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독교 윤리학적 관점에서 본 라인홀드 니버의 신화론

        유경동 한국기독교학회 2020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8 No.-

        The author will focus on the topic of ‘mythology’ among the theology of Reinhold Niebuhr in the current age where the role of science and the rational decisions are emphasized more than ever. Niebuhr chose a critical stance towards the development of human civilization that was achieved through the concept of modernism and scientific rationalism led by human reason. He witnessed the desolation of the human mind during the industrial revolution. After experiencing the expansion of imperialism through modernism and the devastation of nuclear war, Niebuhr proposed the ethics of the ‘impossible possibility’ regarding the meaning of history, the ultimate goal of human life, and the creation of new history through the death on the cross and the resurrection of Jesus Christ. The author will also focus on the mythology of Niebuhr for the following three reasons. First, the interpretation of Christian ‘mythology’ in the contemporary era of science and reason, may alleviate the problem of neglecting the meaning of life and human mind due to immoderate emphasis on reason. Second, Niebuhr’s perspective on the mythology will support the reformation of profound religious values that contemporary Christianity should focus on. Third, the mythology of Niebuhr interprets the value of religion not from an individualistic context but the relational perspective, and therefore, it may provide a supportive foundation for public theology. 필자는 과학과 이성적 판단이 중시되는 현 시대에 역설적으로 라인홀드 니버(Reinhold Niebuhr)가 중시하였던 ‘신화’(myth)의 해석에 관하여 관심을 두고자 한다. 니버는 인간 이성을 앞세운 과학적 합리주의와 근대주의적 사관을 통한 인간 문명의 발전에 매우 비판적인 관점을 취하였다. 산업혁명 속에서 인간 정신의 황폐를 보았으며, 근대주의를 통한 제국주의의 팽창과 핵전쟁의 참상을 경험한 니버는 역사의 의미와 인간의 궁극적인 생의 목표 그리고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 죽음과 부활을 통한 새로운 역사의 창조에 대하여 ‘불가능의가능성’(impossible possibility) 윤리를 제시하였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니버의 신화론에 대하여 세 가지 관점을 중시하고자 한다. 첫째, 현 과학과 이성의 시기에 기독교적 ‘신화’에 대한 해석은 이성을 과도하게 중시함으로 자칫 인간의 정신과 생의 의미를 소홀히 할 수 있는 여지를 완화하여 줄 수 있다고 본다. 둘째, 니버의 신화관은 현 기독교가 중시하여야 할 더 심오한 종교적 가치를 윤리적인 관점에서 조명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셋째, 니버의 신화론은 종교의 가치를 개인주의적인 맥락에서 보지 않고 관계론적 관점에서 해석함으로써 공공신학을 위한 실마리를 제공하여 줄 수 있다고 본다.

