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 연구

        이병옥 한국실천신학회 2024 신학과 실천 Vol.- No.88

        다음세대의 선교가 시급한 현실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면서, 연구자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의 안과 밖에서의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이 연 구는 세대담론이 주는 긍정적인 측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다음세대에 대한 다각 적인 이해를 통해서 교회 안팎의 다음세대를 위한 그리고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선교 방안을 모색했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 세대’와 ‘다음세대’란 표현을 구분한다. 전자는 단순한 순서를 표현하는 것이라면, 후자는 특정한 구체적 세대를 말하는 것이다. 따라 서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지금 여기에 살고 있는 구체적인 세대를 강조하고자 ‘다음 세대’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또한 연구자는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교회 안과 밖을 의 도적으로 구분했다. 일반적으로 선교를 교회 밖에서 행하는 교회의 활동이나 프로그 램으로 규정하지만,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는 선교를 교회의 본질과 정체성으로서 이 해하면서 선교가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되는 것을 강조한다. 따라서 모든 교회는 하나 님의 선교에 참여하도록 사명을 받았지만, 교회마다 자신이 처한 상황에 따라 하나님 의 선교에 대한 이해가 다를 수 있고, 참여하는 방식도 다를 수 있다. 이 선교적 교회 의 관점에서 보자면, 교회의 다음세대의 선교는 교회 안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동시에 교회마다 처한 교회 내외의 상황이 다르기에 다음세대의 선교방 안이 다 다를 수밖에 없다. 이 연구는 다음세대가 교회학교 학생에 국한되지 않고, MZ세대, 미래세대, 청년세 대, 디지털 세대 등을 포함하는 만큼 그 연령대의 폭이 넓고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이 세대 가운데 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따라서 연구 자는 교회 안의 다음세대의 선교방안으로 ‘교육과 예배의 공간으로서 가정을 회복하 기,’ ‘다음세대가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정서적/물리적 공간을 만들기,’ ‘교회만의 고유성과 다양성을 만들기,’ ‘디지털 세대의 언어와 문화로 소통하기’를, 교회 밖의 다 음세대의 선교방안으로 ‘다음세대로 다음세대를 선교하게 하기,’ ‘디지털 세상에서 선 교하기,’ ‘협력 네트워크를 활용하기,’ ‘다음세대의 아픔에 공감하고 공명하기’ 등을 제 안했다. 결론적으로 선교적 교회 관점에서 볼 때, 다음세대의 선교는 각각의 교회가 다음세대에 대한 자신의 이해를 가지고서 다음세대를 위한 선교와 함께 다음세대와 함께 하는 선교로 나아가야 한다. Taking seriously the reality that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is urgent, the researcher sought to find missional approaches to the next generation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is study actively utilized the positive aspects of generational discourse through a multifaceted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to develop missional plans for and with the next generation. In this study, the expressions ‘a next generation’ and ‘the next generation’ are used separately. The former expresses a simple sequence, while the latter refers to a special, specific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paper, the researcher uses the expression ‘the next generation’ to emphasize the specific generation living here and now. Additionally, the researcher intentionally distinguished between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Although missions are generally regarded as church activities or programs carried out outside the church, in light of the missional church, mission is understood as the essence and identity of the church since the triune God is the subject of mission and, as such, mission begins within the church. Therefore, every local church is to participate in God’s mission, but each of them may have a different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God’s mission in its own context. It is natural that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of the church begins from within the church. However, at the same time, because the situations inside and outside the church are different for each church,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are bound to be different. This study found that the next generation is not limited to Sunday school students, but also include the MZ generation, future generation, youth generation, digital generation, etc., showing that the age range is wide and that there are socially and culturally diverse people among this generation. Based on this, the researcher suggested that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within the church were to ‘recover the home as a space for education and worship,’ ‘create an emotional/physical space where the next generation can actively participate,’ ‘create originality and diversity unique to the church,’ and ‘communicate through the language and culture of the digital generation,’ and missional plans for the next generation outside the church were to ‘enable the next generation to do missions for the next generation outside the church,’ ‘do missional activities in the digital world,’ ‘utilize cooperation networks,’ and ‘empathize with and resonate with the pain of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from a perspective of the missional church, the mission of the next generation requires each church to have its own understanding of the next generation and develop not only mission for the next generation but also mission with the next generation.

