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시기 김활란의 여권의식과 여성교육론

        김성은(Kim Sung-Eun) 부산경남사학회 2011 역사와 경계 Vol.79 No.-

        김활란은 여권문제의 원인을 여성의 교육권과 재산권 부재에서 그원인을 찾았다. 여권향상을 위해 김활란이 할 수 있는 일은 여성교육이었다. 김활란의 남녀관은 가정과 사회에서 여성과 남성이 동반자이자 동업자, 동등한 협력관계라고 보았다. 김활란은 가정에서 남녀동등은 주부의 역할과 기여를 인정하고 여성이 직업과 경제력을 가지고 결혼비용을 분담하는데서 시작된다고 보았다. 이러한 의미에서 여성의 직업은 남녀동등한 가정을 준비하는 단계였다. 나아가 김활란은 여성들에게 결혼을 얽매이지 말고 사회에 진출하여 이제까지 남성의 영역으로 간주되었던 직업들에 과감히 도전할 것을 촉구했다. 한편 사회가 여성에게 남성과 동등한 교육과 취업의 기회를 줌으로써 여성이 능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활란은 특히 가정부인이 소비자가 아니라 생산자라는 점을 강조했다. 따라서 가사, 직업, 부업을 하는 생산자로서 여성의 위상 정립이 중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주부가 사회의식을 가지고 가사의 합리화를 통해 확보한 시간과 노력을 활용하여 사회봉사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김활란은 여권운동의 첫걸음이 문맹퇴치운동이며 여성일반의 지위향상을 위해서는 여성의 고등교육뿐 아니라 보통교육이 확산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따라서 교육을 받은 신여성이 여성의 지위 향상을 위해 여성의 문맹타파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신여성 주부가 사회봉사로써 농촌계봉과 문맹퇴치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맹퇴치는 단순히 한글보급뿐 아니라 상식과 지식계발, 사회의식의 고취를 포함한 것이었다. 김활란은 신여성들이 지도자의식을 가지고 여성의 문맹퇴치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성교육담당자로서 김활란은 여성고등교육의 유용성에 대한 회의, 현모양처 교육 논란, 실생활과 괴리된 교육내용 학생풍기문제와 사치문제에 대한 비판여론에 대응하며 여성교육의 문제점을 점검하고 방향을 모색해야 했다. 미국유학에도 불구하고 김활란은 한국인으로서 조선적인 실생활교육을 지향하며 조선화된 이화, 조선의 이화를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인의 힘으로 재단법인 설립, 재정 자립, 학교 경영을 하길 원했다. 또한 여자종합대학교 설립을 목표로 기존의 문과, 음악과, 가사과, 보육과 이외에 상과, 농촌사업과, 사회사업과, 의과, 체육과의 학과 증설을 계획했다. 이 학과들은 당시 우리 민족에게 절실히 필요했던 분야인 동시에 여성의 직업과 사회활동, 봉사활동에 도움이 되는 분야였다. 김활란은 여성고등교육만 강조한 것이 아니라 문맹퇴치와 농촌계몽, 보통교육의 대중화 역시 강조했다. 여성고등교육에 있어서도 조선의 사회현실과 실생활을 고려하여 실제 가정생활과 사회운동에 필요한 교육이 되도록 끊임없이 노력했다. This is about Hellen Kim’s consciousness of women’s rights and view of Korean women’s education. Hellen Kim was one of the greatest educator in modern Korea. She had dedicated herself to Korean women’s education and elevation. She had maintained equal rights for both sexes and equality of both sexes. So She had thought Korean women of being have rights for education and profession. She had encouraged Korean women to have profession and had revaluated housewives’ housework. She had thought elementary education need to spread and higher education need to grow for elevating Korean women’s status. So she maintained educated Korean women have to sense of duty to serve her sisterhood to teach Korean literacy and common sense. She had tried to solve probloms of women’s education like good wife and wise mother education or Korean practical life education.

