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箕子전승의 형성과 단군 신화에의 편입 과정

        김남중(Kim, Nam-Jung) 고려사학회 2016 한국사학보 Vol.- No.65

        이 논문은 箕子전승이 언제 형성되었으며 『삼국유사』에 제시된 단군 신화 안에 기자 전승이 유입된 시기 및 배경을 고찰한 것이다. 먼저 고조선 지역에서 일어난 세력들의 자기 인식을 토대로 고조선인들이 천신이나 선인의 후예라는 인식을 지녔음을 살필 수 있었다. 반면 『고기』류 단군 신화상의 기자는 단순히 周王에 의해 봉건된 제후의 모습으로만 나와 토착 세력들이 지닌 王者의 조건을 지닌 인물로 묘사되어 있지 않다. 기자 전승은 고조선인들이 보편적으로 지니고 있던 시조 전승과는 거리가 멀다는 점에서 고조선 시기에 단군 신화에 편입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기자 전승은 漢代문헌에서 나오기 시작하는데, 고조선 시기에 존재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는 어렵다. 『위략』에 기원전 4세기 말에 朝鮮侯가 稱王을 하고 燕과 군사적 충돌 직전까지 갔던 내용이 나온다. 이때 대부 禮가 연에 가서 燕王을 설득하여 전쟁을 막았는데, 기자전승은 이 과정에서 대부 예에 의해 각색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기자동래설이 고조선 사회에 확산되어 있었던 것은 아니고 對燕외교를 이끌었던 대부 예로 언급된 세력 안에서만 언급된 정도로만 보인다. 『고기』류 단군 신화상에 나타난 기자의 모습에서 낙랑군 통치 시기나 고구려 시기에도 기자 전승이 단군 신화에 편입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기자의 이주는 단군의 藏唐京이주와 연결되어 있다는 점과 황해도 信川[儒州] 지역에 거주하던 고조선 계승 세력의 전승이 반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즉 고조선의 도읍으로 알려져 왔던 평양이 아닌 신천 일대가 단군의 도읍이 된 배경을 설명하기 위해서 기자 전승이 단군 신화에 편입된 것으로 보인다. 편입 시기는 고구려 멸망 이후 평양 일대는 황폐화되고 황해도 일대는 무정부 상태나 다를 바 없게 되었던 통일신라 시대로 보인다. This paper examined the Jizi(箕子) lore when was formed and how incorporated in Dangun myth of Samguk Yusa(三國遺事). First, studied the self-awareness of forces grew up in Old Joseon area, these led that Old Joseon people had been proud descendant of the heavenly gods(天神) or hsien(仙人). On the other hand, Jizi was depicted the feudal princes by king of zhou(周) in Dangun myth of Goki(古記), it was far from the image of king having had the Natives. It showed that the incorporation time of Jizi lore into Dangun Myth was not Old Joseon period. Jizi lore appeared for the first time in documents of Han(漢) dynasty, it could not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the lore had existed in Old Joseon period. Weilue(魏略) had written the story that the head of Old Joseon was referred to the king himself, went until just cause military confrontation with Yan(燕) state in the late 4th century B.C. Then Daebu(大夫) Ye(禮) went to Yan and prevented a war to persuade the king of Yan, it is possible that Jizi lore was created by Daebu Ye at this time. However, it is estimated ‘the theory of Jizi’s migration to korea(箕子東來說)’ had not spread in Old Joseon, but only talked in the forces of Daebu Ye who led the Yan diplomacy. Seen from the image of Jizi in Dangun myth mentioned in Goki (古記), the incorporation time of Jizi lore into Dangun Myth was not Nakrang Gun(樂浪郡) or Goguryeo period also. Jizi’s migration to Old Joseon was connected with Dangun’s migration to Jangdanggyeong(藏唐京), it showed that the Jizi lore was related to a legend of Old Joseon descendants lived in Hwanghae-Do Shincheon(信川)[Yuju(儒州)] area. The record seems to be incorporated in order to explain why not Pyongyang but Shincheon area associated with Dangun. The incorporation time is estimated to be Unified Silla period when Pyongyang had been devastated and Hwanghae-Do area had been not different from the anarchy.

