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본 5세 유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연구 : 모래놀이의 주제 및 심리적 변환과정을 중심으로

        한미현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1 모래놀이상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모성분리불안, 사회적 위축, 주의력 결핍, 공격성 등의 정서불안정 문제를 가진 5세 유아에게 적용한 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접수면접 및 심리검사 결과를 토대로 총 13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6개월간 실시하고, 모래상자에 표현된 놀이의 테마 분석을 통해 모래놀이치료과정의 진행에 따른 심리적 변환 및 자아발달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정서 및 행동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매 치료회기 후 모와의 상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과정의 진행과 더불어 모래놀이주제(상처/치유)의 출현양상이 변화하였다. 즉 치료초기단계에서는 상처의 주제가 많이 나타났으나 치료회기가 진전됨에 따라 치유를 상징하는 주제가 점차 증가되면서 결국 상처의 주제를 능가하게 되고, 치료후반기에는 상처의 주제는 사라지고 심리적 변환의 주제로 변화되었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주제의 변화과정은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자아의 분화 및 성장과정을 재확인시켜줌으로써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유아의 자아성장을 보여주었다. 셋째, 모래놀이치료과정과 병행하여 모상담을 실시한 결과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보였던 정서불안정 문제가 사라지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도 적극적이 되었으며 운동, 학습 등과 같은 사회적 활동을 즐기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사례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발달 및 사회적 적응을 돕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 KCI등재

        모래상자 놀이의 과거와 미래: 상담매체로사용하기 위한 준비

        송영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2 놀이치료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general considerations for the counselors using sand tray play as a counseling tool. It was examined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sand tray play and compared two types of platforms, between as a therapeutic method and as a counseling tool, using sand tray therapy. Doctoral and master thes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The items were studied in the followings, 1) Research topics, 2) Characteristics of subjects, 3) Program manual for sand tray play, 4)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sand tray play program, and 5) Roles of counselor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us th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and tray play, by itself, could lead to therapeutic effects. Counselors should adopt the program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his/her clients, because the client’s responses through the production on the sand tray play may continue his/her feelings or the association of ideas for a long time. Counselors should play more systemic and more objective roles in the program. 본 연구는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는 데에서 탁월한 기능이 있는 모래상자 놀이를 상담의 매체로 사용하는 데에서 상담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모래상자 놀이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치료기법으로서의 모래상자 놀이와 상담매체로서의 모래상자 놀이를 간단히 비교했으며 이제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모래상자 놀이 관련의 석 박사학위 논문 103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본은 치료기법으로서의 모래상자 놀이와 상담매체로서의 모래상자 놀이를 분류하는데 두었고, 분석한 내용은 연구주제 및 치료목표, 연구 대상자의 특성, 모래상자 놀이의 진행방법, 효과의 검증방법, 상담자의 역할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모래상자 놀이의 고유한 특성은 모래상자 놀이를 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치료적 장점이 있고, 모래상자에 있는 내담자의 작품은 내담자의 감정과 연상을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때문에 상담은 내담자의 진행속도에 맞추어야 하지만 상담자가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무기력함을 호소하는 중1 여학생의 모래놀이치료의 단일 사례연구 -‘Freedle의 심리적 발달 7단계’를 중심으로

        이혜경 (사) 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2024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6 No.2