      • KCI등재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한 선교 방안

        민장배,이수환 한국실천신학회 2020 신학과 실천 Vol.0 No.68

        한국교회가 해외선교사 파송 두 번째 국가가 되었음에도 전략적 선교보다는 관계 중심, 장년 중심, 성과주의 등으로 많은 역기능(dysfunction)을 초래하고 있다. 물론 한국교회의 다음 세대는 감소하고 있지만 유치부 과정에서부터 고등학생과정까지 교 육기관을 설립하여 신앙교육을 하고 있다. 이는 매우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 한 교육과정을 지식전달이 아니라 신앙교육까지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는 것 또한 하 나님께서 기뻐하시는 사역으로 여겨진다. 다만 교회 지도자들이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다음 세대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를 위해 헌신하도록 방향성이 더 분명해지기를 바란다. 예수님도 지상 사역 가운데 땅 끝까지 복음이 전파되기를 바라시며 신앙교육 을 실시하셨다. 초대교회도 핍박 가운데서 가르침과 전도하기를 쉬지 않고 실천하였 다. 바울 역시 지속적으로 신앙교육을 바탕으로 복음이 땅 끝까지 전해지도록 자신의 생명조차도 조금도 아끼지 않고 헌신하였다. 초기 한국교회도 선교사들이 다음 세대 를 바라보며 교회에서 실시한 교육과 함께 교육기관을 설립하여 신앙교육을 실시하여 복음이 땅 끝까지 전해지도록 사명을 감당했다. 이제라도 한국교회는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해 효과적으로 복음이 땅 끝까지 전 파되도록 선교에 대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 복음은 변하지 않지만 복음을 전하 는 사명자와 그 복음을 받는 대상은 다른 문화 가운데 있기 때문에 다음 세대 신앙교 육을 통한 선교는 전략적이어야 한다. 선교는 교회의 특별한 활동이 아니라 본질적 기능이다. 시대에 따라 다양한 문화에 익숙해지고, 가치관이 변하지만 선교는 교회 존 재 목적이기에 변함없이 계속되어야 한다. 연구자는 한국교회가 선교적인 관점을 가지고 효과적인 신앙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이 실천 방안을 제안했다. 첫째, 다음 세대 신앙교육이 선교로 열매를 맺기 위해서 는 교회 지도자들뿐 아니라 모든 구성원까지 신앙교육에 대한 패러다임이 변화되어야 한다. 둘째, 다음 세대를 신앙교육을 통해 선교 주체로 세우기 원한다면 이에 대한 로 드맵이 있어야 한다. 셋째, 교회는 다음 세대를 위해 신앙교육을 실시하는 교회나 교 육기관 지도자를 초청하여 다음 세대 선교대회를 진행해야 한다. 넷째, 개 교회나 교 단을 넘어 다음 세대 신앙교육을 통한 선교 사명이 있는 개인과 교회와 교육기관과 교단이 네트워크를 구축해야 한다. Even if the Korean church sends the second largest number of missionaries to foreign countries in the world, it has created many malfunctions like relationship-centered, and adult-oriented works, and meritocracy rather than strategic propagation. While the number of next-generation members of the Korean church is decreasing, the church cultivates next-generation Christians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s. It seems to be very desirable. It seems to be the work God is happy about to approach such a curriculum with religious education instead of knowledge teaching. What I only want is that church leaders set the direction of next generations to lead them to devote themselves to the Kingdom of God. Jesus Christ also performed religious education wanting the Gospel to spread to the end of the earth among the works in the earth. The early church, under oppression, practiced teaching and propagation ceaselessly. Saint Paul devoted himself to send the gospel to the end of the world through continuous religious education, risking his life. In the early Korean church, missionaries did their best to spread the gospel to the end of the world by establishing educational institutions along with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s provided by church. Even now, the Korean church needs to change its paradigm for missionary works to make the gospel to spread to the end of the world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While the gospel does not change, the person who delivers it and the person who receives it are in different cultures. Thus, the missionary works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should be strategic. Missionary works are not special activities, but an essential function of the church. Cultures change over time, so do values. But, missionary works are the goal of the existence of church. So, they should continue without change. To make the Korean church do effective religious education with the perspective of missionary works, the researcher suggested the followings. First, to make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result in missionary works, all the members as well as church leaders should try to change their paradigms on religious education. Second, if the church wants to grow next generations into missionary leaders through religious education, it needs to have the roadmap on it. Third, the church should hold the missionary rally for next generations by inviting leaders in the church or educational institutions performing religious education for next generations. Forth, beyond each church or religious society, individuals, churches,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religious societies which are interested in missionary works through next-generation religious education should form networks.

