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인부모단체 회원의 가족건강성 영향 요인: 동료지지와 단체만족도를 중심으로

        이강훈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6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32

        This study aimed to specifically verify influence factors on family strengths with focus on the environmental factors of disabled children parents group and the family environmental factors of members. For thi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356 questionnaires responding to questions of satisfaction with group and support of colleague by 62 disabled Children parents group members in 16 si·do throughout the country. According to research result, first, major factors influencing directly on family strengths were found in the order of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satisfaction with group. Second, main paths influencing on family strengths were analyzed as support of colleague → disabled children parents group → marital satisfaction → family strengths. Third, support of colleague considered as group environmental factor did not have direct influence but it had indirect influence through satisfaction with group,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t was analyzed that satisfaction with group had indirect influence on family strengths through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in addition to direct influence. This study suggested a specific intervention way to strengthen support system of disabled children parents group and members and to improve family strengths relying on analysis result. 본 연구는 장애인부모단체의 환경요인과 회원의 가족환경요인을 중심으로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구체적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 16개 시·도 62곳의 장애인부모단체 회원들 중 단체만족도와 동료지지에 응답한 356부의 설문에 대한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분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가족건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인은 결혼만족도, 양육스트레스, 단체만족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족건강성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경로는 ‘동료의지지→장애인부모단체→결혼만족도→가족건강성’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단체 환경요인으로 고려한 동료지지는 직접적인 영향력은 없었으나 단체만족도, 양육스트레스, 결혼만족도를 통해 가족건강성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단체만족도는 직접적인 영향력과 함께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를 통해 가족건강성에 간접적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주요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장애인부모단체와 회원의 지지체계를 강화하고 가족건강성의 향상을 위한 개입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재외국민선거에 대한 민단과 재일한인회 회원들의 인식 비교

        지충남(Choong Nam Ji),이소영(So Young Lee) 경희대학교 인류사회재건연구원 2014 OUGHTOPIA Vol.29 No.1

        민단과 재일한인회는 재외국민선거에서 중립을 표명하면서 선거 등록과 투표를 위한 홍보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재일 유권자 및 회원들의 투표율을 크게 높이지는 못하였다. 즉 선거에서 두 단체의 영향력은 제한적이었다. 두 단체 회원들의 선거 인지도는 90%이다. 선거의 참여의향, 선거제도의 인지, 선거 결과의 모국선거에 대한 영향력은 재일한인회원들의 빈도가 높았다. 선거가 동포사회에 미칠 긍정적 영향, 선거로 인한 동포사회의 반목과 분열은 없음, 소속 단체가 투표 참여에 영향을 줌, 소속 단체의 의견이 모국 정부의 정책에 반영, 선거에 대한 조총련의 영향 없음 등에서 민단 회원들의 인지도가 높다. 재일한인회원보다 민단 회원들의 단체 충성도와 정치적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소속 단체의 재외선거 홍보 인지는 두 단체 회원 간 거의 차이가 없었다. 재외국민선거 유무 인지, 참여 의향을 묻는 질문은 재일한인회 그리고 투표참여에 대한 소속단체 영향, 모국 정부에 소속단체의 의견 반영에서는 민단의 평균점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The Korean Residents Union in Japan(hereinafter called Mindan) and the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s in Japan claimed to be neutral while they promoted overseas elections to encourage election registration and voting, but they failed to obtain any significant results in terms of the turnout of Korean voters in Japan and of their members. Namely, the two organizations just exerted a limited influence on overseas elections. The election awareness rate of the members of the two organizations stood at 90 percent. The members of the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s in Japan had a more intention to vote and were better aware of the election system, and they thought election results exercised a greater influence on elections in Korea. The members of Mindan thought that election results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ir society, that there were no conflicts or feud caused by elections in their society, that the organizations to which they belonged affected their voting participation more, that the opinions of their organizations were more reflected in policy setting of the Korean government, and that the North Korean Communists Party in Japan had no impact on elections. The members of Mindan excelled those of the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s in Japan in organizational loyalty and political efficacy. There were little disparities between the members of the two organizations in awareness of P.R. efforts for overseas elections by the organizations to which they belonged. The members of the Federation of Korean Associations in Japan got higher mean scores in awareness of the enforcement of overseas elections and intention of participation, and the members of Mindan scored higher in awareness of the influence of their organization on voting participation and the reflection of the opinions of their organization by the Korean government. The differen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장애인단체 회원들의 사회통합 영향 요인 :장애인단체 환경요인을 중심으로

