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요한복음 서막에 나타난 로고스의 선재와 성육

        서형석(Hyung-Suk Seo)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5 No.2

        이 소론의 목적은 요한복음 서막에 나타난 로고스와 코스모스 사이의 관계를 갈등 사회학의 전망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따르면, 요한복음 서막에서 로고스와 코스모스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요한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은 선재하는 로고스를 믿는다. 그러나 그들은 로고스의 선재 방식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생각들을 가지고 있었다. 유대 크리스천들은 로고스가 하나님과 함께 있는 선재 방식을 주장하였다. 헬라 크리스천들은 로고스는 곧 하나님이라는 선재 방식을 주장하였다. 헬라 크리스천들은 그레코-로만 세계와 영지주의적 사상 세계를 대표하는 사람들이다. 요한은 이러한 갈등을 하나님과 함께 있는 로고스가 창조 사역을 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조절한다. 하나님과 개별적인 방식으로 선재하는 로고스는 창조 사역에 동참한다. 이것은 기능적으로 하나님과 로고스가 하나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갈등은 요한복음의 서막에 나타난 코스모스 개념에서도 나타난다. 요한복음에서 코스모스는 일반적으로 “유대인들”을 의미한다. 유대 크리스천들은 유대교 회당 공동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축출당했다. 그러나 유대교 회당 축출을 경험하지 못했거나, 그 다음 세대의 크리스천들(유대 크리스천과 헬라 크리스천 포함)은 유대교 회당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질 이유가 없었다. 도리어 그들은 유대교 회당 공동체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영지주의적 사상 세계에서 온 헬라 크리스천들은 코스모스에 대해 그것은 물질이기에 부정적이었다. 요한은 이들과 유대교 회당 축출을 경험하지 않은 공동체 내부 구성원들에게 세상은 물질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수를 거부하였기 때문에 부정적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요한은 서막에서 여러 출신 배경을 가진 공동체 내부 구성원들이 극단주의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금 요한 공동체가 세상을 거부하는 이유를 분명하게 밝힌다. 그것은 그들이 예수를 거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도 영접하면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주장한다. 이 말은 다르게 말하면, 유대교 회당으로부터 축출을 경험한 요한 공동체 구성원들도 로고스를 영접하지 않으면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영접이라는 주제는 코스모스 주제에 드러난 요한 공동체의 내부 갈등을 조율하는 개념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logos and cosmos in the Prologue of John’ Gospel from the perspective of Conflict Sociology. These Themes have reflected inner conflict of John’ community. All people of John’ community believes in Logos of Pre-Existence. But they have another Thoughts of Pre-Existence methods of Logos. Jewish Christians have claimed Disunity of logos with God. Hellenistic Christians have claimed Unity of logos with God. John solves this conflict as describes creative Works of logos with God. Creative work makes functionally Unity of logos and God. These conflicts generate also in theme of cosmos in the Prologue of John’ Gospel. Cosmos in the John’ Gospel is represented “The Jews” Jewish Christians evaluated negative about Synagogue Community. Because they expelled Jewish Christians from their Community. But There are samaritans, disciples of baptist john, galileans, hellenist christians in the John’ Community. These can not experience expulsion of Synagogue. So, These evaluated positive about Synagogue Community. John explains Reception theme for solving conflicts of cosmos theme. John teaches reason of negative opinion about Synagogue Community. John maintains negative evaluation about cosmos, because cosmos rejects Jesus. John prevents inner conflict of John’ community from Radicalism. If members of John’ community reject Jesus, they also are negative. But Even if members of Synagogue Community receive Jesus, they are children of God. So Reception theme prevent inner conflict of John’ community from Radicalism.

