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형수리모형실험시설 소개

        윤재선 ( Jae-seon Yoon ),김옥임 ( Okim Kim ),오수훈 ( Soo Hun Oh ),장정렬 ( Jeong Ryeol Jang ) 한국농공학회 2017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7 No.-

        본 대형수리모형실험시설은 한국농어촌공사(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하고 있는 기존 시설(100m×102m)에 신규시설의 증축을 통해 세계 최대 규모인 250m×102m(연면적15,325㎡) 실내 실험시설을 구축하는 국토교통부의 12개 분산 공유형 건설연구인프라 구축사업의 일환이다. 본 사업은 총 사업비 약 165억원의 예산을 토대로 ‘18년 10월에 건축공사가 준공될 예정에 있으며, 건축공사 준공 시 동년 12월까지 7종의 대형실험수로 구축공사가 완료되어질 전망이다. 현재, 실험장 구간의 지하저수조 및 철골 공사를 완료하고 펌프실 및 고수조 공사를 진행 중에 있으며 동시에 대형 7종 실험수로 구축을 위한 기본설계도서를 작성 진행 중에 있다. 향후, 대형수리모형실험시설의 건축공사 및 실험수로 구축이 완료되면 관련 공과대학, 타 연구기관, 민간기업 등에 시설을 개방함은 물론 국제공동연구 등을 통한 수리모형실험의 국제적 위상확립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 KCI등재

        세치제 평가에 있어서 변형실험치은염모형의 안전성

        황수정 ( Soo Jeong Hwang ),백대일 ( Dai Il Paik ),김현덕 ( Hyun Duck Kim ),진보형 ( Bo Hyoung Jin ),배광학 ( Kwang Hak Bae ),김남희 ( Nam Hee Kim )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2010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4 No.2

        연구목적. 일부 연구자들은 치은염 예방 또는 치료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특수세치제의 치은염 억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하여 Loe의 실험치은염모형을 변형한 변형실험치은염 모형을 사용하고 있으나, 변형실험치은염모형에 대한 안전성 검토는 미비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3주간 구강분할동시현상비교연구법(split mouth method)을 사용하여 변형실험치은염모형의 안전성을 검토하고 치은염의 일부 기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성인남자 59명을 대상으로 3주 동안 잇솔질시 잇솔질방지판과 세치제를 편측 소구치부위에 착용하여 기계적 잇솔질을 금지한 실험치은염을 발생시켜 잇솔질방지하악소구치부와 잇솔질허용하악소구치부의 치은염지수, 치면세균막지수, 치은열 구액내의 MMP-9의 농도, IL-1β의 농도를 비교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잇솔질방지하악소구치부는 3주간의 실험기간동안 실험시작 후 2주차 때 치은염지수와 치면세균막지수가 가장 높았으며 시간에 따라 차이변화가 유의하였으며(p<0.02) 실험 종료 후 초기상태로 회복되었다. 3주간의 실험기간동안 잇솔질방지하악 소구치부와 잇솔질허용하악소구치부 사이에서는 치은열구액내 염증지표인 MMP-9의 농도변화는 유의하지 않았고 염증전단계지표인 IL-1β의 농도변화는 유의하였으나(p=0.03) 잇솔질방지하악소구치부의 MMP-9의 농도와 IL-1β의 농도는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였다. 결론. 잇솔질방지하악소구치부내 MMP-9의 농도는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으므로 치은의 직접적인 파괴는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되어 변형실험치은염모형은 세치제의 효과를 평가함에 있어 안전한 모형으로 사료되었다.

      • KCI등재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매설관에 작용하는 측방토압

        홍원표(Hong Wonpyo),김재홍(Kim Jaehong)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1 No.9