        이강훈 한국장애인복지학회 2012 한국장애인복지학 Vol.- No.19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장애인의 사회통합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의 영향력 분석에 장애인단체의 환경을 추가하여 분석함으로써 장애인 사회통합에 있어 단체의 역할과 기능에 대한 탐색적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장애인단체 회원 장애인의 장애관련 요인, 심리․사회적 요인 등과 함께 장애인단체 환경요인을 추가한 회귀모형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하였다. 장애인단체 회원 장애인 393명 대상의 설문조사 결과, 일상생활 수행능력, 자아존중감, 장애지각 정도,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낙인 등이 사회통합에 유의미한 영향을 보여 심리ㆍ사회적 요인이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력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분석한 단체 환경요인의 4개 하위 요인 중 물리시설환경만이 사회통합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단체 환경요인이 장애인 사회통합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유형에 따른 영향력 분석에서도 지체, 시각, 신장 장애인에게는 장애지각 정도가, 청각ㆍ언어장애인의 경우 자아존중감이 사회통합에 가장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단체 환경요인의 미약한 영향력을 확인시켜 주었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인의 사회통합을 위한 장애인단체의 역할과 함께 지역사회 중심의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affecting social integration among the handicapped who enrolled in associations for the handicapped. Supports from the associations in which they were enrolled additionally analyzed along with demographic, handicap-r elated, and socio-psychological factors. Survey data drawn from 393 handicapped showed that socio-psychological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ocial inclusion. Supports from the associations showed smaller effect than socio- psychological factors. Those findings were not quite different by types of disabilities among the sample.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enhancing rehabilitation strategies for the handicapped in community along with roles of associations for the handicapped.

      • 체육조직 구성원의 학습지향성, 비판적 성찰행동 및 혁신행동의 구조관계

        홍봉성(Bong-Sung Hong),강종구(Jung-Ku Kang) 전북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문제연구 Vol.26 No.2

        이 연구는 스포츠 단체 회원들의 학습 오리엔테이션, 비판적인 성찰적 행동과 혁신적인 행동 사이의 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전북지역 체육단체 종사자를 조사했다. 32개 설문지를 제외한 320개 설문지 중 최종 288개를 통계적으로 관리하고 SPSS 21.0과 Amos 8.80을 통계 분석에 사용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체육단체 회원의 학습지향은 체육단체 회원의 비판적 성찰적 행동에 의의가 있다. 둘째, 체육단체 회원들의 학습지향은 체육단체 회원들의 혁신적인 행동에 의의가 있다. 셋째, 체육단체 회원들의 비판적 성찰적 행동은 체육단체 회원들의 혁신적인 행동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learning orientation,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and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in sports organizations . For this, the employee of sports organizations in Jeollabukdo provinces were surveyed. Except for 32 questionnaires, final 288 out of 320 ones was statistically managed and SPSS 21.0 and Amos 8.80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was as follows. First, the learning orientation of members in sports organizations are significant to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of members in sports organizations. Second, the learning orientation of members in sports organizations are significant to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in sports organizations. Third, the critical reflective behavior of members in sports organizations are significant to innovative behavior of members in sports organizations.

      • KCI등재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의 스포츠 마케팅 역량 강화 방안

        이정학,김보석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022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Vol.27 No.6

        본 연구는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의 스포츠 마케팅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여 체육관련 정부기관과 회원종목단체가 스포츠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한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의견을 수집 및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는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였으며, 체육단체, 학계, 마케팅 업계 종사자로 구성된 총 30명으로 전문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의 스포츠 마케팅 역량 요인을 개인 역량 요인, 조직 역량 요인, 환경 요인으로 구분하였으며, 총 2회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개인 역량 요인의 하위요인은 의지 및 태도와 업무능력으로 구분되었으며, 적극성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각 하위요인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조직 역량 요인의 하위요인은 관리적 역량, 투입 기반 역량, 변혁적 역량, 산출 기반 역량으로 구분되었으며, 임원의 마케팅에 대한 관심과 지원, 마케팅 전문 인력 및 별도 조직 보유, 마케팅의 중요성에 대한 전사적 공감, 국제대회 성적이 각 하위요인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셋째, 환경 요인의 하위요인은 공통적 요인과 개별적 요인으로 구분되었으며, 경제 및 사회적 이슈와 종목 또는 선수의 미디어 노출 빈도가 각 하위요인에서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의 스포츠 마케팅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토대로 회원종목단체의 스포츠 마케팅 역량 강화를 위한 체육관련 정부기관과 회원종목단체가 실행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민단과 재일한인회의 단체 활동 비교

