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남성노인의 일과 여가에 대한 생애사 연구

        남순현 ( Nam Soon Hyeo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6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3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노인의 일과 여가 경험을 이해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생애사 연구방법을 통해 은퇴 후 일 경험이 있는 65세 이상 남성노인 10명의 일과 여가 경험에 대한 전생애 발달단계를 탐색해 보았다. 2014년 12월 8일부터 2014년 12월 24일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Madelbaum(1973)의 분석단위(차원, 전환점, 적응)로 타임라인을 구성한 후, Lieblish 외(1998)의 범주적 내용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성노인의 일 생애주기는 청소년기: 나를 찾기, 성인기 초기: 설렘과 두려움, 성인기 후기: 치열한 전투, 중년기: 뿌리내림, 은퇴기: 대책 없이 일 박탈, 그리고 노년기: 진정한 나를 수용해감으로 구분되었다. 반면 남성노인의 여가 생애주기는 아동청소년기: 여가습득기, 성인기: 여가불모기, 중년기: 일-가정-여가 양립기, 여가 자유기 그리고 노년기 여가로 분류되었다. 연구결과, 남성노인의 일과 여가의 생애주기는 한국전쟁과 IMF 금융위기와 같은 시대적 상황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기 남성노인은 한국전쟁 후 사회복구와 경제부흥을 위해 여가를 반납한 채 일에 몰입하여야 했다. 하지만 중년기 남성노인은 점차 자신의 삶에서 안정을 맛보면서 사회적으로 인정을 받게 되었고, 여가를 통해서 자신을 찾아가는 작업을 시작하였다. 은퇴를 전후로 남성노인은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구속에서 벗어난 자유를 느끼지만, 노년기에도 여전히 남성노인에게 일과 여가는 새로운 삶의 시작이었고 활력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윤소영, 2010; Super, 1976; 1990; Quadagno, 2011)의 한계에서 벗어나 생애주기별 남성노인의 일과 여가 생애주기를 노년기까지 확장시켜, 남성노인의 일과 여가 경험을 탐색해봄으로써, 남성노인이 행복한 노후를 맞이할 수 있도록 제언해보았다는데 의의를 지닌다. Korean elderly men lived as a pillar of the industry and without leisure during the 60s and 70s.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work and leisure of elderly men through life history perspectives across the lifespan development. Participants in the study included elderly men 10, over 65 years age, who had work experience after retirement.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life history graphs and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from December 8, 2014 to December 24, 2014 and were transcribed verbatim. This study constructed a timeline by analytic unit (dimension, turning point, adaptation) of Mandelbaum (1973) and analyzed by categorical-content perspective of Lieblish et al. (1998). The work life course of elderly men could be divided into periods defined by searching for work identity, heart fluttering with new hope and anxiety, keen competition, taking root in life, loss of work without preparation for retirement, and accepting yourself for who you really. On the other hand, the lifelong leisure cycles of elderly men could be classified into the period of acquisition of leisure, leisure-sterile, work-family-leisure compatible, disengagement and freedom, and leisure in later life. The importance of work and leisure experiences in the development of elderly men across their lifespan and the their specific ways in which they brought about happy aging was discussed.

      • KCI등재

        남녀 독거노인들의 우울 위험요인 비교연구

        김혜령 ( Hye Ryoung Kim ) 대한보건협회 2014 대한보건연구 Vol.40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유병률과 위험요인을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노인실태조사 원시자료 가운데 여성독거노인 1,462명과 남성독거노인 28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 우울 유병률은 여성독거노인 35.0%, 남성독거노인이 34.9%로 차이가 없었다. 우울의 위험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여성독거노인은 국민기초생활수급 대상이 아닌 노인에 비해서 수급 대상인 노인, 친인척·친구와 매일 접촉하는 노인에 비해서 매일 접촉하지 않는 노인, 진단받은 질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서 세 개 이상의 질병을 진단받은 노인, 6-8시간 수면을 취하는 노인에 비해서 6시간미만의 수면을 취하는 노인, 쉬지 않고 열 계단을 오를 때 전혀 힘들지 않는 노인에 비해서 약간, 매우 힘들거나 전혀 불가능한 노인에서 우울 발생이 높았다. 이에 비해 남성독거노인은 고등학교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가진 노인을 기준으로 했을 때, 중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진 노인, 읍면부에 거주하는 노인에 비해 동부에 거주하는 노인, 자가 주택을 소유한 노인에 비해서 월세 주택에 거주하는 노인, 진단받은 질병이 없는 노인에 비해서 세 개 이상의 질병을 진단받은 노인이 우울의 고위험인구로 추정되었다. 진단받은 질병 수와 BMI는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 노인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기초국민생활보장 수급 여부, 친인척·친구 매일 접촉 여부, 수면시간, 쉬지 않고 열 계단 오르기는 여성독거노인에서만, 교육수준, 거주지역, 주택소유는 남성독거노인에서만 우울 유병률에 영향을 미침으로서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위험요인은 차이가 있었다. 결론 : 본 연구가 한국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우울 위험요인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기반으로 독거노인 우울 고위험인구 관리가 이루어질 것을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among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in Korea. Methods: A total of 1,462 of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from 2011 Report on the Korean National Older Adults Life Survey were selected. Results: There is no difference in prevalence of depression between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Depression was more prevalent as the elderly female living alone who have received basic livelihood support; in the elderly female who contacted with relatives or friends less than everyday; as the elderly female with 3 and more of diagnosed diseases; in the elderly female who slept less than 6 hours; as the elderly female who can hardly climb stairs without respite. Depression of the elderly male living alone was affected by lower education level, residential areas; home ownership, diagnosed diseases, and BMI. Conclusion: The finding of differences in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its risk factors between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is expected to promote the differentiated strategy for the elderly female and male living alone at risk of depression in Korea.

