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크세노폰의 『경영론』에 나타난 유토피아적 관점에 대한 소고(小考)

        임성철 ( Rhim Sung-chul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지역원 2018 지중해지역연구 Vol.20 No.2

        Xenophone’s works have been considered a matter of interpretation and controversy, but it has been agreed that he was a true initiator of Socratic political ideals through a Socratic dialogue. In content, Xenophon’s approach differs from Plato’s one. In his early dialogues, Plato develops his protreptic ideas about the excellence(arete), but his approach lacks specific educational contents about the arete of leadership. Xenophon’s Oeconomicus has its relevance to education. This is precisely what Xenophon’s unique thought would constitute. It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Plato’s Socrates. Xenophon’s political ideal is based on the nature of political order that lies in the relation between domination and obedience. ‘Domination’ is not a matter of compulsion but an exemplification of moral superiority whose position can be earned by gaining the respect of his citizen. His political ideal is, in a sense, utopian in the sense that a leadership depends on knowledge of what needs to be done and how to do it. It can be maintained by better education of arete. ‘Obedience’ is, therefore, founded on voluntary consent, the willingness to accept domination. It can be drawn from this discussion that an ideal leader for Xenophon has the divine character that cannot be found in ordinary people. His justification depends on a religious metaphor. Like a shepherd who watches over sheep, God cares for men and a political leader should care for his citizens. Political leaders should pay an ‘attention’(epimeleia) to his subjects. This was a foundation for Greek popular morality. It is important to see that the cultivation of the divine makes possible through the habituation of excellence whose cardinal virtue is devotion to self-control or ‘considerateness’(sophrosyne). This political virtue rests on the citizen’s free will, which is out of gratitude. Can we say that it is too idealistic to suppose the existence of such a terrific leader having this divine character or recognize him? History tells us that there were a number of daunting despots or seductive populists, whose conducts brought forth fatal consequences to their society. In this sense, Xenophon’s ignorance about demonic aspects of political power, its corruptibility, and its augmentative feature has been a matter of controversy. It is my claim, however, that it is not easy to distinguish between a terrific leader and a daunting empire builder.

      • KCI등재

        에피쿠로스 "쾌락" 개념의 사상적 체계 및 토대 -Kyriai doxai를 중심으로-

        임성철 ( Sung Chul Rhim )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7 철학연구 Vol.0 No.34

