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관악독주 상령산의 농음 비교연구– 김계선, 이석재의 음원을 중심으로 -

        고수영 국립국악원 2019 국악원논문집 Vol.39 No.-

        Vibrato is a very important part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t is different from contemporary performance practices of Jeongak. This is particularly notable in the solo Sangryeongsan (the first song in the Yeongsanhoesang suite) by Kim Gye-seon (daegeum) and Lee Seok-jae (piri), both of whom were associated with the Lee Wang-jik Aakbu, the predecessor to the National Gugak Cent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atterns of the vibratos they used and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specific to Kim Gye-seon and Lee Seok-jae.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 between Kim and Lee and later performers, each vibrato was analyzed using a voice analysis program. Later musicians were selected among performers in the genealogy from the Lee Wang-jik Aakbu to the National Gugak Cen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subsequent generations. It was found that following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unique vibrations of Kim Gye-seon and Lee Seok-jae's solo Sangryeongsan: Namely, the range of vibrato that is used in taeju, hwangjong and cheonghwangjong, which appears in Kim's Sangryeongsan, is more than twice as wide as the range of current performer’s vibratos, and the number of vibrations per second is also nearly double. Whereas. the range of vibrato that is used in taeju, hwangjong and cheonghwangjong in Lee’s solo piri Sangryeongsan is more than twice as wide as the current performer’s vibratos bu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the number of vibrations per second. 농음은 전통음악 연주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시김새이다. 국립국악원의 전신인 이왕직아악부 아악수를 지낸 김계선(대금)과 이석재(피리)의 독주 상령산 음원에 나타나는 농음은 현재의 보편적인 정악 농음법과 매우 다르다. 이에 이들이 구사한 농음과 후대 연주자들의 농음 양상을 서로 비교하여, 김계선과 이석재의 농음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김계선, 이석재의 농음과 후대 연주자들의 농음 간에 상이함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음성분석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각의 농음을 구체화 하였다. 비교대상으로 삼은 후대 연주는 이왕직아악부로부터 국립국악원으로 이어지는 계보 내의 연주자 음원으로, 악기별로 세대를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김계선과 이석재의 독주 상령산 농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김계선의 상령산에 나타나는 태주, 황종, 청황종 농음의 음고 변화 폭은 현재의 보편적인 정악 농음의 음고 변화 폭보다 두 배 이상 넓고, 1초당 농음 횟수 또한 두 배 가까이 많다. 이석재의 피리독주 상령산에 나타나는 태주, 임종, 황종, 배임종 농음의 음고 변화 폭은 현재의 보편적인 정악 농음의 음고 변화 폭보다 두 배 이상 넓고, 1초당 농음 횟수는 현재와 큰 차이가 없다.

