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과학과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적 이해

        나권수,윤재근 한국종교교육학회 2017 宗敎敎育學硏究 Vol.55 No.-

        최근 뇌과학의 비약적 발전은 인문, 사회과학, 예술 등의 많은 학문 영역에서 뇌과학과의 접목을 시도하게 하고 있다. 인간의 활동과 관련된 모든 것을 뇌과학적 기반으로 재검토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이다. 교육학에서도 이러한 학제 간 연구를 기반으로 교육현장에서 쏟아져 나오는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시각과 방법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과거의 교육에 비해 오늘날 교육은 여러 측면에서 학습자 중심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다. 학습자와 학습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과학적 연구와 프로그램 개발로 교육의 패러다임이 새롭게 변해가고 있는 것이다. 뇌과학의 입장에서 모든 학습은 뇌에서 이루어진다는 전제 아래 인간의 사고 및 학습 과정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접근 방법을 시도하고 있다. 나아가 뇌의 인지기능 및 구조에 대한 과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뇌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적절한 교수 학습 환경을 설계하고 있다.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에서도 뇌과학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한 학습과학이 요청된다. 하지만 현재 뇌과학을 활용한 교육의 개선, 나아가 종교교육적 활용에 대해 기대하기는 어렵다. 이제까지의 연구는 매우 기초적이며 단편적인 연구에 불과했다. 따라서 교육현장에 적용 가능한 보다 실용적이고 직접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뇌과학과 대순진리회 종교교육의 접점을 모색할 수 있는 뇌와 마음, 그리고 몸에 대한 다양한 해석적 연구가 우선 필요하다. 또한, 뇌영상 기술의 발전과 연구의 축적으로 이제 다양한 유형의 실증적 연구가 가능해질 것이다. 특정 과제를 학습하는 동안 뇌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다양한 영역에서의 개인차 원인을 규명하여 학습장애를 진단 치료하는 과정에 활용될 것이다. 이 같은 변화에 맞추어 대순진리회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련의 효과를 측정하여 교육현장에 반영하는 것도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사전적 연구가 축적되어 뇌과학을 활용한 학습․교육의 연계 가능성 및 혁신에 대한 논의가 향후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뇌과학 교육 및 계발을 위한 뇌과학과 피문학의 연관성 소고

        김현수(Hyun-Soo Kim),조윤상(Yoon-Sang Cho) 한국정신과학학회 2011 韓國精神科學學會誌 Vol.15 No.1

        본 연구는 뇌과학과 교육문제를 다루었으며, 뇌과학 연구에서 교육정책과 그 실행에 대한 암시와 뇌메커니즘과 유아기학습, 뇌메커니즘과 청년기학습, 뇌메커니즘과 노년기학습 등을 고수준포럼으로 제시한 New York?Granada?Tokyo 등에서의 OECD-CERI의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구성내용은 뇌과학 연구프로젝트, 뇌과학 연구 상의 교육현장 연구과제, 뇌과학과 교육의 국제교육프로그램과 프로젝트, 지력의 육성과 다중지능, 뇌과학, 뇌발달과 학습력, 피문학 등을 밝혔다. The central theme of the study focus on Brain Science and Education. Brain mechanism and learning method in childhood, young age, adolescence and old age that were researched in Brain Science Forum in OECD-CERI in New York, Granada and Tokyo are proposed in this study. Contents: Brain Science Study Project, Usage practically Brain Science in Educational Site, Worldwide Conference of Brain Science, Mental Capacity Advancement, Brain Science and Multiple Intelligence and Brain Science connected with Dermatoglyphics.

      • 뇌과학 교육을 위한 뇌교육 계발에 관한 소고 : OECD-CERI의 뇌과학 포럼과 뇌과학 교육을 중심으로

        김현수(Kim Hyun-soo),조윤상(Cho Yoon-sang) 韓國精神科學學會 2011 한국정신과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34 No.-