      • KCI등재

        영구임대주택 남성독거노인의 우울증과 자살충동: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용운 ( Cho Yong-un ),한창근 ( Han Chang-ke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 保健社會硏究 Vol.34 No.4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노인 특히, 위험집단으로 평가되는 영구임대주택에 거주하고 있는 남성독거노인을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여 첫째, 남성독거노인의 우울증이 자살충동에 미치는 영향, 둘째, 남성독거노인의 사회적 지지가 우울증과 자살충동의 관계를 조절하는가를 이론적으로 검토하고 경험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데이터는 2013년 2월 기준 서울특별시 노원구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총 347명의 남성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정신건강실태조사에 기반하고 있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 및 사회복지실천적인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는 남성독거노인가구를 대상으로 설정한 분석에서도 다른 노인집단과 마찬가지로 우울증과 사회적 지지가 여전히 자살충동에 중요한 변수라는 점을 보여준다. 둘째, 남성독거노인의 경우 사회적 지지가 극단적인 선택을 억제하는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규명하였다. 이러한 측면은 남성독거노인의 정신건강을 위한 수단으로 사회적 지지를 활용한 접근이 필요함을 뒷받침하는 경험적 근거를 제시하고 있다. The study aim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empt of elderly man living alon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Main research question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empt among elderly man living alon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2) The moderation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empt. We used the data collected from 347 participants among elderly man living alon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on Nowon-gu, Seoul, Korea. The Mental Health Survey Data were conducted by mental health social worker and public social worker from February to March, 2013. This study reports several noteworthy findings. First, we found that depression of male older adults significantly influenced suicidal attempt. Second, the findings confirm that social support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uicidal attempt. Results suggest that effective intervention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among male older adults living alone in permanent rental housing should be introduced.

      • KCI등재

        남성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경로 연구: 성역할태도, 사회서비스 이용정도, 자아존중감, 삶의 질 관계를 중심으로

        이진숙,최원석 한국노인복지학회 2014 노인복지연구 Vol.0 No.66

        Elderly men experience lots of difficulties especially in light of daily life owing to skilllessnessin private sphere. This leads to the outcome that the quality of life drops. This can be said tobe phenomenon of being caused by which elderly men perform the fixed gender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osely examine causality on a path in quality of life inelderly men based on the role theory and the prior findings. To do this, the survey subjectswere set to be 1328 elderly men aged over 65 among survey subjects of the 7th Korea WelfarePanel data. An analytical method was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 As a result of this study,the elderly men's quality of life could be known to have been shown by which self-esteemfunctioned as partial mediation in relationship with gender-role attitude and by which thesocial-service use level functioned as complete mediation. Suggesting policy for enhancing elderly men's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it can be mentioned the necessity for forming culture of pointing to the egalitarian gender-roleattitude and the necessity for supporting the individually-customized social service for elderly menand developing policy by cohort in the elderly. 남성노인들은 사적 영역에서의 미숙함으로 인해 특히 일상생활 상의 어려움들을 많이 경험하고, 이는 삶의 질이 저하되는 결과로 이어진다. 이는 남성노인들이 고착화된 성역할의수행으로 인해 야기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역할 이론 및 선행연구 결과를 근거로 하여 남성노인의 삶의 질의 경로에 관한 인과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자는 한국복지패널 7차 자료의 조사대상자 중 65세 이상의 남성노인 1328명으로 설정하였으며, 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남성 노인의 삶의 질은 성역할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매개작용을 하였고, 사회서비스 이용정도는 완전매개작용을 함으로써 나타난것임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남성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제언을 해 보면 평등주의적 성역할태도를 지향하는 문화의 조성이 필요하고, 남성노인을 위한 개별적인 맞춤형 사회서비스의 지원과 노인의 코호트별 정책개발에 대한 필요성을 언급할 수 있다.

