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별신굿 무무(巫舞)의 비교연구 -남해안과 동해안 중심으로-

        김윤지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7 우리춤과 과학기술 Vol.3 No.2

        본 연구는 남해안 별신굿과 동해안 별신굿의 춤사위 및 춤에 대한 고찰 및 비교․ 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별신굿 무무(巫舞)의 공통된 점과 각 개별 별신굿 무무(巫舞)의 차이점으로 도출하였다. 이에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1. 남해안과 동해안의 별신굿의 무무(巫舞)는 주요반주 장단에 따라 그 명칭이 정해진다. 2. 남해안과 동해안의 별신굿의 무무(巫舞)는 주요 무구(巫具)의 사용에 따라 그 명칭이 정해진다. 3. 별신굿 무무(巫舞)의 ‘좌우치기’ 춤사위는 남해안과 동해안 모두 사용되며, 용어 사용은 각기 다르지만 동작의 형태는 유사한 춤사위가 있다. 4. 별신굿는 불교적인 요소가 많이 내재되어 있는데 남해안 별신굿은 큰굿의 의례에서 많이 나타나는 반면 동해안 별신굿은 무무(巫舞)에서 불교적 색채가 나타난다. 5. 남해안 별신굿의 춤사위는 ‘춘앵무’의 춤사위와 유사하며 뛰는 동작이 없는 점, 발바닥을 보이지 않는 점, 동선이 크지 않는 점 등은 궁중무용의 절제와 동양의 미학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동해안 별신굿은 반주 장단의 빠르기에 따라도 약하기도 하며, 다리를 높게 올릴 수 있다. 6. 남해안 별신굿은 주로 혼자 추는 독무(獨舞)의 경우가 많으나, 동해안 별신굿은 남녀대무(男女對舞)와 군무(群舞)를 춘다. 7. 동해안 별신굿은 위로 뿌리는 동작 및 돌리는 사위가 많으나 남해안 별신굿은 ‘윗사위’ 이외에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남해안 별신굿 무구(巫具) ‘큰머리’를 착용해야 함으로 위로 뿌리거나 돌리는 사위는 제한되어 있다. 별신굿의 무무(巫舞)는 우리 고유의 문화예술임에도 불구하고 무무(巫舞)의 특성으로 인해 통일된 표기와 분류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것은 별신굿 무무(巫舞) 종류의 손실 및 전승 발전의 저해 요소임으로 각 지역별 별신굿의 특성을 최대한 살려 제의절차에 따른 무무(巫舞)의 정확한 기록 작업이 우선시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n investigation and comparative analysis of the movement and dance of south-coast Byulsingut and east-coast Byulsingut. Based on it, it sought to elicit the commonality and difference in shaman dance between them.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drawn: 1. Shaman dance of Byulsingut in the south coast and the east coast is designated according to major accompanied rhythm. 2. Shaman dance of Byulsingut in the south coast and the east coast is designated according to the use of major shamanic props. 3. The ‘jwauchiki’ movement of the shaman dance of Byulsingut is used in both the east coast and the south east of Korea, and there is the movement different in the terms used and similar in the form of motion. 4. Byulsigut contains many Buddhistic elements, which are much shown at the rite of the large exorcism in the south coast, whereas the Buddhistic color appears in the shaman dance of east-coast Byulsingut. 5. The dance movement of south-coast Byulsingut is similar to that of ‘Chunaengmu’. Seeing it has no jumping motion, making the sole of the foot invisible, no large traffic line, they demonstrate the self-restraint of court dance and the aesthetics of the East. On the other hand, east-coast Byulsingut may represent the jumping motion and leg-lifting motion according to the tempo of the accompanied rhythm. 6. In many cases, the solo dance is largely performed in south-east Byulsingut, but man-woman pas de deux and group dance are performed in east-coast Byulsingut. 7. East-coast Byulsingut contains many upward-spraying and turning motions but south-coast Byulsingut contains only the motion of ‘wutsawi’. The movements of spraying upward or turning are limited in south-coast Byulsingut because the shamanic prop of ‘large head’ has to be worn. The shaman dance of Byulsingut has difficulty with the unified designation and classification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shaman dance in spite of Korean-specific culture and arts. Since this is the impedimental element to the success and development of shaman dance of kinds, the accurate work of recording shaman dance according to the procedures of the rite should be preceded by taking advantage of the characteristics of Byulsingut in each region.