      • KCI등재

        영혼론과 기독교윤리 : 어거스틴, 아퀴나스, 루터의 영혼론에 대한 소고

        유경동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6 기독교사회윤리 Vol.35 No.-

        필자가 이 글에서 주요 주제로 삼고 있는 것은 영혼에 관한 것이다. ‘영혼’에관한 신학적 주제는 기독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우선 인간이 하나님의 형상대로 영적으로 지음을 받았다는 성경의 말씀을 토대로 인간의 존재론적구조를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이를 근거로 인간은 타락 후에 영적 회복을통한 하나님과의 교제를 강조하고, 기독교윤리학적으로는 이 변화를 통한 거룩한삶을 윤리적 이상으로 하고 있다. 크리스천의 성화된 삶에 있어서 하나님과의영적인 교제는 이성적으로는 성경의 복음과 밀착되게 되며, 그리고 하나님께 대한 인간 자유의지와 양심의 순종으로 제자도의 삶을 영위함으로써 영혼에 관한신학적 주제는 기독교윤리학과도 매우 밀접한 관계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필자는 현대 기독교세계관에 선과 악, 영과 육에 대한 이원론적인 경향이 자칫윤리적 수동주의나 정적주의에 빠지게 될 위험이 있음을 지적하면서, 기독교의신학적 사유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어거스틴과 아퀴나스, 그리고 마틴 루터의영혼론을 고찰하여 보았다. 어거스틴에게 영혼이란 하나님의 본질도 아니고, 육체도 아니며, 어떠한 물질적 실체도 아니라고 이해한다. 즉, 인간 영혼의 상태는 창조된 존재인 동시에비물질적이다. 또한 인간 영혼은 변화가 가능하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창조주자체와 구별되며, 이것이 인간의 도덕적 변화의 가능성이 시작되는 것이다. 아퀴나스는 영혼을 육체의 형상이며 원리로서 육체와 결합되어 있으며, 궁극적으로는육체가 영혼의 원리를 따르게 된다는 관점이 강하다. 따라서 그의 영혼론은 일원론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영혼의 도덕적 능력을 긍정하였다고 할 수 있는 점은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다. 루터는 기본적으로 영혼과 육체 모두육체적인 것으로 이해하며, 영혼까지 포함하여 인간은 타락한 죄인으로서의 속성을 대표한다고 본다. 전 인류는 육체로 태어난다. 따라서 육체인 인간들이 구원받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은 그리스도의 말씀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서만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어거스틴이 강조한 하나님의 은총을 통한 영혼의 회복, 아퀴나스의일원론적 도덕론의 기반이 되는 영혼론, 그리고 루터의 칭의를 통한 전인적 인간의 회복에 기여하는 영혼에 관한 이론들은 자칫 영육의 이원론에 빠져 사회적공공성에 대한 윤리적 책임이 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는 기독교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신학적 주제가 될 수 있다고 본다. 물질만능과 기계론적 세계관, 그리고 찰나적 육감에 민감한 현대 세계에서 기독교 신학의 영혼에 대한 관심이 강조되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ntroduces the thoughts of Augustine, Thomas Aquinas and Martin Luther, asking the nature of souls in relation to Christian Ethics. In the discussion of the comparison and relationship among the above traditional Christian theologians, those issues surrounding souls, will, sin and God’s grace are engaged to explore the meaning of morality and responsibility. For Augustine, soul is immortal but limited because of the disobedience of man to God. Soul in this regard plays an important role as an ontological vehicle to make the mortal to be reborn by the grace of God. Thomas Aquinas thinks soul as immortal and views it as reason that leads man to recover one’s fallen image of God. For Aquinas, soul also acts as epistemological and moral power that cultivates whole beings. On the other hand, Luther points out the total depravity of man by sin and seeks a prevenient grace of God instead of human possibility. For Luther, soul is only meaningful when it is saved by God through faith. Therefore soul changes from disobedience to faith in God. After reviewing above issues briefly, this paper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Christian notion of soul ought to be emphasized when we consider the world of materialism where man endlessly desires desire. To achieve this goal, Christian ethics has a mission to cultivate a sense of morality through stressing spiritual awakening of soul.

      • KCI등재후보

        종교적 관점에서 본 뇌사와 생명윤리

        유경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19 Asia Pacific Journal of Health Law & Ethics Vol.12 No.3

        1968년 하버드대학에서 최초의 뇌사판정기준을 세운 이후, 국내에서도 1999년 2월 장기이식에 관한 법률에 의하여 뇌사가 사망의 기준에 포함되었고,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 2018. 10. 16.] [대통령령 제29230호, 2018. 10. 16., 일부개정]”에 뇌사 판정의 기준이 좀 더 구체적으로 세워졌다. 그 후 뇌사와 연관된 죽음의 판정에 관한 법, 의학, 윤리, 그리고 사회적으로 많은 이슈들이 있어왔는데, 비교 종교적 관점에서 뇌사에 관한 입장이 연구된 적은 없다. 필자는 본 논고를 통하여 가톨릭, 개신교, 유대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그리고 유교의 관점에서 뇌사와 관련된 생명윤리관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하여 크게 세 가지 논지를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2000년대 영어권의 연구 자료들을 중심으로 뇌사 판정에 관한 관점을 간략한 다음, 둘째, 각 종교의 관점에서 뇌사에 관한 쟁점을 살펴보고, 셋째,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몇 가지 제언을 하도록 하겠다. 이 논문을 통하여 뇌사와 관련하여 뇌와 연관된 생물학적인, 또는 환원론적인 관점을 넘어서 인간의 삶 전체를 유기적으로 보는 각 종교적 관점을 통하여 인간의 생명에 대한 이해가 좀 더 깊어지기를 기대한다. After brain death criteria was first established at Harvard University in 1968, Korea included brain death in the guidelines for the determination of death, through the organ transplant law in February 1999. Since then, various legal, medical, ethical, and social issues regarding the determination of death related to brain death have surfaced, but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s of comparative religion regarding the position towards the brain death. The author will examine the life ethics related to the brain death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atholicism, Protestantism, Judaism, Buddhism, Hinduism, Islam and Confucianism. Three arguments will be unfolded through this paper at large. Firstly, internal and external perspectives on the brain death will be briefed, and secondly, issues related to brain death will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s of various religions, and thirdly, a few proposals will be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life ethics. Through this paper’s various religion’s organic perspectives on the entire human life overcoming biological or reductionist perspectives regarding the brain, the author expects the understanding of the human life to deepen in relation to the brain death.