        "에피쿠로스주의의 신앙고백"이자 그의 철학 "전체 가르침의 정수"를 담고 있는 『중요한 가르침』에서 에피쿠로스는 ``쾌락``을 한정적이고 제한적인 의미로 설명한다. 본 논문은 위협과 불안정에 대한 단순한 방어라는 쾌락 개념이 갖는 부정적 의미에서 에피쿠로스가 어떻게 긍정적 측면을 나타내는가를 확인하고, 특히 이러한 긍정적 측면의 사상적 체계와 근거를 밝히는 데 그 목적을 둔다. 에피쿠로스는 『중요한 가르침』에서 쾌락과 도덕적 아레테의 결합을 통해 비도덕성의 비난을 피하면서, 윤리적 삶의 목적 달성을 위한 인식론적 방책, 욕망의 구분, 사회적 정의와 우정의 연관성을 토대로 자신의 경험론적 쾌락주의를 옹호하는 입장을 제시한다. 또한 그는 윤리적 선과 쾌락의 결합을 근거 짓는 사상적 근거를 객관적 세계 질서로 상정하지 않고, 주관적 안전감을 통해 나타낸다. 이러한 주관적 안전감을 전제로 삼아 에피쿠로스는 자신의 쾌락주의 사상 체계의 기반을 ``자족`` 개념을 통해 근거 짓고, 비의존적 자아의 자유로움의 결과로 드러나는 행복감을 강조한다. 아울러 그의 ``우정`` 개념은 쾌락주의의 외적 경계를 공고히 해주는 요소이자 내적인 자유로 이끄는 출발점으로 이해된다. 여기에 덧붙여 소크라테스의 자족에 대한 근본 입장을 수용한 에피쿠로스는 인간에게 절대적 주권과 자유를 제공하는 자립적 경험을 자족의 결과인 ``자유``로 지적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에피쿠로스에게서 ``자족``과 ``자유``는 그의 쾌락주의에서 나타나는 부정적 계기를 긍정적 확신으로 변환시키는 근거이자 기반이라 할 수 있다. 에피쿠로스의 쾌락주의 철학이 목적으로 삼는 ``아타락시아``는 그의 자연학과 인식론을 전제로 전개되는 윤리학의 궁극적 목표로서, 인간이 자신의 본성이 정한 한계를 엄수하고, 상대적 자족을 자발적으로 인정하는 데서 완성되는 "욕구의 경제학"이라 할 수 있다. In den Kyriai doxai, die das "Glaubensbekenntnis des Epikureismus" (C.-F. Geyer) und die "Quintessenz der gesamten Lehre"(H. Steckel) seiner Philosophie enthalten, erklart Epikur, dass der Hedonebegriff als das Begrenzte verstanden wird. Diese Untersuchung zielt darauf ab, festzuhalten, wie er zu der so starken positiven Fullung des Hedonebegriffs kommt, wo doch die Hedone nagativ im Sinne einer blossen Abwehr des Bedrohenden und Beunruhigenden beschrieben wird, und zu erhellen, was das gedankliche System und Fundament seines positiven Hedonebegriffs ist. Zur Vermeidung der unmoralischen Kritik an der Verbindung zwischen der Hedone und moralischer Arete geht Epikur von seinem empiristischen Hedonismus auf der Basis von der erkenntnistheoretischen Sicherung des ethischen Lebensziels, der Unterscheidung der Epithymiai und dem Zusammenhang zwischen sozialer Gerechtigkeit und Philia aus. Und Epikur bezeichnet seinen gedanklichen Hintergrund, mit dem man das moralische Agathon und die Hedone verbindet, nicht als die objektive Weltordnung, sondern als das subjektive Sichheitsgefuhl. Damit begrundt er die Grundlage seines hedonistischen Gedankensystems im Begriff Autarkeia, indem er die Eudaimonia fur das Ergebnis der Freiheit des unabhangigen Ichs halt. Zugleich ist bei Epikur der Philiabegriff nicht nur als ein Element fur die Verstarkung der ausseren Grenze des Hedonismus, sondern auch als ein Ausgangspunkt fur die innere Freiheit zu verstehen. Dazu weist Epikur, der die Grundposition des sokratischen Autarkiebegriffs ubernimmt, darauf hin, dass die Freiheit als die Grundlage der selbstandigen Erfahrung, die dem Menschen die absolute Souveranitat und die Eleutheria bietet, das Ergebnis der Autarkeia sein soll. In dieser Hinsicht sind bei Epikur die beiden Begriffe, Autarkeia und Eleutheria, eine grundlegende Basis fur die Verwandlung vom negativen Moment zur positiven Uberzeugung. Die Ataraxia, die die hedonistische Philosophie Epikurs beinhaltet und die das Endziel der unter der Voraussetzung der Physiologia und Erkenntnistheorie entfalteten Ethik ist, kann man als die "Bedurfnisokonomie" kennzeichnen, in der man die endgultige Seelenruhe beim Festhalten der durch sich selbst begrenzten Physis und unter der freiwilligen Anerkennung der relativen Autarkeia vollendet.