        본 연구는 무기력을 호소하는 13세 여중생의 모래놀이치료 단일 사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무기력을 호소하는 13세 여중생에게 적용한 모래놀이치료 과정을 Freedle(2006)의 모래놀이치료의 심리적 발달 7단계에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는 데 있다. Freedle(2006)은 심리적 어려움을 겪는 많은 내담자들이 모래놀이치료 과정에서 각 단계를 거치며 심리적 발달을 한다고 보고한 바 있다. Freedle(2006)이 제시한 모래놀이치료 과정의 심리적 발달 7단계는 ① 문제 제시 ② 접근 ③ 어두움(죽음 등)의 표현 ④ 희망으로 넘어가는 전환 ⑤ 전체성 및 온전함 ⑥ 반대되고 어두운 것들의 연결 및 통합 ⑦ 새로운 관점으로 주변을 바라보기이다. 본 연구의 과정은 접수 면담 및 심리검사를 토대로 총 14회기 중 10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4개월간 실시되었으며, 모래상자에 나타난 놀이의 테마를 3인의 슈퍼바이저의 지도하에 분석하여 모래놀이치료 과정에 나타난 심리적 발달을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 본 사례의 여중생은‘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Freedle(2006)이 제시한 심리적 발달 7단계에 따라 심리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a single case in which Sandplay therapy was administered to a 13-year-old middle school girl who complained of letharg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applied to a 13-year-old middle school girl complaining of lethargy by applying it to Freedle's (2006) seven stage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Sandplay therapy. Freedle(2006) reported that many clients experiencing psychological difficulties develop psychologically through each stage of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The seven stage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in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presented by Freedle(2006) are ① Problem presentation ② Approach ③ Expression of darkness (death, etc.) ④ Conversion to hope ⑤ Wholeness and completeness ⑥ Connection and integration of opposition and darkness. ⑦ It’s about looking at your surroundings from a new perspective. The process of this study was based on intake interviews and psychological tests, and Sandplay therapy was conducted for 10 sessions out of a total of 14 sessions for 4 months. The themes of play shown in the sandbox were analyzed under the guidance of three supervisors to determine the results of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We looked at the psychological development that occurre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female middle school student in this case experienced psychological changes according to the seven stages of psychological development suggested by Freedle(2006) during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 유분증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조창숙,윤운성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6 에니어그램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유분증 아동의 유분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유분증을 동반한 아동의 문제행동의 변화를 모래놀이치료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모래놀이치료 중재과정은 주1회 40분씩 15회기와 추후 1회기로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D 센터의 모래놀이치료실에서 실시하였고, 부모상담 및 교육은 아동의 유분증이 나타나게 된 배변 훈련, 가정환경과 가족의 변화 등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고, 전체 4회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유분증상을 감소시키며,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가 유분증을 동반한 문제행동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배변에 대한 아동의 의사표현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가 제시하는 것은 모래놀이치료의 중재가 대상아동 유분증상의 빈도감소 에 효과가 있었으며, 유분증을 동반한 문제행동의 감소와 배변행동에 대한 의사표현도 향상되었 다는 점이다.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배변행동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해소하여 자신을 양육하 고 배변행동을 연습하며 바람직한 배변행동으로 연결되면서 아동 스스로 자신의 발달과 내적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자기실현경향성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if the sandplay therapy effect on reducing childhood encopresis symptoms or not. And I want to see the meaningful change of a child from the cases' analysis. Therefore, I studied about a definition and character of encopresis, and then looked the family's atmosphere and change up. Thus, the counseling process in the sandplay had progressed totally 15 sessions, that was 40 minutes per 1 week during treatments and we met one more time after treatment. In the D sandplay center, he played with sand and figures. And I taught to his parents how to training the bowels' function of a encopresis child and talked about family's environment or changes after treatments for 4 ses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the sandplay therapy reduce childhood encopresis symptoms and effect him positively. Second, the sandplay therapy effect to reduce disorder behavior according to encopresis. Third, the child's communication skill improved. First time, he didn't express his opinion before the counseling, opened the bowels in his pants, so his parents recognized from the smell. In the 8th session, he said to counselor “I want to go to bathroom.” clearly..