      • KCI등재

        서용석 대금산조 진양의 시김새에 관한 연구

        이경희 한국국악학회 2017 한국음악연구 Vol.61 No.-

        본고에서는 서용석류 산조 중 진양을 분석하였는데 주로 시김새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심도 있게 살펴보았다. 한국음악이 시김새의 활용으로 선율적으로 유동성을 띠게 되고, 이 점이 서양음악과 차별화되는 아주 큰 특징이라는 것이 일반적 상식으로 이해되고 있지만 이번에 서용석류 산조(중 진양)의 심층적인 분석으로 이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서용석류 산조 중 진양에서 사용된 시김새는, 장식음을 제외하고, 크게 3부류로 나눌 수 있는 데 그것은 농음, 흘려 내리거나 꺾어서 내기, 그 외의 경우 들이다. 둘째, 농음에 있어서 여러 가지가 나타나는데 그것은 아주 다양하여, 보통 정도로 농음하는 경우, 뒷부분에서 농음하는 경우, 횟수가 파악될 정도의 분명한 농음, 흘려 내리거나 꺾어 내면서 농음하는 경우, 지공을 모두 개방한 상태에서 치켜 올려 소리 내며 농음하는 경우 등이 있는데, 특히 계면조에서, 흘려 내리며 농음하거나, 꺾어서 농음하는 등 더 많은 종류의 농음이 사용되며, 긴 시가의 음을 처음부터 곧바로 농음하는 것이 특징이다. 셋째, 흘려 내리는 경우는 보통 정도로 흘려 내리기, 짧게 흘려 내리기, 길게 흘려 내리기, 넓은 음역을 흘려 내리기 등이 있으며, 계면조에서는 꺾는 음이 나타나는데 꺾은 다음 바로 농음하는 경우도 있다. 넷째, 그 외의 경우로 음을 끌어 올려서 내는 경우와 뒷부분을 강하게 힘주어 짧게 끊는 경우, 대금의 지공을 이용한 독특한 장식음 등이 활용되고 있다. 다섯 째, 서용석류 산조 진양에서, 우조 도입부의 경우, 음조직은 계면조이나 시김새에 의해 남성적이며 꿋꿋한 우조의 악상이 표현되고 있다. In this research, from Seo Yong-sok style Sanjo Jinyang(very slow tempo) was analyzed, and mainly the use of Sigimsae was given an in-depth examination. It is commonly known that Korean traditional music has melodious fluidity with the use of Sigimsae, and it is the very unique characteristic which distinguishes Korean music from the Western music. In this research, an in-deth analysis of Jinyang from Seo Yong-sok style Sanjo confirmed this knowledge, and came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Sigimsae used in Jinyang from Seo Yong-sok style Sanjo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kinds: Nongeum, Flowing or dropping, and the others. Second, Nongeum are so various as to include moderate vibration, vibration at the end, clear vibration whose beats can be counted, vibration with a flowing or dropping, high pitching vibration with all openings open, etc. Especially in Gemyeonjo Key more various kinds of Nongeums like Nongeum with a flowing or dropping are used, and note of long tone is vibrated right from the beginning. Third, flowings include a moderate flowing, a short flowing, a long flowing, a flowing over a wide range of notes, etc. In Gemyeonjo Key dropping notes are used and immediate vibrations after dropping are characteristic. Fourth, playing with pitching notes, playing with strong short cuts at the end, and are unique ornaments using Daegeum’s openings are also used. Fifth, Seo Yong-sok style Sanjo Jinyang’s introduction is consisted of Gemyeonjo Key that feels feminine way, but Sigimsae makes it change into a kind of the masculine and grand style which is originally shown in the Ujo of Sanjo. Sanjo was assumed to have appeared before the 19th century when modern music in Western countries approximately had appeared. While the Western modern music was a new style which came out of pursuing new music different from the existing one, Sigimsae seems to be a new style formed in our own way before it was affected by the Western music. Currently Korean traditional music, while variously trying in pursuit of new style music, faces the practices which limit its effort to get out of the influence of Western music.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more attention to Sigimsae and its active application might help open a new way for the composition of new Korean music as well as great performance. Sigimsae as a musical technique which complements the plainness of single tunes, lies in the opposite to harmony. Sigimsae and harmony cannot coexist. It can be argued that Korean music pursues Sigimsae, while the Western music pursues harmony.

      • KCI등재후보

        장새납 농음연주 지도법

        김용일(Jin Yongri)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2 No.32

        본 논문에서는 민족악기 장새납연주기법을 중심으로 농음표현형태 및 연주법을 실제 음악연주곡과 결부하여 그 방법을 탐색한 것이다. 장새납연주에서 농음연주는 가장 기초적인 것이며 또한 아주 중요하다. 특히 호흡, 후두, 입술 등 3결합의 농음연주방법들은 장새납 연주에 있어서 자못 중요한 것이다. 따라서 장새납연주에서의 전통적이고 체계적인 이론방법과 연주법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것은 앞으로 민족음악발전과 후대양성에 있어서 필수적인 과업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techniques of ethnic instruments, Jang Se Nab (a kind of reformed instruments in North Korea). In order to explore the way to play, it combines manifesting patterns of tense consonant ways of playing to real melody. Especially, the combining of three ways of tense consonant playing such as breath, larynx, and mouth are so important in playing the Jang Se Nab. Therefor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and systematic theory is a necessary task for ethnic music developing and descents upbringing.

