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대인플레이션과 통화정책

        박진호 ( Jin Ho Park ),곽준희 ( Jun Hee Kwak ) 한국EU학회 2021 EU학연구 Vol.26 No.2

        기대인플레이션은 중앙은행이 물가안정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에 대해 경제주체가 신뢰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척도로 인식되고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에 미국, 유로지역, 영국 등의 지역에서 인플레이션이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면서 중앙은행이 어떻게 기대인플레이션을 안착시킬 것인가에 대한 문제가 주목받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3개 지역에 대해 필립스곡선을 사용하여 가계의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테스트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뉴케인지언 필립스곡선 모형과 네오클래시컬(Neoclassical) 필립스곡선 모형, 그리고 이 두 모형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세 가지 필립스곡선모형을 각각 추정한 결과를 토대로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을 얼마나 잘 예측하는지를 비교하였다. 세 가지 필립스곡선 모형을 3개 지역(미국, 유로지역, 영국)에 대해 2단계일반화 적률법으로 추정한 결과를 보면,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예측력이 뉴케인지언 필립스곡선 모형과 네오클래시컬 필립스곡선 모형에 비해 더 우수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구조변화 시점(글로벌 금융위기 전후)을 기준으로 표본기간을 2개로 나눠 하이브리드필립스곡선 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에서는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이 구조변화 이후에 확대되었다. 하이브리드 필립스곡선 모형의 추정 강건성을 테스트하고 필립스곡선 모형의 설명변수 간 상호작용이 어떤지를 알아보기 위해 벡터자기회귀모형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를 보면,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구조변화 이후에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인플레이션의 영향력이 확대되었다. 그러나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으로부터 받는 영향력이 그다지 많지 않아, 기대인플레이션은 실제인플레이션에 대한 의존성이 낮아 미래지향적 특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인플레이션에 주는 영향력이 상당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중앙은행은 물가안정목표에 기대인플레이션이 안착되도록 하기 위해 경제주체와 충분하고도 직접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함으로써 정책투명성 및 신뢰도를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Inflation expectations are recognized as a measure of the degree to which economic actors trust whether the central bank can achieve its inflation target. In light of the fact that the issue of anchoring inflation expectations is drawing attention as low inflation continues in some countries, such as the euro area, the predictability of households’ inflation expectations focusing on these regions was verified using the Phillips curve. We compared the predictive power of inflation expectations against actual inflation by estimating the New Keynesian model, which presupposes forward-looking characteristics of inflation expectations, the Neoclassical model reflecting the backward-looking characteristics of inflation expectations, and the Hybrid model mixing both models.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three models mentioned earlier using the generalized momentum method (GMM) for the United States, the euro area, and the United Kingdom, the predictive power of the Hybrid Phillips Curve model, which includes both expected and actual inflation variables in the explanatory variable was found to be superior to those of the other two models. In addition,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Hybrid Phillips Curve model in consideration of structural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effect of inflation expectations on actual inflation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In the result of estimating the VAR model to verify the robustness of the estimated model and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s between variables,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ctual inflation, and the influence of inflation expectations increased after the financial crisis. On the other hand, inflation expectations were relatively unaffected by actual inflation. Therefore, we conclude that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forward-looking characteristic that does not depend heavily on actual infl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nchoring of inflation expectations is essential in order for actual inflation to anchor the inflation target. As inflation expectation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ctual inflation, the central banks need to further enhance transparency and credibility in policy through sufficient and direct communication with economic agents to ensure that inflation expectations are well anchored against the central bank’s inflation target.