      • KCI등재

        고대 희랍 철학에 나타난 현대적 Well-Being의 사상적 기저(基底)에 관한 고찰

        임성철 ( Rhim Sung-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8 가톨릭철학 Vol.0 No.11

        본 연구는 자족 개념을 통해 고대 희랍 철학에서 현대적 웰빙의 사상적 기저를 찾고, 이로써 현대적 웰빙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한 새로운 시각을 얻는데 그 목적을 둔다. 필자는 현대적 웰빙이 고대희랍의 ‘자족’ 개념에 근거한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희랍인의 행복주의가 내적 자유 또는 자립성과 주권의식의 획득에 그 방향이 설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용어는 희랍어로 ‘자족’이라고 불리기 때문이다. 현대적 웰빙 이해와 관련해 희랍의 사상가들, 특히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그리고 에피쿠로스가 자족 개념을 토대로 삼아 행복의 사상적 근저를 확인하기 위해 진력을 다했다는 점은 결정적인 사실이다. 이 사상가들은 자족에 도달하기 위한 다음 네 가지 방식을 우리에게 제시한다. 희랍인들은 이상적 삶으로서의 자족적 삶을 (1) 폴리스의 영역에서 다른 사람들과의 공동체, 즉 노모스의 인정을 통해서, (2) 다방면의 활동을 통해서, (3) 관조적 - 정신적 자기실현(관조적 삶), 즉 이성적 사유를 통한 자연의 질서에 순응함으로써, 그리고 (4) 자기 자아에 대한 제한, 욕구 없음의 의미에 따른 개인적 자립을 통해서 혹은 좋음과의 내적 결합을 통해서 도달하고자 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현대적 웰빙을 고찰하는 주관적 측면과 객관적 측면의 사상적 진수는 희랍의 자족 개념에 그 본질을 두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우리는 희랍적 자족 개념의 시사하는 바가 많은 근본적 특징을 (a) 좋음 그 자체에 대한 포괄적 인식과 관조적 삶 가운데, (b) 중용적 태도를 근거로 하는 쾌락주의적 개인주의 가운데, 그리고 덧붙여 (c) 거의 모든 희랍 사상가들에게서 논의되는 우정을 통한 인간적 유대감 가운데 인식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특징은 우리가 현대적 웰빙을 숙고할 때 실제로 어떤 점을 글로벌화한 21세기에 고려해야만 하고, 그리고 무엇을 추구해야만 하는가를 오늘날의 우리들에게 가르쳐 준다. Diese Betrachtung zielt darauf ab, anhand des Autarkie-Begriffs das gedankliche Fundament des modernen Well-Being in der klassischen griechischen Philosophie herauszufinden und damit die neue Sicht für das Verständnis zur Bedeutung vom modernen Well-Being zu gewinnen. Das moderne Well-Being beruht sich meines Erachtens auf den klassischen griechischen ‘Autarkie’-Begriff. Der Grund dafür ist, dass sich der Eudaimonismus der Griechen an dem Gewinn der inneren Freiheit, bzw. Selbständigkeit und Souveränität orientiert und sie Autarkeia im Griechischen heissen. Ausschlaggebend ist, dass beim Verständnis für das moderne Well-being die griechischen Denker, vor allem Platon, Aristoteles und Epikur, für die Suche nach dem gedanklichen Fundament der Eudaimonia auf der Basis vom Autarkie-Begriff engagiert haben. Sie führen uns die folgenden vier Weisen einer Annäherung an die Autarkie vor Augen. Die Griechen wollen zum autarken Leben als dem Lebensideal gelangen (1) durch die Gemeinschaft mit anderen Menschen im Rahmen der Polis, also die Anerkennung des Nomos; (2) durch die vielseitige Aktivität; (3) durch die theo retisch-geistige Selbstverwirklichung(bios theoretikos), also die Einfügung in die Ordnung der Natur durch das vernünftige Denken; und (4) durch die Beschränkung auf das eigene Selbst, persönliche Unabhängigkeit im Sinne der Bedürfnislosigkeit oder der Binding an das Gute. In dieser Hinsicht lässt sich sagen, dass der gedankliche Inbegriff der objektiven und subjektiven Betrachtungsweise des modernen Well-Being im griechischen Autarkie-Begriff besteht. Die aufschlussreichen Grundcharakteristika des griechischen Autarkie-Begriffs erkennt man (a) in der umfassenden Erkenntnis des Guten an sich und dem bios theoretikos, (b) im hedonistischen Individualismus aufgrund der mässigen Haltung, und dazu noch (c) in der menschlichen Solidarität durch die Freundschaft, von der bei fast allen griechischen Denkern die Rede ist. Letzten Endes weisen sie uns Heutigen darauf hin, was wir eigentlich beim Nachdenken über das moderne Well-Being im globalisierten 21. Jahrhundert berücksichtigen und wonach wir streben sollten.