      •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의 모래상자놀이 적용 사례연구

        권혜선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2014 한국유아교육연구 Vol.16 No.1

        이 연구는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과정에서 어떻게 자아를 표현하고, 그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살펴보고,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지를 분석해보았다. 연구대상 유아는 6년 4개월 된 남아 1명으로 유아가 때때로 다른 사람 앞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일에 지나치게 소극적인 자세와 경직된 태도를 보이는 문제로 의뢰해 온 유아였다. 연구절차는 모래상자놀이실시, 모래상자놀이 표현,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로 진행되었다. 모래상자놀이도구는 Kalff(1996)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2013년 6월 26일(수)~8월 28일(수)까지 10주 동안 10회의 모래상자놀이를 실시하였다. 모래상자놀이 표현은 매회 유아의 행동 특성을 기록한 일화기록, 사진, 비디오 촬영, 유아의 놀이평가 등을 종합하여 모래상자놀이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상자놀이는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경험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는 의미있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특성을 알고 자신을 드러내는 경험을 통하여, 자기인지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기인지와 타인인지를 조화롭게 조절하여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how a child expresses his psychological status, and how the contents of his expression change in the process of sand-box play and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and-box play. In accomplishing these purposes,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1. How does a child wit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cognitive express his psychological status in the sand-box play? 2. What is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and-box play on a child with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cognitiv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6 years and 4 months old male child. The mother of the child visited this researcher to consult about her son who knows the rules and promises in the class and between him and his peers and yet was likely to excessively avoid expressing his emotional expression in front of others. This researcher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4-year college, had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and is still in service. She completed the basic training for sand-box paly and receives supervision from a developmental expert and a sand- play therapy expert on a regular basi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e sequence of performing sand-box play, the expression in the sand-box play, and the evaluation. As for the sand-box play tools, sand, a sand-box and play materials were prepared following the methods suggested by Kalff(1966). The sand-box play therapy was conducted over 10 weeks from Jun 16(Wed), 2013 to Aug 28(Wed), 2013 in a total of 10 sessions, 1 session every week. The expression during sand-box play was analyzed by synthesizing the anecdotal records of child's behavioral characteristics, photographs, videotape transcriptions in each session and a child's self-evaluation of the play with focus on the changing process of the sand-box play on the basis of Neumann’s Self-Development Process. Furthermore as for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and-box play, the changing process of the child between before and after sand-box play was analyzed on the aspect of developmental psychological behavioral characteristics. As for the evaluation tools, Korean-Wechsler Intellignce Scale for Childern-Ⅲ, Bender-Gestalt Test for children, Doll’s House, Kinetic Family Drawing, Self-Esteem Scale for young children, Kindergarten adaptation assessment, House-Tree-Person Test and Peer-Competence Scale were use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hen examining the expression in the sand-box play, at the 1st session and the 2nd session, the overall impression was rather poor. As for the spatial arrangement, he divided the whole sand-box for playing. He had difficulties in setting play theme, as for the play material. he used vehicles the most yet his play did not show a consistent pattern, lacking integrity and dynamics, which indicates his ego-development stage was ‘The Animals·Vegetative Phase’. From the 3rd session to the 5th session, his expression showed the pattern of disorder, confusion, confrontation and struggle, ‘Fighting Phase’. In the spatial arrangement, he utilized the whole sand-box space. Moreover, his play developed to more dynamic play over time during sand-box play session. The play themes were battle filed, polar bears and zoo. As for the play materials, he used vehicles and animals the most. The movement of the vehicles had consistent directivity and dynamics and animals were grouped, showing consistent directivity and dynamics as a typical fighting play. In this ego-development, he developed his strength through a trial of strength and Fighting phase. From the 6th session to the 10th session, the spatial arrangement, that converged in the center, drawing a circle in the center of the sand-box, maintained safety during a shift from the balance of power to the integration of power. His expression in the sand-box play showed dynamics and diversity; the theme of disorder disappeared; and the elements symbolizing transformation started manifesting themselves. The child started knowing the concept of “I” and “You”, separated him as an independe From the 6th session to the 10th session, the spatial arrangement, that converged in the center, drawing a circle in the center of the sand-box, maintained safety during a shift from the balance of power to the integration of power. His expression in the sand-box play showed dynamics and diversity; the theme of disorder disappeared; and the elements symbolizing transformation started manifesting themselves. The child started knowing the concept of “I” and “You”, separated him as an independent human being from unconsciousness and his ego started working, indicating ‘Ego/Self Axis Phase’. In particular, at the 6th session and the 7th session, the characteristics of group adaptation was manifested, yet not perfectly.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e restriction of research period and the number of session to 10 sessions. Second, when examining the psychological test results of interpersonal perception, the effect of sand-box play showed upward trend holistically. In particular, with respect to ego-strength of Kindergarten adaption assessment, peer-competence, self-directedness of peer-competence scale and, sociality and prosociality, before this program, he suffered a lack of self-confidence, such as rating self-perception and others-perception low, whereas after the program he expressed himself in his behaviors more positively behaved in such a way as to induce an interaction with significant others as peer or teacher, indicating the child had an ability to perceive himself objectively, integrate it into subjective perception and thereby accommodate the viewpoints of others. Taken together, the child met with his ego and expressed himself with the play materials that he chose naturally, safely and pleasantly in the sand-box play, experiencing the release of his power. In particular, the child experienced self-differentiation and formed

