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김수영 시인의 연보 고찰 (1) - 출생에서부터 일본 유학까지

        맹문재(Maeng, Mun-Jae) 한국시학회 2021 한국시학연구 Vol.- No.67

        이 논문에서는 김수영 시인의 출생에서부터 조양유치원, 계명서당, 어의동 보통학교, 선린상업학교, 일본 유학까지의 연보를 정리해보았다. 김수영 연보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한 최하림의 『김수영 평전』, 김수영 연보의 정본이라고 볼 수 있는 이영준이 엮은 『김수영 전집』(1-2권), 답사를 통해 기존 연보의 틈새를 보완한 박수연 외 7인 공저인 『세계의 가장 비참한 사람이 되리라』를 참고했다. 아울러 김수영의 부인인 김현경의 증언과 진명여자고등학교 졸업증명서 및 학적부, 김수영의 제적등본 등을 근거로 삼았다. 김수영은 1921년 11월 27일 서울시 종로2가 158번지에서 아버지 김태욱과 어머니 안형순 사이에서 셋째 아들로 태어나 장남으로 자라났다. 1924년(4세) 조양유치원 과정을 마치고 계명서당에 들어가 한문 공부를 했다. 1928년 어의동 보통학교(현 서울효제초등학교)에 입학했는데, 1934년 가을운동회에 참가했다가 바나나를 먹고 몸이 아파 졸업식에도 참석하지 못했다. 김수영은 겨우 건강을 회복하고 1935년 선린상업학교 전수과(야간)에 입학했다. 1938년 3년제 전수과를 졸업한 뒤 본과 2학년으로 진학해 1941년 졸업했다. 김수영은 1942년 초 일본으로 건너갔다. 김수영은 선린상업학교의 선배인 이종구의 하숙집에서 함께 생활하며 조후쿠(城北) 고등보습학교에 들어가 공부했지만, 대학입시에 합격하지 못했다. 그 뒤 유학 생활에 드는 비용을 고향 집으로부터 조달받기 어려워 조후쿠 고등보습학교에 등록하지 않았고, 그 대신 연극 공연장, 영화관, 서점 등을 찾아다니고 시를 쓰기 시작했다. 일제는 태평양전쟁으로 전선을 확대하면서 1943년부터 조선 학생들에게 학도지원병 제도 및 징용제를 시행했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김수영은 일본에 더이상 머무를 수 없어 귀국했다. 귀국한 시기는 1944년 3월 19일 이전이었다. 김수영은 유학 생활을 통해 제국주의의 모순 및 억압과 그것으로 인한 설움을 체험했다. 아울러 그 극복을 위해 사랑을 인식했다. This paper is a full scale review of the poet Kim Soo-young’s part of life in celebration of the 100th anniversary of his birth. Compared to Kim Soo-young’s influence in Korean modern poetry history, his life report theorem has many limitations. Therefore, Kim Soo-young’s history from birth to Joyang Kindergarten, Keimyeong seodang, Eouidong Public School, Seonrin Commercial School, and studying in Japan was studied through a factual data. In this paper, the testimony of Choi Ha-rim’s “A critical biography of Kim Soo-young”, Lee Young-jun’s compilation book “Kim Soo-young’s Complete Collection” (1-2), Park Su-yeon and seven others “I will be the most miserable man in the world”, and Kim Hyun-kyung, the wife of Kim Soo-young. As a result, many parts of Kim Soo-young’s life report were revised or supplemented. Kim Soo-young was born on November 27, 1921, at 158 2-ga, Jongro, Seoul, to his father Kim Tae-wook and mother Ahn Hyung-soon. Kim Soo-young’s original form is 171 Myodong, Jongrogu, Seoul, and his family register is 166, Jongro, Seoul. In 1928(age 8), Kim Soo-young entered Euidong Public School(now Seoul Hyoje Elementary School). Kim Soo-young participated in a sports day in the fall of 1934 and began to sick after eating bananas. Therefore, Kim Soo-young could not attend the graduation ceremony. Kim Soo-young barely recovered his health at the age of 15 in 1935 and entered Sunrin Commercial School. He graduated from Sunrin Commercial School in 1941(21 years old) and studied in Japan in early 1942. Kim Soo-young’s choice to studying in Japan was influenced by Lee Jong-gu. Another person who influenced Kim Soo-young’s study abroad is Ko In-sook. Kim Soo-young prepared for the university entrance exam, but failed to pass it. Kim Soo-young"s worries deepened after failing the entrance exam. Therefore, he snooping around theatrical venues, cinemas and bookstores, and began writing poems. In the situation of the Pacific War caused by Japan, Kim Soo-young could no longer stay in Japan and returned to Joseon. While studying in Japan, Kim Soo-young experienced the absurdity of Japan, and realized the sorrow and love for overcoming it.

      • KCI등재

        마리서사·유명옥·국립도서관 - 김수영 시의 장소에 대한 연구

        김응교(Kim, Eungyo)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9 외국문학연구 Vol.- No.73