      • KCI등재

        다음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 설계

        김효숙(Hyo Sook Ki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6 선교와 신학 Vol.39 No.-

        가나안 성도 현상을 비롯한 다음세대 이탈과 일방적 소통의 문제는 교회교육의 지속가능성에 위기의식을 심화시키고 있다. 그러나 교회교육은 다음세대의 참여적 문화나 일상을 간과하고, 교육적 상호작용을 소홀히 하며, 인간의 정서적 측면을 배제해 왔다. 이 연구는 다음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을 설계하기 위해 네트워크 문화의 확산성과 플립러닝의 상호작용성, 뇌 기반 학습이 제안하는 학습 환경의 포괄성에 대해 탐색하였고, 공통적으로 지향하는 개별화 및 개인화 학습에 주목하였다. 또한 학제적 탐색을 실증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 국내교회 및 해외한인교회 다음세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N=1.200). 대화 결과에 따른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의 설계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일과 교회라는 시·공간적 한계를 넘어 다양한 말씀의 창을 대면할 수 있도록 ‘확산적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수동적 수용자로 전락한 다음세대를 적극적 참여자로 변화시키고, 기독교교육의 외연을 확장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둘째, 가르칠 내용을 줄이고 역동적 상호작용을 통해 함께 배울 수 있도록 ‘상호적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관계를 열망하는 다음세대의 신앙교육을 지속가능하게 해주는 필수요건일 수 있다. 셋째, 감각 및 인지적 환경을 넘어 정서 및 사회적 환경을 고려하는 ‘포괄적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인지 편향적 교육 속에서 생기를 잃은 다음세대를 실천적 신앙인으로 양육하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음세대의 인지적 개인차와 정서적 개인화를 포용하는 ‘보편적 학습 환경’을 설계해야 한다. 이는 모든 사람을 부르시는 복음을 담지한 교회가 수행해야 할 교육적 사명이기도 하다. 이 연구는 다음세대의 위기 요인과 해결책을 교회학교 내부에서 찾고자 한 미시적 접근이나, 다음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학습 환경을 설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다음 세대를 신앙의 주체로 세우는 기독교 교육

        김준호 한국기독교철학회 2024 기독교철학 Vol.0 No.40

        기독교 다음 세대에 대한 위기는 교역자와 교사의 사명감 및 전문성, 교육철학의 부재, 교육 방법과 프로그램 문제, 교육 환경의 부족이라는 교회 내적 요인과 탈 교회, 학령 인구 감소, 코로나19라는 외적 요인이 있다. 그러나 가장 큰 요인은 다음 세대들이 교회 안에서 주체가 아닌 객체가 되었기 때문이다. 기독교 다음 세대의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기술 친화적이고, 참여적이며, 적극적인 특징을 지닌 다음 세대의 목소리를 듣고 소통하며, 신앙의 주체로 세울 수 있어야 한다. 다음 세대를 신앙의 주체로 세우는 역사적 유산이 18세기 영국의 로버트 레이크스(Robert Raikes)가 시작한 주일학교이다. 주일학교는 소외된 인간 하나, 하나를 삶과 신앙의 주체로 세우는 것에서 출발했지만 주일학교가 교회학교로 전환이 되면서 학문 중심, 학교식 교육 프로그램과 교재, 환경이 오히려 학생들을 객체화하고, 교육의 대상으로 만들었다. 그러므로 기독교 다음 세대를 ‘신앙의 주체’로 세워야 한다. 기독교 다음 세대를 신앙의 주체로 세운다는 것은 그들 또한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것이다. 기독교 다음 세대도 하나님께 부름을 받고, 하나님의 백성으로 세움을 받으며, 세상으로 보냄을 받은 하나님의 백성이다. 그렇다면 그들은 하나님을 예배하는 주체적인 예배자가 되며, 스스로 하나님의 말씀을 깨달을 수 있으며, 세상에서 하나님의 백성으로 살아갈 수 있다. 이것이 기독교 다음 세대를 신앙의 주체로 세우는 것이다. 그리고 교사는 다음세대들이 신앙의 주체로 세워질 수 있도록 그들과 함께 순례하며, 산파와 돕는 자의 역할을 한다. 기독교 교육의 위기 극복은 교회학교의 성장이 아닌 다음 세대를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기독교 자아정체성을 갖도록 하여 신앙의 주체로 세우는 것이다. The crisis for the next generation of Christianity is the internal factors of the church, such as the lack of mission, professionalism, and educational philosophy of pastors and teachers, the problem of educational methods and programs, and the lack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external factors such as de-church, school-age population decline, and COVID-19. But the biggest factor is that the next generation has become an object, not a subject, in the church. In order to solve the crisis of the next generation of Christianity, it is necessary to be able to listen to and communicate with the voices of the next generation with technology-friendly, participatory, and active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them as subjects of faith. The historical legacy of establishing the next generation as subjects of faith is the Sunday school started by Robert Lakes in England in the 18th century. Sunday school started from establishing each marginalized human being as the subject of life and faith, but as Sunday school was converted into a church school, the academic-centered, school-style educational programs, textbooks, and environment rather objectified students and made them objects of education. Therefore, the next generation of Christianity should be established as the subject of faith. To establish the next generation of Christianity as the subject of faith means that they are also ‘the people of God’. The next generation of Christianity are the people of God who have been called by God, who have been established as God’s people, and who have been sent to the world. Then they can become active worshippers of God, realize God’s word for themselves, and live as God’s people in the world. This is what establishes the next generation of Christianity as the subject of faith. And the teacher pilgrims with them so that the next generation can be established as subjects of faith, playing the role of midwives and helpers. Overcoming the crisis in Christian education is not about the growth of church schools, but about establishing the next generation as subjects of faith by having a Christian self-identity as the people of God.