      • KCI등재

        북한지역의 단군 관련 유적과 전승

        조원진(Cho, Won-Chin) 고조선단군학회 2020 고조선단군학 Vol.43 No.-

        북한지역의 단군관련 유적 및 전승은 평양, 묘향산, 구월산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평양에는 단군의 무덤으로 전하는 ‘단군릉’과 단군에 제사 지내던 사당인 ‘숭령전’ 등의 유적이 있다. 북한학계는 단군릉 발굴 이후에 단군조선초기라고 주장하는 유적의 발굴성과를 발표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토대로 북한학계는 평양지역을 단군이 태어나고 도읍한 지역으로 보고 있다. 반면 남한학계에서는 고조선의 초기 도읍지를 요서지역 혹은 요동지역으로 보고 있으며 평양지역은 고조선의 후기 도읍으로 보는 견해가 많다. 한편 북한학계는 단군릉 발굴 이후 평양지역을 중심으로 단군에 대한 다양한 구전 자료를 발굴하였다. 특히 문헌자료에 거의 전하지 않는 단군이 평양일대의 여러 집단을 복속시키는 과정이나 단군의 왕후·아들·신하와 관련된 다양한 전승이 채록된 점은 주목할 만하다. 하지만 구체적인 채록 시기나 과정 등은 공개되지 않았다. 묘향산에는 단군이 태어난 ‘단군굴’ 등 대부분 단군의 출생과 그가 평양에 도읍하기 이전의 활동과 관련된 유적과 전승이 전한다. 이것은 태백산(묘향산)은 단군의 탄생지이며 단군이 도읍한 곳은 평양으로 구분하는 『三國遺事』의 『古記』 기록과도 유사한 부분이 있다. 또한 구월산에는 환인·환웅·단군을 모신 사당인 ‘삼성사’가 있으며 고조선 3번째 도읍인 ‘장당경(장장평, 당장경)’이라 전하는 유적 등이 있다. 구월산 지역은 단군의 마지막 모습을 전하는 유적과 전승이 전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평양지역과 달리 묘향산과 구월산 지역은 실제 역사적으로 고조선 도읍과 직접 관련된 지역으로 보기는 어렵다. 그럼에도 다양한 유적과 전승이 전하고 있다. 향후 북한 지역에서 단군과 관련된 유적과 전승이 언제 등장하여 확산되었는지에 대해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남북학계가 공동으로 관련 유적과 전승을 조사하고 연구할 필요가 있다. The remains and traditions related to Dangun in the North Korea region are concentrated in the areas of Pyongyang, Myohyang Mountain and Kuwol Mountain. In Pyongyang, there are remains including the ‘Dangun Tomb’, which has been passed down as the tomb of Dangun, and the Sungryong Hall, which is a temple where ancestral rites were held for Dangun. Since the excavation of the Dangun Tomb, North Korean academia has released excavation results of the remains they claim to be a part of the Dangun era. Based on these materials, North Korean academia views the Pyongyang area to be the area where Dangun was born and where he set up as his capital. On the other hand, South Korean academia tends to view the Liaodong or Liaoxi area to be the early capital area of Old Joseon and the Pyongyang area as the later capital of Old Joseon. Meanwhile, North Korean academia excavated a variety of orally transmitted material about Dangun centering on the Pyongyang area after the excavation of the Dangun Tomb. What is noticeable in particular is the process of how Dangun subjugated several groups in the Pyongyang area, which is something the literary materials almost do not transmit at all. Also noticeable is the records of various traditions concerning the sons and courtiers of Dangun. However, a detailed period or process of the records has not been disclosed. Myohyang Mountain mostly offers remains and traditions related to Dangun’s birth including the ‘Dangun Cave’ where he was born and his activities before moving the capital to Pyongyang. This corresponds to the records of Samgukyusa and Gogi which distinguish between the birthplace of Dangun namely Taebaek(Myohyang) Mountain, and the place he chose as his capital, Pyongyang. Furthermore, in Kuwol Moutain, there is ‘Samseong Temple’, which worships Hwanin, Hwanung, and Dangun, as well as remains that transmit the tradition that ‘Jangjangpyong(Jangdanggyeong)’ was the third capital of Old Joseon. The Kuwol Mountain area is characterized by its transmission of remains and traditions related to the last appearance of Dangun. However, unlike the Pyongyang area, it is difficult to view the Myohyang Mountain and Kulwol Mountain area as being directly related historically to the capital of Old Joseon. Thus, it is necessary to review in detail when these remains and traditions related to Dangun in the North Korea region first appeared and how they spread. To achieve this,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a must jointly investigate and research the relevant remains and traditions.