      • KCI등재

        인플레이션 기대와 주택가격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과 미국의 비교 분석

        이명수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3 不動産學硏究 Vol.29 No.1

        This paper analyzes the relation between the inflation expectations formed by economic agents and macro variables. The house price variable and survey data for inflation expectations and included in the analysis in addition to output growth, inflation, and the interest rate to analyze the actual relation between agents' inflation expectations and the housing market. Moreover, comparing the results of the U.S. to those of Korea, we additionally discuss the similarities of the relations between agents' inflation expectations and macro-variables in the two countries. We find that the positive inflation expectations shocks increase the real GDP growth and the CPI inflation. This finding implies that the inflation expectations shock is similar to the aggregate demand shock. The response of house prices in Korea is positive to the positive inflation expectations shock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the positive inflation expectations reduce the real interest rate and increases the demand for housing. In both countries, house price shock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inflation expectations and current inflation. We also find that the relations between the inflation expectations and macro-variables are reinforced by the recent inflation hike after the Covid-19. These results imply that policy makers need to pay close attention to the change of economic agents' behavior for policy effectiveness by analyzing from various angles about the relations among macro-varibles including inflation expectations. 본고는 경제주체들의 미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와 거시경제 변수들 간의 관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특히 생산과 인플레이션, 이자율에 더하여 주택가격을 분석 대상에 포함하고, 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한 서베이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경제주체들의 미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가 주택시장과 어떠한 영향을 주고받는지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한국과 미국 결과의 비교분석을 통해 경제주체들의 인플레이션 기대와 거시경제 변수 간 관계에 대한 양국 간 유사성에 대하여 추가로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과 미국 모두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이 실질 GDP 성장률과 CPI 인플레이션율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충격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수요 충격과 유사한 측면이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의 경우 기대인플레이션 상승 충격에 대하여 주택가격 또한 상승하였는데, 이는 기대인플레이션 상승으로 인해 실질이자율이 낮아짐에 따라 주택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한국과 미국 모두 주택가격이 경제주체들의 미래 인플레이션에 대한 기대 형성과 현재의 인플레이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Covid-19 발생 이후의 급격한 물가상승 기간 중 기대인플레이션과 거시 변수들 간의 관계가 증폭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 결과는 정부나 중앙은행은 경기변동이나 (기대)인플레이션 변동에 대응한 정책 운용 시에 거시변수들 간 관계들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에서 분석을 시도를 함으로써 경제주체들의 행태 변화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

        이자율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의 추정 및 특징

        송준혁,Song, Joonhyuk 한국개발연구원 2014 韓國 開發 硏究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이자율 변수에 적절한 확률과정을 부여하고 이를 가격함수에 직접 대입한 뒤 최종적으로 자산가격 PDE를 도출하는 재무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을 추정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기대인플레이션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4%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2008년 후반을 기점으로 하향 안정화되는 모습을 시현했다. 또한 수익률곡선에서 도출된 기대인플레이션과 서베이 등을 통해 실제로 자료의 입수가 가능한 기대인플레이션을 이용하여 경제주체의 기대인플레이션 형성에 체계적인 편의가 존재하지 않고(불편성), 기대형성에 활용 가능한 모든 정보가 반영되었는지(효율성)를 기준으로 합리성을 평가한 결과, 분석에 이용된 모든 기대인플레이션에서 효율성은 기각되나 기대편의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제인플레이션과 기대인플레이션 간의 Granger 인과관계 검정 결과, 대체로 컨센서스 및 BOK 전문가 기대인플레이션은 상대적으로 장기의 실제인플레이션과, 이자율모형에서 도출된 기대인플레이션은 단기의 실제인플레이션과 상호 인과관계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인플레이션 지표들이 내포하는 인플레이션의 정보가 상이하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 이는 중앙은행이 하나의 인플레이션 지표보다는 다양한 지표들을 균형 있는 시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stimates and characterizes expected inflations using an affine term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empirical stochastic process of the interest rates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xpected inflation which marked above 4%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dampened and stabilized after the crisis. Moreover, we investigate the rationality of the various expected inflation measures in terms of the unbiasedness and efficiency and find that unbiasedness is not rejected across the all measures, while the efficiency cannot be empirically warranted. Besides, we run Granger causality tests and conclude that the expected inflations compiled from the Consensus, BOK-Expert have the cross-causality with the long-run actual inflation, while the expected inflation estimated from the term structure model has the cross-causality with the short-run actual inflation. These results connote that expected inflations collected from different sources and methods have their targets and horizons and the central bank needs to watch all of them with a balanced view instead of preferring one to the other.