        김수영의 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 공간에 대한 실증적인 정보와, 컨텍스트로서의 공간과 작품의 연관성을 제시해보았다. 종로 마리서사, 충무로 유명옥, 소공동 국립도서관, 세 군데를 정하여 정확한 위치와 구조 등을 확인해 보았다. 김수영이 머물었던 동대문 고모집에서 종로 마리서사까지 걸어서 20분 정도 걸린다. 마리서사에서 충무로 유명옥까지는 15분 정도 걸린다. 다시 유명옥에서 국립도서관까지는 20분 정도 걸린다. 김수영은 걷고 걸으며 사색하고 시를 썼을 것이다. 아울러 그곳에서 김수영이 쓴 시들을 검토해 보았다. 마리서사 시절에 쓴 「묘정의 노래」를 통해 김수영은 전통의 문제를 고민한다. 유명옥 시절에 쓴 「아메리칸 타임즈」에서 김수영은 현실주의 문학을 지적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국립도서관을 오가며 쓴 「국립도서관」에서 죽어있는 책을 대하며 새로운 다짐을 쓴다. 세 곳에서 김수영이 겪었던 진보적 문학과 ‘신시론’으로 대표되는 초현실주의 문학 사이의 갈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중요한 장소를 찾아다니며 사색했다. “아픈 몸이/ 아프지 않을 때까지 가자/ 온갖 식구와 온갖 친구와/ 온갖 적들과 함께/ 적들의 적들과 함께/ 무한한 연습과 함께”(김수영,「아픈 몸이」, 1961)라고 쓴 것은 그의 일상이었다. I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works as a context, and empirical information about three spaces closely related to the poet Kim Sooyoung(1921~1968)’s literature. Mari Bookstore at Jongno, Yoo-Myong-ok at Chungmuro, the National Library at Sogong-dong, I researched about these three places and checked their exact locations and structures. It takes about twenty minutes to walk from the Dongdaemun house where Kim Sooyoung stayed, to Mari Bookstore at Jongno. Then, I examined the poems written by Kim Sooyoung. Kim Sooyoung is worried about the problem of tradition in “Song of Myungjeong”, written during his Mari Bookstore times. “American Times”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Yoo-Myong-ok. He writes a new compromise on a book that has ‘died’ in the National Library. 김수영의 문학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세 공간에 대한 실증적인 정보와, 컨텍스트로서의 공간과 작품의 연관성을 제시해보았다. 종로 마리서사, 충무로 유명옥, 소공동 국립도서관, 세 군데를 정하여 정확한 위치와 구조 등을 확인해 보았다. 김수영이 머물었던 동대문 고모집에서 종로 마리서사까지 걸어서 20분 정도 걸린다. 마리서사에서 충무로 유명옥까지는 15분 정도 걸린다. 다시 유명옥에서 국립도서관까지는 20분 정도 걸린다. 김수영은 걷고 걸으며 사색하고 시를 썼을 것이다. 아울러 그곳에서 김수영이 쓴 시들을 검토해 보았다. 마리서사 시절에 쓴 「묘정의 노래」를 통해 김수영은 전통의 문제를 고민한다. 유명옥 시절에 쓴 「아메리칸 타임즈」에서 김수영은 현실주의 문학을 지적하는 문제를 제기한다. 국립도서관을 오가며 쓴 「국립도서관」에서 죽어있는 책을 대하며 새로운 다짐을 쓴다. 세 곳에서 김수영이 겪었던 진보적 문학과 ‘신시론’으로 대표되는 초현실주의 문학 사이의 갈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는 중요한 장소를 찾아다니며 사색했다. “아픈 몸이/ 아프지 않을 때까지 가자/ 온갖 식구와 온갖 친구와/ 온갖 적들과 함께/ 적들의 적들과 함께/ 무한한 연습과 함께”(김수영,「아픈 몸이」, 1961)라고 쓴 것은 그의 일상이었다. I present the relationship between space and works as a context, and empirical information about three spaces closely related to the poet Kim Sooyoung(1921~1968)’s literature. Mari Bookstore at Jongno, Yoo-Myong-ok at Chungmuro, the National Library at Sogong-dong, I researched about these three places and checked their exact locations and structures. It takes about twenty minutes to walk from the Dongdaemun house where Kim Sooyoung stayed, to Mari Bookstore at Jongno. Then, I examined the poems written by Kim Sooyoung. Kim Sooyoung is worried about the problem of tradition in “Song of Myungjeong”, written during his Mari Bookstore times. “American Times” was written during the period of Yoo-Myong-ok. He writes a new compromise on a book that has ‘died’ in the National Library.

      • KCI등재후보

        시의 언어와 민족의 언어

        박수연(Park Soo-y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21 픽션과논픽션 Vol.3 No.1

        본고는 김수영 시의 민족 의식에 대해 고찰한다. 김수영이 민족주의와 거리를 두었다는 평가는, 백낙청의 비평으로부터 시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평가는 김수영에 대한 오해이다. 이러한 진술을 이어 장정일은 김수영을 세계시민주의자 로 전도시키고 있다. 그러나 김수영의 민족주의 비판은 관제민족주의이지 민족주의 일반이 아니다. 김철은 이중언어세대인 김수영에게서 식민지적 혼종성 을 읽고 그런 혼종성이 국민화 프 로젝트를 비판하게 만들었다고 보고 있으나, 김수영이 바판한 것은 위로부터의 국민화 프로젝투 이지 밑으로부터의 민중적 지향 의 민족성이 아니다. 이중언어세대인 김수영에게 일본어는 망령으로서 그 내면을 사로잡은 상태였다. 김수영은 그러한 자신을 숨기지 않고 그대로 보여주므로써 삶에 밀착한 언어로서의 시를 실천했고, 그 태도가 포스트식민주의적 사후 효과를 낳았다. 이것은 우리 민족의 현실태를 있는 그대로 보여주면서 그 현실을 극복하려는 태도였다. 하이데거의 영향을 받은 김수영의 민족록은 삶의 원천을 드러내는 민족의 유비인 고향 에 대해 침묵 으로써 말한다. 하이데거에 따르면 민족 은 그 원천을 알고 있는 자의 능력으로 비밀에 붙여져야 하는 대상이었고, 김수영에게 그것은 침묵의 언어 이자 미메시스의 언어 이다. 이 미메시스의 언어는 정치적 혁명을 수용한 그의 내적 혁명으로 실천된다. 김수영의 고립과 고독은 현실에 대한 격한 긍정을 가능하게 했고, 적과 동지, 최고 정신의 시인과 육체 노동의 식무 를 한데 결합하는 혁명을 이루어낸다. 또한 벤야민을 통해 직역으로서의 순수 언어 를 드러내는 방법론을 수용했다. 그것이 그의 세계의 번역으로서 미메시스이다. 따라서 김수영의 혁명은 적과 동지를 한데 묶고, 그들을 낱낱이 호명하는 능력의 실현이었다. This paper examines Kim Soo-young s poetry s national consciousness. The evaluation that Kim Soo-young distanced from nationalism begins with Baek Nak-cheong s criticism. However, this evaluation is a perversion derived from the lack of reading about Kim Soo-young. Following these statements, Jang Jung-il is turning Kim Soo-young into a global citizen . However, Kim Soo-young s criticism of nationalism is controlled nationalism, not nationalism in general. Kim Cheol read colonial hybridity from Kim Soo-young, a bilingual generation, and believes that such hybridity made him criticize the nationalization project, but what Kim Soo-young criticized is a nationalization project from above, not a popular orientation from below. To Kim Soo-young, the Japanese language was captured as a ghost, and Kim Soo-young showed himself as it was. He practiced poetry as a language closely related to life, and the poetry produced the post-colonial effect of ‘post-colonialism’. Influenced by Heidegger, Kim Soo-young s national theory speaks of hometown as an analogy of the nation that reveals the source of life as silence . According to Heidegger, the nation was an object that had to be kept secret by the ability of those who knew its source, and for Kim Soo-young, it is a language of silence and a language of mimesis . This mimesis language is put into practice as his inner revolution embracing the political revolution. Kim Soo-young s isolation and solitude enabled a strong affirmation of reality, forming a union of enemies and comrades, the best spirit and the maid . He also accepted the methodology of revealing ‘pure language as a literal translation’ through Benjamin, and practiced mimesis as a translation of the world. Therefore, Kim Soo-young s revolution is the realization of the ability to unite enemies and comrades, to look at and call them individually. In Kim Soo-young s literature, the language of people were also bound to appear as a combination of Japan as a ghost and Japanese