        본 연구는 뇌과학과 교육문제를 다루었으며, 뇌과학 연구에서 교육정책과 그 실행에 대한 암시와 뇌 메커니즘과 유아기학습, 뇌메커니즘과 청년기학습, 뇌메커니즘과 노년기학습 등을 고수준포럼으로 제시한 New York · Granada · Tokyo 등에서의 OECD-CERI의 내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구성내용은 뇌과학 연구프로젝트, 뇌과학 연구 상의 교육현장 연구과제, 뇌과학과 교육의 국제교육 프로그램과 프로젝트, 지력의 육성과 다중지능, 뇌과학, 뇌발달과 학습력, 피문학 등을 밝혔다 The central theme of the study focus on Brain Science and Education. Brain mechanism and learning method in childhood, young age, adolescence and old age that were researched in Brain Science Forum in OECD-CERI in New York, Granada and Tokyo are proposed in this study. Contents: Brain Science Study Project, Usage practically Brain Science in Educational Site, Worldwide Conference of Brain Science, Mental Capacity Advancement, Brain Science and Multiple Intelligence and Brain Science connected with Dermatoglyphics.

      • KCI등재

        최근 각국의 뇌신경과학연구과제 신경윤리 활동과 국제 교류

        최은경(CHOI Eun Kyung),박혜윤(PARK Hye Yoon) 한국생명윤리학회 2018 생명윤리 Vol.19 No.1

        본 연구는 각국의 대규모 뇌신경과학 프로젝트에서 신경윤리적 관점을 포함하여 설계하는 과정을 고찰하였다. 미국의 BRAIN Initiative, 유럽 연합의 Human Brain Project, 그리고 동아시아에서 일본, 중국, 한국의 뇌신경과학 프로젝트의 신경윤리 활동을 비교 검토하고, 신경윤리 교류의 국제적 사례로 OECD의 최근 동향을 소개하였다. 현재 각국의 뇌신경과학 연구 프로젝트는 연구의 윤리적 함의와 기술영향력의 불확실성을 동시에 고려하고 사전에 연구의 예측되는 결과의 윤리적 함의를 소통하고 그 결론을 지속적으로 책임 있게 반영하는 "책임 있는 연구 혁신(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등의 방법을 고려한다. 각국이 뇌신경과학 연구 설계 때부터 신경윤리를 고려하고 뇌신경과학 진전을 위한 국제 교류에 있어서도 윤리적 숙고를 강화하는 점 모두 현재 뇌신경과학 윤리의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최신 동향의 검토를 통해 뇌신경과학 연구와 같은 새로운 대규모 신기술 프로젝트 기획에 있어 고려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의 뇌신경과학 연구에서 어떠한 관점에서 신경윤리를 고려하는 것이 필요할지 논의하였다. 우선 각국의 뇌신경과학 윤리 동향으로부터 1) 뇌신경과학 연구과제 설계 초기부터 윤리 관련 요소를 파악, 설계하고 연구과제에 함께 통합시키고 상호 반응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 2) 가능하다면 연구과제 거버넌스 차원에서 신경윤리 관련 내용이 책임 있게 집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점 3) 뇌신경과학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신경윤리의 전문성을 키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의 뇌신경과학 연구 프로젝트는 다른 아시아 지역보다 선도적으로 윤리를 다루고 있으나 아직 구체적인 방법론이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뇌신경과학의 시도는 첨단 과학 연구에 대한 전 지구적 대응의 바람직한 방향으로 참고할 만 하며, 긴밀한 국내외의 공조와 세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This paper scrutinized the process of implementing neuroethics in the recent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in each country. We compared the neuroethics activities in US BRAIN Initiative, EU Human Brain Project, and Japan, China, Korea"s brain projects as well. Meanwhile, we introduced neuroethics activity in OECD and initiation of global brain initiative as recent global coordination of neuroethics. In almost every big-scale neuroscience projects, the ethical implication and uncertainty of consequence were scrutinized in both. Ethicists and scientists in each project utilize new methodology such as "responsible research & innovation)" to communicate the ethical implication of foreseeable result in advance, and to reflect the conclusion consistently. Moreover, they deliberate ethical element since the designation of the neuroscience project and intensifying ethical deliberation in the global coordination of neuroscience. These features would b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recent neuroethics activity. Through the review of recent trends, this paper suggests essential points in the planning of big-scale research project of emerging technology such as neurotechnology. Additionally, we discussed how neuroethics activity could be pursued in Korean brain project. At first, we outlined three points, for instance, 1) identification and integration of ethical element in the designation of brain project 2) responsible pursuit of neuroethics activity regarding governance of project 3) building up the groundwork for neuroethics with coordination of diverse disciplines. Furthermore, we pointed out that Korean brain project dealt neuroethics in leading position in Asia, however, a detailed procedure is still lacking. Neuroethics activities in neuroscience can be regarded as the desirable response toward emerging technology, which needs international cooperation and careful discussion.

