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따른 경영성과의 차별적 자본시장반응

        김태완 ( Kim Tae-wan ),김진우 ( Kim Jin-woo ) 한국세무회계학회 2018 세무회계연구 Vol.0 No.55

        본 연구는 사회적 책임활동(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CSR)의 등급에 따른 경영성과의 차별적인 지속성과 자본시장의 주식가격결정을 알아보고자 한다.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제고시킨다는 점에서 경영성과의 지속성(이익지속성)과 연관지을 수 있다. 그리고 자본시장은 경영성과의 지속성의 특성을 주식가격결정에 충분히 반영하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었다. 분석결과,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이 모범적인 기업의 경영성과 지속성은 그렇지 않은 기업과 비교했을 때 회귀계수값이 유의적으로 양(+)의 관련성이 더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어 <가설 1>이 지지되었다. 즉,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의 경영성과의 지속성을 더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책임활동의 유용성을 제고시킬 수 있었다. 즉, 사회적 책임활동이 우수하다는 것은 근로자와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게 하며, 협력사 및 경쟁사의 관계에서도 공정거래, 부패방지를 통해 기업의 경영성과를 높이며, 소비자와의 관계에서도 공정거래, 소통으로 기업의 성과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의 참여, 지역경제발전을 통해 기업의 성과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한다는 예상과 일치하는 분석결과가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활동(CSR)이 우수한 기업의 경영성과 지속성을 자본시장 참여자들은 주식가격결정에 효율적으로 반영할 것이라는 <가설 2> 검증에 대해 분석한 결과, 경영성과의 지속성을 과대평가하는 오류가 발생하여 자본시장참여자들은 사회적 책임활동의 경영성과 지속성에 대해 효율적으로 주식가격결정에 반영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책임활동(CSR)이 상대적으로 우수하지 않은 기업에 대해서도 자본시장 참여자들은 사회적 책임활동과 경영성과의 지속성에 대해 과대평가 오류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 자본시장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 수준여부에 관계없이 주식가격결정에 과대평가하는 오류가 일관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사회적 책임활동의 경영성과 지속성의 특성을 주식가치평가의 효율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살펴보는 대용치로 해석할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자본시장은 이러한 특성을 주식가격결정에 효율적으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discriminatory persistence of management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degree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nd the determination of stock price in the capital market.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may be associated with the persistence of business performance in that it increases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an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first, the persistence of the management performance for the company for which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are model, may be associated with a larger number of positive(+) regression coefficient. Conversely, for businesses with a low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the regression coefficient is a significant positive(+), but it is a low value. Thus, hypothesis 1 was supported. Second, the sustainability of management performance for companies with high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CSRs) will be effectively determined by participants in the capital market by stock price. This is hypothesis two.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ispricing was generated to overvalue the persistence of managerial achievements, so participants in the capital market were unable to effectively reflect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in the stock price determination. Therefore, the contribution of the study can be found in that the level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y can be used as a proxy for examining the sustainability of the company.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硏究論文) : 외식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소비자동일시, 기업이미지, 긍정적 구전에 미치는 영향

        전창석 ( Chang Seok Jeon ),유영진 ( Young Jin Yoo ) 한국관광산업학회 2015 Tourism Research Vol.40 No.1