      • KCI등재

        동해안굿 전승자 학습 변화의 의미

        정연락 ( Jung Youn-rak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6

        동해안굿은 대한민국의 동해안 일대 해안선을 따라 강원도 고성 일대에서 부터 부산지역에 이르기까지 어촌마을에서 행해지는 굿이다. 동해안굿은 거의 세습무를 중심으로 연행되는데, 이 논문은 동해안굿의 세습무 집단 중 김석출 무계의 학습 양상을 세습무와 학습무로 구분하여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변화하고 있는 동해안굿 학습 양상이 가진 의미를 규명하는 데 의의가 있다. 세습무는 집이 곧 교육 현장이었다. 어릴 때부터 굿판에 따라다니며 소리며 춤을 연행하게 해보아 실전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대를 이어 무업을 계승해오던 세습무 가계에서 더 이상 자손들이 무업을 이어받지 않게 되면서 무업의 계승과 학습 방식에 변화가 발생했다. 1980년대 이후부터 굿이 가, 무, 악이 어우러진 종합예술로 인정받아 국가 및 각 시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받고, 예술대학 등에서 전공교육과정으로 편성되어 무속을 전공한 새로운 학습무들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들 학습무는 대학, 동해안별신굿보존회, 굿이 진행되는 현장 등에서 동해안별신굿의 연희 능력을 체계적으로 전승받고 있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세습무가 학습무들을 받아들여 무업을 계승해나가며 굿의 연행 집단과 굿을 수용하는 마을 사람들의 인식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과거와 달리 굿이 한국전통예술의 원형으로 가무악 총체적 학습의 산물로 인정받으며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을 받게 됨으로써 무당의 사회적 지위와 개인적 자존감이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과거 천시 당하던 무당이 아닌 대내외적으로 인정받는 전통예술인으로 자리 잡게 되면서 굿 현장이나 마을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그 지위나 대우가 많이 달라졌다. 마을 구성원들도 무집단의 세대가 변화함에 따라 과거와 달리 새로운 학습적인 요소들이 첨가된 것에 대해 인정하고 수용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마을단위에서도 전통적인 굿의 형식이나 제의만을 주장하기보다 마을 주민 모두가 함께 어우러질 수 있는 축제 형식이나 다양한 굿의 방향성을 고민하고 있다. 변화하는 굿의 흐름과 신진 세대의 적응에서 새로운 의미를 찾아나가고 있는 것이다. 급변하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굿판이 점점 축소되는 현실 속에서 동해안굿은 다른 지역 굿에 비해 아직까지는 활발히 연행되고 있다. 힘겹게 동해안굿을 보존해 온 세습무의 뒤를 이어 학습무들이 활발히 유입되고, 연행 집단이 굿의 전통을 보존하는 한편, 굿을 예술 콘텐츠로 활용하기 위해 애쓰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무들은 세습무로부터 배워 온 무속의 학습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후대에 최대한 원형에 가깝게 전승하고자 준비하고 노력하고 있다. 앞으로도 동해안굿은 마지막 세습무의 대를 이어 학습무들이 전통을 계승하고 시대에 맞춰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 East Coast Gut, Korean shamanism ritual on its east coastal area, is a Gut held in fishing villages alongside Korean east coastal area from Goseong area in Gangwon-Do to Busan area. East Coast Gut is performed in a series mainly by a successor shaman, Korean shaman, who hasn't received any spiritual power from a God, and the implications of this thesis lie in that we look over the learning aspects of Seokchool Kim shaman group among other East Coast Gut successor shaman groups after dividing it into 2 categories, successor shaman and learner shaman and based upon this, we reveal the meaning of the learning aspects of East Coast Gut. For successor shamans, home means the field of education. Since they are little, they chased Gut events performing dance in a series to accumulate onsite experiences. However, in the families of successor shamans that have passed their shaman work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eir descendents didn't inherit shaman work any longer, which changed the way of succession and learning of shaman work. Since 1980's, Gut has been officially acknowledged as a kind of general art embracing songs, dance and music and designated as a cultural asset of the state and each city and province, and at art universities, it was adopted as a required course for its related major, which caused new learner shamans who majored in shamanism to emerge. These learner shamans are taking systematical succession lessons on the performance skills of East Coast Byeolshin Gut at universities, East Coast Byeolshin Gut preservation community, any places where Guts are held and etc.. As changes along time, the successor shamans accepted the learner shamans to pass shaman work down and changes appeared in the notion of towners who accept the performer groups of Gut and Gut itself. Unlike the past, as Gut has been acknowledged as the origin of Korean traditional arts and as the product of compresensive learning on songs, dance and music and it was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shaman's social status and personal pride and dignity has become very high. As shaman has become positioned as the traditional artist getting both national and international recognition unlike its past image of getting despised, at the site of Gut event or even in the relation with towners, their status and the treatment they get became far different. Even towners, along with shift in shaman groups' generation, take position to acknowledge and accept the addition of new learning elements unlike the past. Even in every town, rather than just insisting on the type or the event purpose of traditional Gut, they think over on the type of festival and the main direction of a variety of Guts with which all of towners can mingle with each other. They are trying to find new meanings in the trend of changing Gut and the adaptation of new generation to this. In our reality of Gut events getting minimalized along with rapid change of times, East Coast Gut is still very actively performed in a series until now compared to Guts in other regions. This is because following the successor shamans who have struggled to preserve the East Coast Gut, the learner shamans are actively inflowing and the series performance groups preserve the origin of Gut and try hard to use Gut as art contents. Besides, the learner shamans systematically organize what they learned on shamanism from the successor shamans and get prepared and try to hand it down to descendents in the closest possible way to preserve its origin. In the future, East Coast Gut will be succeeded by the learner shamans from the last successor shamans to inherit its tradition and develop it to adapt to the times.

