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급식소 식사제공수와 영양사의 개인특성이 메뉴관리 정보시스템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최상철,이상미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efficiency of menu management of information system on the institutional restaurant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working career, and times of meal serving.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120 units. A total of 116 questionnaires were usable.First, result that is significant to menu management factor at meals manager's work career and foo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analyzed that is. Second, analyzed that difference of meals subdivision meal number is not significant to menu management factor at foo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Third, manager's attainments in scholarship which operate food information system analyzed that practical use degree is significant to menu management factor at food information system operation. 본 논문은 단체급식소별 다양한 형태에 따라 사업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영양사들의 개인특성과 급식소의 식사 제공수가 급식정보시스템의 메뉴관리 운용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다. 특히, 다양한 단체급식소의 유형에 근무하고 있는 영양사들의 급식정보시스템의 활용정도는 급식소의 운영효율성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급식의 가장 중요한 요인중 하나인 메뉴관리요인 운영의 효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분석하려고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 3가지로 정리되었다. 첫째, 급식소 영양사의 근무경력과 급식정보시스템 운영시 메뉴관리업무요인에는 유의적인 결과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둘째, 급식소별 식사제공(끼니)수의 차이는 급식정보시스템 운영시 메뉴관리요인에 유의적이지 않은 것으로 분석 되었다. 셋째, 급식정보시스템을 운영하는 영양사의 학력은 메뉴관리요인에 유의적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 KCI등재

        메뉴디자인 기획을 위한 시각중심점과 글씨체 선택에 관한 연구

        변광인,김기진 한국외식경영학회 2013 외식경영연구 Vol.16 No.3

        This study is intended to examine menu designs which indirectly influence menu choices of customers. For achieving this purpose, fonts that fit nicely in with menus perceived by customers, and visual center points of menus were considered. For the survey, a face-to-face interview was conducted in the coffee shops or subways for nearly 5 days from January 5th to 10th 2012. As the result, Gungseo font was fit for Bibimbab the most, and HY Baeksong B font was fit for Bulgogi, Galbijjim, Sushi, Hanbangjokbal and Buldak the most, Human Magic font was fit for Salad, Spaghetti, Pizza and Tteokbokki the most, Human Dunggeun Headline font was fit for Jjangmyeon and Ramen the most, and HY Gothic-Extra font was fit for Chicken the most. Then, for 1-page menus, the visual center point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m five times, for 2-page menus, it wa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right page fifteen times, and for 3-page menus, it was in the central page fifteen times 본 연구는 고객들이 메뉴를 선택하는 행동을 하는데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메뉴판 디자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메뉴와 잘 어울리는 글씨체를 살펴보았고, 메뉴판의 시각중심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설문조사는1:1면접방법으로 커피전문점 또는 지하철에서 실시되었고, 2012년 1월 5일부터1월 10일까지 약 5일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비빔밥은 궁서체로 나타났고, 불고기, 갈비찜, 스시, 한방족발, 불닭은 HY백송B체가 가장 잘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샐러드, 스파게티, 피자, 떡볶이는 휴먼매직체가 가장 잘 어울리는 글씨체로 나타났으며, 짜장면, 라면은 휴먼둥근헤드라인체, 치킨은 HY견고딕체가 가장 잘 어울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지에 따른 시각중심점은 1 페이지 메뉴판의경우 중앙 부분 5번 위치, 2 페이지 메뉴판의 경우 오른쪽 페이지 중앙 15번 위치, 3페이지 메뉴판의 경우 중앙페이지 15번 위치로 각각 나타났다.