        모형실험과 유한요소법에 의한 수치해석을 통하여 측방변형지반 속에 설치된 매설관에 작용하는 측방토압을 관찰하였다. 모형실험에서는 모형지반 속에 매설관을 설치한 후 모형지반에 측방변형이 발생될 수 있게 모형실험기를 제작하여 실제 지반에서의 상황을 시뮬레이션하였다. 이 모형실험기는 지반의 변형속도를 여러 가지로 조절할 수 있게 제작하였다. 여러 가지 직경과 형상의 매설관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이들 요인이 측방토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형실험결과 연약지반의 측방유동으로 인하여 매설관에 작용하는 측방하중은 연약지반의 측방변형속도가 빠를수록 크게 작용하였다. 순간재하 조건에 의한 수치해석결과는 지반변형속도가 중간 정도 빠르기인 0.3㎜/min에서 1.0㎜/min 사이의 지반변형속도의 조건에서 실시한 모형실험 결과와 유사하였다. 대부분의 모형실험결과 지반변형량이 작은 시점에서 측방하중의 제1항복이 발생하며 이때까지 탄성변형거동을 보이다가 제2항복에 이르기까지 하중이 한 동안 수렴되는 소성거동을 보였다. 지반변형이 계속하여 증가하면 측방하중도 다시 증가하여 압축거동을 보였다. 그러나 빠른 지반변형속도에서의 실험 결과에서는 항복하중에 도달한 후 수렴과정이 없이 계속하여 하중이 증가하였음을 볼 수 있다. 매설관의 직경이 클수록 측방유동 연약지반 속에 설치된 매설관에 작용하는 측방하중의 크기와 하중증가 속도가 컸으며 초기지반변형에서는 측방하중이 매설관의 직경 및 형상의 영향을 적게 받지만 지반변형량이 증가함에 따라 그 영향이 크게 나타났다. A series of model test as well as numerical analysis by FEM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lateral earth pressure acting on a buried pipe in soft ground undergoing horizontal soil movement. A model test apparatus was manufactured so as to simulate horizontal soil movement in model soft ground, in which a model rigid buried pipe was installed. The velocity of soil deformation could be controlled as wanted during testing. The model test was performed on buried pipes with various diameters and shapes to investigate major factors affected the lateral earth pressure. The result of model tests showed that the larger lateral earth pressure acted on the buried pipes under the faster velocity of soil movement. The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which was performed under immediate loading condition, showed a similar behavior with the result of model tests under 0.3㎜/min to 1.0㎜/min velocity of soil deformation. Most of model tests showed the soil deformation-lateral load behavior, in which the first yielding load developed at small soil deformation and elastic behavior was observed by the yielding load. Then, lateral load was kept constant by the second yielding load, in which plastic behavior was observed between the first yielding load and the second yielding one. Beyond the second yielding load, the compression behavior zone was observed. When the velocity was too fast, however, the lateral load was increased with soil deformation beyond the first yielding load without showing the second yielding load. The buried pipes with the larger diameter was subjected to the larger lateral load and the larger increasing rate of lateral load. At small soil deformation, the influence of diameter and shape of buried pipes on lateral load was small. However, when soil deformation was increased considerably, the influence became more and more.

      • KCI등재

        RC 축소모형의 유사동적실험을 위한 Equivalent Multi-Phase Similitude Law : 검증실험

        김남식,이지호,장승필 한국지진공학회 2004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8 No.5

        대형 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실험적으로 연구할 경우, 실험장비의 용량과 실험모형의 크기 제약으로 인하여 축소모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조물의 지진응답은 비탄성 거동을 나타내기 때문에 거동예측이 복잡함에도 불구하고, 축소모형의 지진실험 결과로부터 원형구조물의 지진응답을 유추하기 위한 상사법칙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축소모형 제작 시 상사율이 커지면 상대적으로 부가질량이 증가하며, 또한 굵은 골재 크기의 영향으로 원형구조물과 축소모형의 제작에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동일한 재료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상사법칙은 기하학적인 상사율과 재료적인 등가탄성계수비에 의존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구조물과 축소모형에 각각 적용되는 normal-concrete와 micro-concrete의 재료 비선형성을 파악하기 위해 압축강도시험을 수행하여, 재료의 거동구간을 극한 변형률을 기준으로 등가의 다단계로 나누어 등가탄성계수비를 적용시킴으로써 지진손상의 정도를 고려할 수 있는 equivalent multi-phase similitude law를 유도하였다. 유도된 상사법칙을 고려한 유사동적실험 알고리즘을 구성하였으며, 실험적인 검증을 위하여 철근콘크리트 column에 대하여 원형구조물과 1/5축소모형을 재료시험에서 정의한 등가탄성계수비를 고려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검증실험에서는 constant modulus ratio와 variable modulus ratio를 적용하여 준정적실험과 유사동적실험을 수행한 결과, equivalent multi-phase similitude law를 고려한 유사동적실험 알고리즘에 의한 축소모형의 응답결과가 원형구조물의 거동을 비교적 정확히 재현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피드백을 활용한 과학실험수업 모형의 개발

