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04 포스터 발표 : 농식품 환경분야(PF) ; PF-10 : GABA 고함유 배추김치 개발

        박은재 ( Eun Jae Park ),천진혁 ( Jin Hyuk Chun ),이헌학 ( Heon Hak Lee ),윤민호 ( Min Ho Yoon ),김선주 ( Sun Ju Kim ) 한국환경농학회 2015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5 No.-

        배추김치 내 γ-aminobutric acid (GABA) 함량이 높은 김치의 개발을 위하여 숙성시기에 따라 배추김치의 GABA와 glutamate 성분 함량 변화와 김치 제조에 사용되는 부재료의 GABA와 glutamate 함량차이를 조사하였다. 배추김치는 (주) 대성식품 팔도맛김치에서 제조한 김치(2015년 2월 2일, 2015년 2월 25일)를 사용하였으며, 김치를 제조한 당일로부터 김치가 출하되는 2주 동안의 보관(4℃) 기간별GABA와 glutamate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김치와 김치물을 각각 5% trichloroacetic acid (TCA)수용액으로 추출하여, 다음 HPLC-UV(338 nm)로 분석하였다. GABA 정량(mg/100g fresh wt.)은 22가지의 유리아미노산 STDs와 각 성분의 HPLC크로마토그램 면적을 비교하여 계산하였다. (Ⅰ) 숙성기간에 따른 김치 내 기능성 성분 중 GABA와 Glutamate 함량은 기간에 따른 함량 변화는 보였으나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김치의 (ⅰ) GABA 함량 범위 0.64(3DAS)~1.51(12DAS)이었고, 평균값은 1.23 mg/100g fresh wt. 이었다. (ⅱ) Glutamate 함량 범위는 1.35(4DAS)~1.71(2DAS)이었고, 평균값은 1.57 mg/100g fresh wt. 이었다. 김치의 부재료는 (Ⅱ) 김치 제조에 쓰이는 8가지 부재료(다시마, 생강, 마늘, 새우젓, 황태, 대파, 양파, 멸치)를 분석하여, 마늘>황태>대파>양파 순으로 GABA 함량차이를 보였다. (Ⅲ) GABA 함량이 높은 부재료를 찾기 위하여 7가지 부재료(표고, 느타리, 팽이,양송이, 새송이, 머쉬마루 버섯, 발아현미)를 분석하였다. 실질적인 GABA 함량은 느타리>양송이>새송이>표고 순이었으나 육수에 열수 추출한 함량은 느타리>표고>양송이>새송이 순으로 나타났으며, 함량 범위는 13.91~11.34 mg/100g fresh wt이었다. 김치에 느타리 버섯과 같은 버섯류를 첨가하여 GABA를 고함유한 배추김치를 개발할 수 있으며, 다른 보관조건(온도, 기간)이나 제조 방법에 따라 기능성 물질을 고함유한 배추김치를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문헌고찰을 통한 김치문화 활성화 방안