      • KCI등재

        1920∼30년대 김활란의 민족문화 인식

        김성은 ( Kim Sung-eun ) 한국여성사학회 2017 여성과 역사 Vol.0 No.26

        김활란은 민족의식에 입각해 국제교류와 근대화를 도모하며, 한글과 민족문화를 활용하여 문맹퇴치, 농촌계몽을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고 제안했다. 당대 서구화 물결 속에서도 가장 한국적인 것이 가장 세계적이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실천하고자 했다. 이에는 당시 국내외의 민족주의적 신문화론 또는 문화운동론의 분위기와 영향도 있었다. 일제식민지시기 여성 지식인 가운데 문화운동론과 전통문화의식, 민족정신에 대한 강조는 특별히 김활란에게서 보다 많이 나타나는 특징이며, 김활란의 현실인식과 시대인식으로 고려되어야 할 부분이다. 일제식민지시기 김활란의 의식세계의 중심축은 민족의 근대화였고, 그것은 민족의 독립을 위한 준비단계였다. 김활란이 지향했던 근대화는 서구식 근대화에 대한 무조건적인 모방이 아니라, 우리 전통문화의 가치와 장점을 적극 활용한 전통과 근대의 조화를 의미했다. Helen Kim (Kim Hwallan) pursued international exchange and Korean modernization on the basis of national consciousness. She proposed to utilize Hangeul (Korean alphabet) and national cultural heritage for Korean rural enlightenment and campaign against illiteracy. Amid the wave of westernization, she believed that what was most Korean was also what was most global, and tried to put this thought into practice.. She was influenced by the rise of nationalist new cultural movements. Among Korean women intellectual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e is distinct in her emphasis on cultural movements,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ulture, and nationalist consciousness. The central axis of her consciousness was national modernization as preparation for Korean independence. The modernization she sought was not an unconditional imitation of the West, but the practical use of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harmony between tradition and modernity.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제 말기 김활란의 일제 협력 배경과 논리 : the Background and Logic of Her Cooperation with the Japanese

        이혜정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4 여성학논집 Vol.21 No.2

        본 연구는 민족주의를 기준으로 김활란의 일제 협력 행위를 평가해 왔던 기존 담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문제제기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그가 식민지 시기의 지식인 '여성'이었다는 점과 그에게 '성별화된 협력의 논리'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여 일제 협력 배경과 그 과정에서 구성한 내적 논리를 밝혔다. 1937년부터 시작된 김활란의 일제 협력은 식민지 조선 사회에서 기독교계 인사들을 제외하고는 지원 세력이 거의 없었던 그의 현실에서 기인하였다. 그리고 그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내세웠던 일제의 전쟁 동원 논리에 일말의 희망을 걸고 일제에 협력하였다. 그러나1940년대 전쟁 말기로 접어들면서 그의 이러한 희망은 실현불가능한 것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전쟁협력을 멈주치 못하였던 김활란은 자기모순의 고통을 경험하게 되었다. This paper is a feminist critique of the existing discourse that evaluates Helen Kim's life and activities within the discourse of nationalist historiography. Unlike the previous studies criticizing Helen Kim for her collaborations with Japanese Imperialism, this paper approaches her life with the question, why did she collaborate with the Japanese imperialists from the mid-I930s to 1945. In doing so, the paper pays attention to the fact that Helen Kim was an intellectual woman during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he had her own "gendered logic for cooperating with Japanese."

      • KCI등재

        일제 문화정치 초엽 김활란의 신앙정체성 분석: 설교문 “두려워지 마라”(1921)와 찬송 가사 “풍랑에셔 구원”(1921)을 중심으로

        안수강 ( Ahn Su-kang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1 역사신학 논총 Vol.38 No.-