        양희선,심규철,김현섭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6 현장과학교육 Vol.10 No.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velop the new experimental instruction model for a improvement science experimental instruction as the form of inquiry experimental learning. The development of new model was based on the property of inquiry experimental learning, analysis on the problems in school experimental instructi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learning and guided inquiry learning, and analysis on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mportance of feedback process. The developed model based on these steps is composed of ‘Engagement (problem recognition step)’ and ‘DEAR (experiment performance and analysis step)’ steps. DEAR stands for Design, Experiment, Analysis, and Reflect. Therefore, the developed experiment instructional model was named as ‘E-DEAR model’. E-DEAR model is an instructional model for scientific experiment emphasizing on the feedback process. The model applies two feedback; collaborative feedback and guided feedback. The collaborative feedback is the inquiry activity of new form, which learn by himself/herself through the feedback with other students. Contrarily, the guided feedback is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ased on the inquiry instruction activity including the guided feedback by teachers. The both of feedback processes are conducted in each steps of new model to guide and promote students performing inquiry learning by themselves. Especially, E-DEAR model makes a learner record learning content in learning activity note by himself/herself through collaborative feedback process, which allows a feedback suitable to learner's level. Through this process, the insufficient learning content can be supplemented using the guided feedback. We have also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of student for the E-DEAR model after preliminary application. As a result, most student gave a positive answer all question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E-DEAR model will have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science experimental learning. 본 연구에서는 과학과 실험수업을 탐구적 실험학습 형태로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실험수업모형을 개발하였다. 모형의 개발은 탐구적 실험학습의 특성, 현장 실험수업의 문제점 분석, 협동학습과 안내된 탐구수업의 효과 그리고 피드백의 중요성에 관한 선행연구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개발된실험수업모형은 문제인식 및 가설설정 과정인 ‘참여단계(Engagement)’와 실험수행 및 해석단계인 실험설계(Design), 실험수행(Experiment), 자료해석(Analysis), 반성(Reflect)의 하위단계로 구성되어, ‘E-DEAR 모형’이라고 명명하였다. E-DEAR 모형은 피드백 활동이 강조된 과학 실험학습 모형이다. 모형에서 활용된 피드백은 크게 협동적 피드백과 안내된 피드백으로 구분된다. 협동적 피드백은 협동학습의 상호작용에 피드백 요소를 더하여 단순한학생 상호간의 활동이 아니라 동료와의 피드백 과정을 통해 스스로 학습해 나가는 새로운 형태의 탐구적 활동이다. 반면에 안내된 피드백은 안내된탐구수업 활동에 교사에 의한 피드백이 더해진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다. 이러한 두 가지 피드백은 모형의 각 단계에서 모두 이루어지며 학생들이스스로 탐구학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촉진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특히, E-DEAR 모형은 협동적 피드백 과정을 통해 학습자가 수정한 학습내용을활동지에 기록하여 자신의 수준에 맞게 피드백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부족한 학습내용은 안내된 피드백에 의하여 보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E-DEAR 모형을 시범 적용한 후 모형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모든 문항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내어 본 모형이학생들의 탐구적 실험학습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었다.

      • KCI등재

        Modified Similitude Law for Pseudodynamic Test on Small-scale Steel Models

        Kim Nam-Sik,Kwak, Young Hak,Chang Sung pil 한국지진공학회 2003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Vol.7 No.6

        지진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동적 거동과 내진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유사동적실험기법이 흔히 사용되고 있으나, 실험장비의 제약과 구조물의 규모 등으로 대부분 축소모형실험에 의존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인 상사법칙은 탄성범위에서 유도된 것으로 지진거동과 같은 비탄성 거동을 예측하는 경우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축소모형의 실험결과를 원형 구조물에 직접 적용하는 것은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원형구조물과 축소모형에 대한 철골모형을 실험 대상으로 하여 실제 축소모형 실험결과로부터 원형구조물의 거동을 예측하는 경우의 문제점을 확인하고, 그 해결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실제로 축소모형실험에서는 원형구조물의 경계조건을 정확히 재현하기 어려우며, 축소모형의 제작과정과 실험과정에서의 모든 오차가 강성의 변화로 반영되어 나타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하학적 상사율과 축소모형의 변화된 강성비를 함께 고려한 수정된 상사법칙을 제안하였으며, 수정된 상사법칙이 적용된 축소모형에 대하여 유사동적실험을 수행하여 지진응답결과를 원형구조물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축소모형에 대한 유사동적실험결과로부터 제안된 상사법칙을 적용함으로써 원형구조물의 지진응답 재현이 효과적임을 입증하였다. Although there are several experimental techniques to evaluate the seismic behavior and performance of civil structures, small-scale models in mast of physical tests, instead of prototypes or large-scale models, would be used due to a limitation on capacities of testing equipments. However, the inelastic seismic response prediction of small-scale models has some discrepancies inherently because the similitude law is generally derived in the elastic range. Thus, a special attention is required to regard the seismic behavior of small-scale models as one of prototypes. In this paper, differences between prototypes and small-scale models pseudodynamically tested on steel column specimens are investigated and an alternative to minimize them is suggested. In general, small-scale models could have the distorted stiffness induced from some experimental errors on test setup, steel fabrication and so on. Therefore, a modified similitude law considering both a scale factor for length and a stiffness ratio of small-scale model to prototype is proposed. Using the modified similitude law to compensate experimental errors, the pseudodynamic test results from modified small-scale model are much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rototype. According to the pseudodynamic test results of small-scale steel model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modified similitude law proposed could be effective in simulating the seismic response of prototype structures.