      • 민사건설재판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나라 ( Han Nara ),김성화,양승욱,이단비 사법정책연구원 2023 연구보고서 Vol.2023 No.6

        민사건설재판은 전문적이고 복잡하며 복합적인 건설사건의 특성상 심리가 어렵고 소송기간이 길어지며 소송비용이 크다는 문제가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공정하고 충실하며 효율적인 건설사건 심리를 위해 각급 법원에 민사건설전담재판부를 설치하고 전문적 지식이 필요한 대부분의 건설사건에서 증거방법으로 감정을 실시하고 있으며, 법원의 전문성을 위해 건설사건 전문법관, 건설 분야 상임전문심리위원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또한 건설감정절차와 민사건설재판 실무를 돕기 위한 각종 실무서, 프로그램 등을 운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민사건설재판의 문제점이 계속되고 있다. 이는 주로 감정 제도와 관련되는데, 감정인의 자격이 부족하거나 소송관계인의 전문성과 준비가 부족하여 감정결과가 부실해지고 감정절차가 지연되며, 감정료가 과다하다는 문제 등이다. 또한 건설사건의 복잡성, 과다한 사건수, 다양한 유형 등으로 인해 사건 심리가 어렵다는 문제도 있고, 결과적으로 소송이 지연되고, 당사자들의 절차 만족도와 사법 신뢰가 저해된다. 민사건설재판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의 현황을 살펴보는 외에 외국의 관련사례를 검토하여 시사점을 얻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먼저 영국의 경우 건설사건을 전담하는 기술 및 건설 재판부(TCC)를 설치하였고, 재결, 소송 전 규약으로 법원의 사건수를 감소시켰다. 재판을 하는 경우 법원의 사건관리권한과 변론 전의 준비절차를 강화하여 사건을 집중적으로 처리하고, 전문지식을 보완하기 위해 전문가 증거 제도를 두고 있다. 독일의 경우 법원과 건설 관련 협회가 긴밀히 연결되어 감정인의 자질을 보장하고, 상공회의소에 의해 임명 및 관리되는 공적인 감정인 제도를 두고 있다. 또한 감정인의 조언자로서의 역할, 당사자의 절차 참여권 등을 강조한다. 프랑스의 민사건설재판에서도 감정이 중요한데, 감정절차를 전담하여 주관하는 특임법관 제도를 실시한다. 감정절차에서도 대심주의가 강조되며 당사자에 대한 설명과 참여를 위해 감정서 제출 전 수차례의 감정회의를 거친다. 또한 각 법원에서 엄격한 절차를 통해 등록, 관리하는 법원감정인 제도를 두고 있고, 다수의 단체가 감정인명단 등록 시 적합성 심사에 관여한다. 일본의 경우 전문가와 변호사들로 구성된 건축관계소송위원회를 설치하여 감정인 등의 후보자 추천, 관리 및 민사건설재판의 운영에 관한 논의 등을 담당한다. 민사건설전담재판부가 설치되어 표준화된 심리모델과 건설사건의 각 쟁점에 관한 각종 일람표를 마련하여 효율적인 심리를 강조하며, 전문 지식 보완을 위해 전문위원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다. 위 논의에 기초하여 재판절차 효율화, 감정인 자격, 전문성 강화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먼저 재판 준비 단계에서 사건 시작 시 상세한 심리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사건관리정보표, 사건관리계획표를 사용할 것과 사건관리계획에 관한 민사소송규칙 개정안을 제안한다. 사건유형별 쟁점정리표를 마련하여 홈페이지를 통해 공개하는 것도 필요하다. 감정 단계에서 감정준비명령, 단계별 감정사항 점검표를 활용하여 감정기일을 실질화할 것을 제안하고, 감정인과 당사자, 소송대리인의 감정회의를 의무화하는 감정예규 개정안을 마련한다. 감정자료의 제출기한, 감정서 제출기한 및 감정보완 횟수와 기한을 제한하여 감정절차를 신속화할 필요가 있고, 이미 마련된 감정서 표준서식을 개정할 것과 지체상금 등 계산 프로그램을 제작할 것을 제안하며 일부 유형의 건설사건에서 참조할 판결서 구조를 제안한다. 다음으로 건설감정인 자격에 관하여 일본과 유사한 건설감정인 선정·관리 위원회를 설치할 것을 제안하고, 기존의 감정인 명단 조정 제도와 평정 제도가 활성화되어야 한다. 감정인 평정과 관련하여 합의부원의 평정 및 소송대리인과 상임전문심리위원의 평정에 대한 의견 제시를 가능하게 하고 감정인에게 사건 결과 등을 통지할 필요도 있다. 마지막으로 민사건설재판의 전문성 강화를 위하여 사건 초기에 원칙적으로 상임전문심리위원 참여결정을 하고, 소규모 건설사건에서 가능한 경우 상임전문심리위원을 특허법원의 전문심리관 형태로 참여시키는 방안을 제안하며, 이를 위해 상임전문심리위원의 공동 참여결정을 활성화하고 상임전문심리위원을 증원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감정절차를 통일적, 집중적으로 관리하는 감정담당판사 제도를 실시하고, 궁극적으로 건설사건 전문법관, 감정담당판사, 상임전문심리위원 등이 주축이 된 감정센터의 구축을 제안하며, 장기적으로 영국 재결제도의 도입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Given the highly specialised, technical, and complex nature of construction disputes, the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 process would be difficult, time-consuming, and costly in terms of practice. In Korea, in order to ensure the just, faithful and efficient trial in the civil construction cases, special civil divisions on construction are established in several district and high courts; expert evidence is commonly employed in most construction cases that require special technical knowledge; and for greater expertise, a “Construction Case Specialist Judge” and a “Standing Technical Adviser” system are implemented in the construction litigation sector. In addition, several practical handbooks and programs are in place to help with expert evidence procedure and construction litigation practice. Despite the above efforts, problems regarding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 still remain unresolved in Korea. They are mainly related to the expert evidence system, such as a lack of qualifications for experts and a lack of expertise and preparation of litigants, which contribute to poor results, delayed procedures, and high costs. Moreover, due to the complexity, numerous case-dockets, and various types of construction cases, construction litigation per se is a complicated and convoluted process. Consequently, the above factors lead to delays in litigation, lowering the parties' satisfaction with the procedure and causing a negative impact on the public’s trust in the judicial system.