      • KCI등재

        고려~조선시대 단군 전승의 변형과 확대, 그리고 역사화 과정

        吳江原(오강원) 고려사학회 2014 한국사학보 Vol.- No.56

        단군신화와는 별개로 단군 및 단군조선에 관한 전승은 이와 관련한 최초의 기록이 확인되는 12세기 중엽부터 19세기 말까지 꾸준하게 확대되었다. 이러한 확대된 전승은 조선 초기까지만 해도 정사와 귀족들의 저작에서 채용되지 않다가 15세기 중엽 이후 관찬 지리지와 최고위 귀족층 저작의 단군ㆍ단군조선 관련 서술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여 일제에 의해 국권이 상실된 20세기 초에는 대종교 계열 인사들의 저작물에서 정점을 이루어 47대에 이르는 역대 단군의 이름과 재위 연수 및 치적, 심지어는 환인시대와 환웅시대의 국가와 역대 군왕들의 이름과 재위 연수 등이 언급되기에까지 이른다. 그러나 이러한 전승은 고려시대 일연 등이 단군 관련의 기록을 남길 때 확실한 사료로 인정할만한 것들이 거의 없었다는 점과 이러한 전승이 역사적 사실로 채용된 시점 이전의 어떤 사서에도 확인되지 않는 등 사료적 근거가 없는 것들이라는 점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 이들 확대된 단군 전승은 도가류의 도참서와 저작물, 그리고 민간전승을 중심으로 해서 여기에 후대 일부 유교 지식인들의 유추와 윤색에 의해 이루어졌는데, 대부분 확대 배경과 맥락이 추적 가능하다. 아무튼 확대된 단군 전승은 종교와 정신사적 측면에서 평가될 부분이 있지만, 역사적 사실과는 구분되어져야만 한다. Apart from the Tangun myth, the transmissions of Tangun and Tangun Joseon have been steadily expanded from the first mention in historical records in the mid 12th century until the late 19th century. These expanded transmissions were not adopted in the standard histories or the writings of aristocrats even in the early Joseon period, however during the mid 15th century and afterwards, they began to have an influence on government published geography treatises and the Tangun and Tangun Joseon related writings of the highest ranking aristocrats and after the annexation by Japan in the early 20th century, reached it"s pea in the writings of Taejongkyo affiliated figures, mentioning the names, reign periods and achievements in state affairs of successive Tanguns of 47 generations and even mentioning the states, names of sucessive rulers, reign periods etc. of the Hwanin and Hwanung periods. However these transmissions have serious problems in that when during the Goryeo period when Ilyon and others were leaving Tangun related records there were almost no verifiable historical materials and that before the point in time when these transmissions were adopted as historical fact these transmissions are not confirmed in any historical documents and have no historical basis. These Tangun transmissions are made up primarily of Taoist prophesy and literary works and folklore with the addition of later interpretations and embellishments by Confucian scholars and the background of most of these expansions and their contexts can be traced. In any case, these expanded Tangun transmissions can be evaluated from the standpoint of religion and spirituality but must be differentiated from historical fact.