      • 과학실험 매뉴얼 처리 사고과정 모형 개발

        김성운,양일호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학교의 과학실험활동에서는 효율적인 실험활동을 위해 실험절차가 기술된 실험 매뉴얼이 필요하다. 그러나 학생들은 인지적 부담을 낮춰 구조화 시킨 실험 매뉴얼에서는 단순히 요리레시피처럼 따라 하게 되어 실험활동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능력들을 얻을 수 없고, 덜 구조화 시킨 실험 매뉴얼에서는 실험 매뉴얼의 처리에서 어려움을 겪게 되어 실험이 원활하게 진행되지 않는다. 즉 학생들의 실험활동에서 용이성과 효과성의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실험매뉴얼 설계는 어렵다는 딜레마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험활동을 통한 학습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도 친절한 실험매뉴얼을 개발하는 것에 대한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실험 매뉴얼의 처리와 관련된 사고과정을 분석하여 학습과정에 대한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학생들의 실제 실험활동으로부터 경험적 증거를 수집하고, 이를 근거로 사고 과정 모형을 개발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대학생 22명(여 17, 남 5)을 대상으로 ‘전자석을 만들기’ 실험활동을 적용하였다. 실험활동 상황은 작업환경이 매우 빠르게 변하고, 높은 밀도의 의사결정이 존재하여 무의식적으로 처리되는 부분이 많으므로 시선 추적방법(Eye-tracking), 동시적 사고구술방법(CTA), 회고적 사고구술방법(RTA), 실험행동을 다각적으로 수집하였고, 이러한 경험적 증거로부터 사고과정을 모형화하기 위하여 근거이론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 매뉴얼 처리에서는 3가지 문제 상황인 상충상황, 불충분상황, 불일치상황이 나타난다. 이때 나타나는 사고과정은 이 문제 상황을 수시로 해결하고, 문제의 발생을 억제하는 과정의 연속으로 볼 수 있다. 근거이론 분석을 통해 각 문제 상황의 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전략과 결과를 도출하였고, 문제 상황의 해결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조건, 판단조건, 평가조건, 중재조건의 속성과 차원을 식별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3가지 문제 상황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여 실험 매뉴얼 처리에서 나타나는 사고과정을 탐색적 모니터링과 평가적 모니터링 간의 전환으로 모형화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용이성과 효과성이 높은 실험매뉴얼 설계를 위해서는 탐색적 모니터링을 강화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축소모형실험 및 PFC2D해석에 따른 발파해체 거동분석