        이 연구는 일제 문화정치 초엽 김활란(金活蘭)이 발표한 설교문 “두려워지 마라”(1921)와 찬송 가사 “풍랑에셔 구원□”(1921)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신앙정체성을 고찰하려는 데 목적을 둔다. 설교문 “두려워□지 마라”는 누가복음 12장 29절부터 34절까지의 말씀을 본문으로 설정하여 작성되었으며 1921년에 출판된 『百牧講演(第一集)』에 게재되었다. 그리고 찬송 가사 “풍랑에셔 구원□”은 『청년찬송가』(1922)와 『신뎡찬숑가(新訂讚頌歌)』(1931)에 수록되었다. 김활란의 “두려워지 마라”와 “풍랑에셔 구원□”에 나타난 중요한 논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교문 “두려워지 마라”를 고찰하여 그가 논증한 네 가지 종류의 두려움들 즉 죽음, 사는 것, 삶의 전진, 책임과 의무 등과 관련하여 두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의미심장한 담론들을 살펴보았다. 그는 한국기독교인들에게 네 가지의 두려움을 극복할 것과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가치 있는 인생을 개척할 것을 촉구했다. 둘째, 찬송 가사 “풍랑에셔 구원□”을 통해 ‘起’(위태한 상황), ‘承’(소망의 여명), ‘轉’(하나님을 향한 간절한 기도), ‘結’(소망의 실현) 등 네 단계로 체계화된 내러티브 구도에 초점을 맞추어 정교한 구원의 과정에 대해 숙고했다. 김활란이 남긴 의미 있는 행적들에 비추어 본 연구자는 차후 그와 관련된 미시적 관점에서의 주제들을 확장함으로써 그의 신앙과 삶에 끼친 이화학당 교육의 영향, 기독교윤리관, 애국심, YWCA 설립, 순회 전도 활동, 신사참배에 대한 관점, 외교사역, 박사학위논문 분석 등 다양한 방면의 연구로 외연 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Hwal-Lan Kim’s faith identity in the early years of Japanese cultural policy, focusing on sermon “Don't Be Afraid”(1921) and hymn “Saved in the Storm”(1921). Sermon “Don’t Be Afraid” based on Luke 12:29-34 is appeared in Sermons by One Hundred Pastors & Teachers Vol. 1 published in 1921. And hymn “Saved in the Storm” is appeared in Youth Hymnal(1922) and Sinjeong Hymnal(1931). The important points of Kim’s “Don’t Be Afraid” and “Saved in the Storm”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I tried to study Kim’s significant discourses on overcoming the four kinds of fears through “Don’t Be Afraid” such as death, life, the forward movement of life, responsibility and accountability, and so forth. Kim urged Korean Christians to overcome four kinds of fears and navigate valuable life in Jesus Christ. Secondly, I considered the elaborate process of salvation through Kim’s hymn “Saved in the Storm”, focusing on the systematic narrative structure of four steps in composition such as ‘introduction’(the precarious situation), ‘development’(the dawn of hope), ‘turn’(the earnest prayer to God), and ‘conclusion’(the accomplishment of hope). In light of Hwal-Lan Kim’s meaningful traces, I suggest future extensions of this study into her other microscopic themes such as ‘Ewha Hakdang’ education as an influencing factor on Kim’s faith and life, the view of Christian ethics, patriotism, the establishment of YWCA, evangelical journey, the view of Shinto Shrine Worship, diplomatic activities, analysis of Ph. D. dissertation, and other related areas.

      • KCI등재

        Helen Kim as New Woman and Collaborator

        AhRan Ellie Bae(배아란)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2 No.1

        한국이 일본 식민통치로부터 해방된 지 거의 70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친일협력은 한국에서 여전히 중요한 문제이다. 친일협력 문제를 청산하려 한 그간의 시도들은 친일협력 혐의자들로 하여금 반역적인 행위을 하게끔 한 환경과 그러한 선택을 낳은 의도와 같은 회색지대가 있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고, “친일협력자”의 반역 행위에만 주목하는 경향이 있다. “신여성”이자 교육자인 김활란은 여성교육을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그녀의 노력들은 후대에 친일협력자로써의 악명을 낳게 한 행동으로 이어졌다. 한국의 민족주의 역사학은 “친일협력자”를 반역자 또는 애국자의 양극단으로 범주화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친일협력자의 생애를 보다 상세히 관찰한다면, 우리는 대부분의 협력행위들이 보다 분명한 반역죄와 단순한 협력 사이의 회색지대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김활란의 생애는 민족주의 역사학으로는 친일협력 문제를 완전히 이해할 수 없다는 것, 그리고 이와 같은 회색지대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필자는 그녀의 삶을 통하여 “협력자”의 행위 주변에 있는 회색지대를 주목함으로써 친일협력 문제의 복합성을 드러내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민족주의 역사학이 친일협력 문제를 과도하게 단순화한 것에 도전하면서, 보다 미묘한 이해를 제시할 수 있기를 바란다. Although almost seventy years has passed since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he issue of collaboration still haunts Korea today. Attempts to resolve this issue have tended to focus attention on the traitorous actions of “collaborators” without considering the gray areas that surround their actions such as the circumstances that influenced the accused to commit their alleged traitorous acts and the intentions that drove their decisions. Helen Kim, as a “new woman” and an educator, valued the necessity of providing education for women. Yet, her efforts to realize this goal, to the contrary, forced her into actions that would later be used to construct a reputation as a Japanese collaborator. Korea’s nationalist historiography has a tendency to polarize this issue by categorizing a “collaborator” as either a traitor or a patriot. However, when we take a closer look at these collaborators’ lives, we discover that most collaboration happened in gray areas where it is often difficult to clearly draw a line between treason and collaboration. Helen Kim’s case suggests that the issue of collaboration cannot be fully explained by nationalist historiography’s framework and we must give attention to these gray areas. Through her story I hope to complicate the issue of collaboration by raising questions that address the gray areas that surround the actions of “collaborators.” In doing so, I hope to challenge the nationalist historiography’s propensity to oversimplify this issue and present a more nuanced understanding of it.