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and improve the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 system in Korea, efforts should be made to draw implications by reviewing related systems in foreign countries as well as to examine Korea’s current situation. First, the UK has established the Technology and Construction Court (TCC) dedicated to construction cases. Adjudication and the Pre-Action Protocol for Construction and Engineering Disputes successfully has played a part to reduce the amount of litigation. When the disputes end up in litigation, the courts’ case management power and pre-trial preparation are to be strengthened to ensure intensified proceedings. Furthermore, the expert evidence system is employed to supplement the expertise of the court. In Germany, courts and construction-related associations are closely connected to guarantee the qualifications of experts, who are publicly appointed and managed by Chambers of Commerce. It focuses on the role of experts as advisors and the parties’ right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Expert evidence system is also important in France’s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 which appoints an “Especially Entrusted Judge” to supervise the expert evidence proceedings. The adversarial principle should also be abided by in expert evidence procedures, and several expert meetings (Accedit) are held before submitting the expert report in order to inform the parties thereof and allow them to comment thereon. Additionally, Judicial Experts are registered and managed in a strict manner by the Court of Cassation and each Court of Appeal, and several entities are involved in qualification screening for the registration of the list of experts. In Japan, the Committee on Construction Lawsuits, composed of both experts and lawyers, is involved in the recommendation and management of each expert. It discusses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s. Japanese courts have established specialist divisions to deal with construction cases and have provided standardised proceeding models and Scott Schedule examples regarding some types of construction cases to promote efficiency in dealing with cases. Recently participation of Technical Advisers has been on the increase to bolster the expert knowledge in the proceeding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this research suggests the specific improvement measures by categorizing following three parts; efficiency of proceedings, qualified expert system, and strengthened professionalism. In the pre-trial stage, this research proposes “Case Management Information Tables” and “Case Management Plan Tables” to be used by courts and the parties to set down a detailed plan. The research also makes suggestion to amend the Supreme Court’s Civil Procedure Regulation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the legal grounds for planned trials. Examples of tables which clearly set out the issues and evidence in dispute should be provided and available on the website. At the expert evidence stage, it is emphasized to operate the date for expert testimony substantively by using preparation orders and a step-by-step checklist, and also to revise the existing Supreme Court’s Practical Guidance Manual for the purpose of encompassing mandatory expert meetings where experts, parties, their representatives etc. should be obliged to attend. To prevent delays, it proposes the implementation of deadlines within which an expert is to submit his or her report, parties are to give necessary documents to the expert and submit questions as to an expert’s report. Revision of previous handbooks and standard forms, and the development of calculation programs for the reimbursement on the delayed performance are also suggested. This research offers an example structure of judgment in a specific type of construction case. Next, regarding the qualification of experts, a construction expert selection and management committee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current evaluation of experts in specific cases and expert list adjustment system need to be activated. With respect to the evaluation system, it is also necessary to enable the evaluation of collegiate panels and the presentation of opinions on the evaluation of lawyers (representatives) and standing technical advisers, and to notify the examiners of the results of the case. Finally, in order to strengthen the expertise of civil construction litigations, it is suggested that standing technical advisers should participate in at an early stage of every construction case in principle, and furthermore if possible, especially in small-scale cases, they can take part in as a technical examiner in the Intellectual Property High Cour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a joint participation order by two or more standing technical advisers and enlarge the number of standing technical advisers. This research additionally proposes implementation of the Examination Dedicated Judge system that uniformly and intensively manages expert evidence procedures; ultimately the establishment of the Examination Center led by construction case specialist judges, examination dedicated judges, standing technical advisers etc.; the introduction of a British-style adjudication system in the long term.