      • KCI등재

        檀君傳承과 檀君墓-고려시대 단군묘 전승에 대한 가능성 모색-

        김성환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0 No.28

        Asadal mountain god and Tangun’s tomb of the transmission about Tangun’s death are separate story. We can’t believe that two place are the same. The Mt. Asadal is the another name of Mt. Guwol in Hwanghae province, North Korea and the place of the tomb is Pyongyang, the first capital of Old Jeosun in Pyongan province of North. The relation of the two transmission is not supplementary but conflict. It’s possible that the transmission on the Tangun’s tomb was already handed down in Koryo period at Pyongyang area. The geomancer made use of the Tangun transmission politically before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Maybe Some of them had recognition of Tangun who was the founder of Old Jeosun. They could were understanding of a lineage cognition from Tangun or Hwanin, Hwanwung to them as their ancestor. Tangungi and Tangunbongi would be the materials which related with some of the geomancer. They came close to his death in the point of view as historical person. It was settled on the transmission of his tomb. Probably we could guess that the time is about worked Tangungi and Tangunbongi or formed the transmission of Kija’s tomb. 단군묘 전승이 고려시대 이미 평양 일대에서 전해지고 있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고려 전중기 단군전승이 도참사상에 연계되어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볼 때, 선가 또는 도참사상을 지닌 일부계층에서는 고조선의 시조로서 단군에 대한 인식이 있었을 것이다. 그들은 단군 혹은 그 선계로서 환인, 환웅부터 자신들까지의 계통의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고, 『단군기』와 『단군본기』 역시 그들과 관련한 자료가 아닐까싶다. 이들은 단군의 최후를 보다 역사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가능하게 했고, 그것이 단군묘 전승으로 귀결되었을 것이다. 그 시기는 구체적이지 못하지만, 『단군기』와 『단군본기』 등이 저술되던 전후, 또는 기자묘 전승의 형성과 비슷한 때로 추측할 수 있다.

      • KCI등재

        檀君傳承과 檀君墓 : 고려시대 단군묘 전승에 대한 가능성 모색

        김성환(Kim Sung-hwan) 한국역사민속학회 2008 역사민속학 Vol.28 No.-

        단군묘 전승이 고려시대 이미 평양 일대에서 전해지고 있었을 가능성은 충분하다. 고려 전중기 단군전승이 도참사상에 연계되어 정치적으로 이용되고 있음을 볼 때, 선가 또는 도참사상을 지닌 일부 계층에서는 고조선의 시조로서 단군에 대한 인식이 있었을 것이다. 그들은 단군 혹은 그 선계로서 환인, 환웅부터 자신들까지의 계통의식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고, 『단군기』와 『단군본기』 역시 그들과 관련한 자료가 아닐까싶다. 이들은 단군의 최후를 보다 역사적인 측면에서의 접근을 가능하게 했고, 그것이 단군묘 전승으로 귀결되었을 것이다. 그 시기는 구체적이지 못하지만, 『단군기』와 『단군본기』 등이 저술되던 전후, 또는 기자묘 전승의 형성과 비슷한 때로 추측할 수 있다. Asadal mountain god and Tangun's tomb of the transmission about Tangun's death are separate story. We can't believe that two place are the same. The Mt. Asadal is the another name of Mt. Guwol in Hwanghae province, North Korea and the place of the tomb is Pyongyang, the first capital of Old Jeosun in Pyongan province of North. The relation of the two transmission is not supplementary but conflict. It's possible that the transmission on the Tangun's tomb was already handed down in Koryo period at Pyongyang area. The geomancer made use of the Tangun transmission politically before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Maybe Some of them had recognition of Tangun who was the founder of Old Jeosun. They could were understanding of a lineage cognition from Tangun or Hwanin, Hwanwung to them as their ancestor. Tangungi and Tangunbongi would be the materials which related with some of the geomancer. They came close to his death in the point of view as historical person. It was settled on the transmission of his tomb. Probably we could guess that the time is about worked Tangungi and Tangunbongi or formed the transmission of Kija's tomb.

