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선교사 피터스(Victor Wellington Peters, 皮道秀)의 한국적 기독교

        방원일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2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18 No.-

        빅터 웰링턴 피터스(Victor Wellington Peters)는 1928년부터 1941년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감리교 선교사로, 한국 이름은 피도수(皮道秀)이다. 그가 선교사로서 관심을 끄는 이유는 다음 세 가지이다. 첫째, 그는 서양 선교사 중 처음으로 한국인 한흥복과 국제결혼을 하였다. 둘째, 그는 한국의 전통적 생활양식을 고수하였고 한국 문화를 바탕으로 토착화 선교를 실천하였다. 셋째, 그는 논쟁적인 부흥사 이용도(李龍道)와 친구였고 중요한 증언자였다. 이 글은 토착화 선교를 중심으로 피터스의 한국 선교 활동을 정리하였다. 피터스는 프린스턴신학교를 졸업한 1928년에 남감리교 선교사로서 내한하였다. 그는 한국 문화에 “세례”를 줌으로써 기독교 복음과 결합할 수 있다고 보았다. 그는 한국의 건축, 공예, 문양, 회화, 축일에 세례를 주고 기독교적 의미를 결합하여 한국적 기독교를 형성하였다. 그는 자신이 목회한 김화교회에서 4년간 한국적 기독교를 실천하였으나, 교회 건물은 한국전쟁으로 파괴되어 남아있지 않다. 하지만 사진과 글을 통해 전해지는 토착화 실험의 결과물은 충분히 주목받을만한 가치가 있다. 그가 그린 한국적 성화는 한국적 미와 복음의 주제를 결합한 그의 예술적 능력을 보여준다. 그는 추운 한국 산골의 겨울밤에 예수 탄생 이야기를, 한국 시골의 우물가에서 예수의 설교를, 바다의 거친 풍랑 속에서 만난 예수를, 한국 여성이 애도하는 예수의 고난을 묘사하였다. 그의 작업은 지금 여기의 그리스도를 한국인의 모습으로 재현하였다. 그의 작품은 서양인의 붓으로 그려진 그리스도의 한국적 표상으로서 서양 종교를 뛰어넘고자 하는 기독교의 노력을 보여준다.

      • 한국기독교 선교와 근대 학교 설립과정

        임종권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1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15 No.-

        한국 근대 교육은 기독교 선교에서 시작되었다. 초기 국가가 주도한 국영 근대교육기관은 철저하게 신분제에 따른 사대부 양반 자제들 중심의 교육으로 인하여 나태와 불성실 그리고 학교 운영을 맡은 관리들의 부정부패로 인하여 실패하였다. 그러나 기독교 선교를 위해 한국에 파송된 선교사들은 처음엔 복음 전도와 교회 설립에 치중하였으나 이는 당시 한국 정치, 사회 등 여러 상황에 맞지 않아 새로운 전략이 필요했다. 이에 따라 선교사들은 자립, 자치, 자전의 세 가지 원칙을 채택하여 의료와 교육사업에 치중하게 되었다. 한국교회가 근대 학교를 설립해야 한다는 당위성은 한국이 종교적으로 유교나 혹은 불교의 전통이 강하고 더욱이 서세동점의 위기 속에서 서양 선교사들의 기독교 복음전파가 그리 쉬운 일이 아니라는 점이었다. 이런 문제 직면한 한국교회는 비기독교인에게 쉽게 접근하여 복음을 전파할 방안이 곧 의료와 교육사업임을 깊이 인식하게 이르렀다. 그러나 미국 선교본부는 물론 한국선교회에서도 순수한 복음전파 사업과 교회 설립에 중점을 둬야 한다는 기존 선교방침을 고수함으로써 개교회들은 자체적으로 학교를 세워 운영하였다. 이 신식학교는 복음 선교에 큰 성과를 거두자 한국선교회는 미국 선교본부의 재정지원을 받지 못했음에도 독자적으로 교육사업을 추진하여 근대교육기관인 기독교 학교를 평양과 서울 등 대도시 중심으로 설립함으로써 많은 기독교 지도자들을 배출하였다. 이 과정에서 자립정신에 입각한 복음 사업, 그리고 교육사업을 통해 민족교육이 자생적으로 강화되어 기독교 민족지도자들이 배출되었다. 이로써 한국기독교 학교는 곧 복음전파에 머물지 않고 한국의 근대화 사업을 이끌어 갈 기독교 민족지도자들을 양성하는 기독교 민족교육의 요람이란 특징을 지니게 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선교사와 문화; 초기 내한 개신교 선교사들의 선교사업과 한국인들과의 문화적 관계 (1884-1945)