        송혜숙(Song, Hyea-suk) 한국문화산업학회 2015 문화산업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김치와 김장문화의 기원과 발달배경을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최근 한류열풍과 건강식에 대한 열망으로 김치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김치와 김장 문화를 개발 보완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김치, 김장, 음식문화라는 단어로 문헌고찰을 하였고, 약 100여편의 발행 논문을 통해 분야별 통합 분석을 하였다. 김치와 음식문화에 대한 설문 연구결과는 학생과 주부, 유학생, 일반인등의 그룹 분석을 통해 유형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김치에 대한 자긍심과 선호도가 과반수 이상 이었다. 또한 김치는 발효식품으로 면역력 강화, 암발생 예방 등의 기본지식도 과반수이상 높았다. 그러나 김치소비량은 최근 60여년 동안 많이 하락하여, 국민 1인당 김치소비량이 1940년대 20포기에서 2000년 이후 5포기 였고, 가구당 김장량도 1960년대 77포기에서 2000년 이후에는 20포기로 급락하였다. 그러나, 김치 필수 양념인 고춧가루 소비량은 배추 1포기당 1960년대 26g에서 2000년대에는 145g으로 7배 증가하였다. 이는 국민들이 김치는 점점 안먹는데, 김치는 점점 매워졌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설문종합결과 전 연령의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김치에 대한 만족도는 과반수이상 높은데, 일부 기피하는 대상들의 이유는 김치가 맵고, 짜고, 냄새가 싫다는 것 이었다. 또한 내국인 과 외국인 주부들은 김치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김치 만들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이유로 약 40% 정도는 직접 담그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김치 담는 방법의 교육프로그램이 있으면 적극 참여하고 싶다는 의견이 40%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결과 국내외 김치의 소비량 증대를 위해 덜 맵고, 덜 짜고, 냄새를 줄일 수 있는 맞춤형 김치를 개발하여 한식의 세계화를 꾀하고자 한다. 매운맛 조절을 통해 국내외 김치브랜드의 고급화 및 현지 식사문화와 접목 시킬 수 있는 퓨전요리 등의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development background of Kimchi and culture related making Kimchi and to inherit and improve this culture. Foreign people"s interest in Kimchi and demand for Kimchi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latest Korean wave and the interest in heathy food. This studymight be basic to improve the culture related Korean Kimchi. Literature searchwith Kimchi, making Kimchi and food culture was conducted and about 100 papers were analyzed by category. The poll about Kimchi and food culturewas conducted and analyzed by groups of students, housewives, international students, others and so 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ver 50% of Koreans has pride in Kimchi. Over 50% has information that Kimchi is fermented food and helps enhancement of immunity and prevention of cancer incidence. Nevertheless, consumption of Kimchi has been so decreased for 60 years that the amount of Kimchi consumption per person has been dropped from20 heads of cabbage in 1940"s to 5 heads of cabbage in 2000"s and the amount of making Kimchi per house also has been dropped from 77 heads of cabbage in 1940"s to 20 heads of cabbage in 2000"s.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red pepper powder consumption that is essential seasoning to make Kimchi has been increased 7 times, from 26g in 1960"s to 145g in 2000"s. It means that people have eaten less amount of Kimchi but Kimchi has been spicier and spicier. According to the poll analysis, over 50% of Koreans and foreigners in all age group was satisfied with Kimchi but a few people were not satisfied since Kimchi is spicy, salty and smelly. Korean housewives and foreign housewives show high preference to Kimchi but about 40% of themdoes not make Kimchi by themselves because it is hard and takes time tomake Kimchi.Meanwhile, over 40%wants to attend a programthat teaches howtomake Kimchi, if any. This study shows that we need to develop customized Kimchi that is less spicy, less salty and less smelly in order to help more people from more counties be able to enjoy Kimchi.We also need to enhance Kimchi brand and develop newfusion cuisine to gowell with foreign cuisine. 본 연구는 김치와 김장문화의 기원과 발달배경을 이해하고, 계승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최근 한류열풍과 건강식에 대한 열망으로 김치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종주국인 우리나라의 김치와 김장 문화를 개발 보완하는데 기초자료가 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김치, 김장, 음식문화라는 단어로 문헌고찰을 하였고, 약 100여편의 발행 논문을 통해 분야별 통합 분석을 하였다. 김치와 음식문화에 대한 설문 연구결과는 학생과 주부, 유학생, 일반인등의 그룹 분석을 통해 유형별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 국민들은 김치에 대한 자긍심과 선호도가 과반수 이상 이었다. 또한 김치는 발효식품으로 면역력 강화, 암발생 예방 등의 기본지식도 과반수이상 높았다. 그러나 김치소비량은 최근 60여년 동안 많이 하락하여, 국민 1인당 김치소비량이 1940년대 20포기에서 2000년 이후 5포기 였고, 가구당 김장량도 1960년대 77포기에서 2000년 이후에는 20포기로 급락하였다. 그러나, 김치 필수 양념인 고춧가루 소비량은 배추 1포기당 1960년대 26g에서 2000년대에는 145g으로 7배 증가하였다. 이는 국민들이 김치는 점점 안먹는데, 김치는 점점 매워졌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설문종합결과 전 연령의 내국인과 외국인 모두 김치에 대한 만족도는 과반수이상 높은데, 일부 기피하는 대상들의 이유는 김치가 맵고, 짜고, 냄새가 싫다는 것 이었다. 또한 내국인 과 외국인 주부들은 김치에 대한 선호가 높았으나 김치 만들기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이유로 약 40% 정도는 직접 담그지 못하고 있었다. 그러나 김치 담는 방법의 교육프로그램이 있으면 적극 참여하고 싶다는 의견이 40%이상으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결과 국내외 김치의 소비량 증대를 위해 덜 맵고, 덜 짜고, 냄새를 줄일 수 있는 맞춤형 김치를 개발하여 한식의 세계화를 꾀하고자 한다. 매운맛 조절을 통해 국내외 김치브랜드의 고급화 및 현지 식사문화와 접목 시킬 수 있는 퓨전요리 등의 개발 노력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origin and development background of Kimchi and culture related making Kimchi and to inherit and improve this culture. Foreign people"s interest in Kimchi and demand for Kimchi have been increased due to the latest Korean wave and the interest in heathy food. This studymight be basic to improve the culture related Korean Kimchi. Literature searchwith Kimchi, making Kimchi and food culture was conducted and about 100 papers were analyzed by category. The poll about Kimchi and food culturewas conducted and analyzed by groups of students, housewives, international students, others and so on. According to the analysis, over 50% of Koreans has pride in Kimchi. Over 50% has information that Kimchi is fermented food and helps enhancement of immunity and prevention of cancer incidence. Nevertheless, consumption of Kimchi has been so decreased for 60 years that the amount of Kimchi consumption per person has been dropped from20 heads of cabbage in 1940"s to 5 heads of cabbage in 2000"s and the amount of making Kimchi per house also has been dropped from 77 heads of cabbage in 1940"s to 20 heads of cabbage in 2000"s. On the other hand, the amount of red pepper powder consumption that is essential seasoning to make Kimchi has been increased 7 times, from 26g in 1960"s to 145g in 2000"s. It means that people have eaten less amount of Kimchi but Kimchi has been spicier and spicier. According to the poll analysis, over 50% of Koreans and foreigners in all age group was satisfied with Kimchi but a few people were not satisfied since Kimchi is spicy, salty and smelly. Korean housewives and foreign housewives show high preference to Kimchi but about 40% of themdoes not make Kimchi by themselves because it is hard and takes time tomake Kimchi.Meanwhile, over 40%wants to attend a programthat teaches howtomake Kimchi, if any. This study shows that we need to develop customized Kimchi that is less spicy, less salty and less smelly in order to help more people from more counties be able to enjoy Kimchi.We also need to enhance Kimchi brand and develop newfusion cuisine to gowell with foreign cuisine.