      • KCI등재후보

        김수영 문학에서 망각에 관한 연구

        김태선(Kim, Tae-Seon) 픽션과논픽션학회 2019 픽션과논픽션 Vol.1 No.1

        This study focused on problem of Oblivion in Kim Su-Young s Later Literature. In General, Oblivion means forgetting a memory; but Su-Young looked at Oblivion as an essential movement related to poetry writing in the thought that reached the last winter of his life. At that time, Su-Young was thinking about way of beyond the limit of I that blocked sees things from the inside as the recognition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order. WaSeon [lying meditation] is the article in which Su-Young s inquiry of such a thought appeared. Su-Young introduces the method of meditation called WaSeon and talks about passive attitude because he saw that it makes him approach to the essential place of Things that can not be approached by active action such as the capacity of the subject. Thus we looked at Kim Su-Young s passive attitude with referring to the passive synthesis as the first synthesis of time on Deleuze s theories about time. Passive synthesis is the movement towards contraction in which different things meet and become individualized before the action of intelligence that makes it aware when the subject recognizes something, which foundation for images and memories. But image of thought ready-made concealed the encounter with such process of generating. The reason why Su-Young argued that things should be seeing from inside is to approach the process of generating that could not be approached in the active instance of the subject I . Su-Young said the waiting , WaSeon and passive attitude in way to get a gaze to see the inside of things. Kim Su-Young discusses the way to poetry by passive attitude , which is done through reminiscence in the oblivion. And writing poetry and poetry performs the movement of oblivion that erases itself, which is what appears in Händel s music. Heidegger discussed Brave Oblivion which is distinguished from oblivion[forgetting] in general sense in Andenken [reminiscence]. Brave Oblivion is a process that approaches the essential dimension of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as appearing and disappearing, and an experience of ecstase[Ekstase] that leaves I outside I , and opens oneself and performs the movement to enter into the inside of others as the things. The attitude to writing poetry that Su-Young called passive attitude is aimed to reach such a movement. In addition, Oblivion is the condition of reminiscence as recalling the disappearances, and in this case, the returning does not reappear as they once appeared. They are partial objects of what are potential in the qualifications of the pure past, and appear to constantly change their appearance and place. This movement is the double movement of Being, in which something is a movement to oblivion, and is manifested as constantly erasing itself and appearing. This is also the movement of Oblivion performed by poetry, which Su-Young wanted to refer to Handel s music. Therefore, Kim Su-Young s Oblivion and the writing of Oblivion as the movements of differential generation that reveals themselves as the differences. With Oblivion, writing becomes a movement to participate in the experience of Being and to express the experience itself. The writing of oblivion is a movement that erases itself and expresses itself, and through such movements, it produces a generation that brings small but certain changes. 이 연구는 김수영 후기 시론의 ‘망각’에 관한 문제를 탐구하였다. 망각이란 일반적으로 어떤 기억을 잊는 일을 뜻하지만, 김수영은 자신의 생애 마지막 겨울 무렵에 이른 사유에서 ‘망각’을 시 쓰기에 관련된 어떤 본질적인 움직임으로 살폈다. 당시 김수영은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가로막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서는 일을 사유하고 있었는데, 그 방법의 하나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이 연구에서 김수영의 시론에 나타난 ‘망각’을 주목하는 까닭은, 김수영이 ‘사물을 내부로부터 보는’ 일을 방해하는 ‘나’의 제한, 즉 기성의 질서에 따른 인식의 태도를 넘어설 수 있게 하는 한 방법으로 ‘망각’의 문제에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와 같은 사유의 탐구가 개진된 산문 중 하나가 바로 「와선」이다. 김수영이 ‘와선’이라는 명상의 방법을 통해 ‘수동적 태세’를 운운한 까닭은, 그 방법으로써, 주체의 능력이라는 능동적 행위에 의해서는 다가갈 수 없는, 사태의 본질 영역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움직임 강조한 까닭을 고찰하기 위해서 이 글에서는 들뢰즈의 시간론 중, 첫 번째 시간의 종합에 나타난 수동적 종합을 참조하였다. 수동적 종합은, 주체가 무언가를 인식할 때 그것을 어떤 앎으로 만드는 지성의 작용에 앞서 나타나는, 서로 다른 것들이 만나며 개체화되는 ‘수축’의 움직임이며, 이는 이미지나 기억 등을 형성하는 정초의 역할을 한다. 그러나 기성의 사유이미지는 그와 같은 발생적인 것과의 만남에 틀을 덮어씌운다. 김수영이 사물을 외부가 아닌 내부에서 바라볼 것을 주장한 까닭은, 바로 ‘나’라는 주체의 능동적 심급이 가리고 있던 그 발생적 차원으로 다가가기 위해서이다. 김수영은 사물의 내부를 보는 시선에 이르기 위해 ‘와선’이라는 기다림을, 그 ‘수동적 태세’를 말하였던 것이다. 김수영은 ‘수동적 태세’로써 ‘시’에 이르는 길을 주장하는데, 이는 망각 가운데에서의 ‘상기’ 혹은 ‘회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때 시와 시 쓰기가 이행하는 것은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에서 본, 스스로를 지우는 망각의 움직임이다. 하이데거는 「「회상」」에서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망각과 구분되는 ‘대담한 망각’을 논의한다. ‘대담한 망각’은 생성과 소멸의 이중운동이라는 존재의 본질적 측면에 이르는 한 과정이자, ‘나’를 ‘나’ 바깥에 놓아두는 ‘탈자태’의 경험으로, 자신을 열어 사물 혹은 사태라는 타자의 내부로 들어가는 움직임을 수행한다. 김수영이 ‘수동적 태세’라 한 시 쓰기의 태도는 바로 그와 같은 움직임에 이르기 위한 것이다. 또한, 망각은 사라져간 것을 다시 불러오는 회상 혹은 상기의 조건으로, 이때 되돌아오는 것은 자신이 한 때 현현했던 모습 그대로 다시 나타나지 않는다. 그 것들은 순수 과거의 자격에서 잠재적인 것의 한 부분대상들로, 끊임없이 스스로의 모습과 자리를 바꾸는 것으로 나타난다. 여기서 잠재적 대상들의 움직임은, 무언가가 망각에 이르는 움직임이자, 끊임없이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나타나는 것으로 현성하는, 존재의 이중 운동에서 볼 수 있는 그 움직임이다. 이는 김수영이 헨델의 음악을 통해 전하고자 했던, 시가 이행하는 망각의 움직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 살핀 김수영의 망각, 그리고 그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부단히 차이짓는 차이로서 드러내는 미분적인 생성의 움직임이다. 망각과 함께 글쓰기는 존재 경험에 참여하는 것이 되는 동시에 그 경험 자체를 표현하는 움직임이 되는 것이다. 망각의 글쓰기는 스스로를 지워나가는 동시에 또한 표현하는 움직임으로, 그와 같은 이행을 통해서 작지만 확실한 변화를 가져오는 생성을 이루어낸다.

