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업가정신 교육 국내 연구동향 분석

        김미란,엄우용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19 Global Creative Leader Vol.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and to achieve practical goals by lay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have been established: First,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each year within last decade? Second, what are the academic field of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ird, what are the theme of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urth, what are the study trends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related? For this study, 151 of the papers published in Korea from 2002 to January 2019 were selected for analysis and analyzed using the content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on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been actively conducted since 2012, and since 2017, research has been conducted in both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stitutions,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public institutions and companies. Seco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mainly conducted in the field of business administration and pedagogy-education. Third,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ship education are most frequently mentioned in the topic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study.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introduced as one of contents for training human resources suitable for a changing age. Fourth, study subjects for entrepreneurship were the highest among university students, followed by entrepreneurs, high school students and social entrepreneu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basic data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by examining research trend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 Based on these results, we can provide a positive strategy for applying and promoting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future education field. 본 연구는 국내 기업가정신 교육 연구동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의 연도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의 분야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셋째,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의 주제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넷째,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의 대상별 연구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를 위하여 2002년부터 2019년 1월까지 국내에서 발표된 논문 중 151편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내용분석법을 활용하여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는 2012년부터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2017년부터는 초·중등 교육기관, 고등교육기관, 공공기관, 기업 등에서 골고루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는 경영학, 교육학 분야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다, 셋째, 기업가정신 교육 관련 연구 주제어는 기업가정신과 기업가정신 교육이 가장 많이 언급되었으며, 이외에도 변화하는 시대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내용의 하나로 기업가정신 교육이 도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넷째, 기업가정신 관련 연구의 연구대상은 대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기업가, 고등학생, 사회적기업가 순으로 빈도가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에서 발표된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연구동향을 살펴봄으로써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향후 교육 현장에서 기업가정신 교육을 적용하고 이를 촉진 및 확산하기 위한 전략에 대한 긍정적인 방안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유럽연합과 OECD의 기업가정신교육 비교를 통한 한국 기업가정신교육의 주관적 인식 유형 연구 - Q방법론을 사용하여 -

        도혜원,김경환 국제지역학회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을 광의의 개념으로 접근하는 세계적 추세와 달리 대한민국에서는 기업가정신을 협의의 개념인 창업, 또는 스타트업과 동일시하여 교육하는 방식의 문제점에 대해 고찰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하여 유럽과 OECD등 해외 사례를 기초하여 기업가정신을 사고방식 및 행동양식의 관점에서 교육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도출해내고, 한국 내 기업가정신 교육을 수행하는 중심 교육기관의 교육 담당자, 피교육자를 대상으로 창업과 분리된 개념의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필요성 인지도, 불요 시 사유, 기업가정신 교육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부분 등 국내의 기업가정신 교육의 문제점에 대하여 Q 방법론을 사용하여 다양한 인식유형을 도출해 내고, 이에 대한 해결책에 대해 접근하였다. 결론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과 창업교육의 차별성에 대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유형은 총 4가지로 도출되었으며, 3개의 유형이 기업가정신 교육과 창업 교육의 구분 실행 필요성에 대해 인식하였으며 이 중 상위 다수를 차지하는 2개의 유형은 기업가정신 교육이 개별적으로 실행될 필요가 있다고 강하게 지지하였다. 이에 대하여 정책적으로 공통 교재 개발 및 확산, 특히 주무부처인 교육부와 중소벤처 기업부의 협력이 필요하며 이의 보급을 위한 전문 교사 연수 및 양성 교재, 지속적인 보수 교육을 제안하였다. 또한 청소년 층 뿐 아니라 성인층에게도 기업가정신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조직과 지역 사회 내에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개념에 대해 지속적으로 인지시키는 사회적 분위기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정책적 기반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청소년들을 위한 기업가정신 함양 교육프로그램 개발 방안