      • KCI등재

        동해안 〈손님굿〉 무가의 사설 확장 방식과 의미

        김혜정(Kim, Hae-Jyung) 한국민속학회 2017 韓國民俗學 Vol.66 No.-

        이 글은 동해안 〈손님굿〉 무가의 사설 확장 방식과 의미를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동해안 〈손님굿〉 무가는 다른 지역에 비해 등장인물이 많고, 후반부 사건이 복잡하고 내용도 긴 편이다. 본 논문에서는 서사 전개 과정에서 `노구할미`의 역할이 강조된 점, `장자, 철운이, 외손자`등 다양한 인물이 등장하는 것에 주목하였다. 특히 같은 지역에 `천연두신`과 관련된 〈서구할미〉설화가 전승되는데 무가와 비슷하면서도 전혀 다른 주제 의식을 띠고 있어 비교와 필요성을 느꼈다. 분석 결과 동해안 〈손님굿〉무가는 다음과 같이 사설이 확장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동해안 〈손님굿〉무가에는 `노구할미`의 역할이 강조되어 있다. `노구할미`는 손님네를 극진히 대접하는 동시에 신과 인간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하며 다른 사람들도 천연두를 가볍게 앓고 지나가게 도와주는 무당이다. 이는 같은 지역에서 전승되는 〈서구할미〉설화와 극명한 대비를 이루는 것이다. 여기서 `서구할미`는 노구할미와 달리 중재인의 역할은커녕(천연두를 치료해주는 것은커녕) 돈이나 굿에만 집착하고 사람들을 괴롭히고 현혹시키는 무당으로 그려지기 때문이다. 즉 동해안에서는 굿을 미신으로 치부하는 사람들이 늘고 무당에 대한 부정적 시선이 확대되자, 무당들은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 사람들에게 자신들의 역할을 긍정적으로 인식시킬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 방면으로 무가 사설을 확장했던 것이다. 물론 선후 관계야 명확하게 확증할 수 없지만 분명한 것은 `굿, 무당, 신`에 대한 이중적인 시선이 동해안 지역에 존재했다는 것이며, 이는 신자와 불신자 사이의 거리만큼 다른 이야기판(굿판)에서 이 두 설화가 불리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동해안 〈손님굿〉무가는 신자와 불신자로 구분되는 사람들이 `손님신`을 어떻게 대하고 그로 인해 어떤 결말을 맞는지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다. 이는 신자(노구할미, 외손자)와 불신자(장자, 철운이)의 삶이 얼마나 다른지 극명하게 대조해서 보여줌으로써 신앙민의 신앙심을 고취시키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동해안 〈손님굿〉 무가에서는 `손님신`의 역할이 `천연두 치료`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재물을 관장`하는 것도 추가되어 있다. 이는 백신 등 과학적 치료법 개발 등으로 굿에 대한 효용성이 계속해서 의심받는 상황에서, 신의 직능을 확대함으로써 `손님굿`에 대한 당위성을 확보하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how the Shamon`s song lyrics of 〈Sonnimgut〉 in Eastern Coast was expanded and its significance. There`re many people appeared in 〈Sonnimgut〉 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and the complicate affaires take place in latter half, which is quite so long, compared to other regions. This paper focused on that the role of `Noguhalmi` was highlighted and the different characters such as `Jang-ja, Chul-woon and grandson` appeared as the narration unfolded. Especially, the 〈Seonguhalmi〉 folk tale related with `smallpox god` in the same region was handed down-it`s similar with Shamon song but has different thematic consciousness-and it led in acknowledging the need for comparison. The result of analysis showed that 〈Sonnimgut〉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was expanded in the way described below. First, the role of `Noguhalmi` was stressed in 〈Sonnimgut〉 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Noguhalmi` is a shaman who treats guests very kindly, act as a referee between God and human and help others who suffered from smallpox to get well soon. It`s in stark contrast with 〈Seoguhalmi〉 folk tale that passed down in the same region. In this point, `Seoguhalmi` did not play a role as referee and treat smallpox and even worse, this shaman was obsessed with money or exorcism and mislead people. I.e., as the people who regarded exorcism as superstition increased and they tended to have negative perspective on the shaman in Eastern Coast, the shamans felt keenly the necessity to make people accept their role in a positive way as a countermeasure; thus, the Shamon song lyrics was expanded. Obviously, it`s hard to make clear the order of the history but what is clear is that dual perspective on `exorcism, shaman and god` had been around in Eastern Coast and these two folk tales were called in other ceremonies for exorcism at distant intervals between believer and non-believer. Second, 〈Sonnimgut〉 the Shamon song in Eastern Coast provided enough details on how the so –called believer and non-believer treated `Sonnimsin` and the way they ended up. With striking contrast between believer such as Noguhalmi and grandson and non-believer including Jang-ja and Chul-woon, it inspired believers to have stronger religious faith. Lastly, the role of `Sonnimsin` was not limited to `the smallpox treatment` but also included `administration of property` in Eastern Coast. As the exorcism has been suspected of its effectiveness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reatment including vaccine, it`s to secure the duty on `Sonnimgut` by expanding the function God.