      • 생명윤리의 공적영역과 종교의 역할

        유경동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8 생명윤리정책연구 Vol.2 No.3

        The role of bioethics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can lead us to understand the current contested terrain between the moral teachings of religion and bioethics, and, most of all, their interaction in the realm of public policy. Exploring the meaning of life from classical debates in Christianity, Buddhism, and Confucianism, I try to find the religious moral teaching as a source of moral wisdom for public policy. I think that the bioethics discourse make biotechnology more inclusive and open to moral contributions from religious moral traditions. In thinking about how religious meaning of life is integrated within the discursive patterns of professional bioethics, it is vital to draw upon a distinction among such religions as Christianity, Buddhism, and Confucianism, because bioethics of instrumental rationality must be supplemented by matters of ultimate meaning and identity conveyed through religious discourse. Christian understanding of life is based on the faith that humans are created by the image of God. This faith is central for coming to know the essence of humanity and Divine reality. Within such a context, biotechnology can only be appropriately appreciated within the framework of curing the soul and body. According to the Buddha's views of life, all human life is normatively significant because it is animated by the descended gandhabba, a spirit. Our life extends into the next life by their past moral behaviour, karma, the entire cycle of cause and effect. The importance of moral discipline is grounded in the natural laws of universe and life, and thus the acts of individuals are led by the laws of nature in a harmonious way. Confucian bioethics provides us with a guidance that the respect to nature and humanity in the life of universe is vital. It emphasizes that man is regarded as a co-worker with nature. Confucianism regards harmony as an important value. In this regard, man moderates nature, taking care of nature in producing life. This kind of Confucian perspective of life provides a comprehensive picture and leads to more balanced and reasonable understanding of life. In the development biotechnology, bioethics must play an important role to acknowledge special rights and moral value of man by displaying certain cognitive capacities advocated by religious thoughts delineated above. The criteria for achieving this goal may be sustained by the growing cooperation between biotechnology and religion.

      • KCI등재

        안락사와 종교적 관점의 생명윤리

        유경동 한국기독교학회 2019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14 No.-

        Recently, The Law of Determination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was fully brought into effect and the law that allowed the choice of death with dignity by signing the Advance Directives was passed. Nonetheless, ethical problems surrounding the issue of euthanasia are diverse. Many issues such as hospice, public healthcare policy, medical service, interruption of therapy, euthanasia and the patient’s discretion regarding his/her death, definition of death, exist in terms of the life ethics. With the above issues under consideration, the author will, 1) summarize and examine the definition and the history of euthanasia, 2) examine the issues of the life ethics raised in relation to euthanasia and, 3) examine euthanasia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Catholic, Protestant, Judaism, Buddhism, Hinduism, Islam, Confucianism. Insight provided by the religious perspectives will help the deepening social sympathy on the understanding of human life in relation to the issue of euthanasia, instead of it being influenced by biological determinism and financial reasoning. Each religious perspectives, with regards to euthanasia, views individual deaths organically in relation to human communities, and may provide a perception that looks at the human death from a more moral context. The author hopes that these perspectives will help in the formation of social solidarity that emphasizes human values in a higher degree in regards to the issue of euthanasia. 최근 한국에서는 연명의료결정법(The Law of Determination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이 전면 시행되었으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Advance Directives)를 작성하여 ‘존엄한 죽음’을 선택하는 법률이 통과된 바 있다. 그럼에도 안락사의 사안을 둘러싼 윤리적 문제들, 예를 들어, 호스피스와 공공의료정책, 의료서비스, 연명치료중단의 책임, 안락사와 죽음에 대한 환자의 결정권, 죽음의 정의 등 고려하여야 할 점들이 생명윤리의 차원에서 많이 있다. 필자는 위의 문제점들을 염두에 두고, 1) 영어권의 자료를 통하여 안락사의 역사와 정의를 간략하고 살펴보고, 2) 안락사의 사안과 연관되어 제기되는 생명윤리의 문제 그리고 3) 가톨릭, 개신교, 유대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유교적 관점에서 안락사를 살펴본다. 그리고 결론으로, 안락사의 문제가 생물학적 결정론이나, 경제적 논리에 의하여 좌우되지 아니하고, 인간 생명에 대한 인식의 깊이를 더하는 종교적 관점의 의의에 대하여 간략하게 평가한다. 각 종교적 관점은 안락사의 사안에 대하여 개인의 죽음을 인간 공동체와 연관하여 유기적으로 보며 그리고 인간의 죽음 자체를 도덕적 맥락에서 보는 시각을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관점들이 안락사의 문제와 연관하여 인간의 가치를 좀 더 중시하는 사회적 공감대를 형성하는 데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주기도문의“나라가 임하시오며” (ἐλθέτω ἡ βασιλεία σου)와 기독교 공동체 윤리