      • KCI등재후보

        천연동"모임의"성격과"역사적"의의:"인물을" 중심으로

        류호준 ( Ryu¸ Ho-jun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0 역사신학 논총 Vol.37 No.-

        본 논문은 해방 직후 한국의 교육정책을 주도하기 위해 형성된 교육 주도세력의 모체가 된다고 평가받는 ‘천연동 모임’의 성격과 역사적 의의를 분석, 평가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천연동 모임’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진 오천석, 김성수, 백낙준, 김활란, 유억겸의 생애와 교육사상을 연구하고 이들 사이에 있는 공통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천 ‘연동 모임’에 참석한 이들에게선 기독교, 교육구국운동, 우파 정당, 해외유학경험, 진보주의 교육사상이라는 다섯 가지 공통점이 나타났다. 이를 통해 ‘천연동 모임’은 기독교 정신에 입각하여 이뤄진 교육구국운동으로 해외 경험을 통해 수용한 진보주의교육을 통해 일제의 전제적 교육을 극복하고자 한 모임이라 분석, 평가된다. This study’s purpose to analyze and evaluate the character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Cheonyun-Dong Meeting', which is regarded as the parent of the educational leading forces formed to lead the education policy of Korea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For this purpose, this study examines the life and educational ideas of Cheon-Seok Oh, Sungsoo Kim, Nak Jun Baek, Hwal-lan Kim , and Eok-gyeom Yu, who is known to have attended the 'Cheonyun-Dong Meeting', and analyzed the commonality between them. As a result, those who attended the 'Cheonyun-Dong Meeting' showed five common points: Christianity, the education movement, the right-wing party, studying abroad experience, and progressive education. 'Cheonyun-Dong Meeting' is a movement to save the nation through education based on the Christian spirit, it is analyzed and evaluated as a group that to overcome the tyrannical education of Japanese imperialism through progressive education had accepted through studying abroad experience.

      • KCI등재

        1928년 예루살렘 국제선교협의회와 한국교회

        최재건(Choi Jai-Keu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06 신학논단 Vol.45 No.-