      • KCI등재

        한국의 대표음식 김치와 관련된 국악곡 통합 지도 방안 연구

        장지영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2

        농업을 주 생업경제로 삼아온 우리 민족은 곡물을 주식으로 한 식생활 구조를 형성하여 부족한 영양분을 보충할 수 있는 채소음식이 발달하였다. 그 중 김치는 우리 민족이 가장 즐겨 먹는 음식이며,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문화 이다. 우리나라의 음악에는 우리 민족의 삶의 모습이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많은 음식 중에서도 매일 빠짐없이 즐겨 먹은 김치가 우리네 삶의 모습을 반영하는 음악 속에 등장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에 우리 음악 문화에 나타난 김 치에 대하여 살펴 본 결과 김치가 등장하는 악곡을 많이 찾을 수 있었다. 또한 김치와 관련된 국악곡을 통하여 김치에 대한 우리 민족의 정서, 생업양식, 다양한 생활모습 등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김치를 주제로 하여 김치 관련 국악곡의 통합 지도방안을 연구해 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김치 관련 국악곡의 가사 내용을 분석하고,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나타난 김치 관련 내용과의 연관성을 살펴 김치의 역사, 김치와 조상들의 생활, 김치의 종류 및 우수성이라는 3가지 주제를 설정하였다. 또 교육과정과의 연관성 과 여러 국악곡을 학습할 수 있는 기본 바탕이 마련된 5학년을 지도대상으로 선정하고, 각 주제에 따른 적절한 김치 관련 제재곡을 선정하였다. 마지막으로 각 주제에 따라 여러 장르의 국악곡을 통해 김치와 관련된 우리 문 화를 살펴보는 학습 활동을 구안하여 보았다. 국악을 통하여 우리문화의 상징으로 여겨지는 김치 관련 내용을 통합적으로 지도할 수 있었듯이 앞으로 국악을 중심으로 문화 예술 주제를 통합하여 지도하는 연구가 계속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As an agricultural society, Korean had developed a unique food culture, which mostly relies on the cultivation of grains as a major source of food. To improve such unbalanced diet, however, ingesting vegetables was indispensable, and among the vegetable dishes, “kimchi” had been the most popular and introduced as the symbol of the Korean food culture. The fact that Korean music reflects ordinary Korean life style and kimchi quite often appears in our traditional music provides evidence that most Koreans have been eating kimchi with every meal. A body of research on kimchi in our music history demonstrated that a lot of music themed by kimchi expresses our people’s emotions and thoughts about kimchi, the ways of making a living, and various lifestyles or cultures. This paper aims to present the integrative instructions with Korean music themed by kimchi. To serve this purpose, this paper integrates three aspects in music instruction: the history, the Korean lives, and the kinds and excellence of kimchi. To accomplish this purpose, the students in fifth grade, who are intelligent enough to understand various Korean music and scores, and the repertoires related with kimchi, were chosen. Finally, learning activities were developed to observe Korean culture related with kimch by several Korean music pieces related with kimchi. This thesis presents the integrated approaches to teach Korean kimchi culture by the repertoires of kimchi-related Korean music. The author will further extend the comprehensive and integrated approaches applied for Korean music instruction as proposed in this paper to the instruction of Korean culture and art.

