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나린진(naringin)이 함유된 소프트 콘택트렌즈에서 나린진의 용출 특성

        유근창,전진,진문석,채수철,김인숙 한국안광학회 2008 한국안광학회지 Vol.13 No.3

        Purpose: A soft contact lens was manufactured by adding naringin known as natural anti-bacterial material to resin solution. With solution eluted from manufactured contact lens, we examined its optical properties, physical and chemical states of naringin in the polymer, and elution properties. Methods: The soft contact lens with naringin was synthesized by bulk polymerization method. IR spectrum and HPLC were used to define the bonding type of naringin itself in the soft contact lens contained naringin, elution process of naringin to the saline solution, and the amount of naringin solution eluted from the lens with elapsed time. Results: Naringin was continuously eluted with constant concentration from the soft contact lens for about a month and the structure of naringin which is eluted was as same as before it was added to resin solution. Any change in optical properties such as transmittance couldn't be found. Bonding state and the structure of naringin in contact lens were explained with IR spectrum and HPLC results. Conclusions: In the contact lens with naringin, naringin remained in the contact lens bonding with weak hydrogen bonding and/or van der Waals force between naringin and polymer. Naringin was continuously eluted from the contact lens contained naringin during about 1 month. Even after 1 month, i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the naringin eluted was approximately 10 ppm in a day. From the results, adding naringin to the soft contact lens resin is very effectiv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oft contact lens which has anti-bacterial function for a period of time. 목적: 본 연구는 천연항균물질인 나린진을 소프트 콘택트렌즈 수지용액에 첨가하여 소프트 콘택트렌즈를 제조하 고, 제조된 콘택트렌즈에서 용출된 용액의 광학적 특성과 나린진의 물리화학적인 상태 그리고 식염수에서의 용출 특성 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나린진이 첨가된 콘택트렌즈는 벌크(bulk)중합 방식을 이용하여 제조하였 고, 제조된 나린진이 첨가된 콘택트렌즈에서 나린진의 결합상태와 식염수로의 나린진 용출과정, 그리고 시간에 따 른 나린진의 용출량 등은 적외선 스펙트럼(IR spectrum)과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이용하여 살펴보 았다. 결과: 나린진이 첨가된 콘택트렌즈에서 나린진의 용출은 일정농도를 유지하면서 약 1개월 동안 지속되었고, 용출된 나린진은 첨가하기 전과 동일한 구조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투과율과 같은 광학적 특성 변화는 관찰할 수 없 었다. IR spectrum과 HPLC 결과로부터 콘택트렌즈 내에서 나린진의 구조와 결합상태를 확인하였다. 결론: 나린진 이 첨가된 콘택트렌즈에서 나린진은 폴리머 분자와 반데르발스(van der Waals) 인력이나 나린진 분자의 수산기 (hydroxyl group)와 약한 수소결합(hydrogen bonding)에 의해 상호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린진이 첨 가된 콘택트렌즈로부터 나린진은 약 1개월 동안 일정농도씩 꾸준히 용출되었으며 1개월 후에도 하루 동안 용출된 나린진의 농도가 약 10ppm으로 나타나 일정기간 동안 항균력의 유지가 지속적으로 필요한 소프트 콘택트렌즈의 제조에 나린진을 첨가하는 방법이 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산지별 유자의 수확시기에 따른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활성 비교

        문소현(So Hyun Moon),아와리스(Awraris Derbie Assefa),고은영(Eun Young Ko),박세원(Se Won Park) 한국원예학회 2015 원예과학기술지 Vol.33 No.2

        본 연구는 고흥과 제주도로부터 수확된 유자의 수확시기에 따른 과실의 품질 변화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8월부터 12월까지 매월 1일 수확된 유자 과실을 사용하여 유자의 크기, 중량, 과형지수, 당도, 수분함량등 외관적 특징과 총 페놀함량, 항산화 활성 그리고 감귤류의 대표 플라보노이드성분인 나린진과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고흥과 제주도로부터 수확된 과실의 외관적 특징을 비교할 때 8월 9월에 수확된 유자는 초록색을 띄며 수확시기가 지날수록 노란색으로 변하면서 성숙되었고 수확적기인 11월과 12월에는 진한 노란색을 띄었다. 제주도 유자가 고흥 유자에 비해 다소 크나 유의적인 차이는 크게 없었으며. 수확시기에 따른 구형지수는 점차 감소하여 구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하였고 당도는 증가하였다. 총 페놀화합물의 함량은 제주도 유자가 고흥 유자에 비해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8월에 수확한 어린숙기의 유자의 총 페놀화합물 함량은 수확적기인 11월, 12월 유자 보다 높은 수준의 함량을 보였으며 산지에 따라 10월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산지별, 수확시기에 따른 항산화 활성은 총 페놀화합물 함량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으며 8월 수확한 미숙 유자의 항산화 활성은 높은 수준의 활성을 보였으며 산지에 따라 10월과 11월까지 감소하다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나린진과 헤스페리딘 함량 또한 제주도 유자가 고흥유자에 비해 다소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8월 수확한 미성숙과의 유자는 높은 수준의 함량을 보였으며 수확시기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수확적기인 11월과 12월은 유의적인 차이 없이 거의 비슷한 함량을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 보아, 미성숙과에서 식물체에 존재하는 많은 페놀성 물질과,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다량 함유하며 강한 항산화 효과가 있어 다양한 생리활성을 기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를 다양하게 활용한다면 여러 질병의 예방 효과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fruit quality, flavonoid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Yuzu (Citrus junos Sieb. ex Tanaka) from Go-heung and Jeju according to harvest time. Samples were harvested from August to December on the 1<SUP>st</SUP> of every month. August and September samples were green colored, whereas November and December samples were yellow. The fruit shape index decreased, changing from globular to elliptical, whereas the °birx increased with ripening stage. The yuzu from Jeju was larger than that from Go-heung in each month of cultivation. August samples exhibited the highest amounts of phenolic compounds. In addition, samples from Jeju had higher total phenolic content than those from Go-heung. The content of phenolic compounds decreased with ripening until October and then increased subsequently. Antioxidant activity of the yuzu was evaluated by FRAP and DPPH methods. The antioxidant activity showed a similar trend as total phenolic content. Immature yuzu fruit was found to exhibit the highest amount of flavonoids such as naringin and hesperidin. November and December samples showed almost the same contents of flavonoids. The flavonoid content of yuzu fruit harvested from Jeju was higher than that from Go-heung. Overall, the samples harvested at the early stage, in the month of August, exhibited the highest flavonoid content,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As the health benefits of these compounds has been demonstrated in various studies, the immature yuzu appears to be preferable for use as a raw material for formulation of pharmaceutical products as well as for functional food production after a proper in-vivo and in-vitro medical test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1형 당뇨마우스에서 Naringin의 혈당 개선 효능