      • KCI등재

        요한의 로고스의 이미지들 필로의 로고스와 : 인격화된 지혜의 관계성을 분석하면서

        허정문(Jeong Mun Heo) 한국복음주의신약학회 2021 신약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제2차 성전과 초기 랍비 시대 전반에 걸쳐 유대인의 지혜 문헌과 초기 기독교 문헌에서 주요하게 나타나는 필로의 로고스와 인격화된 지혜의 개념과 그들의 이미지들(천사적, 신적)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요한복음의 서문에 나타나는 요한의 로고스의 이미지들과의 관계성과 특징들에 대해 고찰한다. 이 연구는 요한의 로고스의 기원들로 추정되는 영지주의, 헬레니즘, 다면적(팔레스타인, 헬레니즘, 랍비) 유대교와 요한의 유일한 신학적 특징들을 전체적으로 고려하면서, 우선적으로 요한복음의 서문의 본문 분석을 수행한다. 이 연구는 필로의 로고스와 인격화된 지혜, 그리고 토라의 개념과의 상호교류와 관계성 속에서 나타나는 그들의 천사적, 신적 이미지들에 대한 간본문적, 철학적, 해석학적인 특징들을 찾아내고, 나아가 이러한 특징들이 요한의 로고스에 나타나는 천사적, 신적 이미지들과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신학적, 해석학적, 현상학적 관점에서 자세하게 조사하고 규명한다. 이 연구는 고대 유대-기독교 사상의 역사에서 명백하게 나타나는 로고스, 지혜, 토라와 같은 위격적 중재자의 개념들 사이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상호작용에 대해 현상학적으로 분석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특별히 요한의 로고스의 그 두 이미지들에 대한 저자의 신학적 의도와 해석학적 전략들(비유와 상징)을 유추하고 재조명한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다양한 위격적 개념들에 대한 보다 심층적인 문헌학적 연구의 필요성 뿐만 아니라, 신약의 기독교 교리(즉, 삼위일체) 연구 및 유대-기독교 사상의 신학적, 철학적 상호교류에 대한 연구에 기여할 요한의 로고스의 이미지들(메시아적, 천사적, 신적)에 대한 보다 깊고 광범위한 현상학적 연구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images of the Johannine Logos in the Prologue to the Gospel of John by analyzing the two images (angelic and God-like) of Philo s Logos and personified Wisdom, which mainly appear in Jewish wisdom literature and early Christian sources throughout the Second Temple and early Rabbinic periods. It primarily conducts a textual analysis of the Johannine Prologue while considering the supposed origins of the Johannine Logos, such as Gnosticism, Hellenism, multifaceted (Palestinian, Hellenistic, Rabbinic) Judaism, as well as idiosyncratic Johannine theology. It also investigates and identifies the existence and phenom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angelic and God-like images of the Johannine Logos as they are intertextually and theologically related to the two images of Philo’s Logos, personified Wisdom and Torah in Jewish wisdom literature and early Rabbinic literature. It further analyzes the features of the two images of the Johannine Logos and the complex and dynamic interactions between the hypostatic mediators, such as Logos, Wisdom, and Torah by analyzing the authors’ theological intentions and hermeneutic strategies (i.e., allegory and symbolism), which are manifest throughout the history of ancient Jewish and Christian thought. It suggests not only the necessity of in-depth philological research of more hypostatic notions against the backdrop of the Johannine Logos but also the importance of a broader phenomenological research of the images (messianic, angelic, and God-like) of the Johannine Logos, which would contribute to the study of the Christian (i.e., Trinitarian) doctrine in the New Testament and of the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interactions of Jewish-Christian thought.

      • KCI등재후보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 개념에 대한 이해

        김수정 ( Kim Soojung ) 한국윤리학회 2014 윤리학 Vol.6 No.1

        헤라클레이토스는 “모든 것이 로고스에 의해 존재하고 로고스는 영원히 타당하다”라고 말한다. 그에 따르면, 세상에 있는 모든 것이 로고스를 공유하므로, 세상의 존재하는 것들은 로고스에 의해서 통일성을 부여 받는다. 인간도 우주 세계의 일부이므로 로고스를 갖는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은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 개념을 분석하고 인간 존재와 로고스의 관계를 고찰하고자 한다. 전반부에서는 모든 존재에 공통적인 로고스의 특성을 살펴보고, 인간이 어떤 근거에서 로고스에 접근 가능한지 고찰한다. 후반부에서는 로고스를 이해하는 방법이 인간에게 가능하다는 헤라클레이토스의 주장을 분석하고 행위에 대한 실천적 지혜로서의 로고스의 특성을 밝히고자 한다. 헤라클레이토스는 로고스에 주의를 기울이고 말과 행동을 통해서 스스로 로고스를 표현하도록 다그친다. 로고스는 우주 과정에서 작용하고 인간의 언어 속에서 드러난다. 인간은 우주 세계의 로고스를 경험할 수 있고 언어적 표현 속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 논문은 로고스의 공통 특성에 대한 헤라클레이토스의 이해를 통해서 로고스와 인간과의 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Heraclitus, in fragment 1, says that all things exist according to the logos1) and that the logos holds forever. Since everything owes its existence to the logos, it is operative in all things and is shared by all things. In this respect, everything in the world is connected by the logos. Thus, the logos gives unity to everything in the world. Since human beings are also a part of the cosmic world, they are expected to share the logos. The logos is accessible to human beings, for it is operative in all things. Heraclitus, in the same fragment, ridicules the foolishness of people who do not experience nor comprehend the logos, even though the logos reveals itself everywhere. Heraclitus asks people to listen to the logos and says that he himself expresses the logos through his words and deeds. According to this fragment, the logos is functioning in the cosmic process and is articulated in language. In this respect, human beings can experience the logos in the cosmic world and understand it in linguistic expression. This paper tires to fin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com m on character of the logos, the relationship between it and the hum an being.