      • KCI등재

        단군신화에 관한 문학적 연구 현황과 전망

        김기호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2 민족문화논총 Vol.52 No.-

        This study is to inquire into the current status and the prospect of the literary studies on Dangun Myth, which are differentiated from other studies such as historical, philosophical, and ideological studies. By making about the genuine 60 literary studies as an object of study which have been issued until now,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by years and by subjects. It is shown that the precedent studies are categorized into 10 subjects, and that full-fledged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since 1990s. The 10 categorized subjects are ① perspective of literary history, ② perspective of literary education, ③ embryological perspective, ④ perspective of acceptance, ⑤ perspective of contents, ⑥ perspective of multiculture, ⑦ perspective of textual structure, ⑧ perspective of comparative myth, ⑨ perspective of bibliotherapy ⑩ perspective of translation. The studies of ①, ③, ⑦ intend to find out the literary essentials of the text of Dangun myth, which are named <type of essentials> in this study. The studies of ④ intend to investigate what influences the text of Dangun myth have on documentary literature or further transmission, and how the text was accepted, which are named <type of transmission>. The studies of ②, ⑤, ⑥, ⑧, ⑨, ⑩ intend to inquire into the present use of Dangun myth, which are named <type of practical use>. It is found out that the numbers of studies included in <type of transmission> and <type of practical use> are more than those of studies of <type of essentials>. The difference in number is diagnosed as an inverted phenomenon, in that the studies of <type of transmission> and <type of practical use> are carried out under the basis of achievements of <type of essentials>. In order to overcome the inverted phenomen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studies on what the literary essentials of Dangun myth are in the studies of <type of essentials> more deeply. And also, it is proposed that the results and achievements of the studies on the literary essentials should be ultimately converged into a unified literary history. In case of <type of transmission>, it is necessary to carry out the studies on the methods or research tools to examine out the influence or acceptance of Dangun myth. The structuralistic method is proposed as an example. On the other hand, it is proposed that field research should be made out because Dangun myth is a recorded document but originally orally-transmisoned literature as the spoken correlative. Lastly, in case of <type of practical use>,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Dangun myth by way of active absorption of the achievements of <type of essentials>, <type of transmission> and also continual studies to make the achievements into a content through various media. 본 연구는 역사적, 철학적, 이념적인 연구와 같은 여타의 연구와 구별되는 단군신화에 대한 문학적 연구들의 현황과 전망을 연구한 것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발표 된 약 60여 편* 영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교수연구자의 자료 수집 한계로 누락된 논문도 있을 수 있는 만큼 60여 편이 문학적 관점에서 이루어진 단군신화 연구의 모두라 말하기는 어렵다. 다만 60여 편은 통계적으로 전체의 경향을 보여줄 수 있는 유의미한 수라고는 할 수 있다. 의 순전한 문학적 연구들을 대상으로 삼아 관점별, 연도별 현황을 탐구한 것이다. 선행 연구들은 10여 개의 관점으로 카테고리화가 되고 또한 90년대 이래로 본격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음이 드러났다. 10여 가지로 유형화된 관점으로 ① 문학사의 관점, ② 문학교육의 관점, ③ 발생학적 관점, ④ 수용의 관점, ⑤ 콘텐츠의 관점, ⑥ 다문화의 관점, ⑦ 텍스트 구조의 관점, ⑧ 비교신화의 관점, ⑨ 문학치료의 관점, ⑩ 번역의 관점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들 10가지 관점 중 ① ③ ⑦은 연구자가 단군신화 텍스트의 문학적 본질을 밝히고자 하는 의도를 보인 연구들이다. 이들을 <본질형>이라 명명하였다. ④는 단군신화의 텍스트가 후대 전승 혹은 기록 문학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혹은 수용되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이는 연구들이다. 이들을 <전승형>이라 명명하였다. ② ⑤ ⑥ ⑧ ⑨ ⑩은 단군신화의 현재적 활용을 연구하고자 하는 의도가 보이는 연구들이다. 이들을 <활용형>이라 명명하였다. 그런데 이들 세 유형들은 쟁점별 문제 해결의 노력이 뚜렷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본질형>보다 <전승형>과 <활용형>에 속하는 연구들이 양적으로 더 많은 수를 보였다. <전승형>과 <활용형>에 속하는 연구들이 <본질형>의 연구 성과를 기반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연구순서로 보아 이를 전도된 현상이라 진단하였다. 이러한 문제들이 극복되기 위해서 먼저 <본질형>에서는 단군신화의 문학적 본질이 무엇이냐에 대한 연구가 심층적으로 그리고 다각도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아울러 이러한 문학 본질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궁극적으로 통합된 문학사로 수렴되어야 한다고 제안하였다. <전승형>에서는 단군신화의 영향 혹은 수용을 밝히기 위한 방법에 관한 연구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이를 위한 한 예로 구조주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한편 단군신화가 기록된 것이기는 하나 원래는 구술상관물로서 구비전승문학이기 때문에 단군신화에 대한 현장 조사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분야와 콘텐츠로서의 활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전승형>과 <본질형>의 연구 성과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면서 동시에 다양한 매체를 통한 콘텐츠화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 단군신화 인식에 대한 역사적 고찰

