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소비자동향지수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서영수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7 유라시아연구 Vol.14 No.4

        한국의 소비자동향지수는 경제상황과 생활형편, 가계수입, 소비지출, 고용, 물가 등 항목별로 소비자의 응답을 가중 평균하여 작성되며, 현재와 미래의 경제 및 소비상황 등에 대한 소비자들의 평가와 기대를 지수로 나타낸 것으로 현재 체감경기 및 미래 소비지출을 예측하는데 아주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일련의 시계열자료를 통해 소비자동향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또 어떤 시기에 동 지수가 크게 변화하였고 그 변화에 영향을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였다. 특히 2008년 미국 서브프라임 금융위기와 2011년 유럽의 재정위기 전후의 영향요인을 집중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1차적으로 완전모형과 축소모형에서의 회귀분석, 2차적으로 Chow검정을 통한 데이터의 구조변화 파악, 최종적으로 기간별 종속변수를 나누고 그 기간에 따라 가장 영향력 있는 독립변수들이 무엇이고 또 얼마나 설명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소비자의 경기에 대한 판단은 기업경기실사지수, 경기종합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 도매업판매액지수, 주택전세가격지수와 아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 중 기업경기실사지수, 경기종합지수, 서비스업생산지수와는 양(+)의 관계를, 도매업판매액지수와 주택전세가격지수와는 음(-)의 관계를 나타냈다. 그리고 2008년 미국의 금융위기와 2011년 유럽의 재정위기가 소비자동향지수의 구조변화에 뚜렷한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변화에 궁극적인 영향을 미친 요인은 기업경기실사지수와 경기종합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금융시장 안정성 측면에서 경기종합지수가 기업경기실사지수 등 여타 지수보다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것이다. 이는 2008년 미국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 경기종합지수의 회귀계수가 발생 전보다 약 2배 정도 낮아졌다는 실증적인 결과에 착안한 것이다. 더불어 2011년 유럽 재정위기 이후에는 경기종합지수가 빠른 속도로 회복되는 분석결과에서도 유추할 수 있다. 둘째, 작금의 경기변동은 실체적인 위기 외에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데 대표적으로 소비자의 심리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현재 소비자동향지수 산정시 소비자의 경제심리지표 가중치를 높이거나 새로운 반영요소를 적극 추가할 필요가 있다. 셋째, 소비자동향지수에 지역별 인식 차이에 대한 비교분석 데이터를 지속 축적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지역에 특화된 소비자와 기업가의 인식지표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와 시사점에 기초하여 현재의 소비자동향지수를 기존의 소득, 직업별 구분에서 소득, 직업별, 지역별, 세대별로 더욱 세분화한다면 실제 경제현상에 더욱 근접한 예측결과를 도출할 수 있으며, 또 각 요인별 상호영향력까지 분석한다면 보다 구체적인 소비동향, 더 나아가 전체 경기 동향에 대한 예측력까지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개별 지수간의 시계열자료가 경제변수간의 움직임을 유발시키는 원인 변수인지, 결과변수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도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논문(論文) : 대균형(戴鈞衡)의 교육사상과 실천

        김화진 ( Hwa Jin Kim ) 고려대학교 중국학연구소 2010 中國學論叢 Vol.27 No.-

        本文試從戴鈞衡創辦的桐鄕書院入手, 初談戴鈞衡對書院敎育的認識和全新的辦學理念及桐鄕書院對淸代桐城的敎育發展的影響。康熙之後, 在各地書院建設興起、學校敎育衰落之際, 桐城官方敎育之重心却是學校; 至於道光, 全國書院敎育一片腐敗, 桐城書院竟然振起, 力擔當官方造士之重任。當時書院自身管理不善, 是其衰落的重要原因。有鑑於此桐鄕書院在管理方面做得非常嚴格勤愼而制定了精細的章程。其≪桐鄕書院志≫專立一卷, 列出了書院的各項章程: <課例十二則>、<課規七責>、<董事九則>、<雜款八則>、<試資六則>、<補議章程數則>, 規定嚴格, 尤其經費開支節儉而嚴明。這就是淸中期桐鄕書院大振的成因之一。幷且戴鈞衡在≪桐鄕書院四議≫所提出的"擇山長"、"祀鄕賢"、"課經"、"藏書"對書院敎育有흔好的指導和借鑒作用, 桐鄕書院也因此成爲晩淸書院發展史上的一面旗幟。