        기업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기업들로 하여금 사회적 책임 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게 만들고 있으며, 사회로부터 기업의 사회적 책임수행에 대한 요구가 점차 강화되고 있다. 본 연구는 외식업체의 사회적 책임활동이 기업-소비자동일시, 기업이미지, 긍정적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사회적 책임활동의 성과를 확인하고 합리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대상은 2013년 사회공헌백서(전국경제인연합회, 2013)의 100대 기업에 포함된 현대그린푸드, 신세계푸드, CJ푸드빌 3곳의 외식기업을 선정하였다. 2014년 6월1일부터 6월30일까지 1개월간 대구지역의 현대그린푸드, 신세계푸드, CJ푸드빌에서 급식을 공급하는 업체를 방문하여 직원 및 이용고객들에게 연구의 목적과 타당성을 설명한 후 배부하여 자기기입법(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Method)으로 응답한 설문지를 회수하였다. 설문조사결과 배포한 420부 중 394부가 회수되었고, 이중 설문응답이 불성실한 18부를 제외한 376부를 연구의 실증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제시한 연구가설에 대한 분석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 책임활동 중 자선적 책임, 환경적 책임 요인이 기업-소비자 동일시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경제적 책임요인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책임활동은 기업이미지(전문적 이미지, 신뢰적 이미지)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책임활동은 긍정적 구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업-소비자동일시은 긍정적 구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기업이미지(전문적 이미지, 신뢰적 이미지)는 긍정적 구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외식업체에서 수행하는 사회적 책임활동의 성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외식업체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기업-소비자 동일시, 기업이미지, 긍정적 구전과의 관계를 검증했다는데 차별성을 갖으며, 외식업체의 사회적 책임과 의무를 다하는 경영활동으로 사회적 책임활동도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Rapid changes in business environment have created a social demand for corporate responsibility; consequently, companies have recently paid increasing attention to the social effects of their management activities. This study aimed to analyze how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in the food-service industry affect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corporate image, and word of mouth, to confirm the result of responsible activities, and to present appropriate strategies. Hyundai Green Food, Shinsegaefood, and CJ Foodville, which are on the list of top 100 large companies on the Social Contribution White Paper, were selected as survey targets. Between June 1 to June 30, 2014, 394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he staffs and customers of companies in which Hyundai Green Food, Shinsegaefood, and CJ Foodville provide catering service. 376 usabl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mong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charity and environmental steward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but no significant effects on economic responsibility factors. Second,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image (brand trust, professional image). Third,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word of mouth. Fourth, the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word of mouth. Fifth, corporate image (brand trust, professional image) had a positive (+) effect on word of mouth. This study is worthwhile because it empirically confirmed that food-service companies carry out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This study verifies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of the food-service industry, such as consumer-company identification, corporate image and positive word of mouth, all of which distinguished this study from other studies. Lastly, this study confirms that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can be used as a marketing strategy for food-service companies.

      • KCI등재후보

        사회적 책임이 기업문화와 고용 및 노동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김용재(Kim, Yong-Jae) 한국문화산업학회 2013 문화산업연구 Vol.13 No.2