      • KCI등재

        모래놀이 그림에서 나타나는 공간적․신체적 움직임과자기 몰입수준에 관련된 사례연구

        이승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3

        This is a small group case study with three female college students on individual sand play therapy ses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patial and physical movements in the sand pictures and the level of Self-immersion of the clients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ession were the issues of this study. After the introduction of sand play therapy to each client separately, each client made her own sand pictures in individual session freely along to the immediate impression at the moment. Among the overall 10 sessions, the first(1), middle(4, 7), and the last(10) sand pictures and the measurements were compar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the relationships on the variables above. The contents of SCC of one client were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effects of sand play therapy on the client par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v.20 and SCC. The results shows that som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clients’physical movements, the spatial movements of figures and sand observed in the sand picture, and the levels of Self-immersion of the client were significant and the clients were affected by the sand play therapy in positive way. Discussions were presented on the multidisciplinary basis of neuro-scientific area and counseling area in the view of therapeutic effect.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 그림 상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신체적 움직임과 공간적 움직임, 그리고 내담자의 자기 몰입수준에 대해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3명의 대학생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를 소개한 후 내담자가 떠오르는 대로 자유롭게 구성한 모래놀이 그림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움직임과 내담자의 신체적 움직임, 내담자의 언어적 발화에서 평정되는 회기 내 자기 몰입수준을 측정하면서 총 10회기의 개별모래놀이치료가 진행되었다. 초기와 중간, 그리고 마지막 회기의 모래놀이치료 회기 내에서 내담자가 나타낸 신체적 움직임과 모래놀이 그림에서 나타난 공간적 움직임, 그리고 내담자의 자기몰입수준이 회기별로 비교되었고 변인들 간 상관관계가 산출되었으며, 모래놀이 그림에 대한 내담자의 이야기, 내담자의 정서적 반응, 모래놀이 그림에 대한 치료자의 인상 등이 분석되었다. 이상의 자료들은 SPSS WIN. 20과 SCC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모래놀이치료 회기의 진행에 따라 모래놀이 그림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공간적 움직임과 내담자의 신체적 움직임, 그리고 내담자의 자기몰입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 간 상관이 나타났다. 내담자의 신체적 움직임과 모래놀이그림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움직임을 자기몰입수준과 연결하여 신경과학영역과 심리치료 영역의 다학문적 입장의 논의가 치료적 효과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 KCI등재후보

        종설 : 모래놀이 집단치료의 국내 학술지 연구 동향

        안운경(Un-Kyoung Ahn),곽현정(Hyeon-Jeong Kwak),김영렬(Young-Ryeol Kim) (사)한국학교공공모래놀이학회 2021 학교상담 및 모래놀이 Vol.3 No.2