      • 주요국의 국가혁신체제 동향 및 특성 조사분석

        이명진,서지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09 조사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주요국의 국가혁신체제 동향 및 특성 조사 분석`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이하 STEPI)이 과학기술정책 연구기관으로서 해외 과학기술 동향 및 각 국가의 혁신체제 특성에 대한 최신 정보를 수집하고, 제공하기 위해 기획되었다.과학기술연구 글로벌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오늘날, 과학기술협력의 필요성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해외 과학기술정책동향 분석과 전망은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협력네트워크 구축전략 구상에 필수적인 토대가 될 것이다. STEPI는 지난 1990년대부터 지금까지 해외 과학기술정책의 동향에 대한 분석을 수행한 바 있다. 그러나 본 보고서는 몇 가지 점에서 기존의 해외 과학기술정책 동향과 차별성을 가진다. 첫째, 선진국 중심의 정보 수집에서 벗어나, 개도국의 과학기술정책 동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 글로벌 과학기술 네트워크 구축의 토대가 되고자 한다. 둘째, 일국 중심의 조사 연구로 인해 세계 동향을 파악하기가 어려운 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다양한 국가들에 대한 동향정보를 동시에 제공하고 있다. 이에 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지속적 정보획득 및 분석이 가능한 국가별 보고서 작성체제를 구축하여, STEPI의 정책연구 지원 및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에 기여하고 더 나아가서 국가의 해외 과학기술 협력을 촉진하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내용국가별 보고서 작성을 위한 체계는 다음과 같다.○ 내용: 두 가지 차원으로 구별하여 작성- 제 1부: 혁신체제 과학기술시스템 소개와 더불어, 정책의 배경과 전망, 트렌드 분석. 과학기술정책동향, 주요 연구개발 Indicator, 분석과 전망으로 구성- 제 2부: 한국사회에서 시기적으로 특별히 요구되는 특정 과학기술분야에 대한 심층적 보고 (예, 환경/지역/FTA 등)○ 대상국가 : 현재 및 향후 주요 국제협력 대상국으로서, 4개 지역으로 나누어 선정- 한국의 주요 과학기술 협력국인 미국, 중국, 일본은 해마다 작성- 유럽에서 2-3개국- 개도국에서 2-3개국- 기타: 해당년도 정책수요 또는 정보획득 가능성에 따라 1-2개국ex) 영국은 약 3년에 한번, 중국과 일본, 미국은 해마다 작성○ 자료원 : 다양한 자료원의 이용- 정부 자료 (과학기술관련부처 및 통계부처 보고서, 백서, 보도자료 등)- 연구기관 자료 (보고서, 통계)- 국제기구 자료 (OECD, EU 등)- 기타이러한 기획 하에서 올해 발간되는 『주요국의 국가혁신체제 동향 및 특성 조사 분석』은 총 2개의 부분으로 나뉘어 작성되었다. 제 1부는 국가별 혁신체제 동향 및 특성을 다루며, 제 2부에서는 국가별 그린정책 및 산업동향을 다룬다. 제 1부에는 독일, 라오스, 멕시코, 미국, 영국, 일본, 중국, 터키, 호주 등 총 9개 국가의 혁신정책 관련 정보를 수록하였다. 혁신체제와 혁신정책들, 그리고 최신 과학기술정책 관련 이슈와 과학기술 연구개발 관련 지표를 주요 내용으로 하고, 관련 기관 및 연구소 정보를 함께 실었다.각 국가별 혁신정책 동향과 특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가나다 순).독일은 지난 2009년 9월 총선에서 기민당/기사당(CDU/CSU)과 자민당(FDP) 연합이 승리하면서 지난 정부에서의 과학기술정책의 경제적 성과창출을 위한 혁신정책의 강화라는 기본적인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첨단기술전략인 “Hightech Strategy”의 지속적 추진이 예고되어 있으며, 연구기관과 대학, 기업들의 연계 강화를 통한 연구 성과의 경제적 효과 증대가 중요한 정책적 과제로 대두된다. 제 2부에는 Green Technology 의 개발과 확산에 있어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거나, 세계 기술 및 산업 동향에 있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국가로서 독일, 일본, 중국을 선정하였다.독일은 2009년 “재생에너지정책 로드맵”을 발표하고, 독일 국민의 지속적이고 안정된 삶의 조건 충족과 더불어 재생에너지 산업에서 독일의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라는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에너지 공급의 지속적 확보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를 통해 50만 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하고자 한다.일본은 세계 전체의 온실효과 가스 배출량을 2050년까지 반감한다는 장기 목표를 제안한 Cool Earth 50 선언을 현실화하기 위해, 일본의 경제산업성은 2007년 8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전문가 회의를 개최하여 “Cool Earth-에너지 혁신기술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이를 위해 한편으로는 녹색기술의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또 한편으로는 클린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절약을 위한 미국, 중국과의 국제공조에 적극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 과학기술은 국가 안보, 경제, 산업 등 한 국가의 국가경쟁력이나 국민의 생활 형태를 규정짓는 데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기후, 전염병, 테러 등과 같은 전 세계의 인류의 공존과 삶의 질과도 밀접한 연관을 가지고 있다. 과학기술의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가 점점 더 중요해 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글로벌 네트워크를 강화하는데 있어 지역에 대한 연구는 기본 토대를 마련하는데 있어 필수적이다.