      • 김치類 貯藏中 pH 및 窒酸鹽과 亞窒酸鹽 含量의 變化

        남궁석 서울保健大學 1982 論文集 Vol.2 No.1

        깍두기, 배추김치, 열무김치의 冷藏 및 室溫貯藏중 pH와 窒醒根 및 亞窒酸根함량의 변화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pH의 변화는 담근직후 깍두기 6.5, 배추김치 6.2, 열무김치 6.1이었으나 5℃冷藏 貯藏중 pH변화는 상당히 완만하게 떨어져 28일에 각각 6.25, 5.60, 5.60에 달하였다. 2) 25℃室溫 貯藏중에는 1일 경과후 각각 4.65, 4.90, 5.10으로 급격하게 감소하였으나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pH의 증감경향이 달라져, 깍두기는 계속 떨어졌으나 배추김치와 열무김치는 각각 5일에 4.2, 4일 4.1까지 달하였다가 다시 13일째에 각각 6.5, 6.7로 상승하였다. 3) 窒酸根함량은 담근직후에 깍두기 409.5ppm, 배추김치 1174.6ppm, 열무김치 1056ppm이었으나 5℃貯藏의 경우 깍두기는 20일에 최고로 상승하여 743.5ppm에 달하였다가 그후 감소하여 24일에 최저 161.6ppm 까지 떨어지다가 24일째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었고, 배추김치는 4일째 최고 1191.6ppm으로 약간 상승하다가 계속 떨어져 24일에 최저 528.0ppm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하는 경향이었으며, 열무김치는 6일째 최고 1180.3ppm까지 달하였다가 계속 떨어져 24일에 최저 452.6ppm이 되었다가 다시 상승하였다. 그리고 25℃ 貯藏 경우는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13일에 각각 344.8ppm, 400.0ppm, 350.0ppm으로 계속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4) 亞窒醒根함량은 담근직후 깍두기 7.24ppm, 배추김치 2.60ppm, 열무김치 5.40ppm 이었으 나, 5℃ 貯藏의 경우 2일째 급격히 감소한 후 아주 낮은 상태로 지속되다가 20일을 전후하여 깍두기 3.9ppm, 배추김치 3.7ppm, 열무김치4.1ppm으로 다시 상승하다가 그후 떨어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그리고 25℃ 財藏의 경우는 전반적으로 서서히 감소하여 13일에 각각 344.8ppm, 400.0ppm, 350.0ppm으로 계속 떨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Nitrate accumulated in vegetables can, via NO_(2) during storage and after their ingestion, cause the formation of methemoglobin and many of which are carcinogenic in human body. Especially such vegetables with the highest consumption in Korea as chinese cabbage and raddish frequently showed that high contents of nitrate and nitrite could accumulate. Therefore, pH and the content of nitrate and nitrite of Korean pickles made of upper vegetables, viz, Baichu Kimchi, Yulmookimchi and Kakdooki were estimated during storage at the conditions of 5℃ and 25℃ Storage at 25℃ generally led to the more rapidly than that at 5℃ But changes of nitrite level showed very low variation in all tested Kimchi.