      • 이자율기간구조를 이용한 기대인플레이션의 추정 및 특징

        송준혁 한국국제경제학회 2013 한국국제경제학회 학술대회발표 논문집 Vol.2013 No.4

        본 연구에서는 거시 및 재무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을 추정하고자 한다. 기대인플레이션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거시 모형을 기반으로 수익률 정보를 활용하는 것과 재무 모형을 중심으로 거시 정보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대별된다. 재무 모형의 경우에는 거시 변수에 적절한 확률 과정을 부여하고 이를 가격함수에 직접 대입한 뒤 최종적으로 자산가격 PDE를 도출하는 방법이고, 거시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 경우에는 거시 변수와 금리 변수를 포함한 VAR을 구축한 뒤 이중 일부 변수를 은닉 요인으로 처리함으로써 무차익 거래 조건을 유지하면서 거시 변수를 도입하는 방법이다. 본고에서는 이들 두 방식을 모두 이용하여 재무와 거시 변수를 통한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의 시계열을 추출하고 그 추이를 살펴보고자 한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의 기대인플레이션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4%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2008년 후반을 기점으로 하여 상당폭 하락하는 모습을 시현하였다. 2009년 초 저점 이후 기대인플레이션은 반전하여 2012년 초까지는 증가하였으나 이후 다시 약화되는 모습을 시현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재무모형에서 도출된 기대인플레이션과 실제 자료로 입수 가능한 기대인플레이션간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경제 주체의 기대인플레이션 형성에 체계적인 편의가 존재하지 않고(불편성), 기대 형성에 활용가능한 모든 정보가 반영되었는지(효율성)를 기준으로 합리성을 평가한 결과 분석에 이용된 모든 기대인플레이션에서 이러한 합리성이 모두 기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제 인플레이션과 기대인플레이션간의 Granger 인과검정 결과 대체로 실제 인플레이션은 단기 기대인플레이션에, 기대 인플레이션은 장기 실제 인플레이션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관찰되었다.

      • KCI등재

        이자율모형을 이용한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의 추정 및 특징

        송준혁 한국개발연구원 2014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6 No.2

        본 연구에서는 이자율 변수에 적절한 확률과정을 부여하고 이를 가격함수에 직접 대입한뒤 최종적으로 자산가격 PDE를 도출하는 재무모형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기대인플레이션을 추정하고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의 기대인플레이션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에는 4%를 상회하는 높은 수준을 보였으나 2008년 후반을 기점으로 하향 안정화되는 모습을 시현했다. 또한 수익률곡선에서 도출된 기대인플레이션과 서베이 등을 통해 실제로 자료의 입수가 가능한 기대인플레이션을 이용하여 경제주체의 기대인플레이션 형성에 체계적인 편의가 존재하지 않고(불편성), 기대형성에 활용 가능한 모든 정보가 반영되었는지(효율성)를 기준으로 합리성을 평가한 결과, 분석에 이용된 모든 기대인플레이션에서 효율성은 기각되나 기대편의는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실제인플레이션과 기대인플레이션 간의 Granger 인과관계 검정 결과, 대체로 컨센서스 및 BOK 전문가 기대인플레이션은 상대적으로 장기의 실제인플레이션과, 이자율모형에서 도출된 기대인플레이션은 단기의 실제인플레이션과 상호 인과관계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각각의 인플레이션 지표들이 내포하는 인플레이션의 정보가 상이하다는 것을 방증하고 있다. 이는 중앙은행이 하나의 인플레이션 지표보다는 다양한 지표들을 균형 있는 시각으로 관찰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is paper estimates and characterizes expected inflations using an affine term structure model based on the empirical stochastic process of the interest rates in Korea. Th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the expected inflation which marked above 4% befor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has dampened and stabilized after the crisis. Moreover, we investigate the rationality of the various expected inflation measures in terms of the unbiasedness and efficiency and find that unbiasedness is not rejected across the all measures, while the efficiency cannot be empirically warranted. Besides, we run Granger causality tests and conclude that the expected inflations compiled from the Consensus, BOK-Expert have the cross-causality with the long-run actual inflation, while the expected inflation estimated from the term structure model has the cross-causality with the short-run actual inflation. These results connote that expected inflations collected from different sources and methods have their targets and horizons and the central bank needs to watch all of them with a balanced view instead of preferring one to the other.