      • KCI등재

        청말(淸末) 안휘성(安徽省)의 재해구제(災害救濟)와 민간 의진(義賑)활동의 전개

        김두현 ( Kim Du-hyun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0 No.-

        본고는 丁戊奇荒 이후 조직화된 상해 신상의 義賑활동을 안휘성 사례를 통해서 분석해보았는데, 근대적 민간구제 활동으로서 義賑의 특징은 ①`民捐民辦` ②`不分畛域` ③`救人救撤` ③`不??敍`, ④`隨査隨放이다. 의진활동이 조직화·상설화될 수 있었던 것은 정무기황 당시 서양인의 화북지역구제에 자극을 받은 중국측 신상의 저항의식, 민족의식의 각성, 그리고 서양인 구제방식의 수용이 주요 요인이었다. 그리고 근대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정보수단의 발달, 즉 『申報』와 電報라는 수단이 있었기 때문에 재해정보의 신속한 전달이 가능해지고, 더구나 ①`민연민판`의 원칙 하에서 『申報』를 통한 자발적 구제경비 모금과 그 결과를 공표함으로써 의진에 대한 사회적 관심과 신뢰성을 제고시킬 수 있었다. 물론 안휘성 지방관 및 신사들 또한 『申報』나 전보를 이용하여 상해 신상에게 지원을 요청하기도 했다. 이러한 의진의 자발적 구제활동은 앞서 언급한 `不分畛域`의 원칙에서 보자면, 자신과 전혀 지역적 연고가 없는 지역을 위해, 모금활동을 전개하고 또한 재해지역에 진무 경험이 풍부한 義紳들을 파견함으로써, 이전시기에 지역 신사층이 주로 자신의 연고지에서 구제활동을 전개하는 것과는 매우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었다. `不??敍`라는 선언은 자신의 의진활동이 국가로부터 포상을 바라는 목적의식적 행위가 아님을 강조하고, 일종의 자발적 선의에 의한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안휘성출신 京官ㆍ지방관의 고향구제활동에서도 ?敍를 바라지 않는다는 선언이 누차 발견되고 있다. 다음으로 안휘성 同鄕 紳商의 고향구제활동에 대해서 살펴보았는데, 실상 동향관의 고향 구제활동은 안휘성에서만 발견되는 현상은 아니었지만, 李鴻章을 중심으로 형성된 淮系集團의 적극적인 참여가 두드러지고, 안휘 同鄕官 스스로 고향구제 활동이 `義賑`의 일환으로서 `?敍`를 바라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당시 義賑이란 구호가 사회 전반에 전파ㆍ인식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同鄕官의 구제활동이 관료 신분이 아닌 동향 紳士라는 개인적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또한 당시 官界의 분위기가 官賑 보다는 義賑에 더욱 많은 신뢰와 지지를 표명하고 있었다는 점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상해 등 외지에 기거하는 안휘 동향 紳ㆍ商의 고향구제를 위한 의진기구 결성과 조직화(駐?安徽義賑公所) 및 모금 활동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활동의 저변에는 `동향의식`과 고향에 대한 `정체성`이 있었지만, 초기 활동을 보면 주로 성 단위의 동향의식보다는 자신의 고향(州縣)단위로 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후에는 점차 州縣단위에서 省단위로 확대되는 경향(縣界→府界→省界)을 보이는데, 선통2년(1910)년 大水災가 정무기황에 필적할만한 규모였다는 점이 작용한 결과였지만, 한편으로는 상해 의진의 특징 중 `不分畛域`이라는 구호의 영향이 있었다. 동향 紳商에는 徽商도 포함되지만, 청말 전체 안휘 동향 신상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또한 비록 안휘성 내의 신사층을 중심으로 籌賑公會가 결성되어 官賑과의 협력체계가 구축되었지만, 사실상 전체 구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省外에서 활동하는 동향 紳商에 비하면 높지 않았다. 한편 안휘성 재해구제에 참여한 동향 紳商이 모금활동을 전개한 지역이 대부분 안휘성 내가 아니라 성외 지역, 그중에서도 상해에 집중된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이것은 안휘성 내 신사의 역량의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라 생각된다. 한편 안휘 동향 京官·紳商의 고향구제를 위한 모금활동은 상해지역 의진활동에 비하면 그 규모나 활동범위가 제한적인 것이 사실이지만, 한편으로 보면 상해 의진활동이 여타 지역에 끼친 영향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This article, through the Anhui province relief case, discussed on the `chartable relief`(Yizhen) of shanghai gentry-merchants after `The Great Famine`(丁戊奇荒, 1877~1878). As The modern nongovernmental relief activities, If you recogn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itable Relief, There are Principles of ①`minjuanminban(民捐民辦)`, ②`bufenzhenyu(不分畛域)`, ③`jiurenjiuche(救人救撤)`, ③ `bujiaojiangxu(不?奬敍)`, ④`suichasuifang(隨査隨放)`. The main reason why the charitable relief activities were organized and popularized was the resisting consciousness of the Chinese Gentry-merchants to Western missionaries`s relief activities, the awakening of national consciousness and the acceptance of the relief methods of the Western missionaries, Which were stimulated by the relief of the Westerners in the North China. In addition, it was possible to quickly use the modern information transmission means, namely Shanghai`s newspaper(shenbao(申報)??) and Telegram. In particular, under the doctrine of privatization(民捐 民辦), the Shanghai News Agency was able to raise social interest and the credibility of Charitble relief by using the reports to publicize voluntary relief funds and the results. Of course, in Anhui Province, local officials and gentry-merchants, also use the newspaper(??