      • KCI등재

        한국무속의 신격연구 4 - 동해안오구굿을 중심으로 -

        심상교(Sim, SangGyo) 한국무속학회 2020 한국무속학 Vol.0 No.40

        본고는 동해안오구굿의 신격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동해안오구굿은 동해안지역의 개인굿으로 다른 지역의 오구굿과 마찬가지로 망자천도굿이자 예수재 성격도 지닌 동해안지역의 대표적인 굿이다. 오구굿에는 망자를 신격으로 좌정시키기 위한 목적이 강하게 드러난다. 망자가 극락왕생하면 신격을 완성하기 때문이다. 때문에 망자가 주신격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여럿이다. 동해안오구굿은 제차가 다소 상이하지만 신에게 굿의 시작을 고하고 극락왕생을 기원드리는 기본 구조는 다르지 않다. 오구굿의 전체구조와 각 개별굿의 구조는 청신-오신-송신의 구조를 내재시킨다. 동해안오구굿의 신격들은 굿을 주재하는 무녀들에 의해 신격이 조정되고 있으며 각 개별굿 신격은 자신만의 특성도 있다. 무당들이 신격을 독점하려는 의도에서 신격 조정이 이뤄진다고 볼 수 있다. 신격은 인간에게 복을 주는 존재인데 신격들이 항상 인간 세상에 간섭하고 있으면 굿이 필요 없게 된다. 동해안오구굿에서의 신격들은 망자와 유족들의 완전한 이별이 이뤄지도록 기원한다. This article studied the deities of the east coast Ogugut. Donghaean Ogugut is a private gut on the east coast, like Ogugut in other regions. Ogugut has a strong purpose to situate the deceased. This is because the deceased complete the divinity of heaven. Donghaean Ogugut, like other guts, differs slightly depending on who is the shaman who presides on the gut, the client’s request of Daeju(대주/굿의뢰자), and the region where the gut is carried out. However, the basic structure that tells God the beginning of the gut and prays for the paradise birth. Is no different. The East Coast Ogugut is a good for the deceased who wants to sit down as the Godhead. The whole structure of Ogugut follows the structure of Cheongsin-Song, but the structure of Cheongshin is inherent in each individual gut. The contents of the east coast Ogugut were like this. The deities of the East Coast Ogugut are controlled by the lady who presides on the gut, and each individual gu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t can be said that the shamanism is carried out with the intention of the shamans monopolizing it. The Godhead is a blessing to human beings. If the Godheads are always interfering with the human world, there is no need for a gut. The deities on the east coast of Ogugut wish for the complete separation of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 KCI등재후보

        동해안 오구굿과 한국의 굿 비교

        김헌선(Kim Heon-sun)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6 한국학연구 Vol.25 No.-