      • KCI등재

        김수영 시론의 원점으로서의 포로체험

        윤숙 한국시학회 2019 한국시학연구 Vol.- No.60

        최근에 확인된 김수영의 포로체험 산문들은 김수영 연구에 있어서 김수영이 포로였다는 사실에 주목해야 하는 필요성을 제기해 주었다. 김수영의 포로생활에 관한 정보가 담겨 있는 이 산문들에는 시인의 포로생활에 대한 사실적 정보들이 담겨 있었다. 또한 전쟁과 포로체험에서 비롯된 다양한 시인의 사유가 선명하게 드러나 있었다. 따라서 이 글은 포로였던 김수영에 주목한다. 김수영은 시와 산문을 통해 스스로 포로였던 자신에 대해 모든 것을 해명하고 고백했다. 그러나 그 해명과 고백은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친구의 목소리로 대변되는 사회는 서울로 돌아온 ‘포로였던 김수영’에게 질문을 던졌다. 시인은 그 질문 이면에 숨겨진 사회가 원하고 강요하고 있는 대답의 내용이 무엇인지 잘 알고 있었다. 하지만 시인은 결코 대답할 수 없었다. ‘포로가 된 것’은 스스로가 선택했던 일들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는 끊임없이 사회가 던진 질문에 대한 답변을 시인에게 강요했다. 이와 같은 압박과 마주한 시인은 결국 포로였던 자기 파괴를 진행했다. 그러나 자기 파괴는 실패로 돌아갔고 이러한 실패 앞에서 김수영은 또 다른 시도, 즉 장(場)의 전환을 시도했다. 그 시도는 현실의 장에서 낙인 찍혔던 ‘포로 김수영’ 자신을 ‘시인 김수영’으로 호명하는 것이었다. 이로써 김수영은 반드시 대답해야 하는 자로 정체성이 고정되는 ‘포로 김수영’이 존재하는 현실의 장에서 ‘포로’가 ‘꽃’이 될 수 있는 이상적인 시의 공간, 즉 시적 장으로 전환을 시도했다. 이 시도를 통해 ‘포로 김수영’을 ‘시인 김수영’으로 탈바꿈하고자 한 것이다. 그리고 탈바꿈된 ‘시인 김수영’은 이제 시적 장에서 ‘포로’가 ‘꽃’이 되는 이상적인 공간을 다시 현실과 그 현실이 실현될 수 있는 장으로 재전환시키는 것에 대해 고민했다. 그리고 시인의 눈앞에서 일어난 ‘혁명’과 마주하게 되었다. 이 혁명은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는 ‘포로 김수영’의 목소리를 혁명을 노래하는 ‘시인 김수영’의 목소리로 전환시킬 것을 더욱 강렬하게 촉발시켰다. 그리고 시적 장에서 다시금 현실의 장으로 재전환시키고자 했던 시인의 목적에 따라 ‘혁명’은 본격적으로 현실의 실현을 ‘시인 김수영’의 목소리로 외칠 수 있도록 만드는 분기점이 되어주었다.. According to the recently confirmed accounts of Kim Soo-young's prisoner experience, it wa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he was a prisoner for his research. The prose contains factual information about Kim's life as a prisoner and chronicles the various reasons for the poet's experience of war and captivity. So the article paid attention to Kim Soo-young, who was a prisoner of war. Kim Soo-young explained and confessed everything about himself as a prisoner through poetry and prose, but they were not accepted. The society represented by a friend's voice asked Kim Soo-young, a prisoner, who returned to Seoul. The poet was well aware of what the answers the society behind the question wanted and coerced, but he was never able to answer them. Because "being taken prisoner" was not a choice of his own. Nevertheless, society has forced the poet continuously to answer the questions he asks. The poet, who was a prisoner of this kind, began to destroy himself, but even that failed. After this failure, Kim Soo-young attempts to transform space, which in reality has created an ideal space by naming "Poisoner Kim Soo-young" as "Poet Kim Soo-young." He tried to change his ideas from prisoner to poet in the real world where captive people can be considered as precious as flowers, and by doing so, he tried to change his mind from prisoner to poet. Next, Poet Kim Soo-young faced a revolution after agonizing over returning to reality from a poetic space. The revolution sharply sparked a shift in the voice of "prisoner Kim Soo-young," who cannot escape from reality, into the voice of "poet Kim Soo-young," who sings revolution. Moreover, according to the poet's purpose of changing from the poetic chapter to the real world again, the revolution was a turning point that allowed the voice of poet Kim Soo-young to call for the realization of reality in earnest.