申報??) or telegram, also require to Shanghai gentry-merchants`s charitable support. The principle of `minjuanminban` of Yizhen gentry-merchants does not mean that it was in opposition to the governmental relief, was rather cooperative. These voluntary relief activities are based on the principle of `bufenzhenyu(不分畛域)` mentioned above, in contrast with the fact that local gentry are mainly engaged in relief activities in their own communities, by donations to the area where they have no connection with themselves and by sending Charitable Gentry-merchans(義紳) who have experienced abundance in the disaster area. The declaration of `不?奬 敍` emphasizes that his persuasive activity is not a purposeful activity that desires reward from the state, and emphasizes that it is a kind of voluntary goodness. However, in reality, the human network with Li Hong-zhang(李?章) was formed through the persuasive activities, and there were many people who acted as the managers of the Westernization enterprise led by Li Hong-zhang. Nonetheless, the principle of `不? 奬敍` has been emphasized, and the Beijing official(京官) and Local Officials from Anhui province also declared that it does not want the rewards in the rescue activities. Then, this chapter also investigates disaster relief activities of Anhui Province`s Gentry-merchants in outside the Province and Beijing Officials from Anhui province to the hometown relief. During Thirty-four years Guangxu(1908), Disaster relief in Huizhou Prefecture, the southern Huizhou relief office(?南徽州勸 ?公所; 駐?徽州水災勸?公所; 安徽義?公所) organized by Huizhou`s merchants in Shanghai, and Can be linked to the Charitable networks of donation. During 1910, throughout Anhui outbreak of floods, Anhui Province authorities opened on Relief Administration to the disaster relief, Huizhou`s merchants also opened raised relief association in Shanghai, the Qing government opened Jiang-Wan raised relief hall(江? 籌?公所) by Sheng Xuan-huai(盛宣懷), in order to maximize the mobilization of the gentry power relief. Meanwhile, Officials From Anhui Province for the relief of hometown, launched a petition to Sheng Xuan-huai. At the same time, the relief fund has been launched. In fact, The same native place Official`s relief activities are not found in Anhui province, but There are characteristics of huaixi(淮系) group formed around Li Hong-zhang. Interestingly, Officials from Anhui province emphasized that their activities are personal charitable relief as a gentry from Anhui, although they are incumbent officials. Among them, Li Jing-yi(李經義) most has significant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group of the most prominent members of the Li Hong-zhang. This confirms the supports and recongnitions of each class of society to the Charitable relief, at the time. It also needs to be noted that the mood of Officialdom has expressed more trust and support than official relief(官?). These activities had a consciousness of the same hometown and identity for their hometown anyway, but the initial activity was the limit of their own in the country, rather than consciousness of the same province. Since then, their activities gradually tend to expand from Prefecture to provincial boundary. In 1908, Huizhou relief was a very strong regional limits(prefecture boundary). on the other hand, 1910`s great disaster relief was expanded to provincial boundary. Checking the participants, not only is the territory of Huizhou, All over Anhui are involved. This relief hall(公所) was created by Officials, gentry-merchants from Anhui Province in other province. It is meaningful that we can confirm the influence of Shanghai intentional activities on other regions. Not only that, but it can be judged that it is a modern relief system that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national relief(official relief).