      • KCI등재

        아리스토파네스의 희극과 사회비판 -‘우스운 것’의 기능을 중심으로-

        임성철 ( Rhim Sung-chul ) 부산외국어대학교 지중해연구소 2016 지중해지역연구 Vol.18 No.3

        It has been considered from the standpoint of the whole that the concept of the ‘ridiculous’(geloion) in the comedies written by Aristophanes has been closely linked to the function of social criticism. It is my thesis that Aristophanes` critique of Utopia in Ekkles. can be diagnosed not just as expressions of despair and hopelessness but also, more positively, as ones of liberation and relieve which constitutes a different style in the performance of his comedy. It would be the common denominator in Aristophanes`s thought on Utopia, in which the function of the notion of geloion is to free from their authoritarian oppression by the audiences. This liberation has its unique function, first to liberate from the prevailing condition of oppression which was apparent in his early works, and secondly to liberate from the excessive demands by ideological speculation and utopian thinking in his later works such as Ekkles. and Plutos. It is my conclusion that Aristophanes` treatment of Utopia can be regarded as a means of liberation in the case of its success and as the subject matter of liberation through social criticism in the case of its failure.

      • KCI등재

        플라톤의 『법률』 제10권에 나타난 신화와 로고스

        임성철 ( Rhim¸ Sung-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8 가톨릭철학 Vol.0 No.10