      • KCI등재

        김치의 글로컬 브랜드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방향에 관한 연구

        윤혜진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1

        한국의 대표적인 식품인 김치는 상품이기 이전에 한국의 문화이며, 그 문화 속에는 사상과 민족관, 사회관 등이 내포되어 있어 글로컬 브랜드로서의 경제적 가치와 문화적 가치가 무궁무진하다. 하지 만 현재 한국의 김치브랜드 디자인은 김치종주국으로서 일본의 기무치와 값싼 중국김치와 차별화 된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발견할 수 없으며, 한국지역의 정체성이나 한국만의 김치브랜드 디자인 전 략이 불분명함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성공한 글로컬 브랜드 디자인의 전략분석을 통하여, 김치브랜드의 가치와 경쟁력을 극대화 시키고 더 큰 세계시장으로 확대하기 위하여 한국적 정체성을 강화한 글로컬 김치브랜드 디 자인의 전략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를 통하여 글로컬라이제이션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고, 글로컬 브랜드로 성공한 이탈리아의 파스타 브랜드 20개를 선정하여 디자인의 조형요소, 문화유형, 색상 등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의 대표적인 수출용 김치 3개 회사의 디자인 분석을 통해 문제 점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이탈리아의 글로컬 브랜드인 파스타는 ‘식품은 맛’이라는 표현의 한계점을 넘어 지역의 정체성을 시각적으로 명확히 반영하고 있었으며, 다양한 문화요소를 컨셉으로하여 브랜드 별로 획 일화 되지 않은 정체성을 유지하고 있었다. 이러한 디자인의 다양성은 각 지역의 소비자들에게 기 호와 선택의 폭을 확장시켜 세계시장에서 보편적인 특징을 가질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김치브랜드 디자인은 현재 재료나 맛 위주의 디자인을 벗어나 한국이라는 지역 정체성을 확연히 나타낼 수 있는 차별화된 조형요소를 찾아서 반영해야 하며, 한국의 다양한 유무형의 문화요소들을 활용하여 획일화 되지 않은 다양성을 통하여 한국문화의 가치를 확대 시켜 야 한다. 또한 현지의 식문화와 상호교류가 가능한 김치브랜드 디자인 전략을 통해 지역의 전통과 현대문화가 서로 소통하고 교류할 수 있는 보편성을 더욱 강화해야 할 것이다. Kimchi is food a typical Korea is a culture of Korea before trademark, ethnic and view of thought, such as the view of society is encapsulate in its cultural, economic and cultural value as a glocal brand value is're inexhaustible. However, it is not possible as kimchi originated., to discover the identity of the design, which is differentiated with cheap Chinese kimchi and kimuchi of Japan and kimchi brand design of only local identity of Korea it can be found that the design strategy is unknow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design of a successful glocal brand strategy through analysis, kimchi is to maximize the value of the brand as a glocal, of the world market in order to maximize the larger Korean kimchi brand identity, enhancing the strategic direction for the design study. As research methods, clearly defined the concept of a sentence glocalizat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glocal successful Italian pasta brand select brand 20 the formative elements of design, culture type, color, brand identity analysis. In addition, three kimchi Korea's leading export company for design analysis to evaluate the proble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asta of glocal brand in Italy beyond the breaking point of the expression ‘taste the food’, to maintain the local identity that has not been standardized in the brand to visualize the concept of elements of the diverse cultures of the region, the diversity of these designs could be made to expand and choice consumers taste in each region have a universal characteristic. Based on these analyzes, the kimchi brand design, must be reflected by searching the shaped elements that are differentiated can show clearly the identity of the local of Korea to be out design taste oriented material and the current, It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value of Korean culture through diversity by utilizing a culture element tangible and intangible various Korean are not standardized.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further strengthen the universality that can interact with the food culture of the local through the possible kimchi brand design strategy, to exchange culture and modern tradition of the region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 김치 정보의 국내외 네트워킹을 위한 Information-Hub 정보시스템 구축에 관한 연구 - 세계김치연구소 KISS(Kimchi Information Service System) 구축 사례를 중심으로 -

        김백주,박성훈,최은옥,황성원 한국경영정보학회 2011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1

        국내 김치 산업 육성 및 홍보를 위한 다양한 테마별 사이트가 운영되고 있으나, 김치에 대한 공신력을 갖춘 정보가 집약된 서비스 및 네트워크 채널은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김치의 대표 정보 서비스 시스템(Kimchi Information Service System, 이하 KISS)을 구축하여 연구자, 생산자, 일반 이용자 및 국내외 이용자층 모두에게 공신력 있는 정보 제공과 다양한 주체별, 분야별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향후 김치 연구 및 산업의 글로벌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KISS 를 통해 김치의 우수성 홍보와 우수 김치의 세계화 지원, 김치 수출 및 현지화 마케팅을 위한 각종 정보 제공 체계 구축과 더불어 국내외 김치 소비자에게 다양한 콘텐츠 제공으로 김치 관련 관심 제고 및 소비 창출을 도모하고자 한다. 또한 김치 관련 논문, 특허, 보고서, 표준, 동향, 통계 등 국내외 연구 자료 통합 검색서비스를 지원하고 김치생산자, 국내외 연구자 풀을 집약하여 콘텐츠의 전문성과 네트워크를 구축하고자 한다. 본 사례연구는 KISS 에서 핵심 요소로 규정하고 있는 김치 관련 DB 연계, 네트워크 구성을 위한 김치 생산자, 연구자 정보 수집 및 공신력을 갖춘 정보 제공을 기준으로, 핵심 요소의 효과적인 정보 설계와 구현방법론 규정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김치(金緻)설화〉의 존재양상과 〈차사본풀이〉의 형성 문제