        정대율(Dae-Yul Jeong) 한국창업학회 2021 한국창업학회지 Vol.16 No.5

        기업가정신과 창업 활동은 혁신을 통해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가속화시켜 국가경제발전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촉매제 역할을 한다. 더욱이 기업가정신의 함양과 창업 교육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본다면 일자리 창출과 성장 동력을 창출하기 위한 훌륭한 인재를 양성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과제이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을 이끌어갈 미래의 인재를 발굴하고, 이들에게 기업가정신의 교육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 창출과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이에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한 해외 선진국의 경우,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하여 초등학교에서부터 대학에 이르는 전체 청소년을 대상으로 체계적으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기업가 정신의 함양을 위하여 청소년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교육모델과 프레임워크를 제안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업가정신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180명의 의견을 수렴하여 우리나라의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기업가정신 교육 방향과 교육 방법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전문가 조사를 통해 나온 분석 결과를 기초로 청소년들에게 적합한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의 주요 토픽과 개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결과는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기업가정신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해줄 뿐만 아니라 기업가정신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Entrepreneurship with start-up activities acts as catalysts for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corporate competitiveness enhancement, and also accelerates structural changes in the economy through innovation. Moreover, from the national perspectives, the cultivation of entrepreneurship and start-up education are very important tasks in training talented youths to create jobs and national growth engines. In particular, it is urgently required to cultivate future talented CEOs who will lea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s well, we have to develop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that can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new values and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ccordingly,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s for youth are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Europe. Youth education programs are systematically designed for all young people from elementary school to college in the country. This paper intends to propose an educational model and framework for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youths in order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This paper suggests a entrepreneurship education direction and education method for Korean youth by collecting data and opinions from 180 experts who are interest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various fields, Finally, This paper suggests some topics and a framework of 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raining for young generation.

      • KCI등재

        Effect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Jun-Hwan Yang(양준환) 한국경영교육학회 2015 경영교육연구 Vol.30 No.4

        최근 기업가정신은 지역경제와 국가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핵심적인 기초 요인으로 주목 받아 왔다. 이러한 결과 대학에서의 기업가정신교육 중요성이 세계적으로 큰 관심을 불러일으켜 왔으며 또한 미래 기업가 양성을 위한 중요한 도구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중국은 최근 세계 경제대국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한·중 양국 간의 경제의존도도 심화되어 가는 상황이다. 본 연구는 국가 간 비교연구로써 한국과 중국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교육이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기업가적 동기를 촉진시켜주는가를 규명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회귀분석결과 기업가정신교육은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기업가적 동기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가정신교육은 또한 대학생들의 자기효능감에도 유의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 다. 자기효능감은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동기와 정(+)의 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기업가정신교육과 기업가적 동기 사이에 유의한 부분 매개효과의 영향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교육이 대학생들의 기업가적 동기를 촉진시키는 한편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킨다는 측 면에서 기업가정신 활성화를 위한 매우 중요한 선행변수임을 규명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한계점을 제시하였다. The importanc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getting emphasized world-wide, since there has been general agreement on entrepreneurship as a vital element for revitalizing local and national economy. 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the practical rol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whether it fosters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s a cross-cultural study between Korea and China.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ings.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motivation for both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in both countries is influenced positively by entrepreneurship education. Finally, self-efficacy affects entrepreneurial motivation of students positively. Self-efficacy mediates partly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entrepreneurial motivation in both countries. The findings imply that entrepreneurship education is the prerequisite factor in facilitating entrepreneurial activities among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한국형 기업가정신지수(KEI)의 실태 및 개발 방향에 관한 연구

        김영국 한국창업학회 2022 한국창업학회지 Vol.17 No.5

        기업가정신과 지수는 다면적 특성과 다양한 정의를 가진 개념이다. 따라서 GEM이나 OECD 등 기존의 연구들은 다수의 지표를 통해, 일부 연구자들은 단일지표를 통해 기업가정신을 표현하고 있다. 본 연구는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한국의 기업가정신 측정도구로써 글로벌 차원의 기업가정신지수별 특성을 면밀하게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한국의 기업가정신지수의 기준과 관련하여, 정부와 민간기관이 각기 다른 통계를 인용하는 등 한국의 기업가정신지수에 관한 해석의 차이가 크게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다양한 글로벌기관에서 발표하는 기업가정신지수의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한국의 기업가정신 생태계를 분석하는데 가장 적합한 기업가정신지수의 특성을 분석하여 <한국형 기업가정신지수(KEI)>의 개발 방향성을 위한 전략적 제언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따라서, 새로운 한국형 기업가정신지수(KEI: Korea Entrepreneurship Index)의 개발에 관한 필요성 및 방향성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제시함으로써 본 연구의 가치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 환경 조성을 위한 방안 연구