        장성진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1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16 No.-

        This is a study on foreign missionaries who visited Korea for Protestant missions in Korea that started after the Open Ports Act of the Joseon Dynasty. When the Joseon Dynasty of feudalism system was facing the demands of modernization, it investigated how the experiences of missionaries from Western cultures about Korean cultures and relationships with Koreans.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how Koreans reacted to, conflicted with, and accepted and changed Christian culture as a foreign culture and the activities of missionaries. Based on the databook of 『General List of Missionaries to Korea, 1884-1984』, based on 1,529 missionaries who were confirmed to have visited Korea in 1945, the activities of missionaries from the United States, which account for 69.3% of the number of missionaries, were examine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Korean missionaries on the Joseon Dynasty and the Koreans' response to it, 'Missionary and Politics; Allen and Underwood' and 'Missionaries and Education and Healthcare; With the theme of 'Women's Work for Women',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 historical, religious,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Protestant missionaries based on Western civilization who visited Korea adopted a cultural mission method differentiated from other mission fields in the special historical situation of the Joseon Dynasty during the crisis of imperialism and colonization. appeared, and this marked the beginning of the modernization of Korea. 이 논문은 조선개항이후 시작된 한국 내 개신교 선교를 위한 내한한 외국국적 선교사에 대한 연구로서, 봉건제도 하의 조선이 근대화의 요구에 직면해 있을 당시, 서구문화권에서 온 선교사들이 경험한 한국문화 및 한국인들과의 관계를 살펴보고 이와 동시에 한국인들이 외래문화로서의 기독교문화와 선교사들의 활동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갈등 그리고 수용 및 변용했는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내한 선교사총람, 1884-1984』의 자료집을 근거로 1945년에 내한이 확인된 선교사 1,529명을 기반으로 선교사 수의 69.3%를 차지하는 미국출신 선교사들의 활동들을 살펴보았다. 조선인접 국가들의 서구문화 유입과 근대화 과정 상황 속에서 내한한 선교사들이 조선에 미친 영향과 이에 대한 한국인들의 반응을 알아보기 위해, '선교사와 정치; 알렌과 언더우드'와 '선교사와 교육 및 의료; 여성을 위한 여성사역 (Women's Work for Women)'로 주제로 역사적, 그리고 종교사회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이를 내한한 서구문명 기반의 개신교 선교사들이 제국주의 식민지화의 위기라는 조선의 역사적 특수한 상황에서 다른 선교지와 차별화된 문화적 선교방식을 채택하였고, 이 선교방식이 근대화의 열망을 지닌 한국인들의 지지와 적극적인 참여의 결과로 나타났고, 이는 한국의 시대적 근대화의 시작이 되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토착화와 메타모포시스