        김명옥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3

        이 글은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남·북한에서 단군신화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연구다. 일제식민사학자들은 식민지배이데올로기로서 일선동조론을 창안한다. 한편 시라토리 구라키치는 일본 국체가 다른 나라의 영향 없이 유구한 존재로 형성되었다는 논리를 보증하기 위해 일선동조론을 비판하고 단군부정론을 만든다. 단군부정론은 두 가지다. 단군은 고려시대 불교의 영향을 받아만들어진 신화라는 것과 다른 하나는 주몽전설의 이본이라는 주장이다. 이에 민족사학자들은 단군부정론을 비판하며 역사적 실체로서 단군을 연구하기 시작했다. 해방 후 북한은 1960년대 초에 고조선의 중심지와 강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고, 그 과정에서 단군신화도 연구되었다. 북한은 고조선의 건국신화로 단군신화를 인식했다. 그러나 90년대 사회주의권의 몰락으로 우리식 사회주의를 창안하면서 북한은 고조선의 중심을 평양으로, 고조선 건국시기를 30세기로 끌어올려정치적으로 이용하였다. 반면 남한의 강단사학계는 일제식민사학자들이 창안한 단군부정론을 그대로계승했다. 단군신화가 주몽설화 이본이라는 설과 묘향산의 산신 연기설화 혹은불교의 영향설을 그대로 추종한다. 한편 ‘단군의 역사성’이란 말로도 단군부정론을 호도했다. 고려와 조선시대에 이민족의 침략과 일제강점기처럼 나라와 민족이 위기에 처할 때마다 단군을 중심으로 결집하는데, 이것이 단군의 역사성이라는 것이다.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단군신화가 국가의 위기 때마다 호명되어 전승되는 것을 ‘단군의 역사성’이라고 한다. 강단사학계가 주장하는 ‘단군의 역사성’ 은 만들어진 단군신화가 ‘시대에 따라 어떻게 인식되었는가’, 즉 ‘단군신화 전승사’를 단군의 역사성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단군부정론과 고조선 영역축소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중심으로-

