 해결방안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기업 경영자는 재무경제학자의 예상과는 달리 자본자산가격모형에서 고려하지 않는 비체계적 위험에 많은 관심을 보였고, 이를 체계적으로 반영하는 목표수익률 산정에 대한 요구가 높았다. 재무이론에 기반한 가이드라인으로 이러한 요구를 일정부분 충족할 수 있음을 보였다. [연구의 시사점]기업이 신규사업을 진행하고, 해외사업을 추진하는 등 새로운 투자활동이 있을 때 마다. 목표수익률 산정에 혼란이 발생한다. 이러한 혼란의 일부는 재무이론에 기반한 실무적 지침을 마련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음을 보였다.

      • KCI등재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 시 목표수익률 설정방식 및 허용위험한도 지표의 개선방안 연구

        이정우 ( Jung Woo Lee ),오세경 ( Sekyung Oh ) 한국금융학회 2016 금융연구 Vol.30 No.4

        본 논문은 국민연금의 전략적 자산배분체계에서 현행 5년 기준 목표수익률 설정방식(실질GDP+CPI±조정치)과 허용위험한도 지표(shortfall risk)의 문제점들을 살펴보고, ALM 관점에서 다양한 보험료율의 시나리오에 따라 국민연금의 장기목표수익률(70년 기준)과 리스크가 어떻게 달라질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통해 제3차 재정계산 제도발전위원회에 의해서 제시된 재정운영방식과 재정목표에 대한 두 가지 대안의 적정성과 실현가능성에 대해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ALM 관점에서 재정안정화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조합(policy mix)의 일환으로 장기목표수익률이 설정될 뿐만 아니라 전략적 자산배분모형과 연계되도록 함으로써 위험자산 비중의 증가에 따른 `위험과 수익률의 상반관계(risk-return trade-off)`가 반영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민연금의 제3차 재정계산 제도발전위원회에서 재정목표로 제시한 재정추계 최종 년도(2083년)의 적립배율 2배수를 달성(대안 1)할 수 있는 보험료율과 장기목표수익률의 조합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기금의 위험자산 비중과 shortfall risk의 상응관계를 도출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기금의 과다적립 가능성이 존재함을 보였고, 또한 대안 2의 부과방식(pay as you go)으로 전환될 경우 높은 필요보험료율로 인해 실현가능성이 떨어짐을 확인하였다. 셋째, 위험자산에 대한 높은 투자비중의 증가에도 불구하고 shortfall risk가 이를 적절히 반영하지 못함을 보임으로써 위험지표로서의 한계를 확인하였는데, 이는 국민연금기금의 투자위험관리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국민연금이 허용위험한도를 10%에서 15%로 조정한 것은 착시효과 문제 등을 없애기 위한 임의적 조치이며 리스크관리 차원에서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points out the problems of current 5 year basis target return setting and shortfall risk measure in strategic asset allocation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and suggests the ways to solve the problems. Currently,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sets its target returns in ad-hoc way by (real GDP+CPI±adjustment), which is not reflecting ALM point of view and cannot explain risk-return trade-off because it is not driven by and also separated from strategic asset allocation process. Also,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uses shortfall risk based on CPI as risk measure when applying strategic asset allocation, which has no theoretical foundations at all and makes asset allocation results very unstable. We show that target returns can and should be set up in connection with the other variables such as contribution rate in considering various policy mix to achieve financial stabilization of Korean national pension fund from the perspective of ALM and that our method is able to reflect the risk-return trade-off as the weights of risky assets increase in asset allocations since we modify the current method of calculating shortfall risk to be linked to risk-return trade-off. We propose various policy combinations of long term target returns (70 year basis) and contribution rates that can achieve a target funded ratio (reserve multiple) of 2 in 2082 suggested by the third meeting of the committee for Korean national pension system development. Also, we show that there is a possibility of excess fund accumulation when we compare the estimated fund size under the above scenarios of long term target returns and contribution rates with the fund size of year 2043 calculated under the assumption of current contribution rate of 9%. Furthermore, we show that by linking the expected returns of stocks and bonds to CPI, `illusion effect` meaning that shortfall risk dramatically increases although there is no change in risk at all when the forecast of CPI rises can be eliminated. This implies that Korean national pension fund`s recent change of shortfall risk limit to 15% from 10% is done simply to eliminate `illusion effect` and not from the risk management perspective. We also show that shortfall risk has a serious problem as a risk measure since it is not suitably reflective of the increase in risk even when the weights of risky assets increase in asset allocations.