        지충남 대한정치학회 2014 大韓政治學會報 Vol.21 No.3

        이 연구는 민단과 재일한인회 회원을 대상으로 단체활동을 비교 분석하였다. 소속 단체의 구성과 운용에서 활동의 참여, 발전요인, 의사결정의 합리성, 도움의 정도 등 4 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었다. 또한 단체활동, 한인 대표단체, 결속 과 발전에 기여, 일본의 외국인 정책에 대한 영향, 후세대 민족교육, 한인사회 문제해결, 한국 정부와의 교류 등 7개 문항에서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민 단의 평균점이 재일한인회보다 높게 산출되었다. 민단, 재일한인회와 조총련 간 통합은 이념적 분열로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나 민단 과 재일한인회의 통합 가능성은 열려있다. 통합의 시너지(synergy) 효과는 일본정부의 왜곡 주장, 재일동포의 인권 침해 등의 문제를 해소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민단 조직 의 위기를 초래한 요인 중 하나는 조직의 고령화와 젊은 세대의 불참이다. 두 단체 간 통합은 젊은 뉴커머들이 통합 단체에서 활동할 수 있으며, 이는 민단 조직의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여 조직의 활성화를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두 단체의 발전을 위한 내부 조치로는 회원의 증대와 재정력 확보가 필요하다. 첫 째, 민단 회원의 수는 감소하고 있으며, 재일한인회 또한 정체를 보이고 있다. 회원의 증원은 조직의 운영, 재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수이다. 둘째, 회원들이 자율적으로 회비를 납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해야 단체 운영에서 안정적인 재정 확보가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의 평가 제도 변천사

        김미숙 ( Misuk Kim ),김자영 ( Jayoung Kim ),김주영 ( Jooyoung Kim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2021 체육과학연구 Vol.32 No.4

        [목적] 이 연구는 2006년부터 2020년까지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 평가 운영 현황 및 체계 그리고 추이에 대한 비교 분석을 하였다.[방법]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다.[결과] 15년간의 평가는 준비기, 실행기, 구축기 3시기를 통해 발전되었다. 준비기(2006~2009)는 평가 지표 개발 및 운영 체계를 갖추었던 시기였다. 실행기(2010~2016)는 지금의 체계를 갖추었던 중요한 시기였다. 평가 체계 및 운영, 지표 등 지속적인 변화 그리고 체육계에 평가 인식이 확산되었던 시기이다. 구축기(2017~2020)는 대한체육회와 국민생활체육회 통합 이후 평가 체계가 안정적으로 구축되었던 시기였다.[결론] 준비기, 실행기, 구축기를 통해 종목단체들의 조직 관리부터 윤리 경영까지 균형적인 성장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했다. 그리고 평가는 하나의 조직 평가는 물론 한국체육계의 지속적 성장과 변화를 반영하였다.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system, and trend of evaluation and operation of member sports organizations of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from 2006 to 2020. METHODS 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RESULTS The 15-year evaluation was developed through three periods: preparation, execution, and construction. The preparation stage (2006-2009) was when the evaluation index development and operation system were established. The execution stage (2010-2016) is a critical time; when the current system was established. This was when evaluation perception was spread in the sports world and continuous changes such as evaluation system and operation, indicators. Finally, the construction stage (2017-2020) was when the evaluation system was established after integrating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and the National Sports Council. CONCLUSIONS It played a role in promoting balanced growth from organizational management to ethical management of sports organizations through preparation, execution, and construction. Further, the evaluation reflected the continuous development and change of the Korean sports community and one organizational assessment.