      • KCI등재

        다음세대와의 상호적 소통을 위한 교사 역량의 중요도-실행도 분석

        김효숙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6 기독교교육논총 Vol.46 No.-

        As well as so-called “Canaan Saints” phenomenon, church attrition of the young generation and one-sided communication issue have been deepening the sense of urgency about the faith education of the next generation. The next generation in the church is another generation grew up in a different culture. The Church, however, recognizes it to be so, only to remain passive in interactions to coordinate and embrace the difference. If churches stay there and only recognize that the next generation is different generation, it will solidify the exclusion in churches and gradually weaken the dynamics of Sunday Schools. This study seeks, therefore, to digging the teacher competencies required for mutual communication with the next generation. Interculturalism is a useful theoretical rationale to recognize the cultural uniqueness of the next generation who grew up in a different culture, and aim at educational communication. Based on interdisciplinary researches on Christian Interculturalism, church schools are redefined as “interrelational faith community” as well as “interactive learning community” and “intersubjective dialogue community” where generations from various cultural identities mature together. The competencies that are necessary for teachers to lead the new communities are presented as faith insight competencies to start from the relationship with God and expand to the relationship with others (7 competencies), learning design competencies to facilitate interactions (7 competencies) and communicative competencies to collaborate as equal individuals trying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and solve the conflicts (7 competencies). Based on these, teachers from 14 churches (N=928) were surveyed for their competencies and, through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matrix, competencies are suggested that are needed to be concentrated. Besides,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f the teachers' competency performanc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it is revealed that service practice is "reciprocal actions" rather than "providing actions." Lastly, churches are suggested to give strong support to the formal and/or informal department level activities that are the main source of competency development. 소위 ‘가나안 성도’ 현상을 비롯한 세대 이탈과 일방적 소통의 문제는 다음세대 신앙교육에 대한 위기의식을 심화시키고 있다. 교회 안의 다음세대는 다른 문화 속에서 자란 다른 세대다. 그러나 교회의 현실은 다음세대가 다른 문화 속에서 자라온 세대라는 것을 인식만 할 뿐, 차이를 조율하고 포용하기 위한 상호작용에는 소극적인 편이다. 다음세대는 다른 세대라는 ‘차이의 인정’에 머물 경우, 교회 내의 배제는 고착화되고, 교회학교의 역동성은 점점 약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다음세대와의 상호적 소통에 필요한 교사 역량에 천착하고자 한다. 상호문화주의는 다른 문화 속에서 자란 다음세대의 문화적 고유성을 인정하고, 교육 주체 간의 상호적 소통을 지향하는데 유용한 논거가 된다. 따라서 기독교적 상호문화주의에 대한 학제적 탐색을 토대로 교회학교는 서로 다른 문화적 정체성을 가진 세대들이 함께 성숙해가는 ‘상호관계적 신앙공동체’요 ‘상호작용적 학습공동체’이자 ‘상호주관적 대화공동체’로 재정의하였다. 새로운 공동체를 이끌어 갈 교사들에게 요구되는 역량은 하나님과의 관계에서 출발하여 타인과의 관계로 확장해가야 할 신앙에 대한 성찰력(7개 역량)과 완결된 내용의 전달이 아닌 상호작용을 촉발시키는 학습설계력(7개 역량), 차이를 인정하고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동등한 지위를 가진 채 협력할 줄 아는 의사소통력(7개 역량)으로 재개념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14개 교회에 속한 교사들(N=928명)을 대상으로 역량을 조사한 후 중요도-실행도 분석(IPA) 매트릭스를 통해 교사들이 집중 개발해야 할 역량이 무엇인지를 제시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역량 실행도와 봉사 만족도 및 참여도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봉사가 ‘시혜적 행위’라기보다는 ‘호혜적 행위’임을 입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회는 역량 개발의 주요 원천이 되고 있는 부서 단위의 형식적, 비형식적 모임을 적극적으로 후원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후보