        유경동 한세대학교 영산신학연구소 2019 영산신학저널 Vol.0 No.47

        What is the image of the ‘church’ to the Korean society? How can we recover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ism, “the save-the-nation movement” that led Korean Christianity after the Korean War, and “the community movement spirit of the church” that cried out for righteousness and freedom in the democratization period? The writer has assessed that the public duty of the church is the central element of the Christianity’s role in the Korean society, and is the most important theme in the Christian ethics. To this end, the writer has assessed that the theological inter\-pretation and correct confession of faith regarding the “Your King\-dom come” in the Lord’s prayer are urgently needed, more than ever. The writer focused on the “Your Kingdom come(ἐ.λθέτω ἡβασιλεία σου)” in the Lord’s prayer and various interpretations of it by the not\-ed thinkers in the Christian history, in order to manage the ‘public duty’ of the Church. Although, generally, the ‘Lord’s prayer’ is the most recited prayer by the Christians and commonly used in worship.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it gets reduced into ‘personal prayer’ or the public quality in the prayer overlooked. Therefore, this paper will be developed around three points. The first will recapitulate the public qualities that appear in the Lord’s prayer through scholars, sec\-ond will explain the phrase “Your Kingdom come” in line with the interpretations of the thinkers from Origen to Stanley Hauerwas and analyze their views in categories. And thirdly, through the interpreta\-tions, the writer will propose the public duty of the modern church through the Lord’s Prayer from the Christian ethics’ perspective. For reference, the writer would like to clarify that this paper did not take the approach of the general biblical theology perspectives such as literary criticism, redaction criticism or historical criticism, but focused on the ‘Your Kingdom come’ in the interpretations of Lord’s prayer of the important thinkers in the christian history and categorizing the concept of it. 한국 사회에 비쳐지는 ‘교회’의 이미지는 무엇일까? 일제 강점기 3.1운동을 이끌었던 기독교의 민족정신이나 6.25 남북 전쟁 이후 구국 운동을 선도하였던 구령 운동, 그리고 민주화 시대 정의와 자유를 외쳤던 교회 공동체 운동의 정신을 회복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일까? 한국 사회에서 기독교 역할의 중요한 요소는 ‘교회의 공교회성’이라고 판단하며 기독교윤리학 분야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라고 생각한다. 이를 위하여 ‘하나님의 나라’에 대한 신학적 해석과 올바른 신앙고백은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하다고 판단한다. 이 논문은 교회의 ‘공적 사명’을 감당하기 위하여 주기도문에 나타나는 ‘하나님의 나라’에 대하여 주목하고, 기독교 역사 속에서 대표적인 사상가들의 해석에 관심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주기도문’이 가장 많이 기독교인들에게 암송되며, 예배에서 사용되는 기도문임에도 불구하고, ‘개인기도’로 축소되고, 이 기도문 속에서 나타나는 공적 특성이 간과될 가능성이 많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은 크게 세 가지 점에 대하여 논지를 전개하고자 하는데, 첫째는 주기도문에 나타나는 공공성의 특징을 학자들을 통하여 개괄하고, 둘째, 오리겐(Origen) 이후 현대의 스탠리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에 이르는 사상가들의 주기도문 해석에서 “나라가 임하시오며”(ἐλθέτω ἡ βασιλεία σου)에 대하여 설명하고, 그 관점을 유형별로 분석하여 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셋째, 이러한 해석을 통하여 주기도문을 통한 현대 교회의 공적 사명을 기독교윤리학적 관점에서 제안하도록 하겠다. 참고로 이 논문은 일반 성서신학적인 관점에서 문서비평이나 편집비평 또는 역사비평의 관점으로 접근하지 않고, 기독교 역사 속에서 주요 사상가들의 ‘주기도문해석’ 가운데 “나라가 임하시오며”에 집중하고, 그 개념을 유형화하는 데에 관심을두었음을 밝힌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