      • KCI등재

        한 외식 메뉴개발자의 성장과 직업세계에 관한 생애사 연구

        최동주(Dong-Joo Choi) 한국외식경영학회 2023 외식경영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첫 직장을 요리사로 선택한 연구 참여자가 근무 중 외식 메뉴개발자로 직무가 전환되면서, 현장에서 메뉴개발과 관련된 개인의 다양한 삶의 과정을 소개한 생애사 연구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삶의 과정을 통해 외식사업의 태동, 성장, 운영의 핵심 그리고 개인의 경력개발과 연결된 맥락을 발견하여 의미를 부여하였다. 이 연구에서 메뉴개발자는 다양한 커리어를 적극 활용해야 하고, 기업의 방향을 이해해야 할 필요성이 있으며, 개발자의 경험은 조직 내 경력관리에 유리하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 초기 외식 기업에서 시스템을 통한 메뉴개발자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This study is a study on the life history research of a restaurant menu developer that introduced the various life processes of the individual related to menu development in the field as the job of the study participant who chose a chef that occurred as his first job was changed into a restaurant menu developer while working. Through the life process as such, this researcher discovered the context connected to the core of the birth, growth, and operation of the restaurant business and the individual's career development and gave a meaning to the context. In this study, it was discovered that menu developers should actively utilize various careers and understand the direction of the company, and that the developer's experience is advantageous for career management within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he role of menu developers through the system was emphasized in early restaurant companies.

      • KCI등재

        특급호텔 주방종사자의 직무관리,메뉴관리가 직무만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김순기 ( Soon Ki Kim ),채병숙 ( Byung Sook Chae ) 한국호텔ㆍ리조트ㆍ카지노산학학회 2009 호텔리조트연구 Vol.8 No.1

        This study tries to show the kitche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company`s management result through the access of kitchen system focusing on the menu and job control. I do research in two ways-both theoretical background of previous study and actual proof with questionnaire distributed to cooks at super deluxe hotel and answer back by self input system. The hypothesis verification and current issues of this study are revealed at the result of frequency analysis, primary factor analysis, reliance analysis and session analysis, In view of the result so far, menu control by the menu planning, menu development, keeping old menu and efficiency of usage and job control system through employees` job executive and proficiency give effects on employee`s job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of management. Accordingly, hotels-very much dependent to human resources-have to grow up employees` learning oriented mind and increase satisfaction by controlling menu and job. This study contributes the improvement of hotel kitchen system in a social way and I wish this study to be useful for a basic data for the Management Plan setting up of fostering non financial outcome.