      • KCI등재후보

        요한복음 서막에 나타난 로고스의 선재와 성육

        서형석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10 Canon&Culture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relations between logos and cosmos in the Prologue of John’s Gospel from the perspective of Conflict Sociology. These Themes have reflected inner conflict of John’s community. All people of John’s community believes in Logos of Pre-Existence. But they have another Thoughts of Pre-Existence methods of Logos. Jewish Christians have claimed Disunity of logos with God. Hellenistic Christians have claimed Unity of logos with God. John solves this conflict as describes creative Works of logos with God. Creative work makes functionally Unity of logos and God. These conflicts generate also in theme of cosmos in the Prologue of John’s Gospel. Cosmos in the John’s Gospel is represented “The Jews”. Jewish Christians evaluated negative about Synagogue Community. Because they expelled Jewish Christians from their Community. But There are samaritans, disciples of baptist john, galileans, hellenist christians in the John’s Community. These can not experience expulsion of Synagogue. So, These evaluated positive about Synagogue Community. John explains Reception theme for solving conflicts of cosmos theme. John teaches reason of negative opinion about Synagogue Community. John maintains negative evaluation about cosmos, because cosmos rejects Jesus. John prevents inner conflict of John’s community from Radicalism. If members of John’s community reject Jesus, they also are negative. But Even if members of Synagogue Community receive Jesus, they are children of God. So Reception theme prevent inner conflict of John’s community from Radicalism. 이 소론의 목적은 요한복음 서막에 나타난 로고스와 코스모스 사이의 관계를 갈등 사회학의 전망으로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 따르면, 요한복음 서막에서 로고스와 코스모스는 밀접한 관계를 가진다. 요한 공동체의 모든 구성원들은 선재하는 로고스를 믿는다. 그러나 그들은 로고스의 선재 방식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생각들을 가지고 있었다. 유대 크리스천들은 로고스가 하나님과 함께 있는 선재 방식을 주장하였다. 헬라 크리스천들은 로고스는 곧 하나님이라는 선재 방식을 주장하였다. 헬라 크리스천들은 그레코-로만 세계와 영지주의적 사상 세계를 대표하는 사람들이다. 요한은 이러한 갈등을 하나님과 함께 있는 로고스가 창조 사역을 하는 것으로 구성하여 조절한다. 하나님과 개별적인 방식으로 선재하는 로고스는 창조 사역에 동참한다. 이것은 기능적으로 하나님과 로고스가 하나라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갈등은 요한복음의 서막에 나타난 코스모스 개념에서도 나타난다. 요한복음에서 코스모스는 일반적으로 “유대인들”을 의미한다. 유대 크리스천들은 유대교 회당 공동체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고 축출당했다. 그러나 유대교 회당 축출을 경험하지 못했거나, 그 다음 세대의 크리스천들(유대 크리스천과 헬라 크리스천 포함)은 유대교 회당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질 이유가 없었다. 도리어 그들은 유대교 회당 공동체에 대해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영지주의적 사상 세계에서 온 헬라 크리스천들은 코스모스에 대해 그것은 물질이기에 부정적이었다. 요한은 이들과 유대교 회당 축출을 경험하지 않은 공동체 내부 구성원들에게 세상은 물질이기 때문에 부정적인 것이 아니라, 예수를 거부하였기 때문에 부정적이라는 사실을 강조한다. 요한은 서막에서 여러 출신 배경을 가진 공동체 내부 구성원들이 극단주의로 흐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지금 요한 공동체가 세상을 거부하는 이유를 분명하게 밝힌다. 그것은 그들이 예수를 거부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도 영접하면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주장한다. 이 말은 다르게 말하면, 유대교 회당으로부터 축출을 경험한 요한 공동체 구성원들도 로고스를 영접하지 않으면 하나님의 자녀가 될 수 없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영접이라는 주제는 코스모스 주제에 드러난 요한 공동체의 내부 갈등을 조율하는 개념이다.

      • KCI등재

        요한복음 로고스 개념에 대한 철학적 고찰

        문우일(Moon, Wooil) 한국신약학회 2013 신약논단 Vol.20 No.2

        본고는 요한복음에 나타나는 로고스 개념을 사상사비평적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 철학적 특성 및 기능을 논한 것이다. 알렉산드리아의 필로의 작품에도 인격화 된 로고스 개념이 등장하기 때문에 과연 요한복음 저자가 필로의 영향을 받아 인격화 된 로고스 기독론을 펼쳤는가에 관하여 오랜 논의가 있었다. 그런데 요한복음의 인격화된 로고스는 필로의 인격화된 로고스 개념과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으므로 요한복음이 필로의 영향을 직접 받았는가에 관하여 학자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했다. 더구나 요한복음의 철학은 그 어떤 기성 철학과도 완전하게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대중적 플라톤주의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한다는 주장들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본고는 요한복음이 특정 기성 철학을 엄밀하게 적용하지 않는 까닭은 저자의 철학적 소양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예수와 요한공동체를 변호하기에는 그 어떤 기성 철학도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제안한다. 본고는 요한복음이 필로의 영향을 직접 받았는가의 여부를 결정하지 않은 채, 박식한 저자가 어떤 형태로든 필로 방식의 로고스론을 접했을 가능성을 열어둔다. 또한 본고는 요한이 필로의 중-플라톤주의 로고스론을 고스란히 답습하지 않고, 정통 플라톤주의를 응용하여 필로가 이데아 차원으로 승화시킨 유대 영웅들을 가시적 차원으로 끌어내리고 대신 인간 가운데 오로지 예수만을 이데아 차원으로 묘사함으로써 다신론적 가능성을 배제하고 필로 방식의 로고스론을 견제한다고 제안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concept of Logos in the Gospel according to John and analyzes its philosophical features and functions. The methodology is the history of ideas suggested by Arthur O. Lovejoy in a form modified with Stephen Hinds’s theory of intertextuality. Philo of Alexandria personifies the Platonic and Stoic notion of logos and applies it to real persons, and thereby many scholars discussed whether his notion influenced the personified Logos in John. No scholarly consensus has been made, however, mainly because Philo uses the Stoic idea of logoi spermatikoi while the Logos in John is not immanent in the universe but can be either accepted or rejected by particular persons. Since the doctrine of Logos in the Johannine prologue does not precisely repeat any specific idea of established philosophy, some critics like Charles K. Barrett and Martin Hengel consider the author of the Fourth Gospel less versed in philosophy and define his/her idea as a form of “popular Platonism” or of “dominant Platonism.” This paper, however, suggests that the Johannine doctrine of Logos is deliberately designed to defend the onto logical priority of Jesus and the Johannine community against the Philonic notion of logos which defines Israel and several Israelite patriarchs in terms of the divine logos.