      •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 :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오혜정 총신대학교 2022 總神大論叢 Vol.42 No.-

        본 연구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 동향을 살펴봄으로써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관련 연구과제를 발굴,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부터 2022년 9월까지 한국연구재단 등재(후보)지에 발표된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주제 학술논문 264편에 대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연구자 동향, 학술지 동향, 연구방법 동향, 연구주제 동향 등을 살펴보았다. 전반적 동향의 분석 결과, 지난 20년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국내 학술연구는 꾸준히 증가하였고, 특히 2011년부터 2013년의 3년 동안 연구가 매우 활발하였다. 둘째, 연구자 동향을 살펴본 결과, 1인 단독 연구가 상당수였고 연구자 대부분은 교수, 대학원생 등 대학에 소속되어 있었다. 셋째, 연구방법 동향을 살펴본 결과, 문헌 연구로의 연구방법 편중이 심했다. 넷째, 연구주제 동향을 분석한 결과, 2000년대 초반에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의 개념과 정체성, 역할, 이에 대한 성경적·신학적 근거, 관련 역사 등의 주제가 활발히 다루어진 반면 2010년대부터는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 실천(사역) 전략과 방법, 구체적 프로그램 또는 사업, 사역의 효과성 검증, 사례 탐구, 목회·선교와 연계한 고찰, 대상별 기독교사회복지 또는 교회 사회복지 방안 등 연구주제가 다양하게 확장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기독교사회복지 및 교회 사회복지에 관한 연구 발전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소통학회 20주년 기념 : 한국소통학보와 게재 논문 동향 분석”

        이명선 한국소통학회 2021 한국소통학보 Vol.20 No.2

        본 연구는 한국소통학회의 20주년을 기념하는 4분야의 특별 프로젝트 중의 하나인 한국소통학보 논문 동향 분석이다. 본 연구를 통해서 한국소통학회의 학술지인 한국소 통학보의 20년의 발자취를 뒤돌아보고, 현재를 인식하고 미래를 내다보는 의미를 담고 있다. 학보 20년의 거시적 시간 속에서의 논문 형태의 동향들과 게재된 논문들의 각각 의 미시적인 연구 동향 유목화를 통해서 분석하였다. 예를 들어 논문형식 자체 변화는 20년 학술지의 변화 (권 과 호), 논문 양 (한국어, 영어, 논문증가량)의 변화, 논문 투고 자 (소속대학, 개인 또는 공동 연구, 대학 외 연구기관, 외국연구기관)의 동향, 방법론 (양적 또는 질적) 동향에 관한 분석이다. 그리고 20년 362개 논문 주제들의 동향을 연 구주제어로 구분해서 분석하였다. 연구분석 방법으로는 질적 또는 양적 방법으로 분석 을 하였다. 분석의 이론적 접근으로서는 진행형 사회학의 개념을 사용했다. 그 결과로 서, 한국소통학보 20년 역사에서 학보는 학보 자체로서 지속적인 발전을 보여주면서 다 양한 연구 특히 소통과 커뮤니케이션 분야와 연관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연구를 통해 한국 사회 그리고 국제적 소통 관련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들을 의미 있는 연구를 수행해 오고 있다고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한국소통학보는 다양한 게재논 문을 통해 사회와 사람들에게 ‘확장’과 ‘다양성’이라는 메시지를 전달해주고 있다고 보인다.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rends in the Journal of Speech, Media and Communication Research (JSMCR), which is part of a special project to commemorate the 20th anniversary of the Korea Speech, Media & Communication Association. The study reflects on 20 years of recognizing the present and looking forward. Researchers analyzed 364 papers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based on changes to the journal, the journal registration process, research methodology, and research topics. The concept of progressive sociology was used as a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approach for the analysis. During the 20-year history of JSMCR, the journal showed continuous development and published meaningful research on current affairs. In particular, it delivered 'expansion' and 'diversity' related to communication in society and among people through research and papers.