        강진옥(Kang Jin-Ok) 비교민속학회 2010 비교민속학 Vol.0 No.41

        제주도 무속신화 〈차사본풀이〉의 중추부는 강림의 저승차사 좌정담이다. 강림의 서사에는 탐색과제를 부여하는 김치(金緻)라는 인물이 등장한다. 본고는 조선중기 문신인 김치가 조선후기 문헌설화집에서 일정한 위상을 차지하면서 인물설화의 주인공으로 거듭 나타나는 현상을 주목하고 김치설화의 존재양상을 추적했다. 이는 김치라는 인물의 행적이 〈차사본풀이〉 형성에 관한 문제를 해명하는데 중요한 단서로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역사적 실존인물인 김치가 〈차사본풀이〉에 수용되게 된 정황을 파악할 수 있다면 〈차사본풀이〉 형성에 관한 논의도 구체적인 역사 문맥 속에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김치에 관한 인물설화는 내용상으로 볼 때 세 범주로 구분할 수 있다. 첫째, 推數法(운수를 점치는 일)에 밝아 신이한 일이 많았다는 이야기, 둘째, 죽어서 염라대왕이 되었다는 이야기, 셋째, 백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염라대왕을 모셔와 판결한 이야기이다. 김치설화는 다양한 유형으로 존재하지만, 각각의 유화들은 저마다 ‘인물의 신이성’이라는 공통자질에 기반을 두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김치설화는 전승방식으로 볼 때 문헌설화 계통과 구비설화 계통으로 구분되는데, 이들은 모두 신이성을 부각하는 첫째범주의 내용을 인물 이해의 공통기반으로 삼고, 각기 상이한 문제의식과 의미지향을 보여주는 서사유형으로 분화되고 있다. 둘째범주가 문헌설화계열의 특성을 보여준다면, 구비설화 계열의 특징을 대변하는 셋째범주는 〈차사본풀이〉와 동일한 서사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그 대표적인 사례는 서사내용 속에 전승의 맥락까지 담고 있어 그 역사적 존재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해동이적ㆍ보(海東異蹟ㆍ補)』 〈김치현감설화〉이다. 대상자료들을 비교 분석한 결과, 〈차사본풀이〉의 근원설화는 구비설화에 연원을 둔 〈김치현감설화〉임이 밝혀졌다. 〈김치현감설화〉는 김치의 관직 이력을 따라 전라도 흥덕지역에서 제주지역으로 전파되었고, 인물이 재임 중에 펼쳤다는 선정이라는 현실문맥과 만나면서 사회적 전승력도 보강되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이러한 토대 위에 강화되었을 설화적 상상력은 제주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무속적 토양과 조우하면서 무속적 세계관 아래 재구성되어 현재와 같은 〈차사본풀이〉의 서사로 거듭났을 것으로 보인다. 그것은 본풀이 연행의 실현 토대인 굿판, 곧 무속의 의례공간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The main parr of the Chasabonpuri, shaman rale of Jeju Province, is the srory about how Jwanjungdam of Ganglim became the messenger of the dead. In the Epic rale of Ganglim, a character called Kim Chi who calls for exploration appears. This study srarted from identifying Kim Chi who was a king's vessel in middle years of Chosun Dynasty and explored how he gained an important status in the written tales in later years of Chosun and became the main character in many of the tales. I became interested in Kim Chi because his actions and his achievements can give the clues to find our how Chasabonpuri was formed. If we can trace how Kim Chi who was a real man rendered himself as a character of Chasabonpuri, we can also discuss the formation of Chasabonpuri in historical context. The story about the man Kim Chi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parts. First, the story that he experienced many extraordinary events since he had an ability to foretell the future. Second, thar he became the Great King of the Dead a fret he died and third, thar he had Ganglim bring the King of the Dead to this world to judge matters of the people. There are many types of Kim Chi tales, bur all the tales are based on the common characteristics, thar are extraordinary talents of the man. The tale of Kim Chi is passed down in two types; written and oral types. Bath types have common understanding for the person who stands our for his extraordinary talents, bur they evolved to different types of storytelling wi th different problems and orientations. While the second category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written tales, the third category represents the oral tales and it shares the same story structure of Chasabonpuri. The examples appear in "HaedongyijukㆍBo(海東異蹟ㆍ補)" 〈The Tale of Kim Chi Hyeongam〉. As a result of reviewing tales in question, the original story of Chasabonpuri was found to be based on The Tale of Kim Chi Hyeongam, which is originated from an oral rale. The Tale of Kim Chi Hyeongam is thought to be spread from Hongduk area of jeonra Province to Jeju Isalnd. It is speculated thar his good administrative achievements helped to spread the rale. The rale must have gone through a change in Jeju Island where shamanist view dominated its imaginative and cultural dimate. It seems thar Chasabonpuri had transformed into the present tale under such dimate. It was possible because shamans rituals such as Gut Pan provided the opportunities to realize Bonpuri.

      • KCI등재

        김치(金緻) 인물형상화 방식에 나타난 <차사본풀이> 서술시각 : [해동이적·보] 소재 <김치설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강진옥 한국구비문학회 2010 口碑文學硏究 Vol.0 No.31