        이 글은 2005년 10월 1일부터 2일까지 이틀 동안 부산시 기장군 일광 해수욕장에서 있었던 김석출의 오구굿 자료를 분석대상으로 삼았다. 이날 오구굿에서 김석출이 경북 출신으로 경남에서 정착하어 경북과 경남지역의 굿을 적절히 조화해서 만들어낸 오구굿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오구굿을 통해서 동해안 오구굿 의례의 전반적 판도를 1.망자자리~24.오구거리멕이기굿으로 정리할 수 있다. 각 의례절차의 의미는 각 굿거리에 따라서 세부절자, 장단의 운용, 무가, 가창방식, 활용무구 및 소도구 등의 차이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여러 굿거리 중에서도 특히 동해안 오구굿의 특징을 보이는 굿거리로 4.청혼, 5.문굿, 6.문답설법, 7.오는뱃노래굿, 9.초망자굿, 10.극락다리놓기, 13.발원굿, 14.시무염불, 15.넋일굼, 16.판념불, 21.길가름, 22.정정밟기 등을 틀 수 있다. 오구굿은 동해안 지역에서 거행되고 있는 다른 편의 의례인 별신굿과 비교할 수 있다. 동해안 별신굿에서 연행되는 굿거리를 지모춤, 무가청배, 춤, 신의축원공수, 축원여흥, 잡귀퇴송의 정형화된 형태에 따라서 5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오구굿에서는 이러한 유형 분류가 쉽지 않은데, 이유를 오구굿이 개별적인 굿거리에 충실한 다원성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오구굿은 별신굿처럼 축원이 굿이 아니므로 망자 개인을 위한 굿의 각도에서 굿이 짜여졌다. 오구굿이 의미 있는 굿이 되도록 짜나가는 구조적 원형은 안굿과 밖굿에 대한 구분을 통해서 명확해진다. 이를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다른 지역의 굿과 비교를 통함으로써 논의를 확대할 수 있다. 즉 서울지역의 진진오기굿은 안굿(밤굿)과 밖굿(새벽굿)의 측면에서 오구굿과 구조적 기준이 일치한다. 이러한 안과 밖의 구분은 동해안 별신굿에서도 확인되는 형식이어서 굿을 짜나가는 중요한 구조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안과 밖의 구분에 있어서 가망의 존재는 동해안 별신굿의 안당ㆍ밧당굿, 서울굿의 삼가망, 황해도 만수대탁굿의 겹굿(안굿과 밖굿)의 유사한 구조를 해명하는데 주요한 단서가 된다. 동해안 오구굿에서 발견된 안ㆍ밖의 구조가 다른 지역의 굿에서도 발견되며, 그러한 겹굿의 구성은 여러 가지 요인으로 인해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삶과 죽음의 세계관적 배열, 주거공간의 구조 등의 원리로 설명할 수 있으나 이것이 모든 것을 해명하지 못한다. 동해안 오구굿과 서울 진진오기굿의 연구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현지조사와 전국굿의 비교 작업으로 확장함으로서 여러 조건들의 함수관계를 해명하는 작업으로 나아갈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is on the Ogugut in Eastsea Area of Korea. Ogugut is a shaman performance which pray a death person to pass away peacefully. So Ogugut's structure focuses on the dead person. The structure of Ogugut consists of inner-gut and outer-gut. It is the same to Jinjinogi of Seoulgut which consists of inner-gut(night-gut) and outer-gut(dawn-gut). Also It is the same to Mansudaetakgut of Hwanghae-Do. This structure which is folding performance(gut) are formmated several reasons. Normally We say The reason is the arrange the life space and the death space. We say The structure reflect a structure of residence. But These saying do not solve the all aspects of that. This study shows the possibility of a clue to solve this question by comparing with Ogugut and Jinjinogi. This comparison has to expend to the Korean gut.

      • KCI등재

        한국무속의 신격연구-동해안오구굿을 중심으로

        심상교 한국무속학회 2020 한국무속학 Vol.0 No.40

        This article studied the deities of the east coast Ogugut. Donghaean Ogugut is a private gut on the east coast, like Ogugut in other regions. Ogugut has a strong purpose to situate the deceased. This is because the deceased complete the divinity of heaven. Donghaean Ogugut, like other guts, differs slightly depending on who is the shaman who presides on the gut, the client's request of Daeju(대주/ 굿의뢰자), and the region where the gut is carried out. However, the basic structure that tells God the beginning of the gut and prays for the paradise birth. Is no different. The East Coast Ogugut is a good for the deceased who wants to sit down as the Godhead. The whole structure of Ogugut follows the structure of Cheongsin-Song, but the structure of Cheongshin is inherent in each individual gut. The contents of the east coast Ogugut were like this. The deities of the East Coast Ogugut are controlled by the lady who presides on the gut, and each individual gut has its own characteristics. It can be said that the shamanism is carried out with the intention of the shamans monopolizing it. The Godhead is a blessing to human beings. If the Godheads are always interfering with the human world, there is no need for a gut. The deities on the east coast of Ogugut wish for the complete separation of the deceased and the bereaved. 본고는 동해안오구굿의 신격들에 대해 연구하였다. 동해안오구굿은 동해안지역의 개인굿으로 다른 지역의 오구굿과 마찬가지로 망자천도굿이자 예수재 성격도 지닌 동해안지역의 대표적인 굿이다. 오구굿에는 망자를 신격으로 좌정시키기 위한 목적이 강하게 드러난다. 망자가 극락왕생하면 신격을 완성하기 때문이다. 동해안오구굿은 다른 굿들과 마찬가지로 굿을 주재하는 무당이 누구인지와 굿 의뢰자인 대주의 요구, 굿을 연행하는 지역 등에 따라 제차가 다소 상이하지만 신에게 굿의 시작을 고하고 극락왕생을 기원드리는 기본 구조는 다르지 않다. 동해안오구굿은 신격으로 좌정하려는 망자를 위한 굿이기 때문에 망자가 주신격으로 등장하는 경우가 여럿이다. 오구굿의 전체구조가 청신-오신-송신의 구조를 따르지만 각 개별굿 안에도 청신-송신-오신의 구조가 내재한다. 동해안오구굿의 내용이 이와 같았다. 동해안오구굿의 신격들은 굿을 주재하는 무녀들에 의해 신격이 조정되고 있으며 각 개별굿 신격은 자신만의 특성도 있다. 무당들이 신격을 독점하려는 의도에서 신격 조정이 이뤄진다고 볼 수 있다. 신격은 인간에게 복을 주는 존재인데 신격들이 항상 인간세상에 간섭하고 있으면 굿이 필요 없게 된다. 동해안오구굿에서의 신격들은 망자와 유족들의 완전한 이별이 이뤄지도록 기원한다.