        오현수 한국고대학회 2022 先史와 古代 Vol.- No.69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Japan sought to find the legitimacy of the Korean peninsula rule by distorting Dangun and Dangun Joseon. Japanese scholars who led the distortion of history of Dangun and Dangun Jose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clude Oda Shogo and Imanishi. Oda Shogo said that Dangun myths were fabricated by Buddhist figures in the late Goryeo period and there was no related record before that. The Dangun myths described in the Samguk Yusa are accompanied by Buddhist, but this happens naturally because the recorder, Ilyeon, was a monk. Anyone can reflect their personal perception, feelings, and ideological background when describing history books.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Dangun myths contains not only Buddhism but also Taoism, Confucianism and traditional religious elements.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of Dangun myth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the fields of mythology, archaeology and literature. There were studies on the bear totem mythology, ancient mother mythology, the mural paintings of Goguryeo tombs in the Jian area, and the faith of 'Jecheon and Jeho' in Dongye. On the other hand, Imanishi Ryu said that Joseon was overwhelmed by the forces of the Yan Dynasty and retreated to the south of the Daedong River, and Yan and Jin occupied the north of the Daedong River. He is a complete disregard for the history of Gojoseon. However, the fact that Gojoseon already existed before the Gojoseon-Yan war has been proven in literature and archaeological studies. The record of 'Baljoseon' described in Guanzi and the non-wave-like bronze sword culture in northeast China tell the historical situation of Gojoseon before the Chosunhou' rule period. And the boundary between Gojoseon and Yan is the manpanha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anishi Ryu's view to limit the area of Gojoseon to some parts of the northwest of the Korean peninsula is wrong. Japanese scholar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had no interest in restoring the history of Dangun, Dangun Joseon, or Gojoseon. Today, Korean historians can say that most of the remnants of colonial history have been liquidated, but the critical review of Japanese scholars' distortion of history should continue in the future.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사 왜곡을 통해 한반도 통치의 정당성을 찾고자 하였다. 통칭 ‘식민사관’으로 통하는 역사작업 중 일제가 매우 중요하게 취급한 분야는 단군과 단군조선에 대한왜곡이었다. 이 작업에 가장 앞장섰던 일본인 학자로는 오다 쇼고와 이마니시 류를 들 수 있다. 오다 쇼고의 단군전승에 대한 언급 중에서 주목해서 검토할 만한 주장은 고려 후기 불교계인물이 날조했다는 것, 충렬왕 이전에 단군전승에 대한 기록이 있었다는 증거가 없다고 말한부분이다. 우선, 오다 쇼고의 주장처럼 『삼국유사』에 기술된 단군전승에는 불교적 윤색이 가미되어 있다. 그렇지만 이것은 『삼국유사』의 기록자가 일연이라는 승려였기 때문에 생긴 것이다. 누구라도 역사서를 기술할 때 자신의 개인적 인식이나 감정, 사상적 배경이 반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삼국유사』 이전에 단군전승을 기록한 문헌이 없다는 점에 대해서는 우리 학계에서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신화학, 고고학, 문헌학 방면에서 이를 극복할만한 많은 연구 업적들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마니시 류는 조선이 전국시대에 연나라의 세력에 압도되어 열수, 즉 대동강 남쪽까지 후퇴했고 연나라와 진나라는 대동강 북쪽까지 점유했다고 하였다. 그리고 그 이전 고조선의역사는 철저히 무시되었다. 그렇지만 고조선-연나라 항쟁 과정 이전에 고조선이 이미 존재했다는 것은 문헌과 고고학 방면의 연구에서 입증되고 있다. 『관자』에 기술된 발조선과 아울러중국 동북지역의 비파형동검문화는 춘추시대 혹은 전국시대 초반 고조선의 존재를 알려준다. 그리고 고조선과 연나라의 경계에 대해서는 『위략』에서 만번한이라고 기술하고 있다. 현재만번한은 문현과 번한현의 합성어로 보고 있는데, 이는 『한서』 「지리지」의 <요동군>조에 나오고 있다. 그리고 연나라의 침입 이전 고조선은 요동 지역에서 정가와자유형의 문화를 기반으로하였다는 점에서 고조선의 영역을 한반도 서북부 일부 지역으로 한정하려는 이마니시 류의견해는 잘못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은 단군과 단군조선 혹은 고조선에 대한 역사 복원에는 아무런관심이 없었다. 오로지 식민사관에 입각하여 단군조선의 역사성을 부정하고, 이 또한 연나라와 항쟁하던 전국시대 후반의 사실만을 인정하는 선에 그치고 있다. 오늘날 고조선사학계는식민사학의 잔재를 대부분 청산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인 학자들의 역사 왜곡에 대한 분석과 비판적 검토 작업은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실시되어 고조선사의 진면목이 더욱 부각되었으면 한다.