        ISO 26000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 모든 형태의 조직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서 기업을 뜻하는 C를 뺀 사회적 책임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기업이외에 정부, 노조, 시민단체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의 제정을 추진하였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려는 시민운동은 유럽,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일상화된 일이다. 특히 기업과 산업 및 금융영역에서 ‘지속가능한 경영과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시민운동은 사회책임과 지속가능 경영논의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인 원소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우리 기업이 더욱 지속가능하게되고, 또한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성숙해지고 건강해지는 길이기도 하다.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에 대한 논의가 CSR에서 출발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ISO 26000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 방안도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인 이윤극대화와 배치되거나 동떨어진 주장이라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ISO 26000은 지금까지의 소극적이고 수세적인 자세에서 보다 사회적 책임 논의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정부정책차원에서도 지속가능 경영과 ISO 26000이행을 기업 경쟁력 제고 요소로 보고 있다. As the argument that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not only enterprise but also government, NGO and any other organizations has been alleged, ISO 26000 extended the range of Social Responsibility by omitting C( meaning corporate) from CSR to promote the guidelin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could be applied to governments, labor unions, civil groups not to mentioning enterprises. Citizens’ campaigns for reinforcing sustainability of enterprises are common thing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various Citizens’ campaigns making sustainable management and investment in the area of enterprise, industry and finance are essential points in spreading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of substantiality. Establishing ‘New Governance’ that various stakeholders join makes our enterprises more sustainable and it is also the way of making our society more healthy. Considering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ed from CSR, countermeasures of industries to ISO26000 are also very important. It’s true that there exist arguments pointing out opposing points and irrelev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profit maximization, the essential object of enterprise, ISO 26000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e present, passive status. Management substantiality and implementing ISO are also regarded as boosting factors of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on government policy. ISO 26000은 사회적 책임이 기업뿐만 아니라 정부나 NGO(non-governmental organization) 등 모든 형태의 조직에도 똑같이 적용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에서 기업을 뜻하는 C를 뺀 사회적 책임으로 범위를 확대하여 기업이외에 정부, 노조, 시민단체 등에게도 적용될 수 있는 사회적 책임 가이드라인의 제정을 추진하였다.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강화하려는 시민운동은 유럽, 미국등 선진국에서는 일상화된 일이다. 특히 기업과 산업 및 금융영역에서 ‘지속가능한 경영과 투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다양한 시민운동은 사회책임과 지속가능 경영논의의 확산을 위해 필수적인 원소이다.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참여하는 ‘새로운 거버넌스’를 만드는 것이야말로 우리 기업이 더욱 지속가능하게되고, 또한 우리 사회가 한 단계 더 성숙해지고 건강해지는 길이기도 하다. 사회적 책임(Social Responsibility: SR)에 대한 논의가 CSR에서 출발했다는 역사적 사실에 비추어 볼 때, ISO 26000에 대한 산업계의 대응 방안도 매우 중요하다.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논의가 기업의 본질적인 목적인 이윤극대화와 배치되거나 동떨어진 주장이라는 시각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ISO 26000은 지금까지의 소극적이고 수세적인 자세에서 보다 사회적 책임 논의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정부정책차원에서도 지속가능 경영과 ISO 26000이행을 기업 경쟁력 제고 요소로 보고 있다. As the argument that Social Responsibility should be equally applied to not only enterprise but also government, NGO and any other organizations has been alleged, ISO 26000 extended the range of Social Responsibility by omitting C( meaning corporate) from CSR to promote the guideline of Social Responsibility that could be applied to governments, labor unions, civil groups not to mentioning enterprises. Citizens’ campaigns for reinforcing sustainability of enterprises are common things in advanced countries such as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Especially, various Citizens’ campaigns making sustainable management and investment in the area of enterprise, industry and finance are essential points in spreading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and management of substantiality. Establishing ‘New Governance’ that various stakeholders join makes our enterprises more sustainable and it is also the way of making our society more healthy. Considering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initiated from CSR, countermeasures of industries to ISO26000 are also very important. It’s true that there exist arguments pointing out opposing points and irrelevance of Social Responsibility to profit maximization, the essential object of enterprise, ISO 26000 should be more active in the discussion of Social Responsibility than the present, passive status. Management substantiality and implementing ISO are also regarded as boosting factors of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 on government policy.