        강경균,Kang, Kyoung-Kyoon 대한공업교육학회 2017 대한공업교육학회지 Vol.42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하여 교육 환경을 마련하고 청소년 기업가정신 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조사 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 연구의 대상은 기업가 정신 교육 전문 연수에 참여한 100명이며, 불성실하게 응답한 설문지를 제외한 총 92부를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기업가정신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조사도구개발을 위하여 문헌고찰을 하여 8개 영역의 30개의 요소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내용은 전문가를 통해 내용 타당도 검증하여 개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으며, 교육 요구도는 Borich의 교육 요구도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내용은 필요 수준, 현재수준, 교육 요구도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한 모든 영역에서 교육 요구도가 평균 4.94점 이상으로 높게 나타나 기업가정신과 관련하여 교사들에게 교육적 강화의 필요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기업가정신 관련 교육과정, 교사 전문성, 교육 환경, 교육 지원, 구성원들의 인식 등 모든 교육 환경이 미흡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장을 비롯한 학교 구성원의 기업가정신에 대한 협업, 전담교사제와 같은 교사지원, 기업가정신 교육과정 개발, 교육과정 실행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확보, 전문성 확보를 위한 교사 연수 지원, 기타 교육 환경 및 시설 확보 등의 교육환경이 강화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특히 학교 교육에 있어 교육 수요자인 학습자의 경우, 학부모의 인식은 매우 중요하다.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하여 학부모의 인식 및 사회의 인식이 변화하기 위해서는 기업가정신의 올바른 개념 정립과 이에 따른 홍보가 필요하다. 특히 학부모의 경우, 학교 행사에 참여함으로써 기업가정신 교육에 대하여 올바른 인식을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educational needs of experts for revitalizing youth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creating effective conditions for such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urvey were chosen 100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related professional training for teachers were selected and surveyed. A total of 10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92 (92.00%) were used for the analysis. Eight were excluded as they were not properly answered. As for the used survey tool, a total of 8 areas and 30 items were derived from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the validity of the contents was examined through expert meeting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ver. 20.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terms of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 perceived competency level and educational needs. As for the used analytical methods, first, the averages of the required competency level and perceived competency level were calculated and the education needs were calculated using Borich's formula, and then the averages were compared through paired t-test. The results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 The details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of the educational needs the educational needs in all areas turned out to be very high with the average being 4.94 points, which indicates that the teachers strongly feel the need for educational strengthening in relation to entrepreneurship. These results show that all the educational conditions such as entrepreneurship-related curriculum, teacher professionalism, educational environment, educational support and the perception among school community members are insufficient in the current school settings. For the improvement of the current status, the education conditions in the following areas should be improved: the cooperation from school community members including principals, teacher support such as an exclusive responsibility teacher system, the development of an entrepreneurship curriculum, the securing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teacher training support for the enhancement of their professionalism and the provision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facilities. For enhancing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society regarding entrepreneurship,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ecise concept of entrepreneurship and promote it based on such work.

      • KCI등재

        기업조직 구성원의 기업가정신과 개인 및 집단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송찬섭,노연숙,이다정,이선규 한국융합학회 2020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1 No.2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n organizational environment recently, and empirically analyzes the process of entrepreneurship to improve organizational creativity through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confirmed its effect.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trepreneurship and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In particular, it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s of entrepreneurship and creativity. For this study,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is were established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308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or manufacturing workers in Gyeongbuk. The results showed that entrepreneurship affects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ship self-efficacy affects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on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on individual and group creativity were examined. These findings can provide guidelines for corporate strategy development direction and organizational management. 본 연구는 최근 조직환경에서 창의성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점에 주목하여 구성원이 인식하는 기업가정신이 조직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을 통해 실증분석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조직의 기업가정신이 개인·집단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특히, 기업가정신과 창의성 관계의 매개효과를 파악코져 한다. 본 연구를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연구모형 및 가설을 설정하였고, 경북지역의 제조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308부의 설문지를 배포·회수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기업가정신이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이 개인·집단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기업가정신은 개인·집단창의성에 유의한 영향을 직접적으로 미치지 않고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기업가정신과 창의성의 관계에서 기업가적 자기효능감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기업전략수립 방향과 조직차원의 관리에 있어서 가이드라인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K-기업가정신정신의 5대기업문화코드: 고유성사례와 동적전환능력을 중심으로