      • KCI등재

        從佛教禪修反思大腦科學之研究

        越建東(Yit Kin-Tung)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1

        이 논문은 전통 선(禪) 수행의 관점에서 뇌과학의 선 수행 경험 연구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려는 시도이다. 주요 문제의식은 뇌 과학이 얻은 연구 결과가 불교 자체에 긍정적 영감을 줄 수 있는지 여부를 비판적으로 성찰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가장 대표적인 연구인 리차드 데이비슨(Richard Davidson) 연구팀이 진행한 실험 결과를 회고하였다. 그의 연구팀은 뇌신경 과학을 통해 장기간의 선 수행자의 선 수행이 신체와 뇌에 미치는 영향을 검사하였는데 그 연구 대상에는 8명의 오랜 경력의 선 수행자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세 가지 상이한 선 수행을 통해 검사를 진행하였다. 두 종류, 즉 뇌파 반응실험 데이터(EEG)와 뇌부 이미징 실험 데이터(fMRI)를 통해 얻은 실험 결과는 신경 가소성에 집중하여 주관 경험의 신경 상관성, 선 수행과 신경 전기, 신경 이미징의 상관성의 세 측면을 실증한 것이다. 이를 통해 얻은 중요한 결론은 장기간의 선 수행자의 뇌신경의 활성화 정도가 일반인보다 높으며 수행 시간에 정비례하며, 마음의 훈련을 통해 정서와 정서 전이 과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쾌락 정서의 기저선 역시 변화시킬 수 있다는 점을 포함하고 있으며, 보다 중요한 결론은 마음의 훈련이 뇌 가소성의 변화, 특히 전두엽 신경 활성화 중의 좌뇌 비대칭치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이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신경과학 연구의 방법론적 운용 전략과 그들이 주목하는 특정 방향의 연구 성과가 어떠한지를 검토해 보았다. 그 중 신경과학의 전략은 선 수행을 과학에 의거하여 연구 대상으로 삼을 수 있도록 조정하며, 따라서 인지, 정서, 생리 세 측면의 특질과 사건을 매우 중시하며 아울러 신경 생리의 여정을 근거로 삼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과학자들은 마음이나 선 수행 경험 중의 대뇌 기질에 가장 큰 관심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전략은 선수행 경험을 신경 회로 반응으로 직접 환원하며 동시에 수많은 마음의 기타 본질을 간과하고 의도적으로 환원하는 것이며, 그 결과 선 수행에 의해 개발되는 마음의 힘과 관련된 중요한 정보, 특히 전통 불교에서 관심을 가지고 있었던 초월적 경험, 예컨대 해탈(解脫), 번뇌의 조복(調伏), 미혹의 제거하는 지혜(智慧) 등을 누락시켜 버렸다. 이 점을 명시하기 위해 이 논문은 전통 선 수행에서 서술하는 수행도의 구조 · 방법 · 경험을 상세히 열거하고 아울러 이것을 뇌과학의 방법과 대조함으로써 후자의 선 수행 이해는 불교 자체와 큰 차이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예컨대 선 수행 경험은 실은 계행(戒行) 등의 기초공부에 기초해 있으며 이 공부는 도덕적 선행을 닦고 실천하는 것인데 뇌과학이 도대체 어떻게 해야 ‘선념(善念)’을 연구할 수 있단 말인가? 또 선정의 경지는 의식이 이미 일상적 감관 경험으로부터 보다 높은 경지로 고양되어 있으며 청정하며 특수한 기쁨을 향유하는 상태이며 그 결과 천안(天眼), 타심(他心) 등의 초상식적 능력을 불러일으키게 된다. 이상의 신경 생리 여정의 표준은 현재 과학의 방식으로는 거의 설명 불가능하다. 그밖에 불교는 마음을 중시하여 그것을 선 수행의 주체로 인식하고 있으며 그 점에서 뇌위주의 과학의 관점과는 판이하다. 불교는 선 수행의 결과와 관련하여 생리는 주원인이 아니며 마음이야말로 진정한 주도자라고 본다. 불교의 전통은 선 수행 중 마음의 여정에 대한 수많은 해석과 그것과 관련된 운영 방법을 구비하고 있다. 선 수행의 궁극 목표는 지혜를 얻어 해탈에 도달하는 것이며 이 점에서 뇌과학의 연구하고자 하는 것과 판이하다. 따라서 이 논문의 결론은 과학의 선 수행 이해는 전통 불교에서 말하고자 하는 것과는 매우 큰 차이가 존재한다는 것이다.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critically brain science research on Zen training experience from a traditional Zen (禪) training perspective. The main issue is to reflect critically whether the research results of brain science can positively inspire Buddhism itself. To this end, this thesis reviewed the findings of Richard Davidson’s team, the most well-known research results at present. Using brain science, his team examined the effects of long-term Zen training on the body and the brain; eight research participants had a long history of Zen training. His team performed the tests by using three different types of Zen training. The results from two types of test (i.e. EEG and fMRI) focused on neural plasticity and verified aspects of the subjective experience in three areas: the relationship between Zen training and nerve, neuro-electricity, and nerve