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절자극 변화에 따른 동체시력(Dynamic visual acuity) 측정에 관한 연구

        진문석,전인철 대한시과학회 2018 대한시과학회지 Vol.20 No.4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in the dynamic visual acuity between (DVA) the distance and near and the effect of change of accommodative stimulus on the dynamic visual acuity by the addition of the plus lens. Methods : The study involved 40 male and female adults (22.84 ± 2.43 years old) with over 1.0 of visual acuity and without systemic disease or ocular disease. We compared the distance and near DVA and the change of DVA induced by the addition of the plus lens(+0.50D, +1.00D, +1.50D). Results : The distance DVA and near DVA are 78.86±19.46 deg/sec and 76.90±18.05 deg/secrespectively. The distance DVA was slightly higher(p=0.04). The higher the distance DVA, the higher th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near DVA and distance DVA, and distance DVA was higher in those who had higher the near DVA(r=0.95, p=0.00, Fig. 4). The near DVA according to the change of accommodative stimulus was 75.95±18.85 deg/sec in full correction and the near DVA with +0.50D spherical power was 76.95±16.45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p>0.05). However, the near DVA with +1.00D spherical power was 79.02±13.51 deg/sec and it was slightly higher. Also, the near DVA with +1.50D spherical power was 84.28±18.96 deg/sec, there and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p<0.05). Conclusion :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distance and near DVA, but near DVA is also excellent if distance DVA is good. The DVA increases as added a plus lens for controlled accommodative stimulation changes. 목적: 본 연구는 근거리 동체시력(Dynamic visual acuity)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 근거리 동체시력과 원거리에서 측정된 동체시력과의 차이를 알아보고, 플러스렌즈 가입에 의한 조절자극의 변화가 동체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대상은 전신질환 및 안질환이 없고, 시력이 1.0 이상인 성인 남·여 40명(22.84±2.43세)으로 선정하였다. 원거리와 근거리 동체시력의 비교, 플러스렌즈 가입(+0.50D, +1.00D, +1.50D)으로 유도된 동체시력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완전교정상태에서 원거리 동체시력과 근거리 동체시력은 각각 78.86 ±19.46 deg/sec, 76.90±18.05 deg/sec로 원거리 동체시력이 약간 높게 나타났다(p=0.04). 원거리 동체시력이 높을수록 근거리 동체시력이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원거리 동체시력이 우수한 사람이 근거리 동체시력도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r=0.95, p=0.00, Fig. 4). 조절자극변화에 따른 근거리 동체시력은 완전교정상태에서 75.95±18.85 deg/sec이었고 +0.50D 구면도수를 가입한 상태에서 동체시력은 76.95±16.45 deg/sec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05), +1.00D를 가입한 상태는 79.02±13.51 deg/sec로 약간 높게 나타났으며, +1.50D를 가입한 상태에서는 84.28±18.96 deg/sec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결론: 원거리와 근거리의 동체시력의 차이는 없지만 원거리 동체시력이 우수한 경우 근거리 동체시력도 우수하며, 조절자극 변화를 위해 플러스렌즈가 가입됨에 따라 동체시력이 증가함을 알 수 있었다.