        김기찬 한국상품학회 2023 商品學硏究 Vol.41 No.2

        기업가 정신은 '정신'이다. 기업가정신은 기회를 포착하고자 하는 열정과 도전정신이다. 기회포착에 대한 도전정신이 없는 조직문화에서 경제가 발전하기 어렵다. 경제는 정신이라고 하는 이유이다. K-기업가정신의 성공을 만들어준 기업문화코드는 5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K-기업가정신은 ‘기업은 사람이다’의 기업문화코드를 가지고 있다. 서양의 기업가정신에서는 혁신과 성과에 많은 관심이 가졌지만, 이것을 가능케하는 사람과 직원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이 약하였다. 둘째, K-기업가정신의 두 번째 기업문화코드는 빠른 기회포착력이다. 빨리 빨리(Pali-Pali)가 만드는 빠른 기회포착력이다. 다만 미국형 기회포착은 창조형 선도형이었다면 한국의 기회포착은 추격형 기회포착이었다. 셋째, K-기업가정신의 세번째 기업문화코드는 하이로드기업에서 나오는 파이팅문화가 만드는 팀워크와 도전이다. 한국 기업가들은 이타적 기업목적을 가진 하이로드기업이었다. K-기업가정신은 이기심과 이타심의 통합 정신으로 팀워크를 만들었다면, 유럽이나 미국의 기업가정신은 이기심을 기반으로 경쟁을 추구하는 기업가정신이었다. 넷째,K-기업가정신의 네번째 기업문화코드는 본 글로벌 정신이다. 한국의 K-기업가정신은 창업초기부터 해외로 열려 있었다. 한국의 기업가들은 창업 초기 부터 해외시장을 목표로 하는 본 글로벌(Born-Global)특성을 가지고 있다. K-기업들은 해외사업을 우선하며 해외에서 외화를 벌어들였다. 다섯째, K-기업가정신의 다섯번째 기업문화코드는 K-기업가정신은 미래를 읽고 빠르게 업을 피봇팅해가는 동적전환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K-기업가정신의 업의 피봇팅력이다. 이러한 특징은 서양이나 일본 등 다른 나라 기업가 정신과는 다른 한국의 고유한 K-기업가정신이다. 이러한 5가지 요소는 K기업가정신의 뿌리로서 남명 조식의 ’시거이용현(尸居而龍見-때가 되면 용처럼 나타나라)와 연묵이뢰성(淵默而雷聲:때가 되면 큰 소리칠 수 있도록 조용히 수련하라)에서 가르치는 ‘기회’와 ‘사람육성’이 K기업의 문화코드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기업가정신의 국제적 연구동향