      • KCI등재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대한 입법적 구현

        송호신(Song, Ho-Shin) 한국재산법학회 2012 재산법연구 Vol.28 No.4

        최근 CSR은 전세계적인 이슈가 되고 있으며, 법적인 문제로 적극 다루어지게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와 학계를 중심으로 CSR의 법제화에 대한 논의가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논의는 주로 대기업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2004년 전경련이 100인의 CEO에게 시행한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0%가 CSR이 기업경쟁력 제고의 핵심요소 가운데 하나라고 답할 만큼 대기업들은 자율적 참여의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반면에 대다수 중소기업들은 CSR에 대한 인식이 매우 부족하며 CSR 추진에 대해서도 소극적이고 부정적이다. 그렇지만 2005년 화성소재 D공장의 타이 여성노동자들의 다발성 신경장애 발병 방치 사건이나 해외진출 한국기업의 임금착취와 감금노동 등 착취공장(sweatshop) 사례가 발생하면서 우리나라 중소기업들 역시 CSR을 요구받게 되었다. 2010년 11월에 국제표준화기구(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 ISO)는「ISO 26000(SR: Social Responsibility)」이라는 CSR 국제표준을 발표하였는데, 이에 따라 CSR 문제는 국제입찰이나 계약상의 무역장벽과 연계될 것이 예상되어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에게 발등의 불로 다가올 전망이다. 중소기업청은 2008년 8월에 ‘중소기업 사회적 책임경영 전략방안’을 마련하여 중소기업의 CSR 인식확산과 인프라 구축 지원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2010년 12월 29일「중소기업의 CSR 법제」를 마련하고자 홍일표 의원 등 12인은 국회 지식경제위원회에「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810422)을 발의하였다. 또한 2011년 6월 30일「중소기업기본법 일부개정법률안」(의안번호 1812469)이 국회에서 상정ㆍ가결되었으며, 동년 7월 15일 정부에 이송되어, 동월 25일 공포되었다. 동 법은 중소기업 CSR에 대한 최초의 입법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 기업의 사회적 책임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그 내용이 무엇인지에 대해 규정하고 있지 아니하기 때문에 중소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근거를 삼기에는 한계가 있다. 현재 국회 지식경제위원회 에 계류 중인「중소기업진흥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의 입법이 이루어질 때에 중소기업 CSR법제의 의미가 살아날 수 있다. 동 법률안에는 “사회적 책임경영”의 개념을 정의하면서 사회적 책임경영에 대한 중소기업의 노력과 국가ㆍ지방자치단체의 지원, 그리고 사회적 책임경영활동 중소기업 육성기본계획의 수립ㆍ시행과 사회적 책임경영 지원센터의 지정에 대한 규정을 신설하고 있다. 인증제도의 도입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국제표준화기구(ISO)와 국제사회가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증을 반대한 때문이다. 그러나 인증제도 대신에 중소기업이 사회적으로 책임을 이행하는데 필요한 실천지(Guidance)만으로 그 방향을 잡아가야 할 것에는 한계가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향후 국가인증의 가능성은 남아 있다고 할 것이다. 이와 함께 대기업이나 다국적기업의 요구에 의한 공급사슬(Supply Chain)의 활성화 및 CSR 추진 중소기업에 대한 판매와 경영 및 조세 등의 지원 제도 등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States, Germany already since 1930 began a discussion on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For decades, the discussion of the pros and cons that have been made active. In recent years, significant problems in foreign countries as CSR is seen as positive, and legal issues in our country has emerged as one. In 1990, Nike and GAP turned out to be unethical corporate management, worldwide boycott took place. Texaco Inc. as the disclosure of the tape on the racist conversation suffered imposed fines of $ 176,000,000. Especially the U.S. in 2002, Enron's and WorldCom's accounting scandals, the law was enacted due to the Sabanes-Oxley Act. The global trend since the company's contribution as a member of the civil service and beyond the practice of CSR, including environmental and social performance and the legal level of assessment is being developed to increase the levels. In contrast, a hostile atmosphere in the country and the corporate social conflict deepened, and social integration of this resolution as a way to elicit discussion on CSR has been materialized. However, these discussions took place mainly focused on large companies,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the CSR discussion was negligible. Located on Hwaseong, women from Thailand who was working for D factory workers was onset of multiple neurological disorders. But companies were left to their. Among foreign companies operating in Korea, and the exploitation of wage labor to the confinement, there are cases. Therefore CSR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Korea and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be asked. And on November 2010,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is presented to international standards. It was called 「ISO 26000」. Accordingly, CSR on the international tenders or contracts in connection with trade barriers is expected to get stronger. Majority of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promoting CSR is a very passive. And Even perception of CSR is not enough. However, the economic status of the account when considering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f there is a proliferation of CSR, it is thought to be impossible to realize. The CSR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n order to effect major changes in corporate laws of the movement should take place. A direction that the legislation of CSR is regulated. To this end, the Commercial Code and the Act o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is to establish general provisions for the CSR. Also, if you are using the internal control system can achieve the effectiveness of CSR. Another way to promote CSR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assist and support are provided in the legislation. Support for the legislation has to do with the social responsible investment(SRI) and Donations accepted for such as a political contributions. And th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promote CSR management support and funding for the national and public lands leased and the various tax reductions, and is supported through social insurance. Currently, CSR policies and legislation of the legislative is in its early stages. The purpose of pursue the protection of corporate profit and the interests of the entire community is responsible for corporate purposes is the question of whether and how to reconcile.