      • KCI등재

        김수영과 월트 휘트먼 비교연구

        오영진 ( Oh Young-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8 No.-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가설로만 제기되었던 김수영 문학과 월트 휘트먼 문학의 관계를 밝혀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몇 가지 신빙성 있는 단서들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 주제에 대해 구체적인 접근시도가 없었던 이유는 양 시인의 작품 세계가 선명히 다르기 때문이다. 휘트먼은 풍요로운 미국의 자연풍경을 찬미하고, 시민들을 향해 사랑과 자유를 노래한 외향적인 시인인 반면, 김수영은 설움과 고독을 주된 정조로 주로 자신의 일상을 정직하게 반성하는 시를 주로 쓴 것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김수영이 초기부터 일관되게 주장하며 실천해온 `자유`나 `육체성`에 대한 강조, 보편세계를 지향하는 `사랑`이라는 주제의식에서는 휘트먼의 영향이 분명히 감지된다. 증언에 의하면 김수영은 그가 읽은 독서목록의 작가들을 최대한 자신의 방식으로 소화하려고 노력한 작가이다. 때문에 김수영은 휘트먼적 주제를 자신의 시대와 상황에 맞게 변용하여 소화했다고 볼 수가 있다. 본고는 김수영 문학에 휘트먼 문학을 겹쳐 읽어봄으로써 김수영 문학에 휘트먼이 끼친 영향과 그 변용양상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고는 통상 휘트먼 문학의 특징이라고 정리된 몇 가지 주제를 통해 김수영 문학을 읽어본다. 첫째, 1인칭 화자강조-성인페르소나의 설정문제와 육체성의 강조문제를 통해 김수영 문학에 끼쳤을 월트 휘트먼의 영향력을 추리해보았다. 물론 각각의 쟁점들은 `너무 헐렁한 양복`이어서 누구나 맞춰 입을 수 있다는 단점을 보였다고 본다. 하지만 1인칭 화자강조-성인페르소나와 육체성의 강조문제는 월트 휘트먼 고유의 개성으로 이 두 요소가 김수영 문학에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는 것이 주목할 만하다. 둘째, 분명한 차이점과 유사점을 발견하는 작업을 시도하였다. 주로 자연찬미나 이웃에 대한 사랑을 능동적으로 표현하는 월트 휘트먼에 비해 김수영은 고독이나 설움 같은 현대적인 주제에 열중한 면이 있었다. 반면, `사랑`이라는 주제가 수평적인 이미 저리로 펼쳐지는 양상에서는 양자 간 유사성이 드러났다고 할 수 있다. 카탈로그 식 열거는 월트 휘트먼 고유의 양식이라 할 수 있는데, 이는 단순히 리듬이나 수사적 효과를 위해 도입된 것이 아닌 `사랑`이라는 내용이 형식적으로 구현된 것으로 평가된다. 김수영의 경우도 「사랑의 변주곡」이나 「풀의 영상」, 「거대한 뿌리」 등의 비교적 후기의 걸작들이 이와 비슷한 수법과 주제의식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양자 간 관계를 실증적으로 추적하지 못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결론을 통해 김수영이 월트 휘트먼적이라고 평가하는 데에는 모자람이 없다고 주장한다. This paper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on literature, which has been strongly hypothesized. Despite of some reliable clues, there have been no specific attempts to make this clear because their works seem to be different distinctly each other. As Whitman was an extroverted poet who glorified rich scenery of nature in America and sang love and freedom, Kim Su-young wrote poems which reflected everyday honestly, filled with sorrow and solitude. Kim Su-young, however, had constantly empathized and practiced `freedom` and `corporeity` from earlier works and an inquiry into the universality of `love`, which exactly showed an influence of Whitman to him. Some evidences show that Kim Su-young sought to absorb the authors he read. And Whitman was also possibly absorbed into Kim Su-young`s works, modified with the times and conditions in his unique way. This paper plans to examine influence of Whitman and modified aspect to Kim Su-young`s works as read works of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together. For that, this paper reads Kim Su-young through Whitman`s thought. Firstly, I payed attention to emphasis on establishment of the first person narrative-that is a saint persona and on corporeity. Each point seems like "loose clothing" so it looks like every answers possible though, it is worth underlying both first person narrative(a saint persona) and corporeity which were the unique aspect of Whitman present in Kim Su-young`s work at the same time. Secondly, I attempt to reveal apparent similarity and distinction. Comparing with Walt Whitman`s work which mainly expressed admiration to the nature and love-thy-neighbour actively, Kim Su-young`s works focused on the modern problems like solitude and sorrow. However, the way of expressing `love`, which is the main theme and is presented horizontal imagery, is apparently similar to each other. Catalog technic is a unique style of Whitman, and it is not simply for a rhythm or rhetorical effect but for an embodiment of `love`. In case of Kim Su-young`s late works, `Sarang-eh Byen-ju-gok`(Love Variation), `Pul-eh Young-sang` (Image of Grass), `Geo-dae-han Puri`(Great root), also show an identical technic and theme. This paper has limitations to look deeper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Kim Su-young and Walt Whitman empirically. But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from Whitman to Kim Su-young would come up in the conclusion.