      • 제조물책임법에 대한 안경사의 인식도 조사 연구

        진문석,현승철,민혜진,박광호,선경호 대한시과학회 2009 대한시과학회지 Vol.11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제조물책임법(PL법)에 관한 안경사 인식도를 연구하고자 한다. 방법: 광주광역시 광산구, 전라남도 나주시, 함평군, 목포시, 강진군, 해남군에 개설한 안경원 50곳에 근무하는 개설 안경사와 종사 안경사 중 설문지를 성실히 응답해주신 117명에 대해서 조사했고, 조사결과는 통계분석 프로그램 SPSS 17.0을 사용하였다. 결과: 대부분의 개설 안경사 및 종사 안경사의 PL법에 대한 인식도가 2003년 조사보다 향상되었으나, 2009년 조사에서도 62%가 인식전환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PL법의 시행 여부, 안경사 인식전환 및 숙지사항 등에 대해서 모르거나, 관심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PL법에 대한 상담 사례가 있었느냐 물음에 2003년 조사 당시는 없다고 응답했었다. 그러나 2009년 조사 결과 상담사례가 13명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설 안경사가 종사 안경사 보다 PL법의 대처방안에 대한 교육 필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PL법에 대비한 제품의 결함 사례 분석 연구가 체계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안경사들의 소비자에 대한 태도변화 및 인식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applicability of clinical performance of EYEMAX free(Happy vision, Korea) RGP lens for improving ocular asthenopia in terms of distant and near vision correction effect, symptoms after wearing the lens and testee`s satisfaction about ocular asthenopia. Methods: Investigation was done with 35 people(70 eyes) aged between 18 and 43 in terms of distant and near vision correction, symptoms after wearing the lens, lens adaptation and ocular asthenopia correction effect after wearing EYEMAX free RGP lens for a month. Results: At pretest, average distant and near corrected eyesights by glasses of subjects were 0.97±0.08D, 1.04±0.19D respectively and at post-test after wearing contact lenses for a month, they were 1.19±0.16D, 1.30±0.13D respectively which were higher than corrected eyesights by glasses. As for symptoms after wearing the lenses for a month, dryness and foreign body sensation were most frequent ones. As for lens adaptation, 23 subjects answered they adapted easily, 3 answered it was difficult and 9 was in the middle. At assessment of 6 items of satisfaction with lenses,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gave 0-2 points were more than 66.7%, which showed effectiveness of wearing lenses. Conclusions: As 97.2% of subjects showed improvement in distant and near vision correction after wearing EYEMAX free RGP lens, the lens can be said to be effective in correcting eyesight. And it is also a functional RGP lens with high satisfaction in terms of improving ocular asthenopia.

      • KCI우수등재

        CuAl₁_xGa xSe₂ 및 CuAl₁_xGa xSe₂ : CO²+ 단결정의 광학적 특성

        진문석(Moon-Seog Jin),김화택(Wha-Tek Kim) 한국진공학회(ASCT) 1994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3 No.3

        삼원화합물 반도체, CuAlSe₂ 및 CuGaSe₂ 단결정의 solid solution인 CuAl_(1-x)Ga_xSe₂ 및 cobalt를 2.0 mol% 첨가한 CuAl(1-x)Ga_xSe₂:Co^(2+) 단결정을 iodine을 수송물질로 사용한 화학수송법으로 성장시켰다. source material로는 CuAl_(1-x)Ga_xSe₂의 화학조성비에서 Se를 3.0mol% 과잉으로 첨가하여 합성한 ingot를 사용하였으며, 불순물이 첨가된 CuAl_(1-x)Ga_xSe₂:Co^(2+) 단결정 성장시에는 source material 에 cobalt 분말을 2.0mol% 첨가하였다. X-선 회절무늬로부터 성장된 단결정들이 chalcopyrite 결정구조를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격자상수를 구하였다. 광흡수 spectra 측정으로부터 성장된 단결정의 optical energy gap 조성의존성을 규명하였고, 결정장 이론을 적용하여 CuAl_(1-x)Ga_xSe₂:Co^(2+) 단결정에서 나타나는 cobalt 불순물에 의한 광흡수 peak가 T_d 대칭점에 위치한 Co^(+2) 이온의 에너지 준위들간 전자전이에 의해 나타남을 규명하였다. The solid solution, CuAl_(1-x)Ga_xSe₂ single crystals of ternary compound semiconductors, CuAlSe₂ and CuGaSe₂, and CuAl(1-x)Ga_xSe₂:Co^(2+) single crystals doped with 2.0 mol% of cobalt as an impurity were grown by the chemical transport reaction method using iodine as the transport agency. Then, CuAl_(1-x)Ga_xSe₂ ingot synthesized from stoichiometric eleemnts, Cu, AI, Ga and Se with excess Se of 3.0 mol% was used as a source material. To grow CuAl_(1-x)Ga_xSe₂:Co^(2+) single crystal, cobalt powder of 2.0 mol% was added to the source matera1. The grown single crystals were crystalized in the chalcopyrite structure and lattice constants were obtained from X-ray diffraction. From the analysis of optical absorption spectra, the composition dependence of the optical energy gap was decided. Applying the crystal field theory to impurity optical absorption peaks in CuAl_(1-x)Ga_xSe₂:Co^(2+) single crystals, it was identified that the impurity optical absorption are originated in the electron transition between the energy levels of Co^(2+) ion sited at T_d symmetry point in the host crystals.