        우리나라에서 모래놀이치료는 1983년 서울대학병원에서 소개되었다. 지난 30년 동안 아동시설, 복지기관, 민간상담실을 통해 대중적으로 보급되었고, 최근 학교모래놀이로 그 학술적 연구가 확대되었다. 이 연구는 모래놀이 집단치료에 대한 국내 학술지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의 모래놀이 집단치료의 현황을 조사하고, 모래놀이 집단치료의 이론과 실제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0년부터 2020년 사이 국내 모래놀이 집단치료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 총 43편의 학술지 연구를 선정하고, 모래놀이 집단치료의‘연구내용’과 ‘치료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심리학과 정신의학에 근거한 모래놀이 집단치료의 치료적 방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In Korea, sandplay therapy was introduced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1983. For the past 30 years, it has been popularly distributed through children s facilities, welfare institutions, and private counseling centers, and its academic research has recently been expanded to school sandplay.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group therapy for sandplay in Korea, focusing on domestic academic journal research on group therapy for sandplay, and to analyze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therapy for sandplay. To this end, a total of 43 academic journal studies were selected through the preliminary research on sandplay group therapy in Korea between 2010 and 2020, and the ‘research content’ and ‘treatment method’ of sandplay group therapy were analyzed. Through this, we intend to explore a therapeutic method of sandplay group therapy based on psychology and psychiatry.

      • KCI등재

        국내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 학위논문중심 (2011-2021) -

        이지희,정진명,박영숙 국제차세대융합기술학회 2021 차세대융합기술학회논문지 Vol.5 No.4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 실태와 연구동향을 국내 석ㆍ박사 학위논문으로 알아 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모래놀이치료 관련 2011년부터 2021년 상반기까지 석ㆍ박사 학위논문 127편을 대상으로 연구년도, 연구대 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모래놀이 치료 관련 특성으로 분류하고, SPSS 19 로 빈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첫 째, 논문 연도는 2014년 22편(17.3%)으로 가장 많았고, 둘째, 연구대상은 아동대상 논문 56편(44%), 대상의 특성 으로는 부적응 관련 논문 62편(48.7%)으로 나타났다. 셋째, 모래놀이치료 연구주제(변인)는 심리정서 54편(29.7%) 이 가장 많았고. 넷째, 모래놀이 연구방법으로는 혼합연구가 45(35.4%)편으로 많았다. 다섯째. 모래놀이치료 개입 별 특성으로는 주1회, 6-10회기, 50-60분 적용이 가장 많이 나왔다.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은 첫째, 연구기간을 더 욱 확대해 국내 최초 모래놀이치료 연구와 최근의 연구까지 분석하고 파악하여 전반적인 모래놀이 치료 연구동향 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국내외 논문과 학술지를 고찰하여 우리나라와 외국 연구 동향에 대한 비교 분석 연구도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urrent status of sand play therapy and research trends through a master's and doctorate thesis in Korea. From 2011 to the first half of 2021, 127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elated to sand play therapy were classified into research years,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characteristics related to sand play therapy, and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with SPSS 19 statistical program. First, 22 papers (17.3 percent) were published in 2014, second, 56 papers (44 percent) were studied for children and 62 papers (48.7 percent) were found to be inappropriate. Third, 54 episodes (29.7 percent) of the Psychological Sentiment were the most popular topic of sand play therapy. Fourth, 45(35.4 percent) of the mixed research methods were used to study sand play. Fifth, the most common characteristics of intervention in sand play therapy were once a week, 6-10 sessions, and 50-60 minutes. First of all, the proposal for follow-up research needs to expand the period of research to analyze and understand Korea's first sand play therapy research and recent research to understand the overall sand play treatment research trends. Second, a comparative analysis study on the trends of Korean and foreign research will be needed by considering various domestic and foreign papers and academic journals.

      • KCI등재후보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정서적 지지를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

        양한연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정서적 지지 증진에 모래놀이치료가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알코올중독자 자녀를 대상으로 총 12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모래놀이치료 진행과정, 우울불안과 자아존중감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모래놀이치료 회기가 진행될수록 아동의 모래상자에서는 관심과 사랑에 목말라하는 정서, 즐거움과 공감을 바라는 마음이 표현되었다. 피겨 선택의 폭이 다양해지고 모래상장에 서의 위치사용도 넓어졌다. 또 치료자와 대화를 할 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얼굴표정이 다 양해지고 목소리도 정확하고 크게 변화하였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우울불안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래놀이치료 실시 후 우울불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우울불안 요소를 감소시켜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모래놀이치료 실시 후 자아존중감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래놀이치료가 알코 올중독자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주었다.