        채희문(Hee Moon Chae),전석원(Seokwon Jeon) 한국암반공학회 2004 터널과지하공간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경제성장기에 고층 구조물 시공에서 널리 사용된 철근콘크리트(RC, Reinforced Concrete) 구조물을 대상으로 발파해체 축소모형실험을 수행하고 전산실험결과와 이를 비교하였다. 발파해체 공법으로는 파괴거동을 비교적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점진붕괴공법을 적용하였으며, 축소모형실험은 Hobbs(1969)에 의한 축소율의 개념에 따라 차원해석을 실시하여 축소된 강도특성을 계산하였다. 시용재료로는 석고, 모래, 물의 혼합액을 콘크리트 대용으로 사용하였다. 모래와 석고의 중량 비를 다양하게 변화시키면서 이에 따른 강도의 변화를 측정하고 최적의 강도 값을 갖는 배합 비를 결정하였다. 또한 연성을 가지고 있으며 축소강도로 비교할 때 철근과 유사한 특성을 지니는 땜용 납선을 철근대용 재료로 사용하였다. 수치해석 프로그램으로는 요소의 파괴거동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개별요소법(DEM, Distinct Element Method)에 의해 수행되는 상용코드인 PFC2D(Particle Flow Code 2-Dimension)을 사용하였다. 모형의 제작은 실내에서 미리 양생된 부재들을 현장으로 옮겨 연결부만을 타설하여 일체화 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3차원 무근 콘크리트 라멘 구조의 모형을 설계하고 그 축소 모형을 발파해체하여 그 거동을 촬영하였다. 이를 수치적인 해석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2차원 해석이라는 한계성은 존재하지만 대체로 유사한 형태의 거동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 사전해석의 경험과 RC 보의 실내 굴곡 실험결괴를 근거로 하여 RC 구조모형의 발파해체 사전해석을 실시하였다. 시치는 200 ㎳로 하여 점진적으로 붕괴되도록 설계하였다. 모형실험과는 달리 2차원 해석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900 ㎳ 까지 매우 유사한 거동을 보이며 붕괴되었다. In this study, scaled model tests were performed on blasting demolition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and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The tests were designed to induce a progressive collapse,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scaled model were determined using scale factors obtained from dimension analysis. The scaled model structure was made of a mixture of plaster, sand and water at the ratio determined to yield the best scaled-down strength. Lead wire was used as a substitute for reinforcing bars. The scaled length was at the ratio of 1/10. Selecting the material and scaled factors was aimed at obtaining appropriately scaled-down strength. PFC2D (Particle Flow Code 2-Dimension) employing DEM (Distinct Element Method) was used for the numerical analysis. Blasting demolition of scaled 3-D plain concrete lahmen structure was filmed and compared to results of numerical simulation. Despite the limits of 2-D simulation, the resulting demolition behaviors were similar to each other. Based on the above experimental results in combination with bending test results of RC beam, numerica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lasting sequence and delay times. Scaled model test of RC structure resulted in remarkably similar collapse with the numerical results up to 900 ㎳ (mili-second).

      • KCI등재

        비선형모형에 적용한 제약조건 최적실험의 예제들

        김영일,장대흥,이성백,Kim, Youngil,Jang, Dae-Heung,Yi, Seongbaek 한국통계학회 2014 응용통계연구 Vol.27 No.7

        비선형모형에 대한 최적실험은 주어지는 모수의 초기값에 의존하는 특징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선형모형에 대한 최적실험은 비선형모형이 주류인 생물이나 화학공학 통계분야에서는 끊임없이 연구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자가 다수의 실험목적을 가지고 있는 환경에서 상충되는 목적간의 균형을 맞추는 관점에서 비선형 모형에 대한 최적실험 기준을 제약 실험으로 살펴보았다. 문헌에서 존재하는 기존의 방법 뿐 아니라 새로운 융합기준도 적용하였는데 시나리오 별로 그 적용 형태를 몇 가지 비선형 모형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Despite the fact that the optimal design for nonlinear model depends on the unknown quantity of parameter to estimate basically, its popularity is growing in bio and engineering statistics area since all those models in the area are virtually nonlinear. In this paper we have dealt with the case when the researcher has multiple objectives in experimentation, decision among the competing models, protection against the departure from the assumed model, and the con icting interests among design criteria. To tackle these issues we attempted several new approaches which are taking advantage of the easiness of constrained optimal design. Several nonlinear models were tested.

      • 수리모형 실험과 수치모형 해석을 통한 경사형 낙차공의 만곡부 흐름특성 비교분석

        박무종,우재경,송영석,임채헌 한국방재학회 2014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4 No.-

        하천의 흐름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수치모형 해석을 이용한다. 흐름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수리모형 실험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하는 것이 이상적이나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원형에 대해 모형 법칙을 적용하여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결과 값을 도출하기 위해 수리모형 실험을 수행한다. 만곡부 흐름은 원심력의 영향을 받아 외측으로 향하는 2차류가 발생하고, 외측의 수위가 내측의 수위보다 높아져 횡방향으로 수면경사 상승이 발생한다. 이런 현상 때문에 1차원 수치모형을 적용하는 경우 제방의 안정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경기도 의정부에 있는 백석천 만곡부 경사형 낙차공의 흐름특성을 수리모형 실험 결과 값과 1, 2차원의 수치모형 해석 결과 값을 비교하였다. 100년 빈도 설계홍수량에 대해 비교해 본 결과 수리모형 실험과 수치모형 해석의 결과 값은 지점에 따라서 5~10%의 유속 및 수심이 상이하게 나타났다. 불균등한 유속분포에 의해 세굴과 퇴적현상이 예상되는 경우에는 수치모형 해석의 결과 값을 수정하여 적용할 필요성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보정에 필요한 값을 제시하였다. 1, 2차원이 아닌 3차원 수치모형 해석을 추가적으로 비교분석한다면 유효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