      • KCI등재

        인사조직연구에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국내연구의 동향과 과제

        정흥준(Heungjun Jung),신민주(Minju Shi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6 인사조직연구 Vol.24 No.1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연구가 점점 확대되고 중요해지고 있지만 이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는 많지 않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공동체의식을 바탕으로 한 윤리적 경영방식이지만 국가, 경제, 문화 등 제도에 따른 차이를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폭넓게 이해하기 위해 다음의 질문들에 대해 답하고자 한다. 첫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은무엇이며 어떤 동기에 의해 실천되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이론들은 무엇인가? 둘째, 우리나라 인사조직연구 분야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는 서구의 연구흐름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가, 만약 차별적이라면 그 성과와 한계는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에 답하기 위해 해외 주요저널에 발표된 문헌연구를 살펴본 후 국내연구들을 고찰하였다. 국내문헌연구를 위해 15개 학술지를 대상으로 키워드검색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논문 75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인사조직 분야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연구는 1998년을 시작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75편중 자료분석을 통한 실증연구가 60편으로 대부분의 연구가 이론을 검증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75편의 논문 중 41편이 전략경영 분야로 분류될 수 있었으며 24편이 조직행동 분야의 연구였다. 이에 비해 노사관계, 인적자원관리 분야의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넷째, 실증연구에서 많이 활용된 이론은 조직수준에서 이해관계자 이론이었으며 개인수준에서는 사회정체성 이론이 많이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수 있었다. 이 외에도 분석수준, 활용이론, 측정도구, 선행변수, 결과변수 및 메커니즘등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서구의 문헌연구의 결과 비교해 차이점과 공통점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의의 및 미래 인사조직연구에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과제들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has been performed with several goals in mind. Our primary motive was to find why firms become involved in actions relating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More specifically, there is the question raised about how Korean CSR studies have developed in the management field(e.g., strategic management, organizational behavior, human resources, and employee relations). To answer this question, the authors reviewed the CSR literature, focusing on 15 Korean management journals. Utilizing a keyword search tool, we found 75 Korea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rticles that deal with Korean corporations’ ethical issues in the management field. Sixty of the 75 articles are quantitative studies using data. 34 of 60 empirical studies are classified at the organizational level and the remaining 26 studies are conducted at the individual level. In addition, 41 of the articles are related to business strategy and 24 studies look at organizational behavior. We discovered few papers in the human resources and employee relations areas. Regarding theory, previous studies mainly analyzed the causality of CSR using stakeholder perspective and social identity theory. The authors’ review reveals an important contribution related to the adoption of different theoretical orientations by researchers studying CSR at different levels of analysis. In addition, the authors’ review helps to address substantive CSR research development in Korean management. Finally, the authors suggest a detailed agenda for future research on management based on their findings.

      • KCI등재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무책임 활동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기업 가시성의 비대칭적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한나 한국산업경영학회 2023 경영연구 Vol.38 No.2

        The empirical analysis results from past research show mixture of positive and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firm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and firm performance.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 of CSR as an antecedent variable of customer satisfaction by examining the response in the consumer market, rather than the results represented by financial performance, which were mainly dealt with in previous studies.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responsible and irresponsible activities, which have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compared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with marketing performance represented by customer satisfaction, respectively. The relationship is analyzed focusing on the moderation effect of firm visibilit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asymmetric moderating effect of firm vi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ly responsible/irresponsible activities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is study, based on the prospect theory, a company’s socially responsible activities are viewed as a gain that is beneficial to the company’s long-term profits, and socially irresponsible activities are viewed as a loss that is harmful to the company’s long-term profits. With this view, consumers’ reactions to the company’s socially responsible/irresponsible activities will not be symmetrical. It is assumed that negative reactions to irresponsible activities will be more distinct and larger than positive reactions to responsible activities. For empirical testing of the hypotheses, an integrated dataset consisting of 675 firm-year observations of 67 companies belonging to 23 different industries of US listed companies surveyed from 2004 to 2016 was used.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의 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의 실증분석 결과는 긍정적인 성과와 부정적인 성과가 혼재되어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다루었던 재무성과로 대표되는 결과가 아닌 소비자 시장에서의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CSR이 가지는 고객만족의 선행변수로서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미비한 관심을 받았던 사회적 무책임 활동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여, 사회적으로 책임 있는 활동과 무책임한 활동이 각각 소비자 만족으로 대변되는 마케팅적 성과와의 관계를 살펴보고, 기업의 가시성의 비대칭적(asymmetric)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망이론을 바탕으로 기업의 책임있는 사회공헌 활동을 기업의 장기적 이익에 도움이 되는 이득(gain)으로 보고, 사회적 무책임 활동을 기업의 장기적 이익에 해가 되는 손실(loss)로 보았을 때, 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무책임 활동에 대한 소비자들의 반응은 대칭적이지 않을 것이라고 본다. 사회적 책임활동에 대해서 보이는 긍정적인 반응보다 무책임 활동에 대해서 보이는 부정적인 반응이 더 뚜렷하고 크게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한다. 가설의 실증적 검증을 위해 미국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23개의 다양한 산업군에 속한 67개 회사의 2004년부터 2016년까지 기간에 걸쳐 조사된 675개의 회사-연도 관찰치로 구성된 통합 데이터셋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기여점으로는 우선 소비자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촉진요소 (antecedent)중의 하나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무책임 행동을 제시하였고, 기업의 가시성이 가지는 조절효과가 사회적 책임활동과 무책임 활동에 비대칭적으로 나타남을 밝혔다.