        방원일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1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16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flect on the Indigenization theology’s debates in the 1960s and develop the metamorphosis cultural theory by comparing them with Goethe's botanical theory. Indigenization theologians argued that Christianity is composed of the gospel and culture, and that the seeds of the gospel take root in different cultural soils, forming various forms of Christianity. But the gospel and culture, the seed and the soil are not so easily divided, and the debate has raged. However, the logic of rejecting acculturation while insisting on cultural change resulted in theological argument emphasizing the essence of faith. In the later Indigenization theology, the discussion went one step further by proposing methodological syncretism that the inculturation inevitably entails syncretism. The German poet Goethe has proposed a unique botany that explains plant growth through metamorphosis, a process in which an archetypal plant transforms into its roots, stems, and forward. He explained the growth of plant individuals and the formation of plant species through metamorphosis. Indigenization theology and Goethe's botany have in common that they establish the matrix of change while explaining it. In Indigenization theology, it is the concept of the seed, and in Goethe's botany, it is the archetypal plant. Goethe's archetypal plant is a more flexible concept than the solid identity of the seed metaphor. Through reexamining the points of contention encountered when Indigenization theology tried to explain changes in Christianity, and referring to the archetype concept and types of transformation in Goethe's botanical theory, we can systematize metamorphosis theory of culture. 이 글의 목적은 1960년대 우리나라에서 진행된 토착화 신학 논쟁을 재고찰하고 괴테의 식물학 이론과 비교함으로써 메타모포시스 문화 이론을 정교화하는 것이다. 토착화(土着化)는 복음이라는 씨앗이 다른 문화의 토양에서 움터 뿌리내림으로써 새로운 형태의 기독교를 형성하는 과정이다. 토착화 신학자들은 기독교가 복음과 문화로 구성되어 있고, 복음의 본질이라는 씨앗이 가기 다른 문화적 토양에서 뿌리 내리는 양상에 따라 다양한 모습의 기독교를 형성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복음과 문화, 씨앗과 토양은 그렇게 간단히 나누어지지 않기에 논쟁이 격렬해졌다. 토착화 신학자들은 토착화가 부분별한 혼합이 아니라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문화의 변동을 주장하면서 문화접변을 거부하는 논리는 신앙의 본질을 강조하는 신학적 주장으로 귀결되었다. 후기 토착화 신학에서는 토착화가 혼합을 필연적으로 수반한다는 방법론적 혼합주의를 제안하여 논의가 한 단계 진전되었다. 독일의 시인 괴테는 식물의 생장을 원형 식물이 뿌리, 줄기, 앞으로 변형하는 과정, 즉 메타모포시스로 설명하는 독자적인 식물학을 제안한 바 있다. 그는 메타모포시스를 통해 식물 개체의 성장, 나아가 식물 종의 형성을 설명하였다. 토착화 신학과 괴테 식물학은 변화를 설명하면서 변화의 모태를 설정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토착화 신학에서 씨앗 개념이 그것이고, 괴테 식물학에서는 원형 잎, 원형 식물이 그것이다. 괴테의 원형 식물은 씨앗에 내재한 구조라는 점에서 토착화 신학과 비슷해 보이기도 하지만, 형태적 변화가 자유롭다는 점에서 씨앗 비유의 단단한 정체성보다 유연한 개념이다. 토착화 신학이 기독교의 변화를 설명하고자 했을 때 부딪혔던 논쟁의 지점들을 재점검하고, 괴테의 식물학 이론에서 원형 개념과 변형의 유형을 참고하는 것은 우리가 문화의 메타모포시스를 체계화하는 데 긴요한 이론적 자원이 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Research on Christian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Based on the Concept of One-Health

        Kim Seong Ho 숭실대학교 한국기독교문화연구원 2023 한국기독교문화연구 Vol.20 No.-

        One Health is a concept that means the health of people, animals, and the environment are connected as one. The concept of One-health, which reflects recent topics such as climate crisis, ESG, and value consumption, is consistent with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Christian universities and is highly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major. This study introduced the concept of One Health and explored the intersection of the Bible, Christian theology, and ethics, and proposed Christian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practice plans. First, integrating One Health concepts into Christian social work education can provide a comprehensive and holistic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interconnections between human health, animal health, and the environment within the context of God's creation and stewardship framework. Second, integrating One Health principles into Christian social work practice programs can improve the capacity of social workers to solve complex health problems. Third, Christian social work can apply an ethical framework to One Health issues to promote the common good and advocate for social work practices and policies that are consistent with Christian values of justice, compassion, and responsible stewardship.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