        본 논문에서 필자는 플라톤의 가장 나중 신화에 해당하는 『법률』 10권 신화에 담긴 철학적 진실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그 진실성은 다음과 같이 특징지을 수 있다. (1) 정의롭고 분명한 세계 질서, 즉 경탄할만한 용이함을 통한 신적 세계 지배는 아레테가 우월한 것을, 그리고 카키아는 열등한 것을 근거 짓는다는 데에 그 본질을 둔다. 이에 따라 각각의 영혼은 우주에서 그것에 속하는 거처를 얻게 된다. 즉 악한 영혼은 하데스로 떨어지고, 선한 영혼은 천상으로 올라간다. (2) 플라톤에게서 중요한 점은 독립적 존재로서의 영혼이 물체보다 이전에 인식된다는 사실이다. 영혼은 물체라는 다자보다 앞서 생겨난 단일체이다. 영혼으로부터 물체가 형성된다. 플라톤 철학에서 영혼과 물체를 비교할 경우 일자와 다자의 관계가 나타난다. 이러한 관계는 근본 요소의 생성이나 변용도 아니고 일반적으로 형상과 물질, 이데아와 현상도 아니며, 항시 다른 물체들과 결합되어 있는 영혼의 운명에 관한 것이다. 영혼 윤회에서 각각의 영혼이 올바르게 다뤄지는 것과 마찬가지로, 이것은 전체적으로 각 생명체의 아레테 혹은 카키아와 부합하는 거처를 얻음을 통해서 발생한다. 이 점은 플라톤의 신화가 논증적 로고스와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3) 데모크리토스의 원자론과 플라톤의 원자에 관한 견해 사이의 주된 차이점은 플라톤이 근본 요소의 형식을 물체 이전의, 평면적 영역에 설정하고, 이로부터 물체적인 것을 구성한다는 점이다. 그 결과, 여러 개의 평면적 요소들로부터 물체적인 것에서 통일성이 생긴다. 해체의 경우 이러한 통일성은 여러가지 요소들로 분열된다. 필자가 보기에 플라톤적 우주론의 특징적인 점은 다자와 일자의 관계가 아니라, 세 가지 생성 단계의 차원적 관계에서 찾을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일자에서 다자 혹은 다자에서 일자”라는 언급은 차원적 연속이라는 의미에서 일자와 다자의 관계가 정해진다는 것을 뜻한다. 첫 번째 생성에서 세 번째 생성에로 이르는 전개는 분명히 한정되고 통일적 형상으로부터 매번 다음 단계 차원에서의 가능한 형성이다. 두드러진 점은 물체적인 것의 차원적 연속은 영혼적인 것에서 이미 형성되고 이로부터 만들어진다는 사실이다. (4) 이러한 사실로부터 결론지어지는 것은 플라톤에게 있어서 형상을 부여하는 것으로서의 영혼은 한계로 작용하고, 필연에 따른 정의로운 질서에 의거해 선한 자는 행복해 지고 악한 자는 불행해진다는 점이다. 『법률』 10권 신화는 물체 영역에서의 모든 변화가 인간의 운명을 결정짓는 영혼으로부터 시작된다는 점과, 이러한 견지에서 아레테와 행복이 필연적으로 일치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5) 이를 통해 우리는 결국 『법률』 10권 신화가 형이상학, 존재론, 윤리학 그리고 우주론에 관한 플라톤의 기본적 의도를 담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Diese Untersuchung zielt darauf ab, im spätesten Mythos Platons(Nomoi X 903b-905c) herauszufinden, worin die philosophischen Wahrheiten der platonischen Mythen bestehen. Sie lassen sich wie folgt charakterisieren: (1) Die gerechte und einfache Weltordung, d. h. die göttliche Weltverwaltung mit wunderbarer Mühelosigkeit soll darin bestehen, dass Arete die Überlegenheit, Kakia die Unterlegenheit begründet. Demgemäss soll jede Seele den ihr zustehenden Ort im Kosmos erhalten: die schlechte Seele sinkt zum Hades hinab, die gute steigt zum Himmel auf. (2) Entscheidend ist für Platon, dass die Seele als eigenständige Wesenheit vor dem Körperlichen erkannt wird. Sie ist die Einheit, die der Vielheit des Körperlichen vorausgeht. Von der Seele aus wird das Körperliche geformt. Im Verhältnis zwischen Körper und Seele ist bei Platon das Verhältnis von Einheit und Vielheit zu beobachten. Es geht bei diesem Verhältnis weder um die Entstehung und Umwandlung der Elementarstoffe noch allgemein um das Verhältnis von Form und Stoff, Idee und Erscheinung, sondern das Schicksal der Seele, die sich mit immer wieder anderen Körpern verbindet. Wie bei den Umwandlungen im Zuge der Seelenwanderung jede Seele gerecht behandelt werden kann, so soll dies dadurch geschehen, dass jedes Lebewesen im Ganzen den Platz erhält, der seiner Arete oder Kakia entspricht. Dies zeigt sich, dass der platonische Mythos mit den argumentierenden Logoi übereinstimmt. (3) Der Hauptunterschied zwischen dem Atomismus Demokrits und dem Platons besteht darin, dass Platon die elementaren Formen im vorkörperlichen, flächenhaften Bereich ansetzt und das Körperliche von dorther zusammensetzt, - so dass im Köperliche aus mehreren flächenhaften Elementen eine neue Einheit entsteht wie auch bei der Auflösung diese Einheit in mehrere Elemente zerfällt. Dies scheint mir dafür zu sprechen, dass das Eingentümliche der Kosmologie Platons nicht einfach in dem Verhältnis von Vielem und Einem, sondern speziell in dem dimensionalen Verhältnis der drei genesis-Stufen zu suchen ist. Die Aussage über “Vieles aus Einem oder aus Vielem Eines” bedeutet, dass das Verhältnis von Einheit und Vielheit im Sinne der Dimensionenfolge determiniert. Die Entfaltung von der ersten bis zur dritten Genesis ist eindeutig ein Fortschreiten von der begrenzenden, einheitlichen Form zur Vielheit möglicher Ausgestaltungen in der jeweils nächsten Dimension. Der springende Punkt ist, dass die Dimensionenfolge des Körperlichen vorgeformt ist im Seelischen und von hier aus geformt wird. Daraus kann man schliessen, dass bei Platon die Seele als formgebende Begrenzung wirkt, und dass nach der gerechten Ordnung mit Notwendigkeit der Gute glücklich und der Schlechte unglücklich wird. (4) Der Mythos der Nomoi- Stellen zeigt sich, dass jede Veränderung im körperlichen Bereich von der Seele, durch die das menschliche Schicksal entschieden wird, ausgeht und dass in dieser Hinsicht notwendigerweise die Arete mit der Eudaimonia übereinstimmt. (5) Dadurch kann man feststellen, dass letzten Endes das Mythos im zehnten Buch der Nomoi die platonische Grundintention von Metaphysik, Ontologie, Ethik, und Kosmologie beinhaltet.