      • KCI우수등재

        대한체육회 회원종목단체의 굿 거버넌스 이행수준 비교분석: S4GG 굿 거버넌스 평가모델 적용

        박재우,최윤석,박현욱 한국체육학회 2023 한국체육학회지 Vol.6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not only to evaluate and compare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good governance by the national governing bodies of sport under the Korean Sport & Olympic Committee by applying S4GG(Sport 4(for) Good Governance) Model but also to derive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lementation of good governance by them. The paper evaluates the level of implementation of good governance by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Group ‘가’), the Korea Basketball Association(Group ‘나’), and the Korea Archery Association(Group ‘다’). The three bodies of sport were selected as a subject of study for each evaluation group through a purposive sampling method by considering the criteria for classifying the evaluation group of “Sports Organization Innovation Evaluation”. The paper identifies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results for five principles and 14 detailed indicators. The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organizations should enhance administrative transparency by disclosing data related to budget and finance on their website. Second,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should disclose its own “Code of Ethics” on its website and manage it so that all members comply with it. Third,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and the Korea Basketball Association should establish a system to guarantee stakeholders’ participation and speaking rights by referring to the cases of the Korea Archery Association, and create an open communication atmosphere to freely present opinions and accept critical demands. In particular, the relatively small Korean Archery Association’s overall excellent level of implementation of good governance has great implications for large sporting organizations in the “A” and “B” groups.

      • KCI등재후보

        日帝初期 ‘朝鮮商業會議所令’의 制定과 朝鮮人 商業會議所의 解散

        전성현(Chun Sung-hyun) 한국사연구회 2002 한국사연구 Vol.118 No.-

        Kyungsung Japanese Chamber of Commerce formed an association with other japanese chambers in Chosun, which led to first(190l) to 12th sessions(1913), in an effort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the chambers, or corporation. This was very important in accomplishing objectives of Japanese commercial chambers in Chosun such as the promotion of Japanese business development and the implementation and supplementation of Japanese colonial policies. Kyungsung Japanese Chamber of Commerce did not appeal to be a corporation any longer since 1910. Two commerce chambers in Kyungsung sought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as Chosun became annexed into Japan. Such effort was substantially proceeded, but had no success because Japanese people were considered as foreigners in accordance with "Laws of Private and Public Bodies". Both the chambers resolved to be merged with each other when applicable laws were enacted. The Japanese Empire accepted appeals by Japanese commercial chambers based in Chosun and tried to enact the Law of Commercial Chamber that could comply with their colonial policies. Prior to the enaction, the Japanese Empire abolished laws which defined Japanese people as foreigners and modified local administrative systems. Then in 1915, the Law of Chosun Commercial Chamber were created and pronounced. Although it was an outcome of the acceptance of appeals by Japanese commercial chambers located in Chosun, the Law of Chosun Commercial Chamber was also a system through which the imperialist Japan controlled the economy of their colony. Through the system, Japan attempted integration between two chambers of commerce set up by Chosun and Japanese people, respectively and conversion of such integrated chamber into a public body whose business range was restricted according to applicable laws only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Then the imperialist Japan tried to control and supervise such public body to prevent it from developing into a political movement with no compliance with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Further, the Japanese Empire wanted newly established chambers of commerce to be not only an establishment for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but also an autonomous body of each region. All these intents and objectives pursed by Japan were reflected and represented directly in the law. To govern their colony effectively. Japan organized Chosun Commercial Chamber mainly with Japanese people and tried to attract some businessmen of Chosun. Concerning qualification for chamber membership, the number of chamber members and designation of chairman and vice chairmen, the Japanese Empire clearly and apparently discriminated the members according to their nationality, Chosun and Japan. Under the law mentioned above, rights of commercial chambers in Chosun were dramatically reduced and forced to do activities in passive ways, ultimately adapting themselves to economic policies made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This was implemented through the passive definition of the business range of the chambers. The Law of Chosun Commercial Chamber made Chosun and Japanese commercial chambers around this nation face risks of being restructured. Commercial chambers by businessmen whose nationality was Chosun in traditional areas of the development of commerce and industry were firstly closed by the imperialist Japan because they were not located in cities. Chosun and Japanese commercial chambers in cities were encouraged to be united into one. There were Kyungsung Commercial Chamber and Kyungsung Japanese Chamber of Commerce in Kyungsung. Both of the chambers jointly orgnized the meeting of prornoters(63 Japanese and 50 Chosun people). The Janpanese promoters prepared the articles of association that was advantageous only to themselves. The articles was easily passed by the meeting. The articles were also approved by qualified chamber members and then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