        다음세대 신학 - 사회변화와 다음세대를 위한 교회와 신학의 과제

        김도훈 장로회신학대학교 장로회신학대학교 2010 장신논단 Vol.0 No.39

        이 글은 다음세대를 분석하고, 다음세대를 위한 교회의 목회적, 신학적 과제를제시하려는 하나의 작은 시도이다. 필자가 다음세대를 염두에 두고 신학적 작업을해온 이유는 간단하다. 한국교회의 미래를 염려하기 때문이요, 현장에서 느껴지는위기의식의 부재 때문이다. 우리는 먼저 오늘날 교회의 모습, 오늘날 신학의 현실을 냉철하게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우선 이 논문은 다음세대가 겪을 시대적 문화적 기술적 변화들을 간단히 언급해 보았다. 그리고 교회는 시대에 따라 얼마나 변해왔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다음세대를 위해 신학적 대안으로서, 다음세대와의 소통을 위하여 버츄얼신학 혹은 버츄얼 교회론, 그리고 일상의 신학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다음세대를 얻기 위해서는 그들이 가지고 있는 포스트모던 문화에 대응하는 교회전통이 가지고 있는 신학적 대안을 찾아내어 그들과의 소통을위한 접촉점을 만들어야 한다. 뿐만 아니라 그들에게 다가가기 위하여 학문적, 이론적 접근보다는 감성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신학은 교회의 위기적 상황을 인식하고, 복음의 정체성을 상실하지 않으면서도 다음세대에 접근할 수 있는 다양한 신학과 실천들을 시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다음세대’(1981-2001)의 세속화주기에 대한 실증연구 - ‘X-Secular Scale’을 중심으로 -