      • KCI등재

        우리나라 일반인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 행태 분석

        이한규,최진호 한국개발연구원 2015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KDI JEP) Vol.37 No.-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the Korean households’ inflationexpectations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information rigidity. For thispurpose, we derive an empirical model from a sticky information model a laMankiw and Reis (2002) and estimate it. In addition, it is also examinedwhether the expectation formation is state-dependent on macroeconomicconditions. 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it turns out thatthe information rigidity in Korean households’ inflation expectations is veryhigh. In a month, most of the households simply keep their inflationexpectations the same as before instead of updating them based on newlyarrived information. Furthermore, when updating their expectations, thehouseholds tend to rely on the backward-looking information such as actualinflation rates in the past rather than on the forward-looking forecasts byexperts. Second, it is found that the expectation formation is varying asinflation rate changes. Specifically, when the inflation is high, thesensitivity of the households’ inflation expectations to actual inflationincreases and the gap between inflation expectations and actual inflationshrinks. It implies that Korean households update their expectations morefrequently when the inflation matters than not.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반인의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 행태를 정보경직성(information rigidity)과 상태의존성(state-dependence)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우리나라 일반인의 인플레이션 기대형성 과정에 정보경직성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살펴보기 위해 간단한 정보경직성 모형을 도출하여 추정하였으며, 간단한 마코프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하여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 행태가 경제여건에 따라 달라지는 상태의존적 특징을 나타내는지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일반인의 대다수는 정보 갱신을통해 인플레이션 기대를 새로 형성하기보다는 기존의 기대를 관성적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정보 갱신 과정에서도 전문가 예측치 등과 같은 미래 지향적 정보보다 과거 인플레이션율과 같은 과거 지향적 정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우리나라 일반인의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 행태는 인플레이션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상태의존적 특징을 보이는 것으로 드러났다. 즉, 인플레이션이 큰 폭으로 상승하는 시기에는그렇지 않은 시기와 비교하여, 인플레이션 기대의 실제 인플레이션에 대한 민감도가 상승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플레이션 기대와 실제 인플레이션 사이의 격차가 빠르게 축소되는 것으로나타났다.

      • KCI등재후보

        주택의 기대인플레이션 헷징에 관한 연구

        최차순(Choi, Cha-Soon) 대한부동산학회 2012 大韓不動産學會誌 Vol.30 No.1

        본 연구는 주택의 기대인플레이션 헷징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한 의미 있는 결론을 도출하여 투자가들에게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가중평균기대가설방식으로 기대인플레이션을 추정하여 주택의 유형별, 규모별, 고⋅저인플레이션기간으로 구분하여 월별 및 분기별로 검증을 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택은 기대인플레이션에 대하여 완전한 헤징능력이 없는 것으로 지지되었다. 다만, 주택의 유형과 규모에 따라 부분적인 헷징능력이 있을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주택은 기대하지 못한 인플레이션에 대하여 어떠한 헷징능력도 가지지 못하는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택은 주택 유형에 따라 저 인플레이션기간 보다 고 인플레이션기간에 부분적으로 헷징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론은 주택은 저 인플레이션기간 보다 고 인플레이션기간에 더 우수한 헷지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점과 주택 유형별 규모에 따라 기대인플레이션에 차별적인 헷지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show an implication to the investors after the conclusion through an empirical analysis to see the ability of existing housing is a hedge against expected and unexpected inflation. So this study was examined expected inflation by the method of weighted average expected hypothesis to enhance the rational of an empirical analysis and performed to examine the hedge effect of expected and unexpected inflation according to a type and size of housing and a term of high and low inflation on the monthly and quarterly test. The conclusion that could be obtained through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Housing has no a perfect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But Housing has regarded as a weak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according to a type and size of housing on the monthly and quarterly test. Second, Housing has no hedge against unexpected inflation on the monthly and quarterly test. Third, Housing has regarded as a weak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in the high inflation term then in the low inflation term depending on the types of housing.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show that housing has regarded as a weaker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in the high inflation term then in the low inflation term and there is a different weak hedge against expected inflation according to a type and size of housing.

      • KCI등재

        한국에서 통화정책 기대경로 유효성에 대한 실증분석

        김문수,박원익 한국사회경제학회 2022 사회경제평론 Vol.35 No.3

        The recent inflation can be characterized as supplyled inflation. Central banks worldwide are responding to the current inflation with tightening monetary policie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whether the expectation channel is operating in Korea. The expectation channel is the path through which the monetary policy affects expected inflation, and expected inflation affects actual inflation. To analyze the validity of this channel,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variance decomposition analysis, and the Toda Yamamoto Granger causality test were performed with SVAR models. As a result, expected inflation was formed in a pastoriented way. The effect of monetary policy on expected inflation was either insignificant or inconsistent with the intention of the monetary authorities. The influence of interest rates and expected inflation towards actual inflation was negligible compared to supply factors such as oil prices. These results suggest thatKorea’s expectation channel is not working effectively. 최근 발생하는 고물가 현상은 공급 주도 인플레이션의 특징을 보인다. 각국 중앙은행은 강한 통화 긴축정책으로 이에 대처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통화정책 파급경로 중 기대경로가 한국에서 작동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기대경로는 통화정책이 기대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주고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에 영향을 주는 방식으로 통화정책 효과가 전달되는 경로이다. 기대경로의 유효성을 분석하기 위해 단기제약을 부과한 SVAR 모형으로 충격반응함수 및 예측오차 분산분해 분석과 토다·야마모토 그랜저 인과검정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기대 인플레이션은 과거지향적 방식으로 형성되는 특징을 보였다. 통화정책이 기대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거나 본래의 정책 의도에 부합하지 않는 방향으로 나타났다.금리 및 기대인플레이션이 실제 인플레이션의 예측오차를 설명하는 정도는유가 등 공급요인에 비해 미미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에서 통화정책 기대경로가 유효하게 작동하고 있지 않음을 시사한다.