      • KCI우수등재

        CuGaSe₂ 단결정의 Photoluminescence 특성

        진문석(Moon-Seog Jin),김화택(Wha-Tek Kim) 한국진공학회(ASCT) 1993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2 No.3

        CuGaSe₂ 단결정을 고순도(99.9999%)의 Cu, Ga, Se 원소를 화학조성비로 칭량한 후 Se을 3 mole % 과잉으로 첨가하여 합성된 ingot를 사용하여 iodine(99.9999%)을 수송매체로 한 화학수송 법으로 성장시켰다. 성장된 단결정은 검정색을 띠고 있었으며, 10K에서 optical energy gap 이 1.755eV로 주어졌다. Ar-ion laser로 여기시켜 측정한 photoluminescence(PL) 스펙트럼으로부터 1.667eV, 1.085eV, 1.025 eV에 위치한 세 개의 PL peak를 얻었다. Thermally stimulated current(TSC) 측정에서 0.660eV, 0.720eV의 deep donor level을 관측하였으며, PL peak intensity의 thermal quenching으로 구한 activation energy는 0.010eV이었다. CuGaSe₂ 단결정에서 PL mechanism은 edge emission 및 donor-acceptor pair recombination임을 규명했다. CuGaSe₂ single crystal was grown by the chemical transport reaction method using the iodine (99.999%) as the transport agent, where the starting material was the ingot synthesized by the melt grown technique with the excess selenium of 3 mole % plus the high purity elements Cu, Ga and Se (99.9999%) in stoichiometry, The as-grown single crystal showed the black color and had the optical energy gap of 1.755eV at 10K. From the photoluminescence spectra measured at 10K using the Ar-ion laser (488 nm-line) as the exciter, we obtained the three peaks located at 1.667eV, 1.085 eV and 1.025eV. Also, the deep donor levels located at 0.660eV and 0.720eV below the conduction band were obtained from the TSC measurement, and the shallow acceptor level located at 0.010 eV upper the valence band was obtained from the activation energy by the thermal quenching of the photoluminescence intensity. As the result, we identify that the three photoluminescence peaks are attributed to the edge emission and the donor-acceptor pair recombinations.

      • KCI우수등재

        Ga₂S₃: Er 단결정의 Photoluminescence 특성 연구

        진문석(Moon-Seog Jin),김화택(Wha-Tek Kim) 한국진공학회(ASCT) 1998 Applied Science and Convergence Technology Vol.7 No.1

        두가지 종류의 Ga₂S₃:Er(A형 및 B형) 단결정을 iodine을 수송매체로 사용하는 화학수송법으로 성장시켰다. 성장된 단결정은 모두 단사정계 결정구조를 갖고 있었다. 광흡수 측정으로부터 구한 광학적 에너지 띠 간격은 13 K에서 A형 단결정이 3.375±0.001 eV, B형 단결정이 3.365±0.001 eV로 주어졌다. 이들 Ga₂S₃:Er 단결정을 Cd-He 레이저의 325 ㎚-선으로 여기하여 측정한 photoluminescence 스펙트럼에서, A형 단결정은 444 ㎚에 피크가 위치하는 강한 청색발광띠가 나타났으며 518 ㎚과 690 ㎚에 피크가 위치하는 녹색발광띠 및 적색발광띠가 나타났다. B형 단결정은 513 ㎚과 695 ㎚에 피크가 위치하는 녹색발광띠 및 적색발광띠만이 나타났다. 두가지 종류의 단결정 모두에서 525 ㎚, 553 ㎚, 664 ㎚, 812 ㎚, 986 ㎚, 1540 ㎚ 파장 영역 부근에 위치하는 예리한 발광피크들이 나타났으며, 이들 예리한 발광피크는 Er^(3+) 이온의 에너지 준위 사이의 전자전이에 의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된다. Two kinds of Ga₂S₃:Er (type A and type B) single crystals were grown by the chemical transport reaction method using iodine as a transport agent. The single crystals were crystallized into a monoclinic structure. The optical energy band gaps were found to be 3.375 eV for the Ga₂S₃:Er (type A) single crystal and 3.365 eV for the Ga₂S₃:Er (type B) single crystal at 13 K. When the Ga₂S₃:Er (type A and type B) single crystals were excited by the 325 ㎚-line of a Cd-He laser,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the Ga₂S₃:Er (type A) single crystal exhibited blue emission band peaked at 444 ㎚ and green and red emission bands peaked at 518 ㎚ and 690 ㎚. Photoluminescence spectra of the Ga₂S₃:Er (type B) single crystal showed green and red emission bands peaked at 513 ㎚ and 695 ㎚. Sharp emission peaks in the two kinds of Ga₂S₃:Er single crystals were observed near 525 ㎚, 553 ㎚, 664 ㎚, 812 ㎚, 986 ㎚, and 1540 ㎚ and analysed as originating from the electron transitions between the energy levels of Er^(3+) ion.