      • KCI등재

        『프로타고라스』 문명 발생 신화에 대한 플라톤의 재구성

        임성철 ( Rhim¸ Sung-chul ) 한국가톨릭철학회 2007 가톨릭철학 Vol.0 No.9

        독자는 프로타고라스의 신화를 어떤 관점에서 읽어야만 하는가? 『프로타고라스』 320c8~323a4에 등장하는 프로타고라스의 문명발생 신화에서 우리는 플라톤 대화편과의 연관성 가운데 신화의 의미 그리고 기능과 관련된 세 가지 물음을 제기할 수 있다. (a) 프로타고라스의 시각에서 신화는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 플라톤적 프로타고라스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b) 프로타고라스의 진술은 플라톤을 통해 그리고 대화 상황이 드러내는 맥락을 통해 어떻게 평가될 수 있는가? 프로타고라스가 제시하는 소피스트적 부족함은 무엇에서 기인하는가? 플라톤은 신화 자체에서 드러나는 이러한 부족함을 그의 시각에서 해결하고자 무엇을 암시하고 있는가? (c) 이 신화는 오늘날 우리들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가? 프로타고라스는 서술 형식으로 ‘신화’를 선택한다. 로고스를 통해서도 역시 동일한 사항은 언급될 수 있지 않는가? 플라톤에게서 신화와 로고스는 자유롭게 교체될 수 있는가? 이 물음에 대한 대답으로는 긍정과 부정이 모두 가능하다. (a) 독자는 신화와 로고스를 서로 섞어 변환할 수 있다. 플라톤의 경우, 신화는 로고스에 의해서 규정된다. (b) 하지만 이 두 형식은 다양한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신화의 로고스적 형태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플라톤에게서 신화는 로고스에로의 변환이라 할 수 있다. 프로타고라스는 무엇을 말하고자 하는가? 그는 ‘신화’라는 형식을 더 유쾌하고 자극적인 것으로 생각한다. 이러한 형식을 통해 그는 앎을 수공업적 기술과 정치적 덕목으로 구분한다. 그리고 프로타고라스에 의하면, 아이도스와 디케는 교육에 의해서 발전하게 되는 성향이다. 이것은 아마도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부여하고자 한 기술일 것이다. 그러나 프로타고라스는 아레테의 본질을 설명하지 않는다. 그는 사람들이 공동체에서 아레테로 여기는 것에 자기 관심의 방향을 설정한다. 플라톤은 소피스트적 연설의 불충분함을 극복하기 위해서 독자들에게 어떠한 점을 암시하고 있는가? 플라톤에게는 ‘원인’이 문제시된다. 원인은 로고스의 직접적 개입을 통해서 도달할 수 없다. 플라톤은 이것을 기꺼이 역사적 시원(始原)을 통해 반영하고자 한다. 플라톤에게 ‘신’은 앎의 근원이다. 신화적 상상 속에서 신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신적인 것은 철학적 의미에서 존재하는 것이다. 탈신화화를 위한 열쇠는 인간에게 고유한 것이 로고스라는 점이다. 로고스는 신적인 것과 친척 관계에 있다. 신적인 것은 바로 로고스인 것이다. 절대적 정의가 없다고 보는 프로타고라스는 그 자체로 합목적적으로 형성된 기존의 상태에 자기 이론의 근거를 둔다. 플라톤은 그러나 이것을 넘어서 진리, 즉 기존의 상태를 넘어선 규범적 근거를 묻는다. 그래서 플라톤은 새로운 권위, 즉 확실한 앎에 근거한 권위를 논증한다. 오늘날 우리들에게 프로타고라스 신화의 중요성은 인간이 결핍존재이며, 형벌의 의미와 목적은 복수가 아니라 개선이라는 점이다. 질문과 대답을 선호하게 되는 객관적 근거는 ‘변증술’이다. 진리는 하나의 관점이 아니라 다양한 관점, 즉 다양하고 대립적인 관점들의 심오한 것과의 합일 가운데 드러난다. 이러한 시각에서 아레테의 가르침 가능성에 관한 소크라테스와 프로타고라스의 입장은 다음과 같이 통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아레테는 가르쳐질 수 있지만, 다른 학문들과 동일하게 가르쳐질 수는 없다. 혹은 아레테는 다른 학문들처럼 가르쳐질 수 없는 것으로 앎(episteme)을 근거로 한다. 전체적으로 보자면 프로타고라스 문명 발생 신화의 ‘원인론적’ 기본적 특색에서 플라톤적 인간학의 기본 입장을 다시금 인식할 수 있다. Unter welchen Gesichtspunkten soll der Mythos des Protagoras gelesen werden? Anhand des Protagoreischen Kulturentstehungsmythos im Protagoras 320c8~323a4 lassen sich folgende drei Fragen in Bezug auf die Frage nach dem Sinn und nach der Funktion des Mythos im Zusammenhang des platonischen Dialogs stellen: (a) Wie ist der Mythos aus der Sicht des Protagoras zu verstehen? Was will der platonische Protagoras damit sagen? (b) Wie sind die Aussagen des Protagoras von Platon her, d. h. im Kontext des Dialoggeschehens zu bewerten? Wo liegt die sophistische Unzulänglichkeit des Protagoras? Hat Platon auch im Mythos selbst Andeutungen gemacht, wie das Problem aus seiner Sicht zu lösen ist? (c) Welche