      • KCI등재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 분석

        엄사랑 ( Um Sa Rang ),김수경 ( Kim Su Kyoung ),김지원 ( Kim Ji Won ),신혜리 ( Shin Hye Ri ),김영선 ( Kim Young Sun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0 保健社會硏究 Vol.4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노인의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속에서 사회접촉의 매개효과와 전자기기 활용능력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의 전체응답자 중 남성노인 3,979명의 응답자를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고, Hayes(2013)의 PROCESS macro 분석방법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남성노인 중 은퇴한 노인은 은퇴하지 않은 노인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우울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고, 사회접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즉, 은퇴하지 않은 남성노인은 은퇴한 남성노인보다 사회접촉이 높으며, 사회접촉이 높을수록 낮은 수준의 우울감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매개모형에서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은퇴와 우울과의 관계 및 은퇴와 사회접촉과의 관계 모두 매개된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남성노인의 전자기기 활용능력이 높을수록 우울감은 낮아지고 사회접촉이 높아지며, 은퇴로 인해 높아지는 우울감과 저하되는 사회접촉 모두 완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ICT를 활용하여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킴으로 은퇴노인의 우울감을 저하시킬 수 있는 실천적 개입에 기초 자료로써 중요하게 활용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ntact and the mediated moderating effect of the electronic device utiliz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of elderly men. The data used here were from the 2017 National Survey of Older Koreans, and 3,979 elderly men among the entire respondent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arget. And it was verified using the PROCESS macro analysis method of Hayes’s (2013). The results showed that retired elderly men ha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depression than non-retired elderly men, and social contact had a partial mediation effect. In addition, electronic device utilization had a mediated moder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depress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retirement and social contact. This is to say that the utilization of electronic devices has a moderation effect that alleviates the increased levels of depression and social isolation after retirement.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tiliz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practical intervention to promote elderly men’s social contact and encourage active social participation using ICT to reduce the depression of elderly retirees.

      • KCI등재

        여성독거노인과 남성독거노인의 관계자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재은,장은진 한국노인복지학회 2016 노인복지연구 Vol.71 No.2

        This study focuses on the influence of social relationship resource by gender on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For the analysi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2014 National Data on the Elderly"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The major finding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s follows:First, Controlling for related factors(age, income, subjective health status, limitations in daily activities), relationship of resources of all types(children, relatives, friends, all others) would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living alone. Second, even though elderly women are worse than elderly men with regard of socio-economic and physical & mental health conditions which would have significant and negative impacts on life satisfaction, the result show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elderly women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men’s. It would be due to contribution of women’s superior relationship resources. Finally, when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gender and social relationship resource was included additionally, the interaction term has a significant impact on life satisfaction in regard to only children resource, while gender and social relationship still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t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rceived gender differences of relationship resource should be considered for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of older peoples living alone. Especially this study highlights that we have to focus to develop and manage the relationship resources of elderly men through work and family life reconciliation from working age. 본 연구는 성별 간 관계자원의 차이에 주목하여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따라서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에 대한 관계자원의 영향및 성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보건복지부와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서 조사된 「2014년 노인실태조사」 원자료를 활용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연령, 소득수준, 주관적 건강상태, 신체 기능제한 여부 등을 통제한 상태에서 자녀, 친인척, 친구․이웃․지인, 모든 타인 등의 관계자원이 독거노인 삶의 만족도 증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확인하였다. 둘째, 여성노인은 남성노인에 비해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수준 및 신체․정신건강 수준이 열악함에도 불구하고, 사회․경제 요인 및 건강 요인들을 통제한 상황에서는 여성노인의 삶의 만족도가 남성노인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나타났다. 이는 여성노인이 남성노인에 비해 관계자원이 우수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성별과 관계자원의 상호작용항을 포함하여 분석한 결과에서, 성별과 관계자원은 여전히 각각 삶의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성별과 관계자원의 상호작용 효과는 모든 자녀, 가장 많이 접촉한 자녀 관계자원에서 유의미한 영향이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독거노인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해서는 다양한 관계자원의 개발과 유지를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특히 성별 관계자원의 차이를 고려하여, 남성노인의 경우 근로연령기부터 일․가정의 균형을 강조하여 노년기에 가족 및 비공식 관계자원을 유지, 강화할수 있도록 하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우수등재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2018 국민생활체육참여 실태조사를 이용한 성별 분석