      • KCI등재

        공공기관의 사회적 책임에 관한 정부의 역할 연구

        라영재(Ra, Young Jae) 한국부패학회 2017 한국부패학회보 Vol.22 No.1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더 이상 민간기업만이 지켜야하는 도덕적 의무나 준법적 사항은 아니다. 공기업이든 민간기업이든 모두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하여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은 이제는 필수적 과제가 되었다. 그리고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단지 사회공동체 내에서 자선적이며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만 아니라 경제적 책임과 환경적 책임을 다하는 것을 포함한다. Visser(2008)는 개발도상국가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단계는 경제적 책임 이후 자선적 책임, 윤리적 책임의 단계를 거치고 있다고 한다. 그러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확산을 위하여 정부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지지와 지원이 가장 중요하다. 공공기관 의 소유권과 감독권을 가지고 있는 정부는 공공기관의 관리정책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된 정책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야 한다. 그러나 공공기관에 운영에 관한 법률, 경영평가지표, 경영공시 항목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내용은 일부만 반영되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경제적 성과지표와 일부 사회적 책임과 관련한 성과지표만 일부 경영평가지표에 반영되어 있다. 향후 공공기관의 공공성 강화를 위하여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지표가 균형적으로 반영되어야 한다.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 longer a moral obligation or a legal requirement that only a private company should observe. It is now an essential task for both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to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cludes not only fulfilling charitable and social responsibility within the social community, but also fulfilling economic and environmental responsibilities. Visser (2008) argues that in the developing world, the stag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goes through stages of philanthropic responsibility and ethical responsibility after economic responsibility. Governments with ownership and oversight of public institutions should actively reflect policies related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n the management policies of public institutions. However,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 content of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only partially reflected in the law on management, management evaluation index, and management disclosure items to public institutions. In particular, only some performance indicators related to economic performance indicators and some social responsibilities are reflected in some management evaluation indicators. In the future, economic, social and environmental indicators should be balancedly reflected to strengthen the publicness of public institutions.