      • KCI등재

        우리나라 동향결혼의 변화추세와 결정요인

        조동혁(Donghyuk Jo),박선권(Sunkwon Park),성낙일(Nakil Sung) 한국인구학회 2011 한국인구학 Vol.34 No.3

        우리나라에서 ‘동향’은 배우자의 선택에서 주요 요인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1993년~2009년 기간의 통계청 혼인통계자료를 시용해 우리나라 동향결혼의 변동추세와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동향결혼 선택확률에 영향을 미친 각종 요인을 고찰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에서 동향결혼은 여전히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줄어들고 있다. 또한 동향결혼은 해당 지역에서의 인구이동 및 구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았다. 특히 수도권으로의 인구유입은 타향출신의 결혼 후보자를 접할 기회를 증가시켜 동향결혼비율의 감소를 가져왔다. 또한 자신과 비교해 결혼 상대자의 소득이 더 커질수록 동향결혼을 선택할 가능성은 감소했다. 이는 배우자의 선택에서 동향요인이 약화되고 있는 데에는 경제적 요인도 작동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방대한 원시자료에 기초해 우리나라의 동향결혼 현상을 실증적 관점에서 규명한 최초의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suggests some stylized facts regarding the marriage type, and attempts to assess demographic, regional and economic factors which affect the probability of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Empirical analysis is carried out with original microdata on marriage over the period 1993-2009. Empirical results indicate that the birthplace of spouse played a less and less important role in marriage-related decision over time. Second, in addition to differences in a propensity to choose a person from the same native place as a spouse across regions, mobility and composition in population affected the probability of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For example, an influx of people into the capital region accelerated the chance of face-to-face communication between persons from the different birthplace, thereby decreasing the probability of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Finally, wider income gap between husband and wife led to lower probability of marriage between spouses from the same native plac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is study is one of the first empirical analysis to investigate into the relationship between marriage and birthplace.

      • KCI등재

        조현병 관련 국내 동향 연구 분석

        김지현 ( Jihyun Kim ),채유진 ( Youjin Cha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국내 학술 진흥재단(KCI)에 등재된 학술지를 중심으로 조현병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한 범위 및 대상은 2011년 11월에서 2020년 12월까지 KCI에 등재된 논문 중에서 최종 124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일반적 동향과 내용적 동향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동향의 연도별 동향은 연평균 10여 편이 발표되었고, 방법별 동향은 양적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며, 대상별 동향은 혼합 성별 및 40대 대상자가 가장 높았고, 측정 도구별 동향은 조현병 양성 및 음성증상을 파악하는 PNSS가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내용적 동향의 주요어별 동향은 조현병 임상증상이 가장 높고, 주제별 동향은 프로그램(내적 완화)이 가장 높았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추후 조현병 관련 연구 방향을 모색하고 제안하는 논의를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schizophrenia, focusing on academic journals listed in the Korea Citation Index (KCI) over the past decade. The scope and objectives for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the KCI from Nov. 2011-Dec. 2020 to analyze them as general and content trends. As a result of the study, more than 10 annual trends were announced annually, quantitative research was mainly conducted, mixed gender trends and 40s were the highest, and PNSS was the most used to identify schizophrenia-positive and negative symptoms. The keyword trends in content trends have the highest clinical symptoms of schizophrenia, and the program (internal easing) has the highest trend for each topic.