      • KCI우수등재

        김수영 시의 존재론적 체험

        이인영 국어국문학회 2023 국어국문학 Vol.0 No.205

        김수영의 시를 존재론 입장으로 해석했다. 김수영의 산문에서 김수영이 ‘서구 식민주의 문학론’을 배우려고 한다고 했다. 김수영이 생각한 ‘서구 식민주의 문학론’이 하이데거의 ‘서구 형이상학’이다. 자크 데리다의 하이데거의 ‘서구 형이상학’의 맹점에 대한 비판을 인용하여 그것이 ‘서구 식민지 문학론’이라 생각하는 이유를 논거하려 한다. 김상환과 김유중의 김수영 존재론적 해석이 기존 연구 중 가장 괄목할 성과로 판단한다. 김수영의 〈사랑의 변주곡〉에 나오는 사랑을 발견하려는 욕구를 시민과 현실에 대한 사랑으로 보고 김수영이 후기 작품에서 순수시와 참여시의 조화를 원했으며, 방법론으로 반복적 리듬으로 ‘정신적 반복’으로 동심원적 확대를 자아에서 타자, 시민, 사회로 사랑 대상을 확장했다. 필자는 현대 기후 위기의 시대에 타자의 범위를 사람에서 사람, 동물, 사회, 자연으로 확대하고자 한다. 김수영은 자연 친화적 시도 많이 썼다. 김수영의 〈사랑의 변주곡〉에 나오는 ‘아들아’는 ‘아들’에게 사랑과 진심을 담아 쓰는 편지 형식을 시에 도입해, 시와 산문의 형식 파괴를 했으며, 리듬의 반복으로 ‘패러다임 혁명’을 “사랑에 미쳐 날뛸 날이 올 거다!”로 표현하며 ‘탈식민주의 문학론’과 ‘평화 통일 염원’의 자유와 사랑을 보여주었다. 김수영 후기 작품의 방법론을 ‘무(無)’로 보고 ‘무의미 시’의 방법론과 의미를 이야기했다. ‘무의미 시’는 의미를 품은 ‘무의미’이다. 하이데거가 니힐리즘, 허무주의 시대의 ‘무(無)’를 이야기했으나 타자성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진짜 ‘무(無)’가 아니다. 진짜 ‘무(無)’는 타자성이 전제되어야 하며, 자크 데리다의 사상은 주변인 인식을 잘 드러내고 김수영 시에 더 맞는 사상이다. 김수영의 시에는 사회적 소외자를 생각하는 진짜 ‘무(無)’가 있다. 김수영의 〈파밭 가에서〉의 반복되는 말은 “묵은 사랑이……붉은 파밭의 푸른 새싹을 보아라/ 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 이 시에서 ‘묵은 사랑’은 시민과 사회, 현실에 대한 시인의 사랑이다. ‘붉은 파밭’은 혁명에서 피 흘리는 사람들의 희생에 대한 환유이다. ‘푸른 새싹’은 김수영의 〈풀〉처럼 시민의 생명력, 패러다임 혁명으로 ‘탈식민주의 문학론’과 ‘평화 통일 염원’이다. 시민들은 혁명 후에 자유를 얻지만, 그 전에 시민들의 피 흘림 같은 희생이 뒷받침된다. 그래서 “얻는다는 것은 곧 잃는 것이다”라고 표현했다. 김수영의 사랑은 그냥 사랑이 아니고 ‘묵은 사랑’이다 오래되고 깊이 있는 현실과 시민에 대한 사랑이 자연, 대지의 ‘파밭’을 이용하면서 하늘과 대지, 인간을 하나로 만들며 우주를 하나로 통일시켰다. 이것은 김상환의 글에 나오는 〈태극도설〉과 유사하며, 김수영의 후기 작품에 보이는 참여시와 순수시의 조화와 ‘무(無)’의 우주적 원리를 대지와 자연을 이용해서 반복적 리듬으로 ‘회기’를 보여준 것이 의의가 있다. 김수영의 〈시여, 침을 뱉어라〉 시론에서 “〈내용〉은 언제나 밖에다 대고 〈너무나 많은 자유가 없다〉는 말을 해야 한다. 그래야지만 〈너무나 많은 자유가 있다〉는 〈형식〉을 정복할 수 있고, 그때 비로소 하나의 작품이 간신히 성립된다. 〈내용〉은 언제나 밖에다 대고 〈너무나 많은 자유가 없다〉는 말을 계속해서 지껄여야 한다. 이것을 계속해서 지껄이 ... Kim Soo-young’s poetry was interpreted from an existential standpoint. In Kim Su-young’s prose, Kim Soo-young said that he was trying to learn ‘literary theory of Western colonialism.’ The ‘literary theory of Western colonialism’ thought by Kim Soo-young is Heidegger’s ‘Western metaphysics’. Citing Jacques Derrida’s criticism of the blind spots of Heidegger’s ‘Western metaphysics,’ I will try to argue why I think it is ‘Western colonial literary theory.’ Kim Sang-hwan and Kim Yu-jung’s ontological interpretation of Kim Soo-young is judged to be the most remarkable achievement among existing studies. Seeing the desire to discover love in Kim Soo-young’s 〈Variations on Love〉 as a love for citizens and reality, Kim Soo-young wanted harmony between pure poetry and participatory poetry in his later works, and as a methodology, concentric expansion through repetitive rhythm and ‘mental repetition’. The object of love has expanded from self to others, citizens, and society. In the era of the modern climate crisis, the author wants to expand the scope of others from people to people, animals, society, and nature. Kim Soo-young wrote many nature-friendly poems. ‘Son’ in Kim Soo-young’s 〈Variations on Love〉 introduced the form of a letter written with love and sincerity to ‘son’ into the poem, destroying the forms of poetry and prose, and creating a ‘paradigm revolution’ through repetition of rhythm. “The day will come when I will go crazy with love!”, showing the freedom and love of ‘postcolonial literary theory’ and ‘desire for peaceful unification’. Kim Soo-young viewed the methodology of his later works as ‘nothingness (無)’ and talked about the methodology and meaning of ‘meaningless micro-poetry’. ‘Meaningless poetry’ is ‘meaninglessness’ that contains meaning. Heidegger spoke of ‘nothingness’ in the era of nihilism and nihilism, but he thought it lacked otherness, so it was not a true ‘nothingness.’ Real ‘nothingness’ requires otherness as a prerequisite, and Jacques Derrida’s ideas well reveal the perception of those around him and are more appropriate for Kim Soo-young’s poetry. In Kim Soo-young’s poetry, there is a real ‘nothingness’ that thinks of social outcasts. The repeated words in Kim Soo-young’s “By the Green Onion Field” are “old love…” … Look at the green sprouts of the red onion field/ To gain is to lose.” In this poem, ‘old love’ is the poet’s love for citizens, society, and reality. The ‘red green onion field’ is a metonym for the sacrifice of those who shed blood in the revolution. ‘Green Sprout’, like Kim Soo-young’s 〈Grass〉, is a ‘post-colonial literary theory’ and a ‘desire for peaceful unification’ with the vitality of citizens and a paradigm revolution. Citizens gain freedom after the revolution, but before that, sacrifices such as the shedding of blood by citizens are supported. That is why it is expressed, “To gain is to lose.” Kim Soo-young’s love is not just love, but ‘old love.’ Old and deep love for reality and citizens made the sky, the earth, and humans one by using the ‘green onion fields’ of nature and the earth, unifying the universe as one. This is similar to 〈Taegeukdoseol〉 in Kim Sang-hwan’s writing, and shows the harmony of participatory poetry and pure poetry seen in Kim Su-young’s later works and the cosmic principle of ‘nothingness’, using the earth and nature to demonstrate ‘recursion’ through repetitive rhythm. This is meaningful. In Kim Soo-young’s poetic essay 〈Poetry, Spit〉, “〈Content〉 must always be said to the outside world and say, 〈There is not too much freedom.〉 Only then can the 〈form〉 of 〈there is too much freedom〉 be conquered, and only then can a work of art be finally established. 〈Content〉 must always keep saying to the outside world, ‘There is not too much ...