        박관희,황병준 한국실천신학회 2017 신학과 실천 Vol.0 No.56

        한국사회는 다문화 다종교 사회의 성격을 갖고 있지만, 미래에는 신자유주의 질서체계가 합쳐진 복잡한 세속화사회가 전망된다. 이러한 사회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가 종교뿐 만 아니라 개인과 사회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것이다. 이와 같은 세속화와 그 주기를 실증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면, 복잡한 세속화사회는 한국 기독교에게 있어서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다. 한국기독교의 다음세대는 사회적으로 세속화사회에 놓여있고, 개인적으로 다문화 다종교 사회 상황에서 ‘어떻게 종교적 신앙주의를 유지할 수 있는가’ 하는 것에 따라 그들의 미래가 좌우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독교 세속화(Personal Secularization of Christianity)를 측정하기 위해 세속화 측정도구(X-Secular Scale)을 개발하였고, 개발된 측정도구를 가지고 한국사회에서 다음세대(1981년-2001년생)의 세속화 정도에 대한 개인별 측정을 실시하고 기독교 세속화주기에 대한 세대별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세속화 측정도구 6항목을 개발하였으며, 그 측정도구를 통해 《소속 없는 신앙인(중고등학생 출생동시집단) → 신앙 없는 소속인(대학생활 출생동시집단) → 소속 있는 신앙인(취업준비 및 직장생활 초기 출생동시집단) → 종교적 무신론자(결혼과 가정생활 초기 집단)》과 같은 다음세대의 세속화 주기를 발견하였다. 또한 한국사회의 사회적 시스템 자체가 ‘종교적 무신론자’를 양산하는 구조인 것과 더 나아가 이렇게 구조화 된 세속화사회가 미래세대의 개인적 세속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였다. The goal of this paper is threefold: Firstly, to look at the study trends of secularization theory. Secondly, to presents X-Secular Scale which measures Personal Secularization of Christianity. Thirdly, to empirically analyzes secularization cycle how South Korea Christianity is secularization. Korean society currently have the character of the multi-cultural and multi-religious society, but in the future I will be seen in the complex secularized society which together is the neo-liberal order system. The individual theory of Secularization is how in the secular society individual show secularized process, that is, secularization cycle. This word is that in religion individuals and groups both have a constant cycle(or pattern) such as 'enter-growth-maturity-decline period'. Specifically secularization cycle was through the process which is 'believer -within-belonging'(or teenager's cohort group), 'believer-without-belonging(or college life's cohort group), 'belong's person-without-believing'(or employment preparation and workplace life's cohort group), 'Religious atheist/unbeliever'(or marriage and family life's cohort group). In conclusion, our society itself is systematic structure that produce 'religious atheist', and means to is structure to indicate that the secular society affects individuals secularization. In other words, 'believer -within-belonging' is likely to very high be either 'believer-without-belonging' or 'Religious atheist'. Such materials can be us to enrich that the secularization strategically can respond South Korea Christianity pastoral thinking.

      • KCI등재

        대한민국 다음세대 복음화를 위한 로잔운동과 대한민국 세계사 교과서

        소윤정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3 복음과 선교 Vol.62 No.-

        In December 2022, the Republic of Korea announced 'Notification No. 2022-33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General discussion and detailed exposition of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curriculum on page 142 of Society - World History' A) In terms of character, “attitude to respect cultural diversity” is emphasized in world history education, B) In the goal, it is stated that 'World History' aims to explore the footsteps of mankind by grasping the histories of various regions of the world through themes. And 2. Content System and Achievement Criteria A) “Expansion of the Islamic World” appears as a key idea in the content system. As a result, an average of 18 pages of Islam is described in section 3 of world history textbooks dealing with religion, and 2 pages of Christianity, including Catholicism, are described. In addition, in the expansion of trade networks, the trade of the Islamic world is highlighted, and in the formation of nation-states, the Mughal Empire and the Ottoman Empire are highlighted, and the story of the Turkish state comes to the fore. Even in the contents of the ‘Nation-State Building Movement’, the Islamic fundamentalist ‘Wahhab Movement (Wahhabism)’ is glorified and described as a nation-state building movement. Korea is pursuing a change in worldview through history education in line with its entry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but in reality, Islam-biased worldview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in public education. This is a problem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the evangelization of the next generation, and I think it is a situation that needs attention from the missiological aspect for evangelization in Korea. Current world history textbooks are Islam-biased and Christianity is relatively excluded. In order for students to criticize themselves and communicate so that they can contextualize Korean society for the future of Korea, the core history of Christianity must be educated in a balanced way along with Islam. This furthermore has the mission of raising next-generation missionary leaders, which the Lausanne Movement is aiming for, and educating the next generation as discerning people rather than being generous toward Islam with a biblical perspective on people of other religions as disciples of Jesus Christ. With love for Jesus Christ and love for neighbors of other religions who were created in the image of God, we must educate the next generation to be able to boldly testify to the gospel based on the conviction of the truth, not unconditional tolerance and uncritical tolerance. I think this is a desirabl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Korea should pursue. 대한민국은 2022년 12월 ‘교육부 고시 제 2022-33호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및 각론) 내용중 사회 - 세계사 부분’ 142페이지가) 성격에서 “문화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세계사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고, 나) 목표에서 ‘세계사’는 세계 여러지역의 역사를 주제 중심으로 파악함으로써 인류의 발자취를 탐구하는 것을 목표로한다 라고 기술하고 있다. 그리고 2. 내용 체계 및 성취기준 가) 내용 체계에서 핵심 아이디어로 “이슬람 세계의 확대”가 나온다. 결과적으로 종교를 다루는 세계사 교과서의 3단원에는 평균 18페이지의 이슬람 내용이 기술되어 있고 기독교는 천주교를 포함하여 2 페이지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그리고 이어지는 교역망의 확대 단원에서도 이슬람 세계의 교역부분이 부각되고 있고, 국민 국가의 형성 단원에서도 무굴 제국과 오스만 제국이 부각되면서 튀르키예(터키) 국가 이야기가 부각되어 나온다. 심지어 ‘국민 국가 건설 운동’ 내용 중에는 이슬람 원리주의 ‘와하브운동 (와하비즘)’이 국민 국가 건설 운동으로 미화되어 기술되어 있다. 대한민국은 다문화 사회로의 진입에 발맞추어 역사교육을 통한 세계관의 변화를 추구하고 있는데 실제로는 공교육 현장에서 이슬람 편향적 세계관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는 다음세대 복음화에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로 대한민국의 복음화를 위한 선교학적 측면에서 주목해야 할 상황이라고 생각된다. 현 세계사 교과서는 이슬람 편향성과는 상대적으로 기독교가 배제되어 있는데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하여 학생들이 스스로 비판하고 한국 사회에 상황화 할 수 있도록 소통하게 하려면 기독교의 핵심 역사들도 이슬람과 더불어 균형적으로 교육해야 할 것이다. 이는 나아가서 로잔운동이 지향하고 있는 다음세대 선교리더 세우기와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로서 타종교인들에 대한 성경적 관점으로 이슬람교에 대하여 아량이 넓은 사람이 아니라 분별하는 사람으로 다음세대를 교육해야하는 사명이 있다.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사랑과 하나님의 형상으로 창조된 타종교의 이웃들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무조건적인 관용과 무비판적인 포용이 아닌 확실한 진리의 확신에 근거하여 담대하게 복음을 증거 할 수 있는 다음세대로 교육해야하는 것이다. 이것이 대한민국이 추구해야 할 바람직한 다문화 교육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미전도 세대 선교 개념 개발을 위한 소고