        김보람 ( Kim Boram ),김매이 ( Kim May ),윤소영 ( Yoon So-young ) 한국체육학회 2020 한국체육학회지 Vol.5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을 분리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연령, 최종학력, 혼인상태, 가구원소득, 가구원 수), 건강행동변인(규칙적인 체육활동, 충분한 휴식 및 수면, 규칙적인 식사 및 영양보충, 금주 및 금연), 주관적 건강인식이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의 행복에 미치는 요인들 조사대상은 ‘2018 국민 생활체육 참여 실태조사’ 응답자 중 만 65세∼74세까지의 연소노인 930명으로 남성노인(N=420)과 여성노인(N=510)을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기술통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인구통계학적 변인, 건강행동변인, 주관적 건강인식이 행복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성별과 관계없이 주관적 건강인식과 규칙적인 체육활동, 최종학력 등은 행복감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보였으나, 그 외 인구통계학적 및 건강행동 변인은 남성노인과 여성노인이 각기 다른 부분에서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노인들의 행복감 증진을 위해서는 주관적 건강인식을 높이고, 규칙적인 체육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끊임없는 노력과 정책적인 부분에서의 관심이 다시 한 번 강조되는 연구 결과이다. 하지만 이와 함께, 본 연구 결과는 남녀노인의 행복도를 이해하고, 관련 정책의 수립과 수행에 있어서 남녀노인의 차이점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fferent factors influencing the happiness of male senior citizens and female senior citizens. The sample of the research includes male senior citizens (N=420) and female senior citizens (N=510) between age 65-74 responding on ‘2018 National Survey on Participation Sports’. After utilizing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es and correlation analys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of (step 1) socio-demographic factor (i.e.,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house income, numbers of family members), (step 2) health oriented behavior factors (i.e., regular exercise, sufficient rest and sleeping, healthy diet, and non-smoking and non-drinking), and (step 3) subjective health condition were run for the happiness of the male and female samples separately. Subjective health condition, regular exercise and education level were significant factors for both samples but other factors influenced happiness differently for the male and female samples.

      • KCI등재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격차 및 소득원 차이와 결정요인

        석재은(Seok, Jae Eun),임정기(Lim, Jeong Gi)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1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여성노인 소득실태의 절대적, 상대적 열악성과 소득원 구성의 특이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4년도 전국 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원자료'를 이용하여, 노인의 성별 빈곤율 격차를 분석하고, 노인 개인 소득수준의 성별 격차를 분석하였으며, 노인의 성별로 소득원 구성에서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또한 노인의 성별이 노인의 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분석하고,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여성노인의 빈곤율은 41.2%로 남성노인 빈곤율(31.2%)보다 10% 포인트 높았다. 또한 노인 개인의 소득수준 역시 여성노인의 평균소득은 30만원이 채 안 되는 수준으로, 남성노인 평균소득의 37.5%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원 구성에서도 성별로 특이한 차이를 보였는데, 여성노인은 절대적 비중에 있어서나 남성노인에 대비한 상대적 비중에서 모두 공공부조이전소득 및 사적이전소득의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남성노인이 공적연금이전소득의 상대적 의존도가 높은 것과 비교되는 것으로, 사회보험은 남성친화적이고 공공부조는 여성친화적이라는 내용의 사회보장의 성별 분리를 주장한 선행 연구결과를 실증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기도 하다. 또한 소득수준 영향요인 분석 결과, 노인의 인적, 가구적 여타 특성을 통제한 경우에도 여성노인이라는 특성이 총소득수준 및 소득원별 소득수준에 부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부조 소득만이 여성노인의 경우 정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이 취약한 소득실태에 놓인 여성노인은 빈곤층에 대한 사후대책적이며 최종안전망인 공공부조 중심으로 보호되는 반면, 사전예방적이고 일차안전망인 공적연금에서는 거의 배제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seeks to examine empirically 'how terrible older women's income conditions are' in the perspective of gender sensitive. The method of this study is making a comparison between income conditions of older women's and men's through secondary analysis using the raw date from 2004 Living Profile and Welfare Service Needs of Older Persons: examine on poverty gap, income gap, and differences of income sources between older women and men; analysis of effect factors on total income level and on income level by sources through using multi-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poverty rate of older women is 41.2%, that is higher 10% point than older men's. The average income level of older women is less than 300 thousand won, that is merely 37.5% of older men's. We could also find very differences in the composition of income sources between older women and men. Older Women depend highly on public assistance transfer income and private transfer income in both absolute and relative proportion. It is compared to older men's that is high relatively proportion of public pension transfer income. These results also support empirically the insistence of precedence studies that exists gender division of social security as to 'social insurance is men-friendly and public assistance is women-friendly'. Though under controlling personal and family characteristics, it appears that older women is the significant negative effect factor on total income level and on income level by most sources, except public assistance transfer income. Our study show that older women in poor income are protected from public assistance which is after-countermeasure and last safety net, while the majority of older women are excluded from public pension which is before-preventive and the first safety net.