      • 김수영 시와 니체의 철학 -김수영 『긍지의 날』, 『꽃잎.2 』의 경우-

        김응교 ( Eunggyo Kim ) 시학과 언어학회 2015 시학과 언어학 Vol.31 No.-

        이 글에서 니체와 김수영의 생각을 비교해 보았다. 필자는 김수영이 니체를 읽었다는글귀를 김수영의 글에서 찾지는 못했다. 그렇지만 김수영의 사유방식이 니체와 유사하다는 것과 미세한 차이를 아래와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첫째, 설움과 자기긍정을 긍지의 날 (1955)을 통해 니체와 비교해 보았다. 김수영이쓴 ‘긍지’의 의미와 니체가 말한 ‘힘에의 의지’가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 보았다.둘째, 반복과 망각, 그래서 영원회귀의 의미를 꽃잎(二) (1967.7)을 통해 비교해 보았다. 이 글이 특정 작품, 특정 시기에만 니체의 특성이 김수영에게서도 보인다는 것을 강조한 것은 아니다.김수영은 기질(氣質) 자체가 니체와 비슷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 이외에도 니체와 김수영은 비슷한 점이 너무 많아, 많은 것을 언급조차 하지 못했다.김수영 시에서는 고독 속에서 긍지를 가진 단독자(單獨者)들의 모습이 다양하게 그려진다. 파밭이 어울려 새싹을 키워내는 파밭가에서 , 물방울들이 쏟아지는 폭포 , 풀들이 쓰러졌다 일어나는 풀 에서나 김수영의 많은 시편에서는 깨달은 단독자들이 새 사회를 만들어 낸다. 니체가 생각하는 소수의 위대한 ‘위버멘쉬’(Ubermensch, 초인)들이 새사회를 만들 수 있다고 했다. 니체가 생각하던 ‘위버멘쉬’는 김수영이 생각하던 ‘단독자’들이 모여 혁명을 이루는 사회일 것이다.니체와 김수영은 각기 거대한 하나의 사조(思潮)를 형성했고, 후계자들이 그 사상을 계승했다. 김수영은 분명 ‘망치의 철학자’ 니체가 했을지도 모를 혁명적 가치를 한국 사회에 분명히 남겼다. Kim Soo-young(1921~1968) was a Korean poet and translator whose poetry explored love and freedom as poetic and political ideals.Friedrich Wilhelm Nietzsche(1844~1900) was a German philosopher,cultural critic, poet, composer, and Latin and Greek scholar. Strangely We can meet the thought of Nietzsch in the poetry of Kim sooyoung. This article is the study on the thought of Nietzsch presented in the poetry of Kim sooyoung. Also this study is the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Poetry of Kim sooyoung and the thought of Nietzsch.

      • KCI등재

        1960년대, 김수영, 라디오 ― 김수영의 시와 산문에 나타난 ‘라디오’의 양상과 의미

        김수이 ( Kim Su-yee ) 현대문학이론학회 202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 No.87