        남정우(Jeong Ou Nam)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0 선교와 신학 Vol.26 No.-

        ‘미전도 세대’ 란 주로 기독교 지역 안에서 발생하는 명목상 기독교인을 포함한 비기독교 세대를 의미한다. 그들은 민족적으로 오랜 기독교 역사 속에서 살아왔지만, 구원받지 못하고 전도받지 못한 채 살아가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한 세대에 관심을 가지고 주님의 지상명령을 생취하는 데 이들을 복음화하는 것이 얼마나 긴요한 일인지를 역설한다. 랄프 윈터는 근대 선교의 역사를 3기로 구분하여 해안선 선교, 내지 선교 그리고 미전도 종족 선교 시대로 나누었다. 지금 많은 선교 단체가 미전도 종족 선교의 완성이 곧 세계 복음화의 완성이 될 것이라고 믿고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하지만 필지는 네 가지 요인, 즉 첫째로 필자의 러시아 선교 현장 경험, 둘째로 성경의 재발견, 셋째로 선교학자 데이비드 보쉬와 리처드 베일리의 선교 개념 그리고 지난 100년간의 세계 기독교 인구 통계표 분석을 통하여 미전도 종족 선교 운동의 한계성을 지적하며 새로운 제4기 선교 개념 ‘미전도 세대’ 선교 개념을 말한다. 선교적인 노력은 이교도 지역에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기독교 지역에서도 필요하다. 성경은 이스라엘 땅에서도 선지자들을 통하여 선교 사역이 이루어졌음을 보여 주고 있다. 선교의 본질은 땅을 정복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영혼을 하나님 중심으로 바꾸어 놓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미전도 세대’ 개념은 아직 개발 중에 있는 선교 개념이다. 미전도 종족 개념이 1930년에 시작되어 본격적으로 연구되고 미전도 종족을 선교하기 위한 조직과 방법론이 개발된 것은 1970년대 이후가 된 것처럼 시간이 걸릴 것이다. 앞으로 미전도 세대의 발생 원인에 대한 사회적 교회적 개인적 차원의 기존의 분석을 참고하고 ‘세대’라는 개념에 대하여 사회학적 이해를 연구하고, 다음 세대에 신앙을 계승시킬 수 있는 기독교교육학적 방법론을 아울러 함께 개발해 나간다면 미전도 세대를 복음화할 수 있는 선교학적으로 적절한 전략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것은 앞으로 우리의 과제가 될 것이다.