      • KCI등재

        법륜의 <卽問卽說>에 나타난 수사학 - 로고스를 중심으로 -

        이은자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9 No.-

        This paper explores the rhetorical modes of persuasion in Bomnyun’s prompt Q & A in the perspective of logos. Rhetoric in this context means ‘the capability to spot persuasive elements in any given situation’. Amongst the three persuasive appeals in rhetoric, Aristotle highlighted logos. Logos focuses on the logical evidences that are relevantly used in order to persuade one’s audience. Through the rhetorically persuasive elements in Bomnyun’s Q & A, logos can be observed in the perspective of rhetorical situation, expression and contents within his message. Bomnyun’s unique question - and - answer method has a dialogue style which is a key rhetorical situation that delivers his message along with the frame of logos. The act of answering to his audience is already a rhetorical situation requiring deductive enthymeme. His rhetorical questions towards the questioners are also an important rhetorical strategy that forms his logos. Bomnyun’s clear, precise and concise language operates as a fundamental persuasive expression. Rhetorical strategies are frequently adopted, such as illustrations and metaphors which are also important elements that forms his logos. Metaphors cause a very efficient rhetorical effect; it saves redundant words yet successfully delivers its messages quick and cristal clear. Furthermore, metaphors help the audience to turn their ordinary viewpoints into a new perspective. By creating metaphors often using nature, Bomnyun teaches his audience to escape the human-centered discourse, and enlightens them to perceive the harmony between human and nature. Bomnyun seems to give spontaneous answers to his audience instantly without any prepared script. However, when we focus to observe his methods of demonstrations for his logic that he uses to deliver his message, we come to realize that Bomnyun has his own ‘topos’ filled with various supportive arguments. Bomnyun’s topos contains universally approved truths, which are similar to the Buddhist doctrines. Therefore Bomnyun’s logos is in other words the Buddha’s message and his logos. Bomnyun can be concluded as a modern rhetorician delivering Buddhist universal truth. 본 논문은 법륜의 <즉문즉설>이 가지고 있는 수사학을 로고스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여기서 수사학이란 단지 말의 장식이나 겉으로 꾸미는 말 잘하는 기술이아니라 ‘모든 주어진 상황 속에서 설득적인 요소를 발견하는 능력’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사학에서 강조한 설득의 세 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로고스였다. 로고스는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개연성 있는 논리적 근거를 말한다. 로고스는 논지 자체의 설득력 있는 논거 방식들로서 에토스나 파토스와 같은 감성적 요소와 구별되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요소를 핵심으로 한다. <즉문즉설>의 수사학적 설득 요인은 그것을 가능케 하는 상황과 표현, 그리고그 메시지 내용의 측면에서 로고스를 살펴볼 수 있다. 법륜이 청중의 질문을 받아대답하는 문답의 방식은 <즉문즉설>의 독자적인 형식으로서 법륜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수사적 상황이자 로고스의 틀이다. 청중의 질문에 답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귀납적 논증을 요구하는 수사적 상황이며, 법륜의 되묻기 질문은 법륜의 로고스가시작되는 중요한 수사적 기법이다. 또한 <즉문즉설>의 로고스는 법륜의 언어가 명료함과 정확성, 간결함 등 기본적인 설득 표현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성립된다. 예증과 비유를 활용한 표현의 논증방식도 <즉문즉설>의 로고스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비유는 적은 말로도 메시지를 빠르고 명료하게 입증하는 경제적인 방법이자, 청중들의 일상적 관점을 새로운 시각에서 보게 하는 발견의 논리이기도 하다. 법륜은 자연의 비유를 통해인간 중심의 논의의 틀을 벗어나 자연과 인간의 공동체적 맥락에서 깨달아야 할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다. 법륜이 원고도 없이 청중의 질문에 즉흥적인 대답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메시지를 전하는 논증 방식을 주목해보면 자주 반복되는 일정한 논거의 저장소, 즉 토포스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법륜의 토포스에는 청중들이 공감하는 보편화된진리가 있다. 그것은 불교의 근본적 교리와 다르지 않다. 법륜의 <즉문즉설>의 로고스는 결국 붓다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이고 붓다의 로고스이다. 법륜은 불교의보편적 진리를 지금 이 시대 언어로 전하는 수사학자인 셈이다.