        이 글은 김수영의 문학에서 ‘라디오’가 갖는 다양한 의미와 중요한 위상을 검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김수영의 시와 산문에 서술된 ‘라디오’의 구체적인 문맥들을, ‘라디오’로 표상되고 압축된 1960년대의 정치ㆍ경제ㆍ사회ㆍ문화 현실과 관련해 살펴보기로 한다. 이는 김수영의 문학에 형상화된 ‘라디오’를 분석하는 작업이자, 1960년대 한국사회를 대표하는 사물/미디어인 ‘라디오’를 통해 김수영이 1960년대를 이해하고 재구성한 양상을 고찰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러한 사회ㆍ문화사적 접근 방식은 김수영의 문학에서 ‘라디오’를 사물(상품)이나 미디어 등 주로 제재의 시각에서 살펴보는 관점에서 더 나아가, ‘라디오’가 김수영 문학의 작동 원리로 활용되고 있음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와 함께, 그간 김수영의 문학세계를 한 위대한 시인-개인의 독자적인 모험으로 보고 ‘김수영 신화’를 강화하는 데 일조해 온학계의 (무)의식적경향을 재고하는 데도지향성을 둔다. 김수영의 문학에서 ‘라디오’는 단순한 소재나 수사의 차원을 넘어, 김수영 문학의 결정체인 ‘자유’와 ‘사랑’을 이행하고 ‘행동을 계시’하는 중대한 계기이자 동력으로 작동한다. ‘라디오’는 김수영이 당대 역사와 현실에서 경험한 다양한 국면들을 압축하고 있는 복합적인 실물이며 장치이자 상징으로서, 김수영이 당대 현실 및 자기 자신과 불화하며 새로운 자유와 사랑을 향해 성장해 간 과정을 치밀하게 담아내고 있다. 그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 이 글은 김수영의 문학에 나타난 ‘라디오’를 일상 속의 불온성의 현장, 소리의 품행, 문학에서 이탈하는 자유, 사랑의 주파수와 공동체 등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various meanings and important status of "radio" in Kim Soo-young's literature. It is also oriented to examine Kim Soo-young's poems and prose from various angles in relation to the political, economic, social, cultural reality of society in the 1960s, symbolized by "radio," and reconsider Kim Soo-young's tendency to strengthen "Kim Soo-young Myth." This article analyzes the "radio" embodied in Kim Soo-young's literature, and examines one aspect of Korean society in the 1960s through "radio," and examines the aspects Kim Soo-young understood and reconstructed in the 1960s. In Kim Soo-young's literature, "radio" goes beyond simple subject matter or investigation and acts as a significant opportunity and driving force to implement "freedom" and "love," which are the determinants of Kim Soo-young's literature, and to "sign action." "Radio" is a complex reality, symbol, and device that compresses various aspects experienced in Kim Soo-young's history and reality of the time, and carefully captures Kim Soo-young's discord with the reality and herself and growing toward new freedom and love. In order to examine this process, the "radio" that appeared in Kim Soo-young's literature was approach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cene of temperature in daily life, sound conduct, freedom from literature, and frequency and community of love.

      • KCI등재

        『창작과 비평』과 김수영

        임지연 ( Ji Yeon Im ) 겨레어문학회 2015 겨레어문학 Vol.55 No.-

        이 논문은 1960년대 『창작과 비평』 창간부터 80년 언론통폐합 조치에 의해 폐간될 때까지 김수영과 『창작과 비평』의 담론적 맥락화 양상 및 『창작과 비평』의 김수영 독해의 변화의 변곡점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창작과 비평』과 김수영의 관계는 문학이념의 동질성을 공유하면서도 잡지의 문학이념이 변화되는 지점에서 김수영의 의미는 달리 해석되었다. 김수영은 살아있는 텍스트이면서 잡지의 문학이념의 의제를 생산하는 전략적 개념으로 활용되었다. 그 시기를 구분하여 의미화 과정을 포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작과 비평』 창간부터 김수영이 작고하기 전까지 필진으로 활동하던 시기. 김수영은 백낙청의 잡지 창간 이념의 동질성을 공유하였다. 순수참여논쟁을 벗어나는 진정한 참여의 의미와 시인의 현실에 대한 소명의식을 강조하는 백낙청의 초기 비평은 김수영을 비평가와 번역가로 호출하게 한다. 이 시기 김수영은 숭고한 소명의식을 다하는 진정한 참여문학의 표본으로 정위된다.둘째, 김수영 사후부터 백낙청의 「시민문학론」이 게재된 69년 여름까지. 김수영은 참여시인에서 이상적 시민 시인으로 고평된다. 백낙청의 목적론적 진보주의는 ‘참’의 수사를 활용하면서 미래적 시민개념을 제출한다. 여기에 김수영의 타자적 사랑이 배치되면서 김수영은 이상적인 시민시인으로 등극하기에 이른다. 셋째, 1970년대 『창작과 비평』이 민족문학론을 전개하면서 김수영은 끊임없이 재호출되었다. 특히 모더니즘과 난해성을 비판의 표적이 되면서 김수영은 청산 안 된 모더니즘 시인, 반민중적 시인으로 배치되었다. 염무웅과 김지하는 전면 비판의 입장에서, 백낙청은 옹호와 비판이라는 양날의 구도 속에서 민중성 결여의 시인으로 재평가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the discursive contextualization of Soo-yeong Kim and 『Changjak and Bipyeong』 from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issue of 『Changjak and Bipyeong』 in the 1960``s to the discontinuance in 1980 following the Measure for Forced Abolition and Amalgamation of the Press and trace the inflection points of the changes in the interpretation of Kim``s works in 『Changjak and Bipyeong』. 『Changjak and Bipyeong』 and Kim showed homogeneity for literary ideas until the literary ideas of the magazine changed when the meaning of Kim was interpreted differently. Kim was used as a strategic concept which is the living text producing topics for the literary ideas of the magazine. The following focuses on the signification process in different periods of time. First, when Kim was a member of the writing staff from the foundation of 『Changjak and Bipyeong』 to his death, Kim showed the homogeneity with Nak-cheon Paek``s idea for the foundation of the magazine. Paek``s initial criticism which discussed the true participation deviating from the dispute over pure participation and emphasized the sense of calling that the poet has toward reality calls Kim as critic and translator. In this period, Kim is defined as the example of true engagement literature who fulfills the loft sense of calling. Second, from the death to the summer of 1969 when Paek``s 「Civil Literature」 is published. Kim``s status elevates from participatory poet to ideal civil poet. Paek``s teleological progressiveness submits futuristic concept of citizen by using a rhetoric, ``True``, alongside Kim``s selfless love and Kim ascends to the position of ideal civil poet. Third, Kim continuous recurred while .Changjak and Bipyeong. developed the theory of national culture in the 1970``s. Particular, as modernism and esotericism became the target of criticism, Kim was considered as the surviving modernist and unpopular poet. Moo-woong Yeom and Ji-ha Kim were reevaluated as the poets who lack popularity in the aspect of overall criticism and Nak-cheong Paek, in the polarized aspect of protection and critic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