      • KCI등재

        농촌지역 남성노인의 운전이 우울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황성조,김영선,오영삼 한국노인복지학회 2017 노인복지연구 Vol.7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driving status of elderly men in rural areas on depression and social activities.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 used the 2014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This study used Propensity Score Matching(PSM) to match the results from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in Korea and used OLS regression analysis to prove the relationship between whether rural elderly men drive or not affects depression and social activities. In total data, 453 elderly people who were driving among 3,324 rural male elderly were selected as the target group. Among the 2,871 elderly who did not drive as a comparison group, 293 people who set Caliper and removed unmatched cases were subjected to propensity score matching. According to results, rural elderly who were driving showed statistically higher levels of social activity and lower levels of depression than those who did not drive. This study elucidates that driving status of elderly men in rural areas has positive effects on social activities and depres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ocial activities in the rural elderly analyz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t will provide the direction of follow-up study related to the driving of the elderly male in rural areas. Second, it is expected that the driving status of elderly men in rural areas will be utilized as practical data on depression and social activities.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에 거주하는 남성노인의 운전여부에 따라 우울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2014년 노인실태조사를 사용하였다. 본연구는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을 이용하여 노인실태조사에서 추출한 자료를 통해 매칭 하였으며, OLS회귀분석을 이용해 농촌남성노인의 운전여부가 우울과 사회활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전체 자료에서 3,324명의 농촌남성노인 중 운전하는 노인 453명을대상 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비교집단으로써 운전을 하지 않는 노인 2,871명 가운데 Caliper를설정하여 매칭 되지 않는 케이스를 제거한 293명을 성향점수 매칭을 하였다. 연구결과 운전을 하는 농촌노인들은 운전을 하지 않는 노인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수준의 사회활동, 낮은수준의 우울감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 남성노인의 운전여부가 사회활동과 우울감 감소에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농촌 노인의 운전여부와 우울과 사회활동과의 관계는 첫째, 농촌남성노인의 운전과 관련된 후속연구의 방향성을제공할 것이다. 둘째, 농촌남성노인의 운전여부가 농촌에 거주하는 운전을 하는 노인들에게우울과 사회활동에 대한 실용적인 자료로써 활용되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여성노인과 남성노인의 성공적 노화에 관한 인식 비교연구

        정순둘(Soondool Chung) 한국노년학회 2007 한국노년학 Vol.27 No.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i) to observe the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i)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between Korean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and (iii) to find the factors including related variables that influencing successful aging. Korean elderly aged 65 and over were sampled using a purposive sampling method. Subjects were selected from Seoul and other rural areas and they have utilized senior welfare center services. After pilot testing, data were collected by face to face interview with the elderly in the senior welfare centers from April to June, 2006. A total of 527 copies of questionnaire were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elderly women for successful aging was not different from elderly men, each of elderl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uccess of their children and accompanying with their spouse. The variables affecting successful aging of elderly women were self-esteem, social support, residential area, ag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elf-rated economic status, spirituality, and social activity. For elderly men, spirituality, social support, spouse, self-rated health status, and social activity were important variables. Based on these findings, a number of implications for the successful aging for the elderly men and elderly women were presented.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여성노인들과 남성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 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분석해 이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함의를 찾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농촌에서 노인복지관을 이용하는 여성노인과 남성노인들로 의도적 표집에 의해 추출되었다. 자료수집은 훈련받은 조사원에 의한 면접으로 이루어졌으며, 여성노인 326명, 남성노인 201명 등 모두 527명이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우리나라 여성노인들의 성공적 노화에 대한 인식 수준은 남성노인과 차이가 없었으며, 여성노인은 자녀성공을, 남성노인은 부부간 동반자적 삶을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공적 노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은 성별로 차이가 있었다. 여성노인은 자아존중감, 사회적 지지, 거주지역, 연령, 주관적 건강평가와 경제평가, 영성, 사회활동 등이었고, 남성노인은 영성, 사회적 지지, 배우자 생존, 주관적 건강평가, 사회활동 등이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가지고 성공적 노화에 대한 함의를 찾아보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