      • KCI등재

        법륜의 <즉문즉설(卽問卽說)>에 나타난 불교 수사학 -로고스를 중심으로-

        이은자 ( Eun Ja Lee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9 No.-

        본 논문은 법륜의 <즉문즉설>에 나타난 수사학을 로고스적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여기서 수사학이란 단지 말의 장식이나 겉으로 꾸미는 말 잘하는 기술이 아니라 ‘모든 주어진 상황 속에서 설득적인 요소를 발견하는 능력’이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수사학에서 강조한 설득의 세 요소 가운데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로고스였다. 로고스는 청중을 설득하기 위한 개연성 있는 논리적 근거를 말한다. 로고스는 논지 자체의 설득력 있는 논거 방식들로서 에토스나 파토스와 같은 감성적 요소와 구별되는 이성적이고 논리적인 요소를 핵심으로 한다. <즉문즉설>의 수사학적 설득 요인은 그것을 가능케 하는 상황과 표현, 그리고 그 메시지 내용의 측면에서 로고스를 살펴볼 수 있다. 법륜이 청중의 질문을 받아대답하는 문답의 방식은 <즉문즉설>의 독자적인 형식으로서 법륜의 메시지가 전달되는 수사적 상황이자 로고스의 틀이다. 청중의 질문에 답한다는 것은 그 자체가 귀납적 논증을 요구하는 수사적 상황이며, 법륜의 되묻기 질문은 법륜의 로고스가 시작되는 중요한 수사적 기법이다. 또한 <즉문즉설>의 로고스는 법륜의 언어가 명료함과 정확성, 간결함 등 기본적인 설득 표현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성립된다. 예증과 비유를 활용한 표현의 논증방식도 <즉문즉설>의 로고스를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비유는 적은 말로도 메시지를 빠르고 명료하게 입증하는 경제적인 방법이자, 청중들의 일상적 관점을 새로운 시각에서 보게 하는 발견의 논리이기도 하다. 법륜은 자연의 비유를 통해인간 중심의 논의의 틀을 벗어나 자연과 인간의 공동체적 맥락에서 깨달아야 할 메시지를 던져주고 있다. 법륜이 원고도 없이 청중의 질문에 즉흥적인 대답을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메시지를 전하는 논증 방식을 주목해보면 자주 반복되는 일정한 논거의 저장소, 즉 토포스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법륜의 토포스에는 청중들이 공감하는 보편화된 진리가 있다. 그것은 불교의 근본적 교리와 다르지 않다. 법륜의 <즉문즉설>의 로고스는 결국 붓다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이고 붓다의 로고스이다. 법륜은 불교의 보편적 진리를 지금 이 시대 언어로 전하는 수사학자인 셈이다. This paper explores the rhetorical modes of persuasion in Bomnyun’s prompt Q & A in the perspective of logos. Rhetoric in this context means ‘the capability to spot persuasive elements in any given situation.’ Amongst the three persuasive appeals in rhetoric, Aristotle highlighted logos. Logos focuses on the logical evidences that are relevantly used in order to persuade one’s audience. Through the rhetorically persuasive elements in Bomnyun’s Q & A, logos can be observed in the perspective of rhetorical situation, expression and contents within his message. Bomnyun’s unique question - and - answer method has a dialogue style which is a key rhetorical situation that delivers his message along with the frame of logos. The act of answering to his audience is already a rhetorical situation requiring deductive enthymeme. His rhetorical questions towards the questioners are also an important rhetorical strategy that forms his logos. Bomnyun’s clear, precise and concise language operates as a fundamental persuasive expression. Rhetorical strategies are frequently adopted, such as illustrations and metaphors which are also important elements that forms his logos. Metaphors cause a very efficient rhetorical effect; it saves redundant words yet successfully delivers its messages quick and cristal clear. Furthermore, metaphors help the audience to turn their ordinary viewpoints into a new perspective. By creating metaphors often using nature, Bomnyun teaches his audience to escape the human - centered discourse, and enlightens them to perceive the harmony between human and nature. Bomnyun seems to give spontaneous answers to his audience instantly without any prepared script. However, when we focus to observe his methods of demonstrations for his logic that he uses to deliver his message, we come to realize that Bomnyun has his own ‘topos’ filled with various supportive arguments. Bomnyun’s topos contains universally approved truths, which are similar to the Buddhist doctrines. Therefore Bomnyun’s logos is in other words the Buddha’s message and his logos. Bomnyun can be concluded as a modern rhetorician delivering Buddhist universal truth.

      • KCI등재

        뮈토스는 신화이고 로고스는 이성인가?