      • KCI등재

        병원의 홈페이지 관리운영 실태와 병원경영에 미치는 효과

        황병덕(Byung-Deog Hwang),임복희(Bock-Hee Im),이영환(Young-Hwa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광역시 소재 병원급 이상 의료기관에 근무하는 병원 홈페이지관련 담당 관리자를 대상으로 병원홈페이지 관리?운영 실태와 홈페이지가 병원경영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홈페이지를 활용한 마케팅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 소재 병원급 이상 53개의 병원급 이상의 의료기관 홈페이지 관리자들을 대상으로 2008년 5월 1일부터 5월 25일까지 25일간 연구자가 직접 방문하여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병원홈페이지 관리자들의 설문내용은 일반적인 특성, 홈페이지 제작, 관리?운영, 영향, 부가기능, 정보교류 항목으로 구성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홈페이지 제작관리 및 운영에 있어서는 제작시기는 2001-2005년이며, 외부업체가 주로 관리하고, 제작 목적은 병원소개이며, 1년 기준으로 홈페이지를 개편하고, 100-300만원 미만의 운영예산과 병원소개, 고객만족센터 그리고 온라인 답변 게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병원홈페이지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병원소개, 진료예약, 이용안내, 의료정보제공, 고객상담, 진료안내이고 이들은 대부분 병원경영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따라서 내부고객만족을 위해 병원홈페이지에 의료정보제공과 메뉴개선은 직원들의 지속적인 관심을 통하여 향상시키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marketing strategy for hospitals in Busan Metropolitan area by investigating of the web-site management and effect on hospital management about the web-sites managers. Survey of 53 web-site managers was taken between May 1st and May 25th 2008.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gather information about characteristics of web-site managers and creating, managing and operating process of web-sites and web-sites' effect and information sharing abilities. The results of survey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hospitals' web-sites were launched between 2001 to 2005 via outsourcing. Most of hospitals spent about one to three million won for their web-sites and renew web-sites every year. Most of these web-sites have hospital PR, Q&A, and on-line support functions. Second, most of whom participated in survey have agreed that a hospital web-site has influence in hospital management in various categories such as introducing hospital to medical examination, making doctor's appointment, providing patient guidance, providing medical information, and patient counselling. This study shows that effects of web-sites are closely related to web-site satisfaction level. Therefore, to raise the hospital satisfaction level, it is necessary for hospitals to put more efforts in creating web-site that provides more medical information and improved on-line services.

      • KCI등재

        NFC 기반 주문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장중혁(JoongHyuk Ch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4

        지난 수년간 컴퓨터와 IT 기술의 발달은 다양한 분야에서 업무 처리 절차를 개선하여 효율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 특히, 대다수 사람들이 활용하고 있는 스마트폰의 다양한 통신 기능 및 센싱기능 등을 활용하여 생활 속 편의성를 제고하는 다양한 시스템들이 지속적으로 연구 및 제안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폰에 내재된 NFC 기능을 이용하여 주변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소매형 매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메뉴 주문 및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시스템에서는 각 매장의 메뉴 정보 제공, 주문 접수 및 메뉴 제공 관리 등의 서비스를 스마트폰을 매개로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메뉴 정보 제공 및 주문 접수 등에 있어서 NFC 기능을 활용함으로써 불필요한 노동을 줄일 수 있도록 지원한다. 또한, 주문 내역들을 하나의 데이터베이스로 관리함으로써 메뉴별 판매현황 분석 등을 지원한다. 이러한 기능들을 통해 자영업자 등이 운영하는 소매형 매장의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ast few years, the advancement of computer and IT technologies have contributed to the improving business efficiency in various work processing. In particular, many systems using functions of communicating and sensing in smart-phones have been proposed actively. In this paper, an order management system for restaurants and retailing stores is proposed, which uses NFC technique in smart-phones. In the proposed system in this paper, functions for showing menus, taking order of customers, and serving items are efficiently processed by an application in a smart-phone, which is based on NFC technique. It can help to reduce labor force in showing menus and taking order of customers. In addition, sales analysis can be easily obtained by managing menus and ordering information in a database. By the mechanism, the proposed system may help to improve of competitive power of a small stores by owner-operators.