imaging. The significant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people who have practiced Zen train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have more active brain nerves (in direct proportion to the amount of time spent in Zen training) than do average people. Training of the mind can affect emotion as well as displacement, including the baseline emotion of pleasure. A more important finding is that training of the mind can bring about changes in neuroplasticity, particularly the asymmetry of the left brain in the neural activation of the frontal lobe. Next, this thesis examined the methodological strategy of utilizing brain science and the particular research outcome of their focus. One of the strategies of brain science is to manipulate Zen training scientifically as a research target; therefore, it highly values the properties and the events of cognition, emotion, and physiology, and, at the same time, it is based on the physiological journey of the nerves. In other words, scientists are greatly interested in the effects of mind training or Zen training experience on the cerebrum. Such a strategy intentionally converts Zen training experiences directly into neural circuit reactions, neglecting other mind essences; as a result, it leaves out important information related to the power of the mind, in particular, supernatural experiences in which traditional Buddhism is interested, such as nirvana (解脫), defeating the agony (調伏), and wisdom (智慧) that expels doubts. To clearly address this issue, this thesis described the structure, method, and experience of Zen training from the traditional Zen training perspective in detail, and compared it with the method of brain science; in so doing, this paper pointed out that there is a huge disparity between the latter’s understanding of Zen and that of Buddhism. For example, experience of Zen training is based on the fundamental study of penance (戒行), which is a training in and practice of morality; how can brain science study the ‘idea of goodness (善念)’? The highest stage of ‘goodness’ is a status of enjoying pure and special bliss and being already elevated to a higher stage than daily sensory experience; as a result, it leads to abilities beyond the ordinary such as ‘opening of spiritual eyes (天眼)’ and ‘becoming other-oriented (他心).’ The standard for the aforementioned physiological journey of the nerves is unlikely to be explained based on the scientific method. Furthermore, because Buddhism values the mind and recognizes the mind as the main agent of Zen training, it differs from brain-oriented science. In Buddhism, physiology is not the main cause of the result of Zen training; instead, the mind is the actual agent. The traditions of Buddhism have numerous interpretations and many related strategies about the journey of the mind in Zen training. The ultimate goal of Zen training is to gain wisdom and arrive at nirvana,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what brain science intends to study. In conclusion, the understanding of Zen training from a scientific perspective greatly differs from what traditional Buddhism intends