Bedeutung hat dieses Mythos für uns heute? Der Mythos wird als eine Form der Darstellung gewählt. Man könnte dasselbe auch in der Form des Logos sagen? Sind Mythos und Logos bei Platon frei auswechselbar? Ja und Nein! (a) Man kann Mythos und Logos ineinander umsetzten. Bei Platon kann der Mythos vom Logos mitbestimmt werden. (b) Jede der beiden Formen hat aber verschiedene Funktionen. Was ist der Logos- Gestalt dieses Mythos? Das ist die Umsetzung in den Logos. Was will Protagoras sagen? Er meint, die Form des Mythos sei angenehmer und reizvoller. Er unterscheidet die Hauptarten von Wissen, nämlich handwerklicher technai und politischer techne (arete). Aidos und Dike sind für Protagoras Dispositionen, die durch die paideia entwickelt werden. Dies gilt vielleicht für die Technai, die Prometheus den Menschen verleiht. Aber Protagoras erklärt nicht, warum Arete ihrem Wesen nach ist. Er orientiert sich an dem, was man in einer Gemeinschaft für die Arete hält. Deutet Platon an, wie er die Unzulänglichkeit der sophistischen Rede überwinden würde? Es geht bei Platon um die aitia. Diese ist nicht im direkten Zugriff des Logos erreichbar. Dies ist von Platon gern im geschichtlichen Anfang zurückgespiegelt. Bei Platon sind die Götter wirklich die Quelle, der Ursprung des Wissens. Es sind nicht die Götter der mythischen Vorstellung, sondern das Göttliche im philosophischen Sinne. Der Schlüssel zur Entmythologisierung ist darin zu erkennen, dass das dem Menschen Eingentümliche der Logos ist. Der Logos hat die Verwandtschaft mit dem Göttlichen. Es ist der Logos. Protagoras sieht, dass es keine absolute Wahrheit gibt: er gründet seine Lehre auf die bestehenden Verhältnisse, die bewahrt und in sich zweckmässig gestaltet werden sollen. Platon fragt darüber hinaus nach der Wahrheit, d. h. nach den normativen Gründen jenseits des Bestehenden. Von daher versucht Platon eine neue Autorität zu begründen: eine auf sicherem Wissen beruhende Autorität. Die Bedeutung des Protagoreischen Mythos für uns liegt darin, dass der Mensch ein Mängelwesen ist und der Sinn und Zweck von Strafe keine Rache, sondern eine Besserung ist. Der sachliche Grund für die Bevorzugung des Fragens und Antwortens ist dialegesthai. Die Wahrheit zeigt sich nicht in einem Aspekt, sondern in der Verbindung, tieferliegenden Übereinstimmung von verschiedenen, gegensätzlichen Aspekten. In dieser Hinsicht lässt sich sagen, dass die Ansichten von Sokrates und Protagoras über die Lehrbarkeit der Arete in einem Synthese zusammenverbunden werden können: Die Arete ist lehrbar, aber nicht in gleicher Weise wie die anderen Wissenschaften(technai, mathemata). Oder die Arete ist nicht lehrbar hos alla mathemata, aber beruht doch auf das Wissen(episteme). Im ganzen gesehen erkennt man im ‘aitiologischen’ Grundzug des Protagoreischen Kulturentstehungsmythos wiederum die Grundposition der platonischen Anthropologie.