      • 병원 환자식의 원가관리 측면 메뉴분석

        이진미 천안대학교 2002 천안외국어대학논문집 Vol.- No.2

        Menu analysis concerns with the profitability of each item. For success, most of foodservice managers should seek to the sale of menu item's contribution to the overall success of the operation. Three of the most popular systmes of menu analysis are: food cost percentage, contribution margin, and goal valu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cost analysis of hospital patients' meals by montly menus for better control of costs, popularity, and profitability. A study was designed to analyze patient's monthly menus at on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high food cost percentage and low popularity menus and the low contribution margin and low popularity menus were in August thru November. These results implicated that the relation among costs, popularity, and profitability affected by seaonality. Seasonal food costs and occupancy rates of hospital beds were flexible. So, the montly menu marketing strategy should be planned for hospital foodservices. Further researches should be conducted to anlayze menus by patient's meal types based on these results.

      • KCI등재

        스마트 폰 기반의 당뇨병 환자를 위한 개인 맞춤형 식단 관리 시스템

        이영호(Young-Ho Lee),김종훈(Jong-Hun Kim),김재권(Jae-Kwon Kim),민경필(Kyong-Pil Min),정은영(Eun-Young Jung),박동균(Dong-Kyu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2

        당뇨병은 대사질환의 일종으로 고혈당을 특징으로 하며, 고혈당으로 인하여 여러 증상 및 징후와 합병증을 유발하여 삶의 질을 급격히 저하시킨다. 당뇨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는 식이, 운동, 약물 처방등이 있지만 무엇보다도 체계적인 식단 관리가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체계적인 당뇨병 관리를 위해서 스마트폰 기반의 개인 맞춤형 식단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현재 대부분의 당뇨병 환자의 식단 서비스는 영양사나 의사의 주관적인 판단으로 식단을 처방하며 상황 및 개인의 선호도는 반영 되지 않는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당뇨식단을 계절, 날씨, 시간, 선호도에 맞추어 제공한다. 특히, 스마트 폰 서비스로 구현하여 언제 어디서나 장소에 제한받지 않고 사용자에게 레시피 및 개인화된 식단을 제공하며, 사용자의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손쉽게 식단 변경이 가능하다. Diabetes is a type of metabolic disease presented by high blood sugar and that leads to significantly decrease the quality of life causing various symptoms. It is essential to manage a systematic menu for preventing such diabetes even though there are some ways for it including diet, physical exercise, medicinal prescription, and so on. This study proposes a smart phone based personalized menu management system for achieving the systematic diabetes management. At the present time almost menu systems for diabetes patients are subjectively prescribed by dietitians or doctors and that does not reflect current situations and personal preferences. The system proposed in this study provides the menu for diabetes patients according to season, weather, time, and personal preferences. In particular, the recipe and personalized menu for patients can be provided without limiting any time and location based on smart phone services, and its menu can easily be changed or selected by the phone.

      • KCI등재후보

        Independent Restaurant’s Expansion Strategies to a Chain Restaurant Enterprise

        박근순,문경진,김인신,현성협 한국외식산업학회 2012 한국외식산업학회지 Vol.8 No.2

        This study researches the operations of major restaurant chains in the United States in order to identify successful strategies that could be utilized by independent restaurants interested in developing into multi-unit restaurant chains. The successful strategies of chain restauran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problems of independent restaurant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interviews with owners and managers of the failed independent restaurants that attempted to expand its operations from an independent restaurant to a multi-unit chain. The successful business strategies of chain restaurants that can be applied to the independent restaurants were expl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