      • KCI등재

        근시성 난시안 처방 시 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의 대비시력비교

        박경희,진문석,오승진,유근창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4 No.05

        목적: 근시성 난시안의 등가구면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에 따른 원거리와 근거리 대비시력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취지에 동의하며 전신질환 및 안과적 수술경험이 없고 시기능에 문제가 없으 며 난시도가 -0.75D이상 -2.25D 이하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다. 원거리 굴절검사는 타 각적 굴절검사와 자각적 굴절검사를 통하여 완전교정굴절값을 구하였다. 원거리는 6m거리에서 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와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를 착용하여 시력검사를 실시하였고, 근거리는 40cm거리에서 Richmond Product社의 ETDRS Format Letters 고 대비 100%와 저 대비 10% 시표를 사용하여 시력검사를 실시하였다. 원·근거리 시력검사값은 Log Mar 시력으로 표기하였 으며 등가구면 처방값은 S+C/2를 사용하였다. 또한 등가구면 처방과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 처방값은 자각적 굴절검사값에 정점간거리 보정하여 사용하였다. 결과: 본 연구결과 등가구면 처방과 토릭 처방에 의한 원거리 고 대비시력은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냈으며(p=0.006), 등가구면 처방과 토릭 처방에 의한 근거리 고 대비시력의 경 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109) 근거리 저 대비시력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냈다(p=0.015). 결론: 근시성 난시안의 원거리시력은 고 대비에서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교정효과가 우수하 였으며 근거리시력은 고 대비에서 구면 소프트콘택트렌즈로 등가구면 처방한 경우와 토릭 소 프트콘택트렌즈의 교정효과가 비슷한 반면 저 대비에서는 토릭 소프트콘택트렌즈의 교정효과 가 우수하였다. 따라서 근시성 난시안의 교정은 대비시력을 고려하여 구면 등가처방보다는 토 릭 소프트콘택트렌즈의 처방이 우선한다 할 것이다.

      • KCI등재

        카페인 음료가 조절력과 조절용이성에 미치는 영향

        홍새롬,진문석,박현주,유근창,서은선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4 No.05

        목적: 카페인 음료 섭취가 조절력과 조절용이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카페인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안과질환과 전신질환이 없으며, 현재 약을 복용하지 않는 교정시력이 1.0 이상인 20세 이상의 성인 2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60mg의 카페인 이 함유된 음료를 섭취 전 그리고 섭취 30분 후, 1시간 후, 2시간 후, 3시간 후에 조절력과 조 절용이성을 각각 실시하였다. 조절력은 push up test로 검사하였고, 조절용이성 검사는 ±2.00 D 플리퍼, 6point 크기 시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카페인 음료 섭취로 인한 조절력의 변화는 섭취 전에는 5.98±3.49 D, 섭취 30분 후 6.17±3.52 D, 섭취 1시간 후 7.04±3.58 D로 점차 증가하였고, 섭취 2시간 후의 경우 4.81±3.73 D, 섭취 3시간 후 5.47±3.88 D로 섭취 전보다 1.16 D, 0.50 D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양안 조절용이성은 섭취 전 11.64±2.45 cpm에서 섭취 30분 후 1.29 cpm, 1시 간 후 2.71 cpm, 2시간 후 3.71 cpm, 3시간 후 4.14 cpm 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 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단안 조절용이성 또한 섭취 전보다 섭취 후 시간에 따라 점진 적으로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조절력은 섭취 후 1시간까지 증가하였으나 섭취 2시간 이후부터 감소하였고, 카페인 음 료 섭취로 인한 조절용이성 증가를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체내의 카페인 흡수가 중추신경을 자극하여 노르에피네프린, 아세티콜린 등의 생성을 자극해 각성효과가가 나타나 집중력을 높여 주며 부신피질을 자극해 운동기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는 코티솔의 분비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되어진다.