      • KCI등재후보

        12세 남아의 자아강화를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김자영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23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9 No.1

        This study is a case of sandplay therapy for a 12-year-old boy who shows talent through academic achievement and winning various competitions, but high tension and anxiety. The process of developing and strengthening the client’s ego through sandplay therapy was examined by applying the perspective of the childhood sandplay development stage of Stewart(1984). A total of 10 sessions of sandplay therap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the client’s healing and change process during the counseling sessions, the researcher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photos of the sand trays and linguistic expressions of the client. In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the therapist provided a safe space of mother-child unity, thereby allowing the client to express his anger, satisfy his deficiency, and heal himself.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go-development process of children revealed in the sand tray showed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eat drama of the civilization and the dinosaur era through struggle, and ultimately re-adapt to the collective consciousness by integrating the self. The sandplay therapy process consisted of 3 stage in the mid-term childhood (age 6-7 to 11-12) ego-development stage of Stewart(1984) : the opposite stage where the ground is separated, bound through rivers and fences, and fighting battles are revealed, the connecting stage that gradually removes the barrier of the bridge and connects the areas in the sand tray, and the stage of acceptance where integration took place as props were balanced and gathered around the center. Second, throughout the entire journey, the child was able to have a fully accepted and trusted experience in relation to the therapist in a ‘free but protected space’, by Kalff(2000) t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 and a child that emphasizes mother and child unity, and he freely expressed himself and did creative activities and he could finally strengthen ego-consciousness by himsel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was able to examine the process of gaining the ability to deal with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and strengthening the ego as the client’s suppressed inner anxiety and tension were expressed and resolved through sandplay. 본 연구는 학업성취와 각종 대회 수상으로 재능을 나타내지만 긴장과 불안이 높은 12세 남아의 모래놀이 치료 사례를 분석한 것이다. 모래놀이 치료를 통해 내담아동의 자아가 발달되고 강화되어가는 과정을 Stewart(1984)의 아동기 모래놀이 발달단계의 관점을 적용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총 10회기의 모래놀이치료가 진행되었고, 상담진행 과정 동안 내담자의 치유와 변화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서 모래상자의 사진과 내담자의 언어 표현을 전사하여 내용을 분석하였다. 모래놀이 치료과정에서 치료자는 모자 일체성의 안전한 공간을 제공하여 내담아동이 모래놀이를 통해 자신의 감정을 표출하도록 하고 결핍을 충족하면서 스스로 자기 치유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상자에서 드러난 아동의 자아발달 과정은 문명과 공룡시대의 대극에서 투쟁을 거쳐 대극의 연결이 일어나고, 궁극적으로 자아의 통합을 이루어 집단의식에 재적응하는 변화를 보여주었다. 모래놀이 치료과정은 Stewart(1984)의 중기 아동기(6-7세~11-12세)의 자아발달 단계에서 땅덩이가 분리되고 강이나 울타리 등을 통해 경계를 치게 되고 서로 싸우는 투쟁이 드러나는 대극단계, 점차적으로 장벽이나 다리를 없애고 상자 안의 영역들을 연결하는 연결단계, 상자의 소품들이 균형을 잡고 중심으로 모이면서 통합이 일어나는 수용의 단계로 이루어졌다. 둘째, 전체 여정을 통하여 Kalff(2000)가 말한 ‘자유롭지만 보호된 공간’, 즉 모자일체성이 강조되는 치료자와의 관계 속에서 온전히 수용되는 경험을 통하여 자유롭게 자신을 표현하고, 창조적인 활동을 하면서 아동이 스스로 자아의식을 강화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내담아동의 억압된 내면의 불안과 긴장이 모래놀이를 통해 표출하고, 해소되면서 내적, 외적 갈등을 다루는 능력을 얻고 자아를 강화시켜 가는 과정을 살펴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