      • KCI등재

        자산부채종합관리 관점에서 퇴직연기금의 목표수익률 설정에 대한 연구

        성주호 ( Joo Ho Sung ),배상현 ( Sang Hyun Bae ),여정미 ( Jeong Mi Yeo ) 한국보험학회 2012 保險學會誌 Vol.91 No.-

        2011년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이 개정되었으며, 2012년 7월 26일부터 개정안이 시행되어 퇴직연금 적립비율이 현행 60%에서 점차적으로 상향조정된다. 하지만 적립비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낮은 연평균 투자수익률이 지속된다면 가입 기업측면에서 재무적 유동성 문제에 직면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를 위해 DB형의 퇴직급여부채 및 표준부담금을 산출하고 부채성장모형 및 자산성장모형을 이용하여 목표수익률과 이를 달성하는 최적자산배분을 도출하였다. 아울러 목표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한 포트폴리오 제시를 위해 KOSPI 지수 11년, KIS 종합채권지수 11년의 데이터를 분석하였으며, 난수생성을 통해 시뮬레이션을 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5%의 임금상승률을 기준으로 연령과 근속연수가 증가될수록 퇴직급여부채 및 표준부담금은 증가하였다. 연령과 근속연수가 증가 할수록 높은 목표수익률을 달성해야 향후 현금흐름 예측에 있어 자산과 부채가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는 고연령, 긴 근속연수를 가진 근로자의 경우 높은 표준급여부채와 표준부담금이 산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정년연령까지 법정적립비율만큼 적립하기 위해서는 정년연령까지 투자할 수 있는 기간이 짧기 때문에 기업은 높은 투자수익률을 달성해야만 추가적인 부담금 납부 없이 근로자의 수급권을 보장 할수 있다. 결론적으로, 정년에 가까울수록, 근속연수가 길수록 높은 목표수익률이 요구되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주식의 투자비중을 확대하여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ccording to the reform of "Employee Retirement Benefit Security Act" to be enacted in July 2012, the funded ratio of defined benefit plan(hereafter DB) are scheduled to be gradually increased from 60% in 2013. If the fund performance is lower than expectation derived out in terms of regulatory funded ratio, the sponsor could face a severe liquidity risk. In this study, we calculate the target rates of return of defined pension plan based on PBO Growth Model and Pension Asset Growth Model. And also, we suggest an optimal asset allocation portfolio achieving the target rate of return through the random number generation method. The historical calendar year returns of KOSPI and KIS 10year Bond Index are used for the practical analysi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Assuming 5% annual wage increases, pension liability and normal cost are increased with seniority going on. The more aging and serving workers are and the less the remaining service years are, the higher target rates are required to be set up in order to avoid additional contributions. Thus, higher equity allocations would lead to meeting future obligations, in particular in DB with older age structure.

      • KCI등재

        퇴직연금 적립비율 제약요건하의 재표본효율을 활용한 ALM 접근

        성주호,이승기,배상현 보험연구원 2023 보험금융연구 Vol.34 No.3

        최근 근로자퇴직급여보장법이 일부 개정됨에 따라, 300인 이상의 확정급여형 도입 사업장은 목표수익률을 적시한 적립금운용계획서를 작성하고 이를 실천하여야 한다. 또한 시행령에 근거하여 2022년 말에 법정 최소적립비율이 100%로 상향됨에 따라 목표수익률은 이를 유지하는 최소요구수익률 개념으로 정립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구현하는 자산운용방법은 사업장별로 변동성이 큰 (재무적, 인력구조 등) 요인들을 사전에 반영하는 확률론적 ALM 접근이 한층 더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정 A기업의 실제 데이터를 분석하여 연금채무를 산정하고 연금자산은 마코비치 최적화 모형(MVO)의 코너해 문제를 해결한 Michaud(2002)의 재표본효율(Resampled Efficiency) 방법을 활용하여 확률론적 ALM 기법으로 최적 자산배분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 목표수익률은 4.76%로 2023년 6월 기준 원리금보장형 상품 1년 수익률인 3.63%보다 높아 원리금보장형 상품에만 투자를 하는 기업은 적립비율을 유지하기 위해 추가적 재정 부담이 발생하며 최적 자산배분은 국내주식 1.29%, 국내채권 79.14%, 해외주식 10.78%, 해외채권 8.79%으로 도출되었다. 추가 분석결과로 목표수익률이 증가할수록 국내주식, 해외주식, 해외채권의 최적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국내채권의 최적비율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revised Employee Retirement Benefit Security Act requires large companies to create reserve fund management committees for defined benefit plans, specifying target returns. The legal minimum funded ratio, now 100%, necessitates a minimum required return for maintenance. Therefore, a stochastic ALM asset management approach considering workplace-specific volatile factors should be more appropriate. This study derived the optimal asset allocation using data from a company to calculate pension liabilities and employing Michaud's Resampled Efficiency method for pension asset calculations. The analysis yielded a 4.76% target return, surpassing the 3.63% principal and interest-guaranteed product return in June 2023. Therefore, solely investing in principal and interest-guaranteed products would burden companies, indicating the need for diverse investments. The optimal allocation was 1.29% domestic stocks, 79.14% domestic bonds, 10.78% foreign stocks, and 8.79% foreign bonds. Increasing target return raised the ratios of domestic and foreign stocks/bonds and decreased the ratio of domestic bon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