      • KCI등재후보

        미제스의 기대형성에 대한 접근법과 응용

        전용덕 한국제도경제학회 2015 제도와 경제 Vol.9 No.2

        미제스는 ‘기대가 형성되는 방법’과 ‘기대가 인플레이션 과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학문적 공헌을 한 많지 않은 연구자들 중의 한 명이다. 이 연구는 미제스가 인간이 역사학 원리인 특정한 이해를 토대 로 미래에 대한 기대를 만든다는 기대이론과 경제이론을 기본으로 그런 기대를 보조가정으로 사용하여 인간행동학적 경제학을 제안했다는 사실을 보이는 것이다. 이 연구는 미제스의 기대이론을 이용하여 합 리적 기대가설, 적응적 기대 등을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미제스는 1차 대전을 전후한 독일의 초인플레이션을 자신이 제안한 기대이론을 응용하여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미제스는 당시의 경제주체들이 순차적으로 비탄력적 기대, 적응적 기대, 합리적 기대 등으 로 기대를 변경함에 따라 통화량 증가의 효과가 시기별로 달랐음을 보였다. 그리고 이 연구는 미제스의 기대이론을 조선왕조 말엽의 초인플레이션에 응용하여 기대가 인플레이션 과정에 미친 영향을 가설적 수준에서 분석했다. Mises is one of a few scholar who have academical contribution about “the way of expectation formation” and “the effect of expectation on inflationary process”. This study shows Mises’ expectation theory that human forms expectation of future based on specific understanding as historical principle. This work also includes the fact that Mises suggests praxeological economics: economics is a basic principle for explaining and understanding inflationary process and expectation as historical fact should be used as an auxiliary assumption. Using the expectation theory of Mises, this study criticizes rational expectation hypothesis and adaptive expectation. Using his expectation theory, Mises himself explained German hyperinflation around the first World War. Specifically, Mises showed that the effect of inflation was not the same in the different periods since German people at that time had changed the expectation of inflationary process from inelastic expectation through adaptive expectation to rational expectation. In addition, this study suggests a hypothetical argument that people's expectation affected inflationary process of monetary policy at the end of the Chosun Dynasty.

      • KCI등재

        일반인과 전문가의 인플레이션 기대 형성 특징에 대한 비교 분석

        조병수 ( Cho Byoungsoo ) 서강대학교 서강시장경제연구소 2017 시장경제연구 Vol.46 No.3

        본고는 비축차적 제약이 부가된 벡터자기회귀 모형을 이용하여 기대 인플레이션과 주요 거시경제 변수인 GDP갭, 단기 명목금리 그리고 실제 인플레이션과의 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때 기대 인플레이션은 일반인 및 전문가 지표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각각의 기대 형성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벡터자기회귀 모형의 구조식 식별 결과, 전문가 기대 인플레이션이 당기 인플레이션에 상당히 유의한 정의관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충격반응함수 및 예측오차 분산분해 도출 결과, 두 지표 모두 공통적으로 GDP갭, 인플레이션 충격에 대해 유의한 반응을 보였으나, 전문가 지표가 일반인 지표보다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이를 종합해 보면 전문가는 일반인에 비해 인플레이션에 대해 미래지향적(Forward Looking)인 기대 형성을 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 변동에 대한 새로운 정보를 적극 반영하여 기대를 조정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I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expected inflation and macroeconomic variables such as the GDP gap, short-term nominal interest rate, and actual inflation. Using non-recursive VAR model, I compared inflation expectation formation in households and professionals. The analysis shows a mo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professionals’ index and actual inflation contemporaneously when compared with the households’. Futhermore, the analysis also shows that professionals’ index responds more sensitively to the GDP gap and inflation shock than the households’ index does. To conclude, professionals’ inflation expectations formation is based more on new information as compared to the inflation expectations formation of househol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