      • KCI등재후보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 관련 연구 동향 분석: 2009년∼2018년 학술지 중심으로

        송건(Song Jian),정진자(Chung Jin-Ja)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3

        본 연구는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연구의 동향을 고찰하여 한국과 중국의 시각장애 유아의 연구 분야에서 향후 연구 과제를 알아보기 위해, 한국과 중국에서의 최근 10년간(2009∼2018) 학술지에 게재된 시각장애 유아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최종 선정된 한국과 중국의 학술지 논문 33편을 분석하여 빈도와 백분율로 처리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학술지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시각장애연구지, 중국은 现代特殊教育이 연구중심지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자 수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2인 공동연구, 중국은 단독(1인)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자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대학교수, 중국은 특수학교 교사가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실시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유형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 중국은 문헌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는 한국과 중국 모두 통합교육 주제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대상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과 중국 모두 유아를 대상으로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연구유형에 따른 연구주제별 동향 분석 결과, 한국은 조사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중국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사용하여 통합교육을 주제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후속연구에서는 시각중복장애유아 연구동향 분석 연구 또는 다른 장애유형 유아 연구 동향과의 비교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한국에서는 시각장애 유아에 대한 조기교육, 진단평가, 교육환경 및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중국에서는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는 연구가 이루어져야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trends associated with the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in Korea and China in order to examine th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of study of Korea and China s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 last 10 years(2009-2018) in Korea and China Journal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ssociated with the serving visual impairment young children. There were treated with 33 journal articles section of the final selection of Korea and China as frequency and percentage analyze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of research journals related to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Korea showed the research center for the visual impairment and China for modern special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number of researchers, Korea has the most two-person research and China has the highest number of independent research.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rends by researchers, the number of studies conducted by the number of universities in Korea and the special education school teachers in China was the largest. Four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study subjects,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in Korea and China. Fifth, the type of trend research results are Korea s research, China showed the greatest literature. Sixth, the results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showed that Korea and China had the most inclusive education educational themes. Seventh, as a result of the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subjects, Korea and China showed the most themes that studied inclusive education for infants. Eighth, as a result of trend analysis by research topic according to the research type, Korea showed the largest number of topics for inclusive education using research and case studies and China using literature and case studies. Based on these findings, follow-up studies need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you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disorders or to compare them with other trends in young childhood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ntents of early education, diagnosis and evaluatio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methods for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in the future, and to apply 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in China.

      • KCI등재

        LDA 토픽 모델링 기법을 활용한 무용공연의 연구 동향 분석

        시유 대한산업경영학회 2024 산업융합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무용공연 관련 연구 주제를 탐색하고,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는 연구동향을 살펴본다. 토픽모델링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무용공연 마케팅전략 및 발전방안 연구, (2)무용공 연 공간 및 공연만족 재관람요인 연구, (3)무대환경이 무용공연의 대중성 활성화와 기여도 연구, (4)무용공연 현황 및 무용단 운영사례 융합 연구, (5)다양한 소셜미디어 활용한 무용공연 확정성 연구, (6)기술적용 무용공연 콘텐츠 방향 및 개발 연구 6 개의 주요 토픽이 도출되었다. 이에 무용공연을 비롯해 무용 분야 관련 연구의 시기, 사회 변화에 따른 연구 트렌드와 주제를 파악하고, 연구자들의 변화 관심 주제의 주요 핵심어를 추출해 키워드를 분석하였으며 시기별 주요 키워드를 비교 분석하였 다. 이에 다각화되고 융합되면서 신기술이 적용되는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발전적 연구의 필요성을 고민하고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research topics related to dance performanc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big data and examines research trends that change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e results derived from topic modeling analysis are as follows. (1) Six major topics were derived: a study on marketing strategies and development plans for dance performances, (2) a study on the re-watching factors of dance performance space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3) a study on the popularity and contribution of dance performances in the stage environment, (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dance performances and the convergence of dance group operations, (5) a study on the definition of dance performances using various social media, and (6) a study on the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technology-applied dance performance contents. Accordingly, research trends and topics related to dance, including dance performances, social changes, key keywords of researchers' change interests were extracted, and keyword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present academic changes and countermeasures. Accordingly, the need for research to apply new technologies was emphasized as it diversified and fu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