        정운주,최명숙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2015 농업생명과학연구 Vol.49 No.3

        본 연구에서는 자연발증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 모델동물인 Non-obese diabetic(NOD) 마우스에게 naringin 보충이 당대사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암컷 NOD 마우스는 정상식이를 섭취한 대조군과 정상식이에 0.02%(w/w)의 naringin 보충식이를 급여한 실험군으로 나누어 11주간 자유식과 자유급수를 통해 사육하였다. naringin 보충은 식이섭취량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당뇨로 인한 체중감량, 혈당상승 및 사망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내당능을 개선시키고 혈중 인슐린과 C-peptide 농도를 증가시키는 반면 혈중 글루카곤 농도를 감소시켰다. 흥미롭게도 혈중 인슐린과 글루카곤 농도 변화와 일치되게 췌장 인슐린의 단백질 발현이 naringin 보충에 의해 증가하는 반면 췌장 글루카곤의 단백질 발현은 감소하였다. 또한 naringin은 간조직에서 당신생효소인 glucose-6-phosphatase와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활성도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당이용에 관여하는 glucokinase 활성도와 glycogen 함량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naringin은 자연발증 제1형 당뇨동물의 췌장 α-세포와 β-세포를 보호함으로써 혈중 인슐린과 글루카곤 농도를 유지하고 이로써 간조직의 당신생을 억제하고 당이용을 증가시켜 당뇨로 인한 혈당 상승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naringin은 향후 당뇨병 예방 및 개선용 건강기능성식품 및 신약의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적절한 phytochemical 화합물이라 판단된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naringin on glucose metabolism in non-obese diabetic (NOD) mice, a good animal model for studying human autoimmune type 1 diabetes or insulin dependent diabetes. Female NOD mice were divided into control and naringin (0.02%, w/w) and fed experimental diet for 11 week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ood intake between groups. However, naringin inhibited weight loss and hyperglycemia and increased survival rate. In addition, naringin improved glucose tolerance, increased plasma insulin and C-peptide levels and decreased plasma glucagon level. Similar to plasma insulin and glucagon levels, pancreatic insulin protein expression was increased by naringin, whereas pancreatic glucagon protein expression was decreased. Moreover, naringin decreased activity of gluconeogenic enzymes, glucose-6-phosphatase and phosphoenolpyruvate carboxykinase, in liver, along with increased hepatic glucokinase activity and glycogen cont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ringin may maintain plasma insulin and glucagon by protecting pancreatic α-cells and β-cells, thereby reducing gluconeogenesis and increasing glucose utilization in liver and ultimately preventing diabetes onset in type 1 diabetic NOD mice. Therefore, naringin may be useful phytochemical compound for improving and preventing type 1 diabetes.

      • KCI등재

        Effect of Photoprotective activities of Poncirustrifoliata immature Fruit extract and Naringin compound

        박상희,곽인실 한국융합학회 2019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0 No.7

        The study studied dermal protection and crease improvement from the sunlight of the lipid extract and narinjin. Sunlight was investigated in HR-1 (motherless mice) to identify changes in epithelial thickness and changes in collagen fibers, which account for around 90% of dermis, as the inhibitory efficacy of collagenase dissolving collage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wrinkles. The experiment was validated using narinjin and jisil extract. First: The components of jisil and narinjin were analyzed. Second, antioxidant capabilities were confirmed with DPPH. Third: The inhibitory activity of collagen was measured. Studies have shown that the skin's upper skin thickness suppression of dermal extracts and narinzine has increased and that collagen thicknesses and wrinkles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contro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