      • KCI등재

        중심부 융합자극의 유무에 따른 주시시차 측정 비교

        홍새롬,진문석,전인철 대한시과학회 2015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5 No.10

        목적: 중심부 융합자극이 없는 상태에서의 주시시차와 중심부 융합자극이 있는 상태에서의 주 시시차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중심부 융합자극이 없는 주시시차는 웨슨(Wesson) 주시시차 카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 고, 중심부 융합자극이 있는 주시시차는 중심부에 융합자극이 있도록 고안하여 측정하였다. 주 시시차에 따른 강제융합주시시차 곡선 분류를 위해 눈 앞 25cm에서 기저내방과 외방으로 각 각 0⧍, 3⧍, 6⧍, 9⧍, 12⧍을 가입하면서 결과를 도출하여 커브유형을 비교하였다. 결과: 중심부 융합자극의 여부에 따른 두 카드의 검사결과를 비교한 결과 웨슨 카드의 주시시 차는 외주시시차 3.70분각('), 중심부 융합자극이 있는 주시시차는 외주시시차 1.30분각(')으로 웨슨 카드에서 외주시시차(2.40± 6.98분각(')) 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p=0.132). 주시시차 그 래프 유형에서 중심부 융합자극이 없는 웨슨 카드에서는 제Ⅰ type 16명, 제 Ⅱ type 1명, 제 Ⅲ type 3명, 제 Ⅳ type 1명으로 I >Ⅲ>Ⅱ = Ⅳ 순으로 나타났고, 중심부 융합자극이 있도록 고안된 카드는 제Ⅰ type 10명, 제 Ⅱtype 3명, 제 Ⅲ type 5명, 제 Ⅳ type 3명으로 I >Ⅲ>Ⅱ = Ⅳ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중심부 융합자극이 없는 wesson 카드와 중심부 융합자극이 있도록 고안된 주시시차카드 로 측정한 주시시차의 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고안된 카드의 주 시시차 측정은 유효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근시 교정에 따른 수평사위도 변화

        박선화,진문석,전인철,서은선 대한시과학회 2014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4 No.05

        목적: 본 연구는 굴절이상교정에 따른 원⦁근거리 수평사위도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교정시력 1.0이상인 대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사위검사를 실시하였다. 원거리와 근거리의 사위검사는 Maddox rod법으로 측정하였으며, Maddox rod를 장입하지 않는 눈에 완전교정, 과교정(-1.00 D, -1.50 D, -2.00 D, -3.00 D), 저교정(+0.50 D)하여 사위량을 비교하였다. 결과: 완전교정상태에서는 원거리 9.97△, 근거리 18.33△ 이었으며, 원거리에서 S-0.50 D 가 입시 5△, S-1.00 D 가입시 3.78△, S-1.50 D 가입시 3.03△, S-2.00 D 가입시 2.20△, S-3.00 D 가입시 3.53△ 이었다. 근거리에서 S-0.50 D 가입시 17.30△, S-1.00 D 가입시 11.47△, S-1.50 D 가입시 9.82△, S-2.00 D 가입시 9.27△, S-3.00 D 가입시 8.93△ 이었 다. S+0.50 D 가입시 원거리에서는 5.47△, 근거리에서는 20.50△을 나타내었다. 결론: 과교정 상태에서는 원⦁근거리 수평사위도는 모두 감소하였고, 저교정 상태에서 원거리 수평사위도는 감소하였고, 근거리 수평사위도는 증가하였다. 수평사위량의 변화는 조절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쾌적한 양안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위이상을 고려한 굴절이상 교정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