      • KCI등재

        뇌기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 기능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권유지(Kwon, Yoo-Ji),김중욱(Kim, Joong Wook),이효녕(Lee, Hyon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3

        본 연구는 뇌기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 기능과 과학 태도 등 과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여 뇌친화적 학습 방법과 과학학습의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경상북도 소재 C초등학교 1 개교, 5학년 2개 학급 학생 45명을 대상으로 6주간 ‘온도와 열’ 단원에 대해 실험반은 뇌기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을, 통제반은 전통적 교과서·지도서 기반수업을 진행하였다. 과학 탐구 기능, 과학 태도에 대해 사전과 사후 검사를 실시하여 그 결과를 정량적·정성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도와 열’ 단원에 해당하는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후 학생들의 사고 과정과 학습 이해도를 평가할 수 있는 학생 과학 탐구 워크북 및 활동지를 활용하여, 뇌기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 교수 학습 프로그램 및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둘째, 뇌기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기초 탐구 기능(관찰, 분류)과 통합 탐구 기능(변인통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났다. 셋째, 뇌기반 교수·학습모형을 적용한 과학 수업은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효과가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과학 태도의 하위영역인 호기심, 협동성 영역이 높게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온도와 열’ 단원에 뇌기반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수업은 전반적으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n elementary students’ science learning such as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science related attitudes; and to suggest positive effect on the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learning of science. For this study, a total of 45 elementary students from two classes of the 5th grade in C elementary school in K province. In the experimental group, instruction using a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as implemented on the unit of the Heat and Temperature and in the comparison group, a traditional instruction based on a textbook, textbook manual was implemented on the same unit.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alyzing the curriculum about the unit of the Temperature and Heat, the lesson goal and teaching-learning activities were reorganized from the science studies achievement For applying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to the science learning, science teaching learning program and learning materials were developed. Second, the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failed to hav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whole in the scientific inquiry skills of 5th grader for elementary school. However, it was indicated to have positive effect on the observation, classification function in the basic exploration function domain, on the controlling variables function in the integrated exploration function domain. Third, the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cience related attitudes, especially curiosity, cooperativity in science related attitude domain. In conclusion, the brain-based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on the unit of Temperature and Heat was effective in the science learning.

      • KCI등재

        뇌과학에 기초한 통일교육 개선 방향

        오기성 ( Ki-sung Oh ) 평화문제연구소 2014 統一問題硏究 Vol.26 No.1

        Recently, the past decade has seen unprecedented advances in scientists’ understanding of the brain and mind, and new information about the brain is expanding the influence of neuroscience into the education. And the rapid progress of brain neuroscience creates ‘educational neuroscience’, ‘Brain-Based Education.’ Thus this paper proposes the improvements of unification education from the brain science perspective. First, this study reviews research results of brain neuroscience such as traits of brain and learning, cognitive and emotional level in decision-making, thought and emotion, imitation and empathy, mirror neuron, etc. Second, this study analyses the problems of unification education from an brain neuroscience point of view. Third, this paper proposes improvements in education for unification such as the integration between emotion, reason and behavior. The unification education is strong on sensitivity in the times of new media, learning as a autopoiesis, and empathy education for peace-making in classroom. 최근 지난 10년간 인간의 뇌와 마음에 대한 과학자들의 이해는 전례 없는 진보를 가져왔으며 아울러 뇌에 관한 새로운 정보는 신경과학을 교육에 적용시키려는 노력을 확대하여 왔다. 이러한 뇌신경과학의 급속한 발전은 ‘교육신경과학’, ‘뇌기반교육’을 탄생시켰다. 따라서 이 논문은 이러한 뇌과학의 관점에서 현행 통일교육을 조명해 보고, 아울러 그개선방향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첫째로, 이 연구는 뇌신경과학의 주요 연구 성과로서 뇌와 학습의 속성, 의사결정에 있어 인지적 및 정서적 차원, 사고와 감정, 모방과 공감, 거울뉴런 등을 살펴보았다. 둘째로, 이 연구는 뇌신경과학의 관점에서 현행 통일교육의 문제점을 목표, 내용, 방법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끝으로 이 논문은 뇌과학적 관점에서 통일교육의 개선방향을 인지, 정서 및 행동의 통합, 뉴미디어 시대 감수성 중시의 통일교육, 자기생성으로서 학습, 교실에서의 평화만들기를 위한 공감 교육 등의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형민,김남일,임채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뇌 영역과 과학의 진화적 속성을 바탕으로 개발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적 과학(authentic science)을 기반으로 한모둠 자유탐구 활동에 적합하게 개정하고, 이 개정된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에서는 기존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각 단계 사이에서 느끼는 학생들의 곤란을 줄이고자, 진화적 요소를 적용한 세 단계(다양화, 비교ㆍ선택ㆍ실행, 적용ㆍ확장) 사이에 선택 기준 선정과 적절성에 대한 피드백이라는 두 가지 비계를 추가로 설정하였다. 서울 소재 N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8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비교반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자유탐구 수업에 참여하였고, 실험반 학생들은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에 참여하였다(각각 2주간 6차시). 수업 전과 후에 TOSRA(Fraser, 1981)와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권재술과 김범기, 1994)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관찰지 분석, 면담 등 정성적 방법을 병행하여 정량적 검사지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변화나 특성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의 과학과 관련한 정의적ㆍ행동적 영역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 뇌기반 교육 연구와 초등학생들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함의들을 논의한다.