      • KCI등재

        동해안 무녀의 무관 학습: 세대적 차이를 중심으로

        홍효진 영남춤학회 2022 영남춤학회誌 Vol.1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patterns of Mugwan’s performance, analyzing the various types of Mugwan in Donghaeangut, and to analyze how Mugwan’s learning has been transmitted and changed. Because of the geograph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religious belief in Mother Nature is deep. Therefore, the hereditary shamans that live in the area around the East Coast of south Korea have performed various Gut(a shaman ritual) such as Byeolsingut, Pungeoje, Ogugut, Sanogugut, and Dosingut, Jaesugut, Gwangingut, Gaekgumulligi, and so on. However, currently, only Byeolsingut and Ogugut are handed down. Donghaeangut is the root and treasure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s composed of songs and dances harmoniously; as a result, in recognition of its outstanding artistry, Donghaean Byeolsingut, Gangneung Danoje, Yeongdeokbyeolsingut and Busan Gijang Ogugut were designated as national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s and provincial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previous researches, researches related to the various elements that consist of the Donghaeangut, such as shaman’s song, shaman’s dance, shaman’s play, paper flowers, decorations of shaman’s ritual and so on are abundant; but researches about Mugwan is thin. Therefore, this paper will analyze Mugwan which is each performed in Byeolsingut and Ogu-gut and commonly performed in both Gut. In addition, the hereditary shamans were actively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through marriage, but new shamans, who studies shaman’s music and song in the university, are active in Donghaeangut; according to such change, how the learning Mugwan has been changed might be analyzed. Traditionally, shamans learned Mugwan in everyday life; however, new shamans who learn systematically traditional music are learning Mugwan step by step through individual lessons, group lessons, or art-related school majors and etc. In the midst of these changes, new shamans are continuously recording and documenting the process of whole learning including Mugwan. Based on these efforts, the outstanding artistry of hereditary shamans, which is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will be able to be passed on to the next generation. 본 연구는 동해안 지역에서 연행되는 동해안굿에서 연행되는 다양한 무관의 종류를 분석하고 무관의 연행 양상을 정립하여 무녀의 무관 학습이 세대를 거치며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동해안굿은 타 지역에 비해 지리적, 환경적 요인으로 인하여 대자연에 대한 신앙심이 깊은 지역의 특성 상 동해안 일대 지역에 거주하며 무계를 형성한 세습무 집단을 중심으로 별신굿, 풍어제, 오구굿, 산오구굿, 도신굿, 재수굿, 광인굿, 객구물리기 등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어 왔으나 현재에는 별신굿과 오구굿을 중심으로 연행 및 전승되어 오고 있다. 동해안굿은 한국 전통 음악의 뿌리이자 보고로 가무악이 조화롭게 구성되어 있고, 뛰어난 예술성을 인정받아 동해안별신굿, 강릉단오제, 영덕별신굿, 부산기장오구굿 등의 단체가 국가중요무형문화재 및 시도무형문화재로 지정받았다.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굿을 형성하는 무가, 무관, 무악, 무극, 지화 및 장엄 등 여러 가지 요소 중 상대적으로 연구가 많이 되지 않았던 무관을 중심으로 별신굿과 오구굿에서 연행되는 무관 및 공통적으로 연행되는 무관을 분석하여 정리하였다. 또한 세습무 직계 가족을 중심으로 대를 이어 활발히 전승되어 오다가 환경과 시대의 변화와 흐름에 따라 신진 학습무가 유입되면서 변화된 무녀들의 무관 학습 양상을 분석해 보았다. 자연스럽게 굿이라는 삶을 살아오며 무관이 몸에 녹아있는 세습무들에 비해 전통음악을 체계적으로 교육받아온 국악 전공자 출신의 학습무는 세습무 스승에게 개인레슨이나 그룹레슨, 또는 예술관련 학교 전공수업 등을 통해 단계적으로 무관을 사사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속에서 학습무들은 무관을 비롯한 종합적인 굿 학습의 과정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기록화하고 자료화하는 작업을 꾸준히 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을 바탕으로 대대로 이어져 온 세습무의 뛰어난 예술성을 다음 세대에게 전승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동해안 남대 별신굿의 특징 연구 ‒ 안대 별신굿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