      • KCI등재

        교회 현장에서 시행되는 생명교육 -쉐마교육을 중심으로

        안병만 ( Byungman An ) 개혁주의생명신학회 2015 생명과 말씀 Vol.11 No.-

        본 논문은 쉐마교육이 가정과 교회 그리고 더 나아가 모든 사회공 동체에 생명을 주는 교육임을 강조하면서 지금까지 잃어버렸던 구약의 지상명령이 열방교회와 교육 기관 안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중심한 임상내용이다. 쉐마는 13년 전에 미국에서 교육학과 신학을 연구한 현용수박사께서 유대인 교육과 정통파 유대인 공동체를 연구하면서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들에게 주신 귀한 구약의 지상명령(신 6:4-9)의 말씀을 가정과 교회 그리고 학교에 접목할 수 있는 이론을 집대성하여 많은 연구 논문과 저서들을 통해서 한국교회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 내용을 전체적으로 밝히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 아니라 유대인들의 교육을 롤 모델로 지역교회에 쉐마교육을 어떻게 접목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추어 실제현장에서 적용하고 있는 내용을 소개한 것이다. 너무나 방대한 내용과 방법이기 때문에 짧은 시간에 한꺼번에 다적용한다는 것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실용 가능성이 높고 간편한 것부터 하나씩 접목한 것을 몇 가지 소개해 보았다. 무엇보다 세대차이 없이 다음 세대에 신앙과 가치관이 전수되기 위해서는 예배에서부터 통합적으로 드리는 것이 우선적이다. 연령별로 따로 예배를 드림으로 형식과 내용이 다르므로 자녀들이 성장한 후에 부모세대와 함께 예배를 드리는 것이 힘들어지면서 교회를 떠나버리는 경향이 많았다. 오늘 교회는 젊은이들이 사라지고 노인 세대만 가득 차 있는 기현상을 보게 된다. 다음세대가 다른 세대가 되지 않기 위해서 어릴 때부터(만 13세 이전) 신앙교육과 인성교육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어린이집과 선교원 그리고 영어 유치원 교육이 필수적이다. 교회당이 예배하는 곳으로만 사용되는 것은 엄청난 경비의 손실이기 때문에 공간을 최대한 활용해서 평일도 다음 세대가 교육과 훈련의 장으로 사용되어야 할 필요성과 정당성에 대해서 이 논문은 피력한다. 생명교육은 결국 사람을 살리는 교육이면서 다음 세대로 반드시 전수되어야 할 교육이어야 하기에 이 논문은 생명을 잇는 교량적 역할의 중심에 쉐마교육이 있음을 말하고 있다. 건강한 미래세대는 반드시 쉐마교육을 통해 가정과 교회 그리고 학교라는 현장에서 만들어 지고 형성된다. The thesis emphasizes on Shema education as being an education that provides life to families, churches and communities and is a testimonial content based on how the Great Commission that was long forgotten has been applied to All Nations’ Community Church and its educational institutions. Shema education is the by-product of a long, hard research done by Dr. Yongsu Hyun who majored in education and theology in the U.S, dedicating his time on studying the Jewish community to graft a theory applicable to the church, family and society. His works have been compiled into books and were introduced to church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not to reveal the entire content of the research but to explain how to take Jewish education as an example and apply Shema education to today’s churches. The method and content are so diverse that there is a limit on as to how much can be applied in such a short time, so I have selected afew examples that have worked for my church. The first priority is to encourage the whole congregation to worship together in one space so that the same faith and values may be shared and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thus eliminating any generation gap. Having different worship for different ages offer different sermon and form which eventually makes it awkward for the children to worship together with their parents once they are older. This is evidently witnessed in churches of today where the young generation leave the church when they become adults, resulting in an imbalance in the number of teenagers and the elderly. To avoid the next generation becoming a dissimilar generation, the provision of religious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preschools and schools (before the age of 13) is essential. This thesis also expresses the necessity and legitimacy of using the church building effectively, as a place where our children can be educated even during weekdays and be trained to inherit the legacy of faith, thus helping in saving unnecessary economic loss. Life education is essential in reviving people and must be passed down to the next generation. Shema education plays an active part as a bridge connecting lives from one generation to the next. A healthy generation of tomorrow can be constructed through Shema education provided in the fields of families, churches and scho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