      • KCI등재

        일본 근대기 단군전승의 전설화 작업에 대한 비판적 검토

        오현수 한일관계사학회 2023 한일관계사연구 Vol.80 No.-

        일제강점기 전후 일본인 고대사 학자들은 한국사 역사왜곡의 일환으로 단군전승과 고조선사를 부정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건국신화로서의 단군전승을 부정하였고, 이를 후대시기에 창작되었거나 혹은 일종의 구전된 전설을 엮어 고려시대에 기록으로 남겼다는 것이다. 우선, 일제강점기를 전후로 한 대표적인 일본인 사학자인 시라토리 쿠라키치, 미우라 히로유키, 다카하시 토오루, 오다 쇼고, 이나바 이와키치, 아오야기 난메이, 이마니시 류 등이 주장하는 단군전설론를 파악해 보았다. 이들이 말하는 단군전설은 고려시대의 승려 일연이 당시의 황당무계한 전설을 채록하여 창작했다는 것이다. 반면에 자국 일본에서 전하는 기기(記紀) 신화는 일본의 건국신화로서 당시 일왕가와 각 지역의 역사를 반영한 것으로 보았다. 기기 신화는 형성된 당시 사람들의 사상, 신념, 풍속, 습관, 정치상의 상태에 대한 기록으로 사실일 수 있다고 본 것이다. 건국신화는 한 국가의 성립 과정을 전하는 신화이다. 일본인 학자들은 자국의 전승에 대해서는 건국신화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는데, 그들은 20세기 전반기 신화의 유무가 문명의 척도라고 여겼기 때문이다. 그런데 단군전승에는 일반적인 한국 고대국가의 건국신화적 요소들이 여럿 보인다. 단군전승은 단군의 출생, 건국과 천도, 어국, 최후, 수명을 포함함으로써 내용의 완결성을 갖추고 있다. 그리고 이야기의 배경이 국가인가의 문제가 있고, 건국자의 개국 활동을 지원해주는 신하가 등장하며, 나라를 통치하는 형벌이 만들어지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한국고대의 건국신화에는 국가 개창의 주체세력이 이주민 세력이며, 주체의 핵심 인물이 하늘 혹은 신성한 곳, 좀 더 발달된 문화 환경에서 새로운 미개척지로 이동해가는 모습을 보여준다. 다음으로 고대국가의 건국신화의 주인공들은 신적 존재, 나라를 건국한 신성한 존재라는 점과 아울러 일반적인 한국의 초기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제사장과 통치자가 일치하는 제정사회의 모습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건국신화적 요소를 띄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단군전승의 건국신화적 요소는 수없이 연구되어 온 바 있다. 이제는 단순한 학술적 차원을 넘어서 이를 국제적으로 홍보하고 보급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우리만의 담론이 아니라 국제적 차원에서 건국신화로서의 단군전승이 받아들여진다면, 일본에서의 역사왜곡은 설 자리를 상실하게 될 것이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