        김형근 한국구비문학회 2013 口碑文學硏究 Vol.0 No.37

        This article is mainly about the oicotype. The Gut that is performed in the east coast from Goseong, Gangwon-do to Busan, Gyeongsangnam-do is generally referred to as ‘East Coast-Gut’. Among the Guts of that region, a village Gut named ByeolsinGut is designated as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Korea. However, East Coast-Gut differs by regions that are more subdivided. The place where it is more particularly differentiated is the southern area of the east coast like Ulsan and Busan. The east coast shamans often call it as ‘Namdae (南帶, south area)’. With the replacement of transmitters, however, there have been a lot of changes so far. Yet, the Gutgeori of ByeolsinGut has not been changed but is being conducted as it was, and the aspects of it are differentiated from those in the northern or central area of the east coast. Namdae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has two great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northern-central area. First, it secures a lot of Gutgeori which the northern-central area does not have. It includes GamangGut, JeseokGut,BuinGut, HwangjeGut, DaewangGut, DaesinGut, or SeonsaengGut. Because advanced researches only focused on the northern-central area and hardly explored the meaning of those Gut, this article looks into the meaning of Gutgeori which only Namdae ByeolsinGut has.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Namdae ByeolsinGut of the east coast can be found in the structuralization of Gut. It consists of GyeopGut (double Gut)including NaedangGut and OedangGut. This study is going to examine the criteria to distinguish Naedang from Oedang and also the aspects of how any Gut is classified into each of those. 본고는 동해안 남대 지역, 즉 울산, 부산 지역 별신굿의 특징을 밝히는 글이다. 강원도고성에서 경상남도 부산까지의 동해안에서 행해지는 굿을 통칭 ‘동해안굿’이라 부른다. 그런데 동해안굿도 그 세부 지역에 따라 지역적 차별화가 있다. 특히 가장 차별화 되던 곳이동해안 남부인 울산과 부산이었다. 이곳을 흔히 동해안 무당들은 ‘남대’라고 부른다. 하지만전승자들의 교체로 인하여 여러 변화들이 있어왔다. 그럼에도 별신굿의 굿거리들은 변하지않고 그대로 행해지고 있고, 그 양상이 동해안 북부나 중부와 차별화되어 있다. 동해안 남대 별신굿은 굿거리와 굿의 구조화 차원에서 중북부와 큰 차이를 보인다. 첫번째 굿거리의 특징으로 중북부에 없는 굿거리들이 많다. 가망굿, 제석굿, 부인굿, 황제굿,대왕굿, 대신굿, 선생굿 등이 그것이다. 그간의 선행 연구들이 중북부에 집중되면서 남대에해당되는 지역의 무가에 대한 채록 및 연구들이 부족했다. 그러면서 이들 굿의 의미가 제대로 탐색되지 않아 본고에서는 남대 별신굿만의 굿거리 의미를 탐색하고 있다. 동해안 남대 별신굿의 두 번째 특징은 굿의 구조화 특징이다. 안대에서는 없는 안굿과밖굿 개념이 남대에는 존재한다. 전체의 굿을 내당굿과 외당굿으로 나누어 겹굿으로 구성한다. 무엇을 기준으로 내당과 외당으로 나누는지, 각각에 어떤 굿들이 배당되는지 그 양상을 살피도록 한다.

      • KCI등재

        세습무 굿음악의 지역특성 연구

        목진호(Mok Jin-ho) 한국무속학회 2016 한국무속학 Vol.0 No.33

        이 논문은 경기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을 중심으로 세습무 굿음악의 연행 공간과 관련하여 음악적 어법과 악기 편성, 그리고 연주 방식에서 지역특성이 드러나고 있음을 밝히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글에서 세습무의 굿음악에 대한 지역특성을 논의한 결과는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음악적 어법에서 차이를 가진다. 경기 도당굿의 선율과 동해안 별신굿의 선율은 지역의 선율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경기 도당굿과 동해안 별신굿의 장단은 2소박과 3소박, 그리고 혼소박의 양상을 갖추고 있다. 특히 이글에서는 선청배의 장단 구조의 변화 이유가 장시간 무가를 구송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요소로 기능하고 있음을 밝혔다. 둘째, 두 지역은 악기 편성과 연주 방식의 차이를 보인다는 점이다. 경기 도당굿에서는 선율악기와 타악기를 연주하는 데 반해 동해안 별신굿은 타악기를 위주로 한다. 이글에서는 그러한 지역특성을 나타내는 악기 편성과 연주 방식의 이유가 ‘효과’라는 측면에서 기인함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or hereditary-shaman(世襲巫)’s ritual music of Kyŏnggi-todanggut(京畿 都堂祭) and Tonghæan-pyŏlsin"gut(東海岸 別神祭) focusing on contemporary Musical language, instrumentation, playing in a manner relating to the ritual space. Results discussed in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into two categories. First, both regions have a difference in musical language. Melodies of the todanggut and pyŏlsin"gut reflect the structure of the local folk melodies. Todanggut and pyŏlsin"gut include various properties: 2Bits, 3Bits, mixed Bits. Especially, this paper reveals that changes in the rhythm’s structure has been a necessary factor in the shaman’s song for a long time. Second, both regions show a difference in how to play and the types of instrumentation. Hereditary-mubu(世襲 巫夫) use the drums and samhyŏn-yukkak(三絃六角) in Kyŏnggi-todanggut while Tonghaean-mubu(東海岸 巫夫) mainly play the drums. This paper reveals that regional differences are the result of ‘effect’.