      • KCI등재

        An Electromyographic Study of the Levator Palatini Activity in the Production of Korea Sentences Containing Three Types of Initial Stops Placed at the Postnasal Position

        박혜숙,히로세 하지매,구마다 마사노부,최홍식,이마가와 히로시,우메다 히로유끼,Park, Hea-Suk,Hirose, Hajime,Kumada, Masanobu,Choi, Hong-Shik,Imagawa, Hiroshi,Umeda, Hiroyuki The Korean Society of Laryngology 2004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Vol.15 No.2

        배경 및 목적 : 한국 구개열환자에게는 된소리 자음(농음0의 구음산출의 난도가 높다는 것은 임상적으로 잘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한국 구개열 환자에게 있어서 난도가 높은 농음의 산출 메커니즘의 기본적 요소를 규명하므로서 언어치료의 새로운 방법모색에 기여하고져 하였다. 연구방법; 비강자음에 후속된 3종의 어두 파열자음 산출시의 구개범거근의 근활동 양상의 차이를 비교검토하므로서 농음의 산출특성을 검색하고져 하였다. 관찰기록 방법은 근전도는 유구침금전극(hooked wire electrodes)을 구강내로부터 경점막적으로 유도하였다. 연구결과 : 격음과 농음의 파열자음에서 평음보다 높은 구개범거근의 근활동이 관찰되었으나 격음과 농음 사이에선 유의미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 론 : 금후의 과제로는 피험자를 늘려 재확인을 하는 일, 및 농음과 격음의 변별요소에 관해 더욱 검토할 필요가 있는 것이 시사되었다.

      • KCI등재

        단음을 기반으로 한 해금 농현의 특성 분석에 대한 연구

        방희석 국립국악원 2023 국악원논문집 Vol.48 No.-

        농음 및 농현은 국악에서 자주 사용되는 대표적인 연주 기법 중의 하나이다. 성악 및 관악기에서 농음의 특성 분석은 기존에 연구된 바 있으나, 국악에서 대표적인 현악기 중 하나인 해금에서의 농현의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연구는 많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국립국악원의 국악 디지털 음원 중 해금의 농현 강/중/약 단음을 이용하여 해금의 농현 특성을 분석하였다. 농현의 특성은 농현의 음고, 농현의 속도, 농현의 크기 등 3가지를 이용하였고, 총 42개의 단음에 대해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로는 우선 농현의 속도는 1초당 4회 내외이며 이는 일반적인 서양 음악의 비브라토에 비해 다소 느린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농현의 크기는 음별 평균이 60 센트에서 153 센트까지 분포하였으며, 이는 서양 음악의 비브라토에 비해 다소 큰 범위까지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일부 농현의 마지막 부분에서 나타난 농현의 속도가 증가하는 경향 및 농현 단음에서 강/중/약 연주에 따른 농현의 크기 결과와 관련하여 논의를 하였다. 본 연구는 해금 농현의 특성에 대해 기초 자료를 산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단일 연주자에 의한 단음만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는 한계 또한 존재한다. 추후 다수의 연주자에 의한 다양한 연주곡들에 대해 해금 농현에 대한 특성 분석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Vibrato, called nonghyeon or nongeum , is one of the typical performance techniques frequently used in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There have been studies that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o of vocal and wind instruments in the field of gugak .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objectivel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vibrato of haegeum, one of the representative Korean traditional string instruments.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haegeum vibrato, using strong, medium, and soft monotones of haegeum from the digital sound sources provided by the National Gugak Center. It analyzes 42 haegeum monotones specifically in terms of intonation, vibrato rate, and vibrato extent. As a result, the vibrato speed in haegeum is around 4 Hz (four times per second), which is generally lower than that in Western music. The vibrato extent ranges from 60 cents to 153 cents on average per note, which covers a somewhat larger range compared to that in Western music. In addition, there are some discussions regarding the tendency for the vibrato rate to increase, which appeared at the end of some vibratos, and the results of the vibrato extent according to strong, medium, and soft playing in monoton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provided basic data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egeum vibrato, but also has a limitation of analyzing only monotones played by a single performer. It is hoped that future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aegeum vibrato on various pieces performed by multiple performers.

      • KCI등재

        한국음악의 고유성에 관한 일(一) 고찰 : 한국과 중국의 전통악기가 지닌 연주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송혜나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09 한국문화연구 Vol.17 No.-