      • KCI등재

        노동분야에서의 사회적 책임의 과제와 전망

        이형준(LEE Hyung Jun) 한국법학원 2017 저스티스 Vol.- No.158-3

        최근 우리나라는 노동시장 구조개선에 집중하면서, 일자리를 늘리기 위한 노동법제 개선과 함께 노사정이 사회적 책임과 부담을 나누어지는 것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했었다. 그동안 사회적 책임은 기업을 대상으로 국제적 행동규범이 제시되었으나, 2010년 11월에 ISO 26000 발표로 기업 이외의 모든 조직의 사회적 책임화라는 전환점이 마련되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관련 우리나라 노동계는 노동분야에서의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 실행되도록 GRI가이드라인에 따른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의무화를 단체협약 사항으로 요구하고 있다. 경영계는 단체교섭 대상이 아니고, 노동조합에게 기업을 구성하는 파트너로서 기업 외부의 이해관계자에 대한 사회적 책임 활동에 동참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노동분야에서의 사회적 책임을 주체 측면에서 보면, 기업단위 노동조합이 역할 찾기에 나서고 있지만, 한국노총과 민주노총간 노동조합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과 입장에 차이를 보인다. 단체협약 요구안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노사 공동의 사회공헌 활동과 비교하면 노동조합이 주체성을 명확히 인식하고 있다고 단정하기 이르다. 내용 측면에서 보면, 기업의 국제적 행동규범들은 우리나라에서 대부분 노동법을 통해 법적 책임으로 수용되고, 법적 책임이 아닌 사회적 책임의 구체적 사항들이 증가하고 있다. 노동조합이 주체로서 실행할 사항들은 노사공동의 사회적 책임의 형식으로 ISO 26000 발표 이전부터 제시되었던 사항 이외에 여전히 노동조합에게 맡겨져 사실상 변화가 없다. 실현 측면에서 보면, 기업에 대해서는 사회책임투자(SRI)의 확산에 따른 사회적 책임 정보공시제도, 노동분야에 한정된 국제적 행동강령․인증표준․노동평가지표가 증가하고 있다. 대기업 및 공공부문의 노동조합 활동에 대한 사회적 비판과 요구들이 늘고 있지만, 노동법적 권리화에 집중하는 노동계(노동조합)에 대해서는 고용 및 노사관계 부문의 정부 시상제도가 있을 뿐이다. 산업혁명 4.0으로 불리는 경제․기술의 대변화로 인해 노동분야에서의 사회적 책임을 법적 책임화로 기업에게만 요구하는 방식은 더 이상 우리나라 노동시장과 노사관계가 안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미래마저 담보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기업뿐만 아니라 기업 이외의 노동조합을 비롯한 노동분야의 구성원들도 노동분야에서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인식 전환과 함께 지속가능성 제고에 나서야 한다. As Korea started to focus on the labor market reform, it raised social consensus on labor law revisions for job creation as well as shared social responsibility(SR) of the tripartite members. Since international standards for SR were suggested only for corporates, the corporates were the only agent of SR activities. However, a turning point was made in November 2010, by ISO 26000 which suggested SR of all organizations. Regarding to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n Korea, labor demands to stipulate corporates’ obligation of publishing sustainability report based on Global Reporting Initiative guidelines in collective agreements for implementing CSR in the labor sector. On the other hand, business states that the reports cannot be a bargaining agenda and asks labor to participate in the SR activities as a partner which forms corporate together. In terms of the actors of SR, differences on recognitions and stances are found between the Federation of Korean Trade Unions(FKTU) and the Korean Confederation of Trade Union (KCTU), where company-level unions are searching for their roles in SR. As it could be found in the labor’s demand regarding the report, trade unions cannot be seen as they clearly cognize their subjectivity in SR. This weak subjectivity can be found more clearly when labor’s SR activities are compared to labor-management joint activities for social contribution. In terms of context of SR, international standards for companies are mostly adopted as a form of legal obligation in Korea. Besides the legal obligations, specific standards for SR are also increasing. Nonetheless, responsibilities of labor do not show an apparent change, as most of the responsibilities take form of joint labor-management SR, which had been out in the field even before ISO 26000 and at discretion of labor. When considering implementation aspect of SR, regulations for companies such as CSR information disclosure policy, international code of conduct in the labor sector, certificate in CSR, labor index, etc. are increasing. Although social criticism and demands for trade unions in public sector and large enterprises are arising, only government awards on employment and industrial relations are currently available for trade unions those focus on labor rights instead of responsibilities. With a big economic and technical changes called “Industry 4.0”, making SR as legal obligations which are imposed only on companies would not solve problems in the industrial relations and labor market of Korea, and even would threaten the future of both. All the players in the labor sector, including companies, trade unions and individuals, should make a paradigm change in SR and promote sustainability.