      • 오늘날 강릉단오제의 몇 가지 문제들 검토

        손태도 한국전통공연예술학회 2023 한국전통공연예술학 Vol.9 No.-

        강릉단오제는 오늘날까지 유일하게 제대로 전승되고 있는 전통사회 의 고을굿으로 우리나라 문화예술사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다. 강릉단오 제의 오랜 역사에 비추어 이에 대한 우리 학문의 역사는 사실상 지극히짧다 할 수 있다. 또 그러한 학문 세계에서 한 개인이 할 수 있는 것도 지극히 부분적인 것이다. 이와 같은 강릉단오제와 관련된 많은 것들 중 단지 몇 가지들만이라 도 다뤄 보았다. 본 고에서 논의된 것들은 다음과 같다. 관노가면극의 ‘시시딱딱이’는 강릉도호부 지방관아의 나례(儺禮) 때의 방 상시에서 나왔으므로 오늘날처럼 가는 눈에 짧은 비수를 소매 속에 감춘 것 과 같은 모습은 정말 잘못되었다. 빨리 방상시 계통의 원래 인물로 되돌려야 한다. 동해안굿의 굿장 밖에 높이 내다 거는 이른바 ‘흑애등’은 불교 의식에 서의 ‘허개(虛蓋)’에서 나왔다. 시대를 거슬러 가면 갈수록 오늘날과 같은 궁중악, 정악, 민속악의 구분이 없었다. 우리말의 3, 4자 중심의 말은 노래로 불릴 때 3ㆍ2ㆍ3 같은 장단을 취했다. 동해안굿에서의 ‘3ㆍ2ㆍ3’과 같은 청보의 장단 방식은 궁중악의 3ㆍ2ㆍ3 단위의 정간보(井間譜), 가곡․시조의 3․2․3 장단과 같은 것이다. 또 청보장단의 경우 ‘초장-2장-3장-4장-5장’과 같이 빨라지는 모습이 있어 이러한 3ㆍ2ㆍ3 장단의 시대에 따른 변모 양상도 살필 여지를 주고 있다. 판소리의 중모리장단은 오늘날 동해안굿이나 경기도당굿에 남아 있는 ‘삼 공잽이’ 장단에서 나왔다. 이러한 사실들은 사실상 부분적인 것들이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앞 으로 중요하게 다뤄질 것들인 것도 분명하다. 이에 일단 이러한 논의들 을 하여 앞으로 이들과 관계되는 보다 본격적이고 전체적인 논의들이 이뤄졌으면 한다. Gangneung-dano-jae (강릉단오제) is the almost only one natural Goeul-gut (고을굿, the provincial shaman ritual) of the traditional society that has been properly handed down to this day and holds an important posi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culture and art. In light of the long history of Gangneung-dano-jae, the history of Korean studies on it can be said to be extremely short. In addition, what one individual can do in such an academic world is extremely partial. Of the many things related to Gangneung-dano-jae like this, I have only touched on a few. The things discussed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The ‘Sisittakttag-i’ (시시딱딱이, the name of the cast) of the Gwanno-gamyeon-geuk (관노가면극, the official slave mask play in Gangneung) came from the Bangsangsi (방상시. 方相氏. a major god of the Narye ceremoney) during the Narye ceremony (나례. 儺禮. a ceremony of the last day of one year) of the Gangneung provincial government office. So it is really wrong to look like today with thin eyes and a short dagger hidden in the sleeve. We need to quickly return it to the original person of the Bangsangsi. The so-called ‘Heukae-deung’ (흑애등), which is hung high outside the ritual places of Donghaean-gut (동해안굿, the east coast shaman rituals), originated from ‘Heo-gae’ (허개. 虛蓋) in Buddhist rituals. Going back in time, there was no distinction between court music and folk music unlike today. Words are almost three and four characters in Korean take the same rhythm as 3․2․3 when sung. The rhythm method of Cheongbo-jangdan (청보장단, the major rhythm of Donghaean-gut in accompaniment of the song), such as ‘3ㆍ2ㆍ3’ in Donghaean-gut is the same as the 3ㆍ2ㆍ3 unit of Jeonggan-bo (정간보. 井間 譜. # shape music records) in court music and the 3ㆍ2ㆍ3 rhythm of Gagok (가곡. 歌曲. the high ranking people’s song) and Sijo (시조. 時調. the song similar with Gagok). In addition, in the case of Cheongbo-jangdan, there is an appearance of speeding up like ‘1st chapter – 2nd chapter – 3rd chapter – 4th chapter – 5th chapter’, giving room to examine the aspect of the changes of these 3ㆍ2ㆍ3 rhythms according to the times. The Jungmori-jangdan (중모리장단, the one of the major rhythms of Pansori) rhythm of Pansori (판소리, very powerful and dramatic Korean narrative song) came from the ‘Samgongjaebi-jangdan’ (삼궁잽이장단) rhythm that remains today in Donghaean-gut and Gyeonggi-dodang-gut (경기도당굿). These facts are in fact partial. But on the other hand, it is also clear that these are important things to be dealt with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hoped that these discussions will be held in more full-scale and overall sight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