        제주도 무속신화 <차사본풀이>와 &#985172;해동이적·보&#985173; 소재 <김치설화>에는 공통적으로 김 치(金緻)라는 역사적 실재인물이 등장하고 있다. <김치설화>는 <차사본풀이>의 근원설화이 지만, 김치라는 인물의 형상방식은 두 장르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어 주목된다. 양자를 대상으로 김치 인물형상화 방식을 비교하는 작업은 <차사본풀이>의 서술시각과 제 주도 무속집단의 세계인식의 일단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양자는 핵심 서사단락을 공유하고 있으나, 해당 대목을 서술하는 방식에서는 일정한 차 이를 보여주고 있다. <김치설화>가 신이한 능력과 선정을 베푸는 명관으로서의 면모를 부 각하는 반면, <차사본풀이>는 김치의 어리석음과 무능함을 부각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이 를 위해 <김치설화>의 서술자는 논평을 통해 인물의 비범성을 직접적으로 진술한다. 이와 달리, <차사본풀이>는 다수의 인물을 등장시켜 인물들의 관계양상을 통해 확장된 서사세계 와 심화된 문제의식을 부각하는데, 주변인물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김치와 관계를 맺으면서 인물의 열등성 부각에 일조하고 있다. <차사본풀이>의 인물형상은 김치에 대한 역사적 평가와도 일정한 거리를 보여주고, 근원설화인 <김치설화>와는 현격한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차이는 일차적으로 <김치 설화>의 채록자가 흥덕지역 ‘선비’였고, <차사본풀이> 전승집단이 제주도 무속집단이라는 사실에서 비롯되지만, 구전되는 <흥덕현감설화>에도 현감의 신이성이 부각되고 있음을 고 려하면, <차사본풀이>의 인물형상화 방향이 김치라는 역사적 개인에 대한 평가를 보여주는 것으로 보기 어렵다. 이는 제주도 무속집단에게 김치‘원님’이 역사적 개인이 아니라 중앙권 력을 대변하는 존재로서 이해되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차사본풀이> 김치원님의 인물형 상은 통치의 기반을 유가적 가치관에 두고 있는 중앙관리에 대한 제주도 무속집단의 시선 을 대변하는 것으로, 제주도 무속집단과 유가적 통치관을 지닌 중앙관리 사이에서 빚어졌 던 지속적인 갈등의 역사적인 반증으로 이해할 수 있다.

      • KCI등재

        한국 김치의 대일 수출경쟁력 분석에 관한 연구

        김희철(Kim, Hee-Chul) 한국상품학회 2010 商品學硏究 Vol.28 No.1

        본 연구는 한국 김치산업의 실태 및 일본 김치시장의 현황 분석, 한국 김치의 산업구조와 SWOT 분석, 그리고 시장점유율 및 무역특화지수 그리고 수출편향지수를 중심으로 수출경쟁력을 분석한 후,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한국 김치의 수출 활성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출 현황분석을 행한 결과, 전반적으로 볼 때 품질이 우수하고 소비자 인지도도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나, 가격경쟁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시장점유율 및 무역특화지수와 수출편향지수에 의한 경쟁력분석을 실시한 결과, 우리나라 김치는 일본시장 집중도가 매우 높으며 수출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러한 김치의 수출경쟁력분석 결과에 따른 적극적인 대처와 수출 활성화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우리 김치 고유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고, 일본 김치시장 특성에 맞는 고품질의 다양한 김치 생산 및 소비계층별 제품 차별화와 다양화의 추구, 시장다변화, 그리고 한국 김치의 건강기능성과 우수성에 대한 집중적인 홍보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어느 일방의 노력만으로는 달성될 수 없으며 정부와 산업체, 그리고 학계의 공동 노력이 필요하다 하겠다. Kimchi, which has its origin tracing back to as early as the 7th century, is a traditional food representing Korea with its long historical background that took the form the same as that of today in the 19th century. Also, it's the food which had been ultimately acknowledged by the international specification of CODEX. It is increasingly getting more attention from all over the world since the Seoul Olympic in 1988 and the Korean-Japan World Cup Games in 2002. This its time that it should be on the verge of developing the export extension strategies for more diverse markets in the worl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Kimchi towards Japanese market. Market share, TSI and Export Bais Index was selected as analyzing method. Analyzing period was 2003-2008. Based on research results, Korean Kimchi gained big exporting concentration in Japanese market. Also, this study can conclude that competitive power of Korean Kimchi in Japanese market, demonstrated by EBI 11.42 and M/S 25%, still remains high mainly due to high quality, however, in spite of decreasing price competitiveness. The strategies to increase the export to Japanese market is making the better products as a high quality, multiple products, and good advertisements in oder to persuade people to buy it. And also, our Kimchi enterprises must have their own brand name and export products not only a specific area but also further area where possibly could export. More than all, we have to Japanese consumers think Korean Kimchi is very attractive product by using the commercial image, the particular magazine, and the mass media. The use of this study is to forecast useful information to concerned organization for the future policies to the Kimchi products in the foreign markets.