      • KCI등재

        뇌과학과 뇌법 관련 이슈에 대한 개관

        이인영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의생명과학과 법 Vol.22 No.-

        Neuroscience, exploring brain functions and structures, throws light on the way to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Also neuroscience is relevant because it provides additional support for understanding immature judgment and self-control. Neurolaw,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which links the brain to law, facilitates the pathway to better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in order to regulate it accurately through incorporating neuroscience achievements in legal studies. Neurolaw is the application of neuroscience findings to legal topics such as criminal, tort, and administrative litigation and justice, agency, intent, and policy. The relevance of neuroscience to law depends intimately on the specific legal issue and context. Neuroscience intersects with the law in multiple ways, and the ethical impact of neuroscience is similarly diverse. The first broad distinction concerns the role of neuroscience in decisions about criminal responsibility. The Court has recently invoked group-based neuroscientific evidence concerning the immaturity of the adolescent brain to help reach group-wide conclusions about the extent of adolescent liability for criminal behavior. Neurolaw would help us to apply medical knowledge and technology in the legal area to achieve a more equitable legal system. The concern of neurolaw will lead us to having more concentration on both neuroscience and law to find an appropriate solution and direction between legal and neuroscientific understanding of human behavior. 뇌과학은 인간의 행동의 기초가 되는 인지 과정에 대한 연구이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인간의 행동의 규제에 관련된 법적 시스템에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밖에 없다. 뇌법이라는 새로운 분야의 기본개념은 뇌에 대한 진일보된 지식이 법률 시스템을 더욱 잘 설계하고 더욱 공정한 법적 절차로 이어질 것이라는 신뢰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그러한 공정성과 정확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학제간 연구이다. 뇌과학의 성과들은 이미 법정에서 그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형사법체계에서의 범죄와 책임, 민사법체계에서 상해, 불법행위와 보상, 자유의지와 개인의 프라이버시, 소년의 미성숙 뇌, 약물중독자의 뇌손상, 마음 읽기와 거짓말탐지기 등에 관련된 법적 이슈들을 만들어내고 있으며, 이를 통해서 입법과 정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뇌법은 법전 형태의 독립된 법률이 아니다. 새로운 뇌과학 기술이 가져다주는 기술의 불확실성을 인지하면서 예기치 않은 결과의 가능성과 심각성을 미리 통찰하는 논의과정을 통해서 기존의 법률시스템을 유지할 것인지 수정・대체하여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 관심을 집중해야 하는 새로운 법률분야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체적으로 뇌과학과 뇌법을 개관하여 서술하면서 먼저, 뇌연구의 발달에 대한 법률적 측면에서의 새로운 학제간 연구분야인 뇌법의 개념, 기능 등에 대해서 살펴보고, 뇌과학연구의 성과에 따른 법률시스템 상으로 제기되는 뇌법의 주요 이슈들을 형사법, 민사법 등의 분야별로 검토하였다. 또한 뇌과학의 성과에 대한 수용과 활용에서 야기되는 뇌법의 한계, 제한점에 대해서 서술하였다. 뇌과학에서 얻어지는 혁신이 사회적 배경과 비전, 윤리적 요구나 법률 시스템 등에 잘 조화되어 대응하기 위하여 열려져 있는 뇌법에 대한 학문적 관심과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한편으로 연구성과들이 뇌과학 기술의 진보를 촉진하면서 다른 한편으로 인간의 이해와 인권 보호의 지평을 유지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뇌 과학의 관점에서 본 배아의 생명권