        권석우(Seokwoo Kwon) 한국비평이론학회 2022 비평과이론 Vol.27 No.3

        필자는 본고와는 다른 글(2020)에서 뮈토스와 로고스의 어원을 추적하는 가운데, 로고스를 선호하는 플라톤의 철학적 글쓰기에서 뮈토스적 요소가 사용되고 있어 뮈토스-로고스가 서로를 보완하고 배태하는 우로보로스 혹은 대위법적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번 글에서는 서양의 로고스의 의미가 우리가 오늘날 알고 있는 이성 혹은 진리로 변하는 과정을 추적하는 가운데 한자문화권의 “理性”으로 번역되는 연유를 밝힌 연후, 글의 중반부에서는 서양의 역사가 “뮈토스에서 로고스로” 변화 혹은 치환되지 않았다는 사실을 논구하였다. 로고스는 시간이 지나면 새로운 뮈토스가 되어 “뮈토스”라는 신화체계 혹은 담론의 일부를 구성하게 된다. 로고스가 공전절후의 권위를 띠고 서양철학, 특히 칸트와 헤겔 철학의 뼈대를 형성하며 등장하게 된 배경에는 성서, 특히 요한복음이 이를 하느님의 말씀 혹은 그리스도 자신의 의미로 새긴 것에 일정 부분 기인한다. 그러나 20세기에 들어서 인류는 이성이 함의했던 합리성과 논리, 그리고 인간성을 유실한 채 이성이 비이성과 광기로 변질되고 있음을 목도하였다. 아우슈비츠는 이성이 반이성, 계몽이 무지몽매, 휴머니즘이 반휴머니즘임을 일깨우는 풍향계였다. 이성의 반이성적, 반계몽적, 허구적 성격을 인지하고 비판하는 것 또한 이성의 본유 기능이라는 사실은 특별히 호르크하이머와 아도르노의 계몽의 변증으로 개화되기에 이르렀다. 그의 비판이성적 사유에서 신화는 일종의 계몽이었고 이성 또한 일종의 신화가 되었으니, 신화와 이성은 길항작용을 통하여 끊임없는 상호변증을 여전히 요구하고 있다. In my previous article, “Is Mythos Myth, and Logos Reason: Etymological and Philological Reflections”(2020), I observed the foundation of ancient Greek philosophy in its relationship with the notions of mythos and logos. I argued that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n its initiatory phase took the format of progress “from mythos to logos,” and that this framework holds Homeros and Hesiodos totally different from Socrates and Plato, giving rise to the bifurcation of mythos and logos, and further accounting for the concomitant conceptual differentiation between myth and reason/rationality which has gone around until recently without enough critical assessment. In this article, I seek to argue continuously that misunderstandings come to light when one reaches the conclusion that in the ancient Greek society the words mythos and logos referred respectively to established authoritative speech and emergent reasonable discourse or theory — that neither of them really had anything to do with the fictional properties, or the degree of fictionality, of the messages under consideration. The English translation of mythos into myth — or for that matter, into its later 19th-century Japanese rendering, “神話,” — may well be held responsible for the prevalent false notion of mythos. In our age when Reason no more seems to be reason, and Enlightenment no more enlightenment, everything strikes us as a myth, posing questions as to the real nature, or even the adequacy, of the mythos-logos dichotomy. Horkheimer and Adorno did this kind of job while questioning and emphasizing the need of both in the fascist Germany where logos-reason proved to be nothing but a madness.

      • KCI등재

        초월의 로고스

        박욱주(Wook Joo Park) 한국기독교학회 2018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0 No.-