      • KCI등재

        김치의 세계화를 위한 시장전략 및 패키지 디자인 연구 - 런던을 중심으로 -

        이재경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8 No.2

        최근 세계 음식 시장에서는 소비수준의 향상과 소비 생활의 패턴의 변화로 스타 요리사, 요리책, 매거진을 통한 다양한 음식 정보가 공유 되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비만에 대한 우려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건강 음식들이 주목받고 있다. 그중에서 한국을 대표하는 김치는 올리브오일, 콩, 요거트, 렌틸과 함께 세계 5대 건강식품에 뽑힐 만큼 영양소가 골고루 포함된 건강 음식이다. 김치의 주 재료 중의 하나인 고추에는 캡사이신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그 성분은 매운맛과 함께, 열을 발산하게 하고, 땀을 나게 하여 다이어트에 효과적이다. 또한 고추에는 사과의 25배에 달하는 비타민 C가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탄력과 윤기를 주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김치의 효능은 국내외로 널리 확산되고 있기는 하지만 유럽시장의 경우 식품전문가가 아닌 일반인들에게는 아직도 생소한 음식으로 인식되어 있으며 한국 슈퍼마켓에서만 김치를 찾아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국제도시 중 하나인 런던을 중심으로 김치에 대한 소비자 인지도와 국제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연구 하였다. 연구결과 국내의 김치 회사들은 다양한 국가에 수출을 하고 있지만 한국인을 겨냥한 수출에 머물렀고, 현지인을 타깃으로 한 제품은 시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치의 독특한 냄새와 매운맛이 서양인들의 입맛에 맞지 않을 것이라는 김치 제조업체들의 예상과는 달리 설문조사 결과 한 번 맛을 본 소비자들은 맛에 대한 거부감이 없었으며, 오히려 여러 가지의 맛이 느껴지는 김치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또한 런던의 마케팅 리서치 전문 업체 ‘Minter’에 따르면 런던의 60% 남자와 59%여자들이 외국음식을 즐겨 먹는 것으로 발표되었고 인도, 중국 음식 등 향신료가 첨부되고 자극이 강한 음식 등이 선호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제 시장에서의 건강음식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국내의 것을 그대로 전달하는 것이 아닌 현지 소비자의 기호와 시대의 트렌드에 맞추어야 한다. 또한 신선한 브랜드와 그에 맞는 이미지 구축이 필요하다. 소비자의 기억 속에 김치의 이미지를 하나의 건강식품 이미지로 구축하여 외국음식이 아닌 필수 건강음식으로서 인식시켜야 한다. 또한 현지의 소비자에게 친근하고 매력적으로 다가가기 위해서는 현지인들의 소비문화를 이해하고 전략적인 패키지 디자인이 절실히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한국의 대표 음식중의 하나인 김치가 세계시장에 한걸음 더 나아가 세계 속의 대중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The food industry is booming with celebrity chefs, cookbooks, magazine publications, cooking shows. Kimchi has been listed as one of the top five Worlds Healthiest Foods, along with of olive oil, soy, yogurt, and lentils. Koreans eat so much of this super-spicy condiment by 40 pounds of it per person each year. The dish, made from fermented cabbage, and a mix of garlic, salt, vinegar, peppers and other spices, is served at every meal in Korea. Moreover there is virtually raw fat in it. Despite its popularity there, more than 70% of people elsewhere do not know about it, unlike the other foods on the Worlds Healthiest list. Western people, who have not been to Korea, may never have had the chance to taste kimchi. Also, it has a strong smell, which might make it seem strange to those who have never tried it. Interestingly, those who do try kimchi, seem not to be able to resist eating more and more. It is hoped that this project will endeavor to bring attractiveness from Kimchi and package by tangibly demonstrating the healthy value of the product to people affected. Some Korean Kimchi manufactures believe that there are some good reasons why they have not opened in UK market. First, high price of transportation will increase the price of the product a lot. Second, there is a problem which is delivering to UK as fresh. Finally, they expect that unfamiliar sour taste, strong smell and spicy taste will not be suitable for the western. These thought need to be considered. That is mainly because practically action has not been taken. In fact, 60% of men and 59% of women enjoy eating foreign foods according to statement from Mintel ‘I enjoy eating foreign foods’. What is more, Indian and Chinese foods are high popularity for eating out in London as London is one of the largest international cities. Hence, it seems that people are not really afraid of trying new dish. Furthermore, there is a serious problem of obesity in UK(Obesity is a problematic issue in the UK). As virtually raw fat food product will attractive to who have the problem. A new brand of Kimchi aims at contribution to expand healthy food market and enjoyment of new food product. The product has been tested many times. It was hardly found space and people to try. Many people agreed that taste of kimchi was not expected as it looks. Appearance and smell made people hesitate before even try. However, as the product has been developed, which is focused on the healthy benefit, some of experts and other potential consumers got interested in this project, such as Fresh & Wild. The method is to highlight its diversity and to provide a realistic branding of “Kimchi product” through a series of interviews with experts and street people. I have gained valuable insights including ways of consumption of food and comprehension of different point of views during the process of meeting interviewees for the produ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