        The optimistic perspectives on world mission plans almost disappeared in the Christian countries after the World Missionary Council at Edinburgh was held in 1910. There were sudden social change such as the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after the Edinburgh meeting. From this kind of situation,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was established in 1921 at Mohonk, New York and the first conference of the institution was held in 1928 in Jerusalem. This conference demonstrated the shift of mission paradigm. The authority of mission moved from the mission institution to individual denominations and churches. From this point, theconception of mission began to changeand was recognized as the task of each church's mission. Mission theology was also changed from the influence of the neo-orthodox theology which focused on Christology to social concern on agricultural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third world countries. The other concern was the attitude toward other religions of the non-Christian countries. The theological criticism of conservative group was followed, but it was discussed byparticipants from all over the world of different theolog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Above all, this conference gave new insight on non-Christian world and society. The delegates of the Korean church attended this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first time. Their activity in the meeting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fluence of the conference o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was very broad.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Methodistchurch, YMCA and YMCA organized the agricultural department in their institutions in order to develop the rural areas. The optimistic perspectives on world mission plans almost disappeared in the Christian countries after the World Missionary Council at Edinburgh was held in 1910. There were sudden social change such as the World War I and the Russian Revolutionafter the Edinburgh meeting. From this kind of situation, the International Missionary Council was established in 1921 at Mohonk, New York and the first conference of the institution was held in 1928 in Jerusalem. This conference demonstrated the shift of mission paradigm. The authority of mission moved from the mission institution to individual denominations and churches. From this point, theconception of mission began to changeand was recognized as the task of each church's mission. Mission theology was also changed from the influence of the neo-orthodox theology which focused on Christology to social concern on agricultural and industrialization of the third world countries. The other concern was the attitude toward other religions of the non-Christian countries. The theological criticism of conservative group was followed, but it was discussed byparticipants from all over the world of different theological and cultural backgrounds. Above all, this conference gave new insight on non-Christian world and society. The delegates of the Korean church attended this international conference for the first time. Their activity in the meeting was not significant but the influence of the conference on Korean society and the Korean church was very broad. The Korean Presbyterian church, Methodistchurch, YMCA and YMCA organized the agricultural department in their institutions in order to develop the rural areas.

      • KCI등재

        하위주체 여성의 목소리 다시 생각하기

        채현경 ( Hyun Kyung Chae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3 이화음악논집 Vol.17 No.2

        이 논문은 근대화 초기 조선/한국의 여성들의 음악교육을 통한 근대화 경험을 여성 즉 ``하위주체``의 목소리라는 측면에서 다시 생각해 보는 시도이다. 여성의 근대화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서구선교사들과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서 여성교육을 장려한 개혁파 남성들과의 관계에서, 과연 그들과 어떠한 만남을 가졌으며, 그 과정이 여성의 의식변화와 일상의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부장적인 문화에서 이러한 변화가 어떤 식으로 수용됐는지 등을 당시의 일차자료들을 탈식민주의와 여성주의 시각에서 면밀하게 분석/해석하여 근대화의 총체적인 그림을 다시 그려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 당시 한국의 서구화 또는 근대화 과정에서 여성과 서구(western) 또는 근대(modern) 음악이 중요한 촉매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은 현재 우리가 호명하는 음악이 우리의 음악이 아닌 서양음악어법으로 된 음악이라는 사실로 충분히 설명된다고 본다. 이 시기 한국은 정치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주권을 잃은 절박하고 혼란스러운 위기 상황이었지만, 여성들은 아이러니하게도 개혁파들의 부국강병을 위한 여성교육과 기독교를 보급하고자 한 서구 여성선교사들의 노력으로 그 동안 활동영역을 집안으로 제한해 온 ``내외법``(內外法)의 억압에서 벗어나, 학교라는 공공기관에서 최초로 교육을 받는 것이 허용되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상이 뒤집히는 경험을 한다. 이 당시 받은 교육의 주요내용은 음악, 특히 찬송가 부르기였으며, 남성과 동등하게 목소리를 내어 노래를 부른 것이 초기 서구 선교사와 일부 여성학자들에 의해서 ``여성이 최초로 자신의 목소리``를 갖게 되는 것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의식의 변화가 일어나는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하여 한국여성사의 큰 전환점이라고 본다. 본 연구자는 그 격동적인 변화의 시작 지점인,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의 서구선교사와 조선학생들 사이의 음악교육을 통한 교류(transactions)에서 실현 됐다고 주장되는 조선 여성들의 목소리가 "진정한 그들 자신들의 독립된 목소리인가"에 대해서 의문을 갖는다. 또한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한 남성개혁파들의 당시 근대교육을 받은 여성의 사고에 미친 영향역시 대표적인 여성의 글을 분석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 연구는 탈식민주의와 여성주의 담론에서 불균형한 권력 구도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제 3세계 여성과 제 1세계 여성의 교류(transactions)에서 또한 가부장적인 제 3세계의 사회에서 여성, 즉 하위주체의 경우, 그가 말을 하지 않은 것이라 그들의 말이 지배담론의 개념으로나 방법으로 해석이 될 수 없기에 말이 없는 것(mute)으로 간주된다는 스피박의 주장(Gayatri Chakravotry Spivak 1996, 287-308)을 구체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한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