        독일 루터교 신학자 본회퍼(Dietrich Bonhoeffer)는 그의 저서 『행위와 존재』(Akt und Sein)에서 헤겔(Georg W. F. Hegel)의 관념론을 통해 발전적으로 계승된 서구 로고스 철학의 근본동기, 즉 신화적 자기신격화 욕망을 분석해 폭로한다. 본회퍼의 헤겔 관념론 비판은 헤겔 정신현상학에 적용된 로고스의 변증법에 집중되어 있다. 『행위와 존재』 제1장 초반부에 언급된 “초월의 로고스”(der Logos der Transzendenz)는 본회퍼의 독일관념론 비판, 나아가 그의 서구철학 전반에 대한 비판의 핵심동기를 표명한다. 이에 본 연구는 본회퍼가 언급한 초월의 로고스의 의미를 존재와 행위 사이의 후향적 연관이라는 정황 가운데서 해명하고 상술하는 것을 주된 목표로 설정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본회퍼가 그려내는 존재–행위 연관구도를 헤겔의 정신현상학에서 논의된 감각적 확신의 변증법과 비교하며 분석·고찰함으로써 ‘초월의 로고스’ 가운데 ‘초월’의 의미를 길어낸다. 다음으로는 헤겔이 헤라클레이토스의 로고스론을 정교한 변증법 체계로 발전시키기 위해 활용한 방법들을 살펴보고 그로부터 ‘초월의 로고스’가 의미하는바 전체를 해명한다. 본회퍼는 초월이라는 용어를 통해 사고행위가 그 적법한 한계를 넘어 존재를 파악하고 지배하며, 끝내는 존재의 근원으로 자기를 정립하는 신격화의 사태를 지목한다. 아울러 초월의 로고스라는 용어를 통해 인간의 이런 초월욕망이 서구철학의 유구한 전통 가운데 살아숨 쉬는 로고스론의 얼개를 바탕으로 정교하게 체계화되었음을 알린다. 본 연구는 이 두 단계의 과정을 고찰함으로써 헤겔로 대표되는 독일관념론에 대한 본회퍼의 비판적 평가, 즉 최고의 철학적 완성도를 갖춘 인간의 자기신격화 시도라는 평가의 신학적 정당성을 검토한다. In his work Akt und Sein, German Lutheran theologian Dietrich Bonhoeffer offers an analysis of logos theory of Western philosophy which was extensively developed by Hegelian idealism. He intended to disclose a mythological desire for self–deification which has been embedded within logos theory. His critique of Hegelian idealism focuses on Hegel’s application of the dialectic of logos to the phenomenology of spirit. Through his reference to “the logos of transcendence” in Chapter A of Akt und Sein, Bonhoeffer shows his main intention of criticizing German idealism and the entire Western philosophical tradition. This study attempts a descriptive elucidation of the meaning of Bonhoeffer’s reference to the ‘logos of transcendence’ in the context of act’s retrospective reference to being. This study sets out to reveal the meaning of ‘transcendence’ in Bonhoeffer’s phrase ‘the logos of transcendence’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Bonhoeffer’s description of being–act reference structure and the dialectic of sense–certainty in Hegel’s phenomenology of spirit. Then, the elucidation of an overall meaning of ‘the logos of transcendence’ follows along with an examination of Hegel’s method of developing Heraclitus’ logos theory into a sophisticated system of dialectic. Here the term transcendence is used by Bonhoeffer to indicate a situation in which thinking act goes beyond its legitimate limits so that it can grasp and dominate being and eventually proclaim it to be the origin of being. The term the logos of transcendence is adopted to announce that this human desire for transcendence has been elaborately systemized according to the frame of logos theory, which has been vividly preserved through the history of Western philosophy. In the course of this two–step argument, this study delves into the theological validity of Bonhoeffer’s critical evaluation of German idealism and Hegelian phenomenology of spirit as its representative, viz., Bonhoeffer’s characterization of them as the attempts of self–deification with the most advanced philosophical expertise.

      • KCI등재

        『프로타고라스』 문명 발생 신화에 대한 플라톤의 재구성

        임성철 ( Rhim¸ Sung-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7 가톨릭철학 Vol.0 No.9