      • KCI등재
      • KCI등재

        에피쿠로스 윤리 사상의 근간에 나타난 자기 추구의 윤리학으로서의 철학 실천에 관하여 : 『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 를 중심으로

        임성철(Rhim Sung-Chul) 새한철학회 2010 哲學論叢 Vol.61 No.3

        에피쿠로스 철학 사상에 있어서 "중단 없는 철학함의 강령적인 요청"이자 "윤리학적 선언 서문"으로 간주되는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신, 죽음, 현자, 우연과 필연, 쾌락과 욕망 그리고 자족 개념을 통해 그의 "철학 전체 가르침의 정수"이자 "신앙고백"인<중요한 가르침>과 쾌락주의적 개인주의라는 관점에서 동일한 사상적 근거를 갖는다. 헬레니즘 시대의 다른 철학 학파와 마찬가지로, 에피쿠로스는 철학을 "논증과 대화를 통해 행복한 삶을 만드는 활동"으로 정의하고, 철학이 의술과 같이 치유의 기능을 수행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시각에서 에피쿠로스의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자기 추구의 윤리학으로서 자기향상, 자기인식, 자기보존, 자기배려라는 철학적 지향점을 중심으로, 긍정적이고 능동적인 1인칭 주어의 철학적 처세술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에피쿠로스의 부정적 쾌락주의는 자기배려의 측면에서 치료와 조언의 성격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철학 실천과 연관성을 갖는다. 또한 에피쿠로스의 철학적 쾌락주의에서 드러나는 행복과 욕망 이론은 발견적 방법론의 차원에서 철학 상담의 구체적 예시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에피쿠로스의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는 감각하는 인간이 자신의 삶을 스스로 조언하고 개선할 수 있는 이성적 숙고의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는 '윤리학적 선언'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