      • KCI등재

        다국적기업의 중국시장 현지화 전략과 사회적 책임 활동의 보완적 관계에 대한 연구

        유재욱 대한경영정보학회 2015 경영과 정보연구 Vol.34 No.1

        최근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학문적·실무적 차원의 논의들은 사회적 책임 활동을 전략적인 측면에서 기업특성 및 경쟁전략들과 연계시키는 통합 전략적 사고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같은 관점에서본 연구는 다국적기업들의 태생적 경쟁열위 요인인 문화적 거리와 이를 극복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 간의 관계와 이들 관계에 대한 사회적 책임 활동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여, 시장 경쟁전략과 비 시장 전략의 상호보완적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를 제시하는데 주된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중국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대표적인 다국적기업들의 총 3년(2010년-2012년) 간의 자료를 수집하여 다중회귀분석한 결과에 의하며, 다국적기업들이 직면하게 되는 문화적 거리는 시장경쟁 전략인 현지화 전략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다국적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활동 역시 현지화 전략과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국적기업들의 사회적 책임 활동은 문화적 거리와 현지화 전략 간의 정(+)의 관계를 음(-)의 관계로 조절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문화적 거리를 극복하기 위한 현지화 전략의 효과가 사회적 책임 활동을 통해 보완될수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다국적기업들의 경쟁전략과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보완관계를 분석한 본 연구의 결과는 중국시장에서 경쟁하고 있는 다국적기업들이 효율적인 성과향상을 위하여 시장전략인 현지화전략과 비 시장 전략인 사회적 책임 활동 간의 균형적인 조정을 실행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다양한 시장전략과 비 시장 전략 간의 통합 전략적 관리방안에 대한 중요성과 미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Recently,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are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ntegrated-strategic perspective between market and non-market strategies. In this perspective,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cultural distance and the degree of localization strategy and also the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m. Using CSR data together with the localization index data (from 2010 to 2012) of multinational companies competing in Chinese market, the three hypotheses proposed in the study were examined.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show that cultural distanc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localization strategy of multinational companies.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also positively related to the degree of localization strategy of multinational companies. However, there is negative moderating effec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ltual distance and the degree of localization strategy. The findings of this study representing the complementary effects between localization strategy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mply that the effect of market competitive strategy can be complemented by non-market strategy. Thus, firms should plan their non-market strategies in the perspective of integrated strategic perspective with market strategy to compete with competitors and increase performance more efficiently.

      • KCI등재

        기업의 국제화 수준 및 해외자본투자가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미치는 영향

        정흥준 중앙대학교 한국전자무역연구소 2015 전자무역연구 Vol.13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선행요인으로써 국내기업의 국제화정도와 해외자본의 국내투자를 살펴보았다. 전략적 관점에서 기업의 해외진출이나 외국인자본의 국내투자 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기업의 사회적 정당성을 획득할 수 있는 유력한 방안이 될 수 있으므로 이들의 관계를 실증하고자 하였다. 주요논리: 신제도주의 이론을 토대로 해외에 진출하려는 기업들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정책을 중요한 현지화 전략중 하나로 고려할 것이기 때문에 기업의 전반적인 사회적 책임에의 참여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 해외자본이 국내기업에 투자를 할 때에도 성공적인 투자를 위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들을 선호할 것으로 판단되어 이를 가설화하였다. 연구결과: 가설검증을 위해 한국노동연구원의 2007년, 2009년, 2011년 사업체 패널자료를 활용, 랜덤효과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가설과 동일하게 기업의 국제화수준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해외자본의 국내투자는 예상과 달리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독창성/가치: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기업이 해외에서의 매출액이 클수록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의 참여가 높은 반면, 외국인의 국내투자는 투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에 별 다른 영향이 없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여전히 해외투자 자본에 대한 사회적, 제도적 견제장치가 부족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 외국인의 직접투자가 한국시장에서의 전반적인 책임을 다하기보다 아직은 단기적인 이익창출에 머물러 있을 가능성도 시사한다. Purpose: The present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Sinc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leads to social legitimacy and corporate reputation, the author believe that both internationalization and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can affect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omposition: Using neo-institutional perspective, this paper expects that firms regar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s the best practice when they go abroad for production expansion. Likewise, because foreign investors want to gain the established legitimacy easily, it seems that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prefers to socially responsible companies.. Findings: Using Korean Workplace Panel Survey, the current paper tested the hypotheses. As expect, the association between the degree of internationalization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positively related. This result shows that internationalization of firm lead to higher responsibility for society. However, unlike expect, the positive link between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not supported. Originality/Value: Despite of increasing concern about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does not contribute to responsibility for the various stake-holders. This is why that foreign direct investment may seek to short-term financial performance in the stock market or government policies are generous to foreign investors beyond social nor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