        독자는 프로타고라스의 신화를 어떤 관점에서 읽어야만 하는가? 『프로타고라스』 320c8~323a4에 등장하는 프로타고라스의 문명발생 신화에서 우리는 플라톤 대화편과의 연관성 가운데 신화의 의미 그리고 기능과 관련된 세 가지 물음을 제기할 수 있다. (a) 프로타고라스의 시각에서 신화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플라톤적 프로타고라스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b) 프로타고라스의 진술은 플라톤을 통해 그리고 대화 상황이 드러내는 맥락을 통해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 프로타고라스가 제시하는 소피스트적 부족함은 무엇에서 기인하는가? 플라톤은 신화 자체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부족함을 그의 시각에서 해결하고자 무엇을 암시하고 있는가? (c) 이 신화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프로타고라스는 서술 형식으로 ‘신화’를 선택한다. 로고스를 통해서도 역시 동일한 사항은 언급될 수 있지 않는가? 플라톤에게서 신화와 로고스는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대답으로는 긍정과 부정이 모두 가능하다. (a) 독자는 신화와 로고스를 서로 섞어 변환할 수 있다. 플라톤의 경우, 신화는 로고스에 의해서 규정된다. (b) 하지만 이 두 형식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화의 로고스적 형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플라톤에게서 신화는 로고스에로의 변환이라 할 수 있다. 프로타고라스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그는 ‘신화’라는 형식을 더 유쾌하고 자극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형식을 통해 그는 앎을 수공업적 기술과 정치적 덕목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프로타고라스에 의하면, 아이도스와 디케는 교육에 의해서 발전하게 되는 성향이다. 이것은 아마도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부여하고자 한 기술일 것이다. 그러나 프로타고라스는 아레테의 본질을 설명하지 않는다. 그는 사람들이 공동체에서 아레테로 여기는 것에 자기 관심의 방향을 설정한다. 플라톤은 소피스트적 연설의 불충분함을 극복하기 위해서 독자들에게 어떠한 점을 암시하고 있는가? 플라톤에게는 ‘원인’이 문제시된다. 원인은 로고스의 직접적 개입을 통해서 도달할 수 없다. 플라톤은 이것을 기꺼이 역사적 시원(始原)을 통해 반영하고자 한다. 플라톤에게 ‘신’은 앎의 근원이다. 신화적 상상 속에서 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적인 것은 철학적 의미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탈신화화를 위한 열쇠는 인간에게 고유한 것이 로고스라는 점이다. 로고스는 신적인 것과 친척 관계에 있다. 신적인 것은 바로 로고스인 것이다. 절대적 정의가 없다고 보는 프로타고라스는 그 자체로 합목적적으로 형성된 기존의 상태에 자기 이론의 근거를 둔다. 플라톤은 그러나 이것을 넘어서 진리, 즉 기존의 상태를 넘어선 규범적 근거를 묻는다. 그래서 플라톤은 새로운 권위, 즉 확실한 앎에 근거한 권위를 논증한다. 오늘날 우리들에게 프로타고라스 신화의 중요성은 인간이 결핍존재이며, 형벌의 의미와 목적은 복수가 아니라 개선이라는 점이다. 질문과 대답을 선호하게 되는 객관적 근거는 ‘변증술’이다. 진리는 하나의 관점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 즉 다양하고 대립적인 관점들의 심오한 것과의 합일 가운데 드러난다. 이러한 시각에서 아레테의 가르침 가능성에 관한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의 입장은 다음과 같이 통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레테는 가르쳐질 수 있지만, 다른 학문들과 동일하게 가르쳐질 수는 없다. 혹은 아레테는 다른 학문들처럼 가르쳐질 수 없는 것으로 앎(episteme)을 근거로 한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프로타고라스 문명 발생 신화의 ‘원인론적’ 기본적 특색에서 플라톤적 인간학의 기본 입장을 다시금 인식할 수 있다. Unter welchen Gesichtspunkten soll der Mythos des Protagoras gelesen werden? Anhand des Protagoreischen Kulturentstehungsmythos im Protagoras 320c8~323a4 lassen sich folgende drei Fragen in Bezug auf die Frage nach dem Sinn und nach der Funktion des Mythos im Zusammenhang des platonischen Dialogs stellen: (a) Wie ist der Mythos aus der Sicht des Protagoras zu verstehen? Was will der platonische Protagoras damit sagen? (b) Wie sind die Aussagen des Protagoras von Platon her, d. h. im Kontext des Dialoggeschehens zu bewerten? Wo liegt die sophistische Unzulänglichkeit des Protagoras? Hat Platon auch im Mythos selbst Andeutungen gemacht, wie das Problem aus seiner Sicht zu lösen ist? (c) Welche Bedeutung hat dieses Mythos für uns heute? Der Mythos wird als eine Form der Darstellung gewählt. Man könnte dasselbe auch in der Form des Logos sagen? Sind Mythos und Logos bei Platon frei auswechselbar? Ja und Nein! (a) Man kann Mythos und Logos ineinander umsetzten. Bei Platon kann der Mythos vom Logos mitbestimmt werden. (b) Jede der beiden Formen hat aber verschiedene Funktionen. Was ist der Logos- Gestalt dieses Mythos? Das ist die Umsetzung in den Logos. Was will Protagoras sagen? Er meint, die Form des Mythos sei angenehmer und reizvoller. Er unterscheidet die Hauptarten von Wissen, nämlich handwerklicher technai und politischer techne (arete). Aidos und Dike sind für Protagoras Dispositionen, die durch die paideia entwickelt werden. Dies gilt vielleicht für die Technai, die Prometheus den Menschen verleiht. Aber Protagoras erklärt nicht, warum Arete ihrem Wesen nach ist. Er orientiert sich an dem, was man in einer Gemeinschaft für die Arete hält. Deutet Platon an, wie er die Unzulänglichkeit der sophistischen Rede überwinden würde? Es geht bei Platon um die aitia. Diese ist nicht im direkten Zugriff des Logos erreichbar. Dies ist von Platon gern im geschichtlichen Anfang zurückgespiegelt. Bei Platon sind die Götter wirklich die Quelle, der Ursprung des Wissens. Es sind nicht die Götter der mythischen Vorstellung, sondern das Göttliche im philosophischen Sinne. Der Schlüssel zur Entmythologisierung ist darin zu erkennen, dass das dem Menschen Eingentümliche der Logos ist. Der Logos hat die Verwandtschaft mit dem Göttlichen. Es ist der Logos. Protagoras sieht, dass es keine absolute Wahrheit gibt: er gründet seine Lehre auf die bestehenden Verhältnisse, die bewahrt und in sich zweckmässig gestaltet werden sollen. Platon fragt darüber hinaus nach der Wahrheit, d. h. nach den normativen Gründen jenseits des Bestehenden. Von daher versucht Platon eine neue Autorität zu begründen: eine auf sicherem Wissen beruhende Autorität. Die Bedeutung des Protagoreischen Mythos für uns liegt darin, dass der Mensch ein Mängelwesen ist und der Sinn und Zweck von Strafe keine Rache, sondern eine Besserung ist. Der sachliche Grund für die Bevorzugung des Fragens und Antwortens ist dialegesthai. Die Wahrheit zeigt sich nicht in einem Aspekt, sondern in der Verbindung, tieferliegenden Übereinstimmung von verschiedenen, gegensätzlichen Aspekten. In dieser Hinsicht lässt sich sagen, dass die Ansichten von Sokrates und Protagoras über die Lehrbarkeit der Arete in einem Synthese zusammenverbunden werden können: Die Arete ist lehrbar, aber nicht in gleicher Weise wie die anderen Wissenschaften(technai, mathemata). Oder die Arete ist nicht lehrbar hos alla mathemata, aber beruht doch auf das Wissen(episteme). Im ganzen gesehen erkennt man im ‘aitiologischen’ Grundzug des Protagoreischen Kulturentstehungsmythos wiederum die Grundposition der platonischen Anthropologi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