        김선우(Kim, Sunwoo),박진서(Park, Jinseo) 한국창업학회 2018 한국창업학회지 Vol.13 No.2

        기업가경제와 기업가정신은 국가, 산업, 기업 수준 모두에서 성장의 원동력이다. 시대 전환기를 맞는 요즈음 기업가정신에 대한 연구는 더욱 활발해져야 할 것이다. 기업가정신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의 초석을 마련하고 국내 기업가정신 관련 연구 방향에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 하고자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국제적 학술 흐름을 다양한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연구흐 름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업가정신과 관련된 주요 국제저명학술지들을 대상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서지분석(논문 15,284건)과 핵심 키워드(222개) 매핑 방법 등을 사용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시기별로 키워드의 변화를 살펴보면 ‘사회적 기업가정 신’, ‘지속가능성’의 강도가 최근 매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경우 ‘혁신’과 ‘벤처캐피탈’을 축으로 다양한 연구주제가 활발히 연구되어 왔다. 영국은 ‘창업과 다양성’, ‘사회 적 기업가정신과 혁신’, ‘공공정책’ 영역에서 연구 점유율이 높았다. 독일은 ‘기술 및 지식의 이전, 대학 창업’ 등의 측면에서 상대적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창업과 다양성 영역’, ‘기업가와 교육’ 영역에서 고유의 특성을 보였다. 한국은 ‘기술혁신’ 영역을 강한 중심축으로 하여 주요연 구들이 수행되고 있으나, 연구주제의 다양성은 상대적으로 높지 않은 편이었으며, 세부 연구주제 간의 연결성도 높지 않은 편이었다. 끝으로 학문적, 정책적 함의점을 간략히 제시한 후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In order to analyze the accumulated trends of research in entrepreneurship, this study analyzed the papers provided by the Web of Science. Until now, the representative bibliometric analyses of entrepreneurship was done by Meyer et al.(2014) and Teixeira(2011). Using similar methodology as references, the Database (DB) was established in the following three steps. In step 1, the study included all of the theses published in the five journals that studied about ‘entrepreneurship’ in the existing research, but did not have ‘entrepreneurship’ in the journal titles. In step 2, all of the theses published in the journals with ‘entrepreneurship’ in its titles were included. In step 3, all of the theses with ‘entrepreneurship’ in the title, summary and keyword of the thesis were inclu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increasing rate of the three time periods, the noticeable keywords included ‘social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ship education,’ ‘EO (entrepreneurial orientation),’ ‘sustainability/sustainable developmen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relevant research theme domains have recently shown a rapid growth. Further, based on the country of the corresponding authors, the research domains of four countries, including U.S., U.K., Germany, and South Korea, were examined. In the case of Korea, research was mainly published, centering around the domain of ‘technological innovation.’ Generally, the Korean entrepreneurial research studies might be characterized as a relatively limited diversity of research themes along with low connectivity among the specific sub-topics of studies. Finally, we succintly discussed conceptual and policy-related implications along with the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 KCI등재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과 기업가(Entrepreneur)의 정의의 통합모형: 직무관점 및 역량모델 관점의 적용

        이춘우 한국중소기업학회 2019 中小企業硏究 Vol.41 No.1

        The concepts of entrepreneurship are very various. So many researchers are confused or not sure of the concepts of entrepreneurship. Some entrepreneurship researches has defined the entrepreneurship as ‘self-employment. This study try to set a comprehensive conceptual model of concepts of entrepreneurship through classification of word and phrase with job analysis and competence model. Several concepts of entrepreneurship which important prior researchers, had defined are analysed into ‘subject’, ‘object’, ‘verb’, ‘goal and behavioral results’ with content analysis. Also, Several concepts of entrepreneur which important prior researchers had defined, are analysed into ‘individual psychological traits’, ‘competence and ability’, ‘motive’, and ‘function or job (business).’ This study suggests a integrated conceptual model of entrepreneurship based on analysed results. 기업가정신의 개념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일반인들뿐만 아니라 많은 연구자들도 매우 혼란스러워 하면서, ‘통일된 정의가 없다’거나 ‘매우 다양하다’ 또는 ‘모르겠다’라고 하는 경우가 많다. 기업가정신을 정의하는데 마치 장님 코끼리 만지듯이 특정 측면을 강조하여 정의함으로써 매우 많은 다양한 정의들이 제시되어 기업가정신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혼란스러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기업가정신의 전체적인 개념적 모습을 알 수 있는 모델이 필요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도 미흡한 상태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기업가정신 및 기업가를 ‘스스로를 고용(self-employment) 하는 사람’으로도 정의하고 있음에 착안하여, 기업가를 자연인이 아니라 하나의 직무 (경력/직업)로 보고, 선행연구문헌에서의 기업가정신과 기업가에 대한 정의들을 직무 관점과 역량모델관점에서 분석적으로 재고찰하였다. 연구결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기업가정신의 정의의 내용을 직무관점에서 담당자(주체)와 직무행동방식(동사), 직무내용 (대상), 직무성과(결과/효과), 기타 측면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가에 대한 정의들에 포함된 내용들을 역량모델관점에서 개인차원의 심리적 특질들과 ‘기업가가 수행하는 직무 측면 요인들로 나누고, Spencer and Spencer(1993)의 역량모델에 비추어 기업가직무역량모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직무관점과 역량모델관점을 토대로 선행 연구에서의 기업가정신의 정의와 기업가의 정의들을 재해석하고 체계화하여 앙트라 프러뉴어십(기업가정신) 개념 전체를 조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개념적 통합모형을 도출 하였다. 본 연구의 앙트라프러뉴어십 통합모형은 기업가정신에 대한 기존의 장님 코끼리 만지듯이 정의하고 논의했던 한계를 극복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