        유경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4 생명윤리정책연구 Vol.8 No.2

        인권은 인간의 속성과 연관된 권리이며 기본권은 헌법이 명시한 권리이다. 따라서 인권이 자연법적인 권리라고 한다면 기본권은 실정법의 권리인 것이다. 중요한 점은 기본권이 인권에 의하여 추론되는 권리임으로 생명을 중시하는 인권의법 해석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생명의 개념이 광의적임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헌법에 근거한 생명권과 기본권에 대한 적용은 그 영역이 매우 협소하다. 헌법재판소는“구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제13조 1항인“누구든지 임신외의 목적으로 배아를 생성하여서는 아니된다.”라는 법률과 연관된 초기배아의 기본권과 배아연구와 연관된 위헌소송에서 인간의 생명과 연관된 기본권과 생명권을 정의하고 판시한 바 있다. 필자는 이 글에서 헌법재판소에서 판시한 배아의 생명권을 살펴보고 판시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리고 뇌과학의 관점에서 생명윤리정책에서 고려되어야 할 요소들을 고찰하고자 한다. 필자가 다루고자 하는 주요 쟁점은 배아의 생명권과 이와 연관된 뇌과학의 관점이다. 뇌 과학의 기본적인 입장에서 보면, 생명의 시작은 뇌가 만들어지는 순간, 즉 수정부터 시작된다. 특히 배아 이전의 정자나 난자와 같은 유전적 요인을 통하여 임신 3-4주부터는 배아가 본격적으로 두뇌를 생성하기 시작한다. 필자는 이 글에서 배아의 연관된 뇌의 사유능력을‘기능’과‘의식’의 구분 없이 사용하며, 다만 인간의 사유는 뇌의 시작과 연결되며, 배아의 능력이 뇌를 좌우한다는 관점에서 논지를 전개한다. 인간 개체의 생명은 뇌를 통하여 항상성을 유지하기 때문에 뇌가 없는 인간은 상상할 수 없다. 이 항상성을 지키기 위한 뇌의 목적은 바로 생명의 보호에 있으며 우리가 법에서 말하는 자유나 평등과 같은 개념 또한 인간의 뇌에서 작동하는 정신작용이며 또한 생명의 특징이기도 하다. 물론 인간의 생명은 유전인자와 같은 일차적인 요소와 신체의 외부적인 사회 환경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지속되기때문에 생명을 뇌의 기능적인 관점에서 보는 뇌결정론의 한계는 있지만 뇌를 구성하는 배아단계부터 인간의 기본권과 생명권을 인정해야 한다는 입장에서 뇌를 강조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본다. 뇌의 항상성은 생명권뿐만 아니라 인간의 존엄성에 기초가 되는 자아개념이나 의지와 같은 정신작용과 관계가 있다. 필자는 이점을 부각시키기 위하여 뇌과학의 이론 중에서“해방생물학(liberation Biology)”을 강조하며, 배아단계부터 형성되는 뇌의 도덕적 주체성을 고찰한다. 이를 뒷받침하는 이론들은“부수적 현상론(epiphenomenalism)”, “이원적 상호론(dualistic interactionalism)”, “실체이원론(substance dualism)”, “심신일원론(mind/brain identity theory)”과“유심론(mentalism)”등이다. 이러한 이론을 소개하는 목적은 인간의 도덕적 주체성에 대한 뇌과학의 해석을 통하여 배아초기부터 작동하는 뇌의 정신 활동과 이에 따른 인간의 주체성에 대한 이해에 다양한 해석이 공존하고 있음을 살펴보기 위함이다. 다양한 관점의 공통성은 배아의 유전적 정보로 말미암아 인간은 인간다운 항상성을 유지하며 사유와 자기책임의 도덕적 특징을 가진다는 점에 있다. 한편, 결론으로 필자는 생명윤리정책에 있어서 법의 사유의 확장과 도덕적 능력의 배양을 강조하면서 생명윤리와 같은 영역에 인간의 책임과 생명에 대한 두려움과 경외의 필요성에 대하여 강조한다. According to the main purpose of Bioethics and Safety Act, “no one shall produce embryos other than for the purpose of pregnancy.” However, under the current Act, the human embryo should not be regarded with the same legal status as a human being. It does not admit the right to life of the human embryos. But the increasing knowledge of the human brain has opened a new horizon for th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found that the human embryos can be treated with the same legal standard as a human being because they are linked to the origins of the human life. In this regard, neuroscience encompasses various issues in connection with the brain and the embryo, allows us to understand how the human embryos contribute to the moral and ethical judgements in the course of the early stage of the brain growth. In the discussion of neuroscience in regard to the issues of moral potential of the human embryos, the theories of epiphenomenalism, dualistic interactionalism, substance dualism, mind/brain identity theory, and mentalism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human life, free will, and moral subjectivity. After considering all the factors of the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right to life of the human embryos must not be limited but be considered as valuable as that of a human being. To achieve this goal, the government and scientific communities are encouraged to revise the standard of the right to life for the human embryos, earliest forms of human beings, and reestablish supervision on life ethic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