        대부분의 한국 전통악기는 중국의 영향을 받아서 만들어졌거나 중국을 통해 수입된 것으로부터 비롯되었다. 그러나 한국 전통악기는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변용 및 토착화되어 중국의 것과는 다른 겉모습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연주법에 있어 전혀 다른 특성을 가진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전통악기들이 지니고 있는 공통적인 특성을 찾아 그것을 중국의 것과 비교함으로써 중국과 구별되는 한국 음악의 고유성을 규명해보고자 한 것이다.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필자는 조선시대 성종 때 편찬된 『악학궤범』의 분류 및 목록에 따라 한국 전통악기를 크게 두 부류로 나누어 원래부터 우리나라에 있었던 ‘고유악기(향악기)’와 중국에서 들여온 ‘수입악기(아악기, 당악기)’ 측면에서 각 악기의 존속 여부 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사라진 악기들과 살아남은 악기들의 특성을 추출했다. 그 결과 오늘날까지 한국에서 연주되고 있는 악기들의 기준은 모두 ‘역동적이고 적극적인 비브라토(농현․농음 및 시김새) 구사가 가능한가?’의 여부에 달려있음이 파악됐다. 즉 현재까지 남아있는 한국 악기들은 하나같이 중국 것에 비견될 수 없을 정도의 역동적이고 격렬한 비브라토를 구사하는 연주법을 지니고 있고, ‘선율’을 중시하는 중국음악에 비해 ‘힘’을 강조하는 음악임이 확인됐다. 이러한 한국과 중국 전통악기 간의 서로 다른 특성으로 인해 현재 한국에서 자취를 감춘 악기들은 대부분 중국에서 연주되고 있고, 비록 양국에서 비슷하게 생긴 악기들이 연주되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들은 서로 다른 연주법을 구사하는 쪽으로 발달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한국은 중국의 악기를 수용하여 정착시키는 과정에서 그들과는 전혀 다른 고유성을 형성했다고 할 수 있고 나아가 한국음악은 중국과는 전혀 다른 정체성을 지닌 음악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find out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traditional musical instruments. In order to carry out this mission, I divided Korean instruments into two groups such as indigenous instruments and imported ones from China, based on Akhakguebeom (Encyclopedia on Korean traditional music). With these informations, I try to extract common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techniques of playing the Korean instruments. These characteristics can be summarized as various kind of grace notes, stress on the power rather than the beauty, and strong vibration. What I could find out in this study is some instruments imported from China to Korea disappeared completely in Korea, while the same ones are still being played in China, and the opposite is also true. Also, we can discover that imported instruments has been changed or improv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instruments. The reason why this phenomenon happened, especially in the case of Korea, is that instruments with which Korean player could practice Korean unique technique of playing could only survive. In other words, there only remained instruments among many imported ones, which had a structure that made it possible to vibrate very strongly and play various grace notes.

      • 발발성에 관한 음향학적 연구

        신찬균(Shin Chan-kyun) 한국음악문화학회 2010 한국음악문화연구 Vol.1 No.-

        vibrato의 한 가지 형태인 ‘발발성’은 오늘날까지 구체적인 형태와 정의가 확립되지 않았다. 발발성에 대한 기존에 인식된 의미들은, 연구를 거치지 않고 정의되었을 뿐만 아니라, 출처를 알 수 없는 구두로 전해진 발발성에 대한 해석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아쟁산조에서 나타나는 농현을 바탕으로 발발성의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PRAAT를 이용해 아쟁산조 중 진양조에 나타나는 농현의 주기를 측정한다. 농현의 상승시간과 하강시간을 분리한 분석을 통해 발발성의 형태를 알 수 있다. 그 결과, ascent가 descent보다 짧을 경우 발발성과 멀어진다는 결론이 나오게 된다. 1회 농현의 속도가 빨라지면 빨라질수록 장력에 역행하는 형태의 농현은 나올 수 없다. 이상적인 농현 형태는 형상탄성의 작용에 역행하는 농현법으로서, 1회 속도를 비교적 빠르게 유지하면서 하강시간을 상승시간보다 길게 나타낸다면 이상적인 농현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Balbalseong, one of vibratos, it's concrete form and definition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Because the previously perceived meanings of Balbalseong were defined without research and were interpretation of the orally passed down information from an unknown source. For this reason, we tried to define Balbalseong based on Nonghyeon shown in Ajaeng Sanjo. We sounded the periodic time of Nonghyeon shown in Jinyangjo among Ajaeng Sanjo with PRAAT. As a result, we could conclude that Balbalseong is further removed when ascent is shorter than descent. Nonghyeon which is contrary to the tension can't be show up if the speed of it is faster. The ideal form of Nonghyeon is contrary to the elastic effect of shape. Nonghyeon can be ideal if descent is longer than ascent while maintaining a relatively fast spe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