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버케어용 소셜 로봇의 퍼스널리티와 외형 연구

        신은주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2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2

        연구배경 노년의 라이프 스타일이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하려는 방향으로 변하고 고령 친화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버시장이 성장하면서 실버케어 로봇이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실버세대를 위한 로봇의 디자인 연구는 다소 미비한 실정으로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로봇의 디자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실버케어용 소셜 로봇의 기능, 퍼스널리티와 외형에 대한 사용자 니즈를 파악하여 실버케어용 소셜 로봇의 디자인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를 토대로 실버케어용 소셜 로봇의 기능, 퍼스널리티와 외형에 관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온라인 사용자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실버케어를 위한 소셜 로봇의 기능에 따라 기대하는 퍼스널리티 유형과 퍼스널리티 유형에 따라 기대하는 외형 이미지를 분석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행했다. 연구결과 로봇의 기능에 따른 퍼스널리티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건강지원과 생활지원 기능에 책임감이 있으며 유쾌한 성격이 기대되고 정서적이고 사회지원 기능에서는 개방적이고 외향적인 성격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봇의 퍼스널리티 유형에 따른 외형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 책임감 있고 유쾌한 성격은 휴머노이드와 세미-휴머노이드 외형이 기대되었으며 안드로이드도 유쾌한 성격에 어울리는 외형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실버케어용 소셜 로봇의 기능과 그에 따른 퍼스널리티 그리고 로봇의 퍼스널리티와 외형 이미지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실버케어용 소셜 로봇 디자인의 연구에 객관적인 기초자료로서의 활용을 기대한다.

      • KCI등재

        로봇기반교육의 구성요소에 대한 탐색적 연구

        고영미(Go, Young-Mi)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4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로봇기반교육의 질적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구성요소가 무엇인지 이론적으로 탐색해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로봇기반교육의 등장배경과 개념 및 특징, 교육용 로봇의 개념과 기능 및 특징, 교육용 로봇콘텐츠의 개념 및 기능, 교육용 로봇 및 교육용 로봇콘텐츠에 대한 유아 및 교사의 요구 관련 문헌을 분석하였다. 문헌 분석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시사점의 핵심 내용을 중심으로 로봇기반교육의 구성요소를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로봇기반교육의 구성요소 도출을 위한 고려 사항으로 누리과정과의 연계, 에듀테이적 요소, 교사의 활용과 재구성의 용이, 유아의 조작과 활용의 용이가 제시되었다. 이 같은 고려 사항을 토대로 로봇의 외형적 구성요소, 로봇의 기능적 구성요소, 로봇의 콘텐츠적 구성요소를 각각 제시하였다. 로봇의 외형적 구성요소로는 인간친화적인 얼굴, 몸통, 손과 다리가 제시되었으며, 로봇의 기능적 구성요소로는 상호작용, 감정교류, 이동성, 인공지능, 사물인식, 음성인식이 제시되었고, 로봇의 콘텐츠적 구성요소로는 교사수업 및 업무지원 콘텐츠, 유아학습 및 정서지원 콘텐츠, 학부모의 유아 및 교육과정 이해 콘텐츠가 제시되었다. 이 같은 3가지 구성요소는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구성요소로 로봇의 외형 및 기능적 구성요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콘텐츠를 구성요소로 포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R-Learning in kindergarten. Under this objective, literature on the R-Learning, educational robot, robot contents, and needs of teachers and children about R-learning was reviewed. Based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literature, I deduced consideration factor and several important components for R-learning. Result showed that consideration factor for component of R-Learning were connection with the Nuri Curriculum, edutainment elements, easy of utilization and reconstruction by teachers, and easy of manipulation and Utilization by children. Based on these consideration factor, external components of robot, functional components of robot, and contents components of robot were suggested. The external component were human-friendly outward appearance. The functional components of robot were interaction, emotion interchange, mobility, artificial intelligence, object perception, and language perception. The contents components of robot were contents for teacher’s teaching and work support, contents for children’s learning and emotion support, and contents for parents’ understand about children and curriculum.

      • KCI등재

        유아의 성별에 따른 로봇의 기능과 외형에 대한 인식

        유정화(Yoo, Jung Hwa),김영실(Kim, Young Sil)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5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로봇의 기능에 대한 인식 및 외형에 대한 선호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유아들을 대상으로 로봇 그림그리기와 로봇 이미지를 사용한 면접을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J시에 소재한 2개 어린이집의 만 5세 남아 30명, 여아 30명으로 2019년 8월19일부터 8월30일 까지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의 기능에 대한 인식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나, 가정용 로봇의 기능에 대한 기대는 유아의 성별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로봇의 성별에 대한 인식은 남아와 여아 간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로봇의 외형에 대한 선호 및 혐오는 유아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어, 남아와 여아 모두 동물모습 로봇을 가장 선호하고 사람 모습 로봇을 가장 혐오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 대상 로봇 관련 교육 활동 개발 및 교육용 로봇 디자인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any gender differences in preschoolers" perception and preference toward functionality and appearance of robot. From August 19th to August 30th, 2019, 30 boys and 30 girls of 5-year-old from two different preschools located in J city in South Kyeong-sang state were interviewed using drawing activities and images of robot for this study. The following ar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First, despit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towards robot’s functionality shown by gender of the preschoolers, no statistically evident differences were found regarding the expectation for the functionality of the domestic robot. Also,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preschoolers" recognition towards the gender of the robot. Second, there were no differences on the preference nor disfavor for the look of robots regardless of gender. However, most of the subjects preferred animal-like robot, showing no interest in human forms. This results will provide a good basi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 for young children utilizing robots, as well as the design of educational robots.

      • KCI등재

        소셜 로봇의 사회성 발현을 위한 의인화 경향 연구

        송유미 ( Song Yoo M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5

        소셜 로봇에겐 인간과 공존하는 컴패니언으로서의 역할이 있으며, 로봇의 사회성은 인간의 사회성과는 달리, 인간의 니즈와 의도로 만들어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소셜 로봇의, 로봇으로서의 사회성이 어떤 경향으로 진화될 것인지 구체적인 사례들을 분석하고 제안하는 것이다. 분석 대상은 1993년부터 2018년 6월까지 발표된 소셜로봇들 중 가정에서 사용되면서도 사용자와 꾸준히 커뮤니케이션하는 로봇들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자들의 의인화 프레임을 분석, 정리하여 분석 프레임으로 정의하고, 69개의 소셜 로봇 사례를 이의인화 프레임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로봇의 역할 및 관계 설정: 1990년대초반 교감, 소통 목적의 로봇이 등장했고 2010년대에는 학습, 집사, 물리적 생활 보조, 운전자 보조, 건강 관리 등 생활을 보조하는 로봇이 나타났다. 사용자, 공간, 사용 맥락이 세분화되면서 로봇의 역할도 다양하게 진화 중이며, 이에 따라 로봇은 사람 뿐 아니라 로봇, 기기와도 소통하고 있다. 2) 외형적 요소: 형태는 얼굴 부위(눈썹, 눈 코, 입, 귀)와 몸 부위(팔, 다리)로 구분되며, 각 부위는 감정 표현, 시선, 대화, 제스처, 접촉 등 행위적 요소와 결부되어 발전 중이다. 3) 행위적 요소(언어적 상호작용, 비언어적 상호작용): 인공지능과 음성인식의 정확도가 높아지고 IoT, 클라우드 기술이 발전하면서 언어적 상호작용 경향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비언어적 상호작용은 표정, 시선, 몸짓에 사례가 집중되어 있지만, 로봇이 일상으로 들어오게 되면서, 신체접촉 인터렉션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4) 인공적 요소: 의복 외에도 로봇을 위한 좌석, 공, 목걸이 등 다양한 물건들이 고안되고 있고, 이를 판매하는 쇼핑몰도 나타나고 있다. 5) 생체신호적 요소(심장박동, 호흡, 눈 깜빡임, 체온, 무조건 반사): 눈 깜빡임을 제외한 나머지 신체 신호 요소들의 적용 빈도는 현저히 낮았으나, 생체신호는 로봇의 즉각적인 상태를 보여주고 살아있는 대상으로 느껴지게 하며 재치 있는 반응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는 효과가 있다. The social robot has a role as a companion coexisting with humans, and its sociality is determined by human needs and inten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pecific cases of social robot and to suggest how sociality of robot would evolve. For the analysis, 69 social robots released from 1993 to 2018 were collected, and they were analyzed based on anthropomorphic frames: appearance, behavior, artifact and biological signal. The analysis result is as follows. 1) Robot's Role and Relationship: In the early 1990s, robots for sympathy and communication emerged and in 2010s, robots that assisted living such as learning, butler, physical aid, driver assistance, and health care appeared. The role of robots is evolving in various ways, with various changes in user, space, and usage context. 2) Appearance Factor: The body of the robot is divided into face parts(eyebrows, eyes, nose, mouth, ears) and body parts(arms, legs). Each part is developed in conjunction with emotional expression, gaze, conversation, gesture, touch, and other behavioral factors. 3) Behavioral Factor(verbal interaction, nonverbal interaction): As the accurac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speech recognition increases, and as IOT and cloud technologies evolve, verbal interaction tendency will increase. At present, nonverbal interactions are found only in terms of facial expressions, gaze and gestures, but it is expected that physical touch interaction will increase as robots come into humans' daily lives. 4) Artifact Factor: Various objects such as clothes, seats, balls, and necklaces are designed for robots, and shopping malls selling them are also appearing. 5) Biological Signal Factor(heartbeat, respiration, eye blink, body temperature, unconditional reflex): Except for eye blinking, the frequencies of the remaining elem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however the bio-signals show the immediate state of the robot, makes it feel like a living object, and opens the possibility of a sensible reaction.

      • 소셜 로봇 외형 디자인에 대한 소비자 감성에 관한 연구: 다차원 척도법(MDS)과 군집분석을 중심으로

        유성훈(Seong-Hun Yu),윤지찬(Ji-Chan Yun),이준식(Junsik Lee),박도형(Do-Hyung Park) 한국HCI학회 2023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23 No.2

        소셜 로봇이 인간의 일상생활에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소셜 로봇의 기술적 구현과 소셜 로봇을 바라보는 인간의 심리를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소셜 로봇의 외형 디자인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감성에 기반하여 잠재적인 소셜 로봇 군집을 도출하고, 각 군집이 갖는 중요한 디자인적 특징 및 감성 차이를 식별 및 비교하고자 하였다. 소셜 로봇에 대해 소비자가 느끼는 감성을 측정 및 평가하기 위한 소셜 로봇 감성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감성공학적 접근방법인 의미분별 척도법에 기반해 소셜 로봇 디자인 감성을 평가하였다. 감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다차원 척도법과 K-means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30개의 소셜 로봇을 4개의 군집으로 분류하였으며, 각 군집 별 디자인 요소의 특징을 확인하고, 소비자 감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각 군집 별로 도출된 디자인적 특징 및 감성 차이를 바탕으로 인간중심적 관점에서 성공적인 소셜 로봇 디자인 및 개발을 위한 전략적 방향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A Study on Consumer Emotion for Social Robot Appearance Design: Focusing on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and Cluster Analysis

        유성훈,윤지찬,이준식,박도형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3 지능정보연구 Vol.29 No.1

        In order for social robots to take root in human life,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echnical implementation of social robots and human psychology toward social robots. This study aimed to derive potential social robot clusters based on the emotions consumers feel about social robot appearance design, and to identify and compare important design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differences of each cluster. In our study, we established a social robot emotion framework to measure and evaluate the emotions consumers feel about social robots, and evaluated the emotions of social robot designs based on the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an kansei engineering approach. We classified 30 social robots into 4 clusters by conducting a multidimensional scaling method and K-means cluster analysis based on the emotion evaluation results, confirme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elements for each cluster, and conducted a comparative analysis on consumer emotions. We proposed a strategic direction for successful social robot design